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039B1 - 특수원고의 판별유니트를 구비한 복사장치 - Google Patents

특수원고의 판별유니트를 구비한 복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039B1
KR0136039B1 KR1019940701946A KR19940071946A KR0136039B1 KR 0136039 B1 KR0136039 B1 KR 0136039B1 KR 1019940701946 A KR1019940701946 A KR 1019940701946A KR 19940071946 A KR19940071946 A KR 19940071946A KR 0136039 B1 KR0136039 B1 KR 0136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ocument
rank
deter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까이 다께시
다바따 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켄지 히루마
가부시끼 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지 히루마, 가부시끼 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켄지 히루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4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 H04N1/00843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4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 H04N1/00843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 H04N1/00848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by detecting a particular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04N1/00864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 H04N1/00867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with additional data, e.g. by adding a warning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04N1/00864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 H04N1/00867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with additional data, e.g. by adding a warning message
    • H04N1/0087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with additional data, e.g. by adding a warning message with hidden additional data, e.g. data invisible to the human ey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04N1/00875Inhibiting reproduction, e.g. by disabling reading or reproduct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04N1/00877Recording information, e.g. details of the job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name or ID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 H04N2201/32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which are undetectable to the naked eye, e.g. embedded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복사장치는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판독 유니트와, 화상판독 유니트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소정의 방법에 따라 처리하고,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화상처리 유니트와,화상처리 유니트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을 기록시트상에 형성하는 프린터 유니트(1)과, 상기 원고가 지폐 등의 특수 원고와 동일한 것의 확인랭크가 제1의 랭크 또는 제1의 랭크보다 낮은 제2의 랭크중 어느것인가를 판정하는 판정유니트와, 판정유니트에서의 판정결과가 제1의 랭크인 때에, 원고에 대응한 화상을 기록시트에 형성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어유니트와 상기 판정 유니트에서의 판정결과가 제2의 랭크인 때에 기록시트에 소정의 마크를 부가하는 마킹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특수원고의 판별유니트를 구비한 복사장치
[도면의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복사장치의 구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는 복사장치에 설치된 마킹 유니트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는 기록지에 프린트되는 마크의 배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는 분할된 구조의 잉크롤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복사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에 설치된 원고판별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7도는 원고판별유니트에 있어서의 판정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8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복사장치에 있어서의 기록지의 반송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9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복사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에 설치된 원고판별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1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복사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시스템 콘트롤러의 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제13도는 특수원고를 판별하기 위한 수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4도는 특수원고를 판별하기 위한 다른 수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5도는 특수원고를 판별하기 위한 다른 수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6도는 특수원고를 판별하기 위한 다른 수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7도는 특수원고를 판별하기 위한 다른 수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8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원고판별 유니트의 제2 판정계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9도는 제19도에 도시한 제2 판정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20도는 체인부호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원고재치대, 102 : 광학주사계,
103 : 레이저 기입 유니트, 104 : 감광드럼,
106 : 현상유니트, 107 : 전사드럼,
108 : 전사챠저, 109 : 클리닝 유니트,
110 : 정착유니트, 111 : 배지(排紙)트레이,
112 : 마킹 유니트,113 : 급지유니트,
114 : 마킹롤라, 115 : 잉크롤라,
116 : 잉크공급기, 117 : 가압롤라,
301 : 화상처리유니트, 302 : 원고표시부,
303 : 시스템콘트롤러, 400 : 원고판별유니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복사할 원고가 지폐, 유가증권 등의 법률로 복사가 금지되어 있는 특수원고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판별유니트를 구비하는 복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래에, 화상처리 기술, 화상처리 형성 기술의 향상에 의해 칼라복사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카피 지폐가 실제의 지폐와 용이하게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한 것으로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폐 등의 법률로 복사가 금지되어 있는 특수원고를 판별하고, 그와같은 특수원고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한 칼라복사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들면, 특개평 2-83571에 개시된 화상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원고를 읽어들일 수 있는 화상데이타와 사전등록된 특수원고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와를 패턴매칭의 수법을 이용하여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지폐등)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원고가 특수원고라고 판별되면, 예를들면, 그 원고에 대한 카피동작이 금지되고, 또는 오리지날 화상과 다른 화상을 용지상에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전부 흑색화상). 그러나, 화상판독 정밀도, 화상해석 정밀도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복사기에 세트된 원고가 특수원고인가 아닌가를 100%의 정밀도로 판별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원고를 읽어 얻어진 화상(입력화상)이 패턴 데이터에 유사한 정도를 유사도로서 수치화하고, 그 입력화상의 유사도가 소정의 기준유사도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카피할 원고라고 판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유사도를 이용하여, 복사기에 세크된 원고가 특수원고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경우, 분명히 특수원고라고 판명되는 원고 및 분명히 특수원고가 아니라고 판명되는 원고는 정확히 특수원고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그러나, 오염된 지폐 또는 유가증권 등의 견본등 명확하게 특수원고라고 알 수 없는 원고의 경우, 설정된 기준 유사도에 따라 그 판정결과가 다르다, 예를 들면, 기준유사도를 높계 설정하면, 본래 특수원라고 판별될 수 있는 원고가 특수원고가 아니라고 판별되기 쉽게 된다. 따라서, 특수원고의 위법한 카피가 혀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기준유사도를 낮게 설정하면, 본래 특수원고가 아니라고 판별될 원고가 특수원고라고 판별되기 쉽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원고를 카피하는 때에, 그 카피 동작이 금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효율적인 카피동작이 손상된다. 또한, 입력화상을 정확하고 세밀히 해석하며, 그 해석결과에 기초할 수 있는 만큼 정확히 입력화상에 대응하는 원고가 특수원고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시도도 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입력화상의 해석에 시간이 걸리고, 통상의 원고를 카피하는 때에, 그 처리속도가 저하하여 버린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개괄적인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특수원고의 판별 유니트를 구비한 복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원고의 카피가 지장없이 행하여짐과 동시에, 어떠한 특수원고의 카피도 어떤 제한없이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도록 한 특수원고의 판별유니트를 구비하는 복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그 원고에 대응한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판독 수단과, 화상판독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를 소정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화상처리수단과 화상처리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데이타에 대응한 화상을 기록시트에 형성하는 화상형성수단과, 상기 화상판독수단으로 판독되는 원고가 미리 정한 특수원고와 같은 것인가를 확인하는 확인랭크가 제1 랭크 또는 제2랭크보다 낮은 제2 랭크중 어느 것인가를 판정하는 원고판정수단과, 상기 원고판정수단에서의 판정결과가 제1의 랭크인 때에, 상기 화상형성수단이 원고에 대응한 화상을 기록시트에 형성하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수단과, 상기 원고판정수단에서의 판정결과가 제2의 랭크인 때에. 상기 화상형성수단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시트에 소정의 정보를 부가하는 정보부가 수단과를 구비하는 복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복사장치에 의하면, 원고가 지폐 등의 특수원고와 같은 것인가를 확인하는 확인랭크가 높은 경우(제1의 랭크), 이 원고의 카피는 확실히 금지된다. 또한 그 확인랭크가 낮은 (제2의 랭크) 원고가 만약 통상의 원고인 경우에는 특히, 화상형성 동작이 금지되는 것 없이 그 원고에 대응한 화상이 기록시트상에 형성된다. 이 경우, 소정의 정보가 기록시트에 부가는 되지만, 화상형성동작에 지장을 주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그 확인랭크가 낮은(제2의 랭크)원고가, 예를들면, 지폐 등의 특수원고였다고 하여도, 그 원고에 대응하는 화상이 형성된 기록시트에는 소정의 정보가 부가되기 때문에, 그 정보에 기초하여 지폐 등의 특수원고의 카피를 행한 복사장치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똑같이 이하에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이 될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복사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1도에서 이 복사기는 원고를 재치하기 위한 원고재치대(101)과, 광학주사계(102)와, 레이저기입 유니트(103)와, 감광드럼(104)와, 감광드럼(104)를 똑같이 대전하는 대전유니트(105)와, 현사유니트(106)과, 전사드럼(107)과, 전사챠저(108)과, 클리닝 유니트(109)와, 정착유니트(110)과, 배지트레이(111)과, 마킹 유니트(112)와, 급지유니트(113)과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주사계(102)는 노광램프(102a)를 구비하고, 원고재치대(101)상의 원고를 광학적으로 주사하고, 원고에 대응한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레이저 기입 유니트(103)은 광학주사계(102)로부터의 화상신호로부터 얻어진 화상데이타에 기초하여 변조된 레이저광을 출력하고, 그 레이저는 똑같이 대전된 감광드럼(104)상에 조사된다.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감광드럼(104)상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유니트(106)은, 옐로 토나(Y), 마젠타 토나(M), 시안토나(C), 블랙토나(BK)를 감광드럼(104)사에 공급하는 4개의 섹션을 구비하고, 감광드럼(104)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각색의 토나로 현상한다. 급지유니트(113)으로부터 출력된 기록지는, 전사드럼(107)에 감겨지고, 상기 각색의 토나상이 전사챠저(108)의 작용에 의해 기록지상에 중첩되도록 전사된다. 그 결과, 기록지상에는 다색 화상이 형성된다. 이 다색화상은 정착유니트(110)에 의해 기록지상에 정착된다. 정착유니트(110)을 통과한 기록지는 마킹유니트(112)를 통해서 배지트레이(111)상에 배출된다. 상기 다색화상의 기록지로의 전사후에 감광드럼(104)에 잔류한 토나는 크리닝유니트(109)에 의해 감광드럼(104)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마킹유니트(112)는,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서 이 마팅 유니트(112)는 마팅롤라(114)와, 잉크롤라(115)와, 잉크공급기(116)과, 가압롤라(117)과를 구비하고 있다. 마킹롤라(114)는 잉크공급기(116)으로부터 잉크가 공급되는 잉크롤라(115)와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잉크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잉크에 의해 기록지상에 형성된 마크가 용이하게 소멸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눈에 띄는 색의 잉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단, 이 경우, 기록지의 이면에 이 잉크로 마크를 형성하여도, 그 마크에 의해 기록지 표면의 화상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그 잉크의 색을 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더욱이, 가시광선에서 높은 투과성을 구비하며, 가시광 이외의 영역에서 낮은 투과성을 갖는 잉크 등의 특수한 잉크(인듐주석 산화물, 주석 산화물등으로 구성된다)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 특수한 잉크를 이용하여 프린트된 마크는 통상은 거의 보이지 않지만, 자외선, 적외선 등의 가시광 이외의 광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그 마크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킹롤라(114)와, 가압롤라(117)은 통상 떨어져 있지만, 마킹동작의 개시에 있거나, 가압롤라(117) 및/또는 마킹롤라(114)가 가깝게 되도록 이동하고, 안정한 마킹동작이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가압롤라(117)가 기록지를 적당한 압력으로 마킹롤라(114)를 억누른다. 가압롤라(117) 및/또는 마킹롤라의 이동기구는 도시되지 않지만, 공지의 기구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킹롤라(114)의 표면에는 복수의 숫자군이 새겨있고, 잉크롤라(115)에 의해 마킹롤라(114)의 표면에 균일하게 잉크가 도포되고, 각 숫자군으로 구성된 마크가 기록지의 이면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된다. 각 숫자군으로 구성된 마크는 당해 복사기를 특정하는 정보, 예를 들면, 제조자 번호, 제조번호, 고객관리번호 등을 표시하고 있다. 마킹롤라(114)의 표면에 새겨진 복수의 숫자군은 최소의 것이라고 가정된 특수원고가 원고재치대(101)의 어떠한 위치에 어떠한 방향으로 샛트되었다고 하여도 그 카피의 이면에 적어도 1개의 마크가 형되도록 배열된다. 또한, 마킹롤라(114)의 전면에 잉크를 도포하면, 최대폭보다 작은 폭의 기록지가 이용된 경우, 마킹롤라(114)로부터 가압롤라(117)로 잉크가 이동하여 버려, 다음의 카피 동작에 있어서, 카피화상이 형성된 기록지 표면이 가압롤라(117)에 접촉하여 오염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잉크롤라(115)를 기록지의 폭에 따라 분할하고, 사용된 기록지의 사이즈에 필요한 부분의 간격은 마킹롤라(114) 표면의 마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좋고, 엄밀한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마킹롤라(114)를 똑같이 분할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같은 복사기의 제어회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제5도에서, 광학주사계(102)의 이미지센서(예를들면, CCD 센서)로부터, 레드(R), 그린(G), 블루(B)에 대응한 화상신호가 출력되고, 이들의 화상신호가 화상처리유니트(301)로써 여러종류의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되고,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BK)에 대응한 화상데이타로 변환된다. 이 화상데이타는 레이저 기입 유니트(103)에 공급되고, 레이저 기입 유니트(103)으로부터 화상데이타에 기초하여 변조된 레이저광이 출력된다. 상기 화상신호(R,G,B)를 디지탈화한 화상데이타가 화상처리유니트(301)로부터 원고판별 유니트(400)에 공급되고, 이 원고판별 유니트(400)은 화상데이타에 기초하여, 카피동작을 금지하는가 아닌가 및 마킹 유니트(112)를 기동시키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있다.
조작/표시 유니트(302)는 각종 코맨드의 입력에 사용됨과 동시에, 멧세지 등의 각종 정보의 표시를 행한다.
상기 광학 주사계(102), 화상처리 유니트(301), 레이저 기입 유니트(103), 원고판별 유니트(400) 및 조작/표시 유니트(302)는 시스템 롤라(33)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원고판별 유니트(400)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6도에서, 원고판별 유니트(400)는 화상검출 회로(401), 메모리(402), 비교회로(403), 판정회로(404), 복사동작제어회로(405) 및 마킹 제어회로(406)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검출 회로(401)은 지폐 등의 특수원고에 있는 사전에 정해진 특징 부분에 대응하는 데이터(특수데이타)를 화상데이타로부터 추출한다. 메모리(402)는, 각종의 특수원고를 특정하는 기준 특징 데이터를 격납하고 있다. 비교회로(403)은 화상검출회로(401)에 의해 압출된 특징 데이터와 메모리(402)에 격납된 기준 특징 데이터와를 비교하고, 양 데이터의 유사정도를 수치화한 유사도를 출력한다. 판정회로(404)는 제1의 기준유사도와 그 제1의 기준유사도보다 작은 제2의 기준유사도를 가지며, 비교회고(403)으로부터 출력된 우사도가 제1의 기준유사도 이상인가 아닌가 및 제2의 기준유사도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복사 동작제어회로(405)는 판정회로(404)에서의 판정결과에 따라 카피 금지신호 또는 카피실행 신호중 어느것 인가를 유효하게 한다. 또한 마킹 제어회로(406)는 판정회로 (404)에서의 판정결과에 따라 마킹신호를 유효 또는 무효로 절환한다. 상기 카피 금지신호 및 카피실행 신호는, 시스템 콘트롤러(303)에 공급되고, 시스템 콘트롤러(303)은 카피금지 신호 및 카피실행 신호의 상태에 따라 당해 복사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킹신호는 마킹유니트(112)에 공급되고, 마킹신호의 상태에 따라 마킹 유니트(112)는 유효 또는 무효로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복사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동작이 행해진다.
지폐의 인감부분등, 특수원고에서 특징부분의 화상데이타가 추출되고, 그추출된 화상데이타가 기준 특징 데이터로서 메모리(402)에 미리 격납된다. 특수원고에는 일본의 지폐, 유가증권외에 세계각국의 지폐나 유가증권도 포함하며, 각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타의 분석에 기초하여 각 특수원고에 대응하는 기준특징 데이터가 결정된다.
인감부분의 화상데이타외에 숫자, 사인, 초상부분의 각 화상데이타를 기준특징 데이터로서 정하여도 좋다.
오퍼레이터가 원고를 원고재치대(101)상에 세트하여 스타트 조작을 행하면, 광학주사계(102)가 원고를 주사하고, 화상신호가 광학주사계(102)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원고판별 유니트(400)에서, 이 화상신호에 대응한 화상데이타로부터 특징 데이터가 화상검출회로(401)로써 추출되고, 그 특징 데이터와 메모리(402)내의 기준특징 데이터가 비교회로(403)에 의해 비교된다. 이 비교회로(403)에서는 예를 들면, 실제로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화소로 분해하여 그 수 및 분포상태를 기준 특징데이타의 그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로부터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유사도가 연산된다. 이 유사도는, 예를들면, 백분율로 표시되고, 크면클수록 원고가 특수원고에 유사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판정회로(404)는 제7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따라 판정처리를 행한다. 즉 비교회로(403)로써 얻은 유사도가 제1의 기준유사도(예를들면,90%)이상인가 아니가를 판정한다(S501). 그리고, 유사도가 제1의 기준유사도(90%) 이상이면, 판정회로(404)는 일치판정 신호를 출력한다(S502). 이 일치판정신호가 복사동작 제어회로(405) 및 마킹 제어회로(405)에 공급되면 복사동작 제어회로(405)는 카피금지 신호를 유효(예를들면, 하이레벨)로 함과 동시에, 카피실행신호를 무효(예를들면, 로우레벨)로 하고, 마킹제어회로(406)는 마킹신호를 무효의 상태로 보유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유효로 되는 카피금지 신호를 입력한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화상처리 유니트(301), 레이저 기입 유니트(103), 감광드럼(104) 및 현상유니트(106) 등의 프린터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조작/표시 유니트(302)에 금지멧세지를 보낸다. 그 결과, 카피 동작이 정지되고, 조작/표시 유니트(302)에 금지멧세지, 예를들면,「이 원고는 카피가 가능하지 않다: 카피금지」가 표시된다.
제7도에 돌아와서, 스텝S501에서, 유사도가 제1의 기준유사도(90%)보다 작다고 판정되면, 그위에, 그 유사도가 제2의 기준유사도(예를들면 70%)이상인가 아닌가가 판별된다(S503). 그리고, 유사도가 제2의 기준유사도(70%) 이상이면, 판정회로(404)는 유사판정 신호를 출력한다(S504). 이 경우 유사도 X는 70%≤x≤90%의 범위 특허 제136039호 6/18이다. 이 유사판정신호가 복사동작 제어회로(405) 및 마킹제어회로(406)에 공급되면, 복사동작 제어회로(405)는 카피금지신호를 무효로 함과 동시에, 카피실행 신호를 유효로 하고, 마킹제어회로(406)는 마킹신호를 유효로 한다.
상기와 같이 유효로 되는 카피실행 신호를 입력한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프린터 시스템에 대하여 통상의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그 결과, 화상처리 유니트(30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타(Y,M,C,BK)에 기초하여 다색화상이 급지유니트(113)로부터 출력된 기록지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효하게 되는 마킹신호를 입력한 마킹유니트(112)에서는 가압롤라(117)이 마킹롤라(114)에 접촉하도록 이동하고, 마킹롤라(114)가 회전한다.
따라서,다색화상이 형성된 기록지가 마킹유니트(112)를 통과하는 때에, 그 기록지의 이면에 마크가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프린트된다.
또한, 제7도로 돌아가서, 스텝S503에서 유사도가 제2의 기준 유사도(70%)보다 작다고 판정되면, 판정회로(404)는 비유사 판정신호를 출력한다.(S505) 이 비유사 판정신호가 복사동작 제어회로(405) 및 마킹제어회로(406)에 공급되면, 복사 동작제어회로(405)는 카피금지 신호를 무효로 함과 동시에, 카피실행 신호를 유효로 하고, 마킹제어회로(406)는 마킹신호를 무효로 한다. 그 결과, 마킹유니트(112)에서 가압롤라(117)가 마킹롤라(114)로부터 떨어지고 통상의 카피동작이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제1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사기에 셋트된 원고가 확실히 지폐 등의 특수원고라고 판정될때(유사도가 90%이상)에만, 카피동작이 금지되기 때문에, 통상의 원고가 특수원고에 유사하였다 하여도 그 카피동작은 방해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수원고에 유사하다고 판정된 원고가 만일 특수원고였다 하여도, 복사기를 특정하는 마크가 기록지의 이면에 프린트되기 때문에, 위법한 카피에 의해 위조된 지폐, 유가증권 등에 프린트된 마크에 기초하여, 적어도 그 위법한 카피에 사용된 복사기를 용이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카피동작이 금지된 경우에, 금지멧세지가 조작/표시 유니트(302)에 표시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잘못하여 복사기가 고장났다고 판단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의 실시예에서는, 복사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표시한 마크가 카피화상과 또같이 레이저 기입 유니트(103), 감광드럼(104), 대전유니트(105), 현상유니트(106) 등을 이용한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따라 기록지의 이면에 형성된다. 기록지의 반송경로가, 예를 들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제8도는 카피화상이 형성된 기록지의 반송경로를 주로 표시하고 본실시예에 관한 복사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제1도의 것과 거의 똑같은 모양이다. 단, 제2의 실시예에 의한 복사기는 제1도에 도시한 마킹유니트(112)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8도에서, 정착유니트(110)의 하류에 스위치 팩 통로(602)와 이 스위치 팩 통로(602)와 배지트레이(111)에 면한 통로의 절환을 행하는 절환호(6010)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스위치 팩 통로(602)에 결합하는 반전통로(603)이 급지유니트(113)으로부터 연장된 급지통로 부드럽게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복사기의 제어회로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제어회로에는 카피동작에 관한 이력을 기록하기 위한 이력기록 유니트(700)이 설치되어 있다. 원고판별 유니트(400)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되고, 다른 유니트는 제5도에 도시한 것과 똑같은 모양이다. 제10도에서, 원고제어회로 유니트(400)는 화상검출회로(401), 메모리(402), 비교회로(403), 판정회로(404) 및 복사동작 제어회로(40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상검출회로(401), 메모리(402),비교회로(403) 및 판별회로(404)로부터 출력된 판별신호(일치판정신호, 유사판정신호, 비유사판정신호)에 기초하여 카피금지신호, 카피실행신호, 마킹신호의 상태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복사기에 설치된 원고판별 유니트(400)에서, 판정회로(404)로부터 일치판정신호가 출력되면(유사도가 90% 이상), 복사동작 제어회로(407)는 카피금지신호를 유효하게 한다. 그 결과, 제1의 실시예와 똑같이 카피동작이 금지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303)는, 예를들면, 일시, 사용자ID, 검출된 특수원고의 종류 유사도 등의 금지된 카피동작에 관한 이력정보를 출력하고, 그 이력 정보가 이력기록유니트(700)에 기록된다. 또한, 판정회로(404)로부터 비유사 판정신호가 출력되면(유사도가 70%보다 작다), 복사동작 제어회로(407)는 카피실행 신호를 유효하게 한다. 그 결과, 통상의 카피동작이 행해지며, 기록지상에 원고상에 대응한 다색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8도에서 절환호(601)이 배지트레이(111)에 면한 통로를 선택하도록 절환되고, 정착유니트(110)을 통과한 기록지는 배지트레이(111)로 배출된다. 그 위에, 판정회로(404)로부터 유사판정신호가 출력되면(유사도가 90%보다 작게 70% 이상) 복사동작제어회로(407)는 카피실행 신호 및 마킹신호를 유효하게 한다. 그 결과, 통상의 카피동작이 행해지며, 기록지상에 원고상에 대응한 다색화상이 형성된다. 게다가, 이통사의 카피동작에서 전자 사진 프로세스가 종료하면, 시스템 콘트롤러(303)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화상처리 유니트(301)로부터 제3도에 도시한 마크에 대응한 화상데이타가 출력되고, 현상유니트(106)에서 블랙(BK)토나를 공급하는 섹션이 유효로 된 상태에서, 감광드럼(104)상에서의 전자사진 프로세서가 재차 행해진다. 이때, 제8도에 도시된 절환호(602)는 스위치 팩 통로(602)를 선택하도록 절환되고, 상기와 같이 통상의 카피동작에 의해 얻은 기록지가 정착유니트(110)을 통과한 후에 스위치 팩 통로(602)에 유도된다. 그리고, 기록지가 완전히 스위치 팩 통로(602)로 도입되면, 반송롤라가 역회전하여 기록지가 스위치 팩 통로(602)로부터 반전통로(603)에 유도된다. 반정통로(603) 내를 반송되는 기록지는 반전되어 감광드럼(104)에 유도된다. 그리고, 기록지의 이면(통상의 카피동작에서 다색화면상이 형성된 면과 역의 면)에 상기 마크의 블랙(BK) 토나 상이 형성된다. 그후, 제8도에 도시한 절환호(601)이 배지 트레이(111)에 향한 통로를 선택하도록 절환되고, 재차 정착유니트(110)를 통화한 기록지는 배지 트레이(111)에 배출된다. 이 경우, 마피동작이 금지된 경우와 똑같이, 당해 카피동작에 관한 이력정보가 이력 기록 유니트(700)에 기록된다.
상기 제2의 실시예에서는 제1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카피동작이 금지된 경우 및 기록지에 마크가 프린트된 경우에 그 카피동작에 관한 이력정보가 이력기록 유니트(700)에 기록되기 때문에, 그 위법한 카피를 행한자의 특정이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서, 카피동작이 금지된 경우 후의 처리로서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첫 번째, 유저로부터 연락을 받은 서비스맨이 시스템포트를 직접 조작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의 상태(카피동작이 금지된상태)를 리셋트한다. 두번째, 온라인 회선을 통해서 위법한 카피가 행해진 것을 표시한 정보를 서비스 스테이션에 보낸다. 그리고, 서비스 스테이션으로부터 파견된 서비스맨이 상기와 같이 상태를 리세트한다. 그 위에 서번째로, 이력정보가 이력기록 유니트(700)에 기록된 상태에서 조작/표시 유니트(302)에 설치된 숫자키를 이용하여 오퍼레이터가 소정의 암호번호를 입력한 때에 복사기가 복사가능한 상태로 복귀한다.
복사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마크는 기록지의 카피화상이 형성된 면에 프린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마킹유니트(112)에서는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가시광선 이외의 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낮은 잉크가 이용된다. 또한, 인간의 시각으로 인식이 곤란한 색, 예를들면, 엷은 황색의 잉크가 이용된다. 더구나,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마크를 기록지의 카피화사이 작성면에 형성하는 경우는, 현상유니트(106)의 옐로(Y)토나를 공급하는 섹션이 유효하게 된다. 또한, 마킹유니트(112)의 구조는 제2도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공지의 잉크젯트 기록유니트를 이용하는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의 실시예에서는 복사장치의 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모양이다. 또한 그 제어회로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있다. 제11도에서, 광학주사계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201)(CCD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가 클록제네레이타(190)으로부터의 클록신호에 동기하여 작동하는 A/D변환기(202)에 의해 디지탈 화상신호(RGB 신호)로 변환되고, 그 RGB 신호가 화상처리 유니트(301)로 공급되고 있다. 화상처리 유니트(301)는 RGB 신호를 입력하여 색보정, 색처리를 실행하는 색보정/색처리 회로(203)와 색보정/색처리회로(203)으로부터의 시안(C), 마젠타(M), 옐로(Y), 블랙(BK)에 대응한 색화상 신호를 순차 선택하는 셀렉터(204)와 셀렉터(204)로부터 출력되는 색화상 신호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메모리(205)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처리 유니트(301)로부터의 색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 기입 유니트의 구동회로(103a)가 레이저 다이오드(103b)를 구동한다. 또한, A/D 변환기 (202)로부터 RGB 신호는 원고판별 유니트(400)에도 공급되고 있다. 그위에, 이 제어회로는 원고판별 유니트(400)으로 얻어진 판정결과를 격납하는 큰트롤 데이터 버퍼(214), ROM(215), RAM(216), IPU-CPU(217)(화상처리 CPU)를 구비하고, 통신 인터페이스(218)을 통해서 시스템 콘트롤러(30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원고판별 유니트(400)는 제1의 판정계와 제2의 판정계를 구비하고 있다. 제1의 판정계는 추출회로(207), 제1의 특정 패턴 메모리(209)(EEPROM, 불휘발성 RAM 등에 의해 구성된다) 및 제1의 검출회로(208)로 구성되어 있다. 추출회로(207)는 원고의 판독동작중에 공급되는 RGB신호로부터 특정패턴을 추출한다. 제1의 특정패턴 메모리(209)에는 지폐 등의 특수원고를 특정하기 위한 기준 패턴이 사전에 격납되어 있다. 제1의 검출회로(208)는 추출회로(207)로 추출된 특정패턴이 제1의 특정패턴 메모리(209)에 격납된 기준 패턴과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제1의 판정계에서는 원고의 판독동작에 동기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 원고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같이, 원고의 판독동작에 동기하여 그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제1의 판정계에서는 단시간에 판정결과가 얻어진다. 제2의 판정계는 화상신호 메모리(210), 합성회(211), 제2의 특정패턴 메모리(213)(EEPROM, 불휘발성 RAM 등에 의해 구성된다) 및 제2의 검출회로(212)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신호 메모리(210)는 원고의 판독동작중에 공급되는 RGB 신호를 R 신호, G 신호, B 신호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고, 그들을 선택적으로 합성하여 얻어진 특정패턴을 출력한다. 제2의 패턴 메모리(213)는 특수원고를 특정하기 위한 기준 패턴이 사전에 격납되어 있다. 제2의 검출회로(212)는 합성회로(211)로부터의 특정패턴이 제2의 특정패턴 메모리(211)에 격납된 기준 패턴과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제2의 판정계에서는 원고의 판독동작에 의해 얻어진 RGB 신호(화상신호)를 1페이지분 화상신호 메모리(210)에 축적하고 원고의 판독동작 종료후에 그 축적된 RGB 신호(화상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와같이, 화상신호 메모리(210)에 축적된 1페이지분의 화상신호 기초하여 당해원고의 특정패턴이 합성되기 때문에, 제2의 판정계에서의 판정시간은 제1의 처리계에서의 판정시간보다도 길게된다. 그러나, 제2의 처리계에서는 판정 정밀도는 제1의 판정계에서의 판정정밀도보다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의 판정계에서 얻어진 판정결과는 콘트롤 데이터 버퍼(214)에 격납된다. 그리고, 이 판정결과는 시스템 콘트롤러(303)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데이터 버스, 통신 인터페이스(218)을 통해서 콘트롤 데이터 버퍼(214)로부터 시스템 콘트롤러(303)에 공급된다.
화상형성동작이 실행되는 때에,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제12도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원고재치대(101)에 원고를 샛트한 상태에서, 스타트 조작이 행해지면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광학주사계에 대하여 기동신호를 공급한다.(S601). 이것에 의해 광학주사계는 원고를 주사하고 이미지 센서(201)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한 RGB 신호가 화상처리 유니트(301) 및 원고판별 유니트(400)에 순차공급된다. 이 원고가 판독되고 있는 사이, 화상처리 유니트(301)에서는 색화상 신호(C, M, Y, BK)가 메모리(205)에 격납된다. 또한, 원고판별 유니트(400)에서 제1의 판정계(추출회로(207), 제1의 검출회로(208), 제1의 특정패턴 메모리(209))에서는 판정처리가 실행되고, 제2의 판정계(화상신호 메모리(210), 합성회로(211), 제2의 검출회로(212), 제2의 특정패턴 메모리(213))에서는 RGB신호가 순차 화상신호 메모리(210)에 격납된다. 상기의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사이,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판독동작이 종료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있다.(S602). 광학주사계에서의 원고판독 동작이 종료하면, 광학주사계로부터 종료신호가 시스템 콘트롤러(303)에 공급되고, 이 종료 신호에 기초하여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원고판독 동작이 종료했다고 판정한다. 이때, 원고판별 유니트(301)에 있는 제1의 판정계에서의 처리도 종료하고 있으며, 그 판정결과(제1의 판정결과)가 콘트롤데이타 버퍼(214)에 격납된다.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콘트롤 데이터 버퍼(214)에 격납되어 있는 판정결과를 읽어내고, 그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당해원고가 지폐 등의 특수원고가 아니라는 것을 검출하면(S603),화상처리 유니트(301) 및 제1도에 도시한 프린터 시스템에 대하여, 화상형성 처리 개시의 제어신호를 공급한다.(S604) 그 결과, 화상처리 유니트(301)에 있는 메모리(205)에 격납된 화상신호가 레이저 기입 유니트에 공급되고, 기록지상에 원고에 대응한 다색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시스템 콘트롤러(303)가 상기 판정결과(제1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인 것을 검출하면(S603), 원고판별 유니트(400)에 대하여 제2의 판정처리를 실행하도록 지령된다(S605). 이 지령을 받아 원고판별 유니트(400)에 있는 제2의 판정계에서는 메모리(210)에 기존에 격납되어 있는 RGB 신호로부터 얻어진 당해 원고의 특정 패턴이 기준 패턴과 일치하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그리고, 그 판정결과(제2의 판정결과)가 콘트롤 데이터 버퍼(214)에 격납된다. 그후,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콘트롤 데이터 버퍼(214)로부터 제2의 판정결과를 읽어내고 그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인 것을 검출하면(S606), 화상처리 유니트(301) 및 프린터 시스템에 대하여 화상형성 금지의 지령을 공급한다(S605). 그 결과, 화상처리 유니트(301)의 메모리(205)에 축적된 화상신호가 클리어됨과 동시에 프린터 시스템은 기동하지 않는다. 이때,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모양으로, 화상형성 처리가 금지된 지령의 멧세지가 조작/표시 유니트에 표시된다. 또한 한편, 상기 제2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와 다르다는 것이 검출되면(S606),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화상처리 유니트(301) 및 프린터 시스템에 대하여 화상형성개시의 지령을 공급함과 동시에 (S608), 마킹유니트(112)에 대하여 기동신호를 공급한다.(S609) 그 결과 제1의 실시예와 똑같이 원고에 대응한 다색화상이 기록지에 형성됨과 동시에, 그 기록지의 이면에 당해 복사기를 특정하는 마크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3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판정계에 있어서 만큼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펀정결과의 확인랭크가 낮은 것이라 하여, 화상형성 동작을 금지하는 것없이, 당해 복사기를 특정하는 마크가 다색화상이 형성된 기록지의 이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1의 판정계 및 제2의 판정계의 쌍방에서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가 일치한다고 판정괸 경우에는 판정결과의 확인랭크가 높은 것으로 하여 화상형성 동작이 금지되낟. 따라서, 명확하게 특수원고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원고에 대해서는 제1의 판정계에서의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특수원고라고 의심이 되는 원고 및 특수원고인 것이 명백한 원고, 즉, 제1의 판정계에서 특수원고라고 판정된 원에 대해서만 제2의 판정계에서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 결과, 통상의 원고의 카피 동작이 지장없이 행해진다.
상기 제1 및 제2의 판정계에서의 처리는 상기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없이 다음과 같은 처리가 가능하다. 제13도는 특수원고의 자기정보를 이용한 판별계를 도시하고 있다. 제13도에서, 콘택트 글래스(804)의 아랫쪽에 자기발생기(801)와 자기검출기(8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기잉크를 이용한 지폐 등의 특수원고(805)를 콘택트 글래스(840)상에 재치하면, 자기발생기(801)로부터 발생한 자계가 특수원고(805)의 자기잉크에 의해 자기 검출기(802)에 유도된다. 그 결과, 자기검출기(802)가 당해 자계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CPU(803)가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805)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14도는 원고의 형상을 이용하여 특수원고인가를 판정하는 판정계를 도시하고 있다. 제14도에서 광학주사계로 얻어진 화상정보로부터 콘택트 글래스(903)상에 재치된 특수원고(901)의 각 코너의 좌표(X1,Y1), (X2,Y2), (X3,Y3), (X4,Y4)가 구해지며, 각 좌표로부터 원고의 형상을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901)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제15도는 원고의 표면의 칼라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특수원고인가 아니가를 판정하는 수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 수법에서는 원고의 펴면색을 추출하고, 제15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추출된 표면색의 칼라히스토그램(R,G,B)와, 메모리내에 등록되어 있는, 제15도(b)에 도시된 바와같은 기준 히스토그램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제16도는 특수원고의 특정패턴을 이용하여 특수원고인가를 판정하는 수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 수법에 있어서는 특수원고로부터 특정패턴(특수원고의 전부 또는 일부), 예를들면, 지폐의 인감 부분을 추출하고, 그것을 미리 메모리에 등로된 기준 패턴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인가 아니가를 판정하고 있다.
제17도는 원고의 칼라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특수원고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수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 수법에서는, 원고의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원고의 일부 또는 전부의 칼라히스토그램(R,G,B)와, 메모리내에 등록되어 있는 기준 칼라히스토그램과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그 위에, 화상데이타를 체인부호화하여 처리하도록 한 예를 설명한다.
제18도에 도시한 제어회로는 상기 제3의 실시예와 똑같이 광학주사계(102), 화상처리 유니트(301), 레이저 기입 유니트(103), 제1의 판정계(400a) 및 제2의 판정계(400b)를 구비하고 있다. 제2의 판정계(400b)에서 화상데이타가 체인부호화된다. 이 제2 판정계(400b)에서는 광학주사계(102)로부터의 화상데이타 : R 데이타(빨강), G 데이터(녹색), B 데이터(파랑)을 각각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메모리(415R, 415G, 415B)와 각 메모리에 접속된 벡터수 연산회로(416R, 416G, 416B)와, 각 벡터 연산회로에 접속된 비교회로(418R,418G, 418B)와 기준데이타 메모리(417)와 앤드회로(419)와가 설치되어 있다. 각 벡터 연산회로(416R, 416G, 416B)는 대응하는 메모리(415R, 415G, 415B)로부터의 R 데이타, G 데이타, B 데이터를 체인 부호화에 의해 벡터화하고, 각 방향의 벡터수가 격납되어 있다. 각 비교회로(418R, 418G, 418B)는, 대응하는 벡터수 연산부(416R, 416G, 416B)로 연산된 벡터수와 기준데이타 메모리(417)내의 기준 벡터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대응한 판정신호를 출력한다. 각 비교회로(418R, 418G, 418B)로 부터의 판정신호를 입력하는 앤드회로(419)는 최종적으로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인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제2의 판정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제2의 판정계(400b)에서는 제19도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에 따라 처리사 실행된다. 우선, 광학주사계(102)에 의해 판독된 R 데이터, G 데이터, B 데이터는 각각 메모리(415R, 415G, 415B)에 입력된다(S201, S218, S232). 이어서, 벡터 연산회로(416R, 416G, 416B)에 있어서, 선도형(화상데이타) 윤곽이 체인부호화되고(S202, S219, S232), 당해 화상데이타가 제20도에 도시된 0부터 7의 8종류의 코드로 분류된다(S203, S220, S234).
제20도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체인부호화의 예를 도시한다. 이 체인부호화에 있어서는 선도형이 길이 a 또는 ( a는 양자화 격자의 한변의 길이)이고,방향성 8의 벡터를 연결하여 표시된다. 즉, 벡터의 방향성에 따라 0로부터 7의 코드가 당해 선도형에 할당된다. 이 체인 부호화에 의해, 선도형은 그 방향성에 따른 8개의 코드로 변환되고, 각 코드의 수가 계수된다.
또한, 특수원고의 화상의 특징에 대응하여 코드수의 분포가 일정하기 때문에, 코드수의 분포를 조회하는 것에 의해 특수원고가 재치된 각도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일 많은 코드만을 조회함으로써 대단히 간단하게 특수원고의 각도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S204, S221, S235) 특수원고의 체인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코드의 수가 각각 벡터와 함께 계수되고, 그 벡터수가 전술한 바와같이 기준벡터수로서 기준데이타 메모리(417)에 격납되어 있다. 비교회로(418R, 418G, 418B)에서는 기준데이타 메모리(417)내의 기준 벡터수외 입력된 화상데이타의 벡터수와가 각 코드마다 비교되고, 그 비교결과가 소정의 레벨이상(예를들면, 각 코드에 있어서 90% 이상의 일치도)이면, 당해 원고가 특수원고라고 판정한다. 따라서, 여기까지의 처리에서, 각 비교회로(418R, 418G, 418B)로부터 R 데이터, G 데이터, B 데이터 각각의 화상데이타에 기초한 판정결과가 얻어진다(S205-S214, S222-S231, S236-S245). 앤드회로(419)는 각 비교결과 418R, 418G, 418B로부터 판정결과를 입력하고 전체의 판정결과가 당해 특수원고인 것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제2의 판정신호를 온 상태로 한다(S215, S216). 또한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제2의 판정신호를 오프상태로 한다(S215, S217). 그리고, 시스템 콘트롤러(303)는 제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2의 판정신호의 상태에 따라 프린터 시스템 및 마킹 유니트(112)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화상데이타를 체인 부호화에 의해 벡터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처리의 고속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없이, 청구된 발명의 범위에서 적절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원고가 특수원고와 같다고 확인되는 랭크가 높은 경우에만 카피동작이 금지되고, 그 확인 랭크가 낮은 경우에는 소정의 정보를 기록지에 부가하도록 했기 때문에, 통상의 원고의 카피가 지장없이 행해짐과 동시에, 특수원고의 카피에는 적어도 소정의 정보가 부가되는 것으로 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위법카피가 되는 복사기의 특정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그 원고에 대응한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판독 수단과, 화상판독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를 소정의 방법에 따라 처리하고,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화상처리 수단과, 화상처리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데이타에 대응한 화상을 기록시트에 형성하는 화상형성수단과, 상기 화상판독 수단으로 판독되는 원고가 미리 정한 특수원고와 같다고 확인하는 랭크가 제1의 랭크 또는 제1의 랭크보다 낮은 제2의 랭크중 어느 것인가를 판정하는 원고판정 수단과, 상기 원고판정 수단에서의 판정결과가 제1의 랭크인 때에, 상기 화상형성수단이 원고에 대응한 화상을 기록시트에 형성하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수단과, 상기 원고판정 수단에서의 판정결과가 제2의 랭크인 때에, 상기 화상형성수단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시트에 소정의 정보를 부가하는 정보부가수단을 구비한 복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판별 수단은 사전에 정한 특수원고의 특징을 표시하는 기준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수단과, 화상판독수단으로부터의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그 원고의 특징을 표시하는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특징 추출수단과, 특징추출수단으로 생성된 특징 데이터와 기억수단애의 기준데이타를 비교하고, 특징데이타와의 유사정도를 표시하는 유사도을 생성하는 비교수단과, 비교결과로부터의 유사도가 제1의 기준유사도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제1의 판정수단과,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우사도가 제1의 기준유사도보다 낮고, 제2의 기준유사도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제2의 판정수단을 갖고, 상기 제1의 판정수단이, 유사도가 제1의 기준유사도 이상이라고 판정한때에 원고판별수단은 그 확인 랭크가 제1의 랭크이라고 판정하고, 또한 상기 제1의 판정수단이, 유사도가 제1 기준 유사보다 적다고 판정하고 또한 상기 제2 판정수단이 유사도가 제2 기준 유사도 이상이라고 판정한 때에 원고판별수단은 그 확인 랭크가 제1의 랭크라고 판정하도록 한 복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판별 수단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서 판독되는 원고가, 사전에 정한 특수원고와 동일한지 아닌지를 제1의 수법에 따라 판정하는 제1의 판정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수단에서 판독되는 원고가 미리 정한 특수 원고와 동일한지 아닌지를 제2의 수법에 따라 판정하는 제2의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판정수단이 양 원고가 동일하다고 판정할때에, 원고판정수단은 그 확인랭크가 제1의 랭크라고 판정하고, 상기 제1 판정수단이 양원고가 동일하다고 판정하고 또한 제2의 판정수단이 양원고가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한 때에 원고판정 수단은 확인 랭크가 제2의 랭크라고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부가 수단에서 기록시트에 부가될 수 있는 정보는 그 복사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표시한 마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장치.
  5. 제1항에 있어, 상기 정보부가 수단에서 기록시트에 부가할 정보는 복수의 마크에 의해 구성되고, 가장 작은 특수원고에 대응한 기록지상의 영역에 적어도 1개의 마크가 위치하도록 그 복수의 마크가 배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복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수단에 의해 화상형성수단의 화상형성이 금지된 때에, 그 화상형성이 금지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이 그 확인랭크가 제1 또는 제2의 랭크라고 판정한때에, 그 판정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처리에 관계한 정보를 기록하는 이력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제1 판정수단에서의 판정을 제2의 판정수단에서의 판정보다 앞서 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판정수단에서의 판정시간이 제2 판정수단에서의 판정시간보다 짧게 되도록 상기 제1의 수법 및 제2의 수법을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2의 판정수단에서의 판정 정밀도가 제1의 판정수단에서의 판정정밀도 보다 높게 되도록 상기 제1의 수법 및 제2의 수법을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장치.
KR1019940701946A 1992-10-09 1993-10-07 특수원고의 판별유니트를 구비한 복사장치 KR0136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97815 1992-10-09
JP4297815A JPH06125459A (ja) 1992-10-09 1992-10-09 特殊原稿判別機能付き複写機
PCT/JP1993/001444 WO1994009590A1 (fr) 1992-10-09 1993-10-07 Appareil de reproduction a unite de reconnaissance d'original spec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6039B1 true KR0136039B1 (ko) 1998-04-27

Family

ID=1785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946A KR0136039B1 (ko) 1992-10-09 1993-10-07 특수원고의 판별유니트를 구비한 복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04596A (ko)
EP (1) EP0617545B1 (ko)
JP (1) JPH06125459A (ko)
KR (1) KR0136039B1 (ko)
AU (1) AU5118593A (ko)
DE (1) DE69323062T2 (ko)
WO (1) WO1994009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63785C (en) * 1991-03-25 1998-09-29 Masahiro Funada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6346989B1 (en) * 1992-08-24 2002-0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H0778251A (ja) * 1993-07-22 1995-03-20 Xerox Corp ソースベリファイ方法
US7676059B2 (en) * 1994-10-21 2010-03-09 Digimarc Corporation Video steganography or encoding
US6449377B1 (en) 1995-05-08 2002-09-10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watermark processing of line art images
US5748763A (en) 1993-11-18 1998-05-05 Digimarc Corporation Image steganography system featuring perceptually adaptive and globally scalable signal embedding
US6345104B1 (en) 1994-03-17 2002-02-05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watermarks and methods for security documents
US5768426A (en) 1993-11-18 1998-06-16 Digimarc Corporation Graphics processing system employing embedded code signals
US7778437B2 (en) 1994-03-17 2010-08-17 Digimarc Corporation Media and methods employing steganographic marking
JPH10503307A (ja) * 1994-07-21 1998-03-24 株式会社 東芝 画像識別装置
JP3224480B2 (ja) * 1994-09-30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処理装置
JP3427554B2 (ja) * 1995-03-01 2003-07-22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FR2732532B1 (fr) * 1995-03-29 1997-06-20 Lahmi Paul David Procede securise de reproduction de documents sensibles
JPH0918708A (ja) 1995-06-30 1997-01-17 Omron Corp 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画像入力装置,制御装置,画像出力装置,ならびに画像処理システム
US6459425B1 (en) 1997-08-25 2002-10-01 Richard A. Holub System for automatic color calibration
US7728845B2 (en) 1996-02-26 2010-06-01 Rah Color Technologies Llc Color calibration of color image rendering devices
US6043909A (en) * 1996-02-26 2000-03-28 Imagicolor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ing and controlling color reproduction at multiple sites
US5909602A (en) * 1996-09-30 1999-06-0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pecimen image judging section and an image information suitability judging section
JP3129245B2 (ja) 1996-10-31 2001-01-29 オムロ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H11126259A (ja) * 1997-06-02 1999-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検出方法、画像検出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媒体
JP3731316B2 (ja) * 1997-10-02 2006-01-0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読取り装置
US6272245B1 (en) * 1998-01-23 2001-08-07 Seiko Eps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attern recognition
JPH11275352A (ja) * 1998-03-26 1999-10-08 Omron Corp 画像処理装置
JP4418545B2 (ja) * 1998-11-30 2010-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出力制御方法
JP3610795B2 (ja) * 1998-12-09 2005-01-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り装置
WO2000051338A1 (fr) * 1999-02-26 2000-08-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de surveillance de donnees, dispositif de surveillance de donnees, dispositif de copia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US6370271B2 (en) 1999-04-30 2002-04-09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pattern recognition
US6175714B1 (en) * 1999-09-02 2001-01-16 Xerox Corporation Docu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piers
US7002710B1 (en) 2000-04-10 2006-0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gh reliability forensic color marking system
US7102648B1 (en) 2000-04-11 2006-09-05 Rah Colo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color display
JP2004274092A (ja) 2002-07-23 2004-09-30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憶媒体
JP4012016B2 (ja) * 2002-08-29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229714B2 (ja) 2002-09-19 2009-02-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憶媒体
US6782217B1 (en) * 2003-02-14 2004-08-24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device which detects and processes control data on original document
US7369279B2 (en) * 2003-03-13 2008-05-0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to restrict copying, scanning and transmittal of documents or parts of documents
JP2005017541A (ja) * 2003-06-24 2005-01-20 Canon Inc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200106B2 (ja) 2003-07-15 2008-12-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憶媒体
EP1509034B1 (en) 2003-08-21 2009-02-18 Ricoh Company, Ltd.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prohibiting a reproduction of an anti-copy document, and a medium storing the program
US7720290B2 (en) 2003-11-0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pecific information included in image data of original image, and computer-readable stor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EP1530357A1 (en) 2003-11-06 2005-05-11 Ricoh Company, Lt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pecific information included in image data of original image with accuracy, and computer readable stor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JP3913224B2 (ja) 2004-02-05 2007-05-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92035B2 (ja) 2004-10-19 2007-10-1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63156B2 (ja) * 2004-10-21 2009-05-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096935B2 (ja) 2004-10-22 2008-06-0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57195A (ja) 2004-11-26 2006-06-15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6186976A (ja) 2004-12-02 2006-07-13 Ricoh Co Ltd 地紋認識手段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488939B2 (ja) 2005-03-18 2010-06-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646916B2 (en) * 2005-04-15 2010-01-12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Linear analyst
US8181261B2 (en) * 2005-05-13 2012-05-15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documents containing sensitive information
JP2006325026A (ja) * 2005-05-19 2006-11-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4490335B2 (ja) * 2005-06-10 2010-06-23 株式会社リコー パターン重畳装置、パターン重畳方法、パターン重畳プログラム、パターン重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70030523A1 (en) * 2005-08-02 2007-02-08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submitter of a printed or scanned document
CN100338549C (zh) * 2005-09-02 2007-09-19 北京北大方正电子有限公司 一种文档的防拷贝方法
JP2007166221A (ja) * 2005-12-13 2007-06-28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719717B2 (ja) 2006-06-27 2011-07-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8238599B2 (en) 2006-12-15 2012-08-07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identifying a selected one or more embedding methods used for embedding target information
JP4829768B2 (ja) * 2006-12-19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を管理する管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を管理する管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9141700A (ja) * 2007-12-06 2009-06-25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474858B2 (en) 2011-08-30 2019-11-12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of identifying barcoded items by evaluating multiple identification hypotheses, based on data from sensors including inventory sensors and ceiling-mounted cameras
JP6252782B2 (ja) * 2014-08-26 2017-12-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読取画像取込システム、読取画像取込装置および読取画像取込プログラム
JP7382260B2 (ja) * 2020-03-12 2023-11-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901B2 (ja) * 1984-04-27 1994-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H0683663B2 (ja) * 1987-05-18 1994-10-26 益子味噌株式会社 微生物連続培養方法および装置
US5321470A (en) * 1988-05-13 1994-06-14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with anti-forgery provision
CA1329826C (en) * 1988-05-13 1994-05-24 Kamon Hasuo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69033327T2 (de) * 1989-02-10 2000-04-13 Canon Kk Gerät zum Lesen oder Verarbeiten eines Bildes
CA2063785C (en) * 1991-03-25 1998-09-29 Masahiro Funada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69232764T2 (de) * 1991-03-29 2003-08-07 Canon Kk Bildverarbeitungsgerät
WO1994003996A1 (en) * 1992-08-05 1994-02-1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118593A (en) 1994-05-09
EP0617545A4 (en) 1995-01-04
DE69323062D1 (de) 1999-02-25
EP0617545B1 (en) 1999-01-13
EP0617545A1 (en) 1994-09-28
WO1994009590A1 (fr) 1994-04-28
US5604596A (en) 1997-02-18
JPH06125459A (ja) 1994-05-06
DE69323062T2 (de) 199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039B1 (ko) 특수원고의 판별유니트를 구비한 복사장치
US5678155A (en) Anti-counterfeiting device for use in an image-processing apparatus
EP0706283B1 (en) Image processor including copying machine
US5765089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a discrimination of whether an input image includes a specific image
EP0366399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EP034206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544451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ad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recorded images to prevent forgery
US6928190B2 (en) Image discrimination apparatus, copier and image discrimination method
JPH06268859A (ja) 画像処理装置
JPH07143335A (ja) カラー複写機における複写禁止原稿複写防止装置及び方法
JP3587008B2 (ja) 画像入力装置
JP3587009B2 (ja) 画像入力装置
JPH0774945A (ja) 画像形成装置
JP2917523B2 (ja) 複写機を含む画像処理装置
JPH10224598A (ja) 画像入力装置
JPH10224599A (ja) 画像入力装置
JPH10224600A (ja) 画像入力装置
JPH10224601A (ja) 画像入力装置
JPH10224602A (ja) 画像入力装置
JPH11327252A (ja) 認識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その画像形成装置に使用す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10224597A (ja) 画像入力装置
JPH10224619A (ja) 原稿判別装置
JP2002271618A (ja) 画像処理装置
JPH0686052A (ja) 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