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227B1 -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227B1
KR940005227B1 KR1019860008216A KR860008216A KR940005227B1 KR 940005227 B1 KR940005227 B1 KR 940005227B1 KR 1019860008216 A KR1019860008216 A KR 1019860008216A KR 860008216 A KR860008216 A KR 860008216A KR 940005227 B1 KR940005227 B1 KR 94000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b
input
couple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620A (ko
Inventor
안토니 로우 커크
알버트 하우드 레오폴드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0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상보 색 수직 전이 신호 처리기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처리기의 사용되는 상보 색 수직 전이 검출기의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검출기에 사용되는 지연 회로의 블록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처리기에 사용되는 대체 검출기의 일부 논리도 형태 및 일부 블록 형태도.
제5도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검출기의 다중 비트 디지털로 사용되는 임계 검출기의 논리도.
제6도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검출기의 다중 비트 디지털로 사용되는 적응식 임계 검출기의 일부 논리도 형태 및 일부 블록 형태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처리기에 사용되는 부호 결합기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비디오 신호원 10, 10' : 빗형 필터
20 : 검출기 40 : 휘도 처리 채널
50 : 색도 처리 채널 66, 76, 83, 96 : 지연회로
72, 80, 72', 80' : 비교기 79 : 감산기
81 : 가산기 100 : 패턴 검출기
106 : 멀티플렉서 112 : 수직 상세 필터
본 발명은 합성 비디오 신호로부터 휘도 및 색도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빗형 필터를 사용하여 합성 비디오 신호로부터 휘도 및 색도 성분을 분리시키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은 수직 전이가 생길때는 적절히 분리시킬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에 소정의 명도 정보가 잘못 나타날 수도 있다(또한 통상적으로 저주파수 수직 상세 명도 정보가 나타난다). 더욱이,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에 소정의 색 재현 정보가 잘못 나타날 수도 있다. 후자의 상태에서는 색 부반송파의 주파수에서 수직 전이를 따라 일련의 도트가 생기며, 이러한 상태는 행잉 도트로 알려져 있다.
적합한 신호에 생기거나 들어 있는 오정보가 신호에 제거되지 않는한 재생 영상은 선명하지 못할 것이다.
1985년 4월 18일자로 하우드 및 로우씨가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원 제724,647호에는 수직 전이를 검출하여 전이로 야기되는 불필요한 행잉 도트를 보정하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 출원에 의한 장치는 빗형 여파된 휘도 및 색도 신호간의 상호 관계를 검출하는데 의해 수직 전이를 검출한다. 상호 관계가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면,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에 약간의 색 재현 정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에서 이 정보를 제거하기 위해 처리가 변경되고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로 이것이 복원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출원시의 시스템은 상보 색 수직 전이가 나타나는 것을 검출하지 못한다.
NTSC 식 합성 비디오 신호에서는 부반송파의 위상으로 색조를 재현하고 부반송파의 진폭으로 포화를 재현시키는 방법으로 색 재현 정보가 부반송파를 변조시킨다. 부반송파의 주파수는 한 라인에서 다음 라인까지의 위상 이동이 180°가 되도록 선택한다.
부반송파가 소정의 진폭 및 θ의 위상으로 변조되어 한 라인상에 색이 생기고 부반송파가 같은 진폭 및 θ+180°의 위상으로 변조되어 선행 라인상에 색이 생길 때 상보 색 수직 전이가 일어난다. 한 라인에서 다음 라인으로의 통상의 180°위상 이동은 상보 색 수직 전이가 의존할 때 인접 라인에 대한 부반송파가 동 위상임을 의미한다.
빗형 필터는 라인에서 라인간의 통상 180°위상 이동을 사용하여 합성 비디오 신호로부터 휘도 및 색도 성분을 분리시킨다. 한 라인 기간으로 분리된 합성 비디오 신호가 가산되어 휘도 신호를 발생하고 감산되어 색도 신호를 발생한다. 한 라인에서 다음 라인까지의 부반송파의 위상이 180°이동하기 때문에 가산된(휘도)신호로부터는 색 정보를 제거되는 것이 가정된다.
그러나, 상보 색 수직 전이가 생길 경우, 가정된 제거가 일어나지 않는다. 사실상 동일한 포화도의 상보 색간에 전이가 생기면(부반송파 진폭이 동일해지면), 가산되어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 출력에는 모든 색 재현 정보가 생기고, 감산되어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 출력은 제로가 된다. 이는 두 라인간의 신호 위상이 동 위상이고 같은 진폭이기 때문이다. 색 재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가 통상의 방법으로 휘도 처리 채널에 의해 처리될 경우, 선명치 않은 행잉 도트가 표시된다. 따라서 상보 색 수직 전이를 검출하여 빗형 필터가 내장된 비디오 신호 처리기에서 이러한 전이의 좋지 못한 상태가 제거되도록 처리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장치에서, 검출 수단은, 변조된 색 부반송파가 인접 라인상에서 동위상을 나타날 때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을 검출한다. 빗형 여파된 색도 및 휘도 신호는 각각 휘도 및 색도 처리 채널에 공급된다. 휘도 성분의 주파수는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시에 변경되어 색 재현 정보가 휘도 처리 채널로부터 제거된다. 이것은 화면에 행잉 도트 상태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을 다음 두 상태로 정확히 표시할 수가 있다. 첫째, 현지 라인으로부터의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와 선행 라인으로부터의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간의 상호 관계의 인식이 양호하다. 둘째, 선행 라인으로부터의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에서 변조된 색 재현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비교적 저레벨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의한 장치는, 소정 라인으로부터의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와 선행라인으로부터의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간의 상호 관계를 검출하여, 선행라인으로부터의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의 레벨이 비교적 저레벨인 것을 검출하는데 의해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을 검출한다. 이러한 상태가 검출되면,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내에 존재하는 색 재현 정보는 색도 처리 채널에 공급되는 신호로 복원되어 휘도 처리 채널에 공급된 신호로부터 색 재현 정보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실시하는데 사용하기 적합한 상관기에는 두 개의 입력 신호가 공급되는 임계 검출기가 내장되어 있다. 이 임계 검출기는 입력 신호가 소정의 임계 레벨을 초과할때의 상태와 그렇지 않을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임계 검출기에는 순서 발생기가 결합되어 있고, 이 순서 발생기는 두 입력 신호간의 상호 관계에 따라 예정된 패턴의 순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다중 비트의 디지털 신호용 적응식 임계 검출기에는 다수의 OR 게이트가 내장되어 있다. 각각의 OR 게이트는 입력 다중 비트 디지털 신호의 각각 다른 갯수의 최상위 비트에 결합되는 입력을 가지고 있다. 다수의 OR 게이트의 출력은 멀티플렉서의 각 입력에 결합된다. 멀티플렉서는 그 한 입력을 신호의 상태에 대한 최적 임계 레벨을 선택할 수 있는 제어기의 제어하에서 출력에 결합시킨다.
제1도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원(5)은 빗형 필터(10)와 상보 색 수직 전이 검출기(20)에 공급한다. 빗형 필터(10)는 휘도 신호(Y)와 색도 신호(C)를 발생한다.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Y) 및 색도 신호(C)는 신호 결합 회로(30)에 공급된다. 상보형 색 수직 전이 검출기(20)는 신호 결합 회로(30)에 공급되어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신호 결합 회로(30)는 휘도 처리 채널(40)에 결합된 제1출력 단자 및 색도 처리 회로(50)에 결합된 제2출력 단자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보 색 수직 전이의 존재시, 빗형 필터(10)로부터의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Y)는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포함한다. 상보 색 수직 전이 검출기(20)는 색 재현 정보를 운반하는 변조된 반송파가 소정의 라인상에 소정의 위상을 갖는지, 또한 선행하는 라인상에 동일 위상을 갖는지를 검출한다. 이것은 상보 색 수직 전이를 나타내며 이때, 제어 신호가 발생된다. 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 결합 회로(30)는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포함하는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Y)의 부분을 색도 처리 채널(50)에 공급되는 신호로 복원된다. 또한 이 신호 결합 회로(30)는 휘도 처리 채널(40)에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색 재현 정보를 제거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상보 색 수직 전이 검출기(20)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대역 통과 필터(62)는 비디오 신호원(5 :제1도)으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대역 통과 필터(62)의 출력 단자는 빗형 필터(10')에 결합된다. 대역 통과 필터(62)는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의 부분을 통과시킨다. 빗형 필터(10')는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Y') 및 색도 신호(C')를 발생한다(대안으로, 제1도의 빗형 여파기(10)는 대역 통과 여파기(62)와 유사한 대역 필터들의 각각에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Y) 및 색도 신호(C)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들 두 개의 대역 통과 필터는 제2도의 빗형 필터(10')의 출력에 대응한다). 빗형 필터(10')의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출력(Y')은 승산기(68)의 한 입력 단자에 공급되고,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색도 출력(C')는 입력 신호를 1수평 라인 기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66)에 공급된다. 지연회로(66)의 출력 단자는 승산기(68)의 다른 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승산기(68)의 출력 단자는 저역 통과 필터(70)에 결합된다. 저역 통과 필터(70)의 출력 단자는 비교기(72)의 한 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비교기(72) 및 임계 전압원(74)은 임계 검출기(63)를 형성한다.
빗형 필터(10')는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출력(Y')는 또한 입력 신호를 한 수평 기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76)에도 공급된다. 지연 회로(76)의 출력 단자는 비교기(80)의 한 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임계 전압원(78)은 비교기(80)의 다른 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비교기(80) 및 임계 전압원(78)은 임계 검출기(77)를 형성한다.
임계 검출기(73)의 출력 단자는 AND 게이트(82)의 한 입력 단자에 결합되고, 임계 검출기(77)의 출력 단자는 AND 게이트(82)의 다른 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AND 게이트(82)의 출력 단자는 신호 결합 회로(30 :제1도)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이다.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들어, 대역 통과 필터(62)의 통과 대역은 약 3MHz 내지 4MHz이다.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C')는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보통 포함하는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의 부분만을 포함하며, 수직 상세 휘도 정보의 대부분은 배제한다.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Y')는 상보 색 수직 전이에 있어서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포함하는 주파수들을 포함한다.
지연 회로(66)의 출력은 1수평 라인만큼 지연된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이다. 상보 색 수직 전이의 존재시, 빗형 필터(10')의 (Y')출력 신호 및 지연 회로(66)의 출력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위상으로 동일 진폭을 갖는다. 이들 신호의 각각을 사인파로 하면, 승산기(68)의 출력은 다음(1)식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01
상기 (1)식은 저역 통과 필터(70)를 통과하며 임계 검출기(73)를 트리거 하는 DC항 결과를 보인다.
임계 검출기(73)의 출력은 저역 통과 필터(70)로부터의 비교기(72)의 입력이 임계 전압원(74)에 의해 공급되는 임계 레벨을 초과할 시에는 "1"로 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된다. 임계 검출기(73)의 출력이 "1"로 되는 것은 현재의 라인을 나타내는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와 선행하는 라인을 나타내는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와의 교차 상관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했음을 뜻한다.
임계 검출기(77)의 출력은 지연 회로(76)로부터의 비교기(80)의 입력이 임계 전압원(78)에 의해 공급되는 임계 레벨 이하일대 "1"로 되나, 그렇지 않으면 "0"으로 된다(이것은 임계 검출기의 정규 동작의 논리역으로서, 비교기(80)의 출력 단자의 작은 원에 의해 표시된다). 임계 검출기(77)의 출력이 "1"인 것은 선행하는 라인을 나타내는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레벨 이하임을 뜻한다.
AND 게이트(82)의 출력은 그의 입력 단자들에 공급되는 신호들이 모두 "1"인 경우에만 "1"로 된다. 이것은 현재의 라인을 나타내는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와 선행하는 라인을 나타내는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와의 교차 상관이 제1의 소정 레벨을 초과하고, 동시에, 선행하는 라인을 나타내는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의 레벨이 제2의 소정 레벨 이하일 경우에 발생한다. 이렇게 해서, AND 게이트(82)의 출력은 상보 색 수직 전이의 존재시에 "1"로 된다.
제3도는 제2도의 교차 상관기에 사용되는 지연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이 지연 회로는 지연되고 대역 통과된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를 승산기(68)에 공급(제2도에서는 지연 회로(66)가 공급)하고, 지연되고 대역 통과된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를 임계 검출기(77)에 공급(제2도에서는 지연 회로(76)가 공급)한다. 감산기(75)의 출력 단자는 지연 회로(83)의 입력 단자, 제2감산기(79)의 제1입력 단자 및 가산기(81)의 제1입력단자에 결합된다. 지연회로(83)의 출력 단자는 감산기(79)의 제2입력 단자 및 가산기(81)의 제2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지연 회로(83), 감산기(79) 및 가산기(8)는 빗형 필터(84)를 형성한다. 지연되고 대역 통과된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는 감산기(79)의 출력에서 발생된다. 이 신호는 승산기(68 : 제2도)에 공급된다. 지연되고 대역 통과된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는 가산기(81)의 출력에 발생된다. 이 신호는 임계 검출기(77 : 제2도)에 공급된다. 1-H 빗형 필터의 출력들은 다음 (2)식 및 (3)식과 같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상기 식에서 Y는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이고, C는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이며, L1및 L2는 제각기 제1 및 제2선에 대한 합성 비디오 신호이다. (2)식 및 (3)식으로 다음 (4)식 및 (5)식이 유도된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제1감산기(75)의 출력은 빗형 필터에 대한 제1라인 입력을 나타내는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의 합성된 휘도 및 색도 성분을 포함한다. 이 신호는 한 라인기간만큼 지연 회로(83)에 의해 지연된다. 휘도 및 색도 성분을 복원을 위해, 지연된 신호는 빗형 필터(84)를 형성하는 지연 회로(83), 제2감산기(79) 및 가산기(81)의 조합체에 의해서 빗형 여파된다. 감산기(79)의 출력은 선행하는 라인을 나타내는 지연되고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이다. 이 성분은 제2도의 승산기(68)에 공급된다. 가산기(81)의 출력은 선행하는 라인을 나타내는 지연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이다. 이 성분은 제2도의 임계 검출기(77)에 공급된다.
제4도는 제1도의 검출기(20)의 다른 예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2도에 도시된 검출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대역 통과 필터(62)는 빗형 필터(10')의 대역 통과된 비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빗형 필터(10')는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Y') 및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C')를 생성한다. 대역 통과되고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Y')는 비교기(80')의 제1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비교기(80')의 제2 입력 단자는 임계 전압원(78')에 결합된다. 비교기(80')와 임계 전압원(78')이 결합되어 제1임계치 검출기(77')를 형성한다.
대역 통과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C')는 비교기(72')의 제1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비교기(72')의 제2입력 단자는 임계 전압원(74')에 연결된다. 비교기(72')와 임계 전압원(74')이 결합되어 제2 임계 검출기(73')를 형성한다. 임계 검출기(77')와 임계 검출기(73')은 입력 신호가 임계 전압원(78' 또는 74')에 의해 셋트된 임계치를 초과할때는 "1"을 발생하고 그 이하일 때는 "0"을 발생한다.
임계 검출기(77')의 출력은 반전기(92)의 입력과 AND 게이트(98)의 제1 입력에 연결된다. 반전기(92)의 출력은 AND 게이트(94)의 제 1 입력에 연결된다. 임계치 검출기(73')의 출력은 AND 게이트(94)의 다른쪽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AND 게이트(94)의 출력은 지연 회로(96)에 연결된다. 지연 회로(96)의 출력은 AND 게이트(98)의 제 2 입력에 연결된다. 반전기(92), AND 게이트(94), 지연 회로(96) 및 AND 게이트가 결합되어 순서 발생기(90)를 형성한다. AND 게이트(98)의 출력은 2중 레벨 신호의 순서이다. 현재 라인으로부터의 대역 통과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와 선행 라인으로부터의 대역 통과 빗형 여파된 식도 신호간의 교차 상호 관계가 있을 때, AND 게이트(98)는 소정의 패턴(다음에서 설명되는)의 순서를 발생한다.
순서 발생기(90)의 출력은 패턴 검출기(100)에 연결된다. 패턴 검출기(100)는 상보 색 수직 전이의 존재를 나타내는 소정의 패턴을 검출하여 상기 패턴의 존재를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 신호는 회로(30)(제1도에서)를 결합시키는 신호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임계 검출기(77')에 공급된 대역 통과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가 비교적 낮은 레벨을 갖는 경우, 임계 검출기(77')의 출력은 "0"으로 될 것이다. 반전기(92)의 출력은 상기의 경우 "1"로 될 것이며 임계 검출기(73')로부터의 신호는 지연 회로(96)로 전달되게 할 것이다. 한편 만약, 임계 검출기(77')에 공급된 대역 통과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가 비교적 높은 레벨을 가질 경우, 임계 검출기(77')의 출력은 "1"이 될 것이다. 반전기(92)의 출력은 상기의 경우에 대해 "0"이 될 것이며, "0"은 AND 게이트(94)에 의해 지연 회로(96)에 공급될 것이다. 상기 조건에서는 단지 "0"만이 AND 게이트(94)에 제공되며, 소정의 상기 패턴은 임계치 검출기(73')의 출력에 관계없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AND 게이트(98)에 제공된 두 신호(반전기(92)에 의해 "1"이 되도록 실행 가능하게 되었을때)는 색 부반송파 주파수내에 있게 되며, 상기 두 신호는 1/2 주기에 대해서는 "1"이 되고, 나머지 1/2 주기에 대해서는 "0"이 된다. 그래서 AND 게이트(98)의 출력은 "1"과 "0"이 교번하는 순서로 되며, 각각은 색 부반송파의 1/2 주기를 갖는다. 이는 상보 색 수직 전이의 존재를 표시하는 소정의 패턴이다.
제4도에 도시된 교차-상관기에 사용될 수 있는 패턴 검출기의 실시예는 1985년 7월 31일 엘. 에이. 하우드에 의해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디지탈 펄스폭 검출기"와 1985년 4월 18일 알. 에이. 와고에 의해 출원된 "지속시간 감지 신호 신장기"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724,644호와 1985년 4월 18일 엘. 에이. 하우드와 케이. 에이. 로우가 출원한 "지속시간 감지 디지털 신호 게이트"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724,646호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기 출원의 각각은 주어진 지속 시간의 패턴을 검출하여, 상기 패턴의 존재를 표시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패턴 검출기의 다른 기능은 본 기술에 숙련된 사람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제5도는 제2도 또는 제4도에 이용된 임계 검출기의 다중 비트 디지털 처리에 사용될 수 있는 고정형 임계 검출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기능에서 제5도의 OR 게이트(102)는 제2도 및 제4도의 비교기(72,80,72',80')와 임계 검출기(73,73',77,77')의 임계 전압원(74,78,74',78')을 대체 시킨다. 입력 디지털 신호는 다수의 신호상에 포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8개의 디지털 신호 라인이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라인중에서 다수의 최상위 비트만 OR 게이트(102)의 각 입력에 연결된다.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서 3개의 최상위 비트는 OR 게이트(102)에 연결된다. OR 게이트(102)의 출력은 입력 신호가 임계치 레벨을 초과하는가를 표시하는 신호이다.
만약 디지탈 신호가 8비트 2진 형태로 재현되는 경우, 상기 비트 위치는 32,64 및 128을 나타낸다. 그래서 최대 255중에서 32보다 더 큰 2진수 값은 OR 게이트의 출력이 "1"로 되게 한다. 최상위 비트의 다른 수는 OR 게이트(102)에 연결되어 제5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임계치를 만들수도 있다.
제6도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임계 검출기의 다중 비트 디지털 처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응 임계 검출기를 도시한다. 제6도에 도시된 적응 임계 검출기는 제2도 및 제4도의 비교기(72,80,72',80')와 임계 검출기(73,77,73',77')의 임계 전압원(74,78,74',78')을 대체시켰다. 다수의 OR 게이트(104) 각각은 입력에 연결된 입력 디지탈 신호의 다른 수의 최상위 비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맨 위의 OR-게이트는 입력에 연결된 최상위 비트만 갖는다(상기의 경우, OR 게이트는 입력에서 출력까지 직선 연결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OR 게이트는 256중에서 128보다 큰 디지털 신호에만 응답한다. 하부의 OR 게이트는 입력에 연결된 7개의 최상위 비트를 가지며 256중에서 2보다 큰 디지털 신호에 응답한다.
다수의 OR 게이트(104)의 출력은 멀티플렉서(MUX)(106)의 각 입력에 연결된다. 멀티플렉서(106)의 신호 출력은 멀티플렉서(106)의 제어 입력에 제공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 입력중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선택 신호는 제어회로(108)로부터 멀티플렉서(106)에 제공된다. 멀티플렉서(106)의 신호 출력은 입력 신호가 현재 선택된 임계치 레벨을 초과하는가를 표시하는 신호이다.
멀티플렉서(106)는 다수의 OR 게이트(104)의 신호 게이트를 신호 통로에 연결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는 임계치를 변화시키게 한다. 왜냐하면, 다수의 OR 게이트(104) 각각은 서로 다른 소정의 임계치에 응답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어 신호는 합성 비디오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에 관계된다. 신호대 잡음비는 예를들어 비디오 신호가 없을때의 수직 귀선 소거중 합성 신호에서 잡음을 분석하여 계산될 수 있다. 만약 신호대 잡음비가 높은 경우(즉, 잡음이 낮을 때) 임계치는 잡음 펄스에 의한 오트리거 위험이 없이 더 낮게 셋트될 수 있다. 만약 신호대 잡음비가 낮은 경우(즉, 잡음이 높을때)임계치는 잡음 펄스에 의한 오트리거를 피하기 위해 높게 셋트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어 신호는 휘도 신호에 연관된 색도 신호의 레벨에 관계될 수도 있다. 색 버스트 신호 성분의 진폭으로부터 유도된 자동 색도 제어(ACC) 신호는 이들의 상대 레벨을 나타낸다. 만약 색도 신호가 비교적 높은 경우, 임계치는 더 높게 셋트될 수 있다. 만약 색도 신호가 비교적 낮은 경우, 임계치는 더 낮게 셋트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임계치는 색도 성분의 상대 세기를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2가지 제어 형태로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만약 신호대 잡음비가 높고, 비잡음 신호를 나타내는 경우, 임계치 제어 형태를 기본으로 하는 ACC가 이용된다. 만약 신호대 잡음비가 낮고, 잡음 신호를 나타내는 경우, 임계치는 색도 성분의 상대 레벨에 관계없이 높게 셋트된다.
이는 가능한 제어 신호원의 몇가지 실시예이다. 다른 형태도 가능하며 이는 본 기술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분명한 사실이다.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처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결합 수단(30)을 도시한다. 제1도에서 유사한 소자는 같은 참고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는 가산기(110)의 한쪽 입력에 공급된다. 상기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는 수직 상세 필터(112)에 연결된다. 수직 상세 필터(112)의 출력은 가산기(110)의 다른 입력에 연결된다. 수직 상세 필터(112)는 수직 상세 정보로 칭해지는 저 주파 휘도 정보를 통상 포함하는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의 부분만 통과시킨다.
가산기(110)의 출력은 대역 통과 필터(111)에 접속된다. 대역 통과 필터(111)는 상보 색 수직 전이가 있을 경우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포함하는 휘도 신호의 부분만 통과시킨다. 대역 필터(111)의 출력은 감산기(114)의 한 입력에 접속된다. 가산기(110)의 출력은 감산기(114)의 다른 입력에 접속된다. 감산기(114)는 가산기(110)의 출력으로부터 대역 통과 필터(111)의 출력을 감산한다. 상보 색 수직 전이가 있을 때 감산기(114)의 출력은 기초 휘도 정보를 포함하며, 변조된 색 재현 정보가 거의 없다.
감산기(114)의 출력은 멀티플렉서(116)의 제1신호 입력에 연결된다. 가산기(110)의 출력은 멀티플렉서(116)의 제2신호 입력에 연결된다. 멀티플렉서(116)의 제어 입력은 예를들어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되고 상기에서 기술된 검출기(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멀티플렉서(116)의 신호 출력은 휘도 처리 채널(40)에 연결된다.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C)는 또한 대역 필터(113)에 연결된다. 대역 필터(113)는 통상 변조된 색 재현 정보만을 포함하는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의 부분만 통과시킨다.
대역 필터(113)의 출력은 가산기(118)의 제1 입력에 연결되며, 대역 필터(111)의 출력은 가산기(118)의 제2입력에 연결된다. 상보 색 수직 전이가 있을 때, 가산기(118)의 출력은 대역 필터(113)에 의해 통과된 바와 같이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에서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포함하며, 대역 통과 필터(111)에 의해 통과된 바와 같이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로부터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가산시킨다. 가산기(118)의 출력은 멀티플렉서(120)의 제1신호 입력에 연결이 되고, 대역 통과 필터(113)의 출력은 멀티플렉서(120)의 제2 신호 입력에 연결된다. 멀티플렉서(120)의 제어 입력은 또한 색도 처리 채널에 연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회로에 의해 필요한 대역 통과 빗형 여파된 색도 및 휘도 신호는 대역 필터(113,111) 각각의 출력으로부터 공급이 될 수 있다.
제어 신호가 상보 색 수직 전이의 존재를 나타낼 때, 멀티플렉서(116,120)는 감산기(114)의 출력을 휘도 처리 채널(40)에 연결시키며, 가산기(118)의 출력을 색도 처리 채널(50)에 연결시킨다. 한편으로, 멀티플렉서(116,120)는 가산기(110)의 출력을 휘도 처리 채널(40)에 연결시키며 대역 필터(113)의 출력을 색도 처리 채널(50)에 각각 연결시킨다. 상기 방법에서,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에서 변조된 색 재현 정보는 상보 색 수직 전이가 있을 때 휘도 처리 채널(40)에 공급된 신호로부터 제외되며, 색도 처리 채널(50)에 공급된 신호로 복원이 된다.
상술된 사실에 특별히 위배되지 않는다면, 상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회로는 연속적인 데이터 형태 또는 샘플된 데이터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샘플된 데이터 형태에서 상기 회로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Claims (16)

  1. 휘도 신호 성분 및 색도 신호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합성 비디오 신호원과, 이 신호원으로부터 나온 신호에 응답하여 빗형 여파된 휘도 및 색도 신호를 생성하는 빗형 필터 각각의 휘도 및 색도 처리 채널,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를 상기 휘도 처리 채널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 수단 및 상기,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를 상기 색도 처리 채널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색도 신호 성분은 부반송파의 위상이 색조를 재현하고 부반송파의 진폭이 화면색의 포화도를 재현하는 방식으로 색 재현 정보에 의해 변조되는 부반송파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 수단은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선택적으로 압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보 색 수직 전이 발생을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신호원으로부터 나온 신호에 응답하며 연속적인 라인상의 부반송파가 동일 위상일 때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압축 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빗형 필터에 의해 상기 신호원에 결합되어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및 색도 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교차 상관기를 구비하고 있고, 이 교차 상관기에는 상기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를 적어도 한 수평 라인 기간 동안 지연시키는 수단과, 상기 지연된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 및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에 응답하는 승산기와, 상기 승산기에 응답하는 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저역 통과 필터에 결합된 입력을 가지며 이 입력에서의 신호가 소정의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것을 나타내게 하는 임계 검출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수단은 또한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를 한 수평 라인 기간 동안 지연시키며, 상기 검출 수단이 제2의 임계 검출기와 논리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의 임계 검출기의 입력에는 상기 지연된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가 수신되어 상기 입력에서의 신호가 소정의 제2의 임계 레벨 이하를 나타내고,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제1언급되고 상기 제2의 임계 검출기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기로 부터의 표시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수단은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로부터 상기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를 감산하기 위한 제1의 감산기와, 지연된 빗형 여파 휘도 및 색도 신호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빗형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검출기는 제어 입력을 포함하고 있는 적응식 임계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임계 레벨은 상기 제어 입력에서의 신호에 응답하여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식 임계 검출기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버스트 성분의 진폭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식 임계 검출기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식 임계 검출기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다중 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동작하고, 상기 적응식 임계 검출기는, 상기 : 다중 비트의 디지털 신호의 서로 다른 갯수의 최상위 비트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입력을 가진 다수의 OR 게이트와, 상기 OR 게이트에 결합된 다수의 입력과 제어 입력 및 신호 출력을 가지며 상기 제어 입력에서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한 신호 입력을 상기 신호 출력에 결합시키는 승산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교차 상관기를 구비하고 있고, 이 교차 상관기에는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및 색도 신호원에 결합된 각 입력을 가지며 상기 입력에서의 신호가 소정의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의 제1 상태와 그렇지 않을 경우의 제2상태를 가지는 각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및 제2의 임계 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의 임계 검출기에 응답하여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시에 주지된 패턴을 가진 신호 순서를 형성하는 수단 및, 상기 순서 발생 수단에 응답하여 상시 신호 순서로 상기 주지된 패턴의 발생을 표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패턴 검출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 발생기가, 상기 제1임계 검출기에 결합된 반전기와, 상기 반전기에 결합된 제1 입력과 상기 제2임계 검출기에 결합된 제2입력 및 출력을 가진 제1의 AND 게이트와, 상기 제1의 AND 게이트의 출력에 결합되어 신호를 한 수평 라인 기간 동안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 및, 상기 제1임계 검출기에 결합된 제1 입력과 상기 지연 회로에 결합된 제2 입력 및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시에 상기 주지된 패턴을 생성하는 출력을 가진 제2의 AND 게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은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시에 변조된 색 재현 정보가 배제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결합 수단이 :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및 색도 신호원에 결합되어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시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로부터의 정보와 상기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로부터 나온 정보를 나타내는 변조된 색을 포함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시키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상호 관계의 존재시 상기 휘도 및 색도 처리 채널을 상기 제1 및 제2신호 생성 수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및 색도 신호원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이 :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원에 결합된 입력과 출력을 가지며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시에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통상 포함하고 있는 주파수의 대역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원에 결합된 제1입력, 상기 대역 통과 필터에 결합된 제2 입력 및 출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입력에서의 신호로부터 상기 제2입력에서의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이 :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원에 결합된 입력과 출력을 가지며 상보 색 수직 전이의 발생시에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통상 포함하고 있는 주파수의 대역을 통과시키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원에 결합된 입력과 출력을 가지며 변조된 색 재현 정보를 통상 포함하고 있는 주파수의 대역을 통과시키는 제2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1 및 제2 대역 통과 필터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입력을 갖는 가산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이 : 상기 압축 수단에 결합된 제1 신호 입력, 상기 빗형 여파된 휘도 신호원에 결합된 제2신호 입력과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에 결합된 제어 입력 및 신호 출력을 가지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의 존재시 상기 신호 출력을 상기 제1입력에 결합시키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신호 출력을 상기 제2신호 입력에 결합시키는 제1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2결합 수단이 : 상기 결합 수단에 결합된 제1신호 입력, 상기 빗형 여파된 색도 신호원에 결합된 제2신호 입력,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에 결합된 제어 입력 및 신호 출력을 가지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존재시 상기 신호 출력을 상기 제1 입력을 결합시키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신호 출력을 상기 제2신호 입력에 결합시키는 제2멀티플렉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KR1019860008216A 1985-10-01 1986-09-30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KR940005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2,576 1985-10-01
US06/782,576 US4694331A (en) 1985-10-01 1985-10-01 Vertical transition processor for a comb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620A KR870004620A (ko) 1987-05-11
KR940005227B1 true KR940005227B1 (ko) 1994-06-13

Family

ID=2512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216A KR940005227B1 (ko) 1985-10-01 1986-09-30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94331A (ko)
EP (1) EP0218454B1 (ko)
JP (1) JP2529834B2 (ko)
KR (1) KR940005227B1 (ko)
DE (1) DE3684399D1 (ko)
HK (1) HK22597A (ko)
SG (1) SG2719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2091A (ja) * 1987-03-30 1988-10-07 Toshiba Corp 信号分離回路
JPH0714220B2 (ja) * 1987-06-12 1995-02-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Y/c分離回路
JP2624700B2 (ja) * 1987-08-31 1997-06-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映像信号処理装置
US4809060A (en) * 1987-09-10 1989-02-28 Rca Licensing Corporation Hanging dot reduction arrangement
US5012329A (en) * 1989-02-21 1991-04-30 Dubner Computer Systems, Inc. Method of encoded video decoding
JP2008098917A (ja) * 2006-10-11 2008-04-24 Denso Corp 信号分離装置
JP4935288B2 (ja) * 2006-10-11 2012-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信号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2984A (en) * 1975-04-14 1978-02-07 Thomson-Csf Laboratories, Inc. Chrominance-luminance separator
JPS5914949B2 (ja) * 1976-03-30 1984-04-06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JPS53117329A (en) * 1977-03-24 1978-10-13 Hitachi Ltd Processing circuit for color signal
US4178609A (en) * 1977-10-25 1979-12-11 The Magnavox Company Comb filter having improved luminance response
US4167021A (en) * 1977-12-12 1979-09-04 Rca Corporation Suppression of chrominance signal contamination of the luminance signal in a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US4179705A (en) * 1978-03-13 1979-12-18 Faroudja Y 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NL7803910A (nl) * 1978-04-13 1979-10-16 Philips Nv Kamfilterschakeling.
US4307413A (en) * 1979-01-18 1981-1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b filter device
US4240105A (en) * 1979-08-20 1980-12-16 Yves C. Faroudj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JPS5648789A (en) * 1979-09-29 1981-05-02 Toshiba Corp Processor for video signal
US4340940A (en) * 1980-08-26 1982-07-20 Rca Corporation Hardware reduction by truncation of selected number of most significant bits for digital video system using subsampling and adaptive reconstruction
JPS5760791A (en) * 1980-09-30 1982-04-12 Toshiba Corp Demodulating circuit for wide-band receiving chrominance
EP0062371B1 (en) * 1981-04-03 1985-07-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US4402005A (en) * 1981-08-31 1983-08-30 Rca Corporation Clock generator for a digital color television signal receiver
JPS5871783A (ja) * 1981-10-23 1983-04-28 Sony Corp 分離回路
US4636735A (en) 1985-04-18 1987-01-13 Rca Corporation Duration-sensitive digital signal stretcher
US4616254A (en) 1985-04-18 1986-10-07 Rca Corporation Hanging dot reduction system
US4670665A (en) 1985-07-31 1987-06-02 Rca Corporation Digital pulse width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18454A2 (en) 1987-04-15
JP2529834B2 (ja) 1996-09-04
US4694331A (en) 1987-09-15
HK22597A (en) 1997-02-27
KR870004620A (ko) 1987-05-11
SG27195G (en) 1995-08-18
JPS6285593A (ja) 1987-04-20
EP0218454A3 (en) 1988-06-08
EP0218454B1 (en) 1992-03-18
DE3684399D1 (de) 1992-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48862B2 (ja) 再帰型濾波方式
KR940005227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EP0173439B1 (en) Luminance/chrominance separator
KR0135767B1 (ko) 행잉 도트 감소 장치
KR20040087932A (ko)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
KR100265658B1 (ko) 적응형 콤필터 및 비디오신호성분 분리방법
JP2008160351A (ja) 色動き検出回路及びy/c分離回路
EP0590831B1 (en)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 separation circuits
KR0130951B1 (ko) 휘도신호/색신호 분리 회로
JP2506530B2 (ja) 画像信号の輝度信号及び色信号分離装置
US5959695A (en) 2-line YC separation device
KR910007206B1 (ko) 적응형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장치
US4734758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KR930011977B1 (ko) 콤 필터 "행깅 도트" 제거기
JPS63310296A (ja) Y/c分離回路
EP0221734B1 (en) Dot interference detector
US5523797A (en) Luminance signal and color signal separating circuit
KR0129528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JP2699488B2 (ja) コムフィルタ
KR100248991B1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JP3503442B2 (ja) 2ラインyc分離装置
KR940000581B1 (ko) 휘도 및 색신호 분리 회로
JPH0787594B2 (ja) 相関検出回路
JPH1066102A (ja) Y/c分離回路
KR900005604B1 (ko) 상관검출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