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904B1 - 연신기(stretching machine) - Google Patents

연신기(stretc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904B1
KR940009904B1 KR1019910014816A KR910014816A KR940009904B1 KR 940009904 B1 KR940009904 B1 KR 940009904B1 KR 1019910014816 A KR1019910014816 A KR 1019910014816A KR 910014816 A KR910014816 A KR 910014816A KR 940009904 B1 KR940009904 B1 KR 940009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sheet
support
pair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121A (ko
Inventor
아미하라 칸타로
혼다 타다시
코바야시 마사시
로햐마 하이데요
쿠리하라 키즈히코
야자와 히로시
오히시이 토시카주
Original Assignee
니뽄 피트로 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야마 유카다
풀리머 프로세싱 리서치 인스티튜트 가부시끼가이샤
아베 코우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209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832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314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832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628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85894B2/ja
Application filed by 니뽄 피트로 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야마 유카다, 풀리머 프로세싱 리서치 인스티튜트 가부시끼가이샤, 아베 코우스께 filed Critical 니뽄 피트로 케미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신기(stretching machine)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신기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연신기에 있어서 지지판, 열풍순환통로 및 열풍안내판 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 3 도는 지지판, 열풍순환통로 및 열풍안내판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 4 도는 열풍발생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5 도는 지지판과 연신폭/연신율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6 도는 지지판과 연신폭/연신율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전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A"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연신기에 있어서 열풍안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9 도는 열풍안내판의 내부 구조도.
제 10 도는 열풍안내판의 기동판(moving plate)에 있어서의 캐스터(caster)를 나타내는 도면.
제 11 도는 열풍안내판의 강선(wire)에 코일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제 12 도는 강선에 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제 13 도는 가동판들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장착됨을 나타내는 도면.
제 14 도는 가동판들 사이에 유압실린더가 장착됨을 나타내는 도면.
제 15 도는 풀리(pulleys)와 벨트(belt)를 냉각시키기 위하영 세 개의 수조(water bath)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제 16 도는 또다른 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
제 17 도 내지 제 21 도는 적용가능한 여러 가지의 연신폭/연신율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풀리에틸렌필름 [슬릿(slit)이 형성된 필름을 포함], 망사, 직조된 섬유, 직조되지 않은 섬유 등과 같이 연신될 수 있는 긴 시트상 소재를 넓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지기술로써, 일본특허공보 소화 57-30056에 기재되어 있는 연신기는 한쌍의 지지판을 구유하고 있되, 긴 시트상 소재가 유입되는 유입측에서의 지지판 사이의 거리가 유출측에서의 지지판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지지판 위에 연신용 풀리(pulley)와 회전벨트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풀리와 벨트 사이에서 시트상 소재를 지지하고 그 소재를 지지하고 그 소재를 넓이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상 소재를 연신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적외선 히터(heater) 또는 열풍(hat air)이 사용된다.
상기 지지판에서 시트상 소재가 유입되는 유입측 부분의 일단은 스프라인축(spline shaft)에 연결되어 있고, 유출측 부분의 다른 일단은 스트라인 축에 연결된 일단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스프라인 축에 연결된 일단은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산기에서는 방사열 또는 열풍이 시트상 소재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킨 후 다시 모이지 않고 외부로 유출되어 버림으로 인한 큰 열 손실이 야기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 가열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방사열의 온도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시트상 소재가 불연속적으로 가열되고 소재자체가 과다한 국소열로 녹아버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품질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연신기에 있어서 스프라인 축에 연결된 지지판은 시트상 소재의 연신될 크기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통상의 원적외선 가열기나 노즐(nozzle)로써는 시트상 소재의 모든 부분을 골고루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전술한 연신기에 잇어서, 시트상 소재를 그 소재의 연신가공 중에 방사열 또는 열풍으로 가열하는 경우 연신용 풀리와 회전벨트도 함께 가열된다. 위와 같은 경우, 시트상 소재는 한 번만 가열되지만, 연신용 풀리와 회전벨트는 시트상 소재가 받는 온도,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계속적으로 가열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풀리와 벨트 사이에서 지지되는 시트상 소재에는 굴곡이 생기기 시작하고, 최악의 경우, 그 굴곡부위가 녹아서 연신용 풀리나 벨트에 달라붙어서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고, 벨트와 연동되는 턴풀리(turn pulley)에 감기는 경우도 야기되며 벨트자체의 수명도 열에 의해 눈에 띄게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연신기에서는, 지지판 간의 각도를 조절 및 결정함에 있어서의 명확성이 결여되어 있다 : 따라서 연신될 수 있는 시트상 소재 또는 필름의 연신폭 또는 연신율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되는 열풍이 연신될 수 있는 긴 시트상 소재에 가하여 짐으로써 시트상 소재를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며 열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안정된 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열풍순환식 연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신될 수 있는 긴 시트상 소재에 접힘이나 균열이 가지 않고 열전달 장치 내에서 열량이 저하되지 안고는 연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신될 수 있는 긴 시트상 소재의 연신폭 또는 연신율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연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르면, 연신기에 있어서, 하우징(housing)과 ; 상기 하우징 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frame)과 ; 상기 한쌍의 프레임에 각각 장착된 한쌍의 연신용 풀리와 ; 상기연신용 풀리 주위를 권회하고 있는 벨트(belt)와 ;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풍발생수단과 ; 상기 열풍이 순환될 수 있는 열풍순환통로로 구성되고, 연신될 수 있는 긴 시트상 소재는 상기 연신용 풀리와 벨트 사이에서 지지되고, 상기 열풍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열풍은 상기 시트상 소재에 가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상 소재나 필름에 가하여진 열풍을 순환시켜서 이를 다시 상기 시트상 소재 등에 반복하여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열효율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시트상 소재는 그 전체가 균일한 온도가 되도록 공고루 가열되므로 안정된 품질을 갖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연신기에 있어서, 긴 시트상 소재를 지지하며 이송하고 그에 따라 소재의 넓이 방향으로 이를 연신하는 이송수단과 ; 상기 이송수단 상에서 상기 시트상 소재가 이송되는 동안 소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 상기 이송수단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으로 구성되는 연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신기에서는 상기 시트상 소재에 접힘이나 균열이 가는 것, 또한 열량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연신기에 있어서 하우징(housing)과 ; 연신될 수 있는 긴 시트상 소재가 넓이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도록 그 소재를 지지하고 이송하는 한쌍의 지지 이송 수단과, 상기 시트상 소재의 유입측 부분에서 소재의 넓이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지지 이송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유입측 부분에서의 상기 한쌍의 지지 이송수단 사이의 거리를 변환시키기 위한 유입측 거리변화수단과 ; 상기 시트상 소재의 유출측 부분에서 소재의 넓이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지지 이송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서, 유출측 부분에서의 상기 한상의지지 이송수단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유출측 거리 변화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가 제공된다.
유입측 도는 유출측에서의 상기 지지판 간의 거리는 개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연신기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고도 상기 시트상 소재 또는 필름의 연신폭 및 연신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참조번호 1은 열풍순환식 연산기의 하우징(housing)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2는 상기 하우징(1)의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base)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3과 3은 한쌍의 지지판을 나타내는데, 그지지판 간의 거리는 긴 시트상 소재 또는 필름 "F"가 유입되는 유입측 "1"부분에서는 짧고, 유출측 "0" 에서는 길게 되어 있다. 참조번호 4는 상기 지지판 (3, 3)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있도록 조정하는 연신폭/연신율 조절장치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4C는 후술할 연신용 풀리(stretching pulley)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으로써의 수조(water bath)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5는 상기 하우징(1)내에서 상기 지지판(3, 3)의 상부에 설치된 열풍발생 장치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6과 6은 상기 하우징(1)내에서 필름 "F"가 유입되는 유입측 "1"과, 유출되는 유출측 "0"에 설치된 열풍순환통로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7은 상기 지지판 (3, 3)상의 연신용 풀리(3a, 3a)사이에 설치된 열풍안내부재를 나타낸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 3)은 상기 열풍발생장치(5) 방향으로 뻗어있는 측판(32, 32)과 수평의 기판(31, 31)으로 구성되어,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5 도 및 제 6 도에 있어서, 지지판(3, 3)의 수평기판(31, 31)은 상기 베이스(2) 상에 설치된 한쌍의 고정레일(22, 22)과 한쌍의 트랙레일(21, 21)상에 착설된다. 트랙레일(21)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강철구(2la)가 삽설되어 있으므로, 지지판(3, 3)은 필름 "F"의 넓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고정레일(22)의 궤도 위를 미끌어질 수 있도록 맞물려 있는 한쌍의 고정 스크류(22a, 22a)는 수평기판(31, 31)위에 길게 뚫려 있는 구멍(31a, 31a)을 관통한 후, 너트(22b, 22b)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지지판(3, 3)은 베이스(2)에 고정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F"는 지지판(3, 3)의 측판(32, 32) 내벽에서 지지 및 연신되므로, 연신용 풀리(3a, 3a)에 대하여 필름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연신용 풀리(3a, 3a)는 측판(32) 외벽과 연결된 모타(33)에 의하여 유입측 "1"에서 유출측 "0"방향으로 회전한다. 연신용 풀리(3a, 3a)의 상부 반원 부분에는 측판(32, 32)상에 장착된 다수개의 턴풀리(turn pulley : 34)를 통하여 회전 벨트(3b, 3b)가 연장되어 있다. 횐전벨트(3b)는 풀리가 회전함에 따라 연신용 풀리(3a)의 상부 반원 부분을 계속 반복적으로 회전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F"의 유입측 "1" 및 유출측 "0"부분의 측판932)에는 한상의 장력 풀리(tension pulley : 35, 35)가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장력 풀리(35, 35)가 움직임에 따라 풀리(3a)와 벨트(3b) 사이에서 필름 "F"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조절된다.
연신용 풀리(3a, 3a)의 회전축(3a', 3a')은 측판(32, 32)상에 설치된 한쌍의 변속모타(33)에 연결되어 있고, 모타(33, 33)는 필름 "F" 가 유입측 "1"에서 유출측 "0"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이를 구동시킨다. 모타(33, 33)에는 변속장치가 포함되고, 연신용 풀리(3a, 3a)의 회전 속도를 다단 도는 무단으로 변속시킨다. 변속장치로서는 기계적인 시스템 외에도 D.C. 모타, 인버터 모타(inverter motor) 및 전자석식 클러치(electromagnetic clutch)등과 같은 전기적인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모타(33, 33)는 지지판(3, 3)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지지판(3, 3)과 연동되는 연신용 풀리(3a, 3a)를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구동변속 체계를 구동모타(33, 33)와 연신용 풀리(3a, 3a)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체계로 할 수 있고, 연신용 풀리(3a, 3a)의 이동가능한 범위가 증진된다. 한상의 연신용 풀리(3a, 3a)는 한쌍의 모타(33, 33)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되므로, 모타가 하나뿐인 구동체계와 비교해 볼 때 연신용 풀리(3a, 3a)의 구동조절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필름 "F"가 유입될 때, 연신기 작동 중 문제가 발생하거나 또는 작동시부터 약간 기울어져서 유입되는 경우, 필름 "F"의 기울어진 각도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
(a) 필름 "F"가 기울어져서 유입될 때 필름의 한쪽은 다른 한쪽에 비해 유출측 쪽으로 더 많이 진행되어 있는데, 더 진행된 쪽의 모타(33)의 회전을 감속 조절하여, 그 모타와 연결되어 있는 연신용 풀리(3a)의 회전을 순간적으로 감속 시킴으로써 더 진행된 필름의 일단과 쳐져 있는 일단이 같은 속도가 되도록 하는 방법.
(b) 필름 "F"가 쳐져있는 쪽의 모타(33)의 회전을 가속시킴으로써 그 모타에 연결되어 있는 연신용 풀리(3a)의 회전을 순간적으로 가속시켜서 쳐져있는 필름의 일단과 더 진행되어 있는 일단이 같은 속도가 되도록 하는 방법.
냉각수단에는 수조(water bath : 4C)가 포함되는데, 이는 측판(32)의 내벽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연신용 풀리(3a)의 하향위치에서 이를 수용한다. 수조(4C)는 그 속에 있는 물"W"로 연신용 풀리(3a)가 소재를 지지하고 있지 않는 부분을 냉각시킨다.
제 5 도,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폭/연신율 조절장치(4)는 필름 "F"의 유입측 부분에서의 연신용 풀리(3a, 3a)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필름 "F"의 넓이 방향으로 지지판(3, 3)을 움직이는 유입측 거리변화장치(4A)와 ; 필름 "F"의 유출측 부분에서의 연신용 풀리(3a, 3a)간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필름 "F"의 넓이 방향으로 지지판(3, 3)을 움직이는 유출측 거리변화장치(4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유입측 거리변화장치(4A)는, 축(41a, 41a) 주위의 돌출부(36, 36)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홀더(41, 41)와 ; 필름 "F"가 유입되는 유입측 부위의 베이스(2)의 단부에 장착된 베어링(23, 23)내에 지지되며 연신폭을 조절하는 제 1 스크류 축(42)과 ; 체인(43)을 통하여 상기 제 1 스크류 축(42)과 연결되며 연신폭의 조절을 보조하는 제 2 스크류 축(44)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36, 36)는 지지판(3, 3)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수평기판(31, 31)과 대향되도록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1 스크류 측(42)의 중간부에는 상기홀더 (41, 41)와 맞물리는 역나사(42a, 4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크류 축(44)은, 하우징(1)의 측벽(11, 11) 상부 내에서 지지되며, 상기 제 2 스크류 축(44)의 중간부에는 지지판(3, 3)의 측판(32, 32)상에 형성된 구형 베어링(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리는 역나사(44a, 44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측 거리변화장치(48)는, 필름 "F"가 유출되는 유출측에서의 연신율을 조절하기 위한 한쌍의 제 2 스크류 축(45, 45)과, 체인(46, 46)을 통하여 제 3 스크류 축(45, 45)에 각각 연결되며 연신율 조절을 보조하는 한쌍의 제 4 스크류 축(47, 4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 3 스크류 축(45)의 일단부는 베이스(2)에 형성되어 있으며 자동으로 조절되는 구형 베어링(22C, 22C)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다른 일단부(45a, 45a)는 지지판(3, 3)의 돌출부(37, 37)와 맞물려 있으며, 제 4 스크류 축(47, 47)의 단부는 자동으로 조절되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으로 하우징(1)의 측벽(11, 11) 상부 내에서 지지되고, 나사가 형성 다른 단부(47a, 47a)는 지지판(3, 3)의 측판(32, 32)과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 3)이 전술한 연신폭/연신율 조절장치(4)에 의해 연결되어지는 연신기에 있어서, 제 1 스크류 축(42)의 핸들을 좌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홀더(41, 41)는 베이스(2)를 따라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반변에 제 1 스크류 축(42)의 핸들을 우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홀더(41, 4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연신기의 작동 중에 필름 "F"의 연신율을 다양하게 맞추기 위하여 지지판(3, 3)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필름 "F"의 연신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 3 스크류 축(45, 45)의 핸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판(3, 3)은 홀더(41, 41) 주위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지지판(3, 3)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 2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발생장치(5)는 팬(51), 히터(heater : 52), 흐름-조절기(flow-regulator : 53) 및 루버(louver : 5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팬(51)과 히터(52)가 지지판(3, 3)의 측판(32, 32)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되어 있다. 팬(51)에서 발생한 공기흐름은 히터에 의해 필름 "F"를 연신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되어 열풍을 발생시키고, 이 열풍은 리어팬(rear fan : 51, 51)에 의해서 흐름조절기(53)에 가하여진다. 흐름조절기(53)은 히터(52, 52) 사이에 "V"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루버(54)로 안내한다. 루버(54)는 상부의 종방향 루버(54a)와 하부의 횡방향 루버(54b)로 구성되고, 이들은 흐름조절기(53)와 지지판(3) 사이에 설치된다. 각루버(54a, 54b)들에 있어서의 푸양조절판(54al, 54al...54bl, 54bl)들은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름 "F"의 연신 중 가하여지는 열풍이 배분도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54)의 횡방향 루버(54B)는 그 양단부에 한쌍의 셔터판(shutter plates : 55, 55)이 미끌어질 수 있도록 장착되어있다. 셔터판(55, 55)은 지지판(3)의 위치에 따라 미끌어지며 닫혀지게 되어 있으므로 열풍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아준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F"의 유압측 및 유출측 부분의 지지판 (3, 3)에는 열풍순환통로(6, 6)가 장착되어 있다. 유입측의 열풍순환통로(6)는 하우징(1)의 일부인 전면벽(12)과 ; 전면벽의 하단부에 지지판(3, 3)의 측판(32, 32) 방향으로 뻗어있는 덮개 부재 (12a)와 ; 그 덮개부재(12a) 상에서 측판(32, 32)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한쌍의 내열 주름피복(61, 6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열주름피복(61)은 전면벽(12)에 자석(61a)으로 그 측면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밀폐된 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열출발생수단(5)내의 팬(51)으로 열풍을 재순환시키는 통로역할을 한다. 유출측 "0"에서의 열풍순환통로(6)는 하우징(1)의 일부인 후면벽과 ; 그 후면벽(13)의 하단부에 지지판(3, 3)의 측판(32, 32) 방향으로 뻗어있는 덮개 부재(13a)와 ; 그 덮개부재(13a) 상에서 측판(32, 32)의 옆모서리에 고정되어 있는 한쌍의 내열주름피복(62, 6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열주름피복(62, 62)은 후면벽(13)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밀폐된 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열풍발생장치(5)내의 팬(51)으로 열풍을 재순환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덮개부재(12a, 12a)의 필름 "F"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는 팬(51)에서 공기의 공급과 배출의 균형을 유지하여 주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는 적은 양으로 한정된다.
제 8 도 내지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 3)사이의 열풍안내 판(7)은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71)상에서 스트럿(strut : 72)을 통해 지지되어 있는 고정판(7a)과 ; 상기 고정판(7a)을 사이에 두고 있는 가동판(moving plate : 7b, 7b)으로 구성된다. 고정판(7a)은 연신용 풀리 (31)의 상부 반원에 배열되어 있는 다수 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판(7b)은 고정판(7a)을 구성하는 각각의 핀들과 서로 미끌어질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서 강선(wire :73)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가동판(7a)은 드러스트(thrust)수단에 의해 끌어당겨 진다. 즉, 강선(73)의 일단부에는 지지대 (71) 상에 장착된 풀리(74)를 통하여 지지대 (71) 내부에 중량(75)이 매달려 있는 바, 이 중량(75)으로 인하여 상기 가동판(7b)은 연신용 풀리(31)의 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또한 상기 가동판(7b)의 측면에는 캐스터(Caster: 7c)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캐스터(7C)는 연신용 풀리(3a)의 내벽상에서 미끌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안내판(7)에 있어서 가동판(7b)을 연신용 풀리(3a)쪽을 향하여 끌어당기기 위하여서는, 중량(75)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코일스프링(75a) 또는 유압실린더(75b)를 강선(73)의 다른 일단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코일스프링(7b)의 경우는, 제 1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 (7a)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유압실린더(77) 역시 피스톤로드(77a, 77b)와 대항하여 작용하려면 제 1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7a)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연신용 풀리(3a, 3a)쪽을 향하여 가동판(7b, 7b)을 끌어당길 수 있게 된다.
연신기에 대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시폭/연식율 조정장치 (4)에서 필름 "F"가 연신되는 연신폭 또는 연신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두 지지판(3, 3)간의 거리나 각도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가동판(7b, 7b)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지지판(3, 3)간의 거리 및 각도에 의존한 채, 연신용 풀리(3a, 3a)의 내벽과 맞물리며 연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신될 필름 "F"가 투과성이 없거나 아주 적을 경우에는, 열풍발생장치(5)에서 발생된 열풍이 필름의 연신경로 중에 가하여 지고, 그 후 열풍은 필름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시키기 위하여 유입측 "1" 및 유출측 "0"를 향하여 필름 표면을 타고 흐르게 된다. 그 후 열풍은 열풍순환통로(6, 6)를 통하여 흐른 후, 열풍발생장치 내의 팬(51) 내부로 흡입된다.
슬릿(slit)이 있는 필름과 같이 필름 "F"가 투과성이 있는 경우에는 열풍발생장치에 의하여 발생된 열풍이 필름의 중앙부에 가해진 후, 그 열풍은 유입측 "1" 및 유출측 "0"을 향해 필름의 표면을 타고 흘러서 필름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시킨다.
한편, 필름을 관통한 열풍은 열풍안내판(7)을 따라 유입측 "1" 및 유출측 "0"를 향하여 흐르고, 열풍순환 통로(6, 6)를 통과한 후 열풍발생장치(5) 내의 팬(51) 속으로 흡입된다. 이렇게하여 팬(51) 속으로 흡입된 열풍은 열풍발생수단(5) 내의 히터(52)에 의해 원래의 온도로 가열된다.
따라서, 열풍안내판(7)에서 분리되고 밀폐된 열풍순환통로(6, 6)를 통하여 열풍발생장치(5)내의 팬(51)에 흡입되는 열풍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하우징 내로 유입되지도 않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신기는 전술한 구조에 의해 구체화되지만,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의 영역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화와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히터(52)가 열풍발생장치(5)내의 팬(51) 앞에 장착되어 있지만, 가열기(52)는 예를들어, 흐름조절기(53)와 루버(54) 사이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열풍발생장치(5)의 루버(54) 하부나, 열풍순환통로(6) 내부에 공지의 온도 감지기를 장착함으로서,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고 열풍발생장치 내의 팬(51)에서 발생되는 풍량을 조절하는데 쓰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감지기는 가열기(52)를 자동적으로 절환함으로서 열풍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열풍발생장치(5)는 연신용 풀리(3a, 3a)의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름 "F"는 연신용 풀리(3a, 3a)의 하부 아치형 부분으로 이송된다.
연신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신용 풀리(3a)의 회전벨트(3b)의 사이에서 지지되는 필름"F"는 열풍발생장치(5)에서 발생된 열풍으로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된다. 연신용 풀리(3a)의 회전벨트(3b)는 열풍발생장치(5)에서 발생된 열풍으로 인해 간접적으로 가열되지만, 필름 "F"를 지지하지 않는 상태에 이르면 수조(4C) 속의 물로써 냉각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지 연신용 풀리(3a)만이 냉각되지만,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용 풀리(3a)뿐 아니라 회전벨트(3b)도 냉각될 것이다.
또한, 열풍은 외부도관을 통하여 상향 또는 하향으로 흐르게 할 수도 있고, 필름을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신용 풀리(3a)와 회전벨트(3b)를 냉각함에 있어서 찬 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신기에 있어서, 지지판(3, 3)의 수평판(31, 31) 상부에 캐스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베이스(2)상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제 1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레일(152)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다수개의 강철구(steel balls : 151)를 삽설하며 강철구(151) 위에서 미끌어질 수 있도록 미끄럼부재(sliding member : 153)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지지판(3, 3)은 상기의 미끄럼부재(53)에 의해 매달려 있게 된다.
연신폭/연신율 조절장치(4)는 제 17 도 내지 제 2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7 도 및 제 18 도에서 유입측 거리변화장치(4A)는 안내레일 (171)을 갖는 베이스(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안내레일 위를 넓이 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지탱되는 슬라이더(172)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판(3)의 돌출부(3b)는 핀(173)을 통하여 슬라이더(172)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2)에는 구동실린더(174)가 고정장착되어 있고 그 구동 실린더(174)의 로드(rod : 175)가 상기 핀(173)에 연결되어 있다. 제 19 도 및 제 20 도에서, 유출측 거리 변환장치(48)는 하우징(1)의 측벽(11)에 핀(177)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구동 실린더(17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동실린더(176)의 로드(178)는 핀(179)를 통하여 수평기판(3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연시폭/연신율 조절장치(4)는 제 2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유입측 거리변화장치(44) 내의 트랙레일(21)을 따라, 지지판(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165)가 미끌어지며 지지될 수 있도록 안내레일(154)이 장착된다. 안내레일(154)의 양단에는 구동 스프라켓(dirve sprocket : 155)과, 이를 따라서 도는 스프라켓(이하, "팔로우 스프라켓(follower sprocket)"이라고 칭함 : 156)이 장착되어 있고, 두 스프라켓(155, 156)은 이들을 권회하는 무한체인(157)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슬라이더(165)가 상기 무한체인(157)에 연결된다.
또 하나의 구동 스프라켓(158)이 상기 구동 스프라켓(155)과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팔로우 스프라켓(156)은 구동 스프라켓(158)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구동 스프라켓(158)과 팔로우 스프라켓(159)은 이들을 권회하는 무한체인(160)으로 연결된다. 팔로우 스프라켓(156)상부에는 또하나의 팔로우 스프라켓(161)이 장착되어 있으며 두 팔로우 스프라켓(161, 163)은 이들을 권회하는 무한체인(162)으로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팔로우 스프라켓(161, 163)은 다른 하나의 팔로우 스프라켓(159)과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 스프라켓(155, 158)이 수동에 의해 또는 모타에 의해 구동될 경우, 지지판(3)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유출측 거리변환장치(48) 역시 전술한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을뿐더러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8)

  1. 연신기(stretching machine)에 있어서, 하우징(housing)과 ; 상기 하우징 내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frame)과 ; 상기 한쌍의 프레임에 각각 탑재된 한쌍의 연신용 풀리(stretching pulley)와 ; 상기 연신용 풀리 주위에 권회되어 있는 벨트(belt)와 ;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풍발생수단과 ; 상기 열풍이 순환될 수 있는 열풍순환통로를 포함하고 연신될 수 있는 긴 시트(sheet) 상 소재가 상기연신용 풀리와 상기 벨트사이에서 지지되고, 상기 열풍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열풍이 상기 시트상 소재에 기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 제 1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연신기는 열풍이 상기 시트상 소재를 통과한 후 상기 열풍순환 통로내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열풍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3. 제 1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수단은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fan)과 ; 공기 흐름을 열풍으로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heater)와 ;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흐름조절기(flow regulater)와 ; 상기 시트상 소재에 가하여지는 열풍의 배분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흐름조절기의 프레임사이에 장착되는 루버(lo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4. 제 1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순환통로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주름피복과 ; 상기 시트상 소재의 유입측과 유출측 위치에서 상기 주름피복의 차단부에 장착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5. 제 4 항의 연신기에 잇어서, 상기 주름피복은 상기 하우징에 자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6. 제 3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루버(louver)는 상부의 종방향 루버와 하부의 횡방향 루버를 포함하고 각 후버에는 각도가 조절되는 다수개의 흐름방향 조절판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시트상 소재에 가하여지는 열풍의 배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7. 제 6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루버에 한쌍의 셔터판(shutter plate)이 미끌어질 수 있도록 연결됨으로써 열풍의 외부 유출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8. 제 1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안내 수단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장착된 활모양의 열풍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9. 제 8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안내판은 스트럿(strit)으로 지지되는 고정판과 ; 상기 고정판을 사이에 두는 가동판(moving plate)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판은 드러스트 (thrust)수단에 의하여 캐스터(caster)를 통하여 상기 연신용 풀리 쪽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0. 제 9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드러스트 수단은 상기 가동판에 연결되는 강선(wire)과 그 강선에 장착되는 중량(weigh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1. 제 9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드러스트수단은 상기 가동판에 연결되는 강선과, 그 강선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2. 제 9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드러스트수단은 상기 가동판에 연결되는 강선과, 그 강선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3. 제 9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드러스트수단은 상기 가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4. 제 9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드러스트수단은 상기 가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5. 연신기에 있어서, 긴 시트상 소재를 지지하며 이송함에 따라 그 시트상 소재의 넓이 방향으로 이를 연신하는 이송수단과 ; 상기 이송수단 상에서 상기 시트상 소재가 이송되는 동안 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 상기 이송수단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6. 제 15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한쌍의 연신용 풀리와 ; 다수개의 턴 풀리(turn pulley)와 ; 상기 연신용 풀리 및 턴풀리 주위에 권회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상 소재가 상기 연신용 풀리와 벨트사이에서 지지되고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7. 제 16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연신용 풀리가 시트상 소재를 지지하지 않는 위치에서의 연신용 풀리의 일부분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조(water bat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8. 제 17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벨트가 권회되어 있는 상기 턴풀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19. 연신기에 있어서, 하우징과 ; 연신될 수 있는 긴 시트상 소재가 넓이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도록 그 소재를 지지하고 이송시키는 한쌍의 지지 이송 수단과 ; 상기 시트상 소재의 유입측 부분에서 소재의 넓이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 이송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유입측 부분에서의 상기 한쌍의 지지 이송수단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유입측 거리변화 수단과 ; 상기 시트상 소재의 유출측 부분에서 소재의 넓이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지지, 이송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유출측 부분에서의 상기 한쌍의 지지 이송수단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유출측 거리 변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0. 제 19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베이스(base)가 장착되고, 상기지지 이송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의 측판과 그 측판하단부에 수평의 기판을 각각 구비하는 한쌍의 지지판을 포함하고 ; 상기 지지판 상에 장착되는 한쌍의 연신용 풀리와 ; 상기 연신용 풀리 주위에 권회된 벨트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시트상 소재가 상기 연신용 풀리와 벨트사이에서 지지되고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1. 제 20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연신용 풀리는, 상기 베이스 상부에, 종방향의 홈을 갖는 고정레일과 다수개의 강철구(steel balls)를 갖는 트랙레일(track reil)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 상에 길게 뚫린 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판의 홈에 맞물리는 스크류(screw)에 의해 상기 지지판이 상기 고정레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2. 제 21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 거리 변화수단은 그 유입측에, 상기 지지판의 수평기판으로부터 이와 대향되도록 돌출된 돌출부와 연결되되, 즉 주윙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홀더(holder)와 ;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되며 중앙부에 상기 홀더와 연결되도록 역나사가 형성된 제 1 스크류 축과 ; 상기 제 1 스크류 축에 체인(chain)을 통하여 연결되며, 하우징의 상부 측벽에서 지지되는 단부를 갖고, 중앙부에 역나사가 형성됨으로써 그 역나사가 상기 지지판의 측판에 연결되는 제 2 스크류 축을 포함하고 ; 상기 유출측거리 변화수단은 그 유출측에, 일단부는 구형 베어링을 통하여 베이스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나사가 형성된 다른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의 연장된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제 3 스크류 축과 ; 체인을 통하여 상기 제 3 스크류 축에 연결되어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 상부에서 지지되고, 나사가 형성된 다른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의 측판에 연결되어 있는 제 4 스크류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3. 제 20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다수개의 강철구(steel ball)가 삽설된 트랙레일이 장착되고 ; 상기 강철구들 위에서 미끌어질 수 있고,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미끄럼부재(sliding member)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4. 제 20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 거리변화수단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안내레일과 ; 상기 안내레일을 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더(slider)와 ;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되며 핀(pin)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돌출부와 ;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살기 구동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5. 제 20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유출측 거리변화장치는 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실린더의 로도(rod)가 유출측에서 핀을 통하여 지지판의 수평기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6. 제 20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 거리변화장치 및 유출측 거리변화장치는 상기 트랙레일을 따라 설치된 안래 레일과 ; 상기 안내레일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슬라이더(slider)와 ; 상기 안내레일의 양단부에서 무한체인이 주위를 권회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그 무한체인에 연결되는 제 1 구동 스프라켓(dirve sprocket)과 제 1 팔로우 스프라켓(follower sprocket)과 ; 상기 제 1 스프라켓과 함께 회전하는 제 2 구동 스프라켓과 ; 상기 제 2 구동 스프라켓 상부에 설치되며 주위를 제 2 무한체인 권회하고 있는 제 2 팔로우 스프라켓과 ; 상기 제 2 팔로우 스프라켓과 함께 회전하는 제 3 팔로우 스프라켓과 ; 주위를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는 제 3 무한체인이 권회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팔로우 스프라켓과 연결되는 제 4 팔로우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7. 연신기에 있어서, 긴시트상 소재를 소재의 넓이 방향으로 연산항 수 있도록 소재를 지지하고 이송하는 한쌍의 지지 이송수단과 ; 상기 한쌍의 지지 이송수단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지지부재와 ; 상기지지부재들을 넓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 상기 지지, 이송수단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28. 제 27 항의 연신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모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기.
KR1019910014816A 1990-08-23 1991-08-23 연신기(stretching machine) KR940009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209590A JP2983263B2 (ja) 1990-08-23 1990-08-23 熱風循環式延伸機
JP2-222095 1990-08-23
JP1990-222095 1990-08-23
JP2-243146 1990-09-13
JP24314690A JP2983270B2 (ja) 1990-09-13 1990-09-13 延伸機
JP1990-243146 1990-09-13
JP25628890A JP2985894B2 (ja) 1990-09-26 1990-09-26 延伸機
JP2-256288 1990-09-26
JP1990-256288 1990-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121A KR920004121A (ko) 1992-03-27
KR940009904B1 true KR940009904B1 (ko) 1994-10-18

Family

ID=2733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816A KR940009904B1 (ko) 1990-08-23 1991-08-23 연신기(stretching machine)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259097A (ko)
EP (1) EP0472393B1 (ko)
KR (1) KR940009904B1 (ko)
AU (1) AU634084B2 (ko)
BR (1) BR9103603A (ko)
CA (1) CA2049575C (ko)
DE (1) DE69123511T2 (ko)
ES (1) ES2096630T3 (ko)
MY (1) MY107324A (ko)
TW (1) TW2043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0513C1 (de) * 1995-06-03 1996-07-25 Kuesters Zittauer Maschf Gmbh Breitstreckaggregat
EP0914933B1 (en) * 1997-11-04 2002-02-20 Tenax S.p.A. Method for stretching nets and grids
US6623679B2 (en) * 2000-12-29 2003-09-2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width of polyester film support
US20020132196A1 (en) * 2000-12-29 2002-09-1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width of polyester film support
US7771185B2 (en) 2002-03-29 2010-08-10 S & K Carpet Specialist, Llc Carpet straightening apparatus
US6800235B1 (en) 2002-03-29 2004-10-05 S & K Flooring Carpet straightening apparatus
JP2004027433A (ja) * 2002-06-26 2004-01-29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ウェブの拡幅装置
US7384586B2 (en) 2004-03-23 2008-06-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flexing a web
EP1982561B1 (en) 2006-02-08 2015-07-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substrate at a temperature above i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FI119286B (fi) * 2006-03-28 2008-09-30 Conenor Oy Poikkisuuntainen venytyslaite
EP2069081B1 (en) 2006-09-28 2018-05-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l in multi-layer webs
US8647556B2 (en) 2006-09-28 2014-0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l in multi-layer webs
US8784967B2 (en) 2009-10-09 2014-07-22 Volm Companies, Inc. Open mesh material and bags made therefrom
JP2015500296A (ja) 2011-12-09 2015-01-05 ザ・ジョンズ・ホプキンス・ユニバーシティ 定義された動的形状を有する人工抗原提示細胞
DE102016010246A1 (de) * 2016-03-30 2017-10-05 Kiefel Gmbh Verfahren und anlage zum behandeln eines in förderrichtung geförderten folienelements
CN109624291A (zh) * 2018-11-27 2019-04-16 郑州大学 一种单层球形网架中三角形单元张膜装置
CN110529452B (zh) * 2019-07-15 2021-08-27 电子科技大学 一种共腔式气动绷膜机构
CN114633460B (zh) * 2022-05-16 2022-09-02 河南银金达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聚酯膜的多向拉伸设备
CN116330627B (zh) * 2023-05-29 2023-08-01 天津市天缘电工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聚酰亚胺薄膜拉伸机运行轨道支撑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71136A (ko) *
US436178A (en) * 1890-09-09 Lace-drier
DE91011C (ko) *
US49947A (en) * 1865-09-12 Improvement in cloth-drying machines
DE213002C (ko) *
US416343A (en) * 1889-12-03 Machine for tentering
US430749A (en) * 1890-06-24 Cloth-tentering machine
US1238742A (en) * 1916-01-31 1917-09-04 Ind Service And Equipment Company Machine for stretching felt.
US1753025A (en) * 1928-05-28 1930-04-01 Claude L Roosevelt Curtain drier and stretcher
US2595233A (en) * 1950-02-17 1952-05-06 Dungler Julien Selvage guiding and drying apparatus
GB849436A (en) * 1957-09-11 1960-09-28 Ici Ltd Synthetic polymer films
US3050816A (en) * 1960-03-14 1962-08-28 Mccreary John High speed tenter chain device
NL256181A (ko) * 1960-09-26 1974-03-25
US3179976A (en) * 1962-09-05 1965-04-27 Marshall And Williams Corp Apparatus for stretching webs
GB1014765A (en) * 1962-09-21 1965-12-31 Emile Bernard Bate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dge guiding and stentering of textile fabrics
FR1528036A (fr) * 1966-05-02 1968-06-07 Vepa Ag Procédé et installation pour le traitement notamment de matières textiles en bandes
DE2024315A1 (en) * 1970-05-19 1971-12-09 Vepa Ag, Basel (Schweiz) Fabric dryer with recirculating hot air system - and heated - calender rollers
US3722105A (en) * 1971-07-06 1973-03-27 Owens Illinoi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radio frequency energy to a moving web of material
US3762003A (en) * 1972-01-24 1973-10-02 Semcoe Holding Corp Apparatus for distending and heat-treating tubular knitted fabric
US3902230A (en) * 1972-06-16 1975-09-02 Kimberly Clark Co Simultaneous continuous biaxial web stretcher
IT1005999B (it) * 1973-04-21 1976-09-30 Vepa Ag Dispositivo di trattamento termico di tessili
US4103403A (en) * 1974-11-18 1978-08-01 Marshall And Williams Company Tenter guide rail gap crossing mechanism
JPS5730056A (en) * 1980-07-30 1982-02-18 Fuji Facom Corp Failure processing system for data processing system
JPS58219024A (ja) * 1982-06-15 1983-12-20 Polymer Processing Res Inst 膜・繊維材の延伸方法並びに装置
JPH064275B2 (ja) * 1985-05-20 1994-01-19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フィルムの横延伸方法
DE3616955A1 (de) * 1986-05-20 1987-11-26 Dornier Gmbh Lindauer Folienreckmaschine mit mehreren aufeinanderfolgenden behandlungsfeldern
DE3621105A1 (de) * 1986-06-24 1988-01-07 Vdo Schindling Verfahren zur uebertragung von informationen zwischen selbstaendigen teilnehmern eines systems ueber eine serielle schnittstelle und anordn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DE3621205A1 (de) * 1986-06-25 1988-01-07 Hoechst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iaxial gestreckten flachfolien und vorrichtung hierfuer
DE3703097C1 (de) * 1987-02-03 1988-01-21 Dornier Gmbh Lindauer Kluppenkettenbahn fuer endlos umlaufende Spannkluppen in Spannrahmen
DE3717774A1 (de) * 1987-05-26 1988-12-08 Brueckner Trockentechnik Gmbh Spannmaschine zur waermebehandlung von breitgefuehrten warenbahnen
US4862564A (en) * 1987-11-09 1989-09-05 Mobil Oil Corporation Apparatus for stretching a thermoplastic material w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4084B2 (en) 1993-02-11
EP0472393A3 (en) 1992-07-29
KR920004121A (ko) 1992-03-27
MY107324A (en) 1995-11-30
EP0472393A2 (en) 1992-02-26
AU8257091A (en) 1992-05-14
US5259097A (en) 1993-11-09
EP0472393B1 (en) 1996-12-11
BR9103603A (pt) 1992-05-12
DE69123511D1 (de) 1997-01-23
TW204314B (ko) 1993-04-21
CA2049575A1 (en) 1992-02-24
DE69123511T2 (de) 1997-04-03
ES2096630T3 (es) 1997-03-16
CA2049575C (en) 1997-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904B1 (ko) 연신기(stretching machine)
KR100943038B1 (ko) 시트 형상물의 연신기
US5139600A (en) Double sided lamination machine
US7897075B2 (en) Calender gap control
KR860001822B1 (ko) 열 수축성 테이프와 같은 물체를 열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900220A (en) Process for melt spinning and orienting polystyrene filaments
US2499142A (en) Heat setting of textile fabrics
CN107051818A (zh) 一种立式上胶机
US3750305A (en) Web dryer
US3534393A (en) Heat tunnel
JP2001505832A (ja) フィルム加熱方法及び加熱装置並びにフィルム温度測定装置
EP10579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setting a knitted fabric in tubular form
US3438139A (en) Apparatus for setting fabric
CN1060253A (zh) 拉幅机
JP2983263B2 (ja) 熱風循環式延伸機
US2599486A (en) Heat-treating machine for textile material
RU27707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движущихся лент полотна
JP2983275B2 (ja) 延伸機
EP3756855A1 (en) Production line and relative method of production for obtaining a longitudinally and transversally stretched ptfe strip
GB782003A (en) An apparatus for stretching fabrics
JP2001305353A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の熱処理方法および熱処理装置
SU704666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нанесени на подложку эмульсии с консервацией ее защитной пленкой
JP2983270B2 (ja) 延伸機
US3544676A (en) Flatness control of thermoplastic sheets
US3154085A (en) Sheet or coil cooling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