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990B1 -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 Google Patents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990B1
KR940003990B1 KR1019910021382A KR910021382A KR940003990B1 KR 940003990 B1 KR940003990 B1 KR 940003990B1 KR 1019910021382 A KR1019910021382 A KR 1019910021382A KR 910021382 A KR910021382 A KR 910021382A KR 940003990 B1 KR940003990 B1 KR 94000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inhibition
inhibition effect
food
strong
preservat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541A (ko
Inventor
박재한
강규찬
백상봉
이규순
Original Assignee
해태제과 주식회사
이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태제과 주식회사, 이용배 filed Critical 해태제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990B1/ko
Publication of KR930009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포도 추출액 및 이에 아디핀산, 저급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MC12), 산성메타인산나트륨 등을 혼합한 식품보존제 및 이를 냉면 육수, 가래떡 등의 떡류와 팥을 원료로 하는 아이스크림 등에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에 첨가하는 보존제로는 솔빈산, 안식향산, 과산화 수소, 데하이드로 초산(dehydro aceticacid) 등의 합성 보존제, 천연물인 유기산(구연산, 사과산등), 식염, 에틸알콜, 글리신, 당이나 당알콜, 향신료추출물등이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각종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합성 보존제는 비교적 넓은 항균력을 가지고 있지만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 및 그 사용량에 제약이 있고, 솔빈산 등과 같은 것은 식품에 쓴맛을 주기 때문에 식품의 풍미를 저해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유기산은 원래 산미 부여제로 보존성을 얻을 수 있는 양을 식품에 첨가하면 식품의 풍미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에틸 알콜등도 단품으로 보존효과를 가지려면 상당히 많은 양이 첨가되어야 하고, 이 경우 식품의 풍미나 물성에 심한 영향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는 포도추출액 단독 또는 이에 아디핀산, 저급 지방산 글리세라이드(MC12), 산성메타인산 나트륨 등을 적정 혼합비로 혼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존제를 식품에 첨가하면 식품의 대표적인 부패균인 대장균, 고초균, 포도상구균, 효모, 곰팡이 등의 생육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식품의 보존 효과를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포도 추출액은 천연물(식용)로서 안전성이 보장되고, 아디핀산, 저급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산성메타인산나트륨 등의 첨가물로 식품 위생법상에 있어서 그 안정성이 매우 높고,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적은 농도로 사용하여도 보존효과가 우수하므로 식품의 맛과 품질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식품의 종류나 첨가량에 전혀 제약이 없는 식품 첨가물이다.
본 발명의 보존제는 식품의 제조 공정시 원료와 함께 배합하거나 별도의 수용성 현탁액으로 제조하여 첨가, 침지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는 각각 반복 실시하여 그 결과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포도추출액 제조방법
증류수로 수세한 포도 100g에 물과 에틸알콜(3 : 7~5 : 5)혼합액 400ml를 첨가, 80℃에서 3시간 열탕 추출한후 여과에서 얻은 여액을 60%까지 농축하여 포도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2~7,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포도 추출액의 각종 부패균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공시균으로는 대장균(E.coli ATCC 25922), 고초균(B.subtilis ATCC 9372), 포도상구균(S.aureus ATCC 10537), 슈도모나스(P.aeruginosa ATCC 7700)와 효모(C.utilis ATCC 42416) 등을 사용하였다. 전배양은 상기 5종의 균주 모두 YM 배지(Bacto extract 0.3% Bacto peptone 0.5% Bacto dextrose 1%, Malt extract 0.3%, PH 6.2)를 사용하였으며, 효모는 30℃에서, 그외 세균은 37℃의 배양기에서 12시간 배양한후 각각을 1.6~3.0×108cell/ml로 미생물의 수를 조정하여 공시 균액으로 사용하였다. 추출액의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도추출액을 표 1에서와 같이 첨가한 각 배지중의 전배양된 공시균을 접종하고 진탕 배양기에서 5일간 배양하여 균성장을 육안 판정하면서 이들을 한천 평판에 도말하여 균의 생육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각각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에서 보는 바와같이 포도추출액은 세균에 대하여는 낮은 농도에서도 강한 생육억제를 나타내었고, 효모에 대하여는 보다 높은 농도에서 생육억제효과를 나타냈다.
[표 1]
(++ : 균 생육억제 없음, - : 약간 강하게 생육억제, -- : 강하게 생육억제)
[실시예 8~20, 비교예 2]
본 발명에서의 냉면 육수는 상법에 의해 쇠고기 300g을 물 1l에 넣고 1시간 동안 끓인후, 냉각하고 상층의 기름성분을 제거하여 하루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제된 냉면 육수에 대장균을 108cell/ml 접종하고 대장균을 접종한 냉면 육수 100부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포도추출액, 아디핀산, 저급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MC12), 산성메타인산나트륨을 단독 및 혼합 첨가하여 항균력을 측정한 바 표 2, 3, 4와 같았다. 본 발명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은 냉면육수를 비교예 2로 표시하였다.
이들 각각을 4℃에서 10일간 보관하여 대장균의 생육 억제효과를 판정하였다.
[표 2]
(++ : 균의 생육억제 전혀 없음, - : 생육억제효과 약간 있음, -- : 생육억제효과 강함, --- : 생육억제효과 매우 강함)
[표 3]
(++ : 균의 생육억제 전혀 없음, - : 생육억제 효과 약간있음, -- : 생육억제효과 강함,--- : 생육억제효과 매우강함.)
[표 4]
(++ : 균의 생육억제 전혀 없음, - : 생육억제효과 약간 있음, -- : 생육억제효과 강함, --- : 생육억제효과 매우 강함)
[실시예 22~35, 비교예 3]
본 발명에서의 가래떡은 밀가루 500g에 물 500ml를 넣고 반죽한 뒤 40분간 증자한후, 호화된 떡을 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가래떡을 시제하였다.
포도 추출액, 아디핀산, 저급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MC12), 산성 메타인산나트륨을 증류수 100부에 표 5, 6, 7에서와 같이 단독 및 혼합용해한 용액에 상기와 같이 제조한 가래떡에 고초균을 접종하여 1분과 1분 30초 동안 침지한 뒤 상온에서 보관하면서 항균력을 측정한 바 표 5, 6, 7,과 같았다.
본 발명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은 가래떡은 비교예 3으로 하였다. 이들 각각 상온에서 6일간 보관하여 균의 생육 억제효과를 판정하였다.
[표 5]
(++ : 균의 생육억제 전혀 없음, - : 생육억제 효과 약간있음, -- : 생육억제효과 강함,--- : 생육억제효과 매우강함.)
[표 6]
(++ : 균의 생육억제 전혀 없음, - : 생육억제 효과 약간있음, -- : 생육억제효과 강함,--- : 생육억제효과 매우강함.)
[표 7]
(++ : 균의 생육억제 전혀 없음, - : 생육억제 효과 약간있음, -- : 생육억제효과 강함,--- : 생육억제효과 매우강함.)
[실시예 36~49, 비교예 4]
본 발명에서의 팥은 아이스크림 원료의 시제법에 의해 조제된 원료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팥앙금은 팥 400g을 수세하여 여기에 물 1200ml를 넣고 증자한 후, 이를 믹서로 마쇄하고, 여기에 포도 추출액, 아디핀산, 저급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MC12), 산성 메타인산나트륨을 단독 및 혼합첨가한후 포도상구균을 접종하여 각각의 팥앙금을 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보관하면서 항균력을 측정한 바, 표 8, 9, 10과 같았다. 본 발명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은 팥, 팥앙금은 비교예 4로 하였다. 이들 각각 상온에서 6일간 보관하여 균의 생육 억제효과를 판정하였다.
[표 8]
(++ : 균의 생육억제 전혀 없음, - : 생육억제효과 약간 있음, -- : 생육억제효과 강함,--- : 생육억제효과 매우강함.)
[표 9]
(++ : 균의 생육억제 전혀 없음, - : 생육억제효과 약간 있음, -- : 생육억제효과 강함,--- : 생육억제효과 매우강함.)
[표 10]
(++ : 균의 생육억제 전혀 없음, - : 생육억제효과 약간 있음, -- : 생육억제효과 강함,--- : 생육억제효과 매우강함.)

Claims (3)

  1. 포도 100g에 물과 에틸알콜(3 : 7~5 : 5) 혼합액 400ml를 첨가 80℃에서 3시간 열탕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60%까지 농축한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2. 제1항에 있어서, 농축포도추출액 100중량부에 통상의 식품보존제인 아디핀산, 저급지방산글리세라이드 또는 산성메타인산나트륨 100~2000중량부를 더 첨가한 식품보존제.
  3. 냉면육수, 가래떡, 팥앙금 100중량부에 포도 100g에 물과 에틸알콜(3 : 7~5 : 5) 혼합액 400ml를 첨가 80℃에서 3시간 열탕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60%까지 농축한 포도추출액 또는 이에 통상의 식품보존제인 아디핀산, 저급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또는 산성메타인산나트륨을 더 첨가한 것을 0.03~1.00중량부를 첨가하는 식품보존방법.
KR1019910021382A 1991-11-27 1991-11-27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KR94000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382A KR940003990B1 (ko) 1991-11-27 1991-11-27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382A KR940003990B1 (ko) 1991-11-27 1991-11-27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541A KR930009541A (ko) 1993-06-21
KR940003990B1 true KR940003990B1 (ko) 1994-05-10

Family

ID=1932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382A KR940003990B1 (ko) 1991-11-27 1991-11-27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9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366A (ko) * 2018-01-22 2019-07-31 김달원 한약재박을 이용한 자돈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190089367A (ko) * 2018-01-22 2019-07-31 김달원 한약재박 함유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366A (ko) * 2018-01-22 2019-07-31 김달원 한약재박을 이용한 자돈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190089367A (ko) * 2018-01-22 2019-07-31 김달원 한약재박 함유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541A (ko) 199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5010A (en) Emulsified oil dressings
JPH0220271A (ja) 食品保存用エタノール製剤
US4820520A (en) Antiseptic agent for food and drink and method of antiseptic treatment thereof
JPH0889224A (ja) 食品の保存性向上法および食品用保存剤
KR102104134B1 (ko) 소고기 숙성방법
JPH03168075A (ja) 食品保存用エタノール製剤
KR101875189B1 (ko) 등차를 이용한 식품 첨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EP0359738B1 (de) Zubereitung zur verlängerung der haltbarkeit von lebensmitteln, arzneimitteln und kosmetischen produkten
KR940003990B1 (ko)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KR101057496B1 (ko) 속성 발효 동치미 및 그 동치미의 분말화 방법
KR102327656B1 (ko) 산딸기 발효액 및 이를 이용한 양념육 제조방법
KR100777622B1 (ko) 항균성이 개선된 구기자함유 고추장
KR20090129277A (ko) 김밥용 녹차 김 및 그 제조방법
KR940003989B1 (ko) 미숙귤 추출액을 사용한 식품 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CN110522001B (zh) 一种酱腌菜腌制油及其制备方法
CN112772894A (zh) 一种用于预制菜肴的天然保鲜调味剂
KR101914611B1 (ko)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
KR101748131B1 (ko) 삼채 및 재거리를 포함하는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JP4606700B2 (ja) 防カビ剤、防カビ用組成物、及び防カビ性飲食物、並びに飲食物の保存性向上方法
Das et al. Effect of preservatives on extending the shelf-life of Rasogolla
KR910005620B1 (ko) 식품 보존제 및 식품의 보존방법
KR100428480B1 (ko) 호박청주의 제조방법
JPS6037965A (ja) 食品用保存剤
KR102302242B1 (ko) 자숙 꼬막살의 보존 기간을 향상시키고 맛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
KR102104133B1 (ko) 자가제면 건식 숙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