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488Y1 - 회로기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488Y1
KR940005488Y1 KR92009982U KR920009982U KR940005488Y1 KR 940005488 Y1 KR940005488 Y1 KR 940005488Y1 KR 92009982 U KR92009982 U KR 92009982U KR 920009982 U KR920009982 U KR 920009982U KR 940005488 Y1 KR940005488 Y1 KR 940005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rail
transfer device
conveying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9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359U (ko
Inventor
마봉태
Original Assignee
마봉태
주식회사 키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봉태, 주식회사 키메닉스 filed Critical 마봉태
Priority to KR92009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488Y1/ko
Publication of KR940002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4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기판 이송장치
제1도는 종래의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 이송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제4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 이송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회로기판 제조장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기판 수납기 2,4,6,7 : 회로기판 이송장치
3 : 자동삽입기
본 고안은 회로기판(PCB)을 제작중 다량의 기판을 적재하고 있는 기판수납기에서 회로기판을 1매씩 인출하여 소자를 삽입하는 자동삽입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또 소자의 삽입작업이 완료된 회로기판은 검사, 선별 등을 하기 위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고자 하는 회로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 회로기판 이송장치중 회로기판에 소자를 자동으로 삽입하는 부분을 하나의 예로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하나의 예로서 도시하고 있는 회로기판 이송장치는 다량의 회로기판을 적재하고 1매씩 인출하는 기판수납기(1)와, 기판수납기(1)에서 인출된 1매의 회로기판(P)을 자동삽입기에 공급 이송하는 이송장치(2)와, 이송장치(2)에서 이송되어온 회로기판에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자동으로 삽입하는 자동삽입기(3)와, 자동삽입기(3)에서 소자의 삽입작업이 완료된 회로기판(P)을 검사, 선별, 포장 등의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거나, 또는 다음 공정에로의 이동을 위하여 회로기판(P)을 다량으로 적층 적재하는 기판수납기(5)에 까지 이송하는 이송장치(4)로 구성하고 있다.
기판수납기(1)는 수납기 본체(11)에 회로기판을 다량적재 보관하는 매거진(12)을 장치하고 매거진(12)에 적재되어 있는 회로기판(P) 1매씩을 이송장치(2)쪽으로 인출 공급하는 공급실린더(13)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장치(2)는 본체(21)에 상·하강 실린더(22)를 고정하고 실린더 로드(23)에 이송대(24)를 장착하며 이송대(24)위에는 회로기판(P)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좌,우에 2줄의 레일(25)을 나란히 장착하고 좌,우 레일(25)안쪽으로 전동기(26)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콘베이어(27)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송대(24)의 상,하강시 진동을 방지하면서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대(24)에 가이드로드(28)를 고정하여 가이드로드(28)는 가이드부쉬(29)를 따라 상,하운동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자동삽입기(3)는 본체케이스(31)상부에 공작대(32)를 장착하고 그 상단부에는 턴테이블(33)을 설치하여 공작대(32)에 까지 이송된 회로기판(P)을 턴테이블(33)이 홀딩하여 좌,우 회동시키면서 회로기판(P)에 소자를 자동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로딩 콘베이어(Loading Conveyer)로 통칭되고 있는 이송장치(4)는 자동삽입기(3)에서 공작이 완료된 회로기판(P)을 다음 공정부에 까지 이송하는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은 언로딩 콘베이어(Unloading Conveyer)로 통칭되고 있는 이송장치(2)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본체(41)에 실린더(42)와 가이드부쉬(49)를 장착하고 실린더로드(43)와 가이드로드(28)에 이송대(24)를 고정하고 이송대(44)위에 2줄의 레일(43)과 이송콘베이어(47)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기판수납기(5)는 이송장치(4)에서 1매씩 이송되어 온 회로기판을 적재하는 것으로 본체(51)에 매거진(42)을 장착하고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기판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매거진(11)에 쌓여있는 회로기판(P)을 공급실린더(13)가 1매씩 순차적으로 이송장치(2)의 회로기판 레일(25)위로 공급하면 회로기판(P)은 전동기(26)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는 이송콘베이어(27)를 따라 레일(25)을 타고 자동삽입기(3)의 공작대(32)위에 까지 이송된다.
공작대(32)위에 올려진 회로기판(P)은 턴테이블(33)이 홀딩하여 좌,우 회동시키면서 회로기판(P)에 소자를 삽입하는 공작을 하게 되는 것이며 삽입공정이 끝난 회로기판(P)은 다시 이송장치(4)로 이송되며 이송장치(4)의 레일(45)을 타고 기판수납기(5)의 매거진(52)안에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회로기판(P)은 4각형상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P)을 좌,우 회동시키는데에 따른 이송장치(2,4) 레일(25,45)의 끝단으로부터 회동간섭을 받지않도록 하기 위하여는 이송장치(24)의 상,하강 실린더(22,42)를 상승시켜 레일(25,45)의 끝단부를 회로기판 즉 자동삽입기의 작업영역보다 약간 높아지도록 한 다음 소자 삽입작업을 하게 되며 소자 삽입작업이 끝난 회로기판(P)은 로딩 콘베이어(4)에 이송하고 또 새로 소자 삽입작업을 하기 위한 회로기판(P)은 언로딩 콘베이어(2)에 따라 자동삽입기(3)에 까지 이송하기 위하여는 지금까지 상승 시켰던 이송장치(2,4)의 상,하강 실린더(22,42)를 공작대(32)의 위치에까지 낮추는 하강작업을 행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송장치(2,4)에는 반드시 이송대(24,44)와 레일(25,45)을 상승 시키는 상,하강 실린더(22,42)를 장치하여야 하며 또한 이송대(24,44)의 상,하강시 진동을 방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장치(28,29,48,49)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상,하강 실린더(22,42)와 가이드장치(28,29,48,49)를 장착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상당한 크기(높이와 폭) 갖는 이송장치 본체(21,41)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회로기판 이송장치에서 회로기판을 이송하고 이송된 회로기판에 소자를 삽입공작을 하며 공작이 완료된 회로기판을 다시 이송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하기 위하여 기판수납기(1,5)와 이송장치(2,4)와 자동삽입기(3)를 일열로 정열배치하고 있으며 이렇게 이송장치(2,4)와 자동삽입기(3)를 일열로 정열 배치하는 경우 자동삽입기(3)의 구조 특성상 이송장치(2)의 폭(W)와 유사한 길이(ℓ1)의 레일외에도 상당한 길이(ℓ2)의 레일을 연장시켜 총연장길이(L)가 대단히 길어져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순전히 이송장치본체(21,41)가 차지하는 면적인 것으로 매우 비생산적인 공간을 확보하여야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원 고안은 이송장치에 있어 이송대와 레일의 직하방향에 장착하고 있는 이송장치 본체 생략하여 제품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고 상,하강 실린더 및 가이드 장치를 생략하거나 설치위치를 변경하므로서 제품의 생산가를 하향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 이송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 이송장치(6)는 회로기판 레일(61)을 지지하면서 레일(6)에 상,하강시키는 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레일 지지 브라켓(62)을 구비한다.
제2도에서는 "ㄱ"자 형상으로 가공된 레일지지 브라켓(62)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레일지지 브라켓(62)의 한쪽 면부는 레일(61)을 장착하는 레일 연결부(62A)가 되며 다른 한쪽면부는 상,하강 기구(63)에 연결되는 상,하강 기구 연결부(62B)가 되는 것이며 상,하강 기구 연결부(62B)는 가능한 레일(61)의 끝단부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원 고안에서 레일지지 브라켓(62)을 상,하강 운동시키는 상,하강 기구(63)로는 설치부가 작으면서도 레일을 상,하강 직선운동시킬때 레일에 진동을 전달하지 않고 평형유지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하강 기구로서 지금까지 알려지고 사용되어오던 슬라이드 베어링기구(Linear motion Bearing)나 로드레스 실린더(Rodless Cylinder)와 같은 것을 채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상,하강 기구(63)는 본체(63A)에서 직선 방향으로 상,하강 운동하는 이동블럭(63B)구비하고 있으며 이동블럭(63B)에 레일지지 브라켓(62)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하강기구(63)의 본체(63A)는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직접 고정하거나 또는 칼럼(64, Column)과 같은 곳에 고정하고 다시 칼럼(64)을 바닥면에 고정구(65)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레일지지 브라켓(62)의 레일연결부(62A)에는 레일(61)을 장착하며 상,하강기구 연결부(62B)는 상,하강기구(63)의 이동블럭(63B)에 고정하고 상,하강기구(63)의 본체(63A)를 바닥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하고 있는 칼럼(64)에 고정하므로서 레일지지 브라켓의 연결부(62B)와 상,하강기구(63)는 모두 레일(61)의 끝단부 가까이에 위치하여 레일(61)을 상,하강 운동시키도록 하므로서 종래에 레일의 바로 밑에 형성하고 있던 이송장치 본체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송장치 본체가 차지하고 있던 폭(W)과 이에 대응하는 레일길이(ℓ1)가 생략되므로 회로기판 이송장치에 있어 설치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레일의 길이(ℓ2)도 줄일수 있는 것으로 제조원가를 크게 줄일수 있는 것이다.
제3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이송장치(7)에 있어서는 레일(71)을 레일지지 브라켓(72)에 연결하고 레일지지 브라켓(72)을 상,하강기구(73)에 연결 고정하는 것은 제2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다만 상,하강기구(73)를 이송장치(7)와 바로 이웃하고 있는 주변기기(1, 기판수납기)에 장착고정하므로서 상,하강기구(73)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설치면적을 축소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74는 상,하강기구를 주변기기에 연결할때 결합상태를 보강하고자 하는 보강판이다.
위에서 레일지지 브라켓의 상,하강기구 연결부를 레일의 끝단부 가까이에서 기판 수납기와 가까운 쪽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나 기판쪽이 아닌쪽, 예를 들면 레일의 뒷쪽이나 앞쪽이라도 무방한 것이며 다만 이때에 앞쪽 또는 뒤쪽에 설치되는 레일지지 브라켓으로 인하여 기판수납기 또는 자동삽입기의 설치장소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레일을 따라 회로기판을 이송하도록 된 이송장치에 있어서, 레일 지지 브라켓을 형성하여 상,하강기구 연결부가 레일의 가장자리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레일 지지 브라켓의 레일연결부에 레일을 장착하고 상,하강 기구 연결부는 바닥면에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상,하강 기구의 이동 블럭에 연결하여 회로기판 이송장치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강기구 본체는 주변기기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이송장치.
KR92009982U 1992-06-05 1992-06-05 회로기판 이송장치 KR940005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982U KR940005488Y1 (ko) 1992-06-05 1992-06-05 회로기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982U KR940005488Y1 (ko) 1992-06-05 1992-06-05 회로기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359U KR940002359U (ko) 1994-01-03
KR940005488Y1 true KR940005488Y1 (ko) 1994-08-13

Family

ID=1933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9982U KR940005488Y1 (ko) 1992-06-05 1992-06-05 회로기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4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359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534B1 (ko) 전자부품장착장치및전자부품장착방법
GB2148261A (en) Loading and unloading printed circuit boards
EP2665353B1 (en) Parts feeding device, parts mounting device and parts feeding method
KR100363658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방법
KR940005488Y1 (ko) 회로기판 이송장치
KR100341495B1 (ko) 트레이 반송장치 및 방법
KR20080026521A (ko) 가공 라인
US5625941A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mounting electronic parts
JP4013655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H06247512A (ja) 電子部品の自動装着装置におけるトレー供給装置
CN211074220U (zh) 片材取放装置及片材加工机
JP4013656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3164240B2 (ja) 部品用トレーチェンジャ
JP2606682B2 (ja) 部品装着方法
JP2003023295A (ja) 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CN110281396A (zh) 片材取放装置、片材加工机及加工方法
US20020172580A1 (en) Workpiece-carrier changeover arrangement and the method for changing over workpiece carriers
JP3483343B2 (ja) 実装機の部品供給装置
US11903136B2 (en) Electric component supply device, and electric component supply method
KR100204940B1 (ko) 부품 공급용 트레이의 위치 결정 장치
KR0155450B1 (ko) 프린트 기판의 이송방법
JP3941302B2 (ja) 基板の供給装置
KR19990013670U (ko)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CN115379753A (zh) 生产线上的传送
JPH085937Y2 (ja) プリント基板収納ストッ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