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304B1 -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304B1
KR940011304B1 KR1019920027025A KR920027025A KR940011304B1 KR 940011304 B1 KR940011304 B1 KR 940011304B1 KR 1019920027025 A KR1019920027025 A KR 1019920027025A KR 920027025 A KR920027025 A KR 920027025A KR 940011304 B1 KR940011304 B1 KR 94001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orientation
spun
polyest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979A (ko
Inventor
이종상
박창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이승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이승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1992002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1304B1/ko
Publication of KR94001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도면은 본 발명의 공정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연신사군 2 : 피드롤러
3 : 히트롤러 4 : 히트 프레이트
5 : 연신롤러 6 : 에어 노즐
7 : 권취부
본 발명은 스펀라이크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물성이 다른 2종 이상의 미연신사를 교락처리 복합함에 있어서, 심사는 일반사의 물성으로 설계하여 직물을 지지하고, 상대 피복사는 원사물성 조절에 의해 태세부를 형성시키고, 심사와 피복사간에는 수축율 차이를 주어 특유의 풍부한 복합 효과를 얻고 피복사에 태부와 세부를 만들어 크기를 조정하고 이중 태부를 후공정 감량시에 일부 용출시켜 잔여 태부와 세부에 의해 모우구조를 발생시켜 스펀라이크 효과를 발휘시키면서, 공업성이 우수한 스펀라이크 복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폴리에스테르의 경우는 방적사풍의 모우구조를 얻기 위해
1) 직접 단독 폴리에스테르 방적사를 사용하였으나, 제조단가가 높고 모우에 의해 고속제직에의 효율성이 낮았으며,
2) 1)항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방적사와 폴리에스테르 장섬유를 복합처리하였으나, 복합시의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대두되었고, 제조단가도 높았다.
3) 일반 폴리에스테르의 모우구조 장섬유를 사용하였으나 사구조 상태에서의 모우구조는 원사 생산성에도 제약을 가하였고, 특히 직물 후 공정에 나쁜 영향을 미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심사는 일반사의 물성을, 피복사는 테세사로 물성을 설계하면서 복합 동시 연신하는 공업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라이크 복합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조에 있어서는 제직후 공정에서의 원사물성별 열거동, 감량거동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방사 연신기술에 도입시켜 원사의 물성조절에 의해 제직가공후에 심사와 피복사간에 이수축차가 발생되고, 피복사간의 감량율 차에 의한 모우구조를 얻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식에 의해 제사공정중의 작업성 및 공정성을 현저히 개선하여 생산성을 증대시켜 제조원가도 저렴한 반면 그 직물효과면에서 종래 방식에 의해서는 발현되기 어려운 고급의 스펀라이크 촉감, 부피감, 깊은 색감, 우수한 드레이프성(Drapability)을 직물상에서 발현시킬 수 있는 스펀라이크 복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둔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군을 제조함에 있어서, 그중 한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1,700~2,500m/min으로 방사하여 그 배향도를 15×10-3에서 30×10-3으로 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배향의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만들고, 다른 한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900~1,600m/min으로 방사하여 그 배향도를 4.0×10-3~18.0×10-3으로 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향 미연신사를 만든 후 연신기상에서 연신배율 1.5~2.7, 연신온도 Tg±20℃로 동시 연신하면서 적정 교락복합 처리하여 스펀라이크 복합 폴리에스테르사를 제조한다.
이때 두 미연신사 간의 물성차이는 방속 500m/min 이상, 배향도 10×10-3이상으로 설계한다.
본 발명의 상대적으로 낮은 배향의 미연신사군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90몰% 이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그 조성중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90몰% 미만일 경우에는 물성이 바람직하지 않거나 공정상의 문제가 발생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부적합하였으며, 그의 고유점도는 물성면에서 0.5~0.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 고배향의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1,700~2,500m/min, 배향도를 15~30×10-3로 하여 이를 저배향의 미연신사군과 복합하여 연신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조건보다 낮은 물성일 경우에는 원사의 강도가 낮아 후공정에서의 단사, 과감량의 문제가 발생되고, 높은 물성의 경우는 과연신에 의해 공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저배향의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900~1,600m/min, 배향도를 4.0~18.0×10-3로 하여 이를 고배향의 미연신사군과 복합하여 연신가공함에 있어 상기 조건보다 낮은 배향일 경우에는 과다 태부가 형성되어 감량시의 과다용출로 문제가 발생되고, 잔유 태부는 후공정 열세트시에 융착되어 딱딱한 촉감이 얻어지며 높은 배향의 경우는 감량율이 저하되고 특유의 이 수축 효과도 얻을 수 없게 된다.
연신배율은 싱기 조건보다 큰 경우는 과연신에 의한 공정불량, 적은 경우는 원사의 강도가 저하되어 후공정에서의 단사, 과감량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연신온도는 상기 조건보다 높은 경우 태세부 차이가 적어져 용출에 의한 모우효과가 적어지고 낮은 경우는 후공정에서 열에 의해 태세부가 융착되어진다. 두 사간의 배향도 차이가 상기보다 적을 경우는 복합사 특유의 효과가 발현되지 못했으며, 클 경우는 후공정의 과다감량 및 취화의 원인이 된다.
상기 복합가연가공사를 사용하여 일반 직물 준비공정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처리를 할 경우에도 일반사와 동일한 후공정성을 얻을 수 있으며, 두 구성사간의 사장차율이 20% 이상인 스펀라이크 복합 폴리에스테르사를 얻게 된다.
본 발명으로 제직되어진 직물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급풍의 스펀라이크 촉감, 부피감, 깊은 색감, 우수한 드레이프성 등을 얻을 수 있어, 일반 여성복은 물론 여러 분야로의 용도 확대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대적으로 고배향인 미연신사로는 통상의 폴리에스테르칩을 통상의 조건으로 중합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대적으로 저배향인 미연신사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95몰%이고, 소듐 1,3-디메톡시벤젤술포네이트가 5% 포함된 폴리에스테르 칩을 사용하여 통상의 조건으로 중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한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2,300m/min, 배향도 25×10-3으로 제조하고, 다른 한종의 미연신사는 방사속도 1,400m/min, 배향도 12×10-3으로 제조하여 이를 연신배율 2.1, 연신온도 Tg+10℃로 연신 복합가공하면 제직후 감량에 의해 스펀라이크 효과와 복합효과가 우수하고 후공정성이 우수한 스펀라이크 폴리에스테르사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섬유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한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1,800m/min, 배향도 17×10-3으로 제조하고, 다른 한종의 미연신사는 방사속도 1,200m/min, 배향도 8×10-3으로 제조하여 이를 연신배율 2.5, 연신온도 Tg+30℃로 연신 복합가공하면 제지후 감량에 의해 복합효과는 우수하나 스펀라이크 효과가 미미한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섬유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한종의 미연신사를 방사속도 1,800m/min, 배향도 17×10-3으로 제조하고, 다른 한종의 미연신사는 방사속도 1,400m/min, 배향도 12×10-3으로 제조하여 이를 연신배율 2.5, 연신온도 Tg+10℃로 연신 복합가공하면 제직후 스펀라이크 효과와 복합효과가 미미한 결과를 얻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사, 연신가공조건 및 직물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 ○ : 우수, △ : 보통, × : 불량

Claims (3)

  1.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물성이 다른 2종의 미연신사를 교락처리하여 복합하는 복합사의 제조에 있어서, 그 중 하나의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1,700~2,500m/min로 방사하고 그 배향도를 15×10-3~30×10-3으로 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배향의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만들고, 다른 한 미연신사군은 방사속도 900~1,600m/min로 방사하고 그 배향도를 4×10-3~18×10-3으로 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향의 미연신사군을 만든 후 연신배율 1.5~2.7, 연신온도 Tg±20℃에서 동시 연신하면서 교락복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라이크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두 미연신사군간의 방사속도차이는 500m/min 이상이고, 배향도 차이는 10×10-3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라이크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배향의 미연신사군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90몰% 이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라이크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KR1019920027025A 1992-12-31 1992-12-31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KR94001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025A KR940011304B1 (ko) 1992-12-31 1992-12-31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025A KR940011304B1 (ko) 1992-12-31 1992-12-31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79A KR940014979A (ko) 1994-07-19
KR940011304B1 true KR940011304B1 (ko) 1994-12-05

Family

ID=1934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025A KR940011304B1 (ko) 1992-12-31 1992-12-31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1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138B1 (ko) * 1994-11-24 2002-05-13 조민호 폴리에스테르염반사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79A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21414A (ja) 複合繊維糸条
KR940011304B1 (ko)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JPS61124638A (ja) 特殊混繊糸とその製造法
KR930010793B1 (ko)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JPH02221415A (ja) 複合繊維糸条
JP2844680B2 (ja) 異繊度異収縮混繊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940011311B1 (ko) 세섬 복합가연 가공사의 제조방법
KR940007692B1 (ko) 발색성이 우수한 실크조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207892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207891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302242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KR920010990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318331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JP4985358B2 (ja) 収縮差混繊糸
JP3418265B2 (ja) カチオンミックス調太細繊維の製造方法
JPH03279428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S5936722A (ja) 複合紡糸法
KR950000718B1 (ko) 폴리에스터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481056B1 (ko) 이수축혼섬사용중공자기신장사의제조방법
KR100416130B1 (ko) 이수축혼섬사용 해도용 자기신장사의 제조방법
CN117512846A (zh) 一种双轴皮芯结构易脆断长丝包覆纱及其一步法制备方法
KR870000936B1 (ko) 섬도가 불규칙한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系)의 제조방법
KR100209111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950004069B1 (ko) 레이욘조폴리에스터혼섬사및그제조방법
JPH09111564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