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624B1 -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624B1
KR940007624B1 KR1019900013279A KR900013279A KR940007624B1 KR 940007624 B1 KR940007624 B1 KR 940007624B1 KR 1019900013279 A KR1019900013279 A KR 1019900013279A KR 900013279 A KR900013279 A KR 900013279A KR 940007624 B1 KR940007624 B1 KR 94000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ratio
signal
control signal
recording
du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258A (ko
Inventor
요리아끼 마쯔나가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시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시즈오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24Duty cycle modulation of control pulses, e.g. VHS-CTL-coding systems, RAPID-time code, VASS- or VISS-cu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분의 구성도.
제 2 도는 듀티 비교기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실시예의 기본적인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 5 도는 역 트랙 방지 경우의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타임챠트.
제 6 도는 연속 촬영 편집 경우의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타임챠트.
제7a, 7b도 및 제 8 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9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0도는 역 트랙 방지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1도는 연속 촬영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테이프 20 : 제어 신호 검출 헤드
22 : 제어 신호 재생부
24, 26 : 듀티 비교기(제1 및 제 2 듀티 비교수단)
28 : 제어 신호 기록부(듀티비 변경 수단) A, B, C, D : 헤드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2종류의 방위 헤드 2쌍이 소구경 드럼에 90°의 각도로 직교 배열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제 9 도에 도시하듯이 2종류의 방위 헤드 2쌍을 90°씩 등각도로 소구경 드럼에 배열한 것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드럼(10)에는 가이드 폴(pole)(12), (14)에 의해서 자기 테이프가 270°정도의 각도에 걸쳐서 감겨있다. 이 드럼(10)의 직경 L은 통상의 2헤드 방식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드럼 직경 M에 대해서 L=2M/3배의 값으로 선정되어 있다.
드럼(10)에는 기록 재생용 A, B, C, D가 각각 90°의 등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중 헤드 A, C는 같은 방위각으로 되어 있으며, 헤드 B, D가 같은 방위각으로 되어 있다. 각 헤드 A, B, C, D는 드럼(10)의 270°정도의 각도 범위를 NTSC 방식에서는 약 45(CCIR 방식에선 약 37.5)rps로 회전해서 트랙 피치분 주행한다. 이때의 테이프 헤드간의 상대 선속도는 2헤드 방식인 것과 같으며, 양자간에 테이프 호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드럼(10)이 3회전하면 2프레임분의 기록 재생이 행해진다.
이같은 4헤드 방식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 자기 기록, 자기 재생을 행하는 경우 동일 트랙에 대해서 보면 기록시와 재생시로 사용하는 헤드가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헤드 A에서 기록을 행하도록 한 트랙에 대해, 동일 헤드 A에서 재생되는 경우(이하 「정 트랙 재생」이라 한다)와 반대측의 헤드 C에서 재생되는 경우(이하, 「역 트랙 재생」이라 한다)가 있다.
역 트랙 재생에서, 기록 헤드와 재생 헤드가 일치되어 있지 않으므로(방위는 동일), 기계적, 전기적 특성에 불균일이 생기기 쉽고 고화질화의 장해가 되므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역 트랙 재생 방지의 수단으로써 예컨대 특개소 59-21725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10b도에 도시하듯이 테이프에 기록되는 제어 신호의 듀티비가 동a도에 도시하는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 1프레임마다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즉, 헤드 A, B에 의한 프레임에서 대듀티비로 되어 있으며, 헤드 C, D에 의한 프레임에서 소듀티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신호의 펄스 하강에지 타이밍에서 헤드 A와 C(또는 B와 D)를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역 트랙 재생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이같은 제어 신호의 듀티비 변화에 의한 역 트랙 재생 방치의 숫법은 특별한 신호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 소위 VHS나 S-VHS의 호환성도 만족하는 것이다.
그런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예컨대 테이프에 대한 기록 내용의 편집시에 포즈 조작을 행하고 연속기록을 행하는 소위 연속 촬영 조작이 행해진다. 이 연속 촬영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하는 숫법으로선 예컨대 특개소 60-179960호 공보에 개시된 연속 촬영 편집 시스템이 있다. 이 편집 시스템에서 비디오 신호 기록의 포즈시에 기록중단 식별 신호(이하, 다만 「식별 신호」라 한다)가 제어 신호의 듀티비의 변화로서 테이프에 기록된다. 그리고, 테이프상의 재기록의 개시점은 그 식별 신호에 기준해서 검출된다.
제11도에는 이같은 시스템 동작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기록 동작중에 연속 촬영을 행하기 위해서 기록 포즈 지시가 행해지면 제어 신호로서 듀티비 65%의 식별 신호가 기록된다(동b도 참조). 이때의 제어 신호의 테이프 패턴은 동c도에 도시하듯이 된다.
그리고, 4번째의 식별 신호의 다음 헤드 지시 신호(동a도 참조)의 하강에지 타이밍에서(화살표 F1 참조) 비디오 신호 기록이 뮤트 상태로 된다(동d도 참조). 또한, 다음 식별 신호, 즉 5번째의 식별 신호의 하강에지에서 약 1ms 후의 타이밍(화살표 F2 참조)에서 제어 신호의 기록이 해제된다(동b, c, e도 참조). 이후, 테이프는 소정량 되감긴다.
다음에 포즈 해제가 행해져서 기록 동작이 행해질때 되감긴 테이프가 구동되며, 상술과 같이해서 기록된 제어 신호의 재생이 행해진다(동k도 참조). 즉, 테이프 패턴(동f도 참조)에 대해서 검출처리가 행해지며(동g도 참조), 제어 신호가 재생된다(동h도 참조).
그리고, 3번째의 식별 신호의 하강에지에서 약 1ms 후의 타이밍(화살표 F3 참조)에서 서보 모드가 기록 모드로 되며(동j도 참조), 또한, 4번째의 식별 신호의 다음 헤드 지시 신호(동i도 참조)의 하강에지의 타이밍에서(화살표 F4 참조) 비디오 신호의 기록이 개시된다(동l도 참조). 상술한 바와같이 비디오 신호뮤트는 4번째의 식별 신호의 다음의 헤드 지시 신호의 하연에서 행해지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신호 기록이 행해진 비디오 트랙의 손실을 발생함이 없이 연속 촬영이 행해지게 된다. 동 도면중 화살표 F1, F4로 도시하는 위치가 비디오 트랙의 이음매 위치 또는 겹침량이 제로 프레임의 위치다.
또한, 제어 신호에 대행 동j도의 서보 모드 변경 타이밍(화살표 F3 참조)에서 1프레임분 늦은 화살표(5)의 타이밍에서 기록이 개시된다(동m도 참조). 따라서, 기록된 제어 신호의 패턴은 동n도에 도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역 트랙 재생 방지, 연속 촬영 편집에서 어느 것이나 다 제어 신호의 듀티비의 변경이 행해져 있다. 따라서, 양자를 공존시키려고 하면 듀티비의 배당이 필요해진다. 여기에서 제어 신호의 듀티비에 관한 필요 조건을 묶으면 다음 같이 된다.
(1) 역 트랙 재생 방지를 위한 듀티 변화는 1프레임마다 행한다. 예컨대, 어떤 프레임에 대한 듀티비가 소듀티비이면 그 전후의 프레임에 대한 듀티비는 대듀티비여야 한다.
(2) 다른 한편, 연속 촬영 편집인 경우 수 프레임 연속한 식별 신호를 기록할 것이 필요하다.
(3) 다른 것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예컨대 VHS의 규격 조건을 만족할 것이 필요해진다. 여기에서 VHS의 규격에 의하면 제어 코드「0」측의 듀티비의 범위는 55%-65%로 정해져 있으며, 역 트랙 재생 방지의 1프레임마다의 변화와 식별 신호의 연속성을 양립시키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다음의 제1표와 같이 된다.
[표 1]
Figure kpo00001
또한, 이 표의 코드 1측에 대해 VHS 규격에 의한 규제 때문에 식별 신호의 공존은 금지된다.
이같은 제 1 표에 의한 듀티비의 배당에서, 듀티비 식별을 행하는 듀티 비교기는 하나로 되지만, 제어 코드 0측의 비교값은 56.6%(55%와 58.3%를 식별), 60%(58.3%와 61.7%를 식별)로 되며, 각 듀티비의 값과 비교기값과의 차이는 1% 정도로 된다.
상술한 역 트랙 재생 방지에 있어서 듀티 판별은 타임로스를 줄임과 더불어 제품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동작의 과도기 직후에 행해진다. 그러나, 이같은 테이프 주행이 충분히 안정되어 있지 않은 과도 상태에서 상술한 비교값에 의한 여유가 없는 듀티비 식별을 행하는 것은 오동작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역 트랙 재생 방지를 행하면서 연속 촬영 편집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는 제어 신호의 펄스 듀티비 차에서 역 트랙 재생 방지용의 신호를 검출해서 정트랙 재생을 행함과 더불어 연속 촬영의 동작 제어를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의 펄스 듀티비를 통상은 제1 및 제 2 의 값으로 하고, 연속 촬영시는 그 한쪽이 상기 제1 및 제 2 의 값의 한쪽에 거의 동일한 제3 및 제 4 의 값으로 하는 듀티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대해서 통상은 상기 듀티비의 제1 및 제 2 의 값의 차를 검출하고, 연속 촬영시는 제3 및 제 4 의 값의 차를 검출하는 비교값을 가지는 제 1 듀티 비교 수단과 연속 촬영시에 상기 듀티비의 제3 및 제 4 의 값을 각각 검출하는 비교값을 가지는 제 2 듀티 비교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듀티 비교기 수단에 의해서 식별 신호가 기록된 테이프 부분에 있어서도 2개의 상이한 듀티비의 펄스가 검출되며 이것에 기준해서 역 트랙 재생 방지의 검출 신호가 얻어진다.
또, 연속 촬영시에는 제 2 듀티 비교기 수단에 의해서 제3 및 제 4 의 듀티비 펄스가 연속해서 검출되며, 이것에 기준해서 연속 촬영의 동작 제어가 행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최초에, 실시예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표에 도시하듯이 노멀코드의 대듀티비와 식별 신호의 소듀티비가 어느 것이나 60%로 겸용되어 있다.
[표 2]
Figure kpo00002
이것에 의해서, 노멀, 연속 촬영 편집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대소의 듀티비 차가 3.3%에서 5%로 확대하게 된다.
이같은 듀티비로 역 트랙 재생 방지, 연속 촬영 편집을 행하는 기본적인 회로 구성은 예컨대 제 1 도에 도시하듯이 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테이프(16)에 기록된 제어 신호는 헤드(20)에 의해서 판독되며, 이 판독신호는 제어 신호 재생부(22)에 입력되며, 여기에서 제어 신호가 재생되게 되어 있다.
재생된 제어 신호는 제1 및 제 2 의 듀티 비교기(24), (26)에 각각 입력되고 있으며, 또, 이것들에 의한 비교 출력은 도시하지 않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장치 제어부에 입력되어서 그 동작 제어에 이용되게 되어 있다.
다른 한편, 테이프(16)에 대한 제어 신호의 기록은 제어 신호 기록부(28)에 의해서 행해지게 되어 있다. 이 제어 신호 기록부(28)는 포즈 동작지시 등의 시스템 제어부에서의 지시 신호에 기준해서 제 2 표에 도시하는 듀티비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헤드(20)에 출력하는 것이다.
이상의 중에서 제 1 듀티 비교기(이하, 제 1 비교기라 한다)(24)는 역 트랙 재생 방지를 위한 비교기이며, 제 2 듀티 비교기(이하, 제 2 비교기라 한다)(26)은 연속 촬영 편집용의 비교기이다. 어느 것이나 제어 신호의 코드 0측에서 그 비교값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듀티 비교기(24), (26)은 입력 펄스의 듀티비에 대해 설정된 비교기값으로 비교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제2a도와 같은 듀티비 50%의 펄스 PA, 듀티비 60%의 펄스 PB에 대해서 그것들의 듀티비를 세로축으로 해서 동b도에 도시하듯이 표시할 수 있다.
이들 펄스 PA, PB에 대해서 비교값 55%로 비교 동작을 행하면 펄스 PA는 검출되지 않으나 펄스 PB는 검출된다. 듀티비의 비교 결과는 실제로는 동a도의 펄스의 하강에지 부분으로 되어서 비로서 얻어지는 것인데 여기에선 설명을 위해서 동a도의 펄스의 1주기분과 대응시켜서 동b도와 같이 표현한다(이하, 마찬가지).
우선 제 1 비교기(24)는 통상 27.5%, 50%, 57.5%로 비교기값을 두고, 62.5% 이상의 듀티비를 가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그것들의 값이 27.5%, 50%, 62.5%로 변화한다. 이 변화후의 상태에서 57.5% 이하의 듀티비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원래의 비교값 27.5, 50%, 57.5%로 되돌아서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비교값 50%는 30% 보다 크며 55% 보다 작은 값이면 다른 값이어도 된다.
다른 한편, 제 2 비교기(26)는 통상 62.5%에 비교값을 가지며, 62.5% 이상의 듀티비를 가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하나째의 식별 신호를 인식함과 동시에 비교값이 57.5%로 변화한다. 이 변화후의 상태에서 57.5% 이하의 듀티비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식별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비교값을 원래의 62.5%에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 3 도를 참조하면서 이들 비교기(24), (26)에 의한 제어 신호의 검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어 신호는 제 2 표에 도시한 듀티비에 의해서 제어 신호 기록부(28)로 생성되며 예컨대 제 3 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듯이 듀티비가 변화해서 테이프(16)에 기록된다.
즉, 최초는 노멀코드의 대듀티비 펄스(60%)의 소듀티비 펄스(55%)가 교호로 반복된다. 다음에, 연속 촬영을 위한 식별 신호가 노멀코드의 소듀티비 펄스에 이어서 기록되며 식별 신호의 대듀티비 펄스(65%)와 소듀티비 펄스(60%)가 교호로 반복된다. 다음에 식별 신호의 대듀티비 펄스에 이어서 노멀코드의 소듀티비 펄스, 대듀티비 펄스가 반복된다.
또한, 제 4 도에 도시하는 코드 1부터 식별 신호로의 이행은 금지되어 있다. 이것은 두출(頭出) 신호로서 코드 1을 연속해서 복수개로 기록하고 있을 때, 그것이 식별 신호로 중단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동 도면에 도시하듯이 식별 신호의 대듀티비 펄스에서 코드 1의 소듀티비 펄스로의 이행은 금지되어 있지 않다.
이같은 제어 신호에 대해서 제 1 비교기(24)의 가장 큰 비교값은 동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듯이 변화한다. 우선 노멀코드에 대해 57.5%의 비교값이다. 이것에 의해서 노멀코드의 대듀티비 펄스(60%)와 소듀티비 펄스(55%)가 판별되어 검출된다. 다음에 식별 신호에 대해 상술과 같이 비교값이 62.5%로 변화하므로 식별 신호의 대듀티비 펄스(65%)와 소듀티비 펄스(6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판별되어 검출된다.
이같이 제어 신호의 듀티비가 노멀코드, 식별 신호중의 어느 것이어도 그 대소가 판별된다. 다른 한편, 이들 듀티비의 대소는 역 트랙 재생 판별 때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비교기(24)에 의해서 양호하게 역 트랙 재생 방지를 위한 판별 신호가 얻어지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비교기(26)의 비교값은 동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되듯이 변화한다. 우선 노멀코드에 대해 62.5%의 비교값이다. 이것에 의해서 노멀코드의 대듀티비 펄스(60%)와 소듀티비 펄스(55%)중의 어느것이어도 검출은 행해지지 않는다. 다음에, 식별 신호에 대해서는 상술과 같이 비교값이 57.5%로 변화하므로 식별 신호의 대듀티비 펄스(65%)와 소듀티비 펄스(60%)에 대해 어느 것이나 검출이 행해지게 된다.
이같이 제 2 비교기(26)에서 연속된 식별 신호의 검출이 행해지므로 이것에 기준해서 양호하게 연속 촬영을 행하기 위한 판별 신호가 얻어지게 된다.
다음에 제 5 도를 참조하면서, 제어 신호의 듀티비 가변 기록에 의한 역 트랙 재생 방지의 동작에 대해서 제 5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제 9 도의 장치에서 드럼 3회전으로 2프레임분의 신호 기록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제5a, b, c도에 도시하듯이 드럼 PG신호 3개 상당의 기간에서 2프레임의 기록이 헤드(A), (B), (C), (D)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예에선, 헤드(A), (B)측을 기준측으로 하고, 헤드(C), (D)측을 비기준측으로 한다(동d도 참조). 이 기준 펄스는 헤드 지시 펄스를 1/3분주 PG 신호를 기준으로 1/2 분주함으로서 얻어진다.
이 예에서 기준측의 제어 신호가 소듀티비, 비기준측이 대듀티비가 되듯이 제어 신호의 기록이 행해진다(동h도 참조). 즉, 짝수 필드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에서 프리세트(화살표 FC 참조)된 기준 카운터의 카운트 개시(동g도 참조)에서 드럼 기준 신호를 상승에지로 되게 하고(동e도 참조, 화살표 FA 참조), 각 프레임에 있어서 기수 필드의 수직 동기 신호(동f도 참조)의 타이밍에서 제어 신호를 상승에지로 되게 한다(화살표 FB 참조). 그리고, 상승에지된 제어 신호가 기준측에 있는가 비기준측에 있는가에 따라서 제어 신호의 듀티비가 소 또는 대로 설정된다. 기록된 제어 신호의 테이프 패턴은 동i도에 도시하듯이 된다.
다음에 편집 모드시 내지 포즈 동작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드럼 기준 신호, 캡스턴 기준 신호는 기준 카운터의 카운터 값을 기준으로 해서 각각 상승에지로 된다(동k, l, m도, 화살표 FD, FE도 참조). 우선 정트랙 재생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동j도의 기준지시 펄스에 대해서 제어 신호 듀티비는 동n도에 도시하듯이 되며, 그 듀티 패턴은 동o도에 도시하듯이 된다.
이것에 대해서 역 트랙 재생이 행해지고 있을때는 제어 신호 듀티비는 동p도에 도시하듯이 되며, 그 듀티 패턴은 동q도에 도시하듯이 된다. 이때는 1프레임 상당의 트랙 이송이 행해지며, 정트랙 재생으로 이행한다.
다음에 제 6 도를 참조하면서 이상과 같이 해서 역 트랙 재생 방지가 행해지는 경우 연속 촬영에 있어서의 식별 신호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기록 동작중에 연속 촬영을 행하기 위해 기록 포즈 지시가 행해지면 제어 신호로서 듀티비 65%, 60%의 식별 신호가 교호로 기록된다(동b도 참조). 이때의 제어 신호의 테이프 패턴은 동c도에 도시하듯이 된다.
그리고, 5번째(또는 3이상의 홀수)의 식별 신호의 다음의 헤드 지시 신호(동a도 참조)의 하강에지의 타이밍에서(화살표 FF 참조) 비디오 신호 기록이 뮤트 상태로 된다(동d도 참조). 또한, 다음의 식별 신호, 즉 6번째(또는 3이상의 홀수 +1)의 식별 신호의 하강지에서 약 1ms 후의 타이밍(화살표 FG 참고)에서 제어 신호의 기록이 해제된다(동b, c, f도 참조). 이후, 테이프는 소정량 되감긴다.
다음에 포즈 해제가 행해져서 기록 동작이 행해질 때는 되감긴 테이프가 구동되며, 기록된 제어 신호의 재생이 행해진다(동l도 참조). 즉, 테이프 패턴(동f도 참조)에 대해서 검출 처리가 행해지며(동g도 참조), 제어 신호가 재생된다(동h도 참조).
이때, 제 2 비교기(26)의 비교값 내지 검출 듀티비가 62.5%에서 57.5%로 변화하며(동j도, 화살표 FJ 참조), 식별 신호가 연속해서 검출되어진다.
그리고, 4번째(또는 3이상의 홀수 -1)의 식별 신호의 하강지에서 약 1ms 후의 타이밍(화살표 FH 참조)에서 서보 모드가 기록 모드로 되며(동k도 참조), 또한 5번째(또는 3이상의 기수)의 식별 신호의 다음 헤드 지시 신호(동i도 참조)의 하강에지의 타이밍에서(화살표 FI 참조) 비디오 신호의 기록이 개시된다(동m도 참조). 상술과 같이 비디오 신호 뮤트는 5번째의 식별 신호의 다음 헤드 지시 신호의 하강에지에서 행해지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신호 기록이 행해진 비디오 트랙의 손실을 생기게 함이 없이 연속 촬영이 행해지게 된다. 동 도면중, 화살표(FF), (FI)로 도시하는 위치가 비디오 트랙의 이음새 위치 내지 겹침량이 제로 프레임의 위치이다.
또한, 제어 신호에 대해선 동k도의 서보 모드 변경 타이밍(화살표 FH 참조)에서 1프레임분 지연의 화살표 FK의 타이밍에서 기록이 개시된다(동n도 참조). 따라서 기록된 제어 신호의 패턴은 동o도에 도시하듯이 된다. 또, 기록이 재개된 제어 신호의 듀티비(55%)의 펄스 검출에서, 제 2 의 비교기(26)의 비교기 듀티비가 62.5%로 변화한다(동j도, 화살표 FL 참조). 또한, 이 동작예에서 상술한 역 트랙 재생 방지의 동작이 평행해서 행해지므로 동a, i도에 도시하는 헤드 지시는 어느 것이나 양호하게 일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등 상기 실시예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제 2 표에 따라서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했는데, 기타 제 7 도, 제 8 도에 도시하듯이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우선, 제7a도에 도시하는 예에서 듀티비 65%, 50%의 노멀 펄스중에, 듀티비 65%, 60%의 펄스에서 연속 촬영 편집용의 중단 펄스를 넣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에서 역 트랙 재생 방지용의 신호 검출 듀티비는 62.5%로 설정되며, 연속 촬영 편집용 검출 듀티비는 57.5%로 설정된다.
또, 동b도에 도시하는 예에서, 듀티비 65%, 50%의 노멀 펄스중에 듀티비 60%, 50%의 펄스에서 연속 촬영 편집용의 중단 펄스를 넣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역 트랙 재생 방지용의 신호 검출 듀티비는 57.5%로 설정되며, 연속 촬영 편집용 검출 듀티비는 62.5%로 설정된다. 이 예는 마치 동a도의 예를 역으로 한 것이다.
또한, 제 8 도에 도시하는 예는, 상술한 제 3 도에 도시한 것을 역으로 한 것이며, 이같이 해도 마찬가지로 역 트랙 재생 방지, 연속 촬영 편집을 위한 신호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제 2 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멀코드의 대듀티비와 식별 신호의 소듀티비를 어느 것이나 다 60%로 했는데, 양자는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가일층 근사한 값으로 하면 할수록에 여유있는 신호 검출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거의 3단계로 변화시키고, 그것들의 각 듀티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하나의 제어 신호에서 역 트랙 재생 방지용과 연속 촬영 제어용의 신호를 양호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역 트랙 재생 방지를 행하면서 연속 촬영 편집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어 신호의 펄스의 듀티비 차에서 역 트랙 재생 방지용의 신호를 검출해서 정트랙 재생을 행함과 더불어, 연속 촬영의 동작 제어가 행해지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의 펄스 듀티비를, 통상, 상기 제1 및 제 2 의 값으로 하고, 연속 촬영시, 그 한쪽이 상기 제1 및 2의 값의 한쪽에 거의 동일한 제3 및 제 4 의 값으로 하는 듀티비 변경 수단(2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
  2. 제어 신호의 펄스 듀티비 차에서 역 트랙 재생 방지용의 신호를 검출해서 정트랙 재생이 행해짐과 더불어, 연속 촬영의 동작 제어가 행해지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의 펄스 듀티비를, 통상, 상기 제1 및 제2의 값으로 하고, 연속 촬영시, 그 한쪽이 상기 제1 및 제 2 의 값의 한쪽에 거의 동일한 제3 및 제 4 의 값으로 하는 듀티비 변경 수단(28)과, 통상, 상기 듀티비의 제1 및 제 2 의 값의 차를 검출하고, 연속 촬영시는 제3 및 제 4 의 값의 차를 검출하는 비교값을 가지는 제 1 듀티 비교 수단(24)과, 연속 촬영시에 상기 듀티비의 제3 및 제 4 의 값을 각각 검출하는 비교값을 가지는 제 2 듀티 비교수단(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
KR1019900013279A 1989-08-31 1990-08-28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 KR940007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25214A JPH0731850B2 (ja) 1989-08-31 1989-08-31 磁気記録再生装置のつなぎ撮り装置
JP225214 198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258A KR910005258A (ko) 1991-03-30
KR940007624B1 true KR940007624B1 (ko) 1994-08-22

Family

ID=1682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279A KR940007624B1 (ko) 1989-08-31 1990-08-28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31475A (ko)
JP (1) JPH0731850B2 (ko)
KR (1) KR940007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023A (ja) * 1992-11-06 1994-05-31 Hitachi Ltd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0192A (en) * 1982-11-30 1986-02-11 Sony Corporation Video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edit control circuit
JPS59217256A (ja) * 1983-05-24 1984-12-07 Victor Co Of Japan Ltd 記録再生装置
JPS60179960A (ja) * 1984-02-24 1985-09-13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つなぎ撮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31475A (en) 1994-07-19
KR910005258A (ko) 1991-03-30
JPH0731850B2 (ja) 1995-04-10
JPH0388166A (ja) 199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4414A (en) Helical sca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system with head position control
US4290087A (en) Coarse and fine control of segmented video playback apparatus with ancillary recording medium
KR910005093B1 (ko) 음성신호의 재생장치
US4691256A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GB2032143A (en) Video tape reproduction apparatus
JP3704650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CA1235500A (en) Apparatus for reading a disc-shaped record carrier
KR940007624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연속 촬영 장치
KR100261197B1 (ko) 기록 및 재생 장치
EP0228878A2 (en) Edit mode controllers and editing methods for operation with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es
US5089919A (en) Tracking control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device
EP0116646A1 (en) Rotary head magnetic recorder/reproducer
KR100240792B1 (ko) 영상 신호 재생 장치
JPS5968881A (ja) 継ぎ撮り編集装置
US5276560A (en) Rotary magnetic type recording apparatus
JPH0624518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97076A (ja) フレームインデツクス磁気記録再生装置
US6272280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image data from a tape-shaped recording medium
EP0655735B1 (e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JP2615766B2 (ja) 再生映像信号の処理装置
US5748832A (en) Video signal reproducing system
JP321636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40005719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픽 업회로
JPS61126883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H0799627A (ja) タイムラプス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