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167B1 -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5167B1 KR940005167B1 KR1019910006797A KR910006797A KR940005167B1 KR 940005167 B1 KR940005167 B1 KR 940005167B1 KR 1019910006797 A KR1019910006797 A KR 1019910006797A KR 910006797 A KR910006797 A KR 910006797A KR 940005167 B1 KR940005167 B1 KR 940005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box
- recording paper
- bundle
- storage
- image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42C1/125—Sheet sorters combined with bin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B65H39/11—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in superposed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1—Bottom with several surface portions forming an angle relatively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3—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with variable location in space of the bins relative to a stationary in-feed p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4—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means for shifting articles contained in at least one bin, e.g. for displacing the articles towards processing means as stapler, perforator
- B65H2408/114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means for shifting articles contained in at least one bin, e.g. for displacing the articles towards processing means as stapler, perforator performing alignment in the totality or a large number of bins at a tim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처리장치(Finisher)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특별한 작동 단계에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나타난 작동단계를 도시한 일부확대도.
제5도는 제4도의 화살표 방향에 따른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갖춰진 보관함(bin)의 사시도.
제7도는 보관함의 선단부와 프레임(Frame)의 선단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보관함의 특별한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보관함에 형성된 만곡부위에 기록지가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10도는 죠거(Jogger)의 확대사시도.
제11a도 내지 제11e도는 특별한 작동단계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갖춰진 기록지 이송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12도는 캠요홈(Cam groove)의 특정 형상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기록지 이송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제14도는 기록지 이송장치의 부분단면도.
제15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화상형성 후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보관함(bin) 5 : 보관함 이송장치
6 : 묶음장치 7 : 기록지 이송장치
27 : 코일스프링 31 : 돌기
39 : 죠거아암(Jogger arm) 46 : 인출장치
47 : 복귀장치 57 : 안내핀
65 : 노치(Notch) 71 : 활주대
본 발명은 복사기, 레이져 프린터, 또는 이와 유사한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후처리 장치(Finish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형성장치로 부터 연속적으로 송출되는 기록지를 분류하는 기능과, 적층하는 기능 및, 차례로 철(綴)하는 기능을 갖춘 화상형성 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류장치(sorter)를 갖춘 후처리장치는 분류모드 또는 적층 모드에서 트레이(tray)나 보관함(bin)에 화상이 형성된 기록지를 차례로 적층하도록 복사기나 이와 유사한 화상형성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번호 제44662호/1988년에 개시된 후처리장치는 기록지 배출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개의 트레이를 갖추어 화상형성장치로 부터 기록지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진보된 후처리장치는 각각의 보관함으로 차례차례 배분된 기록지 다발을 철(stapling)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후처리장치, 즉 분류장치/묶음장치(stapler)를 갖춘 후처리장치는 일본국 특허공개 번호 제302호/1989년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레이에 대하여 묶음위치로 이동 가능한 묶음장치를 갖추어 연속적으로 상기 트레이위에 적재된 기록지다발을 철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분류장치/묶음장치는 분류장치에다가 부가적인 기능으로서 철하는 기능을 갖추도록 한 시도의 결과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분류장치에는 묶음 장치를 설치하는데에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 분류장치에 의해 각각의 트레이 위에 적층된 기록지는 선단부가 말리거나(curled) 또는 변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변형된 기록지는 트레이로 부터 묶음위치까지 용이하게 송출되지 않고, 트레이위에 상기 기록지가 철해지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된다. 또한, 상기 기록지는 묶음위치로 이송될 때 말린 상태를 따라 더욱 굽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묶음 기능이 없는 분류장치는 각각의 트레이위에 기록지를 적층하여 트레이 중앙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분류장치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죠거(jogger)를 갖추어 트레이의 일측에 위치된 묶음위치와 근접한 기준위치로서 트레이의 중앙부에 상기 적층된 기록지를 가지런히 정돈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로 부터 기록지를 묶음위치로 이송시키는 종래의 기계 구조는 제작면에서 매우 복잡한 문제점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류 및 적층 기능을 동시에 갖춘 화상형성 후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기능이 향상된 화상형성 후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 후처리장치는 화상형성장치로 부터 연속적으로 송출되는 다수의 기록지를 배출구를 통해 다수의 보관함으로 분배하여 상기 기록지를 보관함에 적층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보관함을 상기 배출구와 마주하는 소정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보관함 이송수단; 상기 다수개의 보관함중에서 상기 소정위치로 이동된 상부 보관함과 하부보관함 사이에 형성되어 기록지를 한번에 하나씩 수납하는 보관함 유입구; 상기 다수개의 보관함 각각에 적층된 기록지를 묶음위치에서 철해주는 묶음수단; 상기 다수개의 보관함 각각으로부터 기록지 다발을 묶음위치로 인출하여 상기 묶음 수단이 기록지 다발을 철하고 상기 기록지 다발을 보관함으로 다시 복귀시키는 기록지 이송수단; 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허 공개번호 제44662호 /1988년에 개시된 종래의 화상형성 후처리장치를 참조기술로서 설명한다. 제15도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처리장치가 다수개의 트레이(100)와, 트레이(100)를 한번에 하나씩 이동시켜 주거나 반대로 복귀시켜주는 트레이 이송장치(101)를 갖추고 있다. 트레이(100)가 위치 변경될 때마다, 기록지 유입구(102)는 트레이(100)와 다음 트레이(100) 사이에 형성되어 기록지(S)가 화상형성장치로 부터 송출되는 배출구를 마주하도록 된다. 기록지(S)는 화상형성장치로 부터 연속적으로 송출되어 기록지 유입구(102)를 통해 트레이(100)로 분배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인접한 트레이의 내측단(100a)은 트레이 이송장치(101)에 의해 상, 하로 이동된다. 트레이(100)의 외측단(100b)은 서로 적층되어 있다. 최하단의 트레이(100)는 프레임(104)에 장착된 내마모성 로울러(103)위에 놓여 있다. 트레이(100)가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트레이(100)는 서로 적층된 외측단(100b)을 퉁심으로 회전한다. 최하단으로부터 두번째 위치된 트레이(100A)가 이동장치(101)에 의해 상승되었다고 즉, 제15도의 일점쇄전(Dash-and-dot)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트레이(100A)의 각위치(angulat position)은 최하단의 트레이(100b)의 각위치와 다르게 된다. 트레이(100)중의 어느 것도 다른 트레이에 대하여 임의의 이동지점에서 동일한 각위치를 갖지 않게 된다.
따라서, 후처리장치에 기록지를 철해주는 묶음 장치가 장착되면, 각각의 트레이에 대하여 묶음 장치는 회전되거나 조금씩 이동되어야만 하게 된다. 따라서 매우 복잡한 기계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가 참조번호(1)로서 부여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장치(1)는 하부 프레임(2)과 측면프레임(3)을 갖추어 케이싱(casing)을 구성하고 있다. 다수개의 보관함(4)(bin)은 상기 케이싱내에서 상, 하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적층되어 수용되어 있다. 보관함(4)의 내측단은 보관함 이송장치(5)에 의해 상, 하로 이동된다. 묶음 장치(6)는 스테플(staple)(6a)과 기록지 이송장치(7)를 갖추고 측면 프레임(3)에 장착된다.
상기 기록지 이송장치(7)가 기록지(S) 다발을 어느 하나의 보관함(4)으로 부터 묶음 장치(6)로 인출한 후, 상기 묶음 장치(6)가 기록지 다발을 스태플(6a)로서 철(綴)한다. 죠거(Jogger)(8)는 하부 프레임(2)에 장착되어 있다. 기록지(S)가 보관함(4)중 어느 하나로 부터 인출될 때마다, 죠거(8)는 기록지(S)를 보관함(4)의 기준면, 즉, 묶음 장치(6)과 인접한 기준면에 대하여 밀착시키고, 따라서 기록지를 정확하게 위치시켜 준다. 상부 안내 플레이트(9)와 하부 안내 플레이트(10)는 그 사이에 기록지 이송통로를 형성한다. 상부로울러(11)와 하부로울러(12)는 상부 안내플레이트(9)와 하부 안내플레이트(10)에 각각 회전가능토록 정착되어 한쌍의 로울러를 형성한다. 정전기의 대전을 분산시키는 브러쉬(brush)가 상부로울러(11) 하류(Downstream)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부 리미트스위치(upper limit switch)(13), 하부 리미트스위치(14), 상부 하부로울러(12)를 구동시키는 모터(15), 모터(15)의 회전력을 하부로울러(12)에 전달하는 벨트(16) 및, 상기 부품을 제어하도록 상, 하부 리미트스위치(13)(14)와 모터(15)에 연결된 콘트롤러(controller)(17)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러(17)는 복사기 또는 이와 유사한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콘트롤러(18)에 의해 제어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이송장치(5)는 기어열(20)을 통하여 모터(19)에 의해 역전 가능토록 구동되는 제네바 휠(Geneva wheel)(21)을 갖추고 있다.
상기 제네바 휠(21)는 외주면에 하나의 요홈(22)을 갖추고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3)은 각각의 보관함(4) 내측단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보관함(4)에 형성된 핀(23)은 제네바 휠(21)의 요홈(22)과 한번에 하나씩 결합되게 된다. 측면 프레임(3)에는 각각 안내 요홈 또는 채널(channel)(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관함(4)로부터 돌출한 핀(23)은 측면 프레임(3)의 안내요홈(24)에 수용되고 프레임(3)의 외측으로 돌출연장된다. 안내요홈(24)은 각각 서로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상,하부 직선부(24a)(24b)와 상기 상, 하부 직선부(24a)(24b)를 서로 이어주는 만곡부(24c)를 갖추고 있다.
상기 만곡부는 제네바 휠(21)을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안내요홈(24)에 수용된 핀(23)은 제네바 휠(21)과 접촉하는 위치이상으로 이동될 수 없다. 특히, 핀(23)이 제네바 휠(21)의 요홈(22)내에 수용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네바 휠(21)의 회전에 따라 하부 직선부(24b)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핀(23)이 제네바 휠(21)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하나의 보관함(4)이 제네바 휠(21)의 회전에 따라 상부 직선부(24a)로 부터 하부 직선부(24b)로 하향 이동되면, 상부 직선부(24a)에 수용된 최하단의 보관함(4)내측단과 상기 하부 직선부(24b)에 수용된 최상단의 보관함(4) 내측단 사이에는 일정공간(25)이 형성된다. 축(26)은 최하단의 보관함(4) 하부에 위치되어 코일 스프링(27)에 의해 상부로 편향지지되고, 차례로 하부 직선부(24b)에 수용된 핀(23)을 상부로 탄력지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하부 직선부(24b)의 최상부 핀(23)은 항상 제네바 휠(21)의 외주면에 압압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러나, 제네바 휠(21)이 역전되면, 하부 직선부(24b)에 위치되어 제네바 휠(21)과 압압상태로 위치된 상기 핀(23)이 요홈(22)으로 삽입되고, 제네바 휠(21)에 의해 상부 직선부(24a)까지 상승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관함(4)는 직립된 후벽(28)을 갖추어 내측단 또는 후단부로 부터 돌출되고, 상기 외측단 또는 선단부의 양측면으로 부터 돌출된 연장부(29)와, 기록지 이송장치(7)와 마주한 보관함(4)의 일측면에 돌기(31)와 노치(Notch)(32)을 갖추고 있다. 상기 돌기(31)는 보관함(4)의 상기 언급된 일측면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관함(4)은 스페이서(spacer)(30)와 두께가 일치하는 기록지 다발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4)의 연장부(29)는 하부프레임(2)의 상단 모서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안내부재(33)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안내부재(33)는 만곡된 다리부(leg)(33a)와, 상기 다리부(33a)와 연접된 평면부(33b)를 갖추고 있다. 안내요홈(24)의 상부 직선부(24a)와 안내부재(33)의 평면부(33b) 사이에 형성된 거리 및 각각의 보관함(4) 전체길이는, 상기 평면부(33b)에 연장부(29)가 위치되는 보관함(4)이 상부 직선부(24a)에 수용된 다수개의 보관함(4)중의 최하단에 위치된 보관함(4)이 되도록 선택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직선부(24b)와 다리부(33a)는 하부 직선부(24b)에 위치된 좌상단 보관함(4)의 연장부(29)가 평면부(33b)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다리부(33a)에 위치되도록 서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연장된다. 공간(25)은 보관함(4)의 내측단을 향해 연속적으로 확장된다. 상기 구조에서, 상부 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4)중의 최하단 보관함과 하부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4)중의 최상단 보관함은 각각 양측단부가 위치 변경되지 않는 특별한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다음 번의 보관함(4)이 상부 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4)의 최하단부 또는 하부 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4)의 최상단부로 위치 이동될 때마다 상기 설명된 특별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은 묶음 장치(6)와 기록지 이송장치(7)가 제자리에 고정되어 상부 직선부의 최하단에 위치된 보관함(4)위에서 언제나 기록지(S)를 철해줄 수 있도록 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죠거(8)는 모터(34), 상기 모터(34)의 회전축에 장착된 디스크(34a), 링크(35), 하부프레임(2)에 장착된 베어링(36)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는 축(37), 위치조정 방향으로 절곡되고 중앙부에서 돌출된 돌기(38)를 갖춘 죠거아암(Jogger arm)(39), 일측단이 죠거아암(39)에 지지되고 타측단이 하부 프레임(2)에 형성된 요홈(4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죠거아암(39)을 위치조정방향으로 향상 탄력지지하는 코일 스프링(41), 축(37)에 이동가능토록 장착되고 링크(35)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44)를 갖추고 있다.
상기 플레이트(44)로 부터 돌출한 돌기(43)는 죠거 아암(39)과 접촉하여 일측을 탄력지지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죠거 아암(39)은 보관함(4)이 적재된 측에서 돌출부(38)을 갖추어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38)는 상부 직선부과 하부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사이의 공간(25)으로 돌출 형성된다. 실제작동에서, 죠거 아암(39)의 돌출부(38)는 하부직선부의 최상단에 위치된 보관함(4)으로 송출된 기록지(S)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기록지(S)를 기준면(42)으로 밀어준다. 기록지 이송장치(7)는 모터(45)(제11b도 참조), 상기 모터(45)에 의해 구동되는 인출장치(46)(제11a도 내지 제11e도 참조)와, 복귀 장치(47)를 갖추고 있다. 제11b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5)는 지지 프레임(48)에 형성된 공간내에 수용된다. 나사가 형성된 기어(49)는 모터(45)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다. 기어(50)는 동력전달축(51)에 장착되어 기어(49)와 맞물림하고 있다. 동력전달축(51)은 지지프레임(48)의 일부분을 이루는 2개의 지지부재(52)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저어널(Journal) 결합하고 있다. 동력전달축(51)은 지지부재(52)로부터 돌출된 일측 단부에서 인출장치(46)를 구동하고 타측단부에서 복귀장치(47)를 구동한다.
제1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아암(Crank arm)(53)은 동력전달축 (51)의 일측단부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링크(54)에 의해 활주대(55)와 연결된다. 크랭크 아암(53)과 링크(54)는 상호작동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안내요홈(56)은 활주대(55)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각각 지지프레임(48)에 고정된 아내핀(57)을 수용하고 있다. 활주대(55)의 타측단부는 상부 조임부재(58)를 형성하고 있다. 하부 조임부재(59)는 활주대(55)에 회전가능토록 장착되고 상부 조임부재(58)로 이동되어 기록지(S) 다발을 집는다. 스프링(60)이 상, 하부 조임부재(58)(59)에 설치되어 상부 조임부재(58)에 대하여 하부 조임부재(59)를 탄력지지하고 있다. 판스프링(61)은 하부 조임부재(59)에 고정되어 핀(62) 형태의 캠 종동부재(cam follower)가 판스프링(61)의 자유단부에 고정되게 된다. 캠 종동부재 또는 핀(62)은 지지프레임(48)의 측면에 형성된 캠 요홈(63) 내부에 수용되어 판스프링(61)에 의해 캠 요홈(63)의 하부면에 압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캠 종동부재(62)는 캠 요홈(63)을 따라 활주되어 스프링(60)의 작용력으로 하부 조임 부재(59)를 이동시켜 주거나 개방시켜 준다. 캠 요홈(63)은 상부 요홈(63a), 좌측면 요홈(63b), 하부 요홈(63c) 및 우측면 요홈(63d)에 의해 형성된 평행사변형 형상을 갖추고 있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 요홈(63d)에는 경사면(63e)과 측벽(63f)이 형성되어 캠 종동부재(62)의 역전(뒤집힘)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캠 종동부재(62)는 캠 요홈(63)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활주한다. 캠 종동부재(62)는 하부 조임 부재(59)를 상부 조임 부재(58)로 부터 멀어지게 하여 상부 요홈(63a)에 캠 종동부재(62)가 위치될 때 가장 최대로 개방된 위치에 오도록 한다. 하부 요홈(63c)에 캠 종동부재(62)가 위치되면, 캠 종동부재(62)는 하부 조임부재(59)를 이동시켜 상부 조임부재(58)와 함께 기록지(S)를 집는다. 하부 요홈(63c)은 다른 3개의 요홈 보다 큰 폭을 갖추어 상, 하부 조임부재(58)(59)가 스프링(60)의 작용력으로 두께에 관계없이 기록지(S)를 적절하게 집도록 하여 준다. 참조부호(64)는 집혀지는 기록지의 선단부를 접촉하여 위치조정하는 위치조정부재이다.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장치(47)는 동력전달축(5)의 타측단부에 고정된 구동 디스크(66)를 갖추고 있다. 상기 구동 디스크(66)는 센서(67)(sensor)에 의해 검지되는 노치(65)(Notch)를 갖추고 있다. 누름핀(68)은 구동디스크(66)에 고정되어 동력전달축(51)과 이동가능토록 결합된 크랭크 아암(69)을 회전구동한다. 크랭크 아암(69)의 자유단부는 링크(70)에 의해 활주대(71)와 연결되어 구동디스크(66)의 회전운동을 활주대(7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준다. 안내요홈(72)이 활주대(7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안내 요홈(72)은 지지프레임(48)에 고정된 안내핀(73)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활주대(71)는 타측단부 압압부재(74)를 갖추고, 상기 압압부재(74)는 인출 장치(46)에 의해 보관함(4)으로부터 송출된 기록지(S)를 활주대(71)의 활주운동으로 보관함(4)으로 밀어주도록된 구조를 같추고 있다. 스프링(75)이 활주대(71)와 지지프레임(48) 사이에서 팽창된 상태로 삽입되어 압압부재(74)를 항상 탄력지지함으로써 압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준다.
특히, 스프링(75)은 활주대(71)를 제13도의 우측으로 탄력지지한다. 따라서, 구동디스크(66)와, 이에 연결된 누름핀(68)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누름핀(68)이 크랭크 아암(69)을 P1의 위치로부터 P2의 위치로 Q2각도만큼 이동시키면, 크랭크 아암(69)이 스프링(75)의 작용력으로 인해 마찰균형이 상실되어 누름핀(68)으로부터 신속히 회전되고, 활주대(71)가 좌측으로 빠르게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본 발명의 후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제1도에는 모든 보관함(4)이 제네바 휠(21) 상부에 위치된 안내요홈의 상부 직선부(24a)내에 수용된 특별한 조건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최하단부의 보관함(4)에 위치된 핀(23)은 중력으로 인하여 제네바 휠(21)의 외주면에 놓여지게 되고, 보관함(4)의 스페이서(30)는 하부 프레임(2)의 평면부(33b)에 놓여지게 된다. 축(26)은 코일스프링(27)의 작용력으로 인하여 하부로 부터 제네바 휠(21)의 외주면에 압압된다. 핀(23)의 직경과 스페이서(30)의 높이는 차례로 적층된 보관함(4)이 서로 평행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선택되어 있다. 최상단 보관함(4)의 핀(23)은 상부 리미트스위치(13)와 접촉하고 있다. 모터(19)가 제네바 휠(2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요홈(22)이 안내 요홈(24)에 도달하게 되면, 최하단보관함(4)의 핀(23)은 상기 요홈(22)으로 삽입되고, 안내요홈(24)의 만곡부(24c)를 따라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보관함(4)의 핀(23)이 안내요홈(24)의 하부 직선부(24b)에 도달하면, 하부직선부(24b)의 경사로 인하여 요홈(22)으로 부터 빠져 나오게 되고, 요홈(22)에 의해 하부로 밀려진 상태에서 축(26)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핀(23)이 하부로 이동될 때, 보관함(4)의 스페이서(30)는 평면부(33b)로부터 다리부(33a)로 활주이동한다. 한편, 하부직선부(24b)로 삽입된 핀(23)은 코일스프링(27)에 의해 항상 상부로 탄력지지되는 축(26)에 의해 하부로 부터 제네바 휠(21)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관함(4)은 소정위치에서 지지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보관함(4)도 상부 직선부(24a)로 부터 하부직선부(24b)까지 한번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제2도에는 5개의 보관함(4)이 하부 직선부(24b)에 수용된 다른 특별한 조건이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과 하부 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은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져 장착되고, 상, 하부 로울러(11)(12)에서 제네바 휠(21)로 향하여 점차로 확장되는 공간(25)이 형성되어 있다. 기록지 이송장치(7)는 상기 공간(25)를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하부 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4)의 스페이서(30)는 안내부재(33)의 평면부(33b)로부터 다리부(33a)까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위치이동되어 있다.
각각의 보관함(4)의 핀(23)이 하부직선부(24b)로 위치이동되면, 다리부(33a)에 놓여진 보관함(4)의 스페이서(30)는 핀(23)과 동일한 거리 만큼 하부로 위치이동한다. 죠거(8)는 기록지(S)다발을 가지런하게 정돈하여 묶음 장치(6)에 의해 연속적으로 철 될 수 있도록 한다. 죠거(8)는 기록지(S)가 하부직선부에 위치된 최상단보관함(4)으로 진입할 때마다 작동된다. 특히,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죠거 아암(39)은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모터(34)가 구동되면, 디스크(34a)는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어 링크(35)를 매개로 플레이트(44)를 일정각도 회전시킨다.
상기 플레이트(44)의 회전되는 범위는 죠거 아암(39)의 회전범위보다 크게 선택되어, 즉, 취급되는 기록지의 최소 크기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죠거 아암(39)은 연속적으로 기록지의 크기에 관계없이 코일스프링(41)의 작용력으로 기록지를 기준면(42)으로 밀어준다. 이때, 죠거아암(39)의 돌출부(38)는 공간(25)내에 위치되어 하부 직선부에 위치된 최상단 보관함(4)으로 분배된 기록지(S)만을 접촉하게 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41)의 작용력은 보관함(4)내에서 수용될 수 있는 최대크기의 기록지(S) 한장을 충분히 밀어줄 수 있는 힘을 갖추고 있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코일 스프링(41)은 기록지(S)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기록지(S)를 변형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죠거 아암(39)이 일정거리를 이동하여 기록지(S)를 정돈한 다음 기록지(S)를 변형시킴 없이 자연스럽게 정지하도록 된다. 제8a도 및 제8b도는 기록지(S)가 내부에 적층되어 기준면(42)으로 편향된 보관함(4)의 특별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제8a도에 도시된 보관함(4)은 부드럽게 상부로 만곡되어, 기록지(S)가 진입하는 방향에 대한 양측단부의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형성된 정점부(4a)를 갖추고 있다. 제8b도의 보관함(4)은 상기 양측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돌기(4b)를 갖추고 있다.
상기 정점부(4a)와 돌기(4b)는 기록지(S)의 중앙선 보다 기준면(42)으로 부터 좀더 멀리 위치되어 보관함(4)의 기록지(S)가 중력에 의해 기준면(42)으로 편향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적층된 기록지가 기준면(42)과 접하여 안정하게 위치되고, 죠거(8)에 의해 가지런히 정돈되는데 필요한 작용력을 감소시켜 주게 된다. 보관함(4)의 상, 하 움직임에 기인한 진동은 기록지(S)를 기준면(42)으로 위치이동시켜 주기 때문에 기록지(S)를 정돈시키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보관함(4)에 적층된 기록지는 정점부(4a) 또는 돌기(4b)에 의하여 기준면(42)보다 양측면에서 보다 높게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보관함(4)이 상부 직선부와 하부 직선부에 위치된 바와 같이 서로 밀접하게 위치되면, 기록지(S)는, 상기 기록지(S)가 수용된 보관함(4) 바로 위의 보관함(4)과 기록지(S)의 탄성력에 의해 약간 눌리워진 상태로 된다. 이 결과,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한번 적층된 기록지 다발은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제9도는 기록지 다발이 수용된 보관함(4)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보관함(4)은 기록지 다발의 단부 아래로 돌기(31)를 갖추고 있다. 공간(H)이 기록지 다발의 단부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조임 부재(58)는 공간(H)으로 진입하여 기록지 다발을 집도록 되어 있다. 기록지 다발이 이동되는 방식에 대하여 제11a도 내지 제11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1a도 및 제11d도와 제13도에는, 기록지 다발의 단부가 "A"로 도시되고, 활주대(55)의 행정거리(a), 하부 조임부재(59)가 개방되는 위치(b), 상기 위치(b)에 일치하는 크랭크 아암(53)의 회전각도(Q1), 하부 조임부재(59)가 폐쇄되기 시작하는 위치(c), 압압부재(74)의 일측면과 기록지 다발의 단부(A) 사이에 형성된 거리(d) 및, 마찰평형을 이루지 못하도록 하는 회전각도(Q2)가 도시되어 있다.
제11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활주대(55)가 보관함(4)으로 돌출되고, 캠 종동부재 또는 핀(62)이 캠 요홈(63)의 하부 요홈(63c)에 위치된다. 하부 요홈(63c)이 캠 종동부재(62)와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조임부재(59)는 스프링(60)에 의해 상부 조임부재(58)로 탄력 지지되어 상, 하부 조임부재 사이에서 기록지 다발을 집게 된다. 상부직선부의 최하단 보관함(4)에 수용된 기록지 다발은 집혀져서 철(綴)해진다. 상부 조임부재(58)는 최하단 보관함(4) 위로 돌출한 돌기(31)에 의해 형성된 공간(H)내로 삽입되고, 하부 조임부재(29)는 최하단 보관함(4)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25)내에 위치되어 노치(32)를 통해 기록지 다발의 하부면을 압압한다. 제11b도에는 모터(45)가 크랭크 아암(5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되고, 활주대(55)가 링크(54)를 통해 우측으로 활주되어 위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 하부 조임부재(58)(59)에 의해 집혀진 기록지 다발은 보관함(4)으로 인출되고,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음 장치(6)로 이송된다. 이때, 캠 종동부재(62)는 캠 요홈(63)의 우측면 요홈(63d)에 도달되고, 상기 우측면 요홈(63d)을 따라 상부로 활주이동된다.
결과적으로, 하부 조임부재(59)는 스프링(60)의 작용력에 반하여 상부 조임부재(58)로 부터 위치이동되고, 기록지 다발을 놓아주게 된다. 이와 같은 하부 조임부재(59)의 움직임과 동시 또는 바로 직전에 묶음 장치(6)는 공지된 소정 방식에 따라 스테플(6a)을 이용하여 기록지 다발을 철하게 된다.
제1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아암(53)은 좀더 회전하여 활주대(55)를 위치(b)만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활주대(55)는 행정거리(a)의 우측단부에 도달하게 된다.
제11b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우측면요홈(63d)를 따라 상승되는 캠 종동부재(62)는 상부요홈(63a)으로 이동된다. 우측면요홈(63d)에는 경사면(63e)과 측벽(63f)이 제2도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요홈(63a)에 도달한 캠 종동부재(62)는 다음 동작시에 우측면 요홈(63d)으로 복귀되지 못하도록 된다. 크랭크아암(53)은 제11c도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제11d도에 도시된 위치로 반시계 방향에 따라 회전된다. 특히, 크랭크 아암(53)의 회전작동은 링크(54)를 매개로 활주대(55)를 거리(b)만큼 좌측으로 활주이동시킨다. 상기 상부요홈(63a)을 따라 이동되는 캠 종동부재(62)는 하부조임부재(59)를 이동시켜 가장 크게 개방된 상태로 위치시킨다. 제11d도에 도시된 상태에서는,복귀장치(47)가 작동된다. 인출장치(46)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되는 동안, 복귀장치(47)는 제13도의 위치에 있게 된다. 제13도에는 동력전달축(51)의 일측단에 장착된 구동디스크(6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제11a도에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회전), 누름핀(68)은 크링크아암(69)을 스프링(75)의 작용력에 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활주대(71)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대(71)가 행정거리의 좌측단부를 초과하여 지난후에 크랭크 아암(69)이 좀더 회전하면, 마찰평형이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활주대(71)는 스프링(75)의 작용력에 의해 추력을 받게 되고, 동시에 크랭크 아암(69)은 누름핀(68)으로부터 빠르게 회전하여 멀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활주대(71)의 압압부재(74)는 묶어진 기록지다발을 보관함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 압압부재(74)가 기록지를 위치이동시키는 부재의 역할을 하게 되어 종래기술에서 보관함과 각각 개방가능토록 연결된 부재와, 상기 부재를 개방시켜 주는 기계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보관함(4)으로부터 기록지 다발을 인출하는 동작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구동디스크(66)의 노치(65)는 각각 각도 Q1과 Q2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센서(67)가 노치(65)를 검지하고, 그에 따라 발생한 신호를 콘트롤러(17)로 전송한다. 콘트롤러(17)는 모터(45)의 회전을 제어하여 크랭크아암(69)이 각도 Q1과 Q2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제11d도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모터(45)는 정지상태로 고정되고 보관함(4)는 B방향 또는 C방향으로 한단계 이동되어 다음 순서의 보관함(4)이 묶음 위치(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부 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의 최하단부)에 도달하게 된다. 다음, 모터(45)는 동력전달축(51)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되고 따라서 활주대(55)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캠 종동부재(62)가 캠 요홈(63)의 상부요홈(63a)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는 하부조임부재(59)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조임부재(58)는 기록다발위의 공간(H)으로 삽입되고, 하부 조임부재(59)는 기록지 다발 아래의 공간(H)으로 삽입된다. 기록지다발이, 상기 기록지다발을 지지하는 보관함(4)의 돌기(31)와 상기 기록지 다발이 수용된 바로 위의 보관함 하부면 사이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상, 하부 조임부재(58)(59)는 기록지다발의 기록지가 말리거나 변형되어도 기록지 다발을 확실하게 집어줄 수 있게 된다. 하부 조임부재(59)의 동작은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고, 이는 하부 조임부재(59)가 보관함(4) 사이에 형성된 넓은 공간(25)내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제11e도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캠 종동부재(62)가 상부요홈(63a)으로부터 좌측면요홈(63b)으로 이동하고, 좌측면요홈(63b)을 따라 하부로 활주이동된다. 그리고, 하부조임부재(59)는 다시 스프링(60)의 작동력으로 상부 조임부재(58)로 이동되어 제11a도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설명된 작동방식은 각각의 보관함(4)에 수용된 모든 기록지다발이 철해질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출장치(46)가 보관함(4)으로부터 기록지 다발을 인출하기 때문에 보관함(4)의 선단부에 위치된 스페이서(30)는 인출되는 기록지 다발의 위치 외측에 놓여지게 된다. 보관함(4)의 후단부에 위치된 보관함(4)의 후벽은 기록지(S)가 진입하는 방향에 대하여 제네바 휠(21)의 외경 하류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묶음 장치(6)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여 준다. 기록지(S)를 배출하는 상, 하부 로울러(11)(12)는 각각 상, 하부 안내플레이트(9)(10)에 저널(Journal) 결합된다. 따라서, 로울러(11)(12)의 양측면에 별도의 베어링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기록지(S)가 원하는 어느 위치에서도 이동되어 안치될 수 있는 폭(W)을 형성하게 된다. 죠거(8)의 죠거아암(39)은 보관함(4)으로 바로 인입된 한장의 기록지(S)만을 접촉하여 밀어주고 보관함(4)이 이동된 후에도 이러한 동작을 수행한다. 죠거아암(39)은 어느 정도 구겨지거나 변형된 기록지(S)로 확실히게 밀어줄 수 있다.
최하단부의 보관함(4)은 상승수단을 이루는 축(26)과 코일스프링(27)에 의해 상부로 편향되고 보관함 이송장치(5)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다. 최하단의 보관함(4)이 보관함 이송장치(5)의 상부로 이동된 후(축(26)으로 부터 멀어짐)에는 상기 보관함(4)에 어떤 편향력도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최하단의 보관함(4)은, 상기 보관함(4) 상부에 위치된 다른 보관함(4)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로 이동되어 보관(4)에 적층된 모든 기록지(S)들이 철해지게 된다.
하부조임부재(59)는 캠 요홈(63)에 의해 상부 조임부재(58)로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캠 요홈(63)는 상, 하부 조임부재(58)(59)와 함께 직선방향으로 이동될 필요가 없게 되어 다른 이동부재와 마찬가지로 상, 하부 조임부재(58)(59)의 간단한 구성 및 신속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캠 요홈(63)에 의해 이동되는 하부 조임부재(59)는 기록지 다발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집어준다. 상부 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4)과 하부 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4)은 서로 다른 부분, 즉, 지지부재(33)의 평면부(33b)와 딜부(33a)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부분은 상, 하직선부에 위치된 보관함의 각각에 대하여 동일하게 작용한다. 특히, 일정위치에서는, 모든 보관함(4)이 양측단부에서 각각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부직선부의 최하단 보관함(4)이 위치되는 곳을 묶음위치로 사용하고 상기 묶음 위치에 묶음장치(6)와 기록지 이송장치(4)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묶음 작업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보관함(4)을 연속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방식의 모든 장치에 대해서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하부조임부재(59)는, 상부조임부재(58)가 보관함(4)에 인접하여 형성된 공간내부에 위치된 반면에 공간(25)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보관함(4)의 맞은편 측면에 큰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고, 즉, 공간이 보관함(4)의 일측(하부)에 형성될 경우 기록지다발이 상기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후처리장치의 전체높이를 낮출수 있게 된다.
각각의 보관함(4)에 형성된 돌기(31)와 상기 보관함(4) 상부에 위치된 보관함(4)의 하부면은 상호작용하여 기록지다발을 일정 각도로 고정하여 준다. 따라서, 기록지 다발은 말리거나 또는 변형된 상태에서도 상, 하부조임부재(58)(59)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축(26)과 코일스프링(27)에 의해 형성된 상승수단은 나선형 안내부재와 같은 다른 적절한 부재에 의해 대체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연속적으로 송출되는 다수매의 기록지를 다수개의 보관함으로 배출구를 통하여 분배하고, 적재하도록 된 화상형성 후처리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보관함을 상기 배출구와 마주하는 소정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보관함 이송수단; 상기 다수개의 보관함 중에서 상기 소정위치로 이동된 상부보관함과 하부 보관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기록지를 한번에 한장씩 수납하는 보관함 유입구; 상기 다수개의 보관함 각각에 적재된 기록지를 묶음 위치에서 철(綴)해주는 묶음 수단; 상기 다수개의 보관함 각각으로부터 기록지 다발을 묶음 위치로 인출하여 상기 묶음 수단이 기록지 다발을 철한 후, 상기 기록지 다발을 보관함으로 복귀시키는 기록지 이송수단;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후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이송수단은 상기 다수개의 보관함을 각각 상기 소정위치로 단지 보관함의 일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후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이송수단은 상기 각각의 보관함에 형성된 타측단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후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부보관함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보관함 유입구를 형성하는 상부 보관함을 지지하도록 된 제1지지부와, 상기 하부보관함을 지지하도록 된 제2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후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 이송수단은 상기 보관함으로 부터 묶음 위치까지 기록지 다발을 인출하는 인출수단과, 상기 기록지 다발을 상기 보관함으로 되돌리는 복귀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후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 이송수단은, 상기 각각의 보관함으로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직선운동을 하는 제1조임부재; 상기 제1조임부재에 회전가능토록 장착된 제2 조임부재; 핀형상을 갖추고 상기 제2조임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된 캠 종동부재; 및 상기 캠 종동부재가 상기 직선운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2조임부재가 상기 기록지다발을 쥐고 이동시키며, 놓아주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된 캠 요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후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관함은 상기 제1조임부재가 기록지 다발을 집도록 진입하는 위치에서 상부로 만곡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하부면과, 상기 제1조임부재에 의해 집혀지는 기록지 다발 사이에서 일정공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후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관함은 상기 보관함으로 진입하는 기록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양측단부의 사이의 중앙부가 상부로 만곡형성되어 보관함에 적재된 기록지가 자동적으로 묶음 작업을 위한 기준위치로 편향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029090 | 1990-04-27 | ||
JP11028790 | 1990-04-27 | ||
JP2-110287 | 1990-04-27 | ||
JP2-110290 | 1990-04-27 | ||
JP11028890 | 1990-04-27 | ||
JP2-110288 | 1990-04-27 | ||
JP3-50266 | 1991-02-25 | ||
JP3050266A JPH04213557A (ja) | 1990-04-27 | 1991-02-25 | シート材分配収納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8862A KR910018862A (ko) | 1991-11-30 |
KR940005167B1 true KR940005167B1 (ko) | 1994-06-11 |
Family
ID=2746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06797A KR940005167B1 (ko) | 1990-04-27 | 1991-04-27 |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5099292A (ko) |
KR (1) | KR9400051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65855A (en) * | 1990-04-17 | 1993-11-30 | Ricoh Company, Ltd. | Copier with document support moving means |
JP2625030B2 (ja) * | 1990-09-29 | 1997-06-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後処理装置 |
JP2961944B2 (ja) * | 1991-05-20 | 1999-10-12 | ミノルタ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5663788A (en) * | 1992-04-02 | 1997-09-02 | Ricoh Company, Ltd. | Efficiently removable developing toner in an electrostatic image forming apparatus |
JP3378591B2 (ja) * | 1992-04-30 | 2003-02-17 | 株式会社リコー | 用紙クランプ装置および用紙処理装置 |
US5387966A (en) * | 1992-05-22 | 1995-02-07 | Ricoh Company, Ltd. | Developing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grooved developer carrying roller |
KR0114339Y1 (ko) * | 1994-03-10 | 1998-04-16 | 우석형 | 용지정렬 장치 |
JP3535573B2 (ja) * | 1994-08-03 | 2004-06-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収納装置 |
US5531437A (en) * | 1994-11-07 | 1996-07-02 | Gradco (Japan) Ltd. | Telescoping registration member for sheet receivers |
US5732940A (en) * | 1994-11-10 | 1998-03-31 | Nisca Corporatio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ost-treating sheets with images recorded thereon |
US5761600A (en) * | 1995-07-20 | 1998-06-02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storage apparatus having plural sheet storage trays with variable distance |
US5806842A (en) * | 1996-06-28 | 1998-09-15 | Bdt Products, Inc. | Output paper sheet finishing module and method of using same |
JP3566492B2 (ja) * | 1996-11-01 | 2004-09-15 | 株式会社リコー | 用紙後処理装置 |
JP3636858B2 (ja) * | 1997-03-12 | 2005-04-06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フィニッシャ |
US6053496A (en) * | 1997-07-14 | 2000-04-25 | Xerox Corporation | Folding cover with living hinge |
JP4581948B2 (ja) * | 2005-09-30 | 2010-11-1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8079583B2 (en) * | 2008-12-19 | 2011-12-20 | Xerox Corporation | Compiling belt system with moving stapler |
JP2017178583A (ja) * | 2016-03-31 | 2017-10-0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搬送装置、及び、トレイユニ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28963A (en) * | 1979-11-29 | 1982-05-11 | Gradco Dendoki, Inc. | Compact sorter |
EP0198970B1 (en) * | 1985-04-23 | 1990-05-23 | Xerox Corporation | Sheet sorters |
US4681310A (en) * | 1985-09-23 | 1987-07-21 | Xerox Corporation | Sorting apparatus |
JPS63134473A (ja) * | 1986-11-27 | 1988-06-07 | Minolta Camera Co Ltd | フイニツシヤ付きソ−タ |
US4928941A (en) * | 1987-07-09 | 1990-05-29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sorter with stapler |
JP2702504B2 (ja) * | 1988-05-06 | 1998-01-21 | 株式会社リコー | ソーターのステープル装置 |
US4925171A (en) * | 1988-09-08 | 1990-05-15 | Xerox Corporation | Sorter/stapler with horizontal bin opening |
-
1991
- 1991-04-26 US US07/691,723 patent/US5099292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04-27 KR KR1019910006797A patent/KR9400051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099292A (en) | 1992-03-24 |
KR910018862A (ko) | 1991-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40005167B1 (ko) |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 |
KR100480463B1 (ko) | 용지후처리장치 | |
JPH0317749B2 (ko) | ||
EP0657377B1 (en) | Integrated job mailboxing and sets stacking system | |
EP0026562B1 (en) | Sheet collection apparatus and sorters incorporating same | |
JP3214656B2 (ja) |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 |
US5556251A (en) | Sheet finisher | |
US5255902A (en) | Sorter with set displacing in-bin stapler | |
JPH09309659A (ja) | シート挟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シート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 | |
JPH04161388A (ja) | ステープルソータ | |
US6224054B1 (en) | Sheet storage apparatus with sheet curl correction | |
JPH0733304A (ja) | カバー組立体及び位置決めバネを備えた顧客設置可能なバイパス用紙搬送機構 | |
JPH06156844A (ja) | 紙幣収納装置 | |
EP0807535B1 (en) | Sheet sorter with stapler | |
US5695181A (en) | Sheet sorting apparatus | |
JP3325193B2 (ja) | ソータ | |
KR0114339Y1 (ko) | 용지정렬 장치 | |
WO2023175688A1 (ja) | 紙葉類格納装置 | |
KR970007225B1 (ko) | 용지 정렬 장치 | |
JP2576906Y2 (ja) | ソータ | |
JP2002241030A (ja) | 用紙処理装置 | |
JPS61229769A (ja) | シ−ト材仕分け装置 | |
KR200180496Y1 (ko) | 화상형성기기의 용지 적재장치 | |
GB2280667A (en) | An in-bin stapling sorter | |
JP2575724B2 (ja) | シ−ト分類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53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