KR100285051B1 -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5051B1 KR100285051B1 KR1019970066675A KR19970066675A KR100285051B1 KR 100285051 B1 KR100285051 B1 KR 100285051B1 KR 1019970066675 A KR1019970066675 A KR 1019970066675A KR 19970066675 A KR19970066675 A KR 19970066675A KR 100285051 B1 KR100285051 B1 KR 1002850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 member
- wiring
- cowl cross
- protector
- cow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 케이블이나 스트랩 대신에 스텃볼트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는 프로텍터를 이용하여 와이어링을 장착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이고 에어 백 전원선과의 간섭을 막아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스텃볼트(20)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2)에 장착되는 것으로, 외주부에는 스텃볼트(20)에 체결되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돌기(14)와 이격된 위치에는 메인 와이어링(4)이 수납되는 수납 플랜지(12)가 형성된 프로텍터(10)를 이용하여 메인 와이어링(4)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 케이블이나 스트랩 대신에 스텃볼트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는 프로텍터를 이용하여 와이어링을 장착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이고 에어 백 전원선과의 간섭을 막아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나누어 차체(body)와 섀시(chassis)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사람의 탑승공간인 차실내와, 엔진이 설치된 기관실 및 짐을 보관하여 운반하는 트렁크 실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차체는 구성위치에 따라 앞차체와 중간차체 및 뒤차체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앞차체는 다시, 크래시 패드(crash pad)와 같은 내판부분과, 기관실을 덮고 있는 후드(hood)와 같은 외판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앞차체를 구성하는 크래시 대드는 탑승 공간을 제공하는 차실내와 기관실을 구분하는 것으로, 계기판을 비롯하여 글러브 박스나 에어 백 등이 장착된다. 또한, 프론트 윈도우와 연결되는 부분을 카울 패널이라 하며, 카울 패널은 다음의 도 1에서 설명하게 될 카울 크로스 멤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도 1과 도 2를 참고로 종래의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카울 크로스 멤버(2)에는 엔진룸에서 유입된 메인 와이어링(4)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되어 설치된 다음, 밴드 케이블(8)에 의해 2개의 지점에서 고정한다. 또한, 에어 백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에서는 에어 백 전원선(6)을 메인 와이어링(4)과 함께 배치한 다음, 스트랩 등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에서는 메인 와이어링 자체의 무겁기 때문에 밴드 케이블이나 스트랩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는데, 고정 작업이 힘들기 때문에 클립이나 프로텍터와 같은 볼트를 이용한 고정구조가 요구된다. 그러나, 카울 크로스 멤버는 원형이므로 내부에 볼트의 나사산을 잡아줄 수 있는 너트를 고정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현재에는 와이어링을 대시패널 측으로 우회하거나 카울 크로스 멤버에 별도의 브라켓을 추가하여 고정하기도 한다.
또한, 에어 백 전원선이 후장착되어야 하므로, 마땅한 고정점이 없이 스트랩으로 고정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배선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작업자의 습관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와이어링이 A 또는 B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전원선의 길이가 달라지게 되어 안전제품인 에어 백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와 같이, 와이어링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계기판과 에어 덕트 및 에어 노즐이 장착되어 있는 크래시 패드를 장착할 경우에 와이어링이 제방향을 유지하지 못하여 크래시 패드의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며, 그로 인해서 와이어링을 재정렬해야하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됨으로써,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밴드 케이블이나 스트랩 대신에 스텃볼트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는 프로텍터를 이용하여 와이어링을 장착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이고 에어 백 전원선과의 간섭을 막아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프로텍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프로텍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5에서 선 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카울 크로스 멤버 4:메인 와이어링
6:에어 백 전원선 10:프로텍터
12:수납 플랜지 14:체결돌기
16:안착돌기 18:러그
20:스텃볼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윈도우와 연결되는 부분을 카울 패널을 지지하고 있는 카울 크로스 멤버에 있어서, 스텃볼트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에 장착되는 것으로, 외주부에는 스텃볼트에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돌기와 이격된 위치에는 메인 와이어링이 수납되는 수납 플랜지가 형성된 프로텍터를 이용하여 메인 와이어링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다음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밴드 케이블이나 스트랩 대신에 스텃볼트(20)에 의해 프로텍터(10)를 카울 크로스 멤버(2)에 고정한 다음, 이 프로텍터(10)에 메인 와이어링(4)과 에어 백 전원선(6)을 미끄럼 이동시키면서 장착하는 슬라이딩 방식을 채용하였다.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링 고정구조에 대한 단면도로, 카울 크로스 멤버(2)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텃볼트(20)가 용접되어 있다. 스텃볼트(20)는 카울 크로스 멤버(2)의 내주면에 부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외주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텍터(10)에는 이 스텃볼트(20)에 체결되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돌기(14)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러그(18)를 부착하여, 스텃볼트(20)와의 결합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프로텍터(10)의 외주부에는 체결돌기(14)와 인접하게 안착돌기(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돌기(16)와 대략, 직각인 지점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수납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 플랜지(12)에는 메인 와이어링(4)이 수납되며, 안착돌기(16)에는 에어 백 장착차량의 경우에, 에어 백 전원선(6)이 안착된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프로텍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프로텍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선 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 크로스 멤버(2)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프로텍터(10)에는 스텃볼트(20)에 체결되는 2개의 체결돌기(14)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 좌측에 형성된 체결돌기(14)와 인접한 곳에는 에어 백 전원선(6)이 안착되는 안착돌기(16)가 부착되어 있다.
도 6을 보면, 체결돌기(14)내측면에는 중심을 향해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러그(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러그(18)는 스텃볼트(20)와의 체결시에 이탈을 막기 위한 것으로, 스텃볼트(20)와의 결합시에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끝단부는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기울기를 형성하였다.
프로텍터(10)의 가장자리에는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납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 플랜지(1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 백 전원선(6)이 수납되는데, 이를 다음의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은 도 5에서 선 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수납 플랜지(12)와 안착돌기(16)에는 각각, 메인 와이어링(4)과 에어 백 전원선(6)이 장착된 상태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카울 크로스 멤버와 닿는 부위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카울 크로스 멤버(2)의 외형을 따라 곡선형태로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프로텍터(10)가 카울 크로스 멤버(2)와 동일한 곡선형태를 지님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최대한 방지된다.
또한, 메인 와이어링(4)은 수납 플랜지(12)에 수납된 상태로 제조라인에 투입하게 되며, 제조라인에서는 메인 와이어링(4)이 장착되어 있는 프로텍터(10)의 체결돌기(14)를 스텃볼트(20)에 끼워 카울 크로스 멤버(2)에 고정시킨다. 프로텍터(10)의 고정 후에, 안착돌기(16)에는 에어 백 전원선(6)을 안착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밴드 케이블이나 스트랩을 끼우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프로텍터를 고정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절감되며, 별도의 볼트 죄임방식이 아닌 플라스틱의 슬라이등 고정방식으로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일정한 루트를 따라 와이어링을 정렬할 수 있으므로, 크래시 패드의 장착시에는 별도의 추가공정이 불필요하며 크래시 패드의 기계에 의한 자동장착이 가능하게 되므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그 밖에도, 밴드 케이블에 의해 유동적으로 와이어링을 고정하게 되면, 와이어링의 하중에 의해서 장기 운행후에 케이블이 느슨해져 주위 부품과의 마찰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의 프로텍터에 의한 고정방식에서는 와이어링의 유동이 제지되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에어 백 전원선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전제품인 에어 백 시스템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 프론트 윈도우와 연결되는 부분을 카울 패널을 지지하고 있는 카울 크로스 멤버에 있어서,스텃볼트(20)에 의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2)에 장착되는 것으로, 외주부에는 스텃볼트(20)에 체결되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돌기(14)와 이격된 위치에는 메인 와이어링(4)이 수납되는 수납 플랜지(12)가 형성된 프로텍터(10)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와이어링(4)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프로텍터(10)의 체결돌기(14)와 인접한 곳에는 에어 백 전원선(6)이 안착되는 안착돌기(16)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프로텍터(10)는 상기 메인 와이어링(4)의 장착후에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막기 위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2)의 외형과 동일한 곡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6675A KR100285051B1 (ko) | 1997-12-08 | 1997-12-08 |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6675A KR100285051B1 (ko) | 1997-12-08 | 1997-12-08 |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8067A KR19990048067A (ko) | 1999-07-05 |
KR100285051B1 true KR100285051B1 (ko) | 2001-09-28 |
Family
ID=6608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6675A KR100285051B1 (ko) | 1997-12-08 | 1997-12-08 |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505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2567B1 (ko) * | 1999-11-15 | 2001-11-05 | 이계안 | 자동차용 케이블 고정 구조 |
KR101629949B1 (ko) * | 2014-11-14 | 2016-06-14 | 덕양산업 주식회사 | 카울크로스바와 냉난방공조장치 결합용 브래킷유닛 |
-
1997
- 1997-12-08 KR KR1019970066675A patent/KR10028505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8067A (ko) | 199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59509A (en) | Grommet assembly for main and auxiliary wire harnesses | |
US6003933A (en) | Covering par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an end area of a vehicle, particularly a passenger car | |
KR100285051B1 (ko) |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와이어링 고정구조 | |
US4491361A (en) | Installation for fastening a lower edge area of a top cover at a rear frame of a motor vehicle | |
JP3755702B2 (ja) | 自動車のテールエンドメンバートリム構造 | |
US11536195B2 (en) | Engine room structure for vehicle | |
JP4147929B2 (ja) | シートベルトラップアウタアンカ取付構造 | |
JPH0867150A (ja) | 電気自動車のモータールーム内部品搭載構造 | |
KR0137904Y1 (ko) | 자동차용 소화기 고정브래킷 | |
KR100759040B1 (ko) | 스티어링 휠 운전석 에어백용 로어커버와 운전석 에어백모듈 고정용 볼트홀더 장착구조 | |
KR0133256Y1 (ko) |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백 장착구조 | |
JPH04278888A (ja) | 自動二輪車の車体後部構造 | |
JPH0246196Y2 (ko) | ||
KR200141072Y1 (ko) | 자동차 뒷좌석의 설치구조 | |
JPH08119000A (ja) |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け構造 | |
KR19980031330A (ko) | 1박스 밴 차량의 백패널 취부구조 | |
JPH0921366A (ja) | レゾネータの取付構造 | |
KR200269875Y1 (ko) | 자동차의리어범퍼스테이마운팅구조 | |
JPH0528090Y2 (ko) | ||
JPS601005Y2 (ja) | ワイパシヤフト取付構造 | |
JP4852982B2 (ja) | 車両のアクセルケーブル配索構造 | |
JPH0722863U (ja) | クオータートリムの取付構造 | |
KR19980056652A (ko) | 자동차의 시트 벨트 리트렉터 고정구조 | |
KR100200521B1 (ko) | 차량용 리어범퍼 설치구조 | |
KR0143662B1 (ko) | 자동차의 리어시트 장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