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776B1 - 건조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건조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776B1
KR950000776B1 KR1019870012570A KR870012570A KR950000776B1 KR 950000776 B1 KR950000776 B1 KR 950000776B1 KR 1019870012570 A KR1019870012570 A KR 1019870012570A KR 870012570 A KR870012570 A KR 870012570A KR 950000776 B1 KR950000776 B1 KR 95000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writing instrument
sealing
sealing cover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058A (ko
Inventor
야스유끼 하시모또
하루오 야마시따
Original Assignee
안꼬스 가부시끼가이샤
야스유끼 하시모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4676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077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61264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1829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30885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6229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8987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34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3167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0992B2/ja
Application filed by 안꼬스 가부시끼가이샤, 야스유끼 하시모또 filed Critical 안꼬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8Preventing l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6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 B43K5/17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with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조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2 도의 측면도.
제 3 도, 제 5 도 및 제 7 도는 필기구의 제 1 실시예의 필기 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 4 도, 제 6 도 및 제 8 도는 각각 제 3 도, 제 5 도 및 제 7 도의 측면도.
제 9a 도는 밀봉 덮개가 개방된 필기구의 제 1 실시예에서 밀봉 덮개 장착 수단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9b 도는 밀봉 덮개가 폐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9a도와 동일한 확대 사시도.
제 10 도 및 제 1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2 실시예에서 폐쇄된 밀봉 덮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1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
제 14 도는 제 13 도의 측면도.
제 15 도는 누름 부재(knocking member)가 가볍게 밀린 상태로 밀봉 덮개가 개방된 필기구의 평면도.
제 16 도는 제 15 도의 측면도.
제 17 도는 누름 부재가 단부까지 완전히 밀려서 해제된 상태로 필기할 준비가 된 필기구의 평면도.
제 18 도는 제 17 도의 측면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20 도는 밀봉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4 실시예의 평면도.
제 21 도는 필기할 준비가 된 제 20 도의 필기구의 도면.
제 22 도는 밀봉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필기구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 23 도는 필기할 준비가 된 제 22 도의 필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24 도는 제 22 도에 도시된 필기구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25 도는 제 23 도에 도시된 필기구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26a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의 필기구의 단면도.
제 26b 도는 제 26a 도의 선(X-X)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2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7 실시예의 평면도.
제 28 도는 제 27 도의 측면도.
제 29 도 및 제 30 도는 필기구가 제 27 도 및 제 28 도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될 때 누름 부재가 가압된 상태로 필기할 준비가 된 필기구의 평면도.
제 31 도는 제 27 도의 실린더의 후방 단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32 도는 제 27 도의 실린더의 후방 단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33 도는 제 27 도에 도시된 밀봉 덮개를 구비한 확대 단면도.
제 34 도는 상부측으로부터 도시된 제 33 도의 밀봉 부재의 도면.
제 35 도는 제 27 도의 누름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3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8 실시예의 평면도.
제 37 도는 제 36 도의 측면도.
제 3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9 실시예의 평면도.
제 39 도는 제 38 도의 측면도.
제 40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10 실시예의 평면도.
제 41 도는 제 40 도의 측면도.
제 42a 도는 제 40 도에 도시된 필기구의 전방 측면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42b 도는 제 40 도에 도시된 커플링 링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 43 도 및 제 44 도는 필기구가 제 40 도 및 제 41 도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될 때 필기구의 평면도.
제 4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11 실시예의 측면도.
제 46 도는 필기할 준비가 된 제 45 도의 필기구의 평면도.
제 4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배열의 필수 부품의 단면도.
제 48 도는 제 47 도의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방 홀더 2 : 후방 홀더
3 : 밀봉 실린더 4 : 밀봉 덮개
5 : 탄성 부재 8 : 필기 부재
9 : 밀봉 부재 10 : 지지 링
12 : 수축 스프링 14 : 누름 부재
15 : 실형 부재 16 : 봉형 부재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뚜껑이 없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용이하고, 예를 들어 운반시에 필기 부재가 필기구 본체내로 후퇴하지 않으면서도 신뢰성 있게 밀봉되고, 또한 부품의 갯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 비용이 저렴한 건조 방지 장치(drying preventing mechanism)를 구비한 뚜껑없는 필기구(capless writing instrument)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건조되지 않아야 하는 필기 부재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는 크게 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제 1 그룹에서는 필기 부재의 잉크 또는 공기 구멍을 개량함으로써 필기 부재가 건조되기 어렵게 만들고, 제 2 그룹에서는 필기구 본체에 건조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제 1 그룹의 필기구를 실예로 들면, 소위 "무조건 잉크"를 사용하는 마킹-펜과, 건조되기 어려운 수성 잉크를 사용하며 필기 부재의 후미 단부에 매우 작은 공기구멍을 가지는 볼펜(ball-point pen)이 있다. 제 1 그룹의 필기구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갖지 않으므로, 필기부재는 충분히 건조가 방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기구가 시장에 공급되기 전에, 필기 부재는 필기구 본체에서 분리되는 알루미늄 박(foil) 등으로 포장되어 있어야 한다. 제 2 그룹의 필기구의 실예를 들면, 회전식 필기구와 누름식(knock type) 필기구가 있다. 제 2 그룹의 필기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갯수가 많으며, 따라서 제조 원가가 많이 든다. 또한, 제 2 그룹의 필기구는 충분하게 밀봉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필기구 본체 내에 필기 부재가 수용된 채로 판매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기 부재를 사기 전에는 필기구를 시험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충분히 밀봉되어 있는 필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시에 본체는 필기를 하기 위해 눌려지는 동안 거의 수평으로 유지되어야 하고, 또한 필기 부재의 팁 단부는 필기 부재를 본체내로 후퇴시키기 위해 눌려지는 동안 아래로 유지되어야 하는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형태의 필기구는 복잡한 방향 작동을 요구하며, 또한 디자인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뚜껑없는 필기구의 단점들을 제거한 뚜껑없는 필기구(capless writing instrument)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확실하게 밀봉되므로 필기구 본체에 필기 부재가 수용된 채로 판매될 수 있고, 또한 부품의 갯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그에 따라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디자인에 있어서도 뛰어난 미감을 일으키는 뚜껑없는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필기 팁(tip) 및 공기 구멍을 갖는 필기 부재가 필기구 본체내에 수용되고, 소직 경부내에 형성되는 밀봉 실린더 전단부가 필기구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밀봉 실린더의 단부 구멍을 폐쇄시키는 밀봉 덮개가 밀봉 실린더의 전단부 가까이에서 밀봉 실린더 측면이나 필기구 측면에 제공되고, 탄성체(elastic material)의 밀봉 부재는 이러한 밀봉 부재가 필기 부재의 일부분에 대하여 압박 상태로 유지되도록 밀봉 실린더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되는 필기구 본체 부분이나 밀봉 실린더에서 필기 부재의 필기 팁이 밀봉 실린더내로 후퇴한 곳에 위치한 공기 구멍의 후미에 제공되고, 필기 부재 이동기구는 필기구 본체와 필기 부재 사이에 제공되어서 회전 또는 눌려짐으로써 필기 부재글 선방으로 이동시키고 필기 팁이 필기구 본체의 전단부 구멍을 통해 돌출한 필기 위치에서 필기 부재를 고정시키고, 또한 필기 부재를 해제하여 후퇴 스프링의 탄성력이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필기 팁을 밀봉 실린더로 후퇴시키고, 연결수단은 필기 부재가 밀봉 덮개를 개방시킨 후에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필기 부재와 작동으로 관련된 부재나 필기 부재를 밀봉 덮개를 개방시킨 후에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필기 부재와 작동으로 관련된 부재나 필기 부재를 밀봉 덮개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실형 부재, 봉형 부재 또는 와이어형 부재를 이용하고, 필기 부재가 후퇴한 후에 밀봉 덮개는 밀봉 실린더의 소직경부의 단부와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도록 후방으로 당겨지고, 필기구 본체와 밀봉 실린더 사이에는 연결 수단인 실형 부재, 봉형 부재 또는 와이어형 부재를 안내하는 수단이 밀봉 실린더 측면상이나 필기구 본체상에 제공되어 있는 구성의 뚜껑없는 필기구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필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사람이 필기구를 소유하고 다니는 경우와 같이 필기 부재가 필기구 본체내로 후퇴하여 사용되지 않을 때, 필기 부재나 또는 상기 필기 부재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부재의 후방력 때문에(이 힘은 누름식 필기구의 경우에는 후퇴 스프링의 힘이고, 회전식 필기구의 경우에는 회전에 의해 제공된 후방력임), 밀봉 덮개가 연결 수단을 통해 밀봉 실린더의 전단부에 접촉함에 따라 밀봉 실린더의 단부 구멍을 밀봉하게 된다. 더욱이, 탄성체의 밀봉 부재는 필기 부재의 공기 구멍의 후미에 있는 것과 동일한 부분에서 필기 부재의 부분으로 떠밀린다. 그러므로, 필기 부재의 공기 구멍과 필기 팁은 밀봉 덮개와 밀봉 실린더의 단부와의 밀접한 접촉에 의해 그리고 밀봉 부재가 필기 부재와 접촉함에 의해 완전히 밀봉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필기 부재는 누름(knocking) 또는 회전(turning)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에서, 필기 부재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부재는 필기 부재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승(개방)하도록 추진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밀봉 덮개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은 감소되거나, 개방력 또는 폐쇄력이 적용되지 않는 자유 개방 밀봉 덮개는 필기 덥이나 필기 부재의 테이퍼면에 의하여 또는 연결 수단의 단부에 의하여 밀리기 때문에, 밀봉 덮개는 밀봉 실린더의 단부 구멍을 개방시킨다. 그후에 필기 부재는 더 전망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시에 밀봉 덮개는 더 이상 연결수단에 의해 떠밀리지 않는데 즉, 실형 부재(thread-like member)는 느슨해지거나, 봉형 부재 또는 와이어형 부재는 축소되거나, 와이어형 부재는 느슨해지고, 그동안 필기 부재 및 필기 부재와 관련되어 작동되는 부재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결국에 필기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필기구는 필기할 준비가 완료된다.
필기한 후, 누름 또는 회전 작동에 의해 해제되는 필기 부재 및 상기 필기 부재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부재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해제된다(누름식 필기구의 경우에는 수축 스프링에 의하여 그리고 회전식 필기구의 경우에는 회전 작동에 의하여). 이러한 경우에, 연결 수단을 통한 후방력은 필기 부재의 필기 팁이 밀봉실린더의 단부 구멍내로 후퇴하기 시작할 때까지 밀봉 덮개에 전달되지 않으며, 밀봉 덮개는 필기 팁이 밀봉 실린더의 단부내로 후퇴하기 시작하는 순간의 시간에서부터 완전히 후퇴할 때까지 경과하는 시간 주기동안 연결 수단을 통해 필기 부재의 후퇴력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지고, 필기 팁이 밀봉 실린더의 단부 구멍내로 후퇴하였을 때, 밀봉 덮개는 밀봉 실린더의 단부쪽으로 강하게 추진되어서 단부 구멍을 밀봉시킨다.
필기 부재는 밀봉 부재의 접촉력에 대항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밀봉 덮개를 상승시키는(또는 밀봉 덮개를 개방시키는)힘은 연결 수단을 통해 후방으로 밀봉 덮개를 끌어당기는 힘보다 크게 작고, 또한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된 밀봉 덮개를 개방시키는 힘도 이에 따라 작을 것이다. 따라서 밀봉 덮개는 필기 부재가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될 때 부드럽게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writing instrument)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필기구 본체(writing instrument body)에 수용된 필기 부재로 밀봉된 필기구를 도시한다. 전방 홀더(1) 및 후방 홀더(2)는 필기구 본체(이후에는 "본체"로서만 언급됨)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나사 결합된다. 한 단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소직경부(3a)를 갖는 밀봉 실린더(3)는 전방 홀더(1) 속으로 삽입되고 접착제로 그곳에 단단히 고정되거나, 전방 홀더(1) 속으로 삽입되고 접착제로 그곳에 단단히 고정되거나, 전방 홀더(1)속으로 가압 설치된다. 밀봉 실린더(3)는 그의 견부상에 돌기(3b)를 갖는다. 돌기(3b)는 그 중앙에 구멍을 가진다. 돌기(3b)와 높이가 같은 그러한 방식으로 소직경부(3a)의 전방 단부상에는 두개의 귀부(3c ; ear)가 형성된다(제 9a 도 및 제 9b 도).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 구멍(3d ; elliptic holes)은 각각 귀부(3c)내에 형성된다(제 9a 도 및 제 9b 도).
필기구는 밀봉 덮개(4)를 구비한다. 밀봉 덮개(4)는 그의 후방면에서 탄성 부재(5)와 일체로 제공된다. 탄성 부재(5)를 항상 제공할 필요는 없다. 즉 탄성 부재(5)는 탄성 재료의 밀봉 덮개(4)를 형성함으로써, 밀봉 실린더(3)의 소직경부(3a)의 단부상에 탄성 부분을 배치함으로써, 또는 탄성 재료의 소직경부(3a)를 형성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밀봉 덮개(4)는 다리부(4a ; leg)를 가진다(제 9a 도 및 제 9b 도). 밀봉 덮개(4)를 소직경부와 결합시키기 위해 밀봉 덮개(4)의 다리부(4a)에는 둥근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즉, 밀봉 덮개(4)의 다리부(4a) 사이에 삽입되고, 핀(6)은 다리부(4a)의 둥근 관통 구멍과 귀부(3c)의 구멍(3d) 속으로 삽입된다. 홈(4b)은 밀봉덮개(4)의 리부(4a)의 단부에 형성된다(제 9a 도 및 제 9b 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핀(6)은 밀봉 덮개(4)가 핀(6)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할 수 있도록 밀봉 덮개(4)의 다리부(4a)의 둥근 관통 구멍과 귀부(3c)의 긴타원형 구멍(3d) 속으로 삽입된다. 연장 스프링(7)의 한 단부는 밀봉 덮개 다리부(4a)의 홈(4b)과 결합할 수 있고, 다른 단부는 밀봉 덮개(4)가 밀봉 실린더 소직경부(3a)의 단부로부터 당겨지도록 밀봉 실린더(3)의 견부상에 형성된 돌기(3b)의 구멍과 결합할 수 있다. 연장 스프링(7)의 힘은 약하고 탄성 부재(5)와 함께 밀봉 덮개(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두개의 귀부(3c)에 형성된 구멍(3d)이 밀봉 실린더 소직경부(3a)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이유는 밀봉 덮개(4)가 밀봉 실린더(3)의 소직경부(3a)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당겨질 때, 소직경부(3a)가 그의 전방 단부 표면과 평행한 방식으로 밀봉 덮개(4)상의 탄성 부재(5)가 밀봉 실린더 소직경부(3a)의 전방단부 표면과 자동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긴 타원형 구멍 대신에, 밀봉 덮개(4)가 탄성부재(5)를 통해 소직경부(3a)의 단부면에 대항하여 강제로 접촉되도록 구멍들이 설계된다면 둥근 구멍들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긴 타원형 구멍 대신에 어느정도 헐거운 관통 구멍도 사용될 수 있다.
탄성체로 된 밀봉 부재(9)는 필기 부재(8)의 공기 구멍(8a)의 후방측[도면에서 공기 구멍(8a)의 오른쪽]에서 밀봉 실린더(3)의 내주면에 끼워지며, 밀봉 부재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링(10)은 밀봉부재(9)의 후방측에 고정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만약 밀봉 부재(9)가 밀봉 실린더(3)에 정확히 지지된다면 상기 링(10)은 필요없다. 밀봉 부재(9)는 환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밀봉 부재(9)의 형상이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밀봉 부재는 단면이 U자형이거나 또는 O-링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필기 부재(8)와 접촉하게 되는 밀봉 부재 내벽의 내경은 필기 부재(8)의 외경보다 약간 작아야만 한다.
필기 부재(8)의 전단부는 소직경부(8b)로 형성되어 있으며, 필기 팁(8c)은 소직경부(8b)의 단부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공기 구멍(8a)은 도면에 도시된 위치 대신에 필기 부재(8)의 소직경부(8b)의 전단부 부근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필기 부재(8)의 후단부는 원통형 수납부(11)에 의해 파지되며, 그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다리부(11a)가 돌출되어 있다. 필기 부재(8)를 수납부(11)를 통해 항상 후방으로(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오른쪽으로) 강제하도록 원통형 수납부(11)의 전단면과 밀봉 부재 지지 링(10) 사이에 수축 스프링(12)이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납부(11)는 수축 스프링(12)의 한 단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필기 부재(8)를 수용한다. 수축 스프링(12)의 탄성력은 밀봉 덮개(4)를 개방하기 적합한 팽창 스프링(7)의 것보다 훨씬 크다. 수납부(11)의 다리부(11a)의 후단부는 다리부가 회전 캠(13)상에서 원활하게 활주될 수 있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회전 캠(13)의 후단부는 누름 부재(14)와 결합한다. 이 누름 부재(14)의 전단면은 회전 캠(13)의 후단부캠 표면과 맞물리는 캠 표면이다. 누름 부재(14)의 후단부는 후방 홀더(2)로부터 돌출되어서 누름 바아(knock bar)로서 작용한다. 후방 홀더(2)의 후단부에 형성된 단차부(2c ; step)와 누름 부재(14)의 헤드의 후단면 사이에는 틈새(gap)가 있는데, 이것은 수납부(11)가 달리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밀봉 덮개(4)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밀봉 실린더(3)의 단부에 대항하여 밀봉 덮개(4)의 밀봉성(sealability)을 개선시켜 줄 것이다. 따라서, 회전 캠(13)은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수납부(11)의 다리부(11a)에 접촉하게 되고, 마차가지로 누름 부재(14)는 그 자체 중량으로 인해 회전 캠(13)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후방 홀더(2)의 후단부 단차부(2c)와 누름 부재(14)의 헤드의 후단면 사이에는 상술한 약간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 틈새는 비록 그 팽창이 매우 작을지라도 실형 부재들의 팽창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부(11)는 중앙 홈을 갖는 환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방면은 수축 스프링(12)을 수용하고 후방면은 필기 부재(8)의 단차부 또는 돌기 등과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기 부재(8)가 회전 캠(13)에 의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수납부는 필기 부재(8)를 파지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필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밀봉 덮개(4)는 중간부에 각각 홈(4d)들이 형성된 두개의 돌기(4c)를 갖고 있다(제 9a 도 및 제 9b 도 참조). 밀봉 실린더(3)는 각각 작은 구멍들이 형성된 돌기(3e)를 갖고 있다. 돌기(3e)들은 밀봉 부재(4)의 돌기(4c)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작은 구멍들은 밀봉 실린더의 후단부, 즉 대직경부에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11)는 전단부에서 밀봉 실린더(3)의 돌기(3e)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11b)를 갖는다. 이 돌기(11b)들 각각의 후단부 표면에는 중간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두개의 실형 부재(15)의 제 1 단부는 각각 밀봉 덮개(4)의 돌기(4c)의 홈(4d)에 연결되며, 두개의 실형 부재(15)의 나머지 단부는 밀봉 실린더(3)의 돌기(3e)내의 구멍과 밀봉 실린더의 대직경부내의 구멍들을 통과하고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형 부재(15)가 팽팽하게 늘어나도록 수납부(11)의 돌기(11b)내의 홈에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필기구에서는 두개의 실형 부재(15)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실형 부재(15)의 수는 하나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돌기(4c)는 밀봉 덮개로부터 제거되며, 대신에 밀봉 덮개의 상부면에 홈이 형성되고 실형 부재(15)의 중간이 이렇게 형성된 홈과 맞물린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형 부재는 밀봉 덮개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환형 수납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실형부재의 후단부는 수납부(11)상에 제공된 돌기에 연결되어서 수납부가 더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제 1 도 및 제 2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몸체내에 수용된 필기 부재(8)에 있어서는 강한 탄성력을 갖는 수축 스프링(12)으로 인해 밀봉 덮개(4)에 고정된 탄성 부재(5)가 실형 부재(15)의 도움으로 팽창 스프링(7)의 탄성력(단지 밀봉 덮개를 개방하는데 적합함)에 대항하여 밀봉 실린더의 소직경부(3a)의 개구를 폐쇄시켜준다. 다른 한편으로, 필기 부재(8)의 공기 구멍(8a)의 후면[도면에서는 공기 구멍(8a)의 오른쪽에서]에서는 밀봉 부재(9)가 필기 부재(8)의 원통형 외벽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필기팁(8c)과 공기 구멍(8a)이 밀봉 실린더(3)내에 밀봉적으로 지지된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밀봉 덮개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누름 부재(14)의 돌기 즉, 누름 바아가 밀리고 있는 상태의 필기구를 도시한다. 제 3 도 및 제 4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누름 바아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 캠(13)이 전방으로 이동되므로서 수납부(11)는 수축 스프링(12)이 압축되는 동안 그 다리부(11a)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실형 부재(15)는 느슨해지지만, 밀봉 덮개(4)가 팽창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되기 때문에, 이들 실형 부재들은 그들이 느슨해진 것만큼 전방으로 끌어 당겨진다. 그결과, 실형 부재(15)의 중간에 형성된 매듭(15a)이 밀봉 실린더(3)의 대직경부에 형성된 구멍들의 후단부 부근으로 각각 이동한다. 이 매듭(15a)들은 밀봉 실린더(3)의 전방에서 실형 부재(15)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한 일종의 스토퍼(stopper)로서 작용한다. 응용할 수 있다면, 매듭(15a)들은 제거될 수도 있다. 이렇게 개방된 밀봉 덮개(4)는 전방 홀더(1)의 경사 단부의 내면에 대항하여 단단히 접촉된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누름 바아가 완전히 눌려져 있는 상태의 필기구를 도시한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각각 필기구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스프링(12)은 더욱 압축되며 회전 캠(13)은 캠 실린더내의 회전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 경우에, 밀봉 덮개(4)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밀봉 덮개(4)의 상태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밀봉 덮개의 상태와 동일하지만, 필기 부재(8)는 실형 부재(15)가 느슨해진 반면에 전방으로 더욱 이동되며, 필기 팁(8c)은 내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전방 홀더(1)의 전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매듭(15a)들은 그들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밀봉 실린더의 대직경부내의 구멍의 후단부에 대항하여 접촉된로 확실히 정지된다. 그러므로, 실형 부재(15)들은 밀봉 실린더(3)의 전방에서 실질적으로 느슨해지지 않지만, 그 후방에서는 상당히 느슨해진다.
제 7 도 및 제 8 도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서 누름 바아를 해제한 상태에서 필기 팁(8c)이 필기 위치에 저지되고 있는 상태의 필기구를 도시한다. 제 7 도 및 제 8 도는 회전 캠(13)이 캠 홈(2b)내의 전진 위치에서 고정되고, 그에 따라 필기 부재(8)가 수납부(11)의 도움으로 필기 위치에서 고정된다는 점에서 제 5 도 및 제 6 도와 상이하다. 즉, 제 7 도 및 제 8 도에서 누름 부재(14), 회전 캠(13), 수납부(11) 및 필기 부재(8)는 제 5 도 및 제 6 도의 것들과 비교할 때 약간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필기구는 필기를 위해 사용될 수가 있다.
필기후, 누름 바아는 완전히 억압되며, 그 결과 제 5 도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얻어진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누름 바아가 해제되면,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얻어진 다음에,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얻어진다. 필기 부재(8)는 본체내에 수용되어 있고, 필기 팁(8c) 및 공기 구멍(8a)은 밀봉 실린더(3)내에 밀봉 유지되어 있다. 필기 부재(8)는 밀봉 부재(9)와 필기 부재(8)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저항에 대해 각각 수축 스프링의 탄성력 및 누름 작동력에 의해 전진 및 후퇴한다.
제 9a 도 및 제 9b 도는 밀봉 덮개(4)의 다리부(4a)가 밀봉 실린더(3)의 소직경부(3a)의 두개 귀부(3c) 사이에 유지되어 있고 핀(6)은 밀봉 실린더의 소직경부(3a)의 전단부에 밀봉 덮개(4)를 연결하도록 삽입되며 실형 부재(15)의 단부는 밀봉 덮개(4)의 돌기(4c)의 홈(4d)에 결합되어 있는 필기구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특히, 제 9a 도는 밀봉 덮개(4)가 약간 개방된 것을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며, 제 9b 도는 밀봉 덮개(4)가 폐쇄된 것을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제 2 도에서, 밀봉 실린더(3)의 대직경부에 형성된 작은 구멍과 밀봉 실린더(3)의 견부에 형성된 돌기(3e)의 작은 구멍은 각각 홈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런 변경에 있어서, 실형 부재(15)는 홈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제 10 도 및 제 12 도는 각각 제 2 도 및 제 8 도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즉, 제 10 도는 필기 부재가 본체내에 수용되어 있고 밀봉 덮개(4)가 밀봉 실린더(4)를 밀봉하는 것을 도시한다. 제 12 도는 필기 팁이 필기 위치에 유지되는 필기구를 도시한다. 제 1 도 및 제 7 도에 대응하는 제 2 실시예의 단면도는 도시하지 않았는데, 이는 필기구의 제 1 실시예와 같기 때문이다. 제 11 도는 밀봉 덮개가 폐쇄되는 필기구의 제 2 실시예의 기본 부품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는 실형 부재 대신 봉형 부재(단면 구조상으로는 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또는 반원형 등 제한되는 것은 아님)를 사용하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는 다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 10 도,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있어서, 필기구의 제 1 실시예를 참조하여 전술한 부품은 같은 참조 부호 및 문자로 표시하였다.
두개 아암(4e)은 밀봉 덮개의 다리부(4a)로부터 약 90° 이격 위치된 밀봉 부재(4)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각 아암(4e)은 긴 판 형태로 되어 있다. 아암(4e)은 밀봉 실린더(3)의 견부 주위로 발산되고 밀봉 실린더(3)와 평행으로 연장된다. 아암(4e)은 단부상에 돌기(4f)를 각각 갖고 있다. 돌기(4f)는 단면이 원형이다. 돌기(4f)는 아암과 봉형 부재가 연결점에서 각각 굽혀질 수 있도록 아암(4e)에서와 같이 각각 밸트형 판형태인 봉형 부재(16)에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 구멍(16a)에 결합된다. 돌기(4f) 대신에, 제 1 실시예와 같이 아암이 봉형 부재에 핀으로 결합되도록 작은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멍(16a)은 구조상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어떤 헐거운 관통 구멍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봉형 부재(16)가 관통하기에 충분한 관통 구멍은 수용부(11)의 전단부 플랜지 밀봉 실린더(3)의 대직경부에 형성되어 있다. 봉형 부재(16)가 이들 구멍을 통하여 통과한 후, 스토퍼(16b)는 봉형 부재(16)의 단부상에 각각 형성된다. 이 스토퍼(16b)를 제공함으로써, 밀봉 덮개(4)에 공정된 탄성 부재(5)는 제 10 도의 경우에 수축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봉형 부재(16)와 아암(4e)을 통해 밀봉 실린더(3)의 소직경부의 전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제 12 도의 경우에 있어서, 밀봉 덮개(4)가 개방된 후, 수납부(11)는 수축 스프링(12)을 누르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지만, 봉형 부재(16)는 수용부(11)에 의해 밀리지 않는다. 즉, 수용부(11) 및 필기 부재(8)는 스토퍼(16b)를 떠나 전방으로 이동한다.
필기구의 제 2 실시예에서 봉형 부재 숫자는 하나로 감소된다. 변경예에서, U자형 헤드를 갖는 아암은 하나의 봉형 부재 단부에 굽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밀봉 덮개는 U자형 헤드의 양 단부에 피봇 결합된다.
필기구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실형 부재와는 달리 봉형 부재는 느슨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 2 실시예는 스토퍼(16b)를 봉형 부재(16)의 후단부상에 형성하여 이들이 수용부(11)의 플랜지 후단부면에 접촉하고 수용부(11)가 스토퍼(16b)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봉형 부재(16)의 단부에 형성된 헐거운 관통 구멍은 아암(4e)이 밀봉 덮개(4)를 개폐하도록 피봇될 때 발생할 수도 있는 약간의 측부 운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누름식 필기구에서는, 필기 부재는 누름력으로 전진하며 수축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후퇴한다. 한편, 회전식의 경우, 필기 부재가 회전 작용으로 전진 후퇴하므로 수축 스프링이 필요없다.
또한, 누름식 필기구에서 수축 스프링의 후단부가 필기 부재의 단차부나 돌기 등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는 수용부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형 부재 후단부는 필기 부재의 부분에 직접 연결하거나 혹은 봉형 부재 스토퍼는 필기 부재 부분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수축 스프링의 수용 부재와 실형 부재의 연결부는 같은 부분 혹은 다른 부분으로도 할 수 있다. 또, 필기 부재의 후단부는 누름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필기 부재는 그 자체를 누름으로써 전진 위치로 체결되고 후퇴 위치로 해제된다.
이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3 도 및 제 14 도는 각각 필기 부재가 후퇴된 필기구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제 15 도 및 제 16 도는 각각 필기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밀봉 덮개를 개방한 필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제 17 도 및 제 18 도는 각각 필기 준비 완료된 필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제 9 도는 필기구의 기본 부품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 밀봉 덮개(104)는 필기 부재(108) 혹은 얇고 강하며 강성인 와이어형 부재(또는 봉형 부재 ; 17)를 통해 필기부재(108)와 결합 작동되는 부재(111)에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형 부재의 각각은 와이어형 부재(17)와 필기 부재(108) 혹은 필기 부재(108) 전진 운동 초기에 즉 밀봉 덮개가 개방될 때까지 필기 부재(108)와 결합 작동하는 부재(111) 사이에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마찰부(17a)를 갖는다. 와이어형 부재(17)는 그 후단부에 스토퍼(18)를 갖는다.
제 13 도 내지 제 19 도에서, 참조번호 101은 전방 홀더를 102는 캠 홈(102b)을 갖는 후방 홀더를 표시한다. 전, 후방 홀더(101, 102)는 각각 나사 결합되어 필기구 본체를 형성한다. 밀봉 실린더(103)의 대직경부(103f)는 전방 홀더(101)내로 억지 끼워 맞춤된다. 대직경부(103f)는 와이어형 부재(17)가 각각 안내되면서 삽입되는 홈(103g)을 갖는다. 밀봉 실린더(103)의 소직경부(103a)의 선단부는 특수하게 절단되어 소직경부(103a)는 단부에 탄원형 개구를 갖는다. 타원형 개구와 형상이 유사한 탄성 부재(105)는 소직경부(103a)의 단부에 접착되어 있다. 상술한 밀봉 덮개(104)는 밀봉 실린더(103)의 소직경부(103a)의 타원형 개구를 덮을 만한 크기로 되어 있고 다리부(104a)를 갖고 있다. 다리부(104a)는 힌지 시트(19 ; hinge seat)의 두 아암(19a) 사이에 유지되어 있고, 핀(106)은 제 1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덮개(104)가 핀(106)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다리부(104a)와 아암(19a)에 삽입되어 있다. 밀봉 O링(109)은 밀봉 실린더(103)의 소직경부(103a)의 후단부에 끼워맞춤되어 지지 링의 억지끼움식으로 유지된다.
필기 팁(108c)을 유지하게 되어 있는 유지부(20 ; holding portion)는 필기 부재(108)의 소직경부(108b)내로 억지로 끼워지고, 필기 팁(108c)은 유지부(20)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제 2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20)와 필기 부재의 소직경부(108b) 사이에는 공기 구멍(108a)이 제공된다.
와이어형 부재(17)의 전단부는 밀봉 덮개(104)의 아암(104e)의 후단부에 형성된 구멍과 고정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형 부재(17)는 갈라져서 밀봉 실린더(103)의 대직경부(103f)의 홈(103g)에 삽입되고 또 수용 부재(111)에 형성된 홈에도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18)는 와이어형 부재(17)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밀봉 실린더(103)와 수용 부재(111) 사이에는 수축 스프링(112)이 배치딘다. 수용 부재(111)의 홈(111c)에 위치되면서 홈 전방으로 약간 연장되는 각 와이어형 부재의 후단부는 와이어형 부재(17)와 수용부재(111)의 홈(111c)사이에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마찰부(17a)로 형성된다. 마찰부(17a)는 와이어형 부재(17)의 후단부 직경을 크게 하거나 또는 후단부를 변형시키거나 혹은 후단부상에 얇은 벽의 파이프를 둠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 13 도 및 제 14 도의 경우, 선회식 밀봉 덮개(104)는 와이어형 부재(17)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져 유지되어 있고, 수용부재(111)는 스토퍼(18)가 있기 때문에 더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가 없다. 따라서, 후방 홀더의 후단부 단차부(102c)와 누름 부재(114)의 헤드(114a) 사이에는 틈새(11)가 존재하고, 이때 상기 누름 부재는 그 자중에 의해 회전 캠(113)에 접하고 상기 캠 역시 그 자중에 의해 수용 부재(111)의 다리부(111a)에 접한다. 즉, 밀봉 덮개(104)는 수축 스프링(112)의 힘에 의해 탄성 부재(105)와 밀접하게 접촉한다. 한편, 밀봉 O 링(109)은 공기 구멍(108a) 후방에서 필기 부재(108)의 소직경부(108b)에 대해 눌려지고, 따라서 필기 부재(108)의 필기 팁(108c)과 공기 구멍(108a)은 밀봉 실린더에서 밀봉된다.
제 15 도 및 제 16 도는 누름 부재(114)가 약간 눌려져 밀봉 덮개(104)가 개방되는 필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수용 부재(111)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와이어형 부재(17)도 마찰 저항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와이어형 부재(17)에 연결된 밀봉 덮개(104)가 개방된다.
제 17 도 및 제 18 도는 누름 부재(114)가 완전히 끝까지 눌려져 해제되어서 필기 준비에 들어간 필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형 부재(17)의 마찰부(17a)는 수용 부재(111)의 플랜지(11c)에 있는 홈으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수용 부재(111)가 전방으로 이동될때라도 밀봉 덮개(104)는 제 15 도 및 제 16 도에 도시된 그 위치로부터 이동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필기 부재(108)는 수용 부재(111)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고 또 필기구의 필기 준비를 위해 체결된다.
제 17 도 및 제 18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에 있는 필기구의 수용 부재(111)가 완전히 눌려져 해제될때, 필기구는 제 15 도 및 제 16 도에 도시된 상태에 그리고 또 제 13 도 및 제 14 도에 도시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제 19 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필수 부품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제 3 실시예의 제 14 도 및 제 18 도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제 20 도 및 제 21 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특히, 제 20 도는 밀봉 상태에 있는 필기구를 도시하고, 제 21 도는 필기 준비 상태에 있는 필기구를 도시한다.
제 4 실시예에서, 와이어형 부재(117)는 얇고 가요성이며, 필기 부재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필기 부재 또는 부품에 대항하여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마찰부를 갖지 않는다. 와이어형 부재(117)의 후단부는 수용 부재(111)의 플랜지(111c)에 확실히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형 부재(117)의 후단부는 수용 부재(111)의 플랜지(111c)에 고정된다. 제 20 도에 도시된 것에 해당하는 상태로 필기구의 누름 부재가 눌려질때, 수용 부재(111)와 필기 부재(108)와 함께 와이어형 부재(117)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와이어형 부재(117)의 전단부가 밀봉 덮개(104)의 아암(104e)에 확고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덮개(104)가 개방된다. 밀봉 덮개(104)는 경량이며, 밀봉 실린더의 소직경부(103a)의 단부 개구에 자유로이 개방할 수 있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필기구가 바닥쪽의 필기 단부에 유지되는 경우에 소직경부의 단부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밀봉 덮개를 당기는 와이어형 부재의 힘이 제거될 때, 밀봉 덮개(104)는 그 자중에 의해 개방할려고 한다. 따라서, 와이어형 부재(117)의 전단부와 함께 밀봉 덮개(104)를 누르는 힘이 작을지라도 밀봉 덮개(104)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필기구가 회전에 의해 필기 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가지는 경우, 필기 부재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부재 또는 필기 부재는, 수평으로 유지되는 필기구나 또는 필기 단부가 상부에서 유지되도록 요동되는 필기구에 의해 전, 후로 이동한다. 이때 필기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와이어형 부재(117)에 작용하는 작은 힘은 밀봉 덮개(10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누름 부재(114)가 더욱 눌려질 때, 가요성 와이어형 부재(117)는 필기 부재(108)와 수용 부재(111)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필기구 몸체내에서 구부려진다. 따라서, 필기구는 제 2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준비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누름 부재(114)가 완전히 눌려져 해제될 때, 와이어형 부재(117)가 곧바르게 되면서 수용 부재(111)와 필기 부재(108)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서, 필기 부재(108)의 필기 팁(108c)은 밀봉 실린더(103)의 소직경부(103a)로 후퇴되고, 그 다음에 와이어형 부재(117)에 의해 당겨져 있는 밀봉 덮개(104)는 밀봉 실린더(103)의 소직경부(103a)의 단부면에 결합된 탄성 부재(105)로 간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제 22 도 및 제 25 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제 22 도는 밀봉 상태에 있는 필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제 23 도는 필기 준비 상태에 있는 필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24 도는 제 22 도에 도시된 필기구의 필수 부품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제 25 도 역시 제 23 도에 도시된 필기구의 필수 부품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제 5 실시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와이어형 부재(167)만 사용된다. 밀봉 덮개(164)는 중간에 돌기(164i)를 가지는 U형 아암(164h)을 가진다. 와이어형 부재(167)의 전단부는 돌기(164i)에 형성된 구멍과 결합한다. 전단부로 연장하도록 전방 홀더(101)의 전단부에는 하나의 홈(101a)이 형성된다. 밀봉 실린더(103)의 대직경부(103f)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와이어형 부재(167)는 전방 홀더(101)에 형성된 홈(101a)을 통해 연장된다. 홈(101a)은 그 길이, 폭 및 형성이 임의적이다.
제 26a 도 및 제 26b 도는 탄성 부재(155)의 아암(155a)에 의해서 밀봉 덮개(154)가 전방 홀더에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억지끼움식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방 홀더(101)에 고정된 전단부(101b)를 구비한 전방 홀더(101)의 내벽에 형성된 단차부나 전방 홀더(101)의 전단부(101b) 사이에서는 탄성 부재(155)의 환형부(155b)가 유지된다. 탄성 부재(155)는 환형부(155b)상의 점으로부터 중심쪽으로 연장하는 아암(155a)을 가진다. 탄성부재(155)는 밀봉 실린더(153)의 소직경부(153a)의 전단부 개구를 덮을 만큼 충분히 크다. 밀봉 덮개(154)는 탄성 부재(155)의 후면에 결합된다. 2개의 아암(154e)은 아암(155a)으로부터 90°를 형성하도록 탄성 부재(155)로부터 연장된다. 와이어형 부재(117)의 전단부는 아암(154e)의 각각에 형성된 구멍과 결합된다.
제 26a 도는 필기구의 단면도이며 제 26b 도는 제 26a 도의 선(X-X)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7 실시예에서, 작은 힘으로 닫혀지는 밀봉 덮개(154)는 와이어형 부재(117)의 전단부로 밀려서 개방되며, 그후에 필기 팁(8c)이 전단부(101b)의 구멍 밖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제 27 도 및 제 28 도를 참고하여 기술한다. 제 27 도는 필기 부재가 후퇴되는 필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제 28 도는 제 27 도에 도시된 필기구의 부분 측면도이다.
실형 부재(15)가 통과하는 홈(203g)을 가지는 밀봉 실린더(203)는 전방 홀더(201)의 전단부에 제공된다. 밀봉 실린더(203)의 전단부는 소직경부(203a)로 형성되며 테이퍼진다. 탄성 부재(205)는 환형이며 그 자체가 상승하는 덮개부(205c)를 가진다. 탄성 부재(205)의 실린더부(205a)는 밀봉 실린더(203)의 소직경부(203a)에 적합하게 고정된다. 실린더부(205a)는 힌지부(205b)를 통해 제 34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05c)에 연결된다. 밀봉 부재(O 링, 209)는 밀봉 실린더(203)에 제공되며, O 링(209)이 필기 부재(재충전 유니트)의 소직경부(208b)에 대한 탄성 접촉으로 유지되는 방법으로 지지 링(210)에 의해 유지된다. 공기 구멍(208a)은 필기 부재의 소직경부의 전단부와 필기 팁(208c) 사이에 제공된다. 밀봉 덮개(204)는 탄성부재(205)의 환형 덮개부(205c)와 결합되는 원형 돌기(204h)를 갖는다. 입구가 폭보다 약간 더 작은 홈(204i)은 제 3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덮개(204)의 외부(또는 상부)면에 형성된다.
중공 실린더(221)는 재충전 유니트(208)의 대직경부에 놓인다. 실린더(221)의 후단부는 대직경부(221a)속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벽에는 암나사(221b)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21)는 후단부에서 홈(221c)을 갖는다. 수축 스프링(212)은 밀봉 실린더(203)와 중공 실린더(221) 사이에 삽입되어 중공 실린더(221)를 후방으로 강제한다. 재충전 유니트(208)는 실린더(221)의 암나사부(221b)와 결합하는 수나사부(208e)를 가지며, 재충전 유니트(208)는 실린더(221)와 일체로 된다. 즉, 재충전 유니트(208)는 실린더(22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재충전 유니트(208)가 실린더(221)와 반드시 일체일 필요는 없다. 즉, 재충전 유니트(208)와 실린더에 대해 필요한 모든 것은 재충전 유니트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실린더(221)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실린더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재충전 유니트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서로에 관련하여 작동하는 것이다. 돌기는 실린더(221)의 외부벽에 형성되어 있는 반면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홈은 전방 홀더에 형성되어서 실린더(221)는 전방 홀더(201)를 회전하지 않고 전후로 똑바로 이동한다.
매듭(251b)은 실형 부재(215)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매듭(215b)은 실린더의 후단부에 형성된 홈(221c)과 결합한다. 실형 부재(215)의 중간은 밀봉 덮개(204)의 외부면에 형성된 홈(204i)과 결합한다. 따라서, 밀봉 덮개(204)는 실형 부재(215)를 통해 실린더에 연결된다(제 32 도 참조).
제 29 도 및 제 30 도는 필기구가 제 27 도 및 제 2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 있으면 내려 눌려진 누름 부재(222)를 가지고 필기할 준비가 되어 있는 필기구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누름 부재(222)는 제 3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형 부재(222c ; tongue piece), 슬릿(222e, slit) 및 돌기(222d)를 가지고 있다. 누름부재(222)가 전방으로 밀려지면 설형 부재(222c)에 형성된 돌기(222d)는 후방 홀더(202)에 형성된 슬릿(202b)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여서 클립(223)의 내부면에 제공된 로킹부(locking part)에 의해 체결된다. 상승하도록 가해지는 탄성 부재 덮개부(205c)가 밀봉 부재(204)와 함께 개방된 후, 실형 부재(215)는 필기구 본체를 내부로 느슨하게 하며 필기 부재(208) 및 이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실린더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제 필기구는 필기할 준비가 되어 있다. 필기한 후 클립(223)의 정단부는 내측으로 눌려진다. 그 결과 후방 홀더의 슬릿(202d) 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는 눌린 부분(223c)은 설형 부재(222c)를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클립(223)의 힌지부(223b)의 도움으로 내향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클립(223)의 로킹부(223a)에 의해 체결된 돌기(222d)도 하향으로 이동한다. 즉, 로킹부(223a)로부터 해제된다. 그 결과 수축 스프링(212)은 실린더(221)와 필기 부재(208)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필기구는 제 27 도 및 제 2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밀봉 특성을 개선하고 실형 부재(215)의 약간의 신장성을 흡수하기 위하여 돌기(222d)와 슬릿(202d)의 후단부 사이에 작은 틈새가 형성된다.
제 36 도 및 제 37 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기술한다.
제 8 실시예는 실린더(221)의 내부벽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실린더(221)는 단차부(221d)를 갖는 반면 필기 부재(208)는 수나사부 대신에 플랜지부(208f)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제 7 실시예와 다르다.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필기 부재의 플랜지부(208f)는 실린더(221)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221d)에 대해 인접하며 필기 부재의 소직경부(208b)는 밀봉 부재(20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제 38 도 및 제 39 도는 밀봉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9 실시예는 필기 부재(208)의 소직경부(208b)가 삽입되는 중앙에 구멍을 가지는 실린더(271)가 역 U형의 짧은 링이며 홈(271c)을 가지는 후단부는 필기 부재(208)의 대직경부(208d)의 정단면에 대하여 인접한다는 점에서 제 8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 8 및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필기 부재가 필기구 본체속으로 들어가면, 때때로 필기 부재(208)는 수축 스프링(212)의 탄성력에 의해 도시되는 위치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틈새(12)는 누름부재(222)의 돌기(222d)와 후방 홀더(202)의 슬릿(202d)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지 않으며 그 대신 실린더(221, 271)의 후단부와 필기 부재(208)의 대직경부(208d)의 전단부면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필기 부재의 소직경부(208b)의 단부 가까이에 형성된 공기 구멍(208a)과 밀봉 부재(209) 사이의 거리는, 필기 부재(208)가 후방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를 초과해서 약간 이동할지라도 공기 구멍(208a)의 위치가 밀봉 부재(209)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충분히 길어야 한다.
제 40 도 내지 제 44 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기술한다.
제 40 도 및 제 41 도는 밀봉 상태에 있는 필기구를 도시한다. 제 43 도 및 제 44 도는 필기 부재가 전방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는 필기구를 도시한다.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수축 스프링(312)의 후단부는 필기 부재(308)의 중간 구경부(308g)의 전단면에 대하여 인접한다. 돌기(308h)는 180°간격으로 중간 구경부(308g)의 전단부면 주위에 제공된다. 반면에 실형부재가 고정되는 홈을 가지는 돌기(324a)는 180°간격으로 커플링 링(324)의 외주연에 제공되며, 리세스(3246)는 리세스(3246)와 돌기(324a)가 일직선이 되는 방법으로 커플링 링(324)의 내주연부에 형성된다. 더욱이 절취부(324c)는 절취부(324c)와 리세스(324b)가 90°간격으로 배열되는 방법으로 커플링 링(324)의 내주연부에 형성된다(제 42a 도 및 제 42b 도 참조). 커플링 링(324)은 전방 홀더(301)의 홈(301a)과 결합 유지되는 돌기(324a)와 함께 전후로 이동된다.
제 40 도 및 제 41 도의 경우에 있어서, 필기 부재의 중간 직경부의 돌기(308h)는 실형 부재(315)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커플링 링(324)의 리세스(324b)속으로 삽입되며 필기 부재(308)는 수축 스프링(312)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진다. 커플링 링(324)은 실형 부재(315)가 단단하게 당기기 때문에 더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제 40 도 및 제 41 도에서, 유사 부분 및 부품은 제 27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제 43 도 및 제 44 도는, 상기 필기구가 제 40 도 및 제 4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되어 있을때 수축 스프링(312)이 상기 필기 부재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기 위하여 필기 부재를 약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압축되는 필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홈을 가진 돌기(324a)가 상기 전방 홀더(301)내에 형성된 홈(301a)의 전방 단부와 접촉하므로, 커플링 링(324)은 더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한편, 상기 필기 부재(308)는 상기 커플링 링(324)보다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상기 중간 직경부(308g)의 전방 단부에 제공된 돌기(308h)는 상기 커플링 링(324)의 리세스(324b)와 각각 해제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필기 부재(308)는 90°선회하여 결국, 필기 부재의 소직경부의 상기 돌기(308h)는 상기 커플링 링(324)의 절취부(324c)와 각각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필기 부재(308)는 후방으로 끌어당겨지고, 즉, 이것은 필기구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상술된 작동은 새로운 필기 부재를 필기구 본체속으로 장착시키도록 역순서로 수행된다. 즉, 새로운 필기 부재(308)의 돌기(308h)는 커플링 링(324)의 절취부(324c)와 결합되고, 또한 상가 필기 부재는 90°선회되고 그후,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필기 부재(308)는 수축 스프링(312)의 탄성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되고, 또한 리세스(324b)와 결합되는 돌기(308h)와 함께 상기 커플링 링(324)은 상기 실형 부재(315)가 단단히 잡아당겨 질때까지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커플링 링(324 ; coupling ring)은 전방 홀더(301)의 홈(301a)과 맞물려 유지되는 돌기(324a)와 함께 전, 후방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필기 부재(308)가 새로운 것으로 바꿀때 선회되지 않는다.
제 40 도 및 제 4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된 필기구가 필기 부재(308)를 전방으로 더 이동시키므로서 필기를 위하여 준비가 완료될때 실형 부재(315)는 상기 전방 홀더(301)내에서 느슨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11번째의 실시예를 제 45 도 및 제 46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상기 제 11 실시예에서 있어서, 실행 부재(415)의 후방 단부가 누름 부재(422)의 전단부에 접속된다. 즉, 상기 필기구는 누름 부재가 선회없이 전,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는데, 이것은 상기 실형 부재의 후방 단부를 누름 부재(422)의 전방 단부에 접속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45 도는 필기구 본체속으로 후퇴된 필기 부재와 함께 필기구로 도시하고, 또한, 제 46 도는 필기 준비 완료된 필기구를 도시한다.
누름 부재(422)는 전방 단부에 두개의 돌기(422f)를 갖고 있는데, 상기 돌기는 좁은 홈(422g)을 각각 갖고 있다. 필기 부재(408)에는 그 후단부에 플랜지(408f)가 제공된다. 수축 스프링(412)은 필기 부재(408)의 플랜지(408f) 및 밀봉 실린더(403) 사이에 끼워지는데, 결국 필기 부재의 후방 단부가 누름 부재의 전방 단부에 대해서 접하고 또한 수축 스프링(412)이 약간 압축되는 상황하에서, 밀봉 덮개(404)가 실형 부재(415)를 통하여 누름 부재(422)에 결합된다. 실형 부재(415) 및 밀봉 부재(404) 사이의 접속은 상술된 제 1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실형 부재(415)의 후단부는 상기 누름 부재(422)의 돌기(422f)에 고정된다.
실형 부재의 후단부는 필기 부재의 플랜지 혹은 돌기에 직접 접속되어 결국, 필기 부재의 후단부가 누름부재로서 작용하거나, 혹은 상기 누름 부재를 전, 후방으로 약간 이동시키는 기구의 다른 부분에 접속된다. 제 46 도 및 제 47 도에서, 유사 부품 및 유사 부분은 제 27 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제 47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 48 도는 제 47 도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러한 장치에서, 볼록 부재(501)는 그 후방 측부에 환형 탄성 부재(515)를 가진 밀봉 덮개(514)의 후방면상에 설치된다. 돌기의 직경은 밀봉 부재(503)의 개구보다 작다. 필기 부재(508)의 필기 팁(509)은 테이퍼면을 갖는다. 볼록 부재(501)에는 슬릿(502)이 제공된다. 슬릿(502)의 폭은 소직경부 보다 크고 또한 필기 팁(509)의 테이퍼면의 최대 직경부보다 작아서 결국, 슬릿(502)의 필기 팁(509)의 테이퍼면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슬릿의 깊이는 필기 팁(509)의 단부 및 슬릿 에지와 접촉하는 테이퍼면상의 한 부분 사이의 길이보다 더 깊어서 결국, 필기 팁의 단부는 슬릿의 바닥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제 47 도 및 제 48 도에서, 상기 볼록 부재는 실린더형이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볼록 부재는 반구형(hemispher-shaped) 혹은 장방형 포울(rectangular pole) 등으로 될 수 있다.
다수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서술된 반면에,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필기 부재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기구는 회전식 또는 누름식일 수 있다. 더구나, 필기구는 밀봉 덮개를 개방시키도록 가압시키기 위한 각종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몇몇의 부품은 하나의 유니트로서 형성 가능하고, 또한 상기 부품의 재료 및 형상은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설계 및 형상에 있어서의 각종 변화는 본 발명을 벗어남이 없이 상술된 실시예내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상술된 서술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필기구는 뚜껑이 없으므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다. 필기구는 필기구 본체내에 확실하게 밀봉 가능하므로 결국, 필기구는 필기 부재가 필기구 본체내에 수용될 동안에 시장에 판매 가능하다. 필기구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으므로 따라서, 적은 경비로써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적합하게 설치 가능하거나 혹은 재장착의 상호 변환 가능한 필기구로서 적합하다. 필기구는 형상에 있어서 표준적이다. 따라서, 설계시 훌륭한 필기구가 형성 가능하다. 만약 본 발명이 누름식 필기구에 제공된다면, 탄성 밀봉 부재는 필기 부재가 수축 스프링에 의하여 본체내에 수축될 때 필기 부재에 항상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필기구의 수축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헝클어짐(shock)이 방지되기 때문에, 필기 부재내에 포함된 선(lead) 또는 실(cotton)은 필기구에서 풀리지 않는다.

Claims (31)

  1. 전, 후방 홀더(1,2)와, 상기 전, 후방 홀더(1,2)에 수용되는 필기 부재의 필기용 필기 팁(8c)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 구멍(8a)을 구비한 필기 부재(8)와, 필기 위치에서 필기 부재를 전방으로 체결하고 그리고 상기 필기 팁(8c) 및 공기 구멍(8a)을 밀봉하도록 필기 부재를 후방으로 수축시키기 위해 필기 부재(8)를 이동하기 위한 필기 부재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에 있어서, 한단부에 개구가 제공된 소직경부(3a)를 가진 밀봉 실린더(3)와, 상기 소직경부의 개구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 덮개(4) 및 상기 밀봉 실린더(3)와 필기 부재(8)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공기 구멍(8a)의 후방 측부에서 상기 전, 후방 홀더(1, 2)내의 필기 부재(8)의 수축부에 위치되며 상기 필기 부재(8)에 대해 항상 접촉하고 있는 밀봉 부재(9)를 포함하는, 상기 필기 팁(8c) 및 공기 구멍(8a)의 밀봉 수단과, 상기 밀봉 덮개(4)가 개발된 후에 상기 필기 부재(8)의 전방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필기 부재(8)의 필기 팁(8c)이 상기 전·후방 홀더(1, 2)내로 후퇴된 후에 상기 밀봉 실린더(3)의 소직경부(3a) 개구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밀봉 덮개를 폐쇄시키며, 상기 밀봉 수단의 밀봉 덮개(4)에 필기 부재(8)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살기 밀봉 부재(9)로부터 필기 부재(8)까지 상기 결합 수단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 및 상기 전, 후방 홀더(1, 2)에 대해 접촉하는 상기 밀봉 실린더(3)의 일부분에 제공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밀봉 실린더(3)에 대해 접촉하는 전, 후방 홀더(1, 2)의 일부분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덮개(4)는 상기 밀봉 실린더(3)의 전방 부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필기 부재(8) 및 상기 필기 부재와 관련하여 작동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부재(8)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상기 부재는 상기 필기 부재(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느슨해질 수 있는 실형 부재(15 ; thread-like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느슨해질 수 있는 와이어형 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휠 수 있는 봉형부재(16 ; bar-like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의 한 단부는 필기 부재(8)의 단차부 및 돌기중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밀봉 덮개(4)를 부재 이동 기구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덮개(4)는 결합 수단을 수용하는 홈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덮개(4)는 이것을 통하여 상기 결합 수단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덮개(4) 및 밀봉 실린더(3)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필기 부재(8)의 초기 전진 단계에서 상기 필기 부재와 마찰 저항을 발생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필기 부재(8)의 초기 전진 단계에서 상기 필기 부재에 대한 마찰 저항을 발생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형 부재(17)는 상기 필기 부재가 전진할때 밀봉 덮개(4)를 개방시키고, 또한 상기 와이어형 부재(17)가 느슨해지는 반면에 상기 필기 부재(8)는 상기 밀봉 덮개(4)가 완전히 개방된 후에 계속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덮개(4)는 상기 밀봉 실린더(3)의 개구를 개방시키도록 항상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덮개(4)는 자체 개방력(self-opening force)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덮개(4)는 자체 자유롭게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덮개(4)는 후방면에 제공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실린더(3)의 소직경부(3a)의 단부에 제공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덮개(4)의 후방면에 제공된 볼록 부재 및 환형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부재(8)의 필기 팁(8a)은 테이퍼 면을 가지며, 또한 상기 볼록 부재에는 슬릿이 함께 제공되며, 이 슬릿의 깊이는 상기 필기 팁(8c)의 단부 및 상기 슬릿의 에지와 접촉하는 테이퍼면의 일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깊은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부재(8)와 전, 후방 홀더(1, 2) 사이에 제공된 수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부재(8)와 밀봉 실린더(3) 사이에 제공된 수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9)의 후방 측부에서 상기 밀봉 실린더(3)에 끼워진 지지 링(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부재 이동 기구는 누름식(knock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부재 이동 기구는 회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부재(8)는 상기 전, 후방 홀더(1, 2)내에서 상호 교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KR1019870012570A 1986-11-07 1987-11-07 건조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KR950000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64043A JPS63118299A (ja) 1986-11-07 1986-11-07 乾燥防止機構を有するキャップレス筆記具
JP264043 1986-11-07
JP61308851A JPS63162293A (ja) 1986-12-26 1986-12-26 乾燥防止機構を有するキヤツプレス筆記具
JP308851 1986-12-26
JP62089875A JPH0653438B2 (ja) 1987-04-14 1987-04-14 乾燥防止機構を有するキヤツプレス筆記具
JP89875 1987-04-14
JP131673 1987-05-29
JP62131673A JPH0630992B2 (ja) 1987-05-29 1987-05-29 乾燥防止機構を有するキヤツプレス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058A KR880006058A (ko) 1988-07-21
KR950000776B1 true KR950000776B1 (ko) 1995-02-02

Family

ID=2746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570A KR950000776B1 (ko) 1986-11-07 1987-11-07 건조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48990A (ko)
EP (1) EP0267557B1 (ko)
KR (1) KR950000776B1 (ko)
DE (1) DE3771664D1 (ko)
HK (1) HK428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775A (en) * 1989-08-09 1991-06-11 Kabushiki Kaisha Sakura Kurepasu Writing inplement with magnetic closure
DE9319800U1 (de) * 1993-12-28 1994-07-14 Ganter & Co Kg Otto Federbelasteter Druckstift mit Verrastung
US5915867A (en) * 1995-05-26 1999-06-29 Ancos Co., Ltd. Capless writing tool
US7083596B2 (en) * 2001-06-20 2006-08-01 V. C. Saied Anesthetizer with automatic needle decommissioning mechanism
MXPA04007824A (es) * 2002-02-13 2004-10-15 Innodesk Inc Instrumento marcador sellado retractil sin capuchon con camara delantera.
US7059796B2 (en) * 2002-04-17 2006-06-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Self-sealing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WO2004045865A1 (ja) * 2002-11-18 2004-06-03 Pentel Kabushiki Kaisha 出没式筆記具
CN100415542C (zh) * 2002-11-18 2008-09-03 百龙企业有限公司 伸缩式书写工具
DE10315550A1 (de) * 2003-04-05 2004-10-14 Wella Ag Applikator zum Aufbringen einer oxidativen Haarfarbe
DE10326926A1 (de) * 2003-06-12 2005-01-13 Edding Ag Schreibgerät
US20070274765A1 (en) * 2003-06-26 2007-11-29 Crayola Llc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US6964534B2 (en) * 2003-06-26 2005-11-15 Binney & Smith Inc.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CN1318229C (zh) * 2004-06-28 2007-05-30 贝发集团有限公司 一种笔头能伸缩的揿动荧光记号笔
US20060013636A1 (en) * 2004-07-15 2006-01-19 Shachar Shalom Pen
US7350996B2 (en) * 2005-03-28 2008-04-01 Sanford, L.P. Retractable writing utensil
US7850382B2 (en) * 2007-01-18 2010-12-14 Sanford, L.P. Valve made from two materials and writing utensil with retractable tip incorporating same
US7488130B2 (en) 2007-02-01 2009-02-10 Sanford, L.P. Seal assembly for retractable instrument
US8215857B2 (en) * 2007-10-16 2012-07-10 Craig Carroll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US8727650B2 (en) * 2007-10-16 2014-05-20 Craig Carroll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US8096721B2 (en) * 2008-03-27 2012-01-17 Craig Carroll Retractable solid or semi-solid substance dispenser
US8226312B2 (en) * 2008-03-28 2012-07-24 Sanford, L.P. Valve door having a force directing component and retractable instruments comprising same
US8221012B2 (en) 2008-11-07 2012-07-17 Sanford, L.P. Retractable instruments comprising a one-piece valve door actuating assembly
US8393814B2 (en) 2009-01-30 2013-03-12 Sanford, L.P. Retractable instrument having a two stage protraction/retraction sequence
US20100236567A1 (en) * 2009-03-23 2010-09-23 Craig Carroll Cosmetic Substance Dispenser
US9597921B2 (en) 2012-07-23 2017-03-21 Benjamin Branch Apparatus for selectably providing multiple colors of ink from a marker pen
KR20200002461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올버튼 필기구
KR102433535B1 (ko) 2022-04-05 2022-08-18 천광주 마름 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23816C (ko) * 1932-06-10 1936-01-04
US2035555A (en) * 1934-05-19 1936-03-31 Joseph N Landau Automatic fountain pen
FR784223A (fr) * 1934-09-15 1935-07-22 Plume D Or Porte-plume-réservoir
US2097160A (en) * 1937-02-06 1937-10-26 Curto Anthony Lo Fountain pen
US2240992A (en) * 1940-07-12 1941-05-06 Joseph N Landau Fountain pen
US2401711A (en) * 1944-06-03 1946-06-04 Grover C Smith Fountain pen
FR940758A (fr) * 1947-02-05 1948-12-22 Perfectionnements aux étuis porte-fard
GB1064517A (en) * 1963-11-27 1967-04-05 Pilot Pen Co Ltd Retractable nib fountain-pen
FR1419821A (fr) * 1964-10-21 1965-12-03 Dispositif protecteur escamotable d'organes à écrire pour stylographes et autres, et instruments à écrire comportant ce dispositif
FR1438554A (fr) * 1965-04-02 1966-05-13 Instrument à écrire du type sans capuchon commandé par bouton-poussoir
DE7037517U (de) * 1970-10-10 1971-01-14 Faber Castell A Schreibgerat mit Spitzenverschluß
PT68804A (pt) * 1978-11-20 1978-12-01 Antonio Monteiro Alves Dos San Inertia ballpoint pen
FR2538762A1 (fr) * 1982-12-30 1984-07-06 Dupont S T Perfectionnements aux stylographes a cartouches-recharges
US4629348A (en) * 1983-01-27 1986-12-16 Ancos Co., Ltd. Writing instrument with sealing cap and additional rearward seal
JPS59156798A (ja) * 1983-02-25 1984-09-06 翠川 克夫 ノツク式キヤツプレスマ−キングペン
EP0121113B1 (en) * 1983-03-08 1990-10-10 Ancos Co., Ltd. Writ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7557A1 (en) 1988-05-18
US5048990A (en) 1991-09-17
EP0267557B1 (en) 1991-07-24
HK42894A (en) 1994-05-13
DE3771664D1 (de) 1991-08-29
KR880006058A (ko) 198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776B1 (ko) 건조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US5152626A (en) Writing pen with retractable clip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JP5791868B2 (ja) ワンピース型弁扉動作組立体を備える引込み式器具
KR100346022B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MXPA04007824A (es) Instrumento marcador sellado retractil sin capuchon con camara delantera.
JP3724769B2 (ja) 回転式棒状物繰り出し具の中ねじ部材
US6264389B1 (en) Convertible writing instrument
FI64765B (fi) Reservoarpenna
US5161906A (en) Writing instrument
GB2104848A (en) Writing instrument
JPH0653438B2 (ja) 乾燥防止機構を有するキヤツプレス筆記具
JPH0568360B2 (ko)
KR100350310B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JP2579188B2 (ja) 乾燥防止機構を有するキャップレス筆記具のリフィール機構
JP3078816U (ja) 筆記具用ホルダー
KR200280251Y1 (ko) 필기구가 구비된 부채
SU1761553A1 (ru) Цанговый карандаш
JP2002125754A (ja) 化粧用ブラシ
KR19980016485U (ko) 볼펜
KR930005408Y1 (ko) 봉상물조출장치
JPH0357091U (ko)
JP2524723Y2 (ja) 筆記体の出没装置
JP3125210B2 (ja) 筆記具
JPH0310899A (ja) つまみ式シャー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