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768B1 - 카드 취급장치 및 카드 취급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취급장치 및 카드 취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768B1
KR940004768B1 KR1019900017745A KR900017745A KR940004768B1 KR 940004768 B1 KR940004768 B1 KR 940004768B1 KR 1019900017745 A KR1019900017745 A KR 1019900017745A KR 900017745 A KR900017745 A KR 900017745A KR 940004768 B1 KR940004768 B1 KR 940004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rd
recording
recorded
encry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363A (ko
Inventor
유우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866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58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892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95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254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40339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0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arranged in two columns in staggered relationshi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06K7/0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 G06K7/0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sensing magnetic material by relative movement detecting flux changes without altering its magnetised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3Cards including a counter
    • G06Q20/3437Cards including a counter the counter having non-monetary units, e.g. trip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2Card ver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2Card verification
    • G07F7/125Offline card verificatio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드 취급장치 및 카드 취급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이용되는 자기카드의 기록서식의 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3도는 제 1도 실시예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4a 내지 제 4f도는 제1도 실시예의 한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5a 내지 제5g도는 제 1도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독기/기록기 12 : 카드삽입구
14 : 자기카드 14a : 기록부
14b : 기록부 16 : 굴곡부
18 : 반송로 20 : 고정판
22 : 가동판 24 : 반송장치
26a, 28a, 30a, 32a : 풀리 34 : 벨트
36 : 모우터 38 : 벨트
40 : 변환풀리 42 : 부호기
44 : 풀리 46a, 46b, 46c : 센서
48 : 자기헤드 50 : 누름로울러
52: CPU 54 : 판독회로
RST : 판독개시신호 56 : 기록회로
WST : 기록개시신호 58 : 상위기기
60 : 인터페이스 62 : ROM
본 발명은 카드 취급장치 및 카드 취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값 (가치) 매체로서 자기카드, IC 카드 등의 카드를 사용하여 거래를 결재하는 카드 취급 장치 및 그 취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카드 취급장치의 한 예가 일본국 특개소 61-28399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거래의 결재를 위해서 자기카드가 판독기/기록기 (reader/writer)에 삽입되면, 자기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값 (가치)데이터(vaiue data)가 판독된다.
그리고, 거래 대금이 값데이터로부터 감산되고, 이와같이하여 갱신된 값데이터가 다시 자기카드에 가록되며, 그 자기카드는 사용자에게 되돌려진다.
이와같이 자기카드를 이용하여 거래를 결재하는 카드 취급장치에 있어서는, 자기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값데이터가 부정으로 개찬(改簒)되거나, 또는 자기카드에 부정으로 값데이터가 기록되거나 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이와같은 값데이터의 개찬을 방지하는 한 방법이 일본국 특개소 63-10196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선행 기술에서는 타이밍 신호가 특정의 자기 띠(스트라이프)(stripe)에 기록되어 있을 때에만 값데이터를 그 자기 띠로부터 판독해 낼 수 있는 동시에 그곳에 기록할 수있으며, 한편 값데이터가 "0"이되면 타이밍신호를 소거한다.
그리고, 상기 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값데이터가 개찬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특정의 판독기/기록기 만이 타이밍 신호의 유무에 의존하여 값데이터의 기록이나, 판독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다른 판독기/기록기를 사용하면 값데이터는 부정으로 개찬할 수있기 때문이다. 또, 카드판독기에 있어서는 자기카드에 값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판독하기 위한 자기헤드가 고장나면 거래에 지장을 초래한다.
예컨데, 기록헤드가 고장나 있음에 불구하고 거래가 결재되면 거래후 갱신된 값 데이터가 자기카드에 기록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그 거래에 대하여 대금이 지불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신규한 카드 취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값데이터의 부정한 개찬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 취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값데이터를 부정으로 판도고할 수없고, 결과적으로 값데이터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 취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독기/ 기록기 기능의 고장을 거래전에 검지할 수있고, 그것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거래가 부정으로 결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 취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갱신된 값데이터를 다시 기록하기전에 판독기/기록기로부터 카드가 부정으로 되돌려지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 취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취급장치는, 투입된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수단과, 투입된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과, 판독수단에 의하여 테이터가 판독되어진 후에 기록수단을 제어하여 카드의 소정영역에 소정의 검사데이터를 기록시키기 위한 제 1수단과, 소정의 검사데이터가 기록되어진 후에 판독수단을 제어하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시키기 위한 제2수단과, 제2수단의 제어하에서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영역의 데이터와 소정의 검사데이터와가소정의 관계에 없을 때 기록수단이 고장나 있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별수단을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의한 카드취급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카드가 투입되면 그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되면, 거래결재후 갱신된 값데이터가 기록수단에 의하여 기록된다. 이 기록수단을 이용하여 판독수단이 데이터를 판독해 낸 후에 제 1수단의 제어하에서 소정의 검사데이터가 카드의 소정영역에 기록된다.
그후, 제 2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판독수단에 의하여 카드의 데이터가 다시 판독되어,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와 소정의 검사데이터와가 소정의 관계에 있는지(예컨데 양쪽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양쪽 데이터가 소정의 관계에 없을 때 기록수단이 고장나 있다고 판단되어 판별수단으로부터 고장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드의 값데이터 기록영역"0"을 표시하는 검사 데이터를 기록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카드에 데이터가 암호화 되어서 기록되는 동시에 암호화된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을 표현하는 코드데이터가 기록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를 기록할 때마다 상이한 암호화 방법에 의하여 데이터를 부호(encode)로하여 기록할 수있기 때문에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부정하게 판독해 낼수없게 되며, 따라서 데이터 특히 값데이터의 개찬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취급장치는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해낸 데이터를 한 번에 판독해낸 복호데이터(decode data)에 따라서 복호하여 복호화된 데이터를 얻기위한 복호수단 및 갱신된 데이터를 별도의 방법에 따라서 암호화 하기위한 복호수단을 구비하여, 기록수단은 복호수단에 의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및 별도의 방법을 표현하는 별도의 복호데이터를 카드에 기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부호수단에 의하여 부호된 데이터 및 별도의 방법 데이터가 카드에 기록된 후에, 카드로부터 데이커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가 부호수단에 의하여 부호 되기전의 데이터와 일치하고 있는지르 판독한다. 만약 양자가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기록수단에 의한 기록동작이 정상으로 행하여지고 있지 않으므로 거래결제를 하지않고, 그대로 카드가 되돌려 진다.
따라서, 거래결재전에 기록수단의 이상 내지 고장이 판단되고, 결과적으로 거래가 부정으로 결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있다.
또한, 부호 수단에 의하여 부호된 데이터 및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고 있는지를 다시 판단되어 양자가 서로 일치하고 있지 않을 때 기록수단을 능동화 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자기카드용 판독기/기록기를 표시하고는 도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자기카드 취급장치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자기카드 이외에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소위 IC카드등 다른 카드를 취급하는 카드 취급장치에도 적용할 수있다는 것을 미리 지적해 둔다.
제 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카드용 판독기/기록기(10)는 그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카드삽입구(12)를 포함하며, 이 카드삽입구(12)는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자기카드(14)를 판독기/기록기(10)의 내부로 집어 넣는다.
카드삽입구(12)는 굴곡부 (16)를 경유하여 반송로(18)에 연이어 통한다. 반송로(18)는 수직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삽입구(12)로부터 삽입된 자기카드는 굴곡부 (16)에 의하여 방향 전환된 후 반송로 (18)에 보내진다.
반송로 (18)는 고정판(20) 및 가동판(22)에 의하여 그들의 사이에 형성된다.
반송로(18)에는 자기카드를 수직 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장치(24)가 설치되며, 이 반송장치(24)는 반송로(18)를 따라 제 1도에 있어서 우측에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풀리(26a)(28a)(30a) 및 (32a) 및 그들에 걸쳐진 벨트(34)를 포함한다.
풀리(26b)(28b)(30b) 및 (32b)에는 반송로(18)를 따라 제1도에 있어서 파측에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풀리(26b)(28b) 및 (32b)가 각각 마주보게 된다.
또, 정역회전 가능한 모우터(36)의 회전력이 벨트(38)에의해 풀리(28a)와 동일축에 부착된 변환풀리(40)에 전달되며, 그것에 의하여 풀리(28a)와 함께 반송장치(24)가 모우터(36)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 3도에 나타내는 회전 엔코더(42)는 벨트(38)에 의하여 회전되는 풀리(44)를 포함하며, 이 풀리(44)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각도마다 엔코더펠스가 출력된다.
또, 반송로(18)에는 카드의 이동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3개의 센서(46a)(46b) 및 (46c)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어서 센서 (46a)(46b) 및 (46c)의 각각은 1조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포함한다. 그러나 각 센서(46a) (46b)및 (46c) 사이의 간격은 자기카드의 길이 방향의 칫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로(18) 내부의 자기카드는 센서(46a)(46b)및(46c)의 어느것인가에 의하여 반드시 검지된다.
또, 반송로(18)의 도중에는 센서 (46b)와 동일한 위치에 반송로(18)를 사이에 두고 자기헤드(48) 및 누름로울러(50)가 설치된다. 자기헤드(48)는 반송로(18)를 통과하는 자기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부분(판독헤드) 및 자기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분(기록헤드)를 포함한다.
또한, 누름로울러(50)는 반송로(18)내를 반송되는 자기카드를 자기헤드(48)에 누른다.
제3도의 불록도에 나타내는 CPU(52)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며, 이 CPU(52)는 그 내부에 레지스터(R1)내지 (R5)를 구비한다.
판독회로(54)는 CPU(52)로부터 출력되는 판독개시 신호(RST)에 응답하여 자기헤드(48)를 제어하여, 자기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해 내고 그 데이터를 CPU(52)에 출력한다.
기록회로 (56)는 CPU(52)로부터 부여되는 기록개시신호(WST)에 응답하여 자기헤드(48)를 제어하여, CPU(52)로부터 부여되는 데이터를 자기헤드(48)에 의하여 카드에 기록한다.
도면부호(58)는 상위기기(supervisory machine)를 나타내며, 이 상위기기 (58)는 예컨대 판독기/기록기(10)에 투입된 카드의 값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의 서어비스를 카드사용자에 제공하는 자동판매기, 혹은 판독기/기록기(10)에 투입되는 카드의 값데이터에 의거하여 정산업무를 행하도록 헌 현금 등록기 등의 정산기이다.
그리고 이 상위기기(58)는 인터페이스(60)에 의해 CPU(52)에 접속되며,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은 상위기기 (58)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CPU(52)에 접속된 ROM(62)에는 후술하는 흐름도에 따라서 판독기/기록기(1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내는 자기카드(14)에는 다른 카드시스템과 구별하는 것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식별데이터나 그 카드시스템의 운영자를 표시하는 오퍼레이터코드 등의 고정데이터와 동시에 기록때마다 그 내용이 변화하는 값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값데이터에는 카드가 현재 가지고 있는 값데이터와 전회의 처리가 종료된때에 가지고 있는 값데이터가 있으며, 자기카드(14)내부에는 이들 2종류의 값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부(14a) 및 (14b)이 설정되어 있다. 간단히 말하면 어떤 실시예에서는 기록부(14b)에는 자기카드(14)가 판독기/기록기(10)에 투입되어서 데이터가 판독된 후에는 소정의 검사코드 내지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리고 판독기/기록기(10)는 검사데이터를 기록부(14b)에 기록하면, 계속하여 이 기록부(14b)로부터 검사데이터를 판독하여 검사데이터가 바르게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
판독기/기록기(10)에서 이와같은 검사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자기헤드 (48) 및 판독회로(54)또는 기록회로(56)에 고장 내지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정할 수있다.
그리고, 자기헤드(48) 및 판독회로(54)또는 기록회로(56)가 정상이면 기록부 (14b)에는 거래결재후 갱신된 값데이터가 기록된다. 이때 기록부(14a)에는 전회의 거래결재 후 값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검사데이터로서는 그것이 값데이터와 중복되지 않으면 임의의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카드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코드 내지 데이터가 검사데이터로서 설정되게 되면 또 다른 잇점이 있다. 즉, 판독기/기록기(10)가 자기카드(14)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해서 기록부(14b)에 검사데이터를 기록하고, 자기카드(14)가 판독기/기록기(10)의 내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기카드가 부정으로 되돌려지면, 자기카드의 기록부(14b)에는 검사데이터가 기록된 그대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 검사데이터가 자기카드의 무효를 표시하는 코드 내지 데이터이면 부정으로 되돌려지면, 자기카드가 다른 판독기/기록기(10)에 투입되어도 그 점수가 거부되게 되며, 그 때문에 이런 종류의 부정 행위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카드의 무효를 표시하는 검사데이터로서는 카드의 값데이터가 "0"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사용된다.
이 경우 카드의 기록부(14b)에 처음부터 값데이터로수어 "0"이 기록되어 있으면 그 와 같은 카드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검사데이터가 새로 기록되기 전에 되돌려지므로 값데이터"0"과 검사데이터"0"가 중복되는 일은 없다.
제4a도 내지 제4f도는 ROM(62)(제3도)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판독기/기록기(10)의 CPU(52)가 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이하에는 본 흐름도에 의거하여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기상태]
먼저 제4도에 나타내는 스텝 S1에 있어서, CPU(52)는 각각으로 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전체의 센서 (46a) 내지 (46c)가 온(ON)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독기/기록기(10)내부에 자기카드(14)가 정지되어있으면 어떤것의 센서(46a) (46b)또는 (46c)는 오프(OFF)상태에 있다. 이 경우 CPU(52)는 스텝 S2에서 레지스터 R1에 리젝트 플래그(reiect flag)를 세트한다.
스텝 S3에는 CPU(52)는 상위기기(58)로부터 카드 리젝트신호 REJ가 출력되고 있는지를 판별한다. 상위기기(58)는 카드가 투입되어도 이 카드가 가지고 있는 값 데이터에 의거하여 거래결재등 소정의 처리가 할 수없게 되면 판독기/기록기(10)에 대하여 카드의 수입금지를 지시하는 카드 리젝트 신호 REJ가 출력한다. CPU(52)는 카드 리렉트 신호REJ가 입력되어 있으며, 앞의 스텝 S2로 리젝트 플래그를 세트한다.
따라서, 판독기/기록기(10)에 카드가 투입되어서 센서(46a)가 오프되어도 CPU(52)는 모우터(36)를 구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센서(46a) 내지 (46b)가 전부 온 상태에 있으며, 또한, 상위기기(58)로부터도 카드 리젝트신호 REJ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CPU(52)는 스탭 S4에서 레지스터 R1(제3도)를 클리어(Clear)하며, 만약 리젝트 플래그를 세트하고 있으면 이것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판독기/기록기(10)는 카드를 접수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스텝 S5에서 CPU(52)는 센서(46a)가 오프상태로 되어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판독기/기록기(10)에 카드가 투입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카드데이터 판독]
카드의 투입을 검지하면 카드데이터 판독동작으로 들어가며, CPU(52)는 스텝 7에서 모우터(36)를 정회전 시킨다.
따라서, 모우터(36)의 회전력이 폴리(28a)에 전달되어, 카드삽입구(12)로부터 투입된 카드는 판독기/기록기(10) 의 내부에 이송된다.
스텝 S9에서 CPU(52)는 센서(46b)가 오프상태인지를 검출하여 카드가 자기헤드(48)까지 도달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이 스텝에 있어서 미리 정해져있는 소정 시간내에 센서(46b)가 오프상태로 되지 않으면 이상이라고 판정하여 판독기/기록기(10)은 동작이 정지된다. 카드가 자기헤드(48)에도달하면 센서(46b)가 오프되어, CPU(52)는 스텝 S11에서 판독회로 (54)에 판독개시신호 RST를 출력하여 판독동작을 개시시킨다. 판독회로(54)는 판독제어신호 RE를 자기헤드(48)에 출력하며, 자기헤드(48)을 통하여 자기카드(14)의 자기기록부(자기스트라이프)를 주사하여 기록되어 있는 신호 D를 판독한다. 이 신호 D가 데이터펄스 DP로 변환시켜서 클럭펄스 CPI와 동시에 CPU(52)에 부여한다. 그리고 CPU(52)는 클럭퍽스 CPI에 동기하여 차례로 데이터펄스DP를 받아들여 레지스터 R2에 저장(store)한후, 다음의 스텝 S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3에서는 센서(46c)오프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CPU(52)는 카드가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 만약, 소정 기간내에 센서(46c)가 오프되지 않으면 이상이 있음으로하여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이 정지된다.
카드(14)가 센서(46c)에 도달한 단계에서 카드의 후단부는 아직 자기헤드(48)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다음의 스텝 S15에서는 소정의 지연시간후, 카드를 계속 이송한 후에 CPU(52)는 스텝 S17에서 모우터(36)의 구동을 정지한다.
제4B도이 스텝 S19으로는 CPU(52)는 센서(46b)의 온 상태를 검출하여 카드의 후단부가 자기헤드(48)로부터 이탈했는지를 판정한다.
카드의 길이가 적당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 후에 카드는 자기헤드(48)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센서(46b)는 온 되지만, 만약 센서(46b)가 스텝 S19에 있어서도 오프해 있을 때, 적절치지 않는 카드가 투입된 것으로서 모우터(36)를 역회전 시켜서 카드를 카드삽입구(12)로부터 되돌려 진다. 그러나, 이때 투입카드가 정상적인 길이 이면 센서(46b)의 위치에 그 선단부가 있는 상태로 카드는 판독기/기록기(10) 내부에 정지해 있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21에서는 CPU(52)는 판독한 고정데이터중의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카드의 진위를 판별한다.
만약 가짜카드이면, 모우터(36)를 역회전시켜서 카드가 되돌려진다. 또 진짜 카드에 있어서도 이 카드의 기록부(14b)에 기록되어 있는 값 데이터가 "0"이면 동일하게 되돌려진다.
따라서, 검사데이터로서 "0"을 기록한 후에 부정으로 되돌려진 카드는 기록부(14 b)에 "0"이므로 부정한 카드는 되돌려진다.
[판독기/기록기 기능의 검출]
카드가 진짜 또는 유효한 것이면, CPU(52)는 판독기/기록기 기능의 검출을 행하도록 스텝 S23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3에 있어서 레지스터 R3(제3도)내에서 기록데이터를 작성한다. 또한, 기록데이터는 카드(14)의 기록부(14a)로부터 판독하여 레지스터 R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기록부(14b)에 기록되어 있었던 값데이터를 기록부(14a)에 기록하도록 데이터의 별열을 변환하는 동시에 기록부(14b)에 그리고 CPU(52)는 다음의 스텝 S25에서 모우터(36)를 역회전 구동하며, 다시 다음의 스텝 S27에서는 센서 (46b)의 오프상태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카드가 가지헤드(48)위치에 도달한 것인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27에 있어서 소정 시간내에 센서(46b)가 오프되지 않으면 이상있음으로 판정하여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카드가 자기헤드(48)에 도달한 것으로 응답하여 센서(46b)가 오프되면 CPU(52)는 스텝S29에서, 기록회로(56)에 기록개시신호 WST를 출력하여 기록동작을 개시 시킨다. 즉 CPU(52)는 회전엔코더(42)로부터의 펄스에 동기하여 레지스터 R3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데이터를 기록회로(56)에 차례로 출력되지만, 이 기록동작은 판독시 동작과는 역방향으로 카드가 이송되어 있을 때 행하여지는 것이기 때문에 CPU(52)는 기록데이터의 선두부터 최후미까지를 완전히 역으로 기록회로(56)에 출력한다. 기록회로(56)는 CPU(52)로 부터의 기록데이터펄스 WDT를 엔코더 펄스 CP2에 동기하여 집어넣으면, 펄스 WDT가 표시하는 데이터를 아나로그의 기록신호 WT로 변환하여 기록제어신호 WR와 동시에 자기헤드(48)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하여 자기헤드(48)에 의하여 카드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다음의 스텝 S31에서는 센서(46b)의 온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CPU(52)는 카드가 자기헤드(48)의 위치를 통과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이때 소정 시간내에 센서(46b)가 온 되지 않으면 판독기/기록기 (10)의 동작을 정지한다.
CPU(52)는 센서(46b)의 온상태를 검출하면, 스텝 S33에서 소정의 지연시간을 확보하며, 카드를 자기해드(48)로부터 약간 분리한 후, 스텝 S35에서 모우터(36)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와같이 카드를 헤드(48)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모우터(36)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다음에 모우터(36)를 구동하여 카드를 자기헤드(48)의 위치로 통과시킬 경우에 카드는 모우터(36)의 개시동작으로부터 시간이 경고하면, 그리고 그 까닭에 카드의 주행이 안정된 후에 자기헤드(48)를 통과하기 때문에, 판독하거나 기록에 있어서 오동작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스텝 S37에서는 CPU(52)는 모우터(36)의 개시동작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하면, 그리고 그 까닭에 카드의 주행이 안정된 후에 자기헤드(48)를 통과하기 때문에, 판독이나 기록에 있어서 오동작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스텝 S37에서는 CPU(52)는 모우터(36)를 보호하기위해 필요한 지연시간을 확보한후, 모우터(36)를 정회전하여, 카드을 센서(46b)의 방향으로 다시 이송한다.
그 후에 제4c도에 표시하는 스텝 S39에서 센서(46b)의 오프상태를 검출하여 카드도달을 검출하지만, 소정시간내에 센서 (46b)가 오프되지 않으면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카드나 자기헤드(48)의 위치에 도달하면 센서(46b)가 오프되며 CPU(52)는 스텝 S41에서 판독회로(54)에 판독개시신호 RST를 출력하여 판독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스텝 S43에서는 센서 (46c)의 오프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CPU(52)는 카드가 센서(46c)의 위치에 도달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만약 소정시간내에 센서(46b)가 오트되지 않으면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여 판독기/기록기 (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카드가 센서(46c)에 도달하면, 다음의 스텝 S45로 진행하며, 여기에서는 소정의 지연시간 동안 카드를 계속 이송시킨후에 다음의 스텝 S47에서 CPU(52)는 모우터(36)의 구동을 정지한다. 다음의 스텝 S49에서는 CPU(52)는 센서(46b)의 온상태를 검출하며, 센서(46b)가 온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51로 진행된다. 단 센서(46b)가 온되어 있지 않으면,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 스텝 S51에서는 CPU(52)는 스텝 S41에서 판독한 데이터중에서 기록부(14b)에 기록되어 있었던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데이터가 "0"인지를 판별한다. 즉 자기테드(48)의 기록헤드 및 기록회로(56)의 이상내지 고장을 판정한다. 기록부(14b)에서 추출한 데이터가 "0"이외의 것이면, CPU(52)는 기록헤드 또는 기록회로(56)가 고장이라고 판단하여 다음의 스텝 S53으로 진행한다. CPU(52)는 이 스텝S53에서 기록 기능의 고장을 상위기기(58)에 전달한 후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그러나 스텝 S41에서 판독한 데이터의 검사데이터가 "0"인 경우에는 CPU(52)는 기록 기능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 S57로 진행한다. 스텝 S57에서는 CPU(52)는 카드가 가지고 있었던 현재의 값데이터를 상위기기(58)에 전송한 후, 스텝 S59에 있어서, 다음에 이 상위기기(58)로부터 거래후의 잔액데이터가 이송되어 오는 것을 대기한다. 이 대기상태는 카드가 그 선단부만이 센서 (46c)의 위치에 어떤 상태로 정지해 있는 상태이며, 기록부(14a)에는 전회의 값데이터가 기록되어, 기록부(14b)에는 검사데이터 즉 "0"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카드를 판독기/기록기(10)로부터 부정으로 되돌아와도 이 카드의 기록부(14b)에는 현재의 값데이터로서 "0"이 기록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게 때문에 그 대로는 사용할수없다. 따라서 이와같은 부정한 사용으로인한 되돌려짐이 결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갱신데이터의 기록]
상위기기(58)는 판독기/기록기(10)로부터 전송된 값데이터에 의거하여 거래를 처리하지만, 상위기기(58)가 자동판매기이면, 상품의 판매동작을 행하여 상품의 판매가격을 감산한 후의 잔액인 갱신된 값데이터를 인터페이스(60)을 통하여 CPU(52)로 전송된다.
제4d도의 스텝 S100으로 갱신된 값 데이터의 입력을 확인하면 스텝 S101에 있어서 레지스터 R3의 검사데이터 "0"를 기억하고 있는 영역에 잔액데이터를 세트하여 기록데이터를 작성하여 스텝 S102로 진행한다. CPU(52)는 스텝 S102에서 모우터(36)를 역회전시키며, 스벤 S103에서 센서(46b)로 진행한다. CPU(52)는 스텝 102에서 모우터(36)을 역회전시키며, 스텝 S103에선 센서(46b)의 오프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카드나 자기헤드(48)에 도달한 것인지를 판정한다.
만약, 소정시간내에 센서(46c)가 오프되지 않으면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센서(46b)가 오프되면 스텝 S105으로 CPU(52)는 센서 (46b)의 온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카드가 자기헤드(48)을 통과한것인지르 판정하며, 만약 소정시간내에 센서(46b)가 온되지 않으면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그리고 센서(46b)가 온되면 스텝 S107으로의 소정의 지연시간동안 카드를 계속 이송한 후에 스텝 S109으로 모우터(36)의 구동을 정지한다.
다음의 스텝 111에서는 모우터 보호를 위하여 약간의 지연시간을 확보한 후 CPU(52)는 모우터(36)를 정회전하여 카드를 자기헤드(48)로 향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스텝 S113에서는 센서(46b)의 오프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CPU(52)는 도달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만약, 소정시간에 센서(46b)가 오프하지 않으면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여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카드가 자기헤드(48)에 도달하여 센서(46b)가 오프되면 CPU(52)는 스텝 S115으로 기록회로(56)에 기록개시신호WST를 출력하여 기록동작이 개시된다. 즉, CPU(52)는 회전엔코더(42)로부터의 펄스에 동기하여 레지스터 R3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데이터를 기록회로(56)에 차례로 출력하며, 기록회로 (56)은 입력되어지는 기록데이터 펄스 WDT를 동일한 펄스에 동기하여 집어넣는다.
이와 같이하여 자기헤드(48)에 의하여 카드의 자기기록부(자기스트라이프)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제4e도의 스텝 S117에서는 센서(46b)의 온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CPU(52)는 카드나 자기헤드(48)를 통과하였는지를 판정한다.
만약, 소정시간내에 센서(46b)를 온되지 않으면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센서(46b)의 온상태를 검출하면 스텝 S119으로 소정의 지연시간 동안 계속 카드를 이송한 후 CPU(52)는 스텝S121에서 모우터(36)구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 S123 에서는 모우터 보호를 위한 지연시간을 확보하고 나서 모우터(36)를 역회전하여 자기해드 (48)쪽으로는 이송된다.
다음의 스텝 S125에서는 센서(46 B)의 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CPU(52)는 카드의 자기헤드(48)에 카드가 도달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소정시간네에 센서(46b)가 오프되지 않으면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카드가 자기헤드(48)에 도달하여 센서(46b)가 오프되면 스텝 S127에서 CPU(52)는 판독회로(54)에 판독개시신호 RST를 출력한다.
이와같이하여 판독동작이 개시된다.
판독회로(54)는 자기기록부(자기스트라이프)로부터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판독한 데이터를 CPU(52)에 부여한다. CPU(52)는 이 데이터를 레지스터 R4에 저장한다.
다음의 스텝 S129에서는 센서(46b)의 온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CPU(52)는 카드가 자기헤드(48)을 통과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만약 소정시간내에 센서(46b)가 온되지 않으면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센서(46b)의 온상태를 검출하면 CPU(5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제4f도의 스텝 S135에서 CPU(52)는 레지스터 R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레지스터 R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록이 적정하게 된 것인지를 판정한다.
양쪽의 데이터가 일치되어 있을 때에는 CPU(52)는 다음의 스텝 S137에서 모우터 보호를 위한 지연시간을 확보하고 나서 모우터(36)를 역회전하여 카드를 삽입구(12)로 향하여 이송한다. 스텝 S139에서는 CPU(52)는 센서 (46a)의 오프상태를 검출한다.
만약, 소정시간내에 센서(46a)가 오프되지 않으면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카드의 도달에 의하여 센서(46a)가 온되면 CPU(52)는 카드를 다시 삽입구(12)까지 인도하도록 스텝S141에서 지연시간을 확보하여 카들르 계속 이송한 후, 스텝 S143에서 모우터(36)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와같이하여 카드가 카드삽입구(12)로부터 되돌려보내진다. 그리하여 스텝 S135에 있어서 데이터로 적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는 것을 판별하면 CPU(52)는 기록착오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레지스터 R5를 ''1''증가한다.
다음의 스텝 S147에서는 CPU(52)는 레지스터 R5로 카운트 되어 있는 착오 회수수가 6회에 도달된 것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착고 횟수가 "6"에 도달할 때까지는 앞의 스텝 S111로 되돌아가서 데이터가 재차기록된다. 그러나 기록착오 횟수가 "6"에 도달되면 CPU(52)는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2종류의 값데이터를 각각 암호화되어서 기록부(14a) 및 (14b)에 기록되지만 다른 기록부(14c)에는 이 암호화된 값 데이터를 부호( decode)하기 위한 방법을 표시하는 데이터(부호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암호화의 방법으로서는 값 데이터를 특정한 데이터로 논리연산하여 암호화하는 방법과, 값 데이터를 로테이트(rotate)하여 암호화 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의 복호데이터는 암호화된 값 데이터와 논리연산 하는 것으로 그 결과가 본래의 값데이터로 되는 데이터이다. 또 후자의 경우의 복호데이터는 로테이트에 의하여 암호화 한 값데이터를 본래대로 되돌리기 위한 로테이트의 방법을 지정하는 데이터이다.
이때, 복호하기 위한 로테이트 방법은 판독기/기록기 (10)에 설정되어 있어며, 카드에 기록되어있는 복호데이터는 판독기/기록기(10)에 몇번이라도 설정되어있는 복호를 위한 로테이트의 방법중의 하나를 지정하는 것이다. 또한, 복호데이터는 8비트의 부호로서 설정되기 때문에 최대 256가지의 암호화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판독기/기록기(10)는 자기카드(14)가 투입되면 기록부(14 c)로부터 판독할 복호데이터에 따라서 기록부(14a)로부터 판독한 암호화된 전회의 값데이터 및 기록부(14 b)로부터 판독한 암호화된 현재의 값데이터를 복호한다.
그리고 판독기/기록기(10)는 값데이터를 복호한 단계에서 현재의 값데이터를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서 부호하며 암호화한 값데이터를 기록부(14a)에 기록하는 동시에, 이때의 암호화 방법을 표시하는 복호데이터를 기록부(14c)에 기록한다. 단, 기록부(14b)에는 암호화 한 "0"원의 값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기록후 판독기/기록기(10)는 자기카드(14)에 기록한 데이터들 재차 판독하여 판독한데이터가 기록하고자 한 데이터에 일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한다.
자기카드(14)에 데이터가 바르게 기록되어 있으면 판독한 데이터는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일치한다. 그러나, 판독한 데이터와 기록하고자하는 데이터가일치하지 않으면 판독, 기록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그 원인으로서는 기록회로(56)나 자기헤드(48)에 기록헤드의 이상 또는 판독회로(54)나 자기헤드(48)의 판독헤드에 이상이 있다.
판독기/기록기(10)는 판독 기록기능의 이상이 검출되면 이와같은 상이한 원인을 다음과 같이하여 구별한다.
즉, 검출을 위하여 카드로부터 판독한 데이터가 당초에 이 카드에 기록되어 있었던 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양쪽의 값데이터가 일치되어 있으면 자기카드(14)의 기록데이터는 기록동작을 경계로하여 변화하고 있지 않는 것이므로 기록 기능의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양쪽의 값데이터가 일치되어 있지 않으면 검출을 하기 위하여 자기카드(14)로부터 재차 판독한 때의 그 판독자체에 이상이 있었던 것이며, 이 경우는 판독기능의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 기능의 이상인 경우에는 그대로 동작을 계속하여 판매를 행하여도 잔액을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판독기/기록기(10)는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판독기능의 이상인 경우에는 그 카드에 대하여는 카드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판독한 후의 판독기능의 이상이며, 더구나 기록기능은 정상이기 때문에 판독기/기록기(10)는 동작을 계속한다. 그러나 그대로 판독기능의 이상이 계속되면 판독기/기록기 (10)는 동작을 정지한다.
제5a도 내지 제5c도는 ROM 62(제3도)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판독기/기록기(10)의 CPU(52)가 행하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대기상태]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먼저의 제 4A도와 동일한 스텝 S1내지 S6이 실행된다. 단,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카드데이터 판독]
카드의 투입을 검지하면 카드데이터 판독동작에 들어가지만, 제5a도의 스텝 S7 내지 제 5b도의 스텝 S21의 동작은 제4a도의 스텝 S7내지 제4b도의 스텝 S21의 동작과 동일한 것이며 반복되지 않는다. 카드가 진짜이며 또한 유효한 것이면 CPU(52)는 스텝 S22로 진행하며, 자기카드(14)의 기록부(14c)에 기록되어 있었던 복호데이터에 의거하여 기록부 (14a)에 기록되어 있었던 전회의 값데이터를 표시하는 암호화테이터 및 기록부 (14b)에 기록되어 있었던 현재의 값데이터를 표시하는 암호화데이터를 각각 복호화 한다.
판독, 기록 기능의 검출
카드에 기록되어 있었던 암호화된 값데이터의 복호가 종료되면 CPU(52)는 판독 기록 기능의 검출을 행하도록 스텝 S23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CPU(52)는 복호한 현재의 값데이터를 전회사용되어 있었던 암호화 방법으로부터 하나의 시프트(shift)된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서 부호화 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24에서는 판독 기록 기능의 검출을 위하여 카드에 기록해야 할 기입데이터를 레지스터 R3내에 작성한다.
이때 카드에 기입되는 고정데이터는 이 카드로부터 판독하여 레지스터 R2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가 표시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것이지만 기록부 (14a)에는 스텝 S23으로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의하여 부호화된 현재의 값데이터가 기록되며, 기록부 (14c)에는 이 암호화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데이터가 기록되도록 CPU(52)는 기입데이터를 작성한다.
또한 기록부 (14b)에는 동일하게 암호화 방법에 따라서 부호화된 검사데이터 "0"이 기록되도록 CPU(52)는 기입데이터를 작성한다. 그 이후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스텝 S25(제5b도)( 내지 S49(제5D도)가 실행한다.
제5d도에 표시하는 스텝 S51에서는 CPU(52)는 판독한 데이터와 레지스터 R3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양쪽의 데이터가 일치되어 있으면 기록동작이 바르게 행하여 졌다고 판단하여 스텝 S57로 진행하지만 양쪽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스텝 S52로 진행한다.
CPU(52)는 이 스텝 S52에서는 판독한 데이터가 카드가 투입된 초기단계인 앞의 스텝 S11에서 판독하며, 또한 레지스터 R2에 간직하고 있는 데이터와 동일한 것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양자가 동일한 때에는 레지스터 R3의 기록데이터가 카드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것을 표시하며, 이경우에는 (52)는 기록회로 (56)나 자기헤드 (48)의 기록헤드에 이상이 발행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S53으로 진행하며, 이 스텝 S53에 있어서 판독기능의 고장을 상위기기(58)에 전달한 후 판독기/기록기(10)의 동작을 정지한다.
그러나 스텝 S41에서 판독한 데이터와 스텝 S11에서 판독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CPU(52)는 스텝 S41에서의 판독동작에 이상이 발생하며, 그러나 기록기능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 S57로 진행한다.
스텝 S57에서는 CPU(52)는 카드가 가지고 있었던 현재의 값데이커를 상위기기(58)에 전송한 후 스텝 S59에 있어서 다음에 이 상위기기(58)로부터 거래후의 잔액테이터가 이송되어 오는 것을 대기한다.
[갱신데이터의 기록]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위기기(58)로부터 갱신된 값데이터가 인터페이스(60)을 통하여 CPU(52)에 전송되면 CPU(52)는 제5E도의 스텝 S100에서 이 잔액데이터를 다시 시프트한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101에서는 CPU(52)는 레지스터 R3 의 암호화된 "0"원(won)의 값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영역에 부호화 한 잔액데이터를 세트하여 스텝 S102로 진행한다. 그후 스텝 S102 내지 스텝 S147(제 5G도)가 먼저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자기카드, IC카드에도 적용할 수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판별수단으로부터 고장신호가 출력된때는 거래결재를 금지하고, 따라서 예컨대 대금없이 거래가 이루어지는 결과가 되는 부정한 결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드가 무효인 것을 표시하는 검사데이터가 기록되도록하면 거래결재 즉, 갱신된 값데이터의 기록전에 카드가 되돌아온 경우 그 이후 그 카드는 사용할 수없게되며, 결과적을 카드 판독기/기록기로부터 카드가 부정적으로 되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Claims (14)

  1. 카드삽입구(12)와, 상기 카드삽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카드 (1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수단 (54)과, 투입된 카드(14)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56)과, 상기 판독수단(54)에 의하여 데이터가 판독된 후에 상기 기록수단(56)을 제어하여 상기 카드(14)의 소정영역에 소정의 검사데이터를 기록시키기 위한 제 1수단과, 상기 소정의 검사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상기 판독수단(54)을 제어하여 상기 카드(14)로부터 데이터를 판독시키기 위한 제 2수단과, 상기 제 2수단의 제어하에서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영역의 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검사데이터와 소정의 관계에 없을 때 상기 기록수단(54)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별수단(5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취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데이터는 카드 (14)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카드(14)는 전회의 취급후의 제 1값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1기록부 (14a)및 현재의 취급후의 제 2값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2기록부 (14b)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데이터는 상기 제 2기록부 (14b)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데이터는 잔액이 "0"인 것을 표시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취급장치.
  5. (a). 투입된 카드(1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려는 처리와, (b). 상기 데이터가 판독된 후에 상기 카드(14)의 소정영역에 소정의 검사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와, (c) . 상기 소정의 검사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상기 카드 (14)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러와, (d).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영역의 데이터와 상기 소정의 검사 데이터가 소정의 관계에 있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방법.
  6. 카드(14)를 투입하기 위한 카드삽입구(12)와, 상기 카드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기록부(14a)(14b)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2기록부 (14c)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삽입구(12)로부터 투입된 카드(14)와 상기 제 1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2기록부 (14c)에 기록되어있는 상기 복호데이터에 의하여 복호하는 복호수단과, 상기 카드에 기록해야할 데이터를 암호화가 위한 복호사단 및 상기 부호수단에 의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 1기록부에 기록하고, 또한, 사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데이터를 상기 제 2기록부 (14c)에 기록하기 위한 제 1기록수단 (5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수단은 카드(14)의 제 2기록부 (14c)에 기록되어 있었던 복호데이터와는 상이한 복호데이터에 의하여 복호할 수 있는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 상기 카드 (14)에 기록해야 할 테이터를 부호화하며, 제 1기록수단 (56)은 상기 카드의 상기 제 2기록부(2c)에 상기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의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별도의 복호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기록수단(56)에 의하여 기록된 데이터가 복호수단에 의하여 복호화되며, 상기 복호수단에 의하여 부호화되기 전의 데이터와 일치하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과 상기 제 1판별수단은 양자가 일치하고 있지 않을 때 제 1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판별수단이 일치하지 않음을 판별한 경우 상기 복호수단에 의하여 복호된 데이터가 상기 카드(14)에 상기 카드가 투입되기 전에 기록되어 있었던 데이터와 일치하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과, 상기 제 2판별수단은 양자가 일치하고 있지 않을 때 제2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와 제 2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 상기 카드(14)에 기록해야할 상기테이터를 상기부호 수단에 의하여 상기 별도의 암호와 방법과는 상이한 제 3암호화 방법에 따라 암호화하며, 상기 제3암호와 방법에 따라 상기 부호수단에 의하여 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3암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데이터를 상기 제 1, 제 2의 기록부에 기록하기 위한 제 2기록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 장치.
  11. (a). 카드를 받아들이는 처리와, 상기 카드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기록부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2기록부(14c)를 포함하며, (b), 상기 카드의 상기 제 1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2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호데이터에 의하여 복호화 하는 처리와, (c), 상기카드(14)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서 부호화하는 처리와. (d)상기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 암호화된 데이터를 카드 (14)의 제1기록부에 기록하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별도의 복호데이터를 제2기록부(14c)에 기록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장치.
  12. (a). 카드를 받아들이는 처리와, 상기 카드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기록부 ( 14a), (14b)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2기록부(14c)를포함하며, (b). 상기 카드(14)의 제1기록부 (14a) (14b)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제 2기록부 (14c)에 기록되어 있는 복호데이터에 의하여 복호화하는 처리와, (c). 상기처리 B에 복호화된 데이터를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 하는 처리와, (d). 상기처리( c)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및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데이터를 상기 카드의 상기 제 1 및 제 2기록(14a)(14b)(14c)에 재차 기록하는 처리와, (e). 상기 처리(d)의 후에 상기 카드(14)의 상기 제 1기록부에 기록되어있는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제 2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복호데이터에 의하여 복호화는 처리 및. (f). 상기 처리(e)에서 복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처리(c)에서 부호화 되기전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g).상기처리(f)에서 일치하지 않음이 판별된 때 상기처리에서 복호화된 데이터가 상기 처리(b)에서 복호화된 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취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h), 상기 처리(f)에서 일치가 판별된 때, 또는 상기 처리(g)에서 일치하지 않음이 판별된때, 상기 처리(b)에서 복호화된 데이터를 다시 별도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 부화하는 처리 및, (i)상기처리 (h)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및 상기또 다른 암호화 방법에 따라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데이터를 상기 카드의 제1 및 제2기록부에 기록하는 처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급방법.
KR1019900017745A 1989-11-01 1990-11-01 카드 취급장치 및 카드 취급방법 KR940004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86610 1989-11-01
JP1286610A JP2895877B2 (ja) 1989-11-01 1989-11-01 カード処理装置
JP???1-286610 1989-11-01
JP1289211A JP2919507B2 (ja) 1989-11-07 1989-11-07 カード運用装置
JP???1-289211 1989-11-07
JP1-289211 1989-11-07
JP1325431A JP2840339B2 (ja) 1989-12-14 1989-12-14 カード運用装置
JP???1-325431 1989-12-14
JP1-325431 1989-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63A KR910010363A (ko) 1991-06-29
KR940004768B1 true KR940004768B1 (ko) 1994-05-28

Family

ID=2733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745A KR940004768B1 (ko) 1989-11-01 1990-11-01 카드 취급장치 및 카드 취급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83048A (ko)
KR (1) KR940004768B1 (ko)
CA (1) CA2029042C (ko)
GB (1) GB22376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9037B (en) * 1989-11-01 1994-05-04 Sanyo Electric Co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card
GB2286704B (en) * 1994-02-11 1997-09-24 Primax Electronics Bv Name card scanner
AU3883097A (en) * 1996-07-09 1998-02-02 Ldc Direct, Ltd. Co. Point-of-distribution pre-paid card vending system
US6280326B1 (en) 1997-06-24 2001-08-28 Mikohn Gaming Corporation Cashless method for a gaming system
GB2328042B (en) * 1997-07-26 2002-10-09 Ibm Smartcard transaction processing
JP3522507B2 (ja) * 1997-09-29 2004-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販売処理装置
US6650427B2 (en) 2001-06-01 2003-11-18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Self validating printer with ticket voiding features
US6498655B1 (en) 2001-06-01 2002-12-24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Self validating printer with ticket voiding and reprint features
US20030144910A1 (en) * 2002-01-30 2003-07-31 Flaherty Stephen 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inventory for point-of-sale activation services
AU2003248926B2 (en) * 2002-07-09 2008-06-05 Futurelogic, Inc. Gaming machine printer
JP4064913B2 (ja) * 2003-12-02 2008-03-1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1550A (en) * 1975-12-04 1977-01-04 Schatz Vernon L Universal funds transfer and identification card
GB1593377A (en) * 1976-12-10 1981-07-15 Emi Ltd Security document and system
US4322613A (en) * 1980-04-08 1982-03-30 Vendacopy, Inc. Method for tamper-proofing magnetic stripe card reader
NL8201077A (nl) * 1982-03-16 1983-10-17 Philips Nv Kommunikatiesysteem, bevattende een centrale dataverwerkende inrichting, toegangsstations en externe stations, waarbij een kryptografische kontrole is voorzien op vervalsing van een extern station, alsmede externe stations voor gebruik in zo een kommunikatiesysteem.
AU3546484A (en) * 1983-12-15 1985-06-20 Cubic Western Data Fare payment system
GB8410098D0 (en) * 1984-04-18 1984-05-31 Gec Traffic Automation Metering devices
US4736423A (en) * 1985-04-30 1988-04-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 for reducing RSA Crypto variable storage
GB2217949B (en) * 1988-03-29 1992-08-05 Aisin Seiki Data encry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83048A (en) 1996-01-09
KR910010363A (ko) 1991-06-29
CA2029042C (en) 2000-08-15
GB9023728D0 (en) 1990-12-12
GB2237671A (en) 1991-05-08
GB2237671B (en) 1994-05-04
CA2029042A1 (en) 199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7448B1 (en) Authenticator, processor and method for verification of document substance and content
US5438186A (en) Multi-reader transaction terminal
KR940004768B1 (ko) 카드 취급장치 및 카드 취급방법
CA1066416A (en) Modular transaction terminal with microprocessor control
US5545883A (en) Magnetic card and card reader apparatus utilizing a pseudo bar code and an address information code
IE46845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identity verification apparatus
CN102428486B (zh) 介质处理装置以及介质处理方法
JP2513571B2 (ja) カ―ド処理装置
JP2840339B2 (ja) カード運用装置
JP2895877B2 (ja) カード処理装置
GB2269037A (en) Card handling apparatus
US6837424B2 (en) Cheque processor
CA1180806A (en) Tag reader
JP2575640B2 (ja) 媒体処理装置
JPH0296897A (ja) カード式自動販売機
JP3042265B2 (ja) 磁気カード及び磁気カード判定装置
JPH10269400A (ja) 紙幣識別装置
JPS6148176A (ja) 磁気カ−ドの記録内容チエツク装置
JP6141618B2 (ja) 磁気カードリーダライタ
KR100451305B1 (ko) 워터마크 마그네틱카드 인코딩시스템 및 방법
JPS63279393A (ja) カ−ド処理装置
JP2536967B2 (ja) カ−ド発行装置
KR200171853Y1 (ko) 전자오락기용 카드인식장치
JPH0821113B2 (ja) カ−ド処理装置
JPH053179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