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447A -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447A
KR950001447A KR1019940013582A KR19940013582A KR950001447A KR 950001447 A KR950001447 A KR 950001447A KR 1019940013582 A KR1019940013582 A KR 1019940013582A KR 19940013582 A KR19940013582 A KR 19940013582A KR 950001447 A KR950001447 A KR 95000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amshaft
angular position
displacemen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9114B1 (ko
Inventor
마이어 클라우스-게르트
슈나이더 게드하르트
헬링 귄터
Original Assignee
베렌스; 뭘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렌스; 뭘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렌스; 뭘러
Publication of KR95000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02D13/0215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 F02D13/0219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by shifting the phase, i.e. the opening periods of the valves are const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201/00Electronic control systems;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내연기관의 캠축의 각도 위치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과 동시에 동작하는 제어장치에 의해 조작 신호를 사용하여 액츄에이터가 구동되고, 크랭축의 회전 각도에 대한 캠축의 각도 위치가 목표각도 위치로 조절된다. 액츄에이터는 진행치, 지연치, 보유치의 3개의 조작치중 각각 1개에 의해 구동된다. 다음 프로그램 실행 개시때에 존재하는 캠축의 변위 속도(V_SCH)가 추정되고, 이 변위 속도와 캠축 변위에 대한 공지의 시간 특성(C,V_END)을 기초로 하여 변위 각도(αSCH+)가 추정되어 이 추정 변위 각도(α_SCH+)와 목표 각도 위치 사이의 펀차가 허용 범위내에 있을때에는 조작 신호의 진행치 또는 지연치로부터 그의 보유치로의 교체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캠축은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목표 위치에 도달한다.

Description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3도는 캠축의 각도 위치에 대한 조절치를 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Claims (10)

  1.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과 동시에 동작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조작 신호를 따라 구동되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크랭축의 회전 각도에 대한 캠축의 각도 위치를 목표 각도 위치로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츄에이터가 조작 신호의 3개의 수치, 즉 내연기과능 흡기 밸브를 조기에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캠축을 변위시키는 진행치, 흡기 밸브를 지연하여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캠축을 변위시키는 지연치 및 그때의 실제 각도위치로 보유시키는 보유치중 한개의 수치에 의해서 각각 구동 가능하며, 다음의 프로그램 실행 개시 때에 존재하는 캠축의 변위 속도(V_SCH)가 추정되고, 이 변위 속도와 보유치의 조작신호로 교체된 후의 캠축 변위에 대한 공지의 시간 특성(C,V_SCH)으로부터, 조작신호가 다음 프로그램 실행 개시때에 보유치로 교체된 때에 캠축의 각도 위치가 더욱 변화하여 도달하면 예측되는 변위각도(α_SCH+)가 추정되고, 변위각도와 목표 각도 위치 사이의 어굿남이 허용 범위내에 있을때에는 조작 신호가 진행치 또는 지연치로부터 보유치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 프로그램 실행 개시 때에 존재하면 예측되는 변위 속도(V_SCH)가 설정 시정수(C,△t)와 최종 변위 속도(V_END)를 갖는 1차 지연의 고도 응답 함수를 사용하여 실제의 변위 속도로부터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시정수가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최종 변위 속도(V_END)가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최종 변위 속도(V_END)가 다음 공정, 즉 a) 캠축의 각도 위치(α)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한 때에 이 신호가 실제치로서 검출되고, b) 상기 신호 발생기에 이 시점에 대하여 추정된 각도 위치가 추정치로서 구해지고, c)추정치와 실제치의 차이가 형성되고, 또한 d) 다음 공정 a)로부터 c)의 실시때에는 보다 작은 차이 또는 반대의 부호를 갖는 차이가 얻어지도록 최종 변위 속도가 소정의 작은 스텝 폭으로 변화되는, 각각의 공정을 사용하여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보유치가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a) 보유치를 1회 출력한 후에 목표치가 거의 일정하게 보유되어 있는가의 여부가 조사되고, b) 목표치가 거의 일정한 경우에는 대기 시간의 경과후에 보유치로부터 진행치 내지 지연치로의 변화가 기록되고, 또한 c) 변화에 의한 차이의 절대치가 한계치를 초월한 경우에는 다음 공정 a)로부터 c)의 실시에 때에는 보다 작은 차이 또는 반대의 부호를 갖는 차이가 얻어지도록 보유치가 소정의 작은 스텝 폭으로 변화되는, 각각의 공정을 사용하여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캠축이 각도 위치의 각 실제치가 크랭크 축 신호에 대한 개개의 캠축 신호의 위치에 관한 편차를 고려한 조절치를 사용하여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치가 다음과 같이 하여, 즉 a) 캠축이 종단 위치로 이동되고, b) 캠축 1회전중에 측정된 실제치가 검출되고, 또한 c) 각 실제치와 각각 관련한 목표치 사이의 차이로부터 새로운 공정 a)와 b)의 실시때에는 보다 작은 차이 또는 반대의 부호를 갖는 차이가 얻어지도록 실제의 조절치가 소정의 작은 스텝 폭으로 변화되도록하여 구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10.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과 동시에 동작하는 제어 장치(14)에 의해 조작 신호를 따라 구동되는 액츄에이터(11)를 사용하여 크랭축의 회전 각도에 대한 캠축의 각도 위치를 목표 각도 위치로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조작 신호의 3개의 수치, 즉 내연기관의 흡기 밸브를 조기에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캠축을 변위시키는 진행치, 흡기 밸브를 지연하여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캠축을 변위시키는 지연치 및 그때의 실제 각도 위치로 보유시키는 보유치중 한개의 수치에 의해서 각각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즉 제어 장치에 의해 다음 프로그램 실행 개시때에 존재하는 캠축의 변위 속도(VSCH)가 추정되고, 이 변위 속도와 보유치의 조작 신호로 교체된 후의 캠축 변위에 대한 공지의 시간 특성(C,V_SCH)으로부터, 조작신호가 다음 프로그램 개시때에 보유치로 교체된 때에 캠축의 각도 위치가 더욱 변화하여 도달하면 예측되는 변위각도(α_SCH+)가 추정되고, 또한, 변위각도(α_SCH+)와 목표 각도 위치 사이의 편차가 허용 범위내에 있을때에는 조작 신호가 진행치 또는 지연치로부터 보유치로 교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13582A 1993-06-16 1994-06-16 캠축의각도위치를조절하는방법및장치 KR100339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19882 1993-06-16
DEP4319882.1 1993-06-16
DEP4408425.0 1994-03-12
DE4408425A DE4408425B4 (de) 1993-06-16 1994-03-1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regeln der Winkellage einer Nockenw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47A true KR950001447A (ko) 1995-01-03
KR100339114B1 KR100339114B1 (ko) 2002-10-18

Family

ID=649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582A KR100339114B1 (ko) 1993-06-16 1994-06-16 캠축의각도위치를조절하는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39114B1 (ko)
DE (1) DE440842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1597A1 (de) * 1997-09-20 1999-03-25 Schaeffler Waelzlager Ohg Nockenpulsrad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variabler Nockenwellensteuerung
US5787848A (en) * 1997-12-05 1998-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system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variable valve timing
WO1999043930A1 (de) * 1998-02-27 1999-09-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m einstellen des bewegungsverlaufs der gaswechselventile einer brennkraftmaschine
EP1272741B1 (de) 2000-04-14 2004-08-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stellgliedes
DE10232942B4 (de) * 2002-07-19 2004-08-26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gleichmäßigen Drehmomentabgabe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Abgasturbolader
EP1605140B1 (de) 2004-06-09 2016-11-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Nockenwelle
DE102004031227B4 (de) * 2004-06-29 2008-08-07 Audi Ag Verfahren zur Vornahme von Verstellvorgängen bei verstellbaren Nockenwellen von Brennkraftmaschin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397B2 (ja) * 1988-09-27 1996-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機関制御用信号発生装置
US4928640A (en) * 1989-07-20 1990-05-29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Autocalibration of camshaft phasing feedback in a variable valve timing system
US4909194A (en) * 1989-07-20 1990-03-20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Modular position controller for variable valve timing
DE4006950A1 (de) * 1990-03-06 1991-09-1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egelverfahren zur drehzahlabhaengigen, stufenlosen verstellung der nockenspreizung
US5289805A (en) * 1992-03-05 1994-03-01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Self-calibrating variable camshaft tim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08425B4 (de) 2005-08-11
KR100339114B1 (ko) 2002-10-18
DE4408425A1 (de) 199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069B1 (ko) 내연기관용 점화 장치의 점화점 결정 방법
KR940701498A (ko) 내연엔진의 아이들회전수 제어방법
KR930018147A (ko) 휴통엔진의 아이들제어장치
KR970704955A (ko) 내연 기관의 토크 제어 방법
KR920703972A (ko) 내연기관용 폐루프 전자밸브제어
KR930018151A (ko) 엔진의 점화 시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P1079089A3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60701292A (ko)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the fuel injec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50001447A (ko) 캠축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KR940005876A (ko) 엔진용 연료 공급장치의 전자거버너
KR920016711A (ko) 고도판별시스템과 그의 기관동작 파라미터 제어시스템
KR890013331A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JPS61145406A (ja) 位置検出方法
KR930019998A (ko) 내연기관의 회전속도 제어방법
KR20180069942A (ko) 차량의 인젝터 제어방법
KR900016603A (ko) 내연기관의 제어 장치
SE522625C2 (sv) Sätt och anordning vid förbränningsmotor
KR930020001A (ko) 엔진의 아이들 회전 제어장치
US6213070B1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10010051A (ko) 내연기관의 아이들링회전수조정방법
JPH0255625B2 (ko)
KR900014729A (ko) 다기통 엔진용 연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6286487B1 (en) Fuel control for a variable cam phase engine
KR940021912A (ko) 엔진의 제어장치
KR890000785A (ko) 내연기관의 점화시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