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541Y1 - 코일 단자대구조체 - Google Patents

코일 단자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541Y1
KR940008541Y1 KR92023843U KR920023843U KR940008541Y1 KR 940008541 Y1 KR940008541 Y1 KR 940008541Y1 KR 92023843 U KR92023843 U KR 92023843U KR 920023843 U KR920023843 U KR 920023843U KR 940008541 Y1 KR940008541 Y1 KR 940008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erminal block
insulating plate
horizontal
bloc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3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535U (ko
Inventor
김봉제
Original Assignee
김봉제
한국 트랜스 주식회사
김덕제
한국강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제, 한국 트랜스 주식회사, 김덕제, 한국강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봉제
Priority to KR92023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541Y1/ko
Publication of KR940013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일 단자대구조체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코일 단자대구조체가 권선된 코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코일 단자대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코일 단자대구조체를 제2도의 A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코일 단자대구조체가 권선된 코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코일 단자대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코일 단자대구조체룰 제5도의 B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본 고안은 코일 단자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선된 코일에 장작되는 코일 단자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예는 보빈등에 장착된 단자대를 통하여 권선된 코일의 인출선을 고정시키거나 다른 선과 연결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권선된 코일이 보빈의 단자대와 함께 결합되므로 크기가 커지며 불편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보빈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코일의 단자대구조체로 간단히 권선된 코일의 인출선을 붙잡아서 다른 선과 쉽게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코일단자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코일 단자대구조체는 권선된 코일의 상부 수평면에 접하는 절연성의 수평절연판과, 권선된 코일의 수직면에 접하는 수직절연판과, 상기 수평절연판과 수직절연판의 접속점에서 외측으로 부착되며 상부가 개방된 중공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일부가 상단에서 하측으로 절개된 출력을 각각 구비하는 둘이상의 단자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코일 단자대구조체에서 상기 수평절연판이 권선된 코일의 하부수평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코일 단자대구조체에서 수평절연판과 수직절연판의 접속점에 부착되는 단자대와 수평절연판의 사이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로 보강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코일 단자대구조체에서 단자대와 수평절연판의 접속부 사이에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3도는 본 고안의 한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에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인 코일 단자대구조체(10)는 권선된 코일의 한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권선된 코일(1)은 사각형상으로 감기며, 긴 변 측에는 절연지(3)가 감겨져 있고 짧은 변측에는 코일 단자대구조체(10)가 절연테이프(5)등으로 권선된 코일에 부착된다. 제2도 및 3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인 코일 단자대구조체(10)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여기서 코일 단자대구조체(10)는 권선된 코일의 상부수평면에 접하는 절연성의 수평절연판(12)과, 권선된 코일의 수직면에 접하는 수직절연판(14)과, 상기 수평절연판(12)과 수직절연판(14)의 접속점에서 외측으로 부착되며 상부가 개방된 중공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축면에 일부가 상단에서 하측으로 절개된 슬릿(17)을 각각 구비하는 둘 이상의 단자대(16)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절연판은 권선된 코일(1)에 부착하는 측면을 향하여 완만하게 굽어 있다. 또 수평절연판과 수직절연판의 접속점에 부착되는 단자대와 수평절연판의 사이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8)로 강하여 연결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단자대(16)와 수평절연판(12)의 사이는 하나의 보강리브(18)가 있는 반면에, 우측의 단자대(16)와 수평절연관(12)의 사이에는 두개의 보강리브(18)가 있으며 또 일부가 절개된 절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11)가 삽입되는 단자대(16)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체로 형성되며, 단자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으로 될수도 있고 직육면체형으로 될 수도 있다. 단자대(16)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일부가 상단에서 하측으로 절개된 슬릿(17)은 권선된 코일의 두 인출선이 삽입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단자(11)를 단자대(16)에 삽입하면서 권선된 코일의 인출선을 눌러 억압하여 고정시키고 이 단자(11)를 통하여 다른 선에 연결 가능한 것이다.
제4도 내지 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 내지 3도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코일 단자대구조체(10')는 권선된 코일의 하부수평면에 접하는 절연성의 수평절연판(12')과, 권선된 코일의 수직면에 접하는 절연성의 수직절연판(14)과, 상기 수평절연관(12')과 수직절연판(14)의 접속점에서 외측으로 부착되며 상부가 개방된 중공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열부가 상단에서 하측으로 절재된 슬릿(17)를 각각 구비하는 둘 이상의 단자대(16')로 구성된다. 단자대(16')와 수평절연판(12')의 접속부 사이에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대(16')와 수평 절연판(12')의 사이에는 하나의 보강리브(18')가 외측하부로 연장되어 보강하여 연결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코일 단자대구조체(10), (10')는 보빈의 사용 없이 권선된 코일의 두 인출선을 용이하며 안전하게 인출하여 다른 선과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크기를 감소시키며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에서 권선시킴 코일로 자기접착선(self-bonding wire)을 사용하게 되면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실용적 고안이다.

Claims (4)

  1. 권선된 코일의 상부 수평면에 접하는 절연성의 수평절연판과, 권선된 코일의 수직면에 접하는 수직절연판과, 상기 수평절연판과 수직절연판의 접속점에서 외측으로 부착되며 상부가 개방된 중공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일부가 상단에서 하측으로 절개된 슬릿을 각각 구비하는 둘이상의 단자대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단자대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연판이 권선된 코일의 하부수평면에 접하는 특징으로 하는 코일단자대구조체.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수평절연관과 수직절연판의 접속점에 부착되는 단자대와 수평절연관의 사이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로 보강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단자대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단자대와 수평절연관의 접속부 사이에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단자대 구조체.
KR92023843U 1992-11-30 1992-11-30 코일 단자대구조체 KR940008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843U KR940008541Y1 (ko) 1992-11-30 1992-11-30 코일 단자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843U KR940008541Y1 (ko) 1992-11-30 1992-11-30 코일 단자대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535U KR940013535U (ko) 1994-06-25
KR940008541Y1 true KR940008541Y1 (ko) 1994-12-22

Family

ID=1934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3843U KR940008541Y1 (ko) 1992-11-30 1992-11-30 코일 단자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5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535U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83289A (en) Terminal clip
KR940008541Y1 (ko) 코일 단자대구조체
JP3238862B2 (ja) コイルボビン
JPH0739203Y2 (ja) コイルボビンのコイル巻線処理構造
JPS6220971Y2 (ko)
JPS6011616Y2 (ja) 高圧トランス装置
JPS58261Y2 (ja) コイルボビン
US4912448A (en) Coil device with coil and lead terminals
JPS6220972Y2 (ko)
JP2987128B2 (ja) トランスのリード線引出し構造
JPS6220970Y2 (ko)
JP2574163B2 (ja) 小形巻線部品
KR900010848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콘덴서 고정용 홀더
KR870001298Y1 (ko) 리드 스위치
JP2588907Y2 (ja) ピン端子付きボビン及びトランス
JP2502696Y2 (ja) 端子台に使用されるコイル及び端子台付コイル
KR0112316Y1 (ko) 코일단자대 구조체
KR960032524A (ko) 플라이백 변성기
JPS6244512Y2 (ko)
JPS645855Y2 (ko)
JPS6116612Y2 (ko)
US2807791A (en) Solder lug collar
JPS55149429A (en) Coil bobbin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JP2503889Y2 (ja) ヘリカルフィルタ
KR20023441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터미널 단자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