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767B1 - 행잉 도트 감소 장치 - Google Patents

행잉 도트 감소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767B1
KR0135767B1 KR1019880011574A KR880011574A KR0135767B1 KR 0135767 B1 KR0135767 B1 KR 0135767B1 KR 1019880011574 A KR1019880011574 A KR 1019880011574A KR 880011574 A KR880011574 A KR 880011574A KR 0135767 B1 KR0135767 B1 KR 0135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
luminance
lin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086A (ko
Inventor
도모끼 사에끼
Original Assignee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ublication of KR89000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행잉 도트 감소 장치
제1도는 코움 필터링된 색도 및 휘도 신호들이 행잉 도트 발생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블럭도.
제3a도 내지 제3e도는 제1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개략적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및 15 : 신호 결합기 16 : 저역 필터
17 : 대역 필터 22 : 스위치
본 발명은 합성 비디오 신호의 휘도 및 생도 성분 분리를 실행하기 위한 코움 필터 회로들(comb filter circuits)을 구비하는 형태의 합성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처리 장치 내에서 코움 필터 동작과 관련될 수도 있는 소위 행잉 도트(hanging dog)와 같은 화상 교란 또는 인공물(artifact)의 감소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전형적 형태의 코움 필터들에 의해 실행되는 분리 기능의 성공은 연속적인 주사선들의 인접한 영역들 내에서 화상의 용장도(redundancy)의 존재에 따라 좌우된다. 차후 수직 전이(vertical tansition)로 지칭되는 필드 주사 방향으로의 전이가 발생하는 화상 영역에 있어서, 연속 주사선들의 인접한 영역에서의 화상 정보에서의 차가 당해 분리 동작의 불완전한 성능을 초래할 수 있으며, 동시에 결국 당해 코움 필터의 휘도 신호 출력 내에 색도 성분이 추련하게 한다. 제거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간섭 색도 성분은 행잉 도트, 즉 디스플레이된 화상 내에서 수직 전이의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바람직스럽지 못한 도트 어레이로서 재생될 것이다.
L. Harwood명으로 HANGING DOT REDUCTION이란 제목의 U.S. PATENT No.4,616,254는 행잉 도트 발생의 검출에 대한 하나의 종래의 겁근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 공보에선 위와 같은 행잉 도트의 발생의 표시가 1장치의 색도 신호 및 고주파 휘도 신호 출력에 응답하는 신호 멀티플라이어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전술된 신호 멀티플라이어 장치는 행잉 도트발생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코움 필터 장치의 각각의 출력들 내의 신호 성분들 사이의 상관을 인식하는 것에 의지한다.
상기 Harwood특허에서, 행잉 도트의 발생의 확인은 상관 표시기를 사용하므로써 실행된다. 상기 상관 표시기는 신호 멀티플라이어, 저역 필터, 및 전압 비교기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신호 멀티플라이어트ㅌ 한 코움 필터의 각각의 출력들의 고주파 성분들을 승산(multiplying)하도록 가능한다. 상기 신호 멀트플라이어에 의해 실행된 승산의 결과들은 필터링된 멀트플라이어 출력 신호의 나타내도록 저역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기 필터링된 멀트플라이어 출력 신호는 전압 비교기에서의 입계 전압과 비교된다. 행잉 도트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필터링된 멀트플라이어 출력 신호의 레벨이 상기 임계 전압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전압 비교기의 출력 단자에 제공된다.
상기 행잉 도트 발생 표시 신호가 발생되는 동안, 이것은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로부터 저역 필터링된 비디오 신호로의 저역 필터링된 비디오 신호로의 선택적인 출력 스위칭에 의해 출력 휘도 신호의 대폭을 감소되게 한다. 행잉 도트 표시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때, 대폭의 감소는 중지되며, 결국, 상기 휘도 채널의 전체 대폭은 에리한 수평 전이 에지들을 함께 고화질의 화상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대폭의 불필요한 감소를 막기 위해 행잉 도트 상태가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행잉 도트 표시 신호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기저대 합성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텔레비젼 장치가 출력 휘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입력 신호에 결합된 코움 필터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회두 정보에 따라, 코움 필터링된 제1휘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2색도 신호가 제1색도 신호에 대해 시간적으로 시프팅되도록 제1 및 제2색도 신호가 상기 입력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발생된다. 인터-라인(inter-line) 색차 신호가 상기 제1 및 제2색도 신호사이의 차에 따라 발생된다. 코움 필터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인터-라인 색차 신호와 상관될 때 상관 표시 신호가 상기 인터-라인 색차 신호와 상관될 때 상관 표시 신호가 발생된다. 출력 휘도 신호는 상기 제1 위도 신호 및 상관 표시 신호에 응답하는 장치에 의해 나타난다.
본원 발명의 한 양상을 실현하는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100)를 도시하는 제1도에 있어서, 휘도 성분을 포함하며, 아울러 한 주파수 fsc에서 칼라 부반송파의 변조에 의해 나타나는 측파대를 구비한 색도 성분을 포함하는 합성 비디오 V0가 한 입력 포트 또는 한 단자 CV에 나타난다. 신호 V0는 1수평 주기(1-H) 지연라인(11)의 한 입력에 공급된다. 신호 V0는, 예컨대, 종래의 아날로그 비디오 감출기의 출력 신호를, 본 도면들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4×fac와 같은 나아퀴스트 샘플링 기준을 만족하는 비율로 상기 비디오 검출기 출력 신호의 디지탈 등가 샘플들을 형성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입력 단자에 결합시키므로서 발생된다.
지연 라인(11)의 출력에서의 1-H만큼 지연된 신호 V1는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13a)를 형성하기 위해 신호 결합기(13)에서 단자 CV에서의 신호 V0와 가법적으로(additively)결합되며, 아울러 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15a)를 형성하기 위해 신호 결합기(15)에서 단자 CV에서의 신호 V0와 감법적으로(subtractively) 결합된다.
지연 라인(11)과 감법적 신호 결합기(15)의 결합은 1/2라인 주파수의 우수배에서의 최소 응답들사이에 점철되어 있는 합성 신호 V0의 1/2라인 주파수의 기수배에서의 일련의 응답 피크들을 나타내는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가진 제1코움 필터를 형성한다. 상기 색도 성분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들의 대역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코움 필터를 형성한다. 상기 색도 성분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들의 대역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코움 필터의 고주파 성분들이 코움 필터링된 신호 Z0를 형성하도록 고역 필터(16) 및 대역 필터(17)를 포함하는 캐스케이드된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통과된다. 신호 Z0는 스위치(22)의 한 입력에 결합되고, 이 스위치의 당해 TV수상기의 색도 채널로의 전달에 적합한 색도 신호(20)를 제공한다. 비-코옴(non-comb)필터링 된 색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1수평 라인 주기만큼 지연되고 대역 필터(27)에서 필터링된 합성 비디오 신호 V0가 스위치(22)의 제2입력에 결합된다. 제어 신호 HD에 응답하는 스위칭(22)는 각각 행잉 도트의 존재 및 부재시 상기 비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와 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를 색도 채널에 결합한다.
고역 필터(16)는, 종래 방식으로, 필터링 안된 신호(15a)와 저역 필터(16a)에서 저역 필터링된 신호(15a)를 신호 Z0를 발생시키는 감산기(16b)의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결합하므로써 형성되낟.
지연 라인(11)과 가법적 신호 결합(13)의 결합은 상기 1/2라인 주파수의 기수배에서의 최소 응답사이에 점철된 1/2라인 주파수의 우수배에서의 일련의 응답 피크들을 나타내는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가진 제2코움 필터를 형성한다. 신호 결합기(13)의 출력은 사실상 색도 성불 부속물이 없으며 아울러 수직 디테일(vertical detail)을 나타내는 저주파 성분이 바람직하지 않게 제거된 코움 필터링 휘도 신호를 구성한다. 상기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에 대한 수직 디테일의 복원은 추가적인 신호 결합기(21)에 의해 실시되며, 이 결합기는 신호 결합기(13)의 출력에서의 신호(13a)를 수직 디테일 필터를 형서하는 저역 필터(16a)의 출력에서의 수직 디테일 신호(70a)와 가법적으로 결합한다. 수직 디테일 필트(16a)는 신호(70a)를 형성하기 위해 신호 결합기(15)에 의해 공급된 신호의 저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이들 성분들은 상기 색도 성분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 아래의 대역안에 해당한다.
신호 결합기(21)의 출력은 수직 디테일을 포함하는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21a)이고, 통상적으로 행잉 도트의 부재시, 당해 TV수상기의 휘도 채널에 대한 입력 휘도 신호(10)로서 사용된다. 이 목적 때문에, 신호 결합기(21)의 출력은 전자 스위치(25)의 신호 입력 단자 A에 연결된다. 협대역 휘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1수평 라인 주기만큼 지연되고 트랩(38)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 V0는 스위치(25)의 제2입력단자 B에 연결된다. 제어 신호 HD에 응답하는 스위치(25)는 각각 행잉 도트의 부재 및 존재시 휘도 신호(10)를 형성하기 위해 자체 입력 단자 A 및 B를 출력 단자 L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
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 Z0가 1-H만큼 지연된 색도 신호 Z1를 형성하기 위해 1-H지연 소자(41)를 통해 결합된다. 신호 Z0 및 Z1는 소정의 화상 필트 내에서의 비디오 신호의 두 개의 연속 라인들을 나타낸다. 색도 신호 Z0 및 Z1는 인터-라인 색차 신호 Y0를 발생시키는 신호 결합기(가산기 : 47)에서 합산된다.
색도 신호 Z0의 소정의 비디오 라인이 바로 이전의 비디오 라인 안의 신호(신호 Z1)와 인치하는 칼라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신호 Z0 및 Z1는 예컨대 NTSC 표준에서의 카라 부반송파의 라인-대-라인 역 위상 관계로 인해 제로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어떠한 색차도 사익 소정의 비디오 라인과 행잉 도트 상태의 부재를 나타내는 선행 라인사이에서 발생하지 않을 때, 신호 Y0는 제로가 될 것이다.
한편, 예컨대, 색도 신호 Z0의 소정의 비디오 라인의 일부가 선행 비디오 라인을 나타내는 신호 Z1의 대응하는 부분과 상이할 때, 신호 Y0는 비제로(non-zero)가 될 것이다. 따라서, 신호 Y0는 인접한 비디오 라인들사이의 인터-라인 색차를 나타내게 된다. 신호 Y0가 비제로일 때, 이것은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13a)에서의 색도 신호 성분의 존재를 나타내게 될 수도 있다.
신호 Y0는 당해 신호 Y0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호 YOABS를 발생시키는 절대값 신호 형성 단(42)을 통해 결합된다. 신호 YOABS는 래치(43), 래치(45), 및 가산기(44)를 포함하는 신호 균분기를 통해 결합된다. 가산기(44)는 신호 Y0의 2연속 샘플의 절대값 평균의 두배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44a)를 공급한다. 신호 Y0의 샘플들은 예컨대 4×fsc에 일치하는 비율로 발생한다. 신호(44a)를 당해 신호(44a)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마다 신호(49)를 발생시키는 임계 검출기(46)를 통해 결합된다. 신호(49)는 본원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른 AND게이트 N1의 제1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신호(49)는 상당한 크기의 인터-라인 색차를 나타내며, 계속해서, 차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휘도 신호(13a)에서의 색도 신호 성분의 존재를 나타낼 수도 있다.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13a)는 신호 X0를 발생시키도록 3과 4MHz 사이의 통과 대역을 가진 대역 필터(50a)에서 필터링된다. 색도 스펙트럼을 점유하는 신호 X0는 당해 신호 X0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호 XOABS를 발생시키는 절대값 신호 형성단(51)을 통해 결합된다. 신호 XOHBS는 래치(52), 래치(541), 및 출력 신호(53a)를 형성하기 위한 가산기(53)를 포함하는 신호 균분기를 통해 결합된다.
신호(53a)는 예컨대4×fsc에 일치하는 비율에서 발생하는 신호 X0의 2연속 샘플 절대값 평균의 두배를 나타낸다. 신호(53a)는 이 신호의 크기가 대응하는 소정의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마다 신호(59)를 발생시키는 임계 검출기(54)에 결합된다. 신호(59)는 AND게이트 N1는 기본적으로 행잉 도프 제어를 위한 상관 신호(69)를 발생시키도록 상관 기능을 실행한다.
신호(69)는 행잉 도트 상태가 발생할 때 신호HD를 발생시키는 OR게이트 N2의 제1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신호 HD는 스위치(22 및 25)의 제어 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제3a도, 제3b도, 제3c도, 제3d도, 및 제3e도는 예컨대 제3a도의 신호 V0의 4개의 수평 구간 또는 비디오 라인들 H1, H2, H3, 및 H4동안 제1도의 대응하는 신호들의 파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1도 및 제3a내지 제3e도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 및 심볼들은 유사한 아이템 또는 기능들을 표시한다.
제3a도에서, 칼라 정보는 신호 V0의 각각의 비디오 라인들 H1및 H2안에 포함되지만, 수평 구간 H3및 H4의 어디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제3a도 신호 V0의 비디오 라인 H2및 H3에서의 색도 신호성분의 합을 나타내는 제3b도 신호(15a)의 진폭 A2은 비디오 라인 H2동안 보다도 비디오 라인 H3동안 더욱 작아진다. 마찬가지로, 비디오 라인 H4동안 신호(15a)는 훨씬 작아지거나 제로가 된다.
비디오 라인 H2동안 발생하는 진폭 A1에 대한 비디오 라인 H3동안의 신호(15a) 또는 Z0의 진폭 A2에 있어서의 감소는 행잉 도트 발생을 표시할 수 있는 제3c도의 신호 Y0가 비디오 라인 H3동안에 빌생되게 한다. 제3a도 신호 V0의 비디오 라인 H3은 칼라 정보를 포함하지 않지만, 선행 비디오 라인, 즉 비디오 라인 H2이 칼라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3d도의 신호 X0가 비디오 라인 H3동안 발생될 것이다. 각각 제1도 신호(59 및 49)의 발생을 초래하는 신호 X0 및 Y0의 동시 발생은 제3e도 신호 HD가 발생되게 한다. 따라서, 신호 HD는 행잉 도트 상태의 표시를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비디오 라인 H4동안 제로 진폭보다 큰 비디오 라인 H3동안의 진폭을 갖는 제3b도 신호(15a)도는 Z0는 제3c도의 신호 Y0가 비디오 라인 H4동안 발생되게 한다. 그러나, 비디오 라인 H3과 관련하여 앞서 논의된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제3d도의 고주파수 신호 성분 부재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Y0는 행잉 도트 상태를 표시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제1도의 AND게이트 N1는, 예컨대 신호 Y0가 발생되지만 제3d도의 신호 X0가 발생되지 않는 제3c도의 비디오 라인 H4 동안 제3e도의 제어 신호 HD의 발생을 저지한다. 따라서, 비디오 라인 H4동안 제1도의 휘도 신호(10)는 양호하게도 신호(49)가 발생될 지라도 광대폭을 갖는 코움 필터링된 신호가 남긴다.
양호하게도, 신호 Y0는, 색도 신호 Z0와 Z1 사이에서 위상차가 발생할 때, 신호Z0과 Z사에에서 진폭차가 발생할 때, 또는 위상 및 진폭 차의 결합이 발생할 때 형성된다. 따라서, 제1도의 장치는 예컨대 1주사 라인에 디스플레이된 칼라가 바로 이전의 주사 라인에 디스플레이된 칼라의 상보적 칼라일 때 발생하는 행잉 도트 상태를 감소시킨다.
동일한 극성의 전이들이 휘도 신호(13a)의 연속되는 비디오 라인 신호들 각각내의 대응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하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휘도신호(13a)가 비디오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될 때, 이것은 수직 라인을 따라 광도전이 경계를 형성하는 수평 방향에서의 광도 변화로서 나타난다. 상기 전이로 인해, 고주파 신호 성분이 앞서 언급된 신호 전이가 발생할 때의 순간을 포함하는 짧은 간격동안 신호(13a)의 각 비디오 라인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컨대 신호 V0의 칼라 부반송파에 가까울 수 있는 주파수를 가진 위와 같은 고주파 신호 성분의 위상은 앞서 언급된 신호(13a)의 연속 비디오 라인들 각각에 있어서의 위상과 동일하게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주파 신호 서분이, 단순한 동시 발셍에 의해, 색도 신호(15a)와 상관될 지라도, 해일 도트의 발생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따라서, 휘도 신호(10)에서의 앞서 언급된 대폭 감소를 불필요하게 막기 위해 위와 같은 고주파 신호 성분이 신호 Y0에 악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데, 이는 위와같은 고주파 신호 성분이 행잉 도트 발생을 표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속 비디오 라인들에서 동일한 위상을 갖는 위와 같은 고주파 신호 성분은 색도 신호(15a)에 현저하게 악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이는 상기 고주파 신호 성분이 신호 결합기(15)에서 선행 비디오 라인의 대응하는 부분 신호만큼 제거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호 Y0 또한 영향 받지 않게 될 것이다. 신호 Y0 및 그에 따른 신호(49)가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휘도 신호(13a) 내에서의 위와 같은 고주파수 신호 성분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는 신호(59)의 발생은 양호하게도 스위치(25 및 22)를 제어하는 신호 HD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될 것이다. 신호(10)의 대폭이 양호하게도 감소되지 않을 것이며, 결국 최종 디스플레이된 화상이 대응하는 예리한 전이 경계를 유지할 것이다.
합성 비디오 신호 V0에서 수직 디테일을 나타내는 신호(70a)가 이 신호(70a)의 절대값을 나타내는신호(70c)를 형성하기 위해 절대값 신호 형성단(70b)에 결합된다. 신호(70a)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마다, 신호(70c)는 신호(70e)를 발생시키는 임계 검출기(70d)의 입력 단자에 결합된다. 신호(70e)는 소정의 크기를 초과한 합성 비디오 신호 V0의 연속 비디오 라인들 사이의 휘도 신호의 키기에 있어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휘도 신호의 크기에 있어서의 위와 같은 상당한 변화가 발생할 때, 그들은 일반적으로 라인-대-라인 색차를 수반한다. 예컨대, Hartmeier명으로 COMB FILTER HANGING DOT ELIMINATOR라는 명칭의 U.S. Patent No. 4, 636, 842를 참조하여라. 신호(70e)는 따라서 행잉 도트의 잠정적인 발생의 다른 표시이다. 신호(70e)는 제어 신호 HD를 형성하도록 OR 게이트 N2를 거쳐 결합된다.
제2도는 또한 행잉 도트 상태의 가시성(visibility)을 크게 감소시키는 본원 발명의 또다른 양상을 구현하는 텔레비젼 장치(100')를 도시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 및 심볼은 동일한 아이템 및 기능을 나타낸다.
제2도의 장치(100')에 있어서, 다음의 신호들은 제1도 장치(100)의 대응하는 신호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된다. 즉, 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15a'), 수직 디테일들이 복원되는 제2도의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21a'), 수직 디테일 신호(70a'), 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 Z0', 비-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38a'), 신호(59'), 신호(70e'), 및 비-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27a')가 발생된다.
제2도의 장치(100')는 신호 V'에 결합된 입력 단자와 신호 V2'를 형성하는 출력단자를 가진 1-H 지연라인(11)을 포함한다. 장치(100')에 있어, 신호 V1' 및 V2는 다음과 같은 신호, 즉 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15a),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13), 수직 디테일이 복원된 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21a), 수직 디테일 신호(70a), 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 Z0, 비-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38), 신호(59), 신호(70), 및 비-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27a)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신호들은 어떠한 프라임 심볼도 부가 되지 않은 제1도의 대응하는 신호들과 또는 각각 단일 프라임이 부가된 제2도에서의 신호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된다. 그러나, 더블 프라임이 부가된 신호들은 바로 이전의 비디오 라인 구간과 관련된다.
제2도의 신호 HD'가 아래에서 주지되는 바와 같은 차이점만 제외하면 제1도의 신호 HD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된다. 제2도의 장치에서, 신호 Z1'가 각각 제1도의 필터(16a), 감산기(16b), 필터(17)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제2도의 저역필터(16a), 감산기(16b), 및 대역 필터(17)의 동작의 결과로서 발생된다. 제2도의 신호 Z1'는 제1도의 신호 Z1과 일치한다. 또한, 제2도의 신호 HD는 당해 신호 HD가 신호 HD'에 대해 바로 이전의 비디오 라인 구간과 관련된 신호(13a)에서의 행잉 도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고는 신호 HD'와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된다.
제1가설적 상황에서, 신호 HD'는 발생되지 않는다. 예컨대 신호(13a')내의 행잉 도트 상태의 부재에 상당하는 제1가설적 상황에 있어서, 수직 디테일들을 포함하는 코움 필터링된 신호(21a')는 스위치(25')에 의해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10')를 형성하도록 스위치(25')의 출력 단자 LO'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스위치(22')는 제1도의 장치(100)에 대해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코움 필터링된 출력 색도 신호(20')를 형성하기 위해 신호 Z0'를 결합시킨다.
제2가설적 상황에 있어서, 제2도의 신호 HD' 및 HD가 발생된다. 이 경우, 스위치(22) 및 스위치(22')는 제1도의 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비-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20')를 형성하기 위해 스위치(22')의 출력 단자 CO'에 비-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27a)를 결합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도의 비-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38a')는 스위치(25) 및 스위치(25')를 거쳐 비-코움된(non-combed) 휘도 신호(10')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것이다.
제3의 가설적 상황에서 신호 HD'는 발생되지만 신호 HD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제3상황은 신호(13a')내의 행잉 도트 상태의 존재와 신호(13a)내의 행잉 도트 상태의 부재를 나타낸다. 양호하게도, 상기 제3가설적 상황에서, 선행 비디오 라인 구간과 관련된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21a)는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10')를 형성하기 위해 단자 LO'에 결합될 것이다. 따라서, 양호하게도, 제1도의 장치(100)에 관해 논의된 상황과는 달리, 이 경우, 제2도의 신호(10')는 선행 비디오 라인의 휘도 정보를 포함하는 광대역 코움 필터링된 신호가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색도 신호(20')는 스위치(22 및 22')가 코움 필터링된 색도 신호(20')를 형성하도록 선행 비디오 라인과 관련된 색도 신호 Z0'를 결합한다. 제3가설적 상황에서, 양 신호(10' 및 20')는 제1도의 장치(100)와 관련하여 앞서 논의되었던 대응하는 상황에서 보다 더 만족스러운 화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7)

  1. 기저대 합성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신호에 결합되는 그 안에 포함된 휘도 정보에 따라 코움 필터링된(comb filtered) 제1후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코움 필터와;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포함된 색도 정보에 따라 제2색도 신호가 제1색도 신호에 관해 시간적으로 시프팅되도록 제1 및 제2색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1색 및 제2색도 신호에 응답하여 그들 사이의 차에 따라 인터-라인(inter-line) 색차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코움 필터에 연결되고 상기 인터-라인 색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코움 필터내에 발생된 신호가 상기 인터-라인 색차 신호와 상관될 때 상관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및 상기 제1 휘도 신호에 결합되고 상기 상관 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코움 필터휘도 신호에 따라 상기 상관 표시 신호가 상기 출력 휘도 신호를 변하게 하도록 상기 출력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비-코움(non-comb)필터링된 휘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관 표시 신호 발생 수단이 상기 인터-라인 색차 신호에 응답하여 당해 임계 검출기의 한 출력에 따라 상기 상관 표시 신호가 각각 발생되고 발생되지 않을 때 상기 비-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 및 코움 필터링된 휘도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상기 출력 휘도 신호 발생 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라인 색차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인터-라인 색차 신호가 상기 제1인터-라인 색차 신호의 소정의 비디오 라인내의 상기 제1인터-라인 색차 신호의 대응하는 부분들을 평균을 나타내도록 제2인터-라인 색차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관 표시 신호 발생 수단이 상기 제2인터-라인 색차 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출력 휘도 신호 발생 수단이 장기 ㅜㄹ력 휘도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검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인터-라인 색차 신호 크기의 증가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움 필터링된 제1휘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코움 필터링된 제1휘도 신호의 고주파 스펙트럼 부분에 상당하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점유하는 휘도 제3신호를 방생시키는 필터 및 상기제3신호및 상기 인터-라인색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신호가 상기 인터-라인 색차 신호와 상관될 때 상기 상관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제3신호 및 상기 인터-라인 색차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신호가 소정의크기를 초과할 때 대응하는 제 4및 제 5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임계 검출기를 포함한며, 이때 상기상관 표시신호 발생 수단이 상기 제 4 및 제 5신호가 발생될때 상기 상관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 4및 제5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표시 신호 발생 수단이 상기 색차 표시 신호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인터-라인 색차 신호에 응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KR1019880011574A 1987-09-10 1988-09-08 행잉 도트 감소 장치 KR0135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774 1987-09-10
US07/094,774 US4809060A (en) 1987-09-10 1987-09-10 Hanging dot reduction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086A KR890006086A (ko) 1989-05-18
KR0135767B1 true KR0135767B1 (ko) 1998-04-22

Family

ID=2224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574A KR0135767B1 (ko) 1987-09-10 1988-09-08 행잉 도트 감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09060A (ko)
JP (1) JPH01106597A (ko)
KR (1) KR0135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7388A (en) * 1987-09-18 1989-03-23 Toshiba Corp Composite signal separating circuit
US5025311A (en) * 1987-12-28 1991-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separating apparatus
JPH01251980A (ja) * 1988-03-31 1989-10-06 Hitachi Ltd ディジタル映像信号処理回路
CA1322241C (en) * 1988-07-22 1993-09-14 Hisafumi Motoe Moving detection circuit
US5093715A (en) * 1989-08-10 1992-03-03 Sony Corporation Adaptive comb filter for separating at least one component of a video signal
JPH03112288A (ja) * 1989-09-27 1991-05-13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回路
KR920004124B1 (ko) * 1989-10-05 1992-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합영상신호의 인터리이브 관계 검출회로
JP2840783B2 (ja) * 1990-03-08 1998-12-24 ソニー株式会社 ロジカルコムフィルタ
JP2522433B2 (ja) * 1990-03-27 1996-08-07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動き信号検出回路
KR920010787B1 (ko) * 1990-06-09 1992-1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US5267027A (en) * 1991-04-30 1993-11-30 Sanyo Electric Co., Ltd. Comb filter-type Y/C separator circuit
ATE185037T1 (de) * 1991-11-15 1999-10-15 Snell & Wilcox Ltd Farbfernsehverarbeitungsschaltung
US6424384B1 (en) * 1999-07-22 2002-07-23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ignal filtering
US6459457B1 (en) * 1999-12-21 2002-10-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aptive color comb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4313B (en) * 1977-04-15 1983-06-29 British Broadcasting Corp Ntsc colour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US4178609A (en) * 1977-10-25 1979-12-11 The Magnavox Company Comb filter having improved luminance response
NL7803910A (nl) * 1978-04-13 1979-10-16 Philips Nv Kamfilterschakeling.
US4240105A (en) * 1979-08-20 1980-12-16 Yves C. Faroudj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JPS58121889A (ja) * 1982-01-14 1983-07-20 Victor Co Of Japan Ltd くし形フイルタ
JPS59151592A (ja) * 1983-02-17 1984-08-30 Pioneer Electronic Corp 輝度信号及び色信号分離回路
US4641186A (en) * 1984-05-03 1987-02-03 Rca Corporation Motion detector that extracts motion information from sidebands of a baseband television signal
US4598309A (en) * 1984-05-29 1986-07-01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that includes a frame store using non-interlaced scanning format with motion compensation
JPS61247186A (ja) * 1985-04-25 1986-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処理回路
US4636842A (en) * 1984-11-29 1987-01-13 Rca Corporation Comb filter "hanging dot" eliminator
JPS61212184A (ja) * 1985-03-15 1986-09-20 Nec Home Electronics Ltd カラ−テレビジョン信号のy/c分離装置
US4616254A (en) * 1985-04-18 1986-10-07 Rca Corporation Hanging dot reduction system
US4734758A (en) * 1985-04-25 1988-03-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ignal processing circuit
JPH0671337B2 (ja) * 1985-12-10 1994-09-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信号処理回路
US4694331A (en) * 1985-10-01 1987-09-15 Rca Corporation Vertical transition processor for a comb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06597A (ja) 1989-04-24
KR890006086A (ko) 1989-05-18
US4809060A (en) 198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9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US42401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US4223340A (en) Image detail improvement in a vertical detail enhancement system
KR0135767B1 (ko) 행잉 도트 감소 장치
DE3936242C2 (ko)
GB2138243A (en) Arrangement for the separation of the luminance and colour information of a colour television signal
US4864389A (en) Comb filter method and apparatus for chrominance and luminance separation in quadrature modulated color subcarrier television systems
GB1576551A (en) Comb filter apparatus
JPS6133500B2 (ko)
KR100320901B1 (ko) 움직임검출회로
US5386249A (en) Video motion detector with full-band response except for diagonal spatial frequencies
US4597007A (en) Circuitry for correcting frame combed luminance signal for motion induced distortion
US5047866A (en) Comb filter type luminance/chrominance signal separation circuit
US6052157A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chrominance and luminance components of a color television system
KR930003178B1 (ko) 상관적응형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
US4916526A (en) Bandwidth control for chrominance and luminance paths in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JPH0135553B2 (ko)
US4686561A (en) Vertical detail information restoration circuit
EP0464879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and the method thereof
KR0126472B1 (ko) 색도 및 휘도 비디오 신호 분리용 적응성 콤필터 및 신호 분리 방법
GB2253321A (en) Chrominance filtering system
KR930011977B1 (ko) 콤 필터 "행깅 도트" 제거기
US5373329A (en) Method of picture movement signal detection and associated circuit
JPH02113672A (ja) 輝度信号処理回路
CA1170760A (en) Method for separating chrominance and luminance signals from a composite video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