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024B1 - 유도식 전동차 - Google Patents

유도식 전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024B1
KR950000024B1 KR1019910000788A KR910000788A KR950000024B1 KR 950000024 B1 KR950000024 B1 KR 950000024B1 KR 1019910000788 A KR1019910000788 A KR 1019910000788A KR 910000788 A KR910000788 A KR 910000788A KR 950000024 B1 KR950000024 B1 KR 95000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ircuit
caster
angle
manual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226A (ko
Inventor
요시까즈 스기우라
히데오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033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329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072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2568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도식 전동차
제 1 도는 본 발명을 골트카트에 적용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 2 도는 동제어박스의 사시도
제 3 도는 동제어박스의 상면도
제 4 도는 동제어박스의 측면도
제 5 도는 동제어박스의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동제어박스의 요부단면도
제 7 도는 동제어박스내부의 분해사시도
제 8 도는 동요부사시도
제 9 도는 동캐스터 부분의 사시도
제 10 도는 동의관사시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캐스터 7 : 각도제어용 모우터
11 : 볼륨 14a, 14b : 검출코일
15 : 유도선 32 : 조작레버
37, 39 : 자석 40, 41 : 홀 IC
92 : 전환수단 95 : 제어회로 수단
본 발명은 노면에 매설한 유도선을 따라서 유도주행하는 유도식전동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카트(golf cart)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유도식 전동차로서는 예컨데 일본국 실공소 55-800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즉, 노면에 매설한 한 개의 유도선에 교류전류를 흘리고, 그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교번자계를 전동차 본체의 중심선 좌우에 등간격으로 설치한 2개의 검출코일로 검출하고, 그 각 검출코일에 발생하는 유기기전력을 비교하고, 그 유기기전력의 차에 의하여 전동차 본체에 대한 유도차륜(이하「캐스터」라고 한다)의 각도제어용 모어터를 제어하고, 그 캐스터의 방향을 변경하여 전동차 본체가 유도선을 따라서 유도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도전동차는 유도선상에 있어서는 유도선을 따라서 자동조타되지만, 유도선의 없는 곳을 주행할 때에는 수동조타를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수동조타에 의하여 주행방향을 변경할 때에는 유도전동차 본체에 고정된 핸들을 주행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주향 방향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어 주행 방향 변경에 큰 힘을 필요로 하여 조종성이 대단히 나쁜 결점이 있다.
그래서, 일본국 특개소 61-166605호 공보에서 검출코일사이에 발진코일을 이동자재하게 배치하고, 그 발진코일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검출코일의 검출출력에 편차를 발생시키고, 그 편차에 의거하여 전동차의 후퇴시에 캐스터의 방향을 고정하여 전동차를 조종성 좋게 후퇴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유도선 근방에 있어서는 발진 코일의 교번자계와 유도선의 교번자계를 검출코일이 검출하여 원하는 조종을 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종성을 향상시킨 유도식 전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모어터(3)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차륜(2)과, 각도 제어용모어터(7)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는 캐스터(5)와, 유도선(15)으로부터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코일과, 그 검출코일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동작시키는 유도검출수단(70)과,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와 조작수단(32)의 조작량을 비교하는 비교회로(90)를 갖고, 상기 비교회로(90)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동작하는 수동조타수단(87)과, 상기 유도선 검출수단(70)이나 상기 수동조타수단(87)중의 그 어느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동작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전환수단(9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 전동차이다.
상기한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선택수단에 의하여 유도모우드를 선택하면, 노면에 매설한 유도선에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여 유도선을 따라서 주행한다.
또 선택수단에 의하여 수동조타모우드를 선택하면,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유도선에 관계없이 주행한다.
본 발명의 유도선 전동차를 골프카트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1)은 본체로서, 후방양측에 구동차량(후륜)(2)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구동차륜(2)를 구동하는 구동모우터(3)와, 그 전원으로서의 납축전지 및 제어회로기판등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1)의 전방에는 부착스테이(4)가 설치되고, 그 스테이(4)에는 캐스터(5)가 부착스테이(4)에 대하여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캐스터(5)에는 유도차를(전륜)(6)이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7)은 상기한 부착스테이(4)에 장착된 각도 제어용모우터로서, 그 모우터축에 제 1 풀리(8)가, 또 캐스터(5)의 축에 제 2 폴리(9)가 각각 부착되고, 그 양풀리 사이를 타이밍 벨트(10)로 연결하고 각도제어용모우터(7)의 회전을 캐스터(5)에 전달하여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11)은 상기한 부착스테이(4)에 부착된 볼륨으로서, 그 회전축이 타이밍벨트(12)에 의해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의 모우터축이 연결되어 있고, 그 볼륨(11)에 의하여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13)은 상기 캐스터(5)에 부착되며 캐스터(5)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판으로서 그 지지판(13)의 선단 좌우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동일거리에 한쌍의 검출코일(14a)(14b)이 각각 소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그 한쌍의 검출코일(12a)(12b)은 노면에 매설된 유도선(15)에 교류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하여 유도선(15)으로부터 방사하는 교번자계를 검출하는 것이고, 그 검출출력의 편차에 의하여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제어하여 본체(1)에 대한 캐스터(5)의 각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16)은 상기 본체(1)로부터 후방으로 뻗어설치된 핸들로서, 그 근방에 브래이크 레버(17)가 배치되어 있다.
(18)은 상기 핸들(16)에 설치된 제어박스로서, 제 3 도에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좌측에 주조작부(19)를, 우측에 속도제어부(20)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주조작부(19)는 전원스위치(21), 유도선(15)을 매설한 노면의 근방에 미리 예정된 정지점의 표적으로 매설된 자석(22)의 자력을 센서(23)에 의하여 검출하여 골프카트를 정지시키는 스텐이션 정지모우드와, 센서 출력을 무효로 하여 스테이션을 통과시키는 스텐이션 통과모우드와를 선택하는 스텐이션 통과 선택스위치(24), 뒤에 설명하는 조작레버(32)의 조작에 의한 수동조타를 행하는가 아닌가를 선택하는 파워핸들 선택스위치(25)를 갖고 있고, 이 주조작부(19)는 덮개체(26)에 의하여 개폐자재하게 덮혀 있다.
상기 속도 제어부(20)는 뒤에 설명하는 조작레버(32)의 조작에 의한 수동조타때에 상기 구동모우터(3)의 출력을 전환하는 저속스위치(27), 중속스위치(28), 고속스위치(29)을 갖고 있다.
(30)은 상기 본체(1)의 주행을 시동시키는 시동스위치이다.
(31)은 상기 제어박스(18)측면에 형성된 키이스위치로서, 착탈자재한 키이에 의하여 ONㆍOFF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키이스위치(31)의 ON조작시에만 뒤에 설명하는 수동조타모우드와 유도모우드와의 선택이 가능하게되고, OFF시에는 수동조타모우드의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2)는 일단이 상기 제어박스(18)상면에 지지된 조작레버로서, 유동가능한 끝에 합성수지제의 조작부(33)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고 있고, 조작부(33)가 사용자 앞의 위쪽을 향하는 제 1 위치(제 3 도 및 제 4 도의 실선위치 및 제 2 도 참조)와 조작부(33)가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제어박스(18)의 오목부(34)에 눌러넣어져 조작레버(32)의 동작을 저지하는 제 2 위치(제 3 도 및 제 4 도의 점선 위치 참조)의 사이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레버(32)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 좌우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요동에 의하여 제어박스(18)내부에 배치된 볼륨(35)을 조작하고 그 볼륨(35)의 출력을 상기 캐스터(5)의 각도를 검출하는 볼륨(11)의 출력과 비교하여 양 출력이 동일하게 되게 각도제어용 모우터(7)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32)는 제 1 위치에 있어 좌우로의 요동력을 해제하면 중앙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32)는 제 2 위치에 있어서는 조작부(33)를 제어박스(18)의 오목부(34)에 눌러 넣어져 조작레버(32)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36)은 자석(37)을 수납한 합성수지제의 홀더로서, 조작레버(32)를 제 1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 조작레버(32)의 제어박스(18)와 대향하는 면에 매설되어 있다.
(38)은 자석(39)을 수납한 합성수지제의 홀더로서, 조작레버(32)를 제 2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 조작레버(32)의 제어박스(18)와 대향하는 면에 매설되어 있다.
홀더(36)(38)의 조작레버(32)를 제 1 위치에 위치시켜서 중립시켰을 때에, 상기 제어박스(18) 내의 홀더(36)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홀 IC로서, 조작레버(32)를 제 1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홀 IC(40)가 자석(37)의 자력을 검출하여 수동조타모우드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41)은 상기 조작레버(32)를 제 2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 상기 제어박스(18)내의 홀더(38)와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된 홀 IC로서, 조작레버(32)를 제 2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홀 IC(41)가 자석(39)의 자력을 검출하여 유도모우드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박스(18)의 상면에는 상기 조작레버(32)가 제 1 위치에서 요동할 때 홀더(36)의 반구형상 돌출부와 맞닿는 위치에 조작레버(32)의 요동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레버(32)의 요동범위에 걸쳐 원호형상의 홈부(42)가 형성되고, 그 홈부에 의하여 조작레버(32)를 요동조작했을때의 제어박스(18)상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조작레버(32)의 지지구조를 제 5 도 내지 제 8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43)은 상기 핸들(16)에 나사고정되는 고정금구로서, 대략 ㄷ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위벽면에 부착된 나사(44)를 핸들(16)에 부착된 브래키트(45)에 관통시키고, 그 나사(44)에 너트(46)를 조여서 고정금구(43)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금구(43)의 위 벽면에는 제어박스(18)의 합성수지제의 기대(47)가 나사고정되고, 그 기대에 기대의 하면 개구를 덮는 아래 커버(48)가 부착되어서 고정금구(43)를 덮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대(47)에는 대략 중앙부에 원형의 개구부(49)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49)의 주변 가장자리에 위 방향을 향하여 기대(47)와 일체로 둥근 고리 형상의 돌조(50)가 형성되어 있다.
(51)은 상기 고정금구(43)의 위 벽면과 아래 벽면을 관통하고, 그 위 벽면과 아래 벽면과에 의하여 회전 자재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으로서, 그 상단에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금구 (52)를 코우킹(caulking)으로 고정하고 있으며, 그 지지금구에는 회전축(51)의 근방에 핀(53)을 코우킹으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 지지금구(52)는 개구부(49)로부터 기대(47)의 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54)는 상기 지지금구(52)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기대(47)의 개구부(49) 위방향을 덮는 합성수지제인 반구 형상의 커버로서, 하면에 상기 개구부(49)주연의 돌조(50)외주에 근접하는 둥근 고리형상의 리브(55)가 형성되어 있고, 리브(55) 및 돌조(50)에 의하여 빗물 등이 개구부(49)에 의해 제어박스(18)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56)은 상기 조작레버(32)에 설치되어진 한쌍의 지지편으로서, 상기 커버(54)에 형성된 슬릿(57)내에 삽입되고, 그 커버(54)를 관통하는 축(58)에 의하여 조작레버(32)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54)에 형성되는 슬릿(57)은 커버(54)내부와 연통하지 않고, 또한 외주에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슬릿(57)에 떨어진 빗물 등은 커버(54)내부에 침입하는 일없이 슬릿(57)저부의 경사를 따라서 기대(47)위에 안내된다.
(59) 및 (60)은 일단이 적층된 상태이고, 그 일단을 상기 고정금구(43)의 위벽면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는 경우 한쌍의 금속제 아암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면에 절곡편(61)(62)을 절곡형성하며, 유통가능한 끝에 아암(59)(60)의 두께의 절반정도의 깊이의 좌압부(63)(64)를 형성한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압부(63)(64)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아암(59)이 위쪽을 향하고, 위쪽에 위치하는 아암(60)이 아래쪽을 향하게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65)는 상기 아암(59)(60)의 좌압부(63)(64)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일단을 코오킹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핀으로서, 타단이 고정금구(43)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아암(59)(60)은 일단을 적층하여 지지되어 있으나, 핀(65)의 고착되는 좌압부(63)(64)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아암(59)(60)이 위쪽을 향하여 아암(59)의 두께의 절반정도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 형상의 핀(65)을 코오킹으로 고정하면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단이 고정금구(43)에 대하여 동일 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된다.
따라서 뒤에 설명하는 스프링체(66)가 경사지게 가설되는 일없이 아암(59)(60)의 회전동작을 양호하게 행 할 수 있다.
(66)은 양단을 상기 핀(65)에 결고, 상기 아암(59)(60)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체로서, 아암(59)(60)의 절곡편(61)(62)사이에 회전축(51) 및 핀(53)을 끼워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32)를 좌우 방향에 요동시키면, 회전축(51)근방의 핀(53)이 어느 한편이 아암(59)(60)의절곡편(61)(62)을 눌러서 아암(59)(60)이 스프링체(66)의가세력에 대향하여 회전함으로 회전축(51)이 회전한다.
예컨데 좌측방향에 요동하면 핀(53)에 의하여 누름된 아암(60)이 스프링체(66)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회전한다.
한편 다른편의 아암(59)은 절곡편(61)이 회전축(51)에 맞닿아 있으므로 회전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조작레버(32)에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체(66)의 가세력에 의하여 아암(59)(60)이 복귀하고, 그 복귀에 의하여 핀(53)이 눌려서 회전축(51)이 중립위치로 복구하여 조작레버(32)가 중립위치에 복귀한다.
(67)은 상기 고정금구(43)의 위 벽면에 굳게 부착되고, 위 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쌍의 위치결정돌기로서, 상기 아암(59)(60)과 맞닿서 아암의 회전범위를 규제하여 조작레버(32)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67)에 의하여 조작레버(32)를 좌우 60°까지의 범위로 규제하여 너무 급격한 조작을 행하여 골프카트가 옆으로 구르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볼륨(35)은 고정금구(43)의 아래 벽면에 부착되고, 그 회전축을 아래 벽면을 관통시켜서 아래 벽면의 아래쪽으로 뻗개 설치하여 하단에 제 1 기어(68)를 부착하고, 그 제 1 기어(68)에 회전축(51)의 하단에 부착한 제 2 기어(69)를 맞물리게 하고, 제 1 기어(68)와 제 2 기어(69)의 맞물림에 의하여 회전축(51)의 회전을 볼륨(35)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그 볼륨(35)으로부터의 출력을 변동시켜서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제어하여 캐스터(5)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박스(18)로부터 배선은 핸들(16)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개구로부터 핸들(16)내부를 통하여 본체(1)내부에 배선되어 있다.
다음에 제 1 도에 의거하여 회로를 설명한다.
(70)은 노면에 매설된 유도선(15)를 검출하는 유도선 검출수단으로서, 유도선(15)에 교류전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교번자계를 검출하는 상기 검출코일(14a)(14b)과, 그 검출출력을 증폭하는 증폭회로(71a)(71b)와, 그 증폭 출력을 작동 비교하는 비교회로(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비교회로(72)의 편차 출력에 의거하여 초퍼회로(73)의 듀티가 제거되어 구동회로(74)에 의해 상기각도제어용 모우터(7)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75)는 주행거리를 계측하는 주행거리 계측수단으로서, 구동차륜(2) 또는 유도차륜(6)에 부착된 자석(76)으로부터의 자속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77)를 갖고 있고, 그 자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은 F-V변환회로(78)에서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주행거리신호 및 속도신호로서 뒤에 설며하는 제어회로 수단(95)에 출력된다.
(79)는 상기 본체(1)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해물과 근접을 검출하는 근접검출수단으로서, 본체(1)의 전방에 배치된 초음파발생수단 혹은 전파발생수단으로부터 방사된 초음파, 전파의 도플러효과(Doppereffect)에 의한 반사파를 검출하는 센서(80)와, 그 센서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소정치와 비교회로(81)로 이루어지고, 그 비교회로(81)에 의하여 센서(80)의 출력을 소정치와 비교하여 장해물과의 거리를 검출하고 장해물이 상기 소정치와 대응하는 이간 거리 이내에 근접하면 뒤에 설명하는 제어회로 수단(95)에 출력하여 제어회로수단(95)에 의하여 주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82)는 유도선(15)의 근방에 미리 설정된 정지점으로서 매설된 신호 발생원으로서의 자석(22)으로부터의 자석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 자석(22)의 자속을 검출하는 검출코일(23)의 출력이 증폭회로(83)에 의하여 증폭되어서 파형정형회로(84)에 의하여 파형정형되고, 이 파형 정형회로(84)의 출력이 뒤에 설명하는 제어회로수단(95)에 출력되고, 그 제어회로수단(95)은 상기 검출수단(82)의 출력에 의거하여 주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때 제어회로(95)은 상기 스테이션 통과 선택스위치(24)의 조작에 의하여 검출수단(82)의 출력에 의거하여 정지시키는 스테이션 정지모우드와 검출수단(82)의 출력에 관계없이 주행시키는 스테이션 통과모우드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어 선택된 모우드에 의거하여 주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85)는 제어회로수단(95)의 동작을 위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신호 발생수단으로서, 그 클럭신호를 제어회로 수단(95)의 지령에 의거하여 계수하는 타이머수단(86)에 출력하여 타이머 수단의 출력을 제어회로수단(95)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87)은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어하기 위한 수동조타수단으로서, 상기조작레버(32)의 요동조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볼륨(35)과, 그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회로(88)와, 상기 캐스터(5)의 각도를 검출하는 볼륨(11)과, 그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회로(89)와, 양증폭출력을 차등비교하는 비교회로(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비교회로(90)의 편차출력에 의거하여 초퍼회로(91)의 듀티가 제어되고, 상기 구동회로(74)에 의해 각도제어용모우터(7)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92)는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의 제어를 유도선 검출수단(70)에 의거한 제어, 즉 유도모우드와, 상기 수동조타수단(87)에 의거한 제어, 즉 수동조타모우드와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서, 상기 한쌍의 홀IC(40)(41)와, 전환회로(9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환회로(93)는 홀IC(40)(41)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레버(32)가 제 1 위치해 있는가, 제 2 위치에 있는가를 판별하고, 조작레버(32)가 제 1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수동조타수단(87)으로부터의 출력만을 구동회로(74)에 출력하고, 또한 조작레버(32)가 제 2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유도선 검출수단(70)으로부터의 출력만을 구동회로(74)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동조타모우드가 선택된 때 조작레버(32)를 요동하면 홀 IC(40)가 조작레버(32)에 매설된 자석(37)의 자력을 검출하지 않게 되지만, 상기 전환회로(93)는 제 1 위치에 조작레버(32)가 이동된 때에 홀 IC(40)이 자력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수동조타모우드로 전환하고, 그후는 자력의 검출에 관계없이 수동조타모우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전환회로(93)는 상기 키이스위치(31)가 OFF로 전환된 때 수동조타수단(87)으로부터의 출력을 차단하는 스위치 수단을 갖고 있고, 키이스위치(31)를 OFF로 한 상태에서는 유도모우드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94)는 상기 전원스위치(21), 스테이션 통과 전원스위치(24), 파워핸들 선택스위치(25), 저속스위치(27), 중속스위치(28), 고속스위치(29), 스타아트스위치(30)를 가지는 콘트롤부로서, 상기 각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하여 제어회로 수단(95)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속스위치(27), 중속스위치(28), 고속스위치(29)는 수동조타모우드 선택때의 속도제어를 행하는 것이고, 콘트롤(94)는 저속스위치(27), 중속스위치(28), 고속스위치(29)의 조작을 기억하는 수단을 갖고, 유도모우드를 경유하여 재차 수동조타모우드로 전환되었을 때, 기억수단에 기억한 속도를 제어회로수단(95)에 출력하고, 전회의 수동조타모우드 선택시에 설정된 속도로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95)는 제어회로수단으로서 마이크로세서를 포함하고, 각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회로(96)에 의해 구동차륜(2), 구동용의 구동모우터(3), 브레이크 수단(97)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어회로 수단(95)은 홀 IC(40)(41)중 어느 한쪽의 자력을 검출하지 않으면 즉 조작레버(32)가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중립위치인가, 혹은 제 2 위치인가의 어느것에 확실하게 위치해있지 않으면, 상기 스타아트 스위치(30)를 조작하여도 스타아트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98)은 상기 전원스위치(21), 스텐이션 통과 전원스위치(24), 파워핸들선택스위치(25), 저속스위치(27), 중속스위치(28), 고속스위치(29), 스타아트스위치(30)의 조작에 의하여 점등하는 표시부(99), 스텐이션 통과 전환스위치(21)의 조작에 의하여 점등하는 표시부(100), 파워 핸들 선택스위치(25)의 조작에 의하여 점등하는 표시부(101), 저속스위치(27)의 조작에 의하여 점등하는 표시부(103), 고속스위치(29)의 조작에 의하여 점등하는 표시부(104)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레버(32)를 제 2 위치에 이동시키면,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홀 IC(41) 이 자력을 검출하고, 그 출력에 의거하여 전환회로(93)가 유도선 검출 수단(70)으로부터의 출력만을 구동회로(74)에 출력하는 유도모우드로 전환한다.
상기 유도모우드 선택 상태에 있어서 스타아트 스위치(30)를 조작하면, 그 출력이 제어회로수단(95)에 출력되고, 그 제어회로수단(95)이 구동회로(96)에 의해 구동모우터(3)를 구동하여 골프카트를 주행시킨다.
또 검출코일(14a)(14b)이 유도선(15)에 발생하는 교번자계를 검출하고, 그 검출출력의 차에 의하여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제어하고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제어하여 골프카트를 유도선(15)에 따라서 주행시킨다. 이 유도모우드 선택 때에 있어서는 조작레버(32)는 그 조작부(33)를 제어박스(18)의 오목부(34)에 눌러넣어져 있으므로 주행시의 진동에 의하여 조작레버(32)가 진동하여 제어박스(18)와 조작레버(32)와의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조작레버(32)는 조작부(33)가 오목부(34)에 눌러 넣어져 있으므로 요동조작이 불가능하게 되며 실수로 조작하는 일이 없이 조정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레버(32)를 제 1 위치에 이동하면 제 1 위치에 대응하는 홀 IC(40)이 자석(37)의 자력을 검출하여 홀 IC(40)의 출력에 의거하여 전환회로(93)가 수동조타수단(87)으로부터 출력만을 구동회로(74)에 출력하는 수동조우타모우드로 전환한다.
이 수동조타모우드 선택상태에 있어 스타아트스위치(30)를 조작하면 그 출력이 제어회로수단(95)에 출력되고, 그 제어회로 수단이 수동회로(96)에 의해 구동모우터(3)를 구동하여 골프카트를 주행시킨다.
그리고 조종자가 주행시키고자 하는 방향에 조작레버(32)를 조작하면 조작레버(32)의 조작에 따라서 볼륨(35)이 제어되고, 그 볼륨(35)으로 부터의 출력과 케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검출하는 볼륨(11)의 출력을 비교하고 그 비교치에 따라서 구동회로(74)가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제어하고, 조작레버(32)의 조작에 따라서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제어하여 주행방향을 조정자의 희망하는 방향으로 조타한다.
이 수동조타모우드에 있어서는 조종자가 조작레버(32)를 꽉놀러서 조작하는 바, 조작레버(32)에 장착한 홀더(36)의 반구형상 돌출부를 제어박스(18)에 형성한 흠부(42)에 맞닿게 하고 다른 부분이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어박스(18)의 상면이 손상되는 일이 없이 장기간에 걸쳐 외관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홈부(42)는 조작레버(32)의 요동범위에 걸쳐 형성해있으므로, 홈부(42)가 조작레버(32)의 요동범위를 표시하게 되고, 조종자가 조작레버(32)를 요동범위 이상으로 요동하여 손상한다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홈부(42)의 형성에 의하여 홀 IC(40)와 자석(37)과가 근접하게 되고 홀 IC(40)이 보다 확실하게 자력을 검출하여 모우드 전환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조작레버(32)를 제 1 위치 혹은 제 2 위치로 전환할 생각이 있어도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특히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전환할 생각이 있어도 조작레버(32)의 조작부(33)가 제어박스(18)의 오목부(34)에 완전히 눌러넣어져 있지 않아 스타아트스위치(30)를 조작하면 이전의 모우드로 주행할 염려가 있으나, 제어회로수단(95)은 어느 한쪽의 홀 IC(40)(41)이 자력을 검출하고 있지 않으면 스타아트 신호를 접수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전의 모우드로 주행하는 일없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캐디 부족에 의하여 경기할 때에 캐디가 따라 다니지 않은 경우가 있고, 그 경우 경기자가 골프카트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바, 조작에 숙달하지 않는 경기자가 수동조타모우드로 조종하면 골프카트를 연못에 빠뜨릴 염료가 있다.
그러나 키이스위치(31)를 OFF로 하여 키이를 빼면 조작레버(32)를 제 1 위치에 이동시켜도 수동조타모우드에 이행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조작에 숙달하지 않는 경기자가 조절할 경우라도 골프카트를 연못에 빠뜨리는 일은 없다.
다음에 차고에 입고한 골프카트를 출고할 때의 조작을 설명한다.
전원스위치(21)를 조작한 상태에서 제어회로수단(95)이 브레이크 수단(97)으로 브레이크를 건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박스(18)의 이면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해방스위치를 조작하여 브레이크를 해방하고 조작레버(32)를 제 1 위치에 이동하여 수동조타모우드를 선택한다.
조작레버(32)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조작레버(32)는 중립위치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캐스터(5)는 본체(1)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고정되어 있고, 이 조작레버(32)를 중립위치에 유지시킨 채로 핸들(16)을 감아당기어 골프카트를 똑바로 후진시켜서 출고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조작레버(32)를 조작하여 캐스터(5)의 방향을 변경하여 골프카트를 곡선적으로 후진시켜서 출고할 수 있다.
제 11 도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105)는 노면에 매설된 유도선(15)을 검출하는 유도선 검출수단으로서, 유도선(15)에 교류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하여 유도선(15)에 발생하는 교번자계를 검출하는 검출코일(14a)(14b)와, 그 검출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회로(106a)(106b)로 구성되어 있고, 유도선 검출수단(105)으로부터의 출력을 뒤에 설명하는 전환수단(11), 비교회로(112), 최초회로(113)에 의해 구동회로(114)에 출력하고, 구동회로(114)에 의하여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구동하고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제어하여 골프카트를 유도선(15)에 따라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107)은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어하기 위한 수동조타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레버(32)의 요동조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볼룸(35)과, 그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회로(108)와, 상기 캐스터(5)의 각도를 검출하는 볼룸(11)과, 그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회로(109)로 구성되어 있고, 수동조타수단(105)로부터의 출력을 뒤에 설명하는 전환수단(11), 비교회로(112), 초퍼회로(113)에 의해 구동회로(114)에 출력하고, 구동회로(114)에 의하여 각도제어용 모우터(7)를 구동하고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를 제어하여 골프카트를 조작레버(32)의 조작에 의하여 조종하도록 되어 있다.
(110)은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의 제어를, 유도검출수단(105)에 의거한 제어 즉 유도모우드와, 상기조타수단(107)에 의거한 제어 즉 수동조타모우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서, 상기 한쌍의 홀 IC(40)(41)과 전환회로(1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환회로(111)는 홀 IC(40)(41)로 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레버(32)가 제1위치에 위치해 있는가, 제2위치해 있는가를 판별하고, 조작레버(32)가 제1위치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수동조타수단(107)으로 부터의 출력만을 비교회로(112),초퍼회로(113)을 통해서 구동회로(114)에 출력하고, 또한 조작레버(32)가 제2위치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유도선검출수단(105)으로부터의 출력만을 비교회로(112),초퍼회로(113)을 통해서 구동회로(114)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110)은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의 제어를, 유도선검출수단(105)에 의거한 제어 즉 유도모우드와, 상기 수동조타수단(107)에 의거한 제어 즉 수동조타모우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서, 상기 한쌍의 홀 IC(40)(41)과 전환회로(1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환회로(111)는 홀 IC(40)(41)로 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레버(32)가 제 1 위치에 위치해 있는가, 제 2 위치에 위치해 있는가를 판별하고, 조작레버(32)가 제 1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수동조타수단(107)으로 부터의 출력만을 비교회로(112), 초퍼회로(113)을 통해서 구동회로(114)에 출력하고, 또한 조작레버(32)가 제 2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유도선검출수단(105)으로부터의 출력만을 비교회로(112), 초퍼회로(113)을 통해서 구동회로(114)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112)는 상기 유도선 검출수단(105)의 증폭출력, 혹은 수동조타수단(107)의 증폭출력을 비교하는 비교회로로서, 이 비교회로(112)의 편차출력에 의거하여 초퍼회로(113)의 듀티가 제어되고 구동회로(114)에 의하여 구동 제어용 모우터(7)의 본체에 대한 각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본 제 2 실시예의 회로구성이면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 유도선 검출수단(87)에 출력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었던 비교회로(72)(90) 및 초퍼회로(73)(91)를 겸용할 수 있어 회로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도선을 따라서 주행시키는 유도모우드와,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조종하는 수동조타모우드를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어서 조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동조타모우드에 있어서는, 유도선에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코일의 출력에 관계없이 조작수단의 조작량과 캐스터 본체에 대한 각도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캐스터의 각도를 제어하므로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한 확실한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유도모우드와 수동조타모우드와의 선택은 수동조타를 행하기 위한 조작수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행할 수 있어서 모우드 전환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유도모우드에 있어서의 조작수단은 조작불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므로 조작수단을 실수로 조작한다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구동모우터(3)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차륜(2)과, 각도제어용모우터(7)의 동작에의하여 회전하는 캐스터(5)와, 유도선(15)으로부터의 자계를 검출하는 검출코일과, 그 검출코일의 검출 출력에 따라서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동작시키는 유도선검출수단(70)과, 캐스터(5)의 본체(1)에 대한 각도와 조작수단(32)의 조작량을 비교하는 비교회로(90)를 갖고, 상기 비교회로(90)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동작시키는 수동조타수단(87)과, 상기 유도선검출수단(70)이나 상기 수동조타수단(87)중의 그 어느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각도제어용모우터(7)를 동작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전환수단(9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식전동차.
KR1019910000788A 1990-04-19 1991-01-18 유도식 전동차 KR950000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03342 1990-04-19
JP2-103342 1990-04-19
JP2103342A JP2532966B2 (ja) 1990-04-19 1990-04-19 運搬車
JP2107218A JP2552568B2 (ja) 1990-04-23 1990-04-23 ゴルフ場における運搬車
JP2-107218 1990-04-23
JP?2-107218 1990-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226A KR910018226A (ko) 1991-11-30
KR950000024B1 true KR950000024B1 (ko) 1995-01-07

Family

ID=2644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788A KR950000024B1 (ko) 1990-04-19 1991-01-18 유도식 전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896A (ko) * 2000-06-01 2001-12-08 박종섭 전장품박스의 손잡이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226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9554B2 (en) Travel speed controller for electrically powered light weight vehicle, and electrically powered light weight vehicle
CN109263690B (zh) 手推式电动搬运车
KR950000024B1 (ko) 유도식 전동차
JP2517440B2 (ja) ゴルフ場における運搬車
JP2513522B2 (ja) ゴルフ場における運搬車
JP2532966B2 (ja) 運搬車
JP2552568B2 (ja) ゴルフ場における運搬車
JP2865638B2 (ja) 誘導式ゴルフカート
JP2517439B2 (ja) 運搬車
JPH047714A (ja) 誘導式電動車
KR100478595B1 (ko) 무인 반송차
JPH045166A (ja) 電動車
JP2883461B2 (ja) ゴルフカート
JP2001334866A (ja) 車 両
JP2859079B2 (ja) 運搬車
JPS6031620A (ja) 誘導式電動車
JP2001245402A (ja) 電動車
JP2004152117A (ja) 電磁誘導式ゴルフカートの障害物回避システム
JP3359022B2 (ja) 荷役車両
JPS6048509A (ja) 誘導式電動車
JPH1094561A (ja) 電動車椅子
JPH0477322B2 (ko)
JPH05119830A (ja) 誘導式電気車装置
JP2554808Y2 (ja) 電動車両のアクセル開度センサ
JP2740379B2 (ja) 電気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