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300B1 -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300B1
KR940009300B1 KR1019940011161A KR19940011161A KR940009300B1 KR 940009300 B1 KR940009300 B1 KR 940009300B1 KR 1019940011161 A KR1019940011161 A KR 1019940011161A KR 19940011161 A KR19940011161 A KR 19940011161A KR 940009300 B1 KR940009300 B1 KR 94000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offee
material supply
supply device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보루 찌기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주요부 단면도.
제4도는 제어회로 블록도.
제5도 및 제6도는 메모리의 기억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피추출기 2 : 제1원료공급장치
3 : 제2원료공급장치 4 : 제1반송수단
5 : 제2반송수단 36 : 주제어부
37 : 판매관리부 38 : 메모리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사용되는 원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원료공급장치를 구비한 자동판매기로서는 예컨데 커피원료인 커피원두로부터 커피음료를 추출해서 판매하는 커피자동판매기가 있다. 이러한 커피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커피음료는 커피원두를 간 커피분말로부터 추출되는 것이지만 커피원료는 그 품질을 유지할 필요때문에 갈아서 분말로 한 상태가 아니고 원두 그대로의 상태로 저장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객으로부터 커피음료의 판매요구가 있고 나서 커피원두를 갈아서 커피분말을 만드는 구성에서는, 커피원두를 가는 동작에 시간이 걸려서 커피음료의 제조에 긴 시간이 걸려버린다.
커피원료를 간 분말상태로 저장해두는 구성이라면 조리시간을 비교적 짧아지지만 커피분말을 양호한 품질로 장시간 보존해 둘 수는 없고, 품질의 변화를 초래하거나, 저장량이 적어지게 되어 커피분말의 보급을 빈번히 행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자동판매기의 유지가 귀찮게 된다.
또, 커피원료는 원두나 분말을 따질 것 없이, 대기중의 산소나 습기에 닿으면 산화열화가 진행해서 그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그 때문에 자동판매기 내부에서 커피원료는 진공상태 혹은 질소가스봉입상태등의 기밀상태로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커피음료를 한잔 판매할때마다 기밀상태의 저장수단으로부터 커피원료를 꺼내어 공급하는 구성에서는 원료공급장치의 기밀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원료공급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대형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식품원료를 기밀상태로 저장해서 양호한 품질을 유지할 수가 있고, 또한 원료공급장치의 기밀상태유지가 비교적 용이하고 원료공급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원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는 제1구성으로서 원료를 조리하는 조리수단과, 기밀상태로 원료를 저장하는 제1저장수단과, 비기밀상태로 원료를 저장하는 제2저장수단과, 상기한 제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한 제2저장수단에 원료를 반송하는 제1반송수단과, 상기한 제2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한 조리수단에 원료를 반송하는 제2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의 구성으로서 제1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한 원료를 조리해서 제조되는 조리가 완료된 식품의 수요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수단의 정보에 기초해서 바람직한 대기상태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그 산출수단의 산출결과에 기초해서 상기한 제1반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구성에 의하면, 원료는 제1저장수단에 의해 기밀상태로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서 제1반송수단에 의해 제2저장수단으로 반송되어서 비기밀상태로 저장된다. 개개의 판매동작시에는 제2저장수단으로부터 원료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1저장수단의 기밀상태를 유지된다.
또한, 제2구성에 의하면 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조리가 완료된 식품의 수요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해서 바람직한 대기 상태가 산출되고, 산출결과에 기초해서 제1반송수단이 제어되어서 제1저장수단으로부터 제2저장수단으로 원료가 반송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구성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원료로서 커피원두를 사용하고, 커피원두를 갈아 분말로 해서 커피음료를 추출하는 조리를 행하여 커피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조립된 것이다.
이 자동판매기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된 구성으로서,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음료를 추출조리하는 조리수단으로서의 커피추출기(1)와, 커피원두를 탄산가스봉입의 기밀상태(장기간 보존가능한 상태)로 저장하는 제1저장수단으로서의 제1원료공급장치(2)와, 커피추출기(1)가 단시간에 추출조리완료 가능하도록 커피원두를 갈아서 분말로 해서 비기밀상태로 저장하는 제2저장수단으로서의 제2원료공급장치(3)와, 제1원료공급장치(2)로부터 제2원료공급장치(3)에 원료를 반송하는 제1반송수단(4)과, 제2저장수단으로서의 제2원료공급장치(3)와, 제1원료공급장치(2)로부터 제2원료공급장치(3)에 원료를 반송하는 제1반송수단(4)과, 제2저장수단(3)으로부터 커피추출기(1)에 원료를 반송하는 제2반송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사용해서 각 수단의 구성 및 기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원료공급장치(2)와 제1반송수단(4)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6)은 그 내부를 경사벽(7)과 편심열린구멍(8)을 형성한 칸막이판(9)으로서 상하로 구획하고, 그 상부를 원두저장실(10)에, 하부를 회전자실(11)로 한 원두저장용기, (12)는 회전자실(11)내에 회전이 자재하게 설치되고, 또한 그 편심위치에 계량구멍(13)을 형성한 회전자, (14)는 회전자(12)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 (15)는 원두저장용기(6)의 저면에 형성되어 회전자(12)의 회전시에 계량구멍(13)내의 커피원두를 후술하는 분쇄기(mill)로 보내는 토출구이다.
(16)은 원두저장용기(6)와 가스전자밸브(17), 감압밸브(18), 가스튜브(19)를 거쳐서 접속된 탄산가스용기, (20)은 원두저장용기(6)와 접속된 정압도피밸브이다. 회전자(12)는 원두저장실(10)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그 상면을 칸막이판(9)에, 그 하면을 원두저장용기(6)의 저면에 각각 밀착하도록 설치되고, 원두저장실(10)에 공급되는 탄산가스가 달아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원두저장용기(6), 칸막이판(9), 탄산가스용기(16)등의 제1원료공급장치(2)에 상당하고, 회전자(12), 계량구멍(13), 토출구(15)등이 제1반송수단(14)에 상당한다.
제2원료공급장치(3)와 제2반송수단(5)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22)는 토출구(15)로부터 보내지는 커피분말을 비기밀상태로 저장하는 분말저장용기, (23)은 분말저장용기(22)의 하부에 회전이 자재하게 설치되고, 모터(24)의 회전에 의해 분말저장용기(22)내의 커피분말을 방출구(25)로부터 방출하는 도래송곳(auger)이다.
여기서는 분쇄기(21), 분말저장용기(22)가 제2원료공급장치(3)에 상당하고, 도래송곳(23), 모터(24), 방출구(25)등이 제2반송수단(5)에 상당한다.
(26)은 뜨거운 물탱크, (27)은 뜨거운 물전자밸브, (28)은 뜨거운 물탱크(26)로부터의 뜨거운 물을 커피추출기(1)에 인도하는 뜨거운 물 튜브이며, 커피추출기(1)는 제2원료공급장치(3)의 방출구(25)로부터 방출되는 커피분말을 받아서 그 커피분말에 뜨거운 물튜브(28)로부터의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음료를 추출한다.
(29)는 설탕원료공급장치, (30)은 크림원료공급장치, (31)은 판매장치인 판매구(41)에 컵(34)을 공급하는 컵공급장치이다. (32)는 커피추출기(1)로부터 공급되는 커피음료에 필요에 따라서 설탕원료공급장치(29), 크림원료공급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설탕, 크림을 혼합하는 혼합기, (33)은 혼합기(32)로 혼합조정이 완료된 커피음료를 컵 공급장치(31)로부터 공급되는 컵(34)에 붓는 음료튜브이다.
또한, (35)는 분말저장용기(22)의 측면벽에 설치된 잔량센서이다.
제1원료공급장치(2)에는 5~6kg의 커피원두(커피음료 500~600잔분 상당)가 저장가능하고, 제2원료공급장치(3)에는 0.3kg의 커피분말(커피음료 30잔분 상당)이 저장가능하다.
또, 회전자(12)의 계량구멍(13)에는 커피음료 5잔분 상당의 커피원두가 수용되고, 회전자(12)가 1회전하면 커피음료 5잔분 상당의 커피원두가 제1원료공급장치(2)로부터 분쇄기(21)를 통해서 제2원료공급장치(3)로 운반된다.
잔량센서(35)는 제2원료공급장치(3)내의 커피분말이 커피음료 5잔분 상당량 이하로 된 때에 그것을 검지해서 주제어부(36)에 신호를 송신한다.
제4도는 본 자동판매기의 제어계를 나타낸다. (36)은 소위 마이크로컴퓨터로 된 제어수단으로서의 주제어부, (37)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로 된 판매관리부, (38)은 제1메모리(39)와 제2메모리(40)로 이루어지며, 판매관리부(37)에 접속된 메모리이다.
판매관리부(37)에는 제어프로그램이 짜넣어지고, 제1메모리(39)가 기억하고 있는 과거의 달력정보와 그것에 대응하는 커피음료의 판매실적정보에 기초하여 가까운 장래의 커피음료의 판매량을 예측하는 예측수단과, 그 예측결과로부터 자동판매기의 바람직한 대기상태, 즉 제1원료공급장치(2), 제2원료공급장치(3)에 각각 저장되어 있어야 할 커피원료량등의 조건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갖고 있다.
다음에 본 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상의 대기시에 있어서는, 제1원료공급장치(2)의 원두저장용기(6)내에는 가스전자밸브(17), 갑압밸브(18), 가스튜브(19)를 거쳐서 탄산가스용기(16)로부터 공급된 탄산가스가 충만한 상태이며, 커피원두의 품질을 유지해서 대량의 커피원두를 양호한 품질로 유지한 그대로 보존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자동판매기의 판매동작시에는 우선 제2원료공급장치(3)의 모터(24)가 회전해서 도래송곳(23)이 방출구(25)로부터 커피음료 1잔분 상당의 커피분말을 커피추출기(1)로 보내고, 그와 동시에 컵공급장치(31)로부터 컵(34)이 공급된다.
그리고, 뜨거운 물탱크(26)로부터 뜨거운 물전자밸브(27), 뜨거운 물튜브(28)를 거쳐서 커피추출기(1)에 뜨거운 물이 부어지고, 커피음료가 추출된다. 추출된 커피음료는 필요에 따라서 설탕원료공급장치(29), 크림원료공급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설탕, 크림과 혼합기(32)에서 혼합되어 음료튜브(33)를 거쳐서 컵(34)에 부어져서 고객에게 제공된다.
이렇게 해서, 2월 10일 0시 현재에서는 제1원료공급장치(2)내의 커피원두는 거의 가득차고, 제2원료공급장치(3)내의 커피분말의 잔량은 커피음료 10잔분 상당량이라 하자. 2월 10일 0시가 되면 판매관리부(43)는 예측수단에 의해 2일 전까지의 식품의 판매량의 예측을 행하고, 제6도의 예측결과를 얻는다.
0시로부터 6시경까지는 판매의 예상이 없기 때문에 자동판매기의 각 부분은 대기 상태에 있다. 6시로부터 8시 사이에는 판매가 행해질 예측이 있고, 실제로 6시 10분에 고객으로부터 1잔의 커피음료의 판매가 요구되면, 자동판매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피음료는 조합해서 고객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제2원료공급장치(3)내의 커피분말의 잔량은 커피음료 9잔분 상당으로 감소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판매동작이 다시 4회 반복되어 제2원료공급장치(3)내의 커피분말의 잔량이 커피음료 5잔분까지 감소되면 잔량센서(35)가 동작하고, 주제어부(36)에 커피분말의 감소를 알린다.
주제어부(36), 판매관리부(37)는 이러한 정보에 접하면 먼저의 예측결과를 고려하여 커피원두를 갈아서 커피분말을 만들어서 제2원료공급장치(3)내에 저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준비대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1반송수단(4)의 모터(14)를 구동시켜서 회전자(12)를 회전시켜 제1원료공급장치(2)로부터 커피원두를 분쇄기(21)로 보내고, 분쇄기(21)로 갈아서 커피분말을 만들어 제2원료공급장치(3)에 보내서 저장한다. 이 경우 6시경부터 20시까지는 연속해서 비교적 대량의 판매기 예측되고 있기 때문에 판매관리부(37)는 제2원료공급장치(3)에 저장가능한 상한까지 커피분말을 저장하는 것으로 하고, 회전자(12)를 5회전 시켜서 새로이 25잔분의 커피분말을 만든다.
역으로, 금후 그다지 대량의 판매가 이루어질 가망이 없을 때, 예를들면 10일의 20시에 있어서, 제2원료 공급장치(3)내의 커피분말의 잔량이 5잔분이 되었다고 하면, 주제어부(36), 판매관리부(37)는 예측결과를 고려하여 커피분말의 시간경과변화에 의한 품질의 변화등의 조건을 고려해서 제2원료공급장치(3)의 커피분말의 잔량이 소량만인 것이 바람직한 준비대기 상태인 것을 판단한다.
따라서, 주제어부(36), 판매관리부(37)는, 제2원료공급장치(3)로의 커피분말의 보급은 행하지 않든가 혹은 극히 소량만의 보급(예를 들면 5잔분)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피원두를 장기간 보존가능한 기밀상태로 저장하는 제1원료공급장치(2)와 커피원두를 갈아서 만든 커피분말을 비기밀상태로 저장하는 제2원료공급장치(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료공급장치내에 다량의 커피원두를 양호한 상태로 저장해 둘수가 있고, 또 커피원두의 보급도 한꺼번에 대량으로 행할 수가 있어 관리에 힘이 들지 않는다.
더구나, 제2원료공급장치(3)에 저장되어서 커피추출기(1)로 반송되는 원료는 이미 분쇄기(21)로 갈아서 분말로 한 상태이기 때문에 고객으로부터 커피음료의 판매요구가 있고서부터 커피원두를 갈아서 커피분말을 만드는 구성과 비교해서 커피음료의 제조를 단시간에 완료시킬 수가 있다.
또, 커피음료의 수요량에 의한 정보로부터 바람직한 대기상태를 산출해서 제1원료공급장치(2)로부터 제2원료공급장치(3)로의 반송의 제어를 행하므로서 조리시간을 길게끄는 일이 없이 다량의 원료를 보다 양호한 상태로 저장해 둘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대량의 원료를 기밀상태로 저장하는 제1원료공급장치(2)와, 소량의 원료를 비기밀상태로 저장하는 제2원료공급장치(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원료공급장치(3)를 설치하지 않고 개개의 판매동작마다에 기밀 상태의 원료공급장치로부터 원료를 공급하는 구성에 비해서 제1원료공급장치(2)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제1원료공급장치(2)등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구성의 실시예로서,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쇄기(21)를 설치하지 않고, 제1원료공급장치(2)에 커피원두를 갈아서 만든 커피분말을 저장해 두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는 제1원료공급장치(2)내의 원료가 이미 커피분말을 상태이기 때문에, 커피원두로부터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조리시간이 짧아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기밀상태의 원료공급장치를 1개만 설치해서 커피원두를 갈아서 만든 커피분말을 저장해두고 개개의 판매동작마다에 커피분말을 공급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조리시간에는 변화가 없지만, 제1원료공급장치(2)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제1원료공급장치(2)등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는 효과는 변함없이 발휘된다.
본 발명의 제1구성에 의하면 원료를 기밀상태로 저장해서 양호한 품질을 유지할 수가 있고, 또한 원료공급장치의 기밀상태유지가 비교적 용이하고, 원료공급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가 있다.
또한, 제2구성에 의하면 원료로부터 조합된 음식물의 수요량에 관한 정보로부터 바람직한 대기상태를 산출해서 제1저장수단으로부터 제2저장수단으로 반송의 제어를 행하므로서 조리시간을 길게 끌지 않고, 다량의 원료를 보다 양호한 상태로 저장해 둘 수가 있다.

Claims (2)

  1. 원료를 조리하는 조리수단(1)과, 기밀상태로 원료를 저장하는 제1저장수단(2)과, 비기밀상태로 원료를 저장하는 제2저장수단(3)과, 상기한 제1저장수단(2)으로부터 상기한 제2저장수단(3)에 원료를 반송하는 제1반송수단(4)과, 상기한 제2저장수단(3)으로부터 상기한 조리수단에 원료를 반송하는 제2반송수단(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원료를 조리해서 제조되는 음식물의 수요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38)과, 상기한 기억수단(38)의 정보에 기초해서 바람직한 대기상태를 산출하는 산출수단(37)과, 그 산출수단의 산출결과에 기초해서 상기한 제1반송수단(4)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KR1019940011161A 1990-04-27 1994-05-23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KR940009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3132A JPH0410097A (ja) 1990-04-27 1990-04-27 食品製造装置
JP90-113132 1990-04-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168A Division KR940009299B1 (ko) 1990-04-27 1991-04-01 식품판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300B1 true KR940009300B1 (ko) 1994-10-06

Family

ID=146043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168A KR940009299B1 (ko) 1990-04-27 1991-04-01 식품판매장치
KR1019940011161A KR940009300B1 (ko) 1990-04-27 1994-05-23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168A KR940009299B1 (ko) 1990-04-27 1991-04-01 식품판매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63356A (ko)
EP (1) EP0459160B1 (ko)
JP (1) JPH0410097A (ko)
KR (2) KR940009299B1 (ko)
DE (1) DE69126641T2 (ko)
MY (1) MY1097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824A (en) * 1992-02-10 1994-05-10 Dromgoole James A System for forming, storing, baking and vending fresh baked food products
US5688423A (en) * 1994-08-31 1997-11-18 Krh Thermal Systems Vending machine including multiple heat sources with programmable cook cycles
JP3701350B2 (ja) * 1995-09-20 2005-09-28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テンツ販売期間検証端末及びセンタ並びにコンテンツ復号鍵有効期限検証端末
US6070757A (en) * 1998-12-07 2000-06-06 Detherow; Bobby L. Check-operated dispenser of hot snack stuffs
US6182555B1 (en) * 1999-04-07 2001-02-06 Red River Tea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US7388306B2 (en) * 2001-08-06 2008-06-17 Emerson Electric, Co. Appliance control system with power controller
DE10221898B4 (de) * 2002-05-16 2005-01-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beheizbarem Innenraum
US20080092749A1 (en) * 2002-06-17 2008-04-24 Kyoung-Duk Kim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noodles
EP1527426A2 (en) * 2002-08-09 2005-05-04 Mckesson Automation Systems, Inc. Secure medicament dispensing cabinet, method and system
ES2209635B1 (es) * 2002-10-15 2005-07-16 Hermenegildo-M Melchor I Ferrer Maquina para la elaboracion automatica de comidas.
US20050261966A1 (en) * 2004-05-19 2005-11-24 Frank Ottomanelli Automated food service system for remote recreational facilities
JP4538267B2 (ja) * 2004-05-27 2010-09-08 サンデン株式会社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US7762181B2 (en) * 2004-10-01 2010-07-27 Fonterra Co-Operative Group Limited Customised nutritional food and beverage dispensing system
ES2267371A1 (es) * 2005-02-02 2007-03-01 Jofemar, S.A. Sistema para el calentamiento y extraccion de productos alimenticios en maquinas automaticas expendedoras.
US20070151981A1 (en) * 2005-09-27 2007-07-05 Leonard Halsey Firewood dispenser
US20070170177A1 (en) * 2006-01-20 2007-07-26 Avendano Jose G Power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ending machine
US20080102190A1 (en) * 2006-10-27 2008-05-01 The Quaker Oats Company Novel cooking method for porridge
US20080142537A1 (en) 2006-12-14 2008-06-19 The Coca-Cola Company First in First Out Vending Systems
RU2466673C2 (ru) * 2008-04-28 2012-11-20 Тата Глобал Бевереджес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вежих горячих напитков и их дозирования
US9867501B2 (en) * 2013-10-23 2018-01-16 Lon LEHMAN Automatic food product loading system
JP6214411B2 (ja) * 2014-01-31 2017-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WO2016006736A1 (ko) * 2014-07-10 2016-01-14 뉴퓨리텍 주식회사 멀티 키오스크 기반의 떡 자동판매기
CN105454340B (zh) * 2016-01-08 2018-07-17 姜俊凭 一种冷冻食品的自动油炸设备
US10327583B2 (en) * 2017-03-06 2019-06-25 Keenwawa, Inc. Automatic food preparation apparatus
WO2018186762A1 (ru) * 2017-04-06 2018-10-11 Вячеслав Валентинович ЛАПАЧЕВ Кофемашина с системой защиты качества исходного кофе
US10758074B1 (en) 2017-04-18 2020-09-01 Lon LEHM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non-condensable gases from a steam generator
CH714096A2 (de) * 2017-08-29 2019-03-15 Ffm Projekt Ag Dosierapparat.
CN109785507A (zh) * 2019-04-02 2019-05-21 常州市龙星工业自动化系统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装置物品自动出货的方法及装置
CN113496571A (zh) * 2020-03-18 2021-10-12 尤洛卡(广东)精准信息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售卖机控制方法
JP2023525713A (ja) * 2020-05-13 2023-06-19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 レディ・トゥ・ドリンク飲料を保存、加熱、及び保持するための自己充足型で需要に適応可能な保温器
CN111671293B (zh) * 2020-06-18 2021-07-2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箱体组件和烹饪设备
JP7343134B1 (ja) * 2023-05-12 2023-09-12 Classix株式会社 冷蔵・冷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59015A (fr) * 1962-06-15 1964-04-17 Philips Nv Distributeur pour aliments chauds, équipé d'un appareil de chauffage à haute fréquence
US3384497A (en) * 1965-04-06 1968-05-21 American Mach & Foundry Automatic cooking machine
US3291035A (en) * 1965-09-07 1966-12-13 Ignelzi Eugene Vending apparatus adapted to store and process food items
US3340790A (en) * 1965-11-22 1967-09-12 Gen Res Inc Dispensing apparatus
US3442200A (en) * 1967-02-21 1969-05-06 Kurt Babel Food vending apparatus
US3702583A (en) * 1970-04-06 1972-11-14 George B Rullma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DE2055178A1 (de) * 1970-10-30 1972-05-04 Gardner, John D.L., Houston, Tex. (V.StA.) Abgabemaschine für heiße Speisen
JPS519314B2 (ko) * 1972-07-01 1976-03-25
DE2443200C3 (de) * 1974-09-10 1978-07-20 Hoshizaki Electric Co., Ltd., Toyoake, Aichi (Japan) Verkaufsvorrichtung für portionierte Nahrungsmittel
US4171066A (en) * 1976-05-17 1979-10-16 Matsushita Reiki Co., Ltd. Automatic vending machine capable of heating vended goods
US4429778A (en) * 1981-07-15 1984-02-07 H. R. Electronics Company Conditioning time control for vending by selection
DE3502816A1 (de) * 1984-04-05 1985-10-17 TEPRO-Präzisionstechnik GmbH, 7742 St Georgen Speisenautomat
IE57227B1 (en) * 1985-02-09 1992-06-03 Sankey Vending Ltd Food storage,hea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for use in a vending machine
US4722267A (en) * 1986-03-24 1988-02-02 Longin Galockin French fry vending machine
US4730750A (en) * 1986-04-30 1988-03-15 Unidynamics Corporatio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refrigerated and unrefrigerated foods
JP2521051B2 (ja) * 1986-07-14 1996-07-31 株式会社リコー 音声符号化方式
JPS6327259A (ja) * 1986-07-21 1988-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平版印刷機のインキと湿し水の自動制御装置
JPS6336460A (ja) * 1986-07-31 1988-02-17 Pfu Ltd チヤネル終了ステ−タス通知方式
DK156450C (da) * 1986-08-29 1990-01-15 Autochef Aps Apparat til successiv tilberedning og udlevering af foedevareportioner, navnlig moentbetjent burgerautomat med mikroboelgeovn
US4748902A (en) * 1987-01-21 1988-06-07 Vito Maurantonio Automatic food cooker and dispenser
EP0296496A3 (en) * 1987-06-23 1991-03-06 Desig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handling and preparation of sandwiches
FR2622998B1 (fr) * 1987-11-10 1990-03-23 Magnier Michel Distributeur automatique de denrees chaudes prealablement surgelees ou refrigerees fonctionnant par l'introduction de pieces de monnaie
JPH01237899A (ja) * 1988-03-18 1989-09-22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自動販売機
FR2633174A1 (fr) * 1988-06-23 1989-12-29 Cofer Intrernational Dispositif de cuisson automatique pour aliments conditionnes dans une barquette
DE3829867A1 (de) * 1988-09-02 1990-03-15 Bentz & Sohn Melitta Dosiereinrichtung fuer pulver-, flockenfoermige oder feinkoernige nahrungsmittel
IT1230590B (it) * 1988-10-21 1991-10-28 Nuova Faema Spa Macchina per la cottura rapida di spaghetti, bucatini e simi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6641D1 (de) 1997-07-31
KR940009299B1 (ko) 1994-10-06
DE69126641T2 (de) 1998-01-29
EP0459160A3 (en) 1992-05-13
EP0459160B1 (en) 1997-06-25
MY109788A (en) 1997-06-30
KR910018943A (ko) 1991-11-30
EP0459160A2 (en) 1991-12-04
US5163356A (en) 1992-11-17
JPH0410097A (ja) 199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300B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US7207506B1 (en) Blending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1940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lending of drinks
US2018018468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ducing beverages
RU25217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различных замкнутых пространств, дозирова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 машин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упомянутое устройство
EP0323592B1 (en) Beverage dispenser
US8444016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ilk-based products
CN104654699A (zh) 在单份杯中搅拌饮料的方法
CN101072507B (zh) 热食品分配器
CN114081351A (zh) 五谷饮品制作工艺及五谷饮品自动售卖机
CN211375713U (zh) 一种全自动果茶机
JP2004118680A (ja) 茶系飲料供給装置
WO2005080199A1 (en) Automatic consumer-operated dispensing machine
JP2956672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3903949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S5922617Y2 (ja) カツプ式炭酸入り清涼飲料自動販売機
JP3894151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04326246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3933068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3024738B2 (ja) 原料パック手動セット型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US20120012614A1 (en) Beverage Additive Storage and Dispensing Station
JPH0248946Y2 (ko)
JP2005275641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04115092A (ja) 茶系飲料調理装置
JPH0343893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