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670U -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 Google Patents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670U
KR19990013670U KR2019970026928U KR19970026928U KR19990013670U KR 19990013670 U KR19990013670 U KR 19990013670U KR 2019970026928 U KR2019970026928 U KR 2019970026928U KR 19970026928 U KR19970026928 U KR 19970026928U KR 19990013670 U KR19990013670 U KR 199900136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worker
parts
rai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6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670U/ko
Publication of KR19990013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670U/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를 제공한다.
이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는,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에서 각종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작업대(10)에 있어서, 작업대(10)의 일측에서 부품상자(30)가 중력에 의해 작업자에게 가까이 이송하도록, 작업자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다수의 롤러(22a)가 부품상자(30)의 하부에 접촉,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공급레일(22); 작업대(10)의 작업자측에서 부품상자(30)가 중력에 의해 작업대(10)의 일측으로 이송하도록, 그 일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다수의 롤러(24a)가 부품상자(30)의 하부에 접촉,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반송레일(24); 및 상기 공급레일(22) 및 반송레일(24)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틀(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에서 각종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에 있어서, 각 조립부품을 적치하고 있는 부품상자를 손쉽게 작업대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빈 부품상자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 위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본 고안은 각종 전자부품을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립되어야 할 부품을 손쉽게 이송하고 적치할 수 있는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나 VCR의 신호처리부분이나 제어부분은 하나의 PCB상에서 제작(이를 메인PCB'라 한다)된다. 이 때, PCB상에는 다양한 전자부품들 예컨대 저항기, 콘덴서, 다이오드, 및 각종 IC 칩들이 실장되며, 이러한 실장작업은 자삽공정, 마운팅공정 그리고 수삽공정으로 나누어져 수행되고 있다. 이밖에도 비디오카세트를 장착하여 그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데크부분의 조립은 통상적으로 일련의 콘베이어로 연결된 생산라인에서 수작업으로 조립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삽공정 및 마운팅공정은 그 과정이 기계화되어 있는 공정이다. 즉, 어떤 칩들과 부품들은 자삽공정에서 자삽장비에 의해 칩들과 부품들의 리드핀을 PCB상의 장착공을 관통시켜 배면에서 납땜 등으로 고정, 장착되거나, 다른 어떤 칩들과 부품들은, 마운팅공정에서 칩마운팅장비에 의해 그 기판을 관통시킴이 없이 기판의 상면에서 납땜 등으로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자동화설비 등에는 부품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자삽 및 마운팅 공정에서 PCB기판상에 실장될 모든 부품을 소화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부품들은 수작업에 의한 납땜작업 즉 수삽공정에서 담당하게 된다. 또한, 데크 부분을 조립하는 공정도 작업자가 직접 각 부품을 일련의 단계별로 조립하게 된다. 그 조립공정이나 수삽공정에 있어서, 각 작업자는 소정의 작업대위에서 전동공구나 납땜기 등을 사용하여 PCB나 데크상에 조립되어야 할 부품 등을 장착하여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에서 각종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에 있어서는, 각 조립부품을 적치하고 있는 부품상자와 조립공구 등이 효율적으로 공급되고 제거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조립될 부품을 적치하는 부품상자를 작업대의 소정 부위에 매달거나 서랍을 설치하거나 하는 등의 해결책이 모색되어 왔으나, 이러한 해결책들은 여전히 그 부품상자들이 고정적으로 배치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즉, 부품을 작업자에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며, 조립작업 중 빈 부품상자를 제거하려면 또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에서 각종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에 있어서, 각 조립부품을 적치하고 있는 부품상자를 손쉽게 작업대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빈 부품상자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 위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작업대가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작업대20 : 보조작업대
22 : 공급레일22a : 롤러
22b : 멈춤턱24 : 반송레일
24a : 롤러24b : 멈춤턱
25 : 체결부26 : 지지틀
28 : 바퀴30 : 부품상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에서 각종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작업대에 있어서, 작업대의 일측에서 부품상자가 중력에 의해 작업자에게 가까이 이송하도록, 작업자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다수의 롤러가 부품상자의 하부에 접촉,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공급레일; 작업대의 작업자측에서 부품상자가 중력에 의해 작업대의 일측으로 이송하도록, 그 일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다수의 롤러가 부품상자의 하부에 접촉,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반송레일; 및 상기 공급레일 및 반송 레일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이 제공하는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는,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지지틀의 하부에는 적어도 2개이상의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제공하는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는,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공급레일의 작업자측 단부와 상기 반송레일의 작업자측 단부는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공급레일의 작업자측 단부와 상기 반송레일의 작업자측 단부는 동일한 높이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작업대가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20)는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에서 각종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작업대(10)에 적용된다. 그 보조작업대(20)는 공급레일(22)과 반송레일(24) 그리고 지지틀(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바퀴(28)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급레일(22)은 작업대(10)의 일측에서 부품상자(30)가 중력에 의해 작업자에게 가까이 이송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서부터 작업자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기울어지는 각도는 부품상자(30)의 무게에 의하여 중력에 의해 작업자측으로 굴러갈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또한, 그 공급레일(22)은 부품상자(30)를 양측에서 지지, 안내하는 막대 사이에 다수의 롤러(22a)가 부품 상자(30)의 하부에 접촉,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부품상자(30)가 이송되는 관성에 의해 작업대(10) 위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턱(22b)이 그 기울어진쪽, 즉 작업자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송레일(24)은 상기 공급레일(22)과 대체로 동일하게 롤러(24a), 멈춤턱(24b)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하며, 단지 작업대(10)의 작업자측에서 부품상자(30)가 중력에 의해 작업대(10)의 일측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것만이 다르다. 따라서,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각도 기울어지는 방향만이 다르게 설치된다. 이밖에 반송레일(24)의 작업자측 단부에는 작업대(10)에 그 반송레일(24)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26)은 상기 공급레일(22) 및 반송레일(24)을 지지하고 고정함으로써,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의 전체적인 틀을 규정하는데, 단순하게는 철봉 등으로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26)의 하부에는 적어도 2개이상의 바퀴(28)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작업대(20)를 작업대(10)의 일측에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위하여 보조작업대(20)를 이동하기 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공급레일(22)의 작업자측 단부와 상기 반송레일(24)의 작업자측 단부는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데, 다른 방식으로 상기 공급레일(22)의 작업자측 단부와 상기 반송레일(24)의 작업자측 단부는 동일한 높이에서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에 의하면, 부품공급 작업자가 단순히 조립부품 등이 적치되어 있는 부품상자(30)를 상기 보조작업대(20)의 공급레일(22)의 일측에 배치하면(A위치)된다. 그러면, 이 부품상자(30)는 공급레일(22)상의 롤러(22a)위를 굴러내려가 작업자측으로 제공되어 그 단부의 멈춤턱(22b)에 의해 정지된다(B위치).
작업자가 작업대(10) 위에서 조립 등의 작업을 하다가 B위치의 부품상자(30)에 있는 부품 등을 전부 소모한 후에는, 그 빈 부품상자(30)를 반송레일(24)로 내려 배치하게 된다(C위치). 그러면, 이 빈 부품상자(30)는 반송레일(24)상의 롤러(24a)위를 굴러 내려가 멈춤턱(24b)에 의해 멈추게 되고, 이 빈 부품상자는 부품공급 작업자에 의하여 부품이 적치되기 위하여 따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에 의하면,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에서 각종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에 있어서, 각 조립부품을 적치하고 있는 부품상자를 손쉽게 작업대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빈 부품상자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 위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4)

  1.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에서 각종 전자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작업대(10)에 있어서,
    작업대(10)의 일측에서 부품상자(30)가 중력에 의해 작업자에게 가까이 이송하도록, 작업자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다수의 롤러(22a)가 부품상자(30)의 하부에 접촉,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공급레일(22) ;
    작업대(10)의 작업자측에서 부품상자(30)가 중력에 의해 작업대(10)의 일측으로 이송하도록, 그 일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다수의 롤러(24a)가 부품상자(30)의 하부에 접촉,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반송레일(24) ; 및
    상기 공급레일(22) 및 반송 레일(24)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틀(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26)의 하부에는 적어도 2개이상의 바퀴(2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레일(22)의 작업자측 단부와 상기 반송레일(24)의 작업자측 단부는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레일(22)의 작업자측 단부와 상기 반송레일(24)의 작업자측 단부는 동일한 높이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KR2019970026928U 1997-09-29 1997-09-29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KR199900136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928U KR19990013670U (ko) 1997-09-29 1997-09-29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928U KR19990013670U (ko) 1997-09-29 1997-09-29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670U true KR19990013670U (ko) 1999-04-26

Family

ID=6969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928U KR19990013670U (ko) 1997-09-29 1997-09-29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67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58B1 (ko) * 2013-12-31 2015-07-23 한국원자력연구원 중성자 조사된 방사성물질의 수조간 이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58B1 (ko) * 2013-12-31 2015-07-23 한국원자력연구원 중성자 조사된 방사성물질의 수조간 이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22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rting a tray
CA1238010A (en) Automatic board handling mechanism
KR20000057913A (ko) 피가공물의 분할시스템 및 펠릿의 이체장치
JP3560722B2 (ja) 基板搬送方法及び装置
KR20000011438A (ko) 전자부품실장장치및전자부품실장방법
JPS5890451A (ja) 機械加工装置
KR19990013670U (ko)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KR101251562B1 (ko) 칩 트레이 공급장치
KR100325528B1 (ko) 트레이공급장치
JP7399552B2 (ja) 収納体搬送装置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3126008B2 (ja) プリント基板搬送装置
JPH0722780A (ja) プリント基板の実装設備
KR0139989Y1 (ko) 트레이 공급장치
KR0155450B1 (ko) 프린트 기판의 이송방법
KR0136538B1 (ko) 트레이 핸들러
KR950006130Y1 (ko) 반도체 패키지의 솔더링장치
KR0152570B1 (ko) 전자기기의 조립방법
TW39371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ading or unloading printed circuit boards for semiconductor module
KR100440780B1 (ko) 트레이 반도체 부품배치장치
KR940005488Y1 (ko) 회로기판 이송장치
KR20000031945A (ko) 인쇄회로기판 언로딩 장치
JPH0441305A (ja) パレット収容棚装置
JPH0347358Y2 (ko)
KR100487075B1 (ko) 반도체 포장장비의 트레이 전면배출방법 및 그 장치
JPH089049Y2 (ja) 自動基板供給・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