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490Y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490Y1
KR950000490Y1 KR2019890016894U KR890016894U KR950000490Y1 KR 950000490 Y1 KR950000490 Y1 KR 950000490Y1 KR 2019890016894 U KR2019890016894 U KR 2019890016894U KR 890016894 U KR890016894 U KR 890016894U KR 950000490 Y1 KR950000490 Y1 KR 950000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cartridge
tubular body
cartridges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529U (ko
Inventor
쩡 화 쥬앙
Original Assignee
바이능 공예구펜유씨엔공쓰
리 안 티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능 공예구펜유씨엔공쓰, 리 안 티아우 filed Critical 바이능 공예구펜유씨엔공쓰
Publication of KR910000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4Combinations of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006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with single short 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6Means for connecting two or more writ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동 필기구를 구성하는 카트리지의 확대사시도 및 확대분해사시도.
제4도는 동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동 카트리지의 평면도 및 저면도.
제7도 (a), (b), (c), (d), (e), (f)는 본고안에 의한 카트리지의 서로 다른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고안에 의한 카트리지를 횡방향으로 연결한 서로 다른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기구 2 : 카트리지
3 : 통모양의 돌기구 4 : 통모양의 본체
5와 9 : 끼워맞춤 모양 6 : 심 부재
7 : 걸림기 8 : 걸림홈
10 : 스토퍼 11 : 리브
12 : 심 홀더 13 : 심
본고안은 복수개의 카트리지를 종(축)방향으로 직렬상으로 서로 떼고 붙일 수 있게 끼워 연결한 넓은 의미의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와 같은 필기구로서 일본국 실공소 60-14633호 공보에 나타난 것이 있다. 이 필기구는 선단부에 심을 가진 복수개의 카트리지를 종방향으로 서로 떼고 붙일 수 있게 끼워 연결한 것을 긴 외통내에 수납한 것이다.
이 필기구는 외통의 선단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카트리지의 심을 돌출시키고 이 심으로 문자 등을 필기하며, 심이 닿아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최선단의 카트리지를 외통의 선단에서 빼내고 이 카트리지를 외통의 말단에서 외통내로 끼워 넣음으로써 이 외통내에서 선단으로 부터 두번째에 위치하고 있던 카트리지가 선단으로 밀려나가 이 카트리지의 심이 외통 선단으로 돌출하여 필기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필기구는 복수개의 카트리지를 차례로 밀어내어 사용하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1개라도 분실하면 사용할 수가 없다. 또, 카트리지 만에 의한 이들의 직렬연결로서는 필기시의 쥐는 힘에 견딜수 없어 외통이 필요하게 되고, 이 외통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군다나, 심이 닳아 사용할 수 없게 된 카트리지는 이것을 버릴 수 밖에 완구 등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뤄진 것으로서, 필기구 본래의 기능을 외통을 이용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카트리지를 적목완구의 블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고안은 복수개의 카트리지를 종방향으로 직렬상으로 서로 떼고 붙일 수 있게 끼워 연결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일단부에 통모양의 돌기부가 형성된 임의의 횡단면상의 통모양의 본체가 상기 통모양의 돌기부에 끼워져 지지된 심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통모양의 본체에 이 통모양의 본체에 연결할 다른 카트리지의 통모양의 돌기부가 떼고 붙일 수 있게 종방향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끼워넣는 구멍이 형성되고, 통모양의 돌기부에는 상기 다른 카트리지의 심 부재를 수납할 끼워맞춤 구멍을 형성하며, 통모양의 본체 외주에 다른 카트리지를 횡방향으로 병렬상으로 떼고 붙일 수 있게 끼워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걸림 돌기와 이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걸리는 1개 이상의 걸림홈을 둔 것이다.
본고안에 의한 필기구는 한쪽 카트리지의 통모양의 본체에 마련된 끼워맞춤구멍에 다른쪽 카트리지의 통모양의 돌기부를 떼고 붙일 수 있게 끼워 맞춰 지지시키고, 한쪽 카트리지의 끼워맞춤구멍에 다른쪽 카트리지의 심 부재를 수납시켜 복수개의 카트리지를 종방향으로 서로 떼고 붙일 수 있게 연결함으로써 종래의 것과 같은 외통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최선단 카트리지의 심이 마멸된 경우에는 최선단의 카트리지를 벗기고 최선단의 카트리지에 연결하는 것 만의 조작으로서 선단으로 부터 두 번째 카트리지의 심 부재를 사용하여 간단히 필기가능해지며, 또한, 일부 카트리지를 분실한 경우에도 필기구의 종방향 길이가 짧아질 뿐 사용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처럼 사용불능하게 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카트리지의 통모양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한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에 다른 카트리지의 통모양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한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를 끼워 맞춤으로써 복수개의 카트리지를 예를들면 제8도,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서로 떼고 붙일 수 있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를 각종 물체의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작목완구의 블록으로도 사용가능하며 특히 심 부재가 심의 마멸로 사용할 수 없게 된 카트리지를 상기 블록으로 사용하면 폐품 이용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필기구의 최선단부를 복수개의 카트리지가 횡방항으로 병렬상으로 연결한 상태로 조립해 사용하면 복수개의 선을 동시에 그릴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제1도 내지 제6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이 실시예의 필기구(1)는 다수개의 카트리지(2)가 종(측)방향으로 직렬사응로 서로 떼고 붙일 수 있게 끼워 연결한 필기구로서의 사용상태로 된다.
상기 카트리지(2)는 제2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일단부에 턱(4a)을 통하여 통모양의 돌기부(3)가 형성된 통모양의 본체(4)와 심부재(심 유니트)(6)로 구성되어 있다.
통모양의 본체(4)와 통모양의 돌기부(3)는 횡단면이 닮은 꼴인 정방형의 각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통모양의 본체(4)보다 통모양의 돌기부(3)의 횡단면이 작고 또한 이들이 동축해 배치되어 있다. 통모양의 돌기부(3)에 이들의 일단으로 트인 끼워맞춤구멍(5)이, 통모양 본체(4)에는 이들의 타단으로 트인 끼워맞춤구멍(9)이 각각 동축으로 형성되고, 끼워맞춤구멍(5)와 (9)가 연속되는 동시에 이들의 경계부에는 대향하는 한쌍의 스토퍼(10)가 돌출되어 있다. 통모양 돌기부(3)의 끼워맞춤구멍(5)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0)는 1개 이상이면 좋고 반드시 한쌍일 필요는 없다. 통모양의 본체(4)의 끼워맞춤구멍(9)은 다른 같은 카트리지의 통모양의 돌기부(3)가 끼워져 지지될 크기를 가지며 이들 외형과 닮은꼴의 횡단면이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모양의 본체(4)의 외주면에는 대향하는 한쪽면에 걸림돌기(7)가 폭방향 중앙부에 종방향 거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대향하는 다른 면에 걸림홈(8)이 폭방향의 중앙부에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7)는 바탕부측의 폭이 좁고 돌출면측의 폭이 넓은 횡단면 대형(台形)으로 형성되며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8)은 상기 걸림돌기(7)와 대응하는 횡단면 형상 즉 바닥측의 폭이 넓고 트인쪽의 폭이 좁은 횡단면 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심부재(6)는 거의 원통모양의 심홀더(12)에 연필심 등의 심(13) 바탕 부분이 끼워져 고정되고 심(13)이 심홀더(12)의 선단에서 종(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씩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심홀더(12)의 내주면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심(13)을 지지하므로 심(13)이 심홀더(12)의 부탕부분쪽으로 종이등 하지 않도록 약간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심홀더(12)는 바탕부측 반쪽 외주면에 종방향을 따라 리브(11)가 돌출되어 있고 이 리브(11)는 심홀더(12)이 원주방향 수곳에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심홀더(12)의 앞부분 반쪽이 테이퍼지고 앞끝이 뽀족한 원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심홀더(12)의 앞부분 반쪽에 형성한 테이퍼는 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며, 테이퍼를 없이하여 심홀더 전체를 원통으로 해도 좋다. 또, 리브(11)는 심홀더(12)가 후술하는 바와같이 적당한 긴밀 또는 미찰력으로 끼워맞춤구멍(5)내에 끼워져 유지가능하다면 생략해도 좋다.
상기 카트리지(2)는 심부재(6)의 심홀더(12)를 윗쪽으로부터 통모양의 돌기부(3)의 끼워맞춤 구멍(5)에 떼고 붙일 수 있게 끼워 지지시키고 심홀더(12)의 바탕부쪽을 스토퍼(10)에 맞닿게 하는 것으로서,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조립된다. 이 조립상태에서는 통모양의 본체(4)에서 턱(4a)을 통해 통모양의 돌기부(3)가 돌출하고 이 돌기부(3)로부터 심홀더(12)의 앞쪽 반부분이 돌출하며, 이 심홀더(12)로부터 심(13)이 다시 돌출하여 심(13)을 중심으로 하는 턱이 붙은 동축 겹통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윗쪽 카트리지(2)의 통모양 본체(4)의 끼워맞춤 구멍(9)에 같은 구성으로 된 아래쪽 카트리지(2)의 돌기부(3)를 떼고 붙일 수 있게 끼워 지지하고 아래쪽 카트리지(2)의 심홀더(12) 및 심(13)을 윗쪽 카트리지(2)의 끼워맞춤 구멍(9) 및 심홀더(12)의 바탕부분 반쪽에 수납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윗쪽 카트리지(2)의 통모양의 본체(4)하단과 아래쪽 카트리지(2)의 통모양의 본체(4)의 턱(4a)을 맞닿게 하고 상하 카트리지(2), (2)를 종향으로 위치를 정하며 상하 카트리지(2), (2)의 심(13), (13)간에 틈새가 남게하여 심(13), (13)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조작을 반복하여 제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소요 갯수의 카트리지(2)를 종방향으로 직렬상으로 끼워 연결해서 필기하기 쉬운 길이로 된 1개의 필기구(1)로 하고 최선단에 위치하는 카트리지(2)의 심(13)으로 필기한다. 또, 제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제1도에 나타난 필기구(1)의 선단부 양측(또는 일측)에 한쪽 카트리지(2)의 통모양의 본체(4) 외주면에 마련된 걸림돌기(7)와 다른쪽 카트리지(2)의 통모양의 본체(4) 외주면에 마련된 걸림홈(8)과의 맞걸림에 따라 양 카트리지(2), (2)는 횡방향으로 병렬상으로 떼고 붙일 수 있게 연결된다. 이 상태로 하면 1회 선긋기로 동시에 하나내지 수개의 평행성을 횡방향으로 연결한 카트리지(2)의 수에 따라 정확하게 그릴 수 있어 평행자의 사용 또는 수차에 걸친 선긋기의 수고를 덜 수가 있다.
또, 상기 평행선은 직선에 한하지 않고 평행곡선이나 불규칙한 평행선을 한번의 동작으로 용이하게 그릴수가 있다. 따라서, 도안, 공고화면, 블록문자 등의 작성에 이용하기 편리하다.
심(13)이 마멸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제1도의 최선단의 카트리지(2)를 벗겨 말단의 카트리지(2)에 연결하고 선단으로 부터 두번째 카트리지(2)의 심을 사용한다.
또, 제9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필기구를 분해하여 카트리지(2)를 적목블록 또는 기본 유니트로 하여 종.횡방향으로 임의로 조립할 수 있다. 제9도는 예배당을 본 뜬 것을 나타내는데, 그 밖에 자기의 창작에 따라 비행기, 동물, 건물, 다리 등 각종 형상으로 조립하는 적목완구로써 사용가능하여 학생 등의 상상력 계발에 기여한다. 이 경우에 심(13)이 마멸되지 아니한 블록으로도 적목완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심(13)이 마멸된 블록을 모아 적목 블록으로 이용하면 폐품이용이 되므로 검약에 도움이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2)를 구성하는 통모양의 본체(4)의 통모양의 돌기부(3)에 대하여 심부재(6)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카트리지(2)의 심부재(6)의 심(13)으로 연필심 이외의 다른 것, 예를들면 색연필, 탄필,크레용, 백목, 볼펜, 펠트펜 등의 심을 사용할수가 있으며 또, 같은 색, 다른색 나아가 다른 종류의 심, 예를 들면 눈썹그리는 연필(아이브로), 립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다른 용도로 쓰이는 것도 본고안에서 말하는 넓은 의미로서의 필기구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품으로서 종류가 다른 심, 동종의 심을 사용한 필기구외에 연필심 등을 가진 복수의 카트리지에 지우개 고무를 심으로 갖는 카트리지를 혼제시킬 수도 있다. 심부재(6)는 직경이 큰 크레용, 눈썹그리는 연필, 립스틱 등과 같은 심의 경우 심홀더를 사용하지 않고 막대기 모양의 심 자체를 카트리지(2)의 통모양의 돌기부(3)의 끼워맞춤 구멍(5)에 끼워 고정 또는 떼고 붙일 수 있게 끼워 지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 말단측 카트리지 심의 선단이 선단측에 인접하는 카트리지 심의 말단에 맞닿지 않도록 심의 길이를 선정하고 혹은 통모양의 본체(4)의 끼워 맞춤 길이를 연장하면 좋다. 심부재(6)의 횡단면 외형 형상은 원형 이외에 각형, 타원형 등으로 해도 좋으며, 이 경우 통모양의 돌기부(3)의 횡단면 외형상을 심부재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의 정방형 또는 장방향 통모양의 본체(4)의 네면에 걸림돌기(7)와 걸림홈(8)을 교호로 형성하였으나 본고안은 인접하는 양면에 걸림돌기, 걸림홈을 각각 형성해도 좋다. 또, 본고안은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각각 한쌍 마련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각각 1개 이상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두어도 좋고, 통모양 본체의 외주면에 임의로 다른 면에 횡방향으로 카트리지를 연결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배치하면 좋다.
따라서, 통모양 본체의 외주면에 1개의 걸림돌기와 복수개의 걸림홈을 마련하거나, 반대로 복수개의 걸림돌기와 한개의 걸림홈을 설치해도 좋다. 나아가 걸림돌기, 걸림홈의 횡단면 형상을 대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T자상 등이어도 좋다.
그리고, 본고안에 의한 카트리지(2)의 통모양의 본체(4)와 통모양의 돌기부(3)의 횡단면 형상은 제7도 (a)-(f)의 각 그림에 예시한 바와같이 삼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타원형, 원형, 기타 정방형, 장방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형상의 변화 및 조립 취미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카트리지는 대략 생산에 적합하도록 심을 제외한 각 부분을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사출성형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 상기 실시예에 의한 걸림돌기 및 걸림홈을 통모양의 본체의 외주면 종방향을 따라 형성한 것을 표시하였으나, 종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횡방향을 따라 형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카트리지를 통모양의 돌기부가 있는 통모양의 본체와 상기 통모양의 돌기부에 끼워지지되는 심부재로 구성하고 한쪽 카트리지의 통모양의 본체에 설치한 끼워맞춤 구멍에 다른쪽 카트리지의 통모양의 돌기부를 끼워 지지시키며, 복수개의 카트리지를 종방향으로 서로 종래 필기구와 같은 외통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최선단의 카트리지의 심이 마멸된 경우에는 최선단의 카트리지를 벗겨 최말단의 카트리지에 연결하는 것 만의 조작으로 선단으로 부터 두번째 카트리지의 심부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필기가능해지며, 또한 일부의 카트리지를 분실한 경우에도 필기구의 종방향 길이가 짧아질 뿐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본고안에 의하면 카트리지의 통모양의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한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에 다른 카트리지의 외주면에 형성한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를 맞끼움함으로써 복수개의 카트리지를 횡방향으로 병렬상으로 서로 떼고 붙일 수 있어 적목안구로 사용 가능하고, 심이 마멸된 카트리지를 상기 블록으로 이용하면 폐품이용도 된다. 나아가 필기구의 최선단부를 복수개의 카트리지가 횡방향으로 병렬상으로 연결한 상태로 조립하여 사용하면 복수개의 선을 동시에 그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A) 착색기재로 이루어진 심부재(6) 및 (B) 복수개의 카트리지(2)로 구성된 필기구로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① 종축 및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는 통모양의 본체(4) ; ② 상기 통모양 본체의 상기 제1단부와 일체로 동축방향으로 형성된 통모양의 돌기부 (3) [여기서 돌기부(3)은 이 돌기부와 통모양 본체와 동축으로 구획된 제1끼워맞춤 구멍(5)를 가지며, 통모양 본체(4)는 이 본체의 상기 제2단부에서 구획된 제2끼워맞춤 구멍을 가지며, 심부재(6)은 상기 제1끼워맞춤 구멍으로 끼워넣을 수 있고 또한 그 내부에 밀접하게 유지됨] ; ③ 통모양 본체(4)의 상기 종축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통모양 본체의 거의 전체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통모양 본체에서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부(7) ; 및 ④ 상기 통모양 본체의 상기 종축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통모양 본체의 거의 전체길이를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8)[여기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통모양 본체의 외단 표면에서 안쪽으로 넓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카트리지는 하나의 카트리지의 상기 통모양 돌출부를 다른 카트리지의 제2끼워맞춤 구멍에 부착하고 카트리지의 걸림돌기부를 평행 카트리지의 걸림홈과 측면으로 미끄럼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의해 서로 종방향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음]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선단과 밑동(butt)을 갖는 착색기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동은 상기 선단이 상기 제1끼워맞춤 구멍에서 바깥쪽으로 돌기하도록 상기 제1끼워맞춤 구멍내에 밀접하게 떼고 붙일 수 있게 수용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A) 심홀더(12)와 (B) 착색기재로 이루어진 심(13)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심은 선단과 밑동을 가지며, 상기 밑동은 상기 심 홀더내에 밀접하게 유지되며, 상기 심홀더는 상기 선단이 상기 제1끼워맞춤 구멍에서 바깥쪽으로 돌기하도록 상기 제1끼워맞춤 구멍내에서 떼고 붙일 수 있게 수용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19890016894U 1989-06-07 1989-11-15 필기구 KR9500004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4516 1989-06-07
JP1144516A JP2517761B2 (ja) 1989-06-07 1989-06-07 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529U KR910000529U (ko) 1991-01-22
KR950000490Y1 true KR950000490Y1 (ko) 1995-01-28

Family

ID=1536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894U KR950000490Y1 (ko) 1989-06-07 1989-11-15 필기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044804A (ko)
JP (1) JP2517761B2 (ko)
KR (1) KR950000490Y1 (ko)
CA (1) CA2007243C (ko)
DE (1) DE9000125U1 (ko)
ES (1) ES2024825A6 (ko)
FI (1) FI97205C (ko)
FR (1) FR2648084B3 (ko)
GB (1) GB2232382B (ko)
HK (1) HK132093A (ko)
IT (1) IT1238146B (ko)
NL (1) NL90006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229Y2 (ja) * 1991-02-14 1995-12-25 株式会社アイトピア 筆記具
JP3197160B2 (ja) * 1994-03-01 2001-08-13 有限会社日本アトゥー 媒体用容器
US6019535A (en) * 1996-01-16 2000-02-01 Chelsea Group Ltd. Felt-tip pen cover with eraser
CA2171355A1 (en) * 1996-03-08 1997-09-09 Paul Thomas Maddock Toy construction kit with interconnecting building pieces
FR2749222B1 (fr) * 1996-05-29 1998-07-03 Montigny Olivier Dispositif de protection de baton de craie
US5957601A (en) * 1998-02-23 1999-09-28 Weiss; Marla Multi-segment writing implement
US20030194257A1 (en) * 1998-12-23 2003-10-16 Collins Mark G. Writing instrument
US6149330A (en) * 1999-03-30 2000-11-21 Pioneer Industrial Corporation Building blocks type writing instrument
US6267475B1 (en) * 2000-02-26 2001-07-31 Hewlett-Packard Company Printer ink supply system
JP4789315B2 (ja) * 2000-10-04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モジュール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216846A1 (en) * 2000-12-12 2002-06-26 Mitchell A. Junkins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and toy
US6425703B1 (en) 2001-03-01 2002-07-30 Binney & Smith Inc. Writing elements which connect together
US6554517B2 (en) * 2001-07-19 2003-04-29 Cynthia G. Ahmed Multicolor marker
US6416166B1 (en) * 2001-08-16 2002-07-09 Eastman Kodak Company Ink cartridge with alignment features and method of inserting cartridge into a printer receptacle
FR2831099A1 (fr) * 2001-10-18 2003-04-25 Christian Prost Ensemble d'instruments pour ecrire et/ou dessiner tels que crayons, feutres, stylos
USD502506S1 (en) * 2002-10-04 2005-03-01 Dri Mark Products, Inc. Stackable marker
US20040258452A1 (en) * 2003-06-18 2004-12-23 Shyu Der Jon Multi-section body-painting crayon
US20050053411A1 (en) * 2003-09-10 2005-03-10 John Maldonado Pencil cap
US7607848B1 (en) * 2004-01-27 2009-10-27 Ahmed Cynthia G Selectably combinable multicolor modular marker and kit and pigment material dispensing means
CN100484777C (zh) * 2004-05-07 2009-05-06 桑福德有限合伙人公司 具有可拆卸连接的双涂覆组件的流体分配器
US6887006B1 (en) 2004-08-05 2005-05-03 Timothy E. Carpenter Crayons with associated carrying case
US20110236119A1 (en) * 2010-03-25 2011-09-29 Kevin Richer Block Crayon
CL2010000884A1 (es) * 2010-08-19 2011-02-18 Andres Bienzobas Saffie Fernando Metodo de impresion en dos dimensiones en un soporte de impresion en tres dimensiones, que comprende proveer un soporte de impresion, rellenar unos medios de soporte del soporte de impresion con un medio colorante, esperar que el medio colorante se seque, y cortar transversalmente de manera paralela la cara de impresion en una pluralidad de lonjas; y un bloque de impresion.
JP5731792B2 (ja) * 2010-10-25 2015-06-10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JP2012096520A (ja) * 2010-10-30 2012-05-24 Teruhisa Mochizuki 8面ブロック
CN102582318A (zh) * 2011-01-13 2012-07-18 K·理查尔 组合式蜡笔
CN202200702U (zh) * 2011-08-30 2012-04-25 富安发展有限公司 一种记号笔
EP2620292B1 (de) * 2012-01-27 2014-09-17 Faber-Castell AG Schreibgerätesystem
JP6199132B2 (ja) * 2013-09-10 2017-09-20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固形筆記体セット
USD752685S1 (en) * 2013-12-04 2016-03-29 Indiedesign Ltd. Pen
US9676225B2 (en) * 2014-05-02 2017-06-13 Jose John Quiroz-Ziebart Magnetized writing and amusement device
US10195894B2 (en) * 2014-10-16 2019-02-05 Jacob G Bussie Art medium surface treatment tool
FR3028727B1 (fr) * 2014-11-21 2018-01-26 L'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cosmetique de maquillage ou de soin
EP3244983B1 (en) * 2015-01-13 2019-03-20 Lego A/S A writing instrument and a toy building set comprising such a writing instrument
US9943947B2 (en) * 2015-09-10 2018-04-17 Allium Llc Multipurpose modular bit assembly
USD790311S1 (en) 2015-09-10 2017-06-27 Allium Llc Tool assembly
US9858827B2 (en) 2015-12-22 2018-01-02 Courtney Shirvani Caps and methods of usage
FR3047925B1 (fr) * 2016-02-23 2018-03-02 Maped Instrument d'ecriture, assemblages et pochette d'instruments d'ecriture
JP6742110B2 (ja) * 2016-02-25 2020-08-19 三菱鉛筆株式会社 熱変色性筆記具用の摩擦具組立体
USD812139S1 (en) * 2016-07-18 2018-03-06 Shin Feng Pen
US20180339542A1 (en) * 2017-05-25 2018-11-29 Crayola, Llc Stackable Chalk Dispensing Device
US10328743B2 (en) * 2017-08-31 2019-06-25 UFAB Moms, LLC Writing instrument attachment
DE102017009135A1 (de) * 2017-09-28 2019-03-28 vhf tools AG Verpackungsbehälter für einen länglichen Gegenstand wie einen Fräser, Bohrer oder dgl.
CN108297573A (zh) * 2018-01-30 2018-07-20 苏州市东成办公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铅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7413C (de) * 1920-12-24 1922-08-24 Hubert Micke Mehrfach-Schreibgeraet
US1737798A (en) * 1927-12-28 1929-12-03 Kinzinger Adolf Pencil holder for leads of different kind, thickness, or color
GB302836A (en) * 1928-02-22 1928-12-27 George Heaford Varley An improved pencil
BE465467A (ko) * 1938-10-06
GB509664A (en) * 1938-10-20 1939-07-19 Fred Samuel Richards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encils
GB862042A (en) * 1959-06-24 1961-03-01 Alexander Robert Herbert Building blocks
US3708235A (en) * 1970-11-30 1973-01-02 F Kolomeir Marking instrument
DE2206938A1 (de) * 1972-02-14 1973-08-23 Standardgraph Filler & Fiebig Behaelter fuer tuschezeichengeraete
US3993409A (en) * 1974-05-20 1976-11-23 Hart Una L Coloring pen assembly
DE2514041A1 (de) * 1975-03-29 1976-10-07 Klaus Kroner Schreib- oder zeichenstift mit einer schutzkappe
DE2938716C2 (de) * 1979-09-25 1981-10-22 The Parker Pen Co., Janesville, Wis. Schreibgerät mit mehreren zusammensteckbaren Schreibstiften
JPS63191075U (ko) * 1987-05-25 1988-12-08
IT1224690B (it) * 1987-07-29 1990-10-18 Pentel Kk Strumento di scrittura
FR2625911B1 (fr) * 1988-01-15 1990-06-08 Salomon Sa Fixation de securite pour sk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38146B (it) 1993-07-09
IT9019033A1 (it) 1990-12-08
GB9000255D0 (en) 1990-03-07
GB2232382A (en) 1990-12-12
IT9019033A0 (it) 1990-01-10
ES2024825A6 (es) 1992-03-01
FR2648084A1 (fr) 1990-12-14
JP2517761B2 (ja) 1996-07-24
CA2007243A1 (en) 1990-12-07
FI900671A0 (fi) 1990-02-12
DE9000125U1 (ko) 1990-03-15
KR910000529U (ko) 1991-01-22
JPH0313397A (ja) 1991-01-22
NL9000623A (nl) 1991-01-02
FI97205B (fi) 1996-07-31
CA2007243C (en) 1998-07-21
FR2648084B3 (fr) 1991-09-20
FI97205C (fi) 1996-11-11
HK132093A (en) 1993-12-10
GB2232382B (en) 1992-11-18
US5044804A (en) 199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490Y1 (ko) 필기구
US6149330A (en) Building blocks type writing instrument
JP2022020845A (ja) ノック式筆記具
JP2520375Y2 (ja) 多色筆記具
CN215792954U (zh) 一种积木式蜡笔
US20060062630A1 (en) Detachable liquid chalk assembly
CN209955596U (zh) 一种多用途笔
GB2213107A (en) Pens
JPH0111513Y2 (ko)
CN212280345U (zh) 一种多合一组合型化妆品容器
KR0138304Y1 (ko) 다용도 필기구
CN210082736U (zh) 多种用途笔结构
CN210881417U (zh) 造型笔
KR200221764Y1 (ko) 필기구
JPH0624233Y2 (ja) 組合せ筆記具
JP3066360U (ja) 筆記具
CN1003226B (zh) 变色笔
JPS59190587U (ja) 芯取り替え自在の鉛筆セツト
KR200186214Y1 (ko) 지우개를 가진 3색 보드마카
KR200371430Y1 (ko) 컬러볼싸인펜
JPH056154Y2 (ko)
KR820000649Y1 (ko) 볼 펜
KR20230070356A (ko) 교체가 가능한 삼색 볼펜형 색연필
JPS6153191U (ko)
KR101175739B1 (ko) 다심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