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371Y1 - 드로우어웨이팁 - Google Patents

드로우어웨이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71Y1
KR950001371Y1 KR2019880007291U KR880007291U KR950001371Y1 KR 950001371 Y1 KR950001371 Y1 KR 950001371Y1 KR 2019880007291 U KR2019880007291 U KR 2019880007291U KR 880007291 U KR880007291 U KR 880007291U KR 950001371 Y1 KR950001371 Y1 KR 950001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tip
drawaway
edge
fron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500U (ko
Inventor
오사무 쯔지무라
다쯔오 아라이
마사유끼 오오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데리알 가부시기가이샤
후다무라 마사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4123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705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4626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024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5860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777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7993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4410Y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데리알 가부시기가이샤, 후다무라 마사나리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데리알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6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71Y1/ko

Links

Landscapes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로우어웨이팁
제1도는 종래의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드로우어웨이팁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드로우어웨이팁을 사용하는 보올엔드밀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Ⅳ) 방향에서 본 제3도 보올엔드밀의 부분측면도.
제5도는 제3도 보올엔드밀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로우어웨이팁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8도는 제6도의 하살표(Ⅷ) 방향에서 본 제6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로우어웨이팁의 평면도.
제10도는 제6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화살표(XI)방향에서 본 제9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과 제2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팁을 사용하는 보올엔드밀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 보올엔드밀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2도 보올엔드밀의 담면도.
제15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드로우어에이팁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Ⅹ Ⅵ-Ⅹ Ⅵ선의 횡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Ⅹ Ⅶ-Ⅹ Ⅶ선의 횡단면도.
제18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드로우어웨이팁의 평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Ⅹ Ⅳ-Ⅹ Ⅳ선의 횡단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Ⅹ Ⅹ-Ⅹ Ⅹ선의 횡단면도.
제21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드로우어웨이팁의 평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화살표(ⅩⅩⅡ) 방향에서 본 제21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23도는 제21도의 화살표(ⅩⅩⅢ) 방향에서 본 제21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24도는 제21도의 화살표(ⅩⅩⅣ) 방향에서 본 제21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25도는 제21도의 화살표(ⅩⅩⅤ) 방향에서 본 제21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26도는 제23도의 (ⅩⅩⅥ)부의 확대도.
제27도는 제21도의 (ⅩⅩⅦ)부의 확대도.
제28도는 제21도의 드로우어웨이킵을 사용하는 보올엔드밀의 정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화살표(ⅩⅩⅠⅩ) 방향에서 본 제28도 보올엔드밀의 부분측면도.
제30도는 제28도 보올엔드밀의 단면도.
제31도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드로우어웨이팁의 평면도.
제32도는 제31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측면도.
제33도는 제31도의 화살표(ⅩⅩⅩⅢ) 방향에서 본 제31도 드로우어웨이킵의 측면도.
제34도는 제31도 ⅩⅩⅩⅣ선의 횡단면도.
제35도는 참조선의 방향에서 본 제31도 드로우어웨이팁의 사시도.
제36도는 제31도의 드로우어웨이팁을 사용하는 보올엔드밀.
제37도는 제36도 보올엔드밀의 부분측면도.
제38도는 제36도 보올엔드밀의 단면도.
제39도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드로우어웨이팁의 평면도.
제40도는 제39도 드로우어웨이팁 측면도.
제41도는 제39도 ⅩLI-ⅩLI선의 제39도 드로우어웨이팁의 횡단면도.
제42도는 제39도 ⅩLI-ⅩLI선의 제39도 드로우어웨이팁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 : 드로우어웨이팁 12,38 : 정면
14,40 : 배면 16,32 : 제1측면
18,34 : 제2측면 20,42 : 주절삭날
22,44 : 제2절삭날 20b,42b : 절삭날선단부
본 고안은 보올엔드밀과 드릴같은 회전절삭용 드로우어웨이팁(이하 팁이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제1도와 제2도는 공개된 일본특허출원번호 59-21725에 발표된 것과 같은 종래의 드로우어웨이팁을 나타낸다. 이 팁(100)은 정면(102)과 배면(104) 및 정면(102)과 배면(104) 사이에 있는 옆쪽의 원주에 의하여 형성되는 판형상 몸체로 구성된다. 대체로 V형상인 양쪽의 절단부(106)는 양쪽의 측면(108)을 형성하기 위하여 옆쪽의 원주를 절단하도록 옆쪽의 원주에 형성되어진다. 각각의 V형상 절단부(106)는 정면(102)으로부터 배면(104)까지 연장되며, 서로 반대쪽에 위치한 한쌍의 제1과 제2벽면(110),(112)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벽면(110)은 평면이며, 정면(102)에 수직인 반면, 제2벽면(112)은 제1벽면(110)의 수직방향에서 볼때 볼록한 곡면이다. 각각의 측면(108)은 정면(102)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대체로 1/4원형상이며, 같은 방향에서 보았을때 볼록한 곡선형상인 절삭날(114)을 형성하도록 정면(102)과 절단부(106)의 제2벽면(112)이 서로 교차한다. 정면(102)과 제2벽면(112)의 여유면부분이 인접하여 위치하고, 각 절삭날(114)을 따라서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제3도∼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앞쪽끝과 보올엔드밀본체(118)의 바깥원주 연장되도록 절삭날(114)중 하나가 위치하고, 보올엔드밀본체(118)의 축선(0)에 인접하여 위치한 적삭날(114)의 선단부(114a)가 보올엔드밀본체(118)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볼록한 곡선이 되는 방법으로, 팁(100)이 배면(104)이 오목한 부착면(120)에 일치된 상태로 보올엔드밀본체(118)에 고정나사(116)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더우기, 절삭날(114)을 위한 축방향경사각(θ)은 포지티브로 한다.
상기한 팁에 있어서, 절삭날(114)의 선단부(114a)가 먼저 가공물에 맞물리기 시작하고, 보올엔드밀본체(118)가 회전함에 따라서 절삭날(114)의 다른부분이 가공물에 맞물리기 시작한다.
따라서 절삭하중이 절삭작업이 진행됨에 따라서 점차로 증가하므로, 큰 절삭하중이 절삭날(114)에 한번에 가해지지 않고, 그 때문에 절삭날(114)이 손상을 적게 입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팁에 있어서, 제2벽면(112)의 선단과 이 선단에서 절삭날(114)에 접하는 직선에 의하여 한정된 각(α)은 90°보다 작고, 그래서 절삭날(114)의 강도는 이 선단에서 충분히 높지 않다. 부가하면, V형상 절단부(106)의 제2벽면(112)이 절삭작업 동안에 칩의 순조로운 배출을 방해하고, 첩부착이 원인이되므로, 절삭날(114)이 손상을 입기 쉽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절삭날이 선단에서조차 손상을 받지않고, 칩의 순조로운 배출이 확실하게 이뤄지는 드로우어웨이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에 따르면, 정면과 배면을 가지는 판으로 구성되는 회전절삭용 드로우어웨이팁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한 정면은 서로 교차하는 적어도 한쌍의 제1 및 제2모서리부를 보유하며, 상기한 제2모서리부는 짧으며 대략 직선이고 제2절삭날로서 사용되는 반면, 제1모서리부는 정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호형상이며 주절삭날로서 사용되고, 상기한 주절삭날은 제2절삭날과 둔각으로 교차하는 선단부를 보유하며, 또 상기 한 정면은 제2절삭날과 주절삭날의 선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모서리면을 보유하고 주절삭날 및 제2절삭날을 위한 경사면으로 사용되며, 상기한 모서리면은 제2절삭날을 향하여 배면쪽으로 기울어진 볼록한 곡면이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같은 부품 및 요소는 동일부호를 붙인 제6도∼제4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도∼제8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다른 드로우어웨이팁(10)은 서로 평행한 정면(12)과 배면(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초경합금과 같은 굳은 재료인 대략 타원형상의 판과, 정면(12)과 배면(14) 사이에 교대로 위치하는 두쌍의 제1 및 제2측면(16),(18)으로 구성되며, 각 측면은 정면(12)에서 먼쪽을 향하여 판의 안쪽으로 경사된다. 두개의 제1측면(16은) 팁이나 판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며, 두개의 제2측면(18)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다. 각각의 제1측면(16)은 정면(12)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서 1/4원형상인 볼록한 곡면이고, 원호형상의 측면중앙부(16a)와, 각각 양쪽에서 측면중앙부(16a)에 접하도록 측면중앙부(16a)의 양쪽에 위치하는 평면인 한쌍의 측면선단부(16b)와 측면후단부(16c)로 구성된다. 각 제2측면(18)은 평면이며 제1측면(16)과 비교할 때 짧다. 각각의 제1측면과 제2측면은 제2측면과 제1측면(16)의 측면선단부(16b) 및 측면후단부(16c)에 의하여 이루는 각이 둔각인 방식으로 서로 교차한다. 팁은 정면(18)과 제1측면(16) 각각의 하나와의 교차에 의하여 형성된 한쌍의 볼록한 곡선의 주절삭날(20)과, 정면(12)과 제2측면(18) 각각의 하나와의 교차에 의하여 형성된 한쌍의 제2절삭날(22)을 가진다. 각각의 주절삭날(20)은 제2절삭날(22)중 하나와 교차하는 선단부와, 다른 제2절삭날(22)과 교차하는 후단부를 가지며, 절삭날중앙부(20a)와 측면선단부(16b) 및 측면후단부(16c)의 모서리부에 의해 형성된 절삭날선단부(20b)와 절삭날후단부(20c)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절삭날(22)과 그 선단에서 주절삭날(26)에 접하는 직선에 의하여 형성된 각(γ1)은 둔각이다.
정면(12)은 주절삭날(20)과 제2절삭날(22)을 위한 경사면으로 사용되고, 제2절삭날(22)과 교차하는 절삭날 선단부(20b) 및 절삭날후단부(20c)와 각각의 제2절삭날(22)에 인접하여 위치한 정면(12)의 모서리면(24)은 제2절삭날(22)로 향하여 배면(14)쪽으로 경사지는 방법으로 볼록한 곡면이며, 그것에 의하여 각 주절삭날(20)의 절삭날선단부(20b)와 절삭날후단부(20c)는 측면에서 보아서 볼록한 원호형상이다. 절삭날선단부(20b)와 절삭날후단부(20c)는 또한 정면(12)으로부터 먼쪽으로 판의 내부를 향하여 제1측면(16)이 경사지기 때문에, 정면(12)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서 볼록한 곡선이다. 상기한 팁은 관통하여 형성된 중앙구멍(26)을 보유한다.
제9도∼제11도는 상기한 드로우어웨이팁(10)과 구조에서 대체로 유사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로우어웨이팁(30)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팁(30)에 있어서는, 두개의 마주보는 제2측면(34)과 마찬가지로 두개의 마주보는 제1측면(32)이 중앙평면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고, 판 또는 팁의 축에 대해서만 대칭이다. 제1측면(32)의 측면중앙부(32a)와 측면선단부(32b)는 원호형상 곡면이고, 측면후단부(32c)는 평면이며 그 끝에서 접하도록 측면중앙부(32a)로부터 연장된다. 측면선단부(32b)는 둔각을 이루며 제2측면(34)중 하나와 교차하고, 측면 후단부(32c)는 대략 직각을 이루며 다른 제2측면(34)과 교차한다. 덧붙이면, 각각의 제1측면(32)과 제2측면(34)은 정면(38)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정면(38)과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와, 정면(38)에서 먼쪽으로 팁의 내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하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각 제2측면(34) 및 제2측면(34)과 교차하는 측면선단부(32b) 및 측면후단부(32c)에 인접하여 위치한 정면(38)의 모서리면(36)은 제2측면(34)쪽으로 배면(40)을 향하여 경사지는 방식으로 볼록한 곡면이다. 따라서, 각 주절삭날(42)은 평면도에서 대략 원호형상인 적삭날중앙부(42a)와 절삭날선단부(42b) 및 평면도에서 직선인 절삭날후단부(42c)로 구성되고, 절삭날선단부(42b)는 제2절삭날(44)중 하나와 둔각(γ2)을 이루며 교차하고, 절삭날후단부(42c)는 다른 제2절삭날(44)과 대략 직각을 이루며 교차한다.
제1과 제2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팁(10),(30)은 하나의 보올엔드밀을 위하여 사용된다. 제12도∼제14도는 선단쪽으로 대략 반구청상으로 형성된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한쌍의 오목부(52),(54)를 가진 보올엔드밀본체(50)를 포함하는 이러한 보올엔드밀을 보여주며, 오목부(54)는 보올엔드밀본체(50)의 축(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위치되고, 오목부(52)는 보올엔드밀본체(50)의 축(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각 드로우어웨이팁(10),(30)은 오목부(52),(54)중 하나에 각각 수용되고, 보올엔드밀본체(50)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연장되도록 주절삭날(20),(42)중 하나가 절삭위치도 위치되며 위치된 주절삭날(20),(42)을 위한 축방향경사각(θ1)이 포지티브로 되는 방식으로, 배면(14),(40)을 오목부(52),(54)의 바닥평면에 일치시켜 고정나사(56)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한 드로우어웨이팁(10)에 대하여 제12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주절삭날(20)의 절삭날선단부(20b)는 보올엔드밀본체(50)의 축(0)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그 선단에서 주절삭날(20)과 교차하는 제2절삭날(22)은 보올엔드밀본체(50)의 후단부를 향하여 보올엔드밀본체(50)의 축(0)을 지나서 연장되도록 위치된다. 한편, 드로우어웨이팁(30)에 있어서, 주절삭날(42)의 절삭날선단부(42b)는 보올엔드밀본체(50)의 축(0)으로 부터 보올엔드밀본체(50)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위치된다. 또, 드로우어웨이팁(10)은 측면선단부(16b)와 측면후단부(16c)가 오목부(52)의 벽면에 형성된 편평한 부분과 각각 접함에 의하여 위치결정되고, 드로우어웨이팁(30)은 제1측면(32b)의하나의 평면인 평면인 측면후단부(32c)와 하나의 제2측면(34)이 각각 오목부(54)의 벽면에 형성된 편평한 부분과 접함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상기한 각각의 드로우어웨이팁에 있어서, 주절삭날(20),(42)의 절삭날선단부(20b),(42b)가 보올엔드밀본체(50)의 축방향에서 보아 볼록한 곡선이기 때문에 적삭하중은 절삭작업이 진행됨에 따라서 점차로 증가되고, 따라서 큰 절삭하중이 한번에 주절삭날(20),(42)에 미치지 않는다. 한편, 각 드로우어웨이팁(10),(30)은 종래의 기술의 드로우어웨이팁(100)에서 평면인 제1벽면(110)과 같은 벽면을 포함하지 않고, 따라서 각각의 드로우어웨이팁은 종래 기술의 드로우어웨이팁(100)과 비교하면 더좋은 칩배출능력을 가진다. 또, 제2절삭날(22),(44)과 그 선단에서 주절삭날(20)에 접선인 선에 의하여 형성된 각(γ1)(γ2)이 둔각이기 때문에 주절삭날(20),(42)은 그 선단에서조차도 강도가 증가된다.
제15도∼제17도 및 제18∼제20도는 각각 본 고안의 제3과 제4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드로우어웨이팁(10a),(30a)을 보여주며, 그것은 각각 상기한 드로우어웨이팁(10),(30)과 구조에서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이들 실시에에 있어서, 각각의 주절삭날(20),(42) 절삭날선단부(20b),(42b)와 절삭날 후단부(20c),(42c)는 각각 약 0.05㎜의 반지름(r1),(r2)으로 둥근모따기(60),(61)를 하고, 주절삭날(20),(42)의 원호형상인 절삭날중앙부(20a),(42a)는 약 0.12㎜의 모따기폭(b1),(b2)과 약 25°의 모따기각(β1)(β2)으로 모따기(62),(63)를 한다. 이러한 구조로 각 주절삭날(20),(42)의 강도가 더욱더 향상되어서 각 드로우어웨이팁(10a),(30a)은 결손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볼록한 곡면인 모서리면의 설치로 인하여 주절삭날(20),(42)의 절삭날선단부 및 후단부가 큰 날끝각을 가지기 때문에, 둥근모따기가 이러한 날끝부의 충분한 강도를 얻기에 충분할 것이며, 그래서 드로우어웨팁은 감소된 비용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 상기한 모따기반지름, 각, 폭은 가공할 가공물의 재료에 따라서 수정되어 진다. 그러나, 강재 가공물을 절삭하기 위해서는 둥근모따기의 반지름이 0.02㎜∼0.06㎜의 범위인 거싱 바람직하고, 모따기 각과 폭은 각각 15°∼30°의 범위와 0.07㎜∼0.1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21도∼제27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드로우어웨이팁(70)을 보여준다. 상기한 드로우어웨이팁의 경우와 같이, 드로우어웨이팁(70)은 정면(72)고 배면(74) 그리고 교대로 위치하는 두쌍의 제1과 제2측면(76),(78)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타원형의 판으로 구성된다. 두개의 제2측면(78)과 마찬가지로 두개의 제1측면(76)은 판의 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고, 각각의 제2측면(78)은 사다리꼴 형상이며 각각의 제1측면(76)과 비교할때 매우 짧다. 각각의 제1측면(76)은 원호형상인 측면중앙부(76a)와 평면형상인 측면선단부(76b) 및 측면선단부보다 긴 측면후단부(76c)로 구성된다. 드로우어웨이팁(70)은 정면(72)과 제1측면(76)중 각각의 하나와의 교차에 의하여 형성된 한쌍의 볼록한 곡선인 주절삭날(80)과, 정면(72)과 제1측면(76)중 하나와의 교차에 의하여 형성된 한쌍의 제2절삭날(82)을 포함한다. 각 주절삭날(80)은 절삭날중앙부(80a)와, 측면선단부(76b)의모서리부에 의하여 형성된 절삭날선단부(80b)와, 측면후단부(76c)의 모서리부에 의하여 형성된 절삭날후단부(80c)로 구성된다. 각각의 제2절삭날 및 제2절삭날(82)과 교차하는 절삭날선단부(80b)와 절삭날후단부(80c)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정면(72)의 모서리면(84)은 원통형상 면의 앞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1도와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M)이 반드시 배면에 포함되어지지 않는다 할지라도 원통형상 면을 형성하는 원통은 제2절삭날(82)과 배면(74)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배면(74)에 포함되는 반지름(R1)과 축(M)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주절삭날(80)의 절삭날선단부(80b)는 축(M)의 방향에서 보아 반지름(R1)을 가지는 원호형상이다. 결과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원호형상의 모서리면(84)이 제1측면(76)의 평면인 측면선단부(76b)와 교차하기 때문에, 주절삭날(80)의절삭날선단부(80b)는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인 측면후단부(76c)에서 보았을때 대체로 타원형 또는 원통형 단면의 일부이다. 한편, 제1측면(76)의 측면선단부(76b)가 정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정면(72)에 대하여 경사지기 때문에 주절삭날(80)의 절삭날선단부(80b)도 역시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 또는 원통형 단면의 일부이다.
상기한 드로우어웨이팁(70)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정면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모서리면을 갖지않는 팁소재를 만든다. 상기한 팁소재는 제27도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은, 모두 편평한 정면을 보유하고, 이 때문에 정면과 인접한 제1측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부가 직선이다. 이어서, 정면의 모서리면은 원호형상으로 가공되고, 평면도에서 타원의 일부로 나타는 선단부가 주절삭날로 형성된다.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렇게 형성된 타원 형상의 선단부는 원호형상의 절삭날중앙부(80a)와 같은 곡선을 가지도록 주절삭날(80)의 원호형상 절삭날중앙부(80a)로부터 연장된 이상적인 원호의 바깥쪽으로 제2절삭날(82)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상적인 원호는 제27도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다.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드로우어웨이팁(70)은 높은 정밀도로 가공물에 반구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별히 종래기술의 드로우어웨이팁(100)에 있어서,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절삭날(114)이 원호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절삭날(114)의 선단부 위의 임의의 점(Q)에 의하여 형성된 외곽선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상적인 원호의 반지름(L2)보다 더 큰 반지름(L1)을 가진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의 팁(100)의 절삭날(114)선단부에 의하여 가공된 오목부 또는 홈의 횡단면형상은 좌우로 긴 타원형상을 나타낸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한 드로우어웨이팁(70)에 있어서, 주절삭날(80)의 절삭날선단부(80b)가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도에서 타원의 일부를 나타내기 때문에, 절삭날선단부(80b) 위의 임의의 점(Q1)에 의하여 형성된 원형의 외곽선의 반지름(L3)은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상적인 원호의 반지름(L4)에 접근한다. 덧붙이면, 절삭날선단부(80b)는 또한 제2절삭날(82)을 향하여 이상적인 원호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평면도에서 타원의 일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절삭날(80)의 절삭날선단부(80b)에 의하여 형성된 외곽선이 거의 정확한 반구형상을 나타내고, 이대문에 절삭가공의 정밀도가 실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제31도∼제38도는 상기한 드로우어웨이팁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제6실시예에 따른 더욱 더 변형된 드로우어웨이팁(86)을 보여준다. 그러나, 드로우어웨이팁(86)에 있어서는, 제2절삭날(92) 및 제2절삭날(92)과 교차하는 절삭날선단부(94b)와 절삭날후단부(94c)에 인접하여 위치한 정면(90)의 모서리면(88)이 제2절삭날(92)과 주절삭날(94)의 절삭날선단부(94b) 양쪽이 접근하는 것과 같이 배면(96)을 향하여 경사지는 반지름(B2)을 가진 원통형상의 면으로 형성된다. 더욱 특별히, 모서리면(88)은 제31도와 제33도에서 선(M1)으로 도시된 참조서에 평형한 축을 가진 원통형상 면의 일부로 형성된다. 상기한 선(M1)은 정면(90)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때 각(δ)으로 정면에 평행인 선에 대하여 경사진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제3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록한 곡면인 모서리면(88)과 제1측면(98)의 선단부에 의해서 형성된 주절삭날(94)절삭날선단부(94b)의 날끝각(γ)은 대략 90°보다 크다. 그러므로, 상기한 실시예와 비교하면 주절삭날(94)이 그 절단날선단부(94b)에서 더 향상된 강도를 가진다.
제39도∼제42도는 정면(90)의 모서리면(152)이 구형상 면의 일부로 형성되는 점에서 제6실시예와 다른 제7실시예에 다른 더욱 더 변형되 드로우어웨이팁(150)을 보여준다. 더욱 특별히, 제3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 쌍의 제2절삭날(92) 사이의 거리에 의해 형성되는 지름(D1)을 가진 구와, 구와 같은 축에 위치하고 구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D2)을 가진 원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모서리면(152)은 제2절삭날(92)을 포함하는 구의 원주(C1)와 원의 원주(C2)사이에 위치하는 구의 고리형상의 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모서리면(152)은 상기한 실시예의 모서리면보다 더욱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더우기 도시하지 않았을 지라도, 구형상의 면은 타원체의 일부도 형성되는 면으로 대치해도 좋다.
분명히 본 고안의 여러 다른 수정과 변형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있어서, 특별하게 기술된 것과 다른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고 해석된다.

Claims (7)

  1. 회전절삭용의 드로우어웨이팁에 있어서, 정면(12),(38)과 배면(14),(40) 및 정면과 배면 사이에 교대로 위치하는 두쌍의 제1측면(16),(32)과 제1측면(18),(34)에 의해 형성되는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정면과 각각의 제1측면 및 제2측면이 교차하여 서로 교차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모서리부를 형성하며, 상기 한 제1모서리부는 정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호형상이고 주절삭날(20),(42)로서 사용되며, 상기한 제2모서리부는 대략 직선이고 짧으며 제2절삭날(22),(44)로서 사용되고, 상기한 주절삭날은 절삭날중앙부(22a),(42a)와 상기한 제2절삭날과 둔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절삭날선단부(20b),(42b)를 보유하며, 상기한 정면이 주절삭날과 제2절삭날을 위한 경사면으로 사용되고 제2절삭날과 및 주절삭날의 절삭날선단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모서리면(24),(36)을 보유하며, 상기한 모서리면이 제2절삭날쪽으로 상기한 배면을 향하여 경사지는 볼록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절삭날의 절삭날선단부에는 둥근모따기(60),(61)를 하고, 상기한 절삭날중앙부에는 모따기(62),(63)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웨이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둥근모따기를 모따기반지름 0.02∼0.006㎜의 범위로 행하고, 상기한 모따기를 모따기각 15∼30° 및 모다기폭 0.07∼0.15㎜의 범위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드로우어웨이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제1측면(16)이 측면중앙부(16a)와 측면 중앙부의 양 끝에 위치하는 한쌍의 측면선단부(16b) 및 측면후단부(16c)로 구성되고, 상기하 측면중앙부가 상기한 정면(12)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상의 곡면이며, 상기한 측면선단부 및 측면후단부가 평면이고 각각 양끝에서 측면중앙부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측면의 측면선단부는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측면(32)이 측면중앙부(32a)와 상기한 측면 중앙부의 양끝에 위치하는 한쌍의 측면선단부(32b)와 측면후단부(32c)로 구성되고, 상기한 측면중앙부와 측면선단부가 상기한 정면(38)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호형상의 곡면이며, 상기한 측면후단부가 □면이고 한쪽끝에서 측면 중앙부와 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제1측면(16),(32)과 제2측면(18),(34)이 상기한 정면(12),(38)으로부터 먼쪽으로 상기한 판의 내부로 향하여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팁.
KR2019880007291U 1987-09-16 1988-05-17 드로우어웨이팁 KR9500013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41236 1987-06-05
JP1987141236U JPH0727050Y2 (ja) 1987-09-16 1987-09-16 回転工具
JP1987146266U JPH0730247Y2 (ja) 1987-09-25 1987-09-25 回転工具
JP62-146266 1987-09-25
JP62-158600 1987-10-16
JP1987158600U JPH0737774Y2 (ja) 1987-10-16 1987-10-16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1987179931U JPH0744410Y2 (ja) 1987-11-26 1987-11-26 スローアウエイチップ
JP62-179931 1987-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00U KR890006500U (ko) 1989-05-13
KR950001371Y1 true KR950001371Y1 (ko) 1995-03-03

Family

ID=2747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291U KR950001371Y1 (ko) 1987-09-16 1988-05-17 드로우어웨이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3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82B1 (ko) * 2008-11-27 2013-10-14 대구텍 유한회사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절삭 공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82B1 (ko) * 2008-11-27 2013-10-14 대구텍 유한회사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절삭 공구
US8573897B2 (en) 2008-11-27 2013-11-05 Taegutec, Ltd. Double sides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with the same
KR101432000B1 (ko) * 2008-11-27 2014-08-20 대구텍 유한회사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절삭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00U (ko) 198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87549B2 (ja) フライス切削インサート
KR100430868B1 (ko) 둥근코너를가진절삭인서트
JP4848116B2 (ja) 工作機械用むくドリル
JPH10315023A (ja) ドリル及び切削インサート
US8979443B2 (en) Insert for drill
JP2833283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US5443335A (en) Cutting insert
JPH02298414A (ja) 回転式フライス
KR19990028266A (ko) 절삭 삽입체, 절삭 공구 및 방법
US20100296884A1 (en) Drill
EP0747156A1 (en) Cutting insert and cutter for milling
JPH07237027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切削工具
JPH07246505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切削工具
JPH11347826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920006554Y1 (ko) 드로우어웨이팁
JPH09174323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JPH0516011A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ツプ
KR950001371Y1 (ko) 드로우어웨이팁
JPH065041Y2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ップ
JP2557189Y2 (ja) エンドミル
JPH0871834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H07237025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H0357382Y2 (ko)
JPH09295213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JPH08141819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