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852B1 -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852B1
KR940009852B1 KR1019900013116A KR900013116A KR940009852B1 KR 940009852 B1 KR940009852 B1 KR 940009852B1 KR 1019900013116 A KR1019900013116 A KR 1019900013116A KR 900013116 A KR900013116 A KR 900013116A KR 940009852 B1 KR940009852 B1 KR 940009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teering wheel
gear
ring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413A (ko
Inventor
하지메 코즈까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9876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707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2276389U external-priority patent/JP250859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2764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509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2276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954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2276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61470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2712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71971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2712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71972U/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유이찌 filed Critical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2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the inflator or inflatable member not being rotatable with the steering wheel; Arrangements using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rim for storing, supplying or evacuating the inflation gas or for storing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62D1/105Non-rotatable hubs, e.g. the central part of the steering wheel not rot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
제 1 도 ~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도는 스티어링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Ⅱ - Ⅱ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Ⅲ - Ⅲ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Ⅳ - Ⅳ선 단면도.
제 5 도는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와의 나사맞춤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제 6 도는 제1실시예의 변경을 도시한 요부확대도.
제 7 도 조정링을 도시한 평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Ⅷ - Ⅷ선 단면도.
제 9 도는 제 3 도의 Ⅸ - Ⅸ선 단면도.
제 10~12 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0 도는 에어백장치를 설치한 스티어링장치의 개략구성도.
제 11 도는 패드부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에 도시한 작동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컬럼 (2) : 컬럼하우징
(3) : 스티어링샤프트 (4), (12), (13), (14) : 보올베어링
(5) : 피니언기어 (6) : 스티어링휘일
(6a) : 스포우크 (6b) : 연결링
(7) : 보스부 (7a) : 링기어
(8), (45a), (45b), (46a), (46b) : 연결플랜지부
(9), (29), (47) : 고정볼트 (10) : 연결볼트
(11)기어하우징 (12a), (13a), (24a) : 바깥링
(12b), (13b), (24b) : 안쪽링 (14) : 베어링유지부
(15) : 암나사부 (16) : 록너트
(17) : 스페이서 (18) : 스냅링
(20) : 얇은부분 (21) : 절결부(切缺部)
(22) : 패드부 (23) : 패드장착브래킷
(25) : 지지멤버 (27) : 베어링 장착부
(28) : 돌설부 (29a) : 나사부
(30), (35), (36), (37) : 삽통구멍 (31) : 탄성부재
(32) : 고정너트 (33) : 조작스위치
(34) : 하아네스 (38) : 하아네스가이드
(39) : 조정링 (40) : 장착오목부분
(41) : 링본체 (42) : 공구끼워맞춤홈
(43) : 키이실린더유니트 (45) : 제1구성부재
(46) : 제2구성부재 (48) : 볼트받침부
(49) : 볼트구멍 (52) : 에어백
(53) : 유니트본체 (54) : 록부재
(55) : 키이홈 (56) : 연결관
본 발명은 스티어링휘일의 대략 중심부에 설치되는 패드부를 스티어링휘일의 조향에대하여 비회전상태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패드부가 비회전식의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로서, 일본국 실개소 53-105234호 공보의 제 1 도에 도시된 방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스티어링휘일의 대략 중심부에 설치되는 패드부를 차체쪽에 고정되는 고정샤프트에 스티어링휘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스티어링휘일과는 분리시킨 상태에서 스티어링기어기부에 연결되는 스티어링샤프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스티어링휘일의 보스부에 형성한 기어와 스티어링샤프트쪽에 형성한 기어를 외치맞물림시키고,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조작시에는 이들 기어의 맞물림기구를 개재해서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조작을 스티어링기어기구쪽으로 전달하는 2축위치 맞물림식의 구성으로 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예로서 동 일본국 실개소 53-105234호 공보의 제 2 도에 도시된 것도 있다. 이것은 스티어링휘일의 대략 중심부에 설치되는 패드부를 차체쪽에 고정되는 고정샤프트에 장착하는 동시에, 이 고정샤프트의 바깥둘레에 설치된 속이빈 형상의 스티어링샤프트 끝부분을 개재해서 스티어링휘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이 스티어링샤프트의 바깥둘레를 스티어링컬럼에 의해서 회전지지 시키므로서,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조작을 스티어링샤프트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2축외치맞물림식의 경우에는 스티어링휘일의 보스부에 형성한 기어와 스티어링샤프트쪽에 형성한 기어을 외치맞물림시키고,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조작을 이들 기어의 맞물림기구를 개재해서 스티어링 기어기구쪽으로 전달하고 있으므로,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조작방향과 스티어링샤프트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고, 스티어링휘일쪽의 기어와 스티어링샤프트쪽의 기어와의 맞물림기구내에 맞물림의 반전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때문에,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조작을 스티어링 기어기구쪽에 전달시키는 전달기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므로, 비용이 높아지는 염리가 있다. 또, 스티어링휘일쪽의 기어와 스티어링샤프트쪽의 기어와의 맞물림이 외치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빨의 압력각이 커서, 단순한 평기어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맞물림소리등의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또 후자의 경우에는 고정샤프트의 차체쪽으로의 고정부를 스티어링샤프트와 앞끝의 스티어링기어기구보다 앞쪽에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고정부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화하는 문제가 있다. 또, 스티어링휘일의 대략 중심부의 패드부에 스위치류등을 설치하였을 경우 이 스위치류등의 하아네스는 고정샤프트내를 통과하여 차실 바깥쪽으로 꺼내게되므로, 고정샤프트의 주위에 있어서의 하아네스의 배선보호, 조립등의 작업이 번거로운 것이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비추어서 창안된 것으로서, 원환형상의 보스부를 가지고 차체쪽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스티어링휘일과, 상기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을 스티어링샤프트에 전달가능한 회전전달수단과 상기 스티어링휘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비회전부재와, 동비회전부재와 상기 차체부재를 연결고착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의 축선방향으로 뻗고, 적어도 동보스부의 양단부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회전전달수단은 상기 보스부안의 상기 차체쪽부재의 끝부분쪽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의 스티어링휘일쪽의 끝부분 바깥둘레에 형성된 피니언부와, 상기 스티어링휘일의 보스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 안쪽둘레에 상기 피니언부에 편심된 상태로 맞물리는 이빨을 가진 링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링기어부가 편심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부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동링기어부와 동피니언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삽통하여 상기 비회전부재와 상기 차체쪽부재를 연결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샤프트의 스티어링휘일쪽에 설치된 피니언부를 스티어링휘일의 보스부에 설치된 링기어부에 편심된 상태로 내치맞물림시키므로서, 링기어부와 피니언부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에 연부재를 삽통시켜 비회전부재와 차체쪽부재를 연결고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조작에 대하여 비회전이 되는 비회전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 상기 구성을 가지므로서, 스티어링휘일의 회전방향과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방향과는 동일하게 되고, 맞물림기구내에 맞물림의 반전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 스티어링장치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스티어링휘일쪽의 기어와 스티어링샤프트의 기어와의 맞물림이 내치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외치방식과 비교해서 이빨의 압력각은 작아져서, 맞물림소리등의 소음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비회전부재에 차량탑재 전장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조작스위치에 접속되는 하아네스를 공간부에 삽통하여 설치하므로서, 비회전부재에 조작스위치를 설치한 경우의 하아네스의 레이아우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하아네스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림직한 예로서, 비회전부재에 에어백을 장착하고, 차체쪽부재에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팽창기구를 구비한 에어백장치 유니트본체를 설치하고, 에어백과 에어백장치의 유니트본체를 연결시킨 연결관을 공간부에 삽통시키므로서, 에어백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도, 에어백을 스티어링휘일의 대략 중심부에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비회전부재에 에어백을 장착하여 에어백의 전개방향이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하므로서, 스티어링휘일의 회전조작에 관계없이 에어백을 항상소정의 각도로 배치할 수 있어, 확실하게 에어백을 드라이버를 향해서 전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는 , 상용차나 레크레이션 차량과 같이 스티어링샤프트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큰 차량에 특히 유효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링기어의 회전축선을 피니언부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오프셋하여 배치하므로서, 스티어링휘일의 보스부의 스티어링샤프트에 대한 위쪽으로의 돌출량을 적게할 수 있어, 스티어링컬럼위쪽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제 9 도까지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스티어링장치는 스티어링컬럼(1)의 축선방향의 상단부에 스티어링휘일(6)이 접속되고, 그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패드부(22)에 차량탑재 전장품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33)등이 배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체쪽에 장착된 파이프형상의 스티어링컬럼(1)의 상단부에 대략 파이프형상의 컬럼하우징(2)의 한쪽끝부분이 끼워 맞춤되어 있다.
또, 이 스티어링컬럼(1)내에는 스티어링샤프트(3)가 삽통되고 있으며, 이 스티어링샤프트(3)의 상단부는 컬럼하우징(2)의 타단부에 보올베어링(4)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하단부는 도시하지 않는 주지의 스티어링기어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스티어링샤프트(3)의 상단부에는 피니언기어(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니언기어(5)는 스티어링휘일(6)의 보스부(7)의 안쪽둘레면에 형성된 링기어(7a)의 이빨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로 맞물려 있다.
또 보스부(7)의 상단부에는 스티어링휘일(6)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플랜지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휘일(6)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쪽방향을 향하여 뻗어설치된 복수개의 스포우크(6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포우크(6a)의 안쪽끝부분 사이는 대략 링형상의 연결링(6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7)의 연결플랜지부(8)와 연결링(6b)이 둘레방향의 복수개소를 고정볼트(9)에 의해서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보스부(7)는 컬럼하우징(2)의 상단부에 연결보트(10)에 의해서 고정된 대략 원통형상의 기어하우징(11)의 안쪽둘레면에 상하1쌍의 보올베어링(12),(13)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기어하우징(11)의 안쪽둘레면에는 컬럼하우징(2)쪽의 끝부분에 보올베어링(13)의 바깥링(13a)의 끝면에 접촉하는 베어링유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기어하우징(11)의 안쪽둘레면의 상단부에는 암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암나사부(15)에는 보올베어링(12)의 바깥링(13a)를 축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록너트(16)가 나사장착되어 있다. 다른 한편, 보스부(7)의 바깥둘레에는, 베어링(12)의 안쪽링(12b)의 끝면에 접촉하는 스냅링(18)이 끼워 붙여지고, 또 보스부(7)의 바깥둘레에는, 스냅링(18)과 베어링(13)의 안쪽링(13b)과의 사이에 개장된 스페이서(17)가 끼워져 있다.
즉, 록너트(16)의 나사끼우기동작에 따라서 보올베어링(12),(13)의 각 바깥링(12a),(13a) 사이의 축방향의 거리, 즉 각베어링(12),(13)의 예비하중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기구로 되어 있다.
또, 기어하우징(11)의 암나사부(15)쪽의 끝가장자리부분에는 얇은 부분(2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록너트(16)의 스티어링휘일(6)쪽의 끝부분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의 절결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하우징(11)의 암나사부(15)에 록너트(16)를 적절한 조임위치까지 나사삽입시킨 상태로 이들 절결부(21)내에 기어하우징(11)의 얇은 부분(20)이 눌려찌부러진 상태로 걸어맞추어져, 록너트(16)의 풀림방지가 되어 있다.
스티어링휘일(6)의 대략 중심부에 설치되는 패드부(22)는 후술는 방법에 의해 기어하우징(11)쪽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패드부(22)의 바닥면에는 패드장착브래킷(23)이 고정되어 있다. 이 패드장착브래킷(23)은 지지멤버(25)에 볼트(26)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한편, 기어하우징(11)의 컬럼하우징(2)쪽의 끝부분 안쪽둘레면에는 피니언기어(5)쪽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돌설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설부(28)는 피니언기어(5)와 링기어(7a)와의 사이의 공간부(A)와 축방향에 관하여 대항하고 있다. 또한 이 공간부(A)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5)가 링기어(7a)에 편심된 상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피니언기어(5)와 링기어(7a)와의 사이에 생기는 것이다. 또, 이 돌설부(28)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차폭간격을 둔 1쌍의 고정볼트(29),(29)의 압입에 의해 고정되고,이 고정볼트(29)의 타단부는 공간부(A)를 삽통해서 지지멤버(25)에 고정되어 있다. 동고정볼트(29)의 타단부는 상세하게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멤버(25)에 형성된 볼트삽통구멍(30) 및 브래킷(23)을 관통하여 스티어링휘일(6)쪽에 돌출되어 있다. 이 고정볼트(29)의 돌출부의 선단부에는 소직경의 나사부(29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부(29a)에 고정너트(32)가 나사장착되고, 동 고정너트(32)와 브래킷(23)과의 사이에는 접시스프링웨이브와셔, 고무, 강성수지등의 탄성부재(31)가 개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볼트(29)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9a)에 고정너트(32)가 나사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은 고정너트(32)의 고정볼트(29)에 대한 위치결정 및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사부(29a)를 소직경으로 할것없이 단순히 더블너트를 사용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보스부(7)의 연결플랜지부(8)쪽의 끝부분에는 대직경의 베어링장착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장착부(27)와 지지멤버(25)와의 사이에는 보올베어링(2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7)는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조작시에 패드부장착브래킷(23)과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24)의 바깥링(24a)는 베어링장착부(27)에 안쪽링(24b)은 지지멤버(25)에 각각 압입등에 의해 회동불능하고 또한 슬라이딩불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패드부(22)에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탑재전장품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33)등이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멤버(25), 기어하우징(11)의 돌설부(28) 및 컬럼하우징(2)에는 이들 각 장착부품의 하아네스(34)가 삽통하는 삽통구멍(35),(36),(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공간부(A)내에 있어서 2개의 고정볼트(29),(29) 사이에 하아네스(34)가 삽통하는 편평한 통형상의 수지제의 하아네스가이드(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하아네스가이드(38)는, 그 양끝부분이 각각 고정볼트(29),(29)에 걸어맞추어진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도록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부가 돌설부(28)에 타단부가 지지멤버(25)에 접촉하고 있다.
즉, 이 하아네스가이드(38)에 의해, 하아네스(34)가 보스부(7)내에 과도하게 요동하여 피니언기어(5) 또는 링기어(7a)에 휘감기는 불편이 방지된다.
컬럼하우징(2)과 기어하우징(11)과의 사이에는 피니언기어(5)와 링기어(7a)와이 사이의 백래쉬를 조절하는 조정링(39)이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기어하우징(11)에 있어서의 컬럼하우징(2)과의 접합끝부분쪽에는 원형의 안쪽둘레면을 가진 오목부분(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어하우징(11)의 장착오목부분(40)의 안쪽둘레면과 컬럼하우징(2)의 원형의 바깥둘레면과의 사이에 조정링(39)이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조정링(39)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본체(41)의 안쪽둘레면과 바깥둘레면이 편심하고 있다. 즉, 이 링본체(41)의 안쪽둘레면의 중심(O1)과 바깥둘레면의 중심(O2)와는 적당한 편심거리 D만큼 편심되어 있다. 그때문에, 이 조정링(39)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기어하우징(11)이 연결볼트(10)의 삽통개소를 개재해서 컬럼하우징(2)에 대하여 축방향과 직각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약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대이동에 따라 피니언기어(5)의 축선과 링기어(7a)의 축선과의 오프셋량을 조정할 수 있어, 피니언기어(5)와 링기어(7a)와의 사이의 백래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조정링(39)의 링본체(41)에는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공구 끼워맞춤홈(42)이 둘레방향의 복수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공구 끼워맞춤홈(42)에 조정링(39)을 회동조작하는 적당한 공구를 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티어링컬럼(1)과 컬럼하우징(2)과의 끼워맞춤부 바깥둘레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키이실린더유니트(43)의 장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키이실린더유니트(43)의 장착부(44)는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이실린더유니트(43)의 기단부에 형성된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의 제1구성부재(45)와 이 제1구성부재(45)와 대략 동일형상의 제2구성부재(4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각 구성부재(45),(46)의 반원형상 양쪽의 끝가장자리부에는 연결플랜지부(45a),(45b),(46a),(46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제2구성부재(46)의 연결플랜지부(46a)(46b)에는 고정볼트(47)의 삽통구멍 및 볼트머리부분을 유지하는 볼트받침부(48), 제1구성부재(45)의 연결플랜지부(45a),(45b)에는 이 고정볼트에 나사맞추는 볼트구멍(4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각 구성부재(45),(46) 사이에 스티어링컬럼(1)과 컬럼하우징(2)과의 끼워 맞춤부의 바깥둘레를 끼워넣고, 고정볼트(47)에 의해서 제1, 제2각 구상부재(45),(46)사이를 꽉조여 고정되어 있다. 또, 키이실린더유니트(43)의 제1구성부재에는 스티어링컬럼91)가 컬럼하우징(2)을 관통하는 록부재(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록부재(54)는 스티어링샤프트(3)에 형성된 키이홈(55)에 끼워 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키이실린더 유니트(43)는 스티어링컬럼(1)쪽에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록상태를 표시해둔다.
다음에 상기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조작시에는 이 스티어링휘일(6)과 일체적으로 보스부(7)가 회전동작한다. 그리고, 이 보스부(7)의 회전에 따라서 보스부(7)의 안쪽둘레에 형성된 링기어(7a)와 편심한 상태로 맞물려 있는 피니언기어(5)를 개재해서 스티어링샤프트(3)가 스티어링휘일(6)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조작력이 이 스티어링샤프트(3)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기어기구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이 행하여진다. 이 경우 스티어링휘일(6)쪽의 보스부의 안쪽둘레면에 설치된 링기어 (7a)과 스티어링샤프트(3)쪽의 피니언기어(5)를 맞물린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조작시에는 스티어링샤프트(3)를 이 스티어링휘일(6)과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티어링휘일(6)쪽과 스티어링샤프트(3)쪽과의 맞물림기구내에 맞물림의 반전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조작을 스티어링기어기구에 전달시키는 전달기구의 구성을 종래와 비교하여 간략화 할 수 있고, 비용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안쪽이빨 맞물림방식의 맞물림기구, 즉, 링기어(7a)와 피니언기어(5)의 맞물림이 보스부(7)내에서 행하여지는 기구로 하였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바깥이빨방식에 비해서 맞물림소리등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스티어링휘일(6)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된 패드부(22)는 기어하우징(11)의 돌설부(28)에 일단부가 고정단 고정볼트(29)가 공간부(A)에 삽입통과되고, 타단부가 링기어(7a)를 보올베어링(24)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드장착브래킷(23)을 관통하여 너트부재(32)에 고정되고, 그 패드장착브래킷(23)은 지지멤버(25)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성이고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조작시에도 이 패드부(22)를 비회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때문에,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패드부(22)에 차량탑재 전장품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33)등이 장착되었을 경우, 그 각 스위치(33)등의 하아네스(34)를 공간부(A)에 삽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하아네스(34)의 레이아우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조작에 대해서도, 패드부(22)와 함께 하아네스(34)를 비회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하아네스의 배선보호, 조립등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보스부(7)는 베어링(12), (13)에 의해 기어하우징(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베어링(24)에 의해 지지멤버에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동보스부(7)의 지지스팬을 크게 잡을 수 있어, 이에의해 스티어링휘일(6)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멤버(25)를 기어하우징(11)쪽에 고정하는 고정볼트(29)에 나사부착되는 고정너트(32)와 지지멤버(25)와의 사이에 탄성부재(31)를 개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보올베어링(24)에 적절한 예비하중을 부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티어링휘일(6) 및 패드부(22)의 덜거덩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스티어링휘일(6) 및 패드부(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컬럼하우징(2)과 기어하우징(11)과의 사이에 안쪽둘레면과 바깥둘레면이 편심한 조정링(39)을 끼워 맞춤시켰기 때문에, 이 조정링(39)을 회동시키므로서, 이 조정링(39)은 컬럼하우징(2)에 대하여 축방향과 직각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 상대이동에 따라 피니언기어(5)의 축선관링기어(7a)의 축선과의 오프셋량을 조절할 수 있어, 피니언기어(5)와 링기어(7a)와의 사이의 백래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피니언기어(5)와 링기어(7a)와의 사이의 백래쉬를 고정밀도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록너트(16)를 회전시켜서 베어링(12)의 바깥링(12a)을 가압하므로서, 베어링(12)의 바깥링(12a)과 베어링(13)의 바깥링(13a)와의 거리가 축소된다. 다른 한편, 베어링(13)의 안쪽링(13b)과의 거리는 스페이스(17)의 길이와 스냅링(18)의 길이와 스냅링(18)의 판두께와 합침 분량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양베어링(12),(13)의 예비하중을 적절한 값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스티어링휘일(6)의 덜거덩거림을 방지하여 이 스티어링휘일(6)을 안정된 상태로, 또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보스부(7)는, 베어링(12),(13)에 의해 기어하우징(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베어링(24)에 의해 지지멤버(25)에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나, 만약 베어링(12),(13)에 의해서만 보스부(7)를 기어하우징(11)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지지할 수 있다면, 베어링(24)을 생략할 수 있다. 또 반대로 베어링(24)에 의해서만 보스부(7)를 지지멤버(25)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지지할 수 있다면, 베어링(12),(13)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이 베어링(24) 또는 (12),(13)을 생략할 경우에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멤버(25)의 삽통구멍(30)을 삽통하는 고정볼트(29)의 부분(29b)를 소정직경으로 하여, 고정볼트(29)의 대직경부(29c)와 고정너트(32)에 의해서 지지멤버(25)를 끼워 압착하므로서 이 지지멤버(25)를 강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 10 도~제 12 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나, 상기 제1실시예와 공통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드부(22)에 에어백(52)을 장착시키고, 스티어링컬럼(1)쪽에 에어백(52)의 팽창기구(B)를 구비한 우니트본체(53)을 장착시키고 있다.그리고, 에어백(52)과 유니트본체(53)를 연결시킨 연결관(56)은 공간부(A)에 삽통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상시에는 유니트본체(53)로부터의 팽창유체를 연결관(56)을 개재해서 에어백(52)에 인도하여, 이 에어백(53)을 팽창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와 비교해서 스티어링휘일(6)의 패드부(22)에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어. 패드부(22)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때문에, 패드부(22)에 스위치류(33)를 짜넣었을 경우에도 스티어링휘일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드부(22)는 패드장착브래킷(23)에 의해서 이 패드부(22)의 정면부의 축선(O2)방향을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축선(O1)방향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적당한 각도 θ경사지게 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이 패드부(22)가 드라이버에 대하여 대략 정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는 일없이 대향하고 있으므로 비상시, 에어백(52)이 드라이버이외의 방향을 향하여 팽창하는 일이 없고, 확실하게 드라이버의 보호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

  1. 원환형상의 보스부(7)를 가지고 차체쪽부재(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스티어링휘일(6)과, 상기 스티어링휘일(6)의 회전을 스티어링샤프트(3)에 전달가능한 회전전달수단과, 상기 스티어휘일(6)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비회전부재(22)와, 동비회전부재(22)와 상기 차체쪽부재(11)를 연결고착하는 연결부재(29)를 구비한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7)는 상기 스티어링샤프트(3)의 축선방향으로 뻗고, 적어도 동보스부(7)의 양단부가 베어링(24),(13)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회전전달수단은 상기 보스부(7)안의 상기 차체쪽부재(11)의 끝부분쪽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샤프트(3)의 스티어링휘일(6)쪽의 끝부분 바깥둘레에 형성된 피니언부(5)와, 상기 스티어링휘일(6)의 보스부(7)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 안쪽둘레에 상기 피니언부(5)에 편심된 상태로 맞물리는 이빨을 가진 링기어부(7a)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29)는 상기 링기어부(7a)가 편심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부(5)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동링기어부(7a)와 동피니언부(5)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A)를 삽통하여 상기 비회전부재(22)와 상기 차체쪽부재(11)를 연결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
KR1019900013116A 1989-08-24 1990-08-24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 KR940009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67 1989-08-24
JP1989098767U JPH0337077U (ko) 1989-08-24 1989-08-24
JP1-122763 1989-10-20
JP1-122762 1989-10-20
JP12276389U JP2508597Y2 (ja) 1989-10-20 1989-10-20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12276489U JPH085092Y2 (ja) 1989-10-20 1989-10-20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1989122762U JP2519542Y2 (ja) 1989-10-20 1989-10-20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1989122761U JPH0361470U (ko) 1989-10-20 1989-10-20
JP1-122764 1989-10-20
JP1-122761 1989-10-20
JP1-127122 1989-11-01
JP1989127122U JPH0371971U (ko) 1989-11-01 1989-11-01
JP1-127123 1989-11-01
JP1989127123U JPH0371972U (ko) 1989-11-01 1989-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413A KR910004413A (ko) 1991-03-28
KR940009852B1 true KR940009852B1 (ko) 1994-10-18

Family

ID=2756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116A KR940009852B1 (ko) 1989-08-24 1990-08-24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52358A (ko)
EP (1) EP0414245B1 (ko)
KR (1) KR940009852B1 (ko)
DE (1) DE6901711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0709B1 (fr) * 1994-06-01 1996-07-12 Rech Etudes Indles Civile Module de commande pour mécanisme de direction d'un véhicule automobile.
US5569893A (en) * 1995-04-10 1996-10-29 Takata Inc. Driver air bag cover with integral horn and redundant switches
US5692770A (en) * 1995-09-15 1997-12-0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odular steering wheel and airbag combination
US5692769A (en) * 1995-09-01 1997-12-0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odular steering wheel and air bag combination
CA2227755A1 (en) * 1995-09-01 1997-03-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odular steering wheel and airbag combination
US7744122B2 (en) * 1995-12-12 2010-06-2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river side aspirated airbags
FR2752552B1 (fr) * 1996-08-20 1998-10-23 Renault Dispositif de command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bloc de commandes agence au centre du volant
US5700029A (en) * 1996-10-01 1997-12-23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mounting bracket with bendable mounting arms
US5829780A (en) * 1996-10-07 1998-11-03 Chrysler Corporation Air bag and inflator assembly
JPH11152045A (ja) * 1997-11-21 1999-06-08 Yazaki Corp 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
JPH11152046A (ja) * 1997-11-21 1999-06-08 Yazaki Corp 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
US6033145A (en) * 1998-07-25 2000-03-07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teering wheel attachment apparatus
JP2001106089A (ja) * 1999-10-12 2001-04-1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操舵ユニット
JP3789284B2 (ja) * 2000-04-28 2006-06-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両のハンドル用スイッチユニット
FR2814421A1 (fr) * 2000-09-22 2002-03-29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Coussin central fixe a microphone, ensemble de direction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s
FR2815318B1 (fr) * 2000-10-18 2003-02-21 Autoliv Isodelta Systeme et volant de direction pour vehicule
US6893044B2 (en) * 2001-10-05 2005-05-17 Delphi Technologies, Inc. Static driver airbag module using steering wheel mounted gears
KR100494773B1 (ko) 2002-06-20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난 방지 기능이 강화된 차량의 록킹장치
FR2851972B1 (fr) * 2003-03-05 2006-11-10 Sc2N Sa Coussin gonflable fixe sur volant
FR2851979B1 (fr) * 2003-03-06 2006-05-26 Faurecia Ind Colonne de direction a moyens de rattrapage des jeux, et ensemble de direction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s
US7320480B2 (en) * 2003-03-27 2008-01-22 Unisia Jkc Steering Systems, Co., Ltd. Structure for fixing steering-gear housing
US7290789B2 (en) 2003-07-22 2007-11-06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Vehicle steering device with stationary central part
GB2411942A (en) 2004-03-10 2005-09-14 Autoliv Dev Steering wheel bearing housing with resilient bearing retainers
GB2411941A (en) * 2004-03-10 2005-09-14 Autoliv Dev Steering wheel bearing housing with yielding apertures to allow mounting of bearings
GB2411937A (en) * 2004-03-11 2005-09-14 Autoliv Dev Anti-backlash mechanism for the gear of a steering wheel
DE102005053183A1 (de) * 2005-11-03 2007-05-1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Baugruppe für ein Lenksystem eines Kraftfahrzeugs
DE602006011368D1 (de) 2006-01-11 2010-02-04 Autoliv Dev Lenkradanordnung
GB2436134A (en) * 2006-03-17 2007-09-19 Autoliv Dev Steering wheel arrangement
DE102006037672B4 (de) * 2006-08-11 2013-08-14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einheit
JP2008114704A (ja) * 2006-11-02 2008-05-2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GB0625764D0 (en) * 2006-12-22 2007-02-07 Bamford Excavators Ltd Control apparatus for a machine
KR100980928B1 (ko) * 2007-12-15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DE102011078835A1 (de) * 2011-07-07 2013-01-10 TAKATA Aktiengesellschaft Fahrzeuglenkrad,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lenkrad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Fahrzeuglenkrads an einer Lenkwelle
ITMO20120125A1 (it) * 2012-05-11 2013-11-12 Cnh Italia Spa Dispositivo di sterzatura per un veicolo.
JP6511631B2 (ja) * 2014-03-11 2019-05-15 グアンドン フアチャン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インテリジェント トランスポーテーション システ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10144382B2 (en) * 2015-12-15 2018-12-0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Steering column system for vehicle occupant safety
US10029642B2 (en) * 2016-03-18 2018-07-2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Enhanced steering system utilizing fixed dab for occupant protection in frontal impacts with laterial loading
JP7160806B2 (ja) * 2017-06-14 2022-10-25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248046B1 (ko) * 2019-10-02 2021-05-04 (주)센트랄모텍 볼 스크류 유격 측정장치
CN115366980B (zh) * 2022-08-11 2023-10-20 浙江长江汽车电子有限公司 集成电镀和免喷皮纹弹性装饰板的方向盘开关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2714A (en) * 1922-05-31 1926-07-13 Charles H Biederman Reduction gear
US1795566A (en) * 1927-12-12 1931-03-10 Maccomb Richard Albert Pilot stand
GB1216324A (en) * 1967-06-26 1970-12-16 Lucas Industries Ltd Means for mounting controls in a road vehicle
FR2098804A5 (ko) * 1970-07-28 1972-03-10 Peugeot & Renault
DE2131902A1 (de) * 1971-06-26 1972-12-28 Heckler & Koch Gmbh Lenkrad fuer ein Kraftfahrzeug od.dgl.
JPS4980732A (ko) * 1972-12-05 1974-08-03
JPS53105234A (en) * 1977-02-25 1978-09-13 Fuji Xerox Co Ltd Magnetic brush developing device
DE2842020C2 (de) * 1978-09-27 1986-03-13 Bernd 5000 Köln Pilatzki Lenk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mit einem Pralltopf
DE2922032C2 (de) * 1979-02-26 1985-05-15 Toyota Jidosha Kogyo K.K., Toyota, Aichi Lagerung für eine in einem Mantelrohr einer Lenksäule für Kraftfahrzeuge angeordnete Lenkspindel
DE3100190C2 (de) * 1980-01-11 1983-11-03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Kanagawa Lenkvorrichtung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JPS6018434A (ja) * 1983-07-09 1985-01-30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継電機構
JPS6069752A (ja) * 1983-09-27 1985-04-20 Fujitsu Ltd エラ−処理方式
US4797538A (en) * 1987-09-08 1989-01-10 Schick David E Calculator--horn button
IT214163Z2 (it) * 1988-06-24 1990-04-02 Same Spa Postazione di guida per trattor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4245A1 (en) 1991-02-27
US5152358A (en) 1992-10-06
EP0414245B1 (en) 1995-02-22
DE69017119T2 (de) 1995-10-26
KR910004413A (ko) 1991-03-28
DE69017119D1 (de) 199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85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장치
JP3613693B2 (ja) 電動式舵取装置
JP4221825B2 (ja) 電動式舵取装置
EP1647457B1 (en) Steering lock apparatus
JP3940282B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を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これを実施するのに適したプレアセンブリステアリングユニット
US6076628A (en) Power assist apparatus for motor vehicle steering
AU7866594A (en) A steering wheel
JP2813580B2 (ja) 自動車のかじ取ハンドルをかじ取軸に取付ける装置
JPH01148640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6098494A (en) Mount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steering wheel
US6435440B1 (en) Pretensioner
JPH085092Y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519542Y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CN112389337B (zh) 水平度调节装置、车载显示装置及车辆
JP2508597Y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596202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4625818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モジュールキャリアを装着するための装置
KR100970117B1 (ko) 웜기어 백래쉬 조절장치 및 이를 장착한 조향장치
KR102613408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JP2519748Y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080528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の固定装置
KR100391311B1 (ko) 자동차용 클럭 스프링의 로크바
KR101099823B1 (ko) 자동차의 틸트식 조향장치
JP2519750Y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47889Y1 (ko) 조향장치 피트먼암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