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938B1 - 직렬 데이타 통신용 제어기와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직렬 데이타 통신용 제어기와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11938B1 KR940011938B1 KR1019900014806A KR900014806A KR940011938B1 KR 940011938 B1 KR940011938 B1 KR 940011938B1 KR 1019900014806 A KR1019900014806 A KR 1019900014806A KR 900014806 A KR900014806 A KR 900014806A KR 940011938 B1 KR940011938 B1 KR 9400119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ck
- serial data
- controller
- bit length
- du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47—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 G06F13/425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using a clocked protoc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Microcomput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7)
- 직렬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수신측에 제공되어 그 송신측으로부터 직렬 데이타를 수신하는 제어기에있어서, 내부버스(21)에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의 대상으로 되는 임의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직렬로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의 비트길이를 임의로 설정하는 비트길이 설정수단(7); 메모리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송신측에서의 직렬 데이타, 첫번째 클럭(CK), 및 두번째 클럭(DCK)에 응답하여,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할때 직렬 데이타를 첫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 하고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지 않을때 직렬 데이타를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는 동기화 수단(40, 2); 및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첫번째 클럭을 계수하고, 첫번째 클럭의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하여 설정된 값 이내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게 하는 첫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고, 계수 값의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하여 설정된 값 이외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지 못하게 하는 두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는 통신 제어수단(13)으로 구성되며, 첫번째 지속기간이 상기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될때,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의 데이타가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어 내부 버스에 수신된 직렬 데이타로 출력되고, 두번째 지속기간이 상기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될때, 내부 버스에 직렬 데이타의 수신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동기화를 위한 제어 클럭, 두번째 클럭 및 두번째 클럭과 동기화한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수단(30)으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통신 제어수단이 첫번째와 두번째 클럭을 계수하는 카운터(8) 및 카운터에 의하여 계수된 값이 비트길이 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비트 위치에 대응하는 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출하는 비교기(9)로 구성되어, 첫번째 지속기간 또는 두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카운터와 비트길이 설정수단이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내부버스를 거쳐 공급된 지시에 따라 각각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의 개시 비트 위치와 정지 비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동기화 수단이 클럭 발생수단으로부터의 클럭에 응답하고, 직렬 데이타를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를 행하여 첫번째 클럭으로서 내부 클럭을 출력하는 동기화 회로(40), 및 제어 신호(RX)에 응답하여 동기화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첫번째 클럭 또는 클럭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두번째 클럭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클럭 제어기(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클럭 제어기는 카운터가 계수동작을 시작할때부터 비교기가 비트길이 설정 수단에 있는 정지비트 위치에 대응하는 값과 카운터에서 계수된 값과의 일치함을 검출할때까지 첫번째 클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동기화 회로가 송신측으로 부터의 직렬 데이타를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여 동기화된 데이타를 메모리 수단에 송신하는 동기화 블럭(41),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클럭 제어기에 첫번째 클럭의 출력 또는 그 출력의 억제를 제어하는 동기화 블럭(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클럭이 송신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경우에, 동기화 회로가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 하기 위하여 첫번째 클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8항에 있어서, 동기화 회로가 두번째 클럭과 함께 송신측으로부터의 직렬 데이타를 동기화하여 메모리 수단에 동기화된 데이타를 송신하는 동기화 블럭(41), 두번째 클럭과 함께 외부 클럭을 동기화하는 동기화 블럭(42), 동기화된 외부 클럭 또는 내부 클럭을 선택하는 선택기(43),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클럭 제어기에 선택된 클럭의 출력과 또는 그 출력의 억제를 제어하는 동기화 블럭(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가 칩 형태로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는 내부 버스에 연결된 CPU와 함께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에 있는 직렬 데이타가 첫번째 지속기간의 첫번째 클럭과 두번째 지속기간의 두번째 클럭에 의하여 이동되고, 두번째 클럭의 주파수가 첫번째 클럭의 주파수보다 높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직렬 데이타를 통신 시스템의 송신측에 제공되어 그 수신측에 직렬 데이타를 송신하는 제어기에 있어서,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의 대상으로 되는 소정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직렬로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1); 메모리 수단 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의 비트길이를 임의로 설정하는 비트길이 설정수단(7); 메모리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첫번째 클럭(CK)과 두번째 클럭(DCK)에 응답하여,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할때 직렬 데이타와 함께 동기화 하고,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지 않을때 직렬 데이타와 함께 동기화하는 동기화 수단(40, 2);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첫번째 클럭을 계수하고, 첫번째 클럭의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하여 설정된 값이내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게 하는 첫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며, 계수값이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하여 설정된 값 이외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지 못하게 하는 두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는 통신 제어수단(13); 및 메모리 수단, 통신 제어수단 및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첫번째 지속기간이 상기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될때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직렬 데이타중에서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출력하고 두번째 지속기간이 상기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될때 직렬 데이타의 송신을 억제하는 출력 제어수단(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동기화를 위한 제어클럭, 두번째 클럭 및 두번째 클럭과 동기화한 내부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수단(30)으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통신 제어수단이 첫번째와 두번째 클럭을 계수하는 카운터(8)와 계수된 값이 비트길이 설정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비트 위치에 대응하는 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출하는 비교기(9)로 구성되어, 첫번째 지속기간 또는 두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4항에 있어서, 비트길이 설정 수단이 내부 버스에 연결되고 내부 버스를 거쳐 공급된 지시에 따라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의 개시 비트 위치와 정지 비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5항에 있어서, 출력 제어수단이 비교기의 출력 및,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여 동기화 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Q)에 응답하고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형성하는 게이트 회로(14-16, 22, 23)로 구성되어, 직렬 데이타의 출력 또는 직렬 데이타의 출력의 억제가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6항에 있어서, 동기화 수단이 클럭 발생수단으로 부터의 클럭에 응답하고 두번째 클럭과 함께 직렬 데이타의 동기화를 행하며 첫번째 클럭으로서 내부 클럭을 출력하는 동기화 회로(40), 및 제어신호(RX)에 응답하여 동기화 회로로 부터 출력되는 첫번째 클럭 또는 클럭 발생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두번째 클럭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클럭 제어기(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7항에 있어서, 클럭 제어기는 비교기가 비트길이 설정 수단에서의 개시 비트 위치에 대응하는 값과 카운터에서의 계수값과의 일치를 검출할때 부터 비트길이 설정 수단에서의 정지 비트 위치에 대응하는 값과 카운터에서의 계수값과의 일치를 검출할때까지 첫번째 클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7항에 있어서, 동기화 회로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클럭 제어기에 첫번째 클럭의 출력 또는 그 출력의 억제를 제어하는 동기화 블럭(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클럭이 수신측으로 부터 공급되는 경우에 동기화 회로가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기 위하여 첫번째 클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20항에 있어서, 동기화 회로가 두번째 클럭과 함께 외부 클럭을 동기화하는 동기화 블럭(42), 동기화된 외부 클럭 또는 내부 클럭을 선택하는 선택기(43), 및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클럭 제어기에 선택된 클럭의 출력 또는 그 출력의 억제를 제어하는 동기화 블럭(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제어기가 칩형태로 마이크로 컴퓨터내의 내부 버스에 연결된 CPU(20)과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에 있는 직렬 데이타가 첫번째 지속 기간의 첫번째 클럭과 두번째 지속기간의 두번째 클럭에 의하여 이동되고 두번째 클럭 주파수는 첫번째 클럭 주파수보다 높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 송신측에 제공된 마이크로 컴퓨터(S)와 수신측에 제공된 마이크로 컴퓨터(R1)를 포함하고 각각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제어기(100)와 내부버스(21)를 거쳐 제어기에 연결된 CPU(20)을 포함하는 직렬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측에서의 제어기가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의 대상이 되는 소정의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직렬로 기억하는 첫번째 메모리 수단, 첫번째 메모리 수단으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의 비트크길이를 임의로 설정하는 비트길이 설정 수단, 첫번째 메모리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첫번째 클럭과 두번째 클럭에 응답하여,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할때 첫번째 클럭과 함께 직렬 데이타를 동기화 하고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지 않을때 두번째 클럭과 함께 직렬 데이타를 동기화하는 첫번째 동기수단, 첫번째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첫번째 클럭을 계수하고, 첫번째 클럭의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이내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게 하는 첫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며, 계수값이 상기 임의적으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 이외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지 못하게 하는 첫번째 통신 제어수단, 및 첫번째 메모리 수단, 첫번째 통신 제어수단 및 첫번째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첫번째 지속기간이 상기 첫번째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될때 첫번째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직렬 데이타 중에 임의로 설정된 비트 길이의 데이타를 출력하며 두번째 지속기간이 첫번째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될때 직렬 데이타의 송신을 억제하는 동기화 수단으로 구성되며, 수신측에서의 제어기가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의 대상이 되는 소정의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직렬로 기억하는 두번째 메모리 수단, 두번째 메모리 수단으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의 비트길이를 임의로 설정하는 비트길이 설정수단, 두번째 메모리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송신측으로부터의 직렬 데이타, 첫번째 클럭 및 두번째 클럭에 응답하여,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할때 직렬 데이타를 첫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고,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지 않을때 직렬 데이타를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는 두번째 동기화 수단, 및 두번째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첫번째 클럭을 계수하고, 첫번째 클럭의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 이내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게 하는 첫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며,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이외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지 못하게 하는 두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는 두번째 통신 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첫번째 지속 기간이 두번째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에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의 데이타가 상기 두번째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어 내부 버스에 수신된 직렬 데이타를 출력하고, 두번째 지속기간이 두번째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에 직렬 데이타의 수신이 내부 버스에서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데이타 통신 시스템.
- 송신측에 제공되고 제어기(100)와 내부 버스(21)를 거쳐 제어기에 연결된 CPU(21)를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S)와 수신측에 제공되고 직렬 데이타와 제어기에서의 클럭을 수신하는 액정장치용 구동기(R2)를 포함하는 직렬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의 대상이 되는 임의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직렬로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 메모리 수단으로 부터 송신되는 데이타의 비트길이를 임의로 설정하는 비트길이 설정수단; 메모리 수단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첫번째 클럭 및 두번째 클럭에 응답하여,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할때 직렬 데이타를 첫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고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지 않을때 직렬 데이타를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는 동기화 수단;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첫번째 클럭을 계수하고, 첫번째 클럭의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 이내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게 하는 첫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며,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 이외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지 못하게 하는 두번째 지속 기간을 지시하는 통신 제어수단; 메모리 수단, 통신 제어수단 및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첫번째 지속 기간이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될때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직렬 데이타중에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출력하고, 두번째 지속기간이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될때 직렬 데이타의 송신을 억제하는 출력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데이타 통신 시스템.
- 송신측에 제공되고 제어기(100)와 내부 버스(21)를 거쳐 제어기에 연결된 CPU(20)를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S'), 및 수신측에 제공되고 직렬 데이타와 각각 칩 인에이블 신호와 기록 인에이블 신호로서 제어기로 부터 공급된 클럭을 수신하는 직렬 데이타 통신의 대상이 되는 소정 비트길이의 메모리 칩(R3)을 포함하는 직렬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의 대상이 되는 임의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직렬로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 메모리 수단으로 부터 송신되는 데이타의 비트길이를 임의로 설정하는 비트길이 설정 수단; 메모리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첫번째 클럭 및 두번째 클럭에 응답하여,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할때 직렬 데이타를 첫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고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지 않을때 직렬 데이타를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 하는 동기화 수단;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첫번째 클럭윽 계수하고, 첫번째 클럭의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 이내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게 하는 첫번째 지속 기간을 지시하고,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 이외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지 못하게 하는 두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는 통신제어수단; 및 메모리 수단, 통신 제어수단, 및 동기화 수단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첫번째 지속기간이 통신 제어수단에 지시되는 경우에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직렬 데이타중에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출력하고, 두번째 지속기간이 상기 통신 제어수단에 지시되는 경우에 직렬 데이타의 송신을 억제하는 출력 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메모리칩이 직렬 데이타와 제어기로 부터 공급된 클럭에 의하여 병렬 형태로 데이타의 기록/판독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데이타 통신 시스템.
- 송신측에 제공되고 제어기(100)와 내부 버스(21)을 거쳐 제어기에 연결된 CPU(20)를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S'), 및 수신측에 제공된 제어하에 시스템을 포함하는 직렬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 버스에 연결되고 직렬 데이타 통신의 대상이 되는 비트길이의 데이트를 직렬로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 메모리 수단으로 부터 송신되는 데이타의 비트길이를 임의로 설정하는 비트길이 설정 수단; 메모리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첫번째 클럭 및 두번째 클럭에 응답하여,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할때 직렬 데이타를 첫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하고,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지 않을때 직렬 데이타를 두번째 클럭과 함께 동기화 하는 동기화 수단;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첫번째 클럭을 계수하고, 첫번째 클럭의 계수값이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이내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게 하는 첫번째 지속 기간을 지시하며, 계수값이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에 의해 설정된 값이외에 있을때 제어기가 직렬 데이타 통신을 하지 못하게 하는 두번째 지속기간을 지시하는 통신 제어수단; 및 메모리 수단, 통신 제어수단, 및 동기화 수단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직렬 데이타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첫번째 지속기간이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에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직렬 데이타중에 상기 임의로 설정된 비트길이의 데이타를 출력하고, 두번째 지속기간이 통신 제어수단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에 직렬 데이타의 송신을 억제하는 출력 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제어하에 시스템이 다수의 메모리 칩(R31, R32)에, 제어기로 부터 공급된 클럭의 에지를 검출하는 회로(114), 및 제어기로 부터 공급된 직렬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래치하고 회로의 출력에 응답하여 그 데이타를 이동시키는 레지스터 수단(112)으로 구성되어, 제어기로 부터 공급된 직렬 데이타에 의하여 직렬 형태로 데이타의 기록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데이타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242675A JP2851879B2 (ja) | 1989-09-19 | 1989-09-19 | データ通信装置 |
JP01-242675 | 1989-09-19 | ||
JP1-242675 | 1989-09-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7309A KR910007309A (ko) | 1991-04-30 |
KR940011938B1 true KR940011938B1 (ko) | 1994-12-27 |
Family
ID=1709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14806A Expired - Fee Related KR940011938B1 (ko) | 1989-09-19 | 1990-09-19 | 직렬 데이타 통신용 제어기와 그 시스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199107A (ko) |
EP (1) | EP0418776B1 (ko) |
JP (1) | JP2851879B2 (ko) |
KR (1) | KR940011938B1 (ko) |
DE (1) | DE69032956T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52589A1 (ko) * | 2010-06-03 | 2011-12-08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신호처리장치 및 그 신호처리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14721A (en) * | 1991-05-29 | 1995-05-09 | Sharp Kabushiki Kaisha | Serial data receiving device |
JP3088180B2 (ja) * | 1992-03-26 | 2000-09-18 |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 シリアル入力インタフェース回路 |
US5524237A (en) * | 1992-12-08 | 1996-06-04 |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 Controlling data transfer between two microprocessors by receiving input signals to cease its data output and detect incoming data for reception and outputting data thereafter |
FR2699707B1 (fr) * | 1992-12-23 | 1995-01-27 | Bull Sa | Système informatique à haut débit, composant de mémoire et contrôleur de mémoire en résultant. |
JPH07129486A (ja) * | 1993-10-29 | 1995-05-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シリアル通信回路 |
JPH07225263A (ja) * | 1994-02-09 | 1995-08-22 | Advantest Corp | ビット誤り測定器 |
JPH08161259A (ja) * | 1994-11-30 | 1996-06-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直列データ受信装置及び直列データ転送装置 |
KR0167938B1 (ko) * | 1995-08-28 | 1999-01-15 | 배순훈 | 데이터 전송망의 통신상태 감지회로 |
US6069926A (en) | 1996-10-30 | 2000-05-30 | Canon Kabushiki Kaisha |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
US6026453A (en) * | 1997-07-15 | 2000-02-1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for facilitating serial data communications utilizing number of cycles input signal remained asserted to indicate data output logical state |
US9658857B2 (en) * | 1997-11-14 | 2017-05-23 | Thang Tra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or to operate at its natural clock frequency in the system |
WO2001059577A1 (de) * | 2000-02-07 | 2001-08-16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und schnittstelleneinrichtung zur kopplung unabhängiger prozessorbussysteme |
JP2002041322A (ja) | 2000-07-26 | 2002-02-08 | Sumitomo Wiring Syst Ltd | 車載用電子ユニットの検査方法 |
KR100441601B1 (ko) * | 2001-10-19 | 2004-07-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모리 카드, 디지털 기기 및 메모리 카드와 디지털 기기사이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 |
JP4780029B2 (ja) * | 2007-05-08 | 2011-09-2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送信機、受信機、送信方法、受信方法、固定長シリアル・バースト・データ転送システム、半導体装置、およびハイブッド半導体装置 |
JP4780030B2 (ja) * | 2007-05-08 | 2011-09-2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送信機、受信機、送信方法、受信方法、可変長シリアル・バースト・データ転送システム、半導体装置、およびハイブッド半導体装置 |
JP7393380B2 (ja) * | 2021-04-21 | 2023-12-06 | 矢崎総業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の配置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96338A (en) * | 1970-08-20 | 1972-10-03 | Tektronix Inc | Data terminal-computer serial interface system having automatic baud rate switching |
GB1478363A (en) * | 1974-07-30 | 1977-06-29 | Mullard Ltd | Data transmission systems |
JPS6016664B2 (ja) * | 1977-10-28 | 1985-04-26 | 豊田工機株式会社 | デ−タ転送装置 |
DE2920994A1 (de) * | 1979-05-23 | 1980-11-27 | Siemens Ag | Datensende/-empfangseinrichtung mit parallel/seriell- und seriell/parallel- zeichenumsetzung, insbesondere zum datenaustausch zwischen kommunizierenden datenverarbeitungsanlagen |
DE3069365D1 (en) * | 1979-10-09 | 1984-11-08 | Burroughs Corp | Data communications controller |
US4405979A (en) * | 1980-10-06 | 1983-09-20 |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apparatus in a communications subsystem for establishing byte synchronization |
US4408272A (en) * | 1980-11-03 | 1983-10-04 |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 Data control circuit |
US4467445A (en) * | 1981-06-16 | 1984-08-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ommunication adapter circuit |
-
1989
- 1989-09-19 JP JP1242675A patent/JP285187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
- 1990-09-17 EP EP90117838A patent/EP041877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9-17 US US07/583,280 patent/US5199107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9-17 DE DE69032956T patent/DE69032956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9-19 KR KR1019900014806A patent/KR94001193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52589A1 (ko) * | 2010-06-03 | 2011-12-08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신호처리장치 및 그 신호처리방법 |
US8941516B2 (en) | 2010-06-03 | 2015-01-27 |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418776A2 (en) | 1991-03-27 |
JPH03104459A (ja) | 1991-05-01 |
DE69032956D1 (de) | 1999-04-01 |
US5199107A (en) | 1993-03-30 |
EP0418776B1 (en) | 1999-02-24 |
KR910007309A (ko) | 1991-04-30 |
JP2851879B2 (ja) | 1999-01-27 |
EP0418776A3 (en) | 1993-01-07 |
DE69032956T2 (de) | 1999-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40011938B1 (ko) | 직렬 데이타 통신용 제어기와 그 시스템 | |
US7233541B2 (en) | Storage device | |
EP096433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n a memory unit via a JTAG port | |
US8963937B2 (en) | Display controller driv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 |
US6965530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ntrol method | |
US481476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ontrol in loop communication network | |
US5270696A (en) | LCD driver circuit | |
US20040078500A1 (en) | Serial peripheral interface and related methods | |
US6629230B2 (en) | Host interface circuit | |
GB2060961A (en) |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memory modules with distributed address information | |
US5737522A (en) | Serial input/output circuit with an automatic transfer function | |
US20040217795A1 (en) | Delay adjusting apparatus providing different delay times by producing a plurality of delay control signals | |
JPS6135580B2 (ko) | ||
US7000139B2 (en) | Interface circuit for selectively latching between different sets of address and data registers based on the transitions of a frequency-divided clock | |
EP0940767A1 (en) | Ic memory card | |
US20030048690A1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implified internal data transfer | |
GB2234372A (en) | Mass memory device | |
US6757752B2 (en) | Micro controller development system | |
CN112711295B (zh) | 时序产生器、时序产生方法以及控制芯片 | |
US6920577B2 (en) | Clock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between an external clock and a clock generated by comparing a count value with a setting value | |
JPH07129486A (ja) | シリアル通信回路 | |
Patel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ART to I2C Bridge on FPGA | |
JP2722281B2 (ja) | データ伝送装置 | |
JP3343765B2 (ja) | 端末制御装置 | |
US7644208B2 (en) | Serial transmission system with a return signal generator from the farthest terminal to synchronize return signals/data from the farthest terminal with any specified intervening termin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9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09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4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12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5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8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1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2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2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