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945Y1 - 평판기와 - Google Patents
평판기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6945Y1 KR940006945Y1 KR2019900015483U KR900015483U KR940006945Y1 KR 940006945 Y1 KR940006945 Y1 KR 940006945Y1 KR 2019900015483 U KR2019900015483 U KR 2019900015483U KR 900015483 U KR900015483 U KR 900015483U KR 940006945 Y1 KR940006945 Y1 KR 9400069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e body
- rainwater
- groove
- flat plate
- ti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12—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실시예에 관한 평판기와의 사시도.
제2도는 동시공사시도.
제3도는 동평면도.
제4도는 동정면도.
제5도는 동우측면도.
제6도는 동좌측면도.
제7도는 종래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8도는 동시공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와본체 2 : 가로돌기판부
3 : 세로돌기판부 8 : 돌레홈
9 : 가로홈 10 : 빗물도입구
11 : 빗물도출구
본 고안은 지붕에 부설되는 평판기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흐르게 하는 둘레홈을 가진 평판기와에 있어서 둘레홈내의 빗물이 신속히 기와본체의 상면으로 유출되도록 개량된 평판기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평판기와는 일본국 실개평 1-75517호 공보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공보기록의 평판기와를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1)은 네모판형상의 기와본체이고, 그 이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한쪽 가장자리에 걸쳐서 기와의 겹침대치부분을 역(逆)L자 형상으로 돌출설치하여 기와본체(1)에 대해서 1계단 낮게된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가로들기판부(2)와 세로돌기판부(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로돌기판부(2)의 좌측단부면과 세로돌기판부(3)의 타단부면은, 기와본체(1)의 좌측단부면과 하단부면에 대해서 겹칩대치의 폭, 즉, 이들 돌기판부(2)(3)과 같은 폭만큼 우측과 위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기와본체(1)의 타단부(좌측단부) 및 하단부는 가로돌기판부(2)의 단부면 및 세로돌기판부(3)의 하단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이들 돌출부에 의해서 가로, 세로돌기판부(2)(3)과 거의 같은 폭의 가로, 세로 피복돌기편부(4)(5)를 형성하고 있다.
(6)은 세로돌기판부(3)의 하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가로돌기판부(2)와 상기 세로돌기판부(3)의 외주단부 가장가리에 위쪽을 향해서 일체로 돌출형성한 일정높이의 둘레벽(6)으로써 가로돌기판부(2)를 둘러싼 문형상의 둘레벽부분을 세로돌기판부(3)의 둘레벽부분보다도 높은 둘레벽부분(6a)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 둘레벽(6)과 기와본체(1)의 단부면으로 둘러싸인 가로, 세로돌기판부(2) (3)의 상면을 역 L자형상의 둘레홈(8)으르 형성하는 동시에 세로돌기판부(3)의 하단부에 이 둘레홈(8)의 개구부(7)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12)는 둘레홈(8)의 중앙부에 이 둘레홈(8)에 대해서 1계단 낮아지도록 형성한 좁은폭의 홈이다.
(9)는 기와본체(1)의 상면상단부에 전체폭에 걸쳐서 새겨형성한 좁은폭의 가로 홈이고, 그 양단부는 기와본체(1)의 양단부면에 개구시키고 있으며, 이 가로홈(9)의 중앙부, 즉 기와를 이을때에 위쪽에 인접한 기와의 좁은폭의 홈(12)의 개구단부가 접합하는 부분에, 이 가로홈(9)과 기와본체(1)의 상단부 가장자리 사이를 연통시키는 빗물도입구(10)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빗물도입구(10)와 일련으로 연통하도록해서 가로홈(9)의 중앙부에 기와본체(1)의 상면으로 통하는 빗물도출구(1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들 빗물도입, 도출구(10) (11)은가로홈(9)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하방향에 대해서 서서히 얕아지도록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로홈(9)의 양쪽부분에도 빗물도출구(11)와 같은 형상의 양쪽 빗물도출구(13)(14)가 형성되어 있다.
(15)(15)는 상기 가로돌기판부(2)의 둘레홈(8)의 양쪽 상면에 형성한 못을 박는 구멍(16)을 가진 돌기이고, 그 높이는 둘레벽부분(6a)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평판기와는 지붕의 기와가교위에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어진다. 즉, 좌우에 인접한 기와본체(1) (1)은 그 대향단부면을 서로 맞닿게 하여 우측의 기와본체(1)의 세로피복돌기편부(5)로 좌측의 기와본체(1)의 세로 돌기판부(3)를 피복한 상태에서 순차, 가로방향으로 이어지고, 상하에 인접한 기와본체(1)(1)은 위쪽의 기와본체(1)가 아래쪽의 기와본체(1) (1)사이에 걸쳐서 이 아래쪽의 기와본체(1) (1)의 상부에 가로피복돌기편부(4)를 피복 겹쳐 맞추는 동시에, 이 위쪽기와본체(1)의 좁은 폭의 홈(12)의 개구단부를 아래쪽의 기와본체(1)의 빗물도입구(10)에 연통시킨 상태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으면 빗물은 기와본체(1)의 상면을 흘러내리나, 좌우에 인접한 기와본체(1)의 접합단부면 사이로부터 흘러들어가는 빗물은 세로돌기판부(3)의 둘레홈(8)안으로 받아 들여지고, 이 둘레홈(8)의 중앙부에 형성된 좁은 폭의 홈(12)을 따라 흘러내려서 그 하단부 개구부(7)로부터 아래쪽에 인접한 기와본체(1)로 흐른다. 이때 빗물의 일부는 상하에 인접한 기와본체(1)(1)의 접합단부면 사이로부터 아래쪽의 기와본체(1)의 가로돌기판부(2)에 형성되어 있는 둘레홈(8)안의 좁은 폭의 홈(12)안으로 흘러들어가고, 이 가로돌기판부(2)로부터세로돌기판부(3)의 좁은 폭의 홈(12)안으로 흘러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좁은 폭의 홈(12)의 하단부 개구부(7)로부터 유출되나, 나머지의 빗물은 위쪽의 기와본체(1)의 둘레홈 개구부(7)에 연통하는 빗물도입구(10)로부터 가로홈(9)안으로 유입한다.
또, 이 가로홈(9)안으로 유입된 빗물의 일부는 도출구(11)(13)(14)로부터 직접 기와본체(1)의 표면을 흘러내리는 한편, 가로홈(9)안에 괴는 나머지의 빗물은 좌우에 인접한 기와본체(1)(1)의 접합단부면의 사이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홈(8)안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렇게해서 둘레홈(8)안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흘러내리게 하면서 그 일부를 기와본체(1)의 표면에 형성한 도입·도출구(10)(11)을 통해서 기와본체(1)의 표면쪽으로 유동시켜, 둘레홈(8)으로 다량의 빗물이 유입되는것을 방지하려고 한다.
상기 종래의 평판기와에 있어서는 세로돌기판부(3)의 하단부(3A)가 기와본체(1)의 상단부면(1A)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서 좁은 폭의 홈(12)이 빗물도입구(10) 및 빗물도출구(11)와 1개의 통수로를 형성하는 것같이 일직선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좁은 폭의 홈(12)안의 빗물이 기와본체(1)의 상면으로 유출될때까지의 수로경로가 빗물도입, 도출구(10)(11)의 길이와 가로홈(9)의 폭의 합이고, 매우 길기때문에, 좁은 폭의 홈(12)안으로부터 흐르는 빗물이 상기 개구부(7) 내지 빗물도입구(10) 근처에서 넘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넘친물은 기와본체(1)의 상면에는 유출되지 않고, 상기 하단부(3A)와 상단부면(1A)과의 사이의 틈 사이를 통과해서 둘레홈(8)안으로 흘러떨어지고, 아래쪽에 인접한 기와를 향해서 둘레홈(8)안이나 좁은 폭의 홈(12)안을 흘러내린다.
이결과, 지붕의 처마끝쪽의 기와일수록, 둘레홈(8)안을 흐르는 빗물의 양이 대량으로 되고, 결국은 둘레홈(8)을 넘쳐서 지붕의 기와가교위로 유출되어 비샘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여 둘레홈을 흘러내린 빗물이 확실하게 기와본체의 상면으로 유출되도록 개량된 평판기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돌기판부의 하단부가 아래쪽에 인접한 평판기와의 빗물도입구에 덮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네모판형상의 기와본체와, 이 기와본체의 상변부로부터 한쪽의 측변부로 돌아들어가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면이 기와본체의 상면보다도 낮게 되어 있으며, 인접한 평판기와의 기와본체의 하변부 및 다른쪽의 측변부가 덮어지는 돌기판부와, 이 돌기판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기와본체의 변과 평행으로 뻗어 있는 둘레홈과, 상기 기와본체의 상면중 상면부를 따라서 형성된 가로홈과, 이 가로홈에 교차해서 형성된 세로홈으로 이루어진 빗물도입구 및 빗물도출구를 가진 평판기와에 있어서, 상기 기와본체의 측변부의 돌기판부의 하단부가, 아래쪽에 인접한 평판기와의 빗물도입구에 덮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측변부의 돌기판부(3)의 가로폭은 상기 빗물도입구(10)의 가로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평판기와가 지붕에 이어졌을 경우, 둘레홈안을 흘러내린 빗물은 아래쪽에 인접한 평판기와의 빗물도입구에 직접적으로 들어간다. 이 때문에, 빗물이 기와본체의 상면으로 확실히 유출하게 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예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은 동일부호를 가지고 표시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평판기와의 사시도, 제2도는 동평판기와의 이어 설치할때의 짜맞춤 도면, 제3도는 이어 부설할때의 평면도, 제4도는 동정면도(오른쪽 반은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를 표시한다), 제5도는 동우측면도(왼쪽 반은 제3도의 V-V선 단면도를 표시한다), 제6도는 동좌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평판기와는 네모판형상의 기와본체(1)와, 이 기와본체의 상변부 및 측변부에 형성된 가로돌기판부(2) 및 세로돌기판부(3)를 주로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돌기판부(2) (3)은 상변부로부터 한쪽의 측변부로 돌아들어가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기와본체(1)의 상면보다도 낮게 되어 있고, 인접한 평판기와의 기와본체(1)의 하변부(가로피복돌기편부(5)) 및 다른쪽의 측변부(세로피복 돌기편부(4))가 덮혀진다.
이 평판기와는 또 이 돌기판부(2)(3)의 상면에 부설되고, 기와본체(1)의 변과 평행으로 뻗어 있는 둘레홈(8)과, 상기 기와본체(1)의 상면중 상변부를 따라서 형성된 가로홈(9)과, 이 가로홈(9)에 교차해서 형성된 세로홈으로 이루어진 빗물도입구(10) 및 빗물도출구(11)를 가진다. 이 빗물도출구(11)의 좌우양쪽에 빗물 도출구(13)(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와본체(1)의 측변부의 세로돌기판부(3)의 하단부(3A)가 아래쪽에 인접한 평판기와의 빗물도입구(1O)에 덮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세로돌기판부(3)는 그 가로폭이 빗물도입구(10)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평판기와는 가로피복돌기편부(5) 및 세로돌기판부(3)의 하단부(3A)도 기와본체(1)의 상변부분에 덮혀지도록 이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단부(3A)는 가로홈(9)에도 일부 덮혀져 있다.
제1도∼제6도에서 그외의 부호는 제7도 및 제8도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평판기와가 이어진 지붕에 비가 내리면, 대부분의 비는 기와본체(1)의 상면을 흘러내려, 처마끝으로부터 적하(適下)내지 흘러내린다.
기와본체(1)끼리의 사이에 유입한 빗물은 둘레홈(8)으로 흘러들어가고, 이 둘레홈(8)을 개구부(7)로 향해서 흐른다. 둘레홈(8)의 중단부인 개구부(7)에 도달한 빗물은 빗물도출구(11)를 거쳐서 신속히 기와본체(1)의 상면으로 유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둘레홈(8)의 종단부의 개구부(7)로부터 유출된 빗물이 이와 같이 직접 빗물도입구(10) 내지 빗물도출구(11)에 유입하므로, 둘레홈(8)의 개구부(7)로부터 아래쪽에 인접한 평판기와의 기와본체(1)의 상면에 도달하기 까지의 수로경로가 짧다.
따라서, 둘레홈(8)의 개구부(7)로부터 유출된 빗물은 신속히 기와본체(1)의 상면으로 흘러나간다. 이 때문에, 지붕에 이어진 평판기와의 둘레홈에는 모두 각각 같은 양정도의 빗물이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이결과, 종래와 같이 처마끝의 평판기와의 둘레홈만큼 대량의 빗물이 흐른다고 하는 현상이 해소되고, 비샘도 확실히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평판기와에 의하면 둘레홈의 종단부로부터 유출된 빗물이 신속히 아래쪽에 인접한 평판기와의 기와본체의 상면으로 흘러나간다.
이결과, 빗물이 둘레홈으로부터 넘치는 일이 없어, 비샘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 네모판형상의 기와본체(1)와, 이 기와본체(1)의 상변부로부터 한쪽의 측변부에 돌아들어가서 형성되어있는 동시에, 상면이 기와본체(1)의 상면보다도 낮게 되어 있고, 인접한 평판기와의 기와본체(1)의 하변부 및 다른쪽의 측변부가 덮혀지는 돌기판부(2)(3)과, 이 돌기판부(2)(3)의 상면에 형성되고 기와본체(1)의 변과 평행으로 뻗어 있는 둘레홈(8)과, 상기 기와본체(1)의 상면중 상변부를 따라서 형성된 가로홈(9)과, 이 가로홈(9)에 교차해서 형성된 세로홈으로 이루어진 빗물도입구(10) 및 빗물도출구(11)(13)(14)를 가진 평판기와에 있어서, 상기 기와본체(1)의 측변부의 돌기판부(3)의 하단부가 아래쪽에 인접한 평판기와의 빗물도입구(10)에 덮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측변부의 돌기판부(3)의 가로폭은 상기 빗물도입구(10)의 가로폭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18499 | 1989-10-09 | ||
JP1989118499U JPH0357220U (ko) | 1989-10-09 | 1989-10-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7326U KR910007326U (ko) | 1991-05-29 |
KR940006945Y1 true KR940006945Y1 (ko) | 1994-10-07 |
Family
ID=3166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00015483U KR940006945Y1 (ko) | 1989-10-09 | 1990-10-08 | 평판기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357220U (ko) |
KR (1) | KR94000694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7574A (ko) * | 2016-08-10 | 2018-02-21 | 중부프라스틱 주식회사 | 지붕조립식 단위 기와 조립체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423034D0 (en) * | 1984-09-12 | 1984-10-17 | Redland Roof Tiles Ltd | Roof tiles |
-
1989
- 1989-10-09 JP JP1989118499U patent/JPH0357220U/ja active Pending
-
1990
- 1990-10-08 KR KR2019900015483U patent/KR94000694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7574A (ko) * | 2016-08-10 | 2018-02-21 | 중부프라스틱 주식회사 | 지붕조립식 단위 기와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357220U (ko) | 1991-05-31 |
KR910007326U (ko) | 1991-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40006945Y1 (ko) | 평판기와 | |
JP3746363B2 (ja) | 平板状の瓦 | |
JP3535105B2 (ja) | 平板瓦 | |
JP2829281B2 (ja) | 平 瓦 | |
JP2777055B2 (ja) | スライド瓦 | |
JPH0544410Y2 (ko) | ||
JPH0217055Y2 (ko) | ||
JP2969194B2 (ja) | 瓦 | |
JPH0316971Y2 (ko) | ||
JPH0312093Y2 (ko) | ||
JPH0657885A (ja) | 屋根瓦 | |
JPH0625423U (ja) | 瓦 | |
JPH086902Y2 (ja) | 平板瓦 | |
JPH08120833A (ja) | 雨漏りを防止する千鳥葺き用瓦 | |
JP3397074B2 (ja) | 採光窓の水切り防水構造 | |
JP2500108Y2 (ja) | 瓦 | |
JPS6363851A (ja) | 瓦の葺設方法 | |
JPH0610013Y2 (ja) | 本葺用平瓦 | |
JPH08158541A (ja) | 平板瓦 | |
JPH11315619A (ja) | 瓦 | |
JPH0348979B2 (ko) | ||
JPH09268709A (ja) | 屋根瓦と瓦葺き構造 | |
JPH0743192U (ja) | 瓦下地材 | |
JPH09170296A (ja) | 平板瓦 | |
JPH03247840A (ja) | 平板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20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