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709B1 -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및 마크인식장치 - Google Patents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및 마크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709B1
KR940009709B1 KR1019920010456A KR920010456A KR940009709B1 KR 940009709 B1 KR940009709 B1 KR 940009709B1 KR 1019920010456 A KR1019920010456 A KR 1019920010456A KR 920010456 A KR920010456 A KR 920010456A KR 940009709 B1 KR940009709 B1 KR 940009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line
written
shee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098A (ko
Inventor
유지 히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미야하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미야하라 아끼라 filed Critical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06K1/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 G06K1/1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by printing code 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및 마크인식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의 기능 블록도.
제 2 도는 좁. 콘트롤. 쉬트의 정면도.
제 3a 도는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가 기입된 체크서클을 나타낸 모델도.
제 3b 도는 취소마크가 기입된 체크서클을 나타낸 모델도.
제 3c 도는 미설정 체크서클을 나타낸 모델도.
제 4 도는 좁. 콘트롤. 쉬트의 사용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 5 도는 좁. 콘트롤. 쉬트의 인식 아르고리즘의 개요적인 플로우차트.
제 6 도는 좁인식블록의 블록도.
제 7 도는 좁내용인식의 알고리즘의 플로우차트.
제 8 도는 체크서클과 체크서클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낸 모델도.
제 9 도는 체크마크판별의 알고리즘의 플로우차트.
제 10a 도는 세선화처리전의 화상의 모델도.
제 10b 도는 세선화처리후의 화상의 모델도.
제 10c 도는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후의 화상의 모델도.
제 11a 도는 세선화처리에 사용되는 필터 계수를 나타낸 모델도.
제 11b 도는 단점으로 부터의 침식처리에 사용하는 필터계수를 나타낸 도면.
제 11c 도는 분기점 추출에 사용하는 필터계수를 나타낸 도면.
제 12a 도는 체크서클의 경계선과 1회만 교차하는 제어좁 설정용 마크를 기입한 도면.
제 12b 도는 제어좁 설정용 마크를 취소하는 취소마크를 기입한 도면.
제 12c 도는 미설정 체크서클을 나타낸 다른 모델도.
제 13a 도는 체크서클의 경계선에 접점이 생기는 제어좁 설정용 마크를 기입한 도면.
제 13b 도는 제어좁 설정용 마크를 취소하기는 취소마크를 기입한 도면.
제 13c 도는 다른 기입형태를 기입한 취소마크의 도면을 나타낸 또 다른 모델도.
본 발명은 좁. 콘트롤. 쉬트의 마크란에 복사기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좁 설정용 마크의 기입 및 이 기입된 마크를 취소하는 방법 및 제어좁의 설정, 취소를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복사기나 팩시밀리등의 화상처리 장치에 복사하고저 하는 복사매수, 화상농도, 화상확대, 축소등의 제어좁을 마크쉬트의 마크란에 기입하고 이 마크쉬트를 마크인식장치에 인식시켜서 복사기등의 제어를 행하게 하여 이에 의해서 조작자가 복사동작이 종료되도록 까지 복사기등의 근방에 항상 곁에 있지 않도록 배려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장치로서 예시하는 미국특허 명세선 제 4,248,528호에는 마크쉬트위에 여러가지 제어좁을 대응하는 복수의 마크란이 인쇄되어 있고 조작자가 이 마크란을 연필로 칠하여 좁. 콘트롤. 쉬트를 작성하고 이 좁. 콘트롤. 쉬트를 원고다발과 함께 자동원고 반송장치에 세트하고 자동원고 반송장치에 의해서 반송되어 오는 좁. 콘트롤. 쉬트의 마크기입 내용을 광학식 스캔너에 의해서 독취하여 마크란에 기입된 제어좁에 대응한 제어를 복사기가 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같은 기술로서 일본국 특개평 2-8171호 공보에도 프로그래밍. 쉬트에 다수의 4각형상 마크란을 마련하고 선택된 마크란에 연필에 의해서 마크를 기입하여 제어좁을 설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좁. 콘트롤. 쉬트의 마크란에 일단 기입한 제어좁을 취소하는 방법으로서 일본국 특개소 51-144127호 공보에는 일단 기입한 좁. 콘트롤. 쉬트의 마크란위에 능형, 또는 4각형상의 백색종이 조각을 붙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2-178678호 공보에는 조작자가 복사기등이 행하게 하는 제어프로프램을 CRT(음극선관) 화면위에 표시시켜서 제어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그 선택결과에 따른 바아코드를 프린터에 의해서 프린트하여 이것을 좁. 콘트롤. 쉬트로 하는 작성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좁. 콘트롤. 쉬트로서 마크쉬트의 마크 기입위치등의 색을 유저가 사용하는 흑색연필등의 필기구의 색과 다르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특수잉크등에 의해서 인쇄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미국특허 명세선 제 4,248,528호 및 일본국 특개평 2-8171호 공보에 기재된 종류의 기입 방법에 의하면 조작자가 잘못하여 기입한 제어좁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마크란을 연필로 칠한 필적을 지우개 고무등에 의해서 소거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좁. 콘트롤. 쉬트의 마크란에 수정한 흔적이 남기 쉬울 뿐만 아니라 지우개 고무 부스러기가 지면위에 남아 그에 의해서 마크인식식장치는 제어좁이 취소되지 않은 것으로 오인식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점을 해소한 일본국 특개소 51-144127호 공보에 의한 것은 오기입한 마크란 위에 종이조각을 붙이는 것이므로 그 수정작업이 귀찮다는 문제가 파생한다.
한편 일본국 특개평 2-178678호 공보에 의한 것은 CRT와의 대화에 의해서 제어프로그램을 작성할때에 잘못 작성한 제어프로그램의 수정은 간단히 행할 수 있지만 이것을 프린트하여 좁. 콘트롤. 쉬트를 작성한 후에 잘못을 발견한 경우에는 재차 CRT와 대화하면서 재작성 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수정이 간단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좁. 콘트롤. 쉬트는 유저가 사용하는 연필등의 색과는 상이한 색으로 착색한 마크기입란을 구비하는 것이므로 이 쉬트를 통상의 모노크로의 프린터등으로는 간단히 작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같은 좁. 콘트롤. 쉬트를 복사기등의 이미지 스캐너에게 읽도록 하면 통상은 이 부분이 광학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종류의 쉬트자체의 복사가 불가능해진다. 그때문에 좁. 콘트롤. 쉬트를 별도로 인쇄할 필요가 있고 그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비추어 행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좁. 콘트롤. 쉬트의 마크란에 제어좁 설정의 마크 및 잘못기입된 마크의 취소를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좁. 콘트롤. 쉬트의 마크란에 기입된 마크를 인식할 수 있는 마크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좁. 콘크롤. 쉬트의 인쇄시에 생기는 깨소금모양의 자국등에 의한 노이즈를 침식처리하고 이에 의해서 인식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경계선에 의해서 구획된 폐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마크란을 구비한 마크쉬트에 있어서 마크란에 제어좁의 설정을 나타낸 마크를 기입하고 마크쉬트를 2차원 화상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하고 마크인식장치에 의해서 인식하는 마크쉬트의 마크란에 기입되어 있는 마크를 취소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경계선과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고, (b) 기입한 마크를 취소하는 경우에는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기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기입한 마크를 취소하는 경우에는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이 생기게 하는 선과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하여 마크로서 기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경계선과 접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기입한 마크를 취소하는 경우에는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기입한 선에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하여 마크로서 기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마크인식장치는 경계선에 의해서 구획된 폐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마크란을 구비한 마크쉬트의 마크란에 경계선과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의 설정을 나타내는 마크로서 기입하고 이 기입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것을 취소하고 마크로서 기입해서 되는 마크쉬트를 2차원 화상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하여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에 있어서, (a) 2차원 화상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된 화상데이타에 준하여 마크란의 화상데이타에 포함하는 교점의 수를 카운트하는 교점카운트수단과, (b) 교점카운트수단이 카운트한 교점의 수에 따라서 마크란의 제어좁의 설정, 취소를 식별하는 마크란 식별수단, 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마크인식장치는 상기 취소마크로서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이 기입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하여 마크로서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여 인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마크인식장치는 상기 경계선과 접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여 인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마크인식장치는 취소마크로서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상기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여 인식하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마크인식장치는 경계선에 의해서 구획된 폐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마크란을 구비하는 마크쉬트의 마크란에 경계선과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고 경계선 및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하는 마크로서 기입되어 되는 마크쉬트를 2차원 화상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하여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에 있어서, (a) 2차원 화상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된 화상데이타에 준하여 마크란의 화상데이타에 포함되는 선의 단점으로부터 침식처리를 행하는 침식처리수단과, (b) 침식처리수단에 의해서 침식처리된 마크란의 화상데이타에 포함되는 교점의 수를 카운트하는 교점카운트수단과, (c) 교점카운트수단이 카운트한 교점의 수에 따라서 마크란의 제어좁의 설정, 취소를 식별하는 마크란 식별수단, 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마크인식장치는 취소마크로서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여 인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마크인식장치는 경계선과 접점을 생기게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여된 마크쉬트를 독취하여 인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마크인식장치는 취소마크로서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고 인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조작자가 복사기등의 화상처리장치에게 시키고저 하는 제어좁을 설정할때에는 경계선에 의해서 구획된 폐영역의 마크란을 구비하는 좁. 콘트롤. 쉬트의 마크란에 경계선과 교점, 또는 접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기입한다. 그리고 설정된 제어좁을 취소할 경우에 즉 잘못하여 기입된 마크를 취소할 경우에는 상기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 또는 상기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상기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가필기입한다.
2차원 화상독취장치에 의해서 좁. 콘트롤. 쉬트를 독취하고 독취된 화상데이타에 준하여 좁. 콘트롤. 쉬트의 마크란에 마크함으로써 생기는 교차점을 교점카운트수단에 의하여 교점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교차점을 인식하고 교차점에 따라서 제어좁의 설정, 그 취소를 인식한다.
그때에 인쇄시에 생기는 깨소금모양의 자욱등의 노이즈에 의한 인식정밀도의 저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한 선의 단점으로부터 침식하는 침식처리를 실시한다. 다음에 교점수를 교점카운트수단에 의해서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교점수를 인식하고 교점수에 따라서 제어좁의 설정, 그 취소를 인식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제 1 도는 좁. 콘트롤. 쉬트와 일반원고를 처리하는 화상처리장치의 기능블록도, 제 2 도는 좁. 콘트롤. 쉬트의 정면도, 제 3a 도는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를 기입한 체크서클과 제 3b 도는 이 마크를 취소하는 취소마크를 기입한 체크서클과 제 3c 도는 미설정 체크서클을 나타낸 모델도이다. 제 4 도는 일반원고에 좁. 콘트롤. 쉬트를 겹쳐서 자동원고반송장치로 보내는 상황을 설명하는 좁. 콘트롤. 쉬트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좁. 콘트롤. 쉬트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의 개요적 플로우차트, 제 6 도는 좁인식블록의 블록도, 제 7 도는 좁내용인식의 알고리즘의 플로우차트, 제 8 도는 체크서클과 체크서클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낸 모델도, 제 9 도는 체크마크판별의 알고리즘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1) 마크인식장치의 개략적 설명, (2) 좁. 콘트롤. 쉬트, (3) 마크인식 장치의 전체적 동작, (4) 좁내용인식의 상세, (5) 체크판별의 상세, (6)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것의 순서로 설명하겠다.
[(1) 마크인식장치의 개략적 설명]
제 1 도는 일반원고와 그 위에 올려놓고 좁. 콘트롤. 쉬트의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의 기능블록도이고, 도면중 실선부분은 화상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부분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자동 원고반송장치(2)에 의해서 반송된 일반원고 또는 이 일반원고위에 올려놓은 후술하는 좁. 콘트롤. 쉬트(10) (제 2 도, 제 4 도 참조)는 2차원 화상을 독취하는 이미지스캐너를 구비하는 2차원 화상독취장치, 즉 화상독취블록(3)으로 반송되어 거기서 독취된 화상신호는 쉬트식별블록(5)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쉬트식별블록(5)에 의해서 보내온 화상신호가 일반원고인지 좁. 콘트롤. 쉬트(10)인지가 식별된다.
일반원고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쉬트식별블록(5)은 시스템제어블록(1)에 일반원고라고 전달한다. 이것을 받아서 시스템제어블록(1)은 셀렉터(6)를 제어하여 독취한 화상신호를 화상형성블록(8)으로 보내고 조작자에 의해서 조작된 유저인터페이스(4)의 지시에 대응한 제어좁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복사기등에 화상처리를 행하게 한다.
또 쉬트식별블록(5)에 의해서 좁. 콘트롤. 쉬트(10)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시스템제어블록(1)은 셀렉터(6)를 제어하여 독취된 화상신호를 좁인식블록(7)으로 보내 후술하는 설명에서 명백해지지만 좁. 콘트롤. 쉬트(10)의 좁지정란의 기입내용을 판별하여 좁내용의 인식을 행한다.
[(2) 좁. 콘트롤. 쉬트에 대해서]
제 2 도에 나타낸 좁. 콘트롤. 쉬트(10)는 통상의 모노크로의 프린터등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며 그 네 귀퉁이의 각각에 바아코드에 의해서 표시된 원고식별마크(100), ...와 그 좌측상부 및 우측하부의 원고식별마크(100) 100근방에 "+"표식으로 나타낸 좌표원점(101) 및 대각점(104)와 예를들면 복사매수, 화상농도의 농담, 화상의 축소, 확대등의 도시치 않은 복사기등으로의 제어지령신호를 나타낸 원형상의 체크서클(103),...을 구비하는 복수의 좁지정란(102)(체크마크란),...이 설비되어 있다. 또, 원고식별마크(100),...에는 좁. 콘트롤. 쉬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등의 좁. 콘트롤. 쉬트의 속성을 갖도록 한다. 또 제 1 도에 나타낸 좁/좌표정보테이블(9)내에는 좁. 콘트롤. 쉬트(10)의 좌표원점(101) 및 대각점(104)의 좌표치와 체크서클(103), ...의 좌표정보와 조작자가 체크서클(103)에 마크했을 때에 행하게 할 좁내용의 정보코드를 사전에 등록해 두고, 이들 정보를 원고식별마크(100), ...에서 얻어지는 좁. 콘트롤. 쉬트의 속성을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자는 복사기등이 행하게 하고자 하는 제어좁을 좁지정란(102),...에서 선택하나, 이 선택방법은 좁지정란(102),...에 나타내고 있는 원형상의 체크서클(103),...을 선택하여 마크함으로써 행한다. 이것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크의 기입방법에 대하여는 조작자에게 걸리는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소망하는 제어좁을 설정할 경우에는 제 3a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서클(103)의 원형상의 폐영역을 절단하도록 흑색연필등으로 선상의 체크마크(105)를 기입하고, 이 설정을 캔슬하는 경우에는, 제 3b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서클(103)의 폐영역을 절단하는 동시에 이 체크마크(105)와 교차되는 선상의 취소마크(106)를 기입하고 제어좁을 미설정하는 경우에는 제 3c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서클(103)에는 아무 기입도 없다. 즉, 체크서클(103)을 2분할하도록 체크마크(105)에 의해서 마크한 경우에는, 이 체크마크(105)를 기입한 제어좁을 조작자가 선택하여 "설정"한 것으로 간주하고, 체크마크(105)와 교차시켜서 "X" 표식을 형성하도록 취소마크(106)을 기입한 경우에는 조작자가 그 제어좁의 설정을 "캔슬"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 마크판정에 관한 판정조건으로서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 1]
"설정"의 경우에는 체크서클(103)과 체크마크(105)에 의해서 구성되는 폐영역수가 「2개」존재하는 것 "캔슬"의 경우에는 체크서클(103)에 체크마크(105) 및 취소마크(106)를 교차기입하여 형성되는 폐영역수가 「4개」존재하는 것만으로 하고, 마크할 때의 기입방향이나 각도등에 관한 번잡한 제약조건을 일체 없앴다.
좁. 콘트롤. 쉬트(10)를 사용하려면 제 4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좁지정란에 마크한 좁. 콘트롤. 쉬트(10)를 제어좁을 행하게 하려는 원고다발(11)위에 겹치고, 이것을 자동원고반송장치(2)에 예를들면 자동양면원고반송장치(Automatic Dual Docu ment Feeder)등에 둔다. 이에 의해서 복사기 등의 화상처리장치에 제어좁을 예약한 것과 같아진다. 또, 현행좁(12)이 한창 실행되고 있는 때에 다음 좁(13)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행좁(12)에 다음 좁(13)을 겹쳐서 둔 것만으로 제어좁의 설정이 완료되므로 조작자는 현행좁(12)이 종료될 때까지 복사기등의 옆에서 기다릴 필요는 없다.
[(3) 마크인식장치의 전체적 동작에 대해서]
다음에 좁. 콘트롤. 쉬트(10)에 기입된 마크를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또 제 5 도에는 좁. 콘트롤. 쉬트(10)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의 플로우차트가 제 6 도에는 좁인식블록이 상세히 각각 나타나 있다.
① 바아코드 검지
자동원고반송장치(2)가 원고다발(11) 위에 올려놓은 좁. 콘트롤. 쉬트(10)를 화상독취블록(3)에 보내면 이 블록(3)은, 스텝 S1에서 이미지스캐너등의 독취장치에 의해서 원고를 스캔하고, 좁. 콘트롤. 쉬트(10)의 화상데이타를 독취한다. 쉬트식별블록(5)은 스텝 S2에서 좁. 콘트롤. 쉬트(10)에 설비한 원고식별마크(100)의 바아코드를 독취하여 스텝 S3에서 좁. 콘트롤. 쉬트(10)인지 일반원고인지의 식별을 행한다.
② 좁. 콘트롤. 쉬트와 일반원고와의 판별
시스템제어블록(1)은 바아코드검지(스텝 S2)에 의해서 좁. 콘트롤. 쉬트(10)인 것으로 판단되면 좁인식 블록(7)을 기동시킨다.
③ 2치화, 솎아내기에 대해서
시스템제어블록(1)은 후술하는 좁내용의 인식(스텝 S6)에 사용하는 화상정보를 얻기 위해서 2치화/솎아내기블록(21)을 기동시켜, 스텝 S4에서 농담화상으로 나타내는 입력신호(20)을 2치화하여 부주사방향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화상데이타를 솎아낸 후에 스텝 S5에서 페이지 메모리(22)에 격납한다.
④ 윈도메모리로의 격납에 대해서
CPU(중앙처리장치)(25)는 바아코드검지(스텝 S2)에 의해서 얻어진 좁. 콘트롤. 쉬트(10)의 원고식별마크(100),...를 검지하고, 이것을 좁. 콘트롤. 쉬트(10)의 속성을 사용하여 좁/좌표정보테이블(9)을 검색하여 얻어진 좌표정보를 CPU(25)에 로드하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윈도메모리(24)로 잘라내어 기억시키는 영역, 즉 체크서클(103),...의 영역을 결정하고, 잘라낸 화상의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이 잘라낸 어드레스를 다이렉트. 메모리. 억세스. 콘트롤러(23)에 보낸다. 또 이 콘트롤러(23)는 페이지메모리(22)내의 화상의 일부인 체크서클(103)을 취출하여 윈도메모리(24)에 로드한다.
⑤ 좁 내용의 인식에 대해서
제 6 도에 의해서 좁인식블록(5)의 기능을 설명하겠다.
스텝 S6에서 행하는 좁내용인식, 즉 조작자가 체크서클(103)로 마크한 마크가 갖는 의미의 판정은 후술하는「(5) 체크마크판별의 상세에 대하여」의 항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되겠으나, 상기 방법에 의해서 잘라낸 화상정보의 일부분에 최대 3×3의 정방행렬을 필터계수로 한 필터처리를 행하고, 화상의 세선화처리, 기입된 마크의 단점으로 부터의 침식처리 및 분기점의 추출처리를 행하고, 이 추출결과에서 얻어진 교점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실현된다. 그 때문에 좁인식블록(5)내에 3라인분의 라인버퍼(26,26,26)를 설정한다. 또 CPU(25)는 좁내용인식처리에 사용하는 필터계수를 필터(27)에 세트하고, 다이렉트. 메모리. 억세스. 콘트롤(23)에 의해서 윈도메모리(24)에 격납된 화상정보를 호출하여 후술하는 필터처리하고, 이 처리결과에서 얻어진 교점수를 카운하고 교점의 카운트수에 의해서 마크란에 기입한 마크가 갖는 의미를 판단한다.
⑥ 좁 설정에 대해서
스텝 S7에서 CPU(25)는 좁내용인식(스텝 S6)에 의해서 얻어진 각 체크서클(103)의 판정결과와, 좁/좌표 정보테이블(9)내의 좁내용의 정보코드에서 복사기등에 대해서 행하게 할 제어좁을 설정하고, 이것을 시스템 제어블록(1)에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시스템제어블록(1)에서는 스텝 S8에서 인식된 제어좁으로 변경하여 좁. 콘트롤. 쉬트(10)의 후에 이어지는 원고다발(11)에 그 좁을 실시한다. 또 스텝 S9에서 원고끝으로 판단될때까지 이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이 좁. 콘트롤. 쉬트(10)를 사용하여 제어좁을 설정하는 경우의 마크인식장치의 전체적 플로우의 설명이다.
[(4) 좁내용인식의 상세에 대해서]
좁인식블록(5)에서는 필터연산에 의해서 체크서클(103), … 조작자가 기입한 마크의 의미를 판별하나 이하에서는 제 3a 도 내지 (c) 도에 나타낸 체크마크(106)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판별하는지의 알고리즘, 제 7 도에 나타낸 상기한 바와같은 스텝 S6(좁내용인식)의 보다 상세한 알고리즘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또 스텝 S11 내지 스텝 S16은 좁내용인식의 스텝 S6의 상세한 스텝을 나타낸 것이다.
제 7 도에서 스텝 S11에서는 CPU(25)가 좁. 콘트롤. 쉬트(10)내의 좌표원점(101)/대각점(104)와, 좁/좌표정보테이블(9)내에 격납되어 있는 체크서클(103)의 좌표정보와 실제의 페이지 메모리내의 원점/대각점 좌표치를 비교하여 좌표보정요소를 산출한다. 이 산출된 좌표보정요소에 의해서 다음의 스텝 S12에서 행하는 좁/좌표정보테이블(9)내에 격납되어 있는 체크서클의 좌표정보의 보정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 S12에서는 좁/좌표정보테이블(9)내에 격납되어 있는 각 체크서클(103)의 좌표를 검색하고 그 좌표치에 스텝 S11에서 얻어진 좌표보정요소에 의해서 보정을 행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제 8 도에 나타낸 체크서클영역(33)을 결정한다. 제 8 도에는 체크서클의 중심좌표(32)와 결정된 영역(33)과의 관계가 나타나 있으나, 그 결정시에는 체크서클영역(33) 및 그 크기가 설정된 체크서클(103)의 직경이나 인접되는 체크서클 사이의 거리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 영역내에 있는 화상을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다이렉트. 메모리. 억세스. 콘트롤러(23)에 의해서 윈도메모리(24)에 격납한다.
스텝 S13에서는 윈도메모리(24)에 격납된 화상에 대해서 제 3a 도 내지 (c) 도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한 판단정의에 의해서 "설정", "캔슬", "미설정"의 판별을 위해서 마크의 판별을 행한다. 이 판별에는 제 3a 도 내지 (c) 도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같은 판정조건을 사용한다. 즉, 체크서클(103)과 체크마크(105)와, 취소마크(106)에 의해서 구성되는 폐영역수가 표 1에 나타낸 어떤 조건에 적합하는지를 판단하고, 제어좁을 설정했는지, 이것을 최소했는지를 판별하고, 이 판별결과를 스텝 S14에서 CPU(25)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한다. 또 스텝 S15에서 판정할 체크서클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기까지 스텝 S16에서 다음의 체크서클의 검색처리와 스텝 S11 내지 S14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러나 마크의 판별(스텝 S13)은 상기한 바와같은 표 1에 나타낸 폐영역수의 판별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체크마크(105)와, 취소마크(106)에 의해서 체크서클(103)내에 폐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은 "미설정"이외의 화상에는 반드시 조작자에 의해서 기입되는 체크마크(105)와 체크서클(103)과의 교점 및 체크마크(105)와 취소마크(106)와, 체크서클(103)에 의한 교점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교점의 수는 "설정", "캔슬", "미설정"에 의해서 다르고, 체크마크와 교점의 수의 관계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된다.
[표 2]
이점에 착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폐영역수의 판별시에 이 교점수에 의한 판별을 사용함으로써 체크마크의 판별(스텝 S13)을 행한다. 또 표 2에 나타낸 "캔슬"에 있어서 체크서클(103)의 경계선과 1회만이 교차 되도록 체크마크(105)를 기입하고, 이 체크마크(105)과 교차되는 동시에 체크서클(103)의 경계선과 1회만이 교차되도록 취소마크(106)를 기입한 경우에는 그 교점수는 3개로 되고 또 교차기입된 체크마크(105)와 취소마크(106)를 체크서클(103)의 경계선과 2회씩 교차되도록 기입한 경우에는 그 교점수는 전부 5개로 된다.
[(5) 체크마크판별의 상세에 대해서]
제 9 도는 제 7 도에 나타낸 체크마크의 판별(스텝 S613)을 교점수에 의해서 행하는 알고리즘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또 이 알고리즘에 의해서 화상이 변화되는 과정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 10a 도에 체크마크와 체크서클과의 교차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세선화처리전의 화상을 제 10b 도에 세선화처리후의 화상을 제 10c 도에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후의 화상을 나타내고, 또 필터처리에 대하여는 제 11a 도에 세선화처리를 행하는 필터계수를, 제 11b 도에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를 행하는 필터계수를 제 11c 도에 분기점추출을 행하는 필터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우선, 스텝 S20에서 윈도메모리(24)내에 격납된 화상을 라인버퍼(26,26,26)에 입력시키고 화상의 선화처리를 행하나, 이 세선화처리는 예를들면 제 11a 도에 나타낸 필터계수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CPU(25)는 제 11a 도에 나타낸 필터계수 F1을 필터(27)에 세트하고, 다음에 라인버퍼(26,26,26)으로부터의 화상에 대해서 필터계수 F1의 착목화소를 기준으로 3×3의 근방화소를 보면서 주사해간다. 그때에 이 3×3의 근방화소의 흑화소와 백화소의 패턴이 필터계수 F1의 패턴과 일치되었다고 CPU(25)가 판단한 경우에는 착목화소를 백화소를 교환하여 처리하는 패턴매칭처리방법을 취한다. 이 패턴매칭처리를 필터계수 F1, F2, F3, F4의 순서로 행한다. 또 스텝 S21에서 세선화처리전후의 화상을 비교하여 스텝 S22에서 화상에 변화가 없어질때까지 이것을 행하여 폭 1의 4연결성을 갖는 세선화처리를 행한다. 이같이 하여 제 10a 도의 화상은 세선화처리(스텝 S20 내지 스텝 S22)에 의해서 제 10b 도에 나타낸 세선처리전후의 화상으로 변화된다. 또 제 10b 도에 나타낸 세선화처리후의 화상에는 분기점이 2개 존재한다.
다음에 스텝 S23에서 제 10b 도에 나타낸 세선화처리후의 화상의 체크마크(103)의 선의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도 세선화와 마찬가지로 3×3의 필터처리에 의해서 실현된다. 즉, CPU(25)가 제 11b 도에 나타낸 필터계수 F5, F6, F7, F8을 필터(27)에 순차로 세트하여 스텝 S24에서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전후의 화상을 비교하면서 스텝 S25에서, 화상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때까지 패턴매칭을 취하면서 착목화소를 백화소로 변환처리하는 침식처리를 실행하면, 제 10c 도에 나타낸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가 행해진 화상으로 변화된다.
다음에 스텝 S26에서 CPU(25)가 제 11c 도에 나타낸 F9 내지 F12의 필터계수를 필터(27)에 순차 세트하여 패턴매칭을 취하면서 분기점의 추출처리를 행하면 제 10c 도의 부호(110)로 나타낸 1개의 분기점이 추출된다.
상기한 각 처리를 체크서클(103)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행한다. 분기점 추출에 의해서 추출된 화소(110)는 교점수와 일치되므로 분기점의 추출종료마다 1을 카운트업한다. CPU(25)는 그 계수결과를 좁/좌표정보테이블(9)에 사전에 기억시킨 표 2의 판정조건에 의해서 판별한다. 스텝 S28에서 분기점수가 2이면, 스텝 S30에서, "설정"으로 간주하고, 스텝 S29에서 분기점수가 2를 초과하고 있으면, 스텝 S31에서 "캔슬"로 간주하여 NO로 판정되면, 스텝 S32에서 "미설정"으로 간주하는 판정을 행한다. 이와같이 하여 기타의 체크서클(103)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같은 세선화처리, 침식처리, 분기점 추출처리를 행하여 교점수의 카운트를 한다. 또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시에 프린터나 복사기에 의한 인쇄시에 생기는 깨소금모양의 자국등의 노이즈도 함께 침식처리되어 이때문에 노이즈에 의한 인식정도의 저하가 방지된다.
이상의 알고리즘에 의해서 좁. 콘트롤. 쉬트(10)에 지정된 마크를 인식하고 마크되어 있는 체크서클(103)에 대응하는 제어좁을 좁/자표정보테이블(9)에서 검색하여 제어좁을 인식/설정한다.
다음에 상기한 마크인식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하겠다.
제 2 도에 나타낸 좁. 콘트롤. 쉬트(10)의 좁지정란(102),...의 체크서클(103)에 제 3a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서클(103)의 폐영역을 2분할하는 체크마크(105)를 기입하여 제어좁을 설정하고, 또 잘못기입한 경우에는 제 3b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앞서서 기입한 체크마크(105)와 교차하는 동시에 체크서클(103)의 폐영역을 절단하는 취소마크(106)를 기입한다. 또 제 4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고다발(11)위에 올려놓고, 제 1 도에 나타낸 자동원고반송장치(2)에 놓으면, 좁. 콘트롤. 쉬트(10)가 화상독취블록(3)으로 보내진다. 여기서 원고는 스캔되고(스텝 S1), 그 화상신호(20)가 쉬트식별블록(5)으로 전송되고, 좁. 콘트롤. 쉬트(10)의 바아코드의 원고식별마크(110), …가 독취되고(스텝 S2), 전송된 화상신호가 좁. 콘트롤. 쉬트의 화상신호라는 판정이 행해진다(스텝 S3).
이에 위해서 시스텝제어블록(1)이 셀렉터(6)를 작동시켜 화상신호를 좁인식블록(7)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화상신호의 2치화와 솎아내기가 행해지고(스텝 S4), 페이지메모리(22)에 격납된다(스텝 S5).
다음에 좁. 콘트롤. 쉬트(10)내의 좌표원점(101)대각점(104)과 페이지메모리(22)내의 원점/대각점좌표치와 좁/좌표정보테이블(9)내에 기억시킨 체크서클(103)의 좌표정보와의 대비를 행하여 좌표보정요소를 산출한다(스텝 S11). 그리고 좁/좌표정보테이블(9)내에 기억되어 있는 체크서클(103)의 좌표를 검색하고, 이것을 좌표보정요소에 의해서 보정하고 제 8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서클(103)의 체크서클영역(33)을 결정한다. CPU(25)는 다이렉트. 메모리. 억세스. 콘트롤러(23)를 제어하여 체크서클(103)을 윈도메모리(24)에 격납한다(스텝 S12).
다음에 윈도메모리(24)에 격납된 체크서클(103)의 화상신호의 3라인분을 라인버퍼(26,26,26)에 입력시키고 제 11a 도에 나타낸 필터계수 F1, F2, F3, F4를 순차필터(27)에 세트하고 패턴매칭을 취하면서 제 10a 도에 나타낸 화상에 대해서 세선화처리를 행한다(스텝 S20). 또 세선화처리전후의 화상에 변화가 생기지 아니하게 될때까지 화상비교하여(스텝 S21), 폭이 1로 4연결성을 갖는 세선화처리를 행한다. 화상에 변화가 생기지 않으면(스텝 S22), 제 11b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필터계수 F5, F6, F6, F8을 필터(27)에 순차로 세트하고, 똑같이 패턴매칭을 하면 제 10b 도에 나타낸 화상에 대해서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를 행하여(스텝 S23),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전후의 화상의 비교를 행하여(스텝 S24), 화상에 변화가 생기지 아니하게 될때까지 침식처리를 행한다(스텝 S25).
다음에 분기점추출시에는 제 11c 도에 나타낸 필터계수 F9, F10, F11, F12를 필터(27)에 순차로 세트하고, 똑같이 패턴매칭을 하면 제 10c 도에 나타내는 분기점의 추출을 행하여(스텝 S26), 분기점의 추출을 종료할때마다 분기점수를 카운트한다(스텝 S27).
상기한 바와같은 처리를 체크서클의 전체 둘레에 대해서 행한다. 다음에 분기점수가 2이면 (스텝 S28), 제어좁이 설정되고(스텝 S30), 분기점수가 2를 초과하고 있으면(스텝 S29), 제어좁이 캔슬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31), 분기점수가 0이면 미설정이라고 판단한다(스텝 S32).
[(6)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자에 의한 체크마크의 기입방법으로 제 3a 도 내지 (c)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서클을 2분할하도록 마크한 경우가 "설정", X로 되도록 마크한 경우가 "캔슬"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 마크방법에 관한 판단조건으로서는 "설정"의 경우에는 체크서클과 마크의 교점수가 「2개」 존재하는 것, "캔슬"의 경우에는 교점수가 「3개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하고, 마크할때의 기입방향이나 각도에 관한 제약이 없다. 따라서 체크서클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들면 체크서클을 원형대신 장방형으로 하여도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식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또 폐영역만 갖고 있으면, 체크서클은 어떤 도형이라도 좋으므로 체크서클의 형상에 의해서 조작자에게 상이한 정보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예를들면, 체크서클의 형상을 아이콘과 같은 폐영역을 갖는 도안으로 하고 통상의 CRT화면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크린 인터페이스와 대응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 제 9 도의 체크마크의 판별의 알고리즘을 약간 변형시킴으로써 제 3a 도 내지 (c) 도에 나타낸 체크마크의 판정정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제 12a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서클(103)과 1회만 교차하는 제어좁 설정용마크(107)를 기입하고 제 12b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설정한 제어좁을 취소하는 마크로 하고, 체크서클(103)과 1회만 교차하는 동시에 앞서 기입한 마크(107)와 교차되는 제어좁취소마크(108) 및 제어좁설정용마크(107)만이 교차되는 취소마크(109)를 기입하는 등의 마크기입방법을 정의한다. 이 경우에는 제 9 도에 나타낸 알고리즘중의 스텝 S20 내지 스텝 S22에 의한 세선화처리의 스텝의 루프회수를 보존해두고,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 스텝 S23 내지 S25의 루프회수를 보존된 세선화처리의 루프회수분만 행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체크마크 및 체크서클의 선의 굵기만큼의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이 행하게 되고 제 12a 도 및 제 1b 도의 제어좁 설정용의 체크마크(107), 또는 취소마크(108, 109)의 모두가 침식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 마크기입방법에 의하면, 제어좁설정용마크(107), 취소용마크(108, 109)에 의해서 형성되는 교점은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에 의해서도 소멸하지 않게 된다. 이 단계에서 분기점 추출을 행하면 "설정", "캔슬", "미설정"의 판별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판정조건은 "설정"인때가 교점(분기점)수는 1개, "캔슬"인때가 3개 이상, "미설정"인때가 0개로 된다.
이와같이 체크마크의 정의에 따라서 체크마크판별 알고리즘을 약간 변형시켜 두면, 여러가지 마크기입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
또 제어좁설정용마크를 체크서클(103)과 교차시키는 기입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3a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좁설정용마크를 체크서클(103)에 접점이 생기는 접선(107A)을 기입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이 접점에 의해서 형성되는 교점을 카운트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제어좁의 설정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제 13b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설정용마크의 기입선(107A)과 체크서클(103)과 교차되는 취소마크(108A)를 기입하거나 또는 제 13c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취소마크(108A)를 기입하는 동시에 제어좁의 설정마크(107A)와 교차되는 선(109A)를 기입하여 취소마크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교점의 카운트 결과에 의해서 제어좁의 취소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화상을 일반적인 이미지스캐너등의 화상독취블록으로부터의 독취화상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팩시밀리등으로 송신된 화상에 대해서 복호화된 후에 쉬트식별블록에 입력하는 것으로 입력화상으로서 대응하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크란의 경계선과 교점, 또는 접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 설정용 마크로서 기입하고, 이 기입마크를 취소하는 경우에는 이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 또는 이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이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가필기입하고, 이것을 취소마크로 했으므로 선의 기입방향이나 기입각도에 관한 번잡한 제약조건이 일체없고 이때문에 극히 간단하게 마크기입과 그 취소마크의 기입을 행하고 이에 의해서 조작자가 지게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마크란 자체에 대해서는 마크란이 폐영역이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외의 제한사항은 일체없으므로 마크란 자체의 형상을 적의하게 변형시킴으로써 조작자가 마크란의 형상에서 여러가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마크란의 형상자체에 제어좁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것을 보고 마크하는 조작자에게 설정하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따라서 조작자와의 친회성도 그만큼 향상된다.
또 이 마크란의 경계선과 교차 또는 접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기입하고, 이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 또는 이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기입한 마크쉬트를 2차원화상독취장치로 독취시키는 것이므로 좁. 콘트롤. 쉬트는 일반적인 복사기등으로 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마크쉬트와 달리, 좁. 콘트롤. 쉬트를 인자할때에는 특수한 잉크나 토너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인 프린터등으로 좁. 콘트롤. 쉬트를 간단하게 인자/출력할 수 있고, 따라서 좁. 콘트롤. 쉬트의 인자에 요하는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쉬트를 간단하게 취급하는 유저인터페이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마크쉬트의 마크란에 마크기입에 의해서 생긴 교점수를 카운트하는 교점 카운트수단과, 이 카운트한 교점수에 따라서 제어좁의 설정, 취소를 인식하는 마크란인식을 설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같은 마크란에 기입된 선에 의해서 생긴 교점수를 카운트하고, 이 교점수에서 제어좁의 설정, 취소를 판단하는 마크인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같은 교점수를 카운트하는 전처리수단으로서 침식처리수단에 의해서 마크란에 마크의 기입에 의해서 생긴 선의 단점으로부터의 침식처리를 행하는 침식처리수단을 설비하고 있으므로 단점이 깨끗이 침식되고 이때문에 프린터나 복사기등에 의한 인쇄시에 발생하는 깨소금모양의 얼룩등의 노이즈도 함께 침식되고 마크인식장치에 대한 노이즈에 의한 인식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2)

  1. 경계선에 의해서 구획된 폐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마크란을 구비하는 마크쉬트에 있어서, 상기 마크란에 제어좁의 설정을 나타낸 마크를 기입하고, 상기 마크쉬트를 2차원 화상 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하고, 마크인식장치에 의해서 인식하는 상기 마크쉬트의 마크란에 기입되어 있는 마크를 취소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경계선과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고, (b) 상기 기입한 마크를 취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한 마크를 취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상기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과 접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한 마크를 취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상기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5. 경계선에 의해서 구획된 폐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마크란을 구비한 마크쉬트의 상기 마크란에 상기 경계선과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의 설정을 나타내는 마크로서 기입하고, 상기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2차원 화상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하고,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에 있어서, (a) 상기 2차원 화상 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된 화상데이타에 의해서 상기 마크란의 화상데이타에 포함되는 교점의 수를 카운트하는 교점카운트수단과, (b) 상기 교점카운트수단이 카운트한 상기 교점의 수에 따라서 상기 마크란의 제어좁의 설정, 취소를 식별하는 마크란 식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인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마크로서,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상기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고,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과 접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고,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마크로서,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상기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고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
  9. 경계선에 의해서 구획된 폐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마크란을 구비하는 마크쉬트의 상기 마크란에 상기 경계선과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고, 상기 경계선 및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취소마크로서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2차원 화상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하고,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에 있어서 (a) 상기 2차원 화상독취장치에 의해서 독취된 화상데이타에 의해서 상기 마크란의 화상데이타에 포함되는 선의 단점으로부터 침식처리를 행하는 침식처리수단과, (b) 상기 침식수단에 의해서 침식처리된 상기 마크란의 화상데이타에 포함되는 교점의 수를 카운트하는 교차카운트수단과, (c) 상기 교점카운트수단이 카운트한 상기 교점의 수에 따라서 상기 마크란의 제어좁의 설정, 취소를 식별하는 마크란 식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크인식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마크로서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상기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2차원 독취장치로 독취하고,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과 접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제어좁을 설정하는 마크로서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고,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마크로서 상기 기입한 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과, 상기 기입한 선 및 경계선에 새로운 교점을 생기게 하는 선을 기입하여 되는 마크쉬트를 독취하고, 인식하는 마크인식장치.
KR1019920010456A 1991-06-20 1992-06-17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및 마크인식장치 KR940009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48433A JP2720633B2 (ja) 1991-06-20 1991-06-20 マーク認識方法及びマーク認識装置
JP91-148433 1991-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098A KR930001098A (ko) 1993-01-16
KR940009709B1 true KR940009709B1 (ko) 1994-10-17

Family

ID=1545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456A KR940009709B1 (ko) 1991-06-20 1992-06-17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및 마크인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35655A (ko)
JP (1) JP2720633B2 (ko)
KR (1) KR940009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9127B2 (ja) * 1993-04-22 2005-08-31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文書処理システムと文書処理方法
JP3563783B2 (ja) * 1994-10-19 2004-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画像形成装置
JPH1115911A (ja) * 1997-04-28 1999-01-22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再生システム
US6112193A (en) * 1998-05-22 2000-08-29 Pitney Bowes Inc. Reading encrypted data on a mail piece to cancel the mail piece
US6353479B1 (en) * 1999-06-29 2002-03-05 Hewlett-Packard Company Media-type encoding and print mode selection
US6741738B2 (en) 2000-03-13 2004-05-25 Tms, Inc. Method of optical mark recognition
US7747670B2 (en) 2001-09-17 2010-06-29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Customized item cover
JP2004102320A (ja) * 2002-09-04 2004-04-02 Fujitsu Ltd 帳票処理装置、帳票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行わせるプログラム
WO2004070620A1 (en) * 2002-09-04 2004-08-19 United States Postal Services Digital cancellation mark
US7555145B2 (en) * 2003-06-03 2009-06-30 Gravic, Inc. Multi-level optical mark reading that uses an unambiguous symbology of marks to fill into response bubbles
US8503785B2 (en) * 2010-01-15 2013-08-06 Gravic, Inc. Dynamic response bubble attribute compensation
US8412004B2 (en) 2010-10-15 2013-04-02 Gravic, Inc. Dynamic response form symbology processing
KR101165359B1 (ko) 2011-02-21 2012-07-12 (주)엔써즈 이미지와 이미지 또는 이미지와 동영상 사이의 상호 관계 분석 장치 및 방법
JP2013051498A (ja) * 2011-08-30 2013-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6300A (en) * 1961-04-03 1963-04-23 Gerhard T Rugland Multiple choice response device
US3558859A (en) * 1967-12-04 1971-01-26 Cummins Chicago Corp Automatic reading system for record media having encoded data
JPS5420335B2 (ko) * 1974-10-23 1979-07-21
JPS51144127A (en) * 1975-06-06 1976-12-10 Hitachi Ltd Mark cancelling method for mark reader
JPS5451723A (en) * 1977-10-03 1979-04-23 Hitachi Ltd Mark reading system
US4153895A (en) * 1978-08-01 1979-05-08 Recognition Equipment Incorporated Mark sense reader
US4248528A (en) * 1979-04-04 1981-02-03 Xerox Corporation Copier with document sensing control
US4834360A (en) * 1987-12-17 1989-05-30 Xerox Corporation Job batching system for high capacity copier with RDH
JP2523898B2 (ja) * 1988-10-24 1996-08-14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原稿印刷ジョブ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098A (ko) 1993-01-16
JP2720633B2 (ja) 1998-03-04
US5235655A (en) 1993-08-10
JPH04372082A (ja) 1992-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709B1 (ko) 마크의 기입, 취소방법 및 마크인식장치
US564046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monitors hardware errors of a controller of a copying-inhibited function
US5528732A (en) Reprographic device for making copies with multi-spaced lines
US8125683B2 (en) Image preview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eview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eview computer product
US5642473A (en) Paper saving reprographic device
JPH06124358A (ja) 用紙上のマークを検出する方法
US560849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an operational mode by reading im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CN102457649A (zh)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方法
US515373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editing function
JPH08340443A (ja) 偽造可能性情報生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れらを利用した機器
US61636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mages of documents and storing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in different files
US5960229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7018881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tracting code data from scanned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58485A (ja) 画像認識装置、画像認識方法および画像認識プログラム
JP200816081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システム
JP2010124069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167680B2 (ja) 原稿読取装置および原稿読取方法
CN105763759A (zh) 智能型复印设备
JPH11219409A (ja) 文書読取装置
JPH07212584A (ja) 画像処理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複写機
JP3253363B2 (ja) 特殊原稿判別機能付き複写機
JP4492460B2 (ja) 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21254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それ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354629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9147435A (ja) スキャナおよびプリンタを用いた上書き印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