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311B1 -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311B1
KR940011311B1 KR1019920027026A KR920027026A KR940011311B1 KR 940011311 B1 KR940011311 B1 KR 940011311B1 KR 1019920027026 A KR1019920027026 A KR 1019920027026A KR 920027026 A KR920027026 A KR 920027026A KR 940011311 B1 KR940011311 B1 KR 94001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orientation
composite
undrawn
spinn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994A (ko
Inventor
이종상
박창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이승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이승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1992002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1311B1/ko
Publication of KR940014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제 1 도면은 본 발명의 공정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연신사 군 2, 3, 6 : 피드롤러
4 : 히터 5 : 가연 유니트
7 : 권취부
본 발명은 세섬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물성이 다른 2종 이상의 미연신사를 교락처리 복합하고, 가연시 회전력에 의한 심사, 피복사간의 사장차를 유도하여 피복사의 돌출효과에 의한 소모조 외관 및 촉감, 풍분한 볼륨감 및 심색 효과를 얻고, 특히 피복사에 세섬사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강조할 수 있는 복합가연 가공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조에 있어서는 제직 후 공정에서의 복합가연 가공사의 마찰거동을 예의 주시하여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방사 연신가공 기술에 도입시켜 구성심사와 피복사의 사장차이는 유지시키면서 포합성을 최대한 부여하여 특유의 특징을 발휘할 수 있게 설계한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폴리에스테르의 경우는 부드러운 촉감을 내기 위해 1) 단독 세섬가연사를 사용하였으나 직물의 드레이프성이 부족하였고 촉감을 위해서는 박기모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으며 2) 세섬가연사와 일반사를 복합처리하는 경우에는 직물 드레이프성은 향상되었으나 촉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3) 일반 복합가연사는 부드러운 촉감은 향상되었으나 좀더 향상된 촉감에의 요구가 꾸준히 증대되어 왔고, 일반 복합가연사는 포합성 부족으로 피복사의 마찰에 의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심사는 일반사를 사용하고 피복사는 세섬사를 사용하면서 복합가연가공하여, 심사는 일반사를 사용해 드레이프성이 유지되고 피복사는 세섬사를 사용하여 촉감과 혼섬도를 증가시켰으며 정교한 물성설계에 의해 두사의 부분융착에 의해 포합성이 최대한 부여되고 생산성도 우수한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사공정중의 작업성 및 공정성을 현저히 개선하고, 생산성을 증대시켜 제조원가도 저렴한 반면 그 직물 효과면에서 종래 방식에 의해서는 발현되기 어려운 고도의 부드러운 촉감, 부피감, 깊은 색감, 우수한 드레이프성(Drapability)을 직물상에서 발현시킬 수 있는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를 제조하려는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군을 제조함에 있어서, 그 중 한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2,500~3,500m/min으로 방사하여 그 배향도를 30×10-3에서 70×10-3으로 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배향의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만들고 다른 한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1,100~2,000m/min으로 방사하여 그 배향도를 6.0×10-3~23.0×10-3으로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향 미연신사를 만든후 가연기를 이용하여 적정 교락처리하여 복합처리후 가연가공을 실시한다.
또 구성섬유의 모노 데니어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심사인 고배향 미연신사의 경우는 모노 데니어를 1.5~7.0 데니어로, 피복사인 저배향 미연신사는 0.3~1.0데니어가 바람직하다. 이때 미연신사의 물성, 모노데니어와 가연가공 조건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어, 가공조건에서 두사의 연신가공 비율은 1.2~1.7 정도가 적합하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폴리머로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85mole% 이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그의 고유점도는 물성면에서 0.5~0.8의 범위가 적당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 고배향의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2,500~3,500m/min, 배향도가 30~70×10-3로 하여 이를 저배향의 미연신사군과 복합되어 연신가공함에 있어 상기 조건보다 낮은 배향일 경우에는 저장력으로 인한 미해연 등으로 인해 품질이 저하되고 높은 배향의 경우는 과연신에 의해 공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저배향의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1,100~2,000m/min, 배향도가 6.01~23×10-3으로 하여 이를 저배향의 미연신사군과 복합되어 연신가공함에 있어 상기 조건보다 낮은 배향일 경우에는 과다융착으로 모우가 발생되고 공정이 불량해지고 높은 배향의 경우는 부품성의 증대로 인한 포합성이 저하되어 후공정에서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또 구성섬유의 모노 데니어의 경우도 심사는 상기보다 모노 데니어가 큰 경우는 교락저하로 인한 포합성부족, 물성조절에 어려움이 있고 작은 경우에는 직물의 드레이프성이 저하된다.
피복사는 상기보다 큰 경우 본 발명의 특징인 직물의 부드러운 촉감이 현저히 감소하고 작은 경우에는 촉감은 우수해지지만 제품에 모우등이 가연시 발생되고 공업 생산성이 저하된다.
두사의 연신 배율에 있어서는 상기 조건보다 큰 경우는 과연신에 의한 공정불량, 적은 경우는 장력저하, 꼬임 불안정으로 인한 품질 불안정이 야기된다.
상기 복합가연 가공사를 사용하여 일반 직물준비공정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처리를 할 경우에도 일반사와 동일한 후공정성을 얻을 수 있으며 두 구성사간의 사장차율이 30% 이상인 세섬 복합가연사를 얻게 된다.
본 발명으로 제직되어진 직물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도의 부피감, 부드러운 촉감, 깊은 색감, 우수한 드레이프성 등을 얻을 수 있어, 일반 여성복은 물론 부드러운 순면조 촉감을 이용하여 스포츠복, 캐주얼 쟈켓등으로 용도 확대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한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3,400m/min, 배향도 54×10-3로 하고, 다른 한종의 미연신사는 방사속도 1,200m/min, 배향도 8×10-3로 하여 이를 연신배율 1.54로 연신복합가공하면 포합성으로 후공정시의 준비 제직성이 특히 양호하고 특유의 효과가 매우 큰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를 얻게 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섬유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며, 한 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3,100m/min, 배향도 51×10-3로 하고, 다른 한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1,400m/min, 배향도 11×10-3로 하여 이를 연신배율 1.65로 연신복합 가공하면 포합성이 양호하고 촉감등이 특히 우수한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를 얻게 되었다.
[비교예 1]
한 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3,400m/min, 배향도 54×10-3로 하고, 다른 한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1,000m/min, 배향도 5×10-3로 하여 이를 연신배율 1.54로 연신 복합가공하면 심사, 피복사 효과는 발휘되지만, 공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모우가 다량 발생되는 구조를 얻었다.
[비교예 2]
한 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3,400m/min, 배향도 54×10-3로 하고, 다른 한 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2,300m/min, 배향도 27×10-3로 하여 이를 연신배율 1.54로 연신 복합가공하면 원사의 심사 피복사 효과가 미약하고, 포합성도 부족한 구조를 얻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사, 연신가공조건 및 직물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 ○ : 우수 △ : 보통 × : 불량

Claims (3)

  1.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 가공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고배향 미연신사는 방사속도 2,500~3,500m/min, 배향도 30~60×10-3, 저배향 미연신사는 방사속도 1,100~2,000m/min, 배향도 6~23×10-3으로 미연신사군을 제조하여 이를 복합동시 연신가공하는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구성사의 모노 데니어는 고배향 미연신사는 1.5~7.0데니어, 저배향 미연신사는 0.3~1.0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섬 복합가연사공사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복합동시 연신가공의 연신배율이 1.2~1.7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19920027026A 1992-12-31 1992-12-31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KR94001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026A KR940011311B1 (ko) 1992-12-31 1992-12-31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026A KR940011311B1 (ko) 1992-12-31 1992-12-31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94A KR940014994A (ko) 1994-07-19
KR940011311B1 true KR940011311B1 (ko) 1994-12-05

Family

ID=1934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026A KR940011311B1 (ko) 1992-12-31 1992-12-31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13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94A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21414A (ja) 複合繊維糸条
KR940011311B1 (ko)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CN112301458B (zh) 一种并列8字形多维卷曲pa6/pa66双组份纤维的制备方法及其产品
KR930010793B1 (ko)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940011304B1 (ko)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JPH02221415A (ja) 複合繊維糸条
KR100207892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207891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H03279428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4985358B2 (ja) 収縮差混繊糸
KR100318331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JP4395948B2 (ja) 低収縮ポリエステル糸およびそれからなるポリエステル混繊糸
KR100302242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KR940005490B1 (ko) 폴리에스테르계 이섬도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234558B1 (ko)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920010990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S6122047B2 (ko)
KR0122435B1 (ko)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880001302B1 (ko) 폴리에스터 특수가공사를 제조하는 방법
KR19990015837A (ko)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 방법
KR950004069B1 (ko)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JPH04316626A (ja) 綿様風合を呈する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H0299630A (ja) 絹紡糸調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S5848668B2 (ja) トクシユヘンシヨクブツノ セイゾウホウホウ
JPH04352835A (ja) ポリエステル特殊混繊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