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111B1 -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09111B1 KR100209111B1 KR1019960067933A KR19960067933A KR100209111B1 KR 100209111 B1 KR100209111 B1 KR 100209111B1 KR 1019960067933 A KR1019960067933 A KR 1019960067933A KR 19960067933 A KR19960067933 A KR 19960067933A KR 100209111 B1 KR100209111 B1 KR 1002091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ster
- yarn
- effect
- temperature
- spinn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5—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tretching apparatu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직물 및 편물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종래의 합연신 기대의 사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직편물 제조시 균일한 염반 효과와 우수한 이수축 효과를 동시에 발현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물을 저속방사시켜 제조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와 폴리에스테르 단일 중합물을 저속방사시켜 제조한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를 동일한 사도를 통하여 온도가 80℃ 이하인 제1연신로울러, 온도가 90∼130℃인 가열판 및 온도가 80℃ 이하인 제2연신로울러에 공급하여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의 자연 연신비 대비 1.4∼1.9배의 연신비로 연신시킨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는 균일한 염반 효과와 우수한 벌키성을 갖는 직물 및 편물의 제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편물 제조시 균일한 염반 효과와 우수한 이수축 효과를 동시에 발현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사 및 연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방사방법 및 연신방법의 변화에 의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연신방법을 달리하여 염반 효과가 뛰어난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직편물 제조시 균일한 염반 효과를 갖고 이수축 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개발에 집중되고 있다. 또한 방사공정이나 연신공정에서 합사를 실시하므로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한국 공개특허96-17972호에서는 미연신사의 연신시 가열로울러의 온도, 가열판의 온도 또는 연신배율을 조정하여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벌키성 및 유연감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96-17974호에는 미연신 폴리에스테르와 고배향 폴리에스테르를 연신공정에서 조합함에 있어 미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먼저 연신시킨 후 이들 원사와 별도의 사도로 취외 주행되는 고배향 폴리에스테르를 합사시키므로서 두 원사간의 수축차를 발생시키는 방법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근본적인 합연신 방법이 아닌 단순 합사 방법을 연신공정에 응용하는 방법은 신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에 균일한 주행성을 부여하기 곤란하여 결과적으로 직물 제직시 경사줄 발생 등의 부작용을 야기시킨다. 또한 별도의 구동 로울러를 도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96-17973호에는 폴리에스테르 단일 중합물로 제조된 원사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물로 제조된 원사를 한국 공개특허96-17974호와 동일한 공정으로 합사하는 방식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단순히 전혀 다른 폴리머를 적용함에 따른 물성차를 기대하는 것으로 균일한 염반 효과 및 우수한 이수축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경사줄 발생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합연신 기대의 사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균일한 염반 효과 및 우수한 이수축 효과를 동시에 발현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고자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공정 개략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공정 개략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은 제1연신로울러, 2는 가열판, 3은 제2연신로울러, 4는 권취 스핀들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공중합 폴리머를 저속방사하여 제조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와 폴리에스테르 단일 중합물을 저속방사하여 제조한 효과사용 미연신사(B)를 동일한 사도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합연신하여 직물 및 편물에 적용시 은은한 염반을 발현함과 동시에 양호한 벌키감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공정개략도이다.
폴리에스테르 공중합물을 저속방사시켜 제조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와 폴리에스테르 단일 중합물을 저속방사시켜 제조한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를 동일한 사도를 통하여 온도가 80℃ 이하인 제1연신로울러(1)에 공급하고, 온도가 90∼130℃인 가열판(2)에서 열처리한 후, 계속해서 제2연신로울러(3)에서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의 자연연신비 대비 1.4∼1.9배의 연신비로 연신시켜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두가지 원사를 하나의 사도로 통과시켜 합연신함으로서 이수축사에 균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도를 통과한 후에도 서로 다른 물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 및 B)들의 성분을 서로 상이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합연신 공정에서 적당한 연신조건도 필요하다.
여기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는 성분 중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세바식산,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사이크로헥산디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이 5∼12몰%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화합물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우 및 절사등으로 인하여 방사시 작업성이 불량하고, 본 발명의 범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고수축성이 부족하게 된다.
한편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는 폴리에스테르 단일 중합물로 제조한다.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 및 B)들의 방사속도는 1,200∼2,000m/분 수준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의 방사속도를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의 방사속도보다 10%높게 할 경우에는 직물 제조시 이수축 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반면 고수축사부의 염반 효과가 일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 및 B)들의 방사속도를 가감함으로서 이수축 효과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사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와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를 동일한 사도에 공급한 후 합연신한다. 이 때의 연신비는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의 자연연신비 대비 1.4∼1.9배 수준이 바람직하다.
연신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염반 효과 및 유연성이 부족하게 되고, 반대로 본 발명의 범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이수축 효과가 저하되고 후공정성이 불량하게 된다.
또한 제1연신로울러(1)와 제3연신로울러(3) 사이에 위치하는 가열판(2)의 온도는 90∼130℃ 정도가 바람직하며, 제1연신로울러(1) 및 제2연신로울러(3)의 온도는 80℃ 이하가 바람직하다.
가열판(2)의 온도 및 연신로울러(1 및 3)의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염반 효과, 이수축 효과 및 유연감이 떨어지게 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평균 분자량이 23,300이고 이소프탈산 10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물을 285℃의 온도에서 방사속도 1,250m/분으로 방사하여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를 제조하고, 수평균 분자량이 25,600인 폴리에스테르 단일 중합물을 289℃의 온도에서 방사속도 1,350m/분으로 방사하여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를 제조한다. 이때 각 미연신사들의 섬도는 188데니어이고,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의 자연 연신비는 1.52배이다.
제조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와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를 연신로울러의 온도 70℃인 제1연신로울러와 제2연신로울러 사이에서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자연연신비의 1.65배(결과적으로는 연신비 2.508배)로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제1연신로울러와 제2연신로울러 사이에는 온도가 115℃인 가열판을 설치한다.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에 1,150T/M의 꼬임을 부여하고 85℃의 온도에서 40분간 세팅한 후, 경사 밀도 123본/인치 및 위사 밀도 72본/인치로 제직하고 염색가공한다.
[비교실시예 1]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와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를 합연신시 연신비를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자연연신비의 1.98배(결과적으로 3.01배)로 연신한 것 이외에는 모든 조건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직 및 염색가공한다.
[비교실시예 2]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와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를 합연신시, 가열판 온도를 135℃로, 제1 및 제2연신로울러의 온도를 9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조건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직 및 염색가공한다.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2에서 제조된 가공 원단을 평가한 결과는 표1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는 우수한 이수축 효과를 발현함과 동시에 각각의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의 방사속도를 조절하므로서 염반 효과 또는 이수축 효과를 선택적으로 강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를 사용하여 제직한 직물 및 편물은 우아한 염반 효과를 발현하면서도 이수축 효과에 의한 벌키감과 유연성이 뛰어나다.
Claims (3)
- 폴리에스테르 공중합물을 저속방사시켜 제조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A)와 폴리에스테르 단일 중합물을 저속방사시켜 제조한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를 동일한 사도를 통하여 온도가 80℃ 이하인 제1연신로울러, 온도가 90∼130℃인 가열판 및 온도가 80℃ 이하인 제2연신로울러에 공급하여 효과사용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B)의 자연 연신비 대비 1.4∼1.9배의 연신비로 연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1항에 있어서, 저속방사가 분당 1,200∼2,000m의 방사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물은 성분 중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세바식산,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사이크로헥산디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이 5∼12몰%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7933A KR100209111B1 (ko) | 1996-12-19 | 1996-12-19 |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7933A KR100209111B1 (ko) | 1996-12-19 | 1996-12-19 |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9248A KR19980049248A (ko) | 1998-09-15 |
KR100209111B1 true KR100209111B1 (ko) | 1999-07-15 |
Family
ID=1948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67933A KR100209111B1 (ko) | 1996-12-19 | 1996-12-19 |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09111B1 (ko) |
-
1996
- 1996-12-19 KR KR1019960067933A patent/KR10020911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9248A (ko) | 1998-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222838A (en) | Composite polyester yarn for woven or knitted fabric | |
JPS59223314A (ja) | 異染性複合ポリエステル繊維 | |
KR100209111B1 (ko) |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
KR100209112B1 (ko) |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
CN113914009A (zh) | 经编全棉网眼面料及其制备方法 | |
JPH03130425A (ja) | ポリエステル収縮差混繊糸 | |
KR930010793B1 (ko) |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 |
JPH02221415A (ja) | 複合繊維糸条 | |
KR100299159B1 (ko) | 폴리에스터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 |
KR940011308B1 (ko) |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 |
KR100569680B1 (ko) | 폴리에스테르 융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0315512B1 (ko) | 폴리에스터 태세복합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KR100302242B1 (ko) |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 |
KR0130633B1 (ko) | 이수축, 이염성 폴리에스테르혼섬사의 제조방법 | |
JPH03279428A (ja) | ポリエステル混繊糸 | |
KR970010713B1 (ko) | 자발신장성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
KR960002918B1 (ko) | 잠재벌키성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 |
KR930000559B1 (ko) | 폴리에스테르 공급사의 제조방법 | |
KR100491849B1 (ko) | 염색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수축사 및제조 방법 | |
KR100458985B1 (ko) |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
JPS6249380B2 (ko) | ||
KR970000811B1 (ko) |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 |
JPH0250210B2 (ko) | ||
JPH0748746A (ja) | ポリエステル杢調太細糸の製造方法 | |
JPH1161633A (ja) | 織物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40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