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611B1 -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611B1
KR101914611B1 KR1020160034864A KR20160034864A KR101914611B1 KR 101914611 B1 KR101914611 B1 KR 101914611B1 KR 1020160034864 A KR1020160034864 A KR 1020160034864A KR 20160034864 A KR20160034864 A KR 20160034864A KR 101914611 B1 KR101914611 B1 KR 10191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od
preservative composition
ferment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775A (ko
Inventor
양은주
선유경
서예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6003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6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을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산막효모에 처리하는 경우, 우수한 항효모활성을 나타내어 종래에 사용된 화학 보존제 대신 안전성 있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 {A natural food preservativ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Solanum nigrum L.}
본 발명은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효식품(fermented food)은 젖산균이나 효모 등 미생물의 발효작용을 이용하여 만든 식품으로서, 알콜발효, 젖산발효, 초산발효, 아미노산발효 등 발효균의 종류와 발효조건에 따라 생성물이 달라지므로 식품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장류(된장, 간장, 고추장 등), 김치류, 빵류, 주류, 식초, 발효유제품(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 젓갈류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발효식품은 원료에 함유되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질 등이 효소 또는 미생물의 분해 또는 합성작용으로 인해 원료성분이 복잡하게 변화하여, 원료에는 전혀 함유되지 않은 성분들이 생겨나면서 영양가, 기호성, 저장성 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발효 조건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원하지 않는 미생물이 섞여 들어가게 되어서 부패 등의 변질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산막효모(film yeast)는 효모를 액체 배양할 때 배양용기의 벽에 등반성의 건조한 느낌의 엷은 피막을 형성하는 효모이며, 간장, 된장, 김치 등을 양조 또는 저장하고 있는 동안 표면에 생육하는 소위 흰 곰팡이를 말한다. 이들의 대부분은 에스테르를 생성하여 종종 향기로운 냄새를 갖지만, 증식이 지나가면 불쾌한 냄새를 생성하므로 자가용의 된장, 김치 등에 발생하는 특유의 악취는 산막효모에 의한 것이 많다. 또한, 설탕등애와 같은 해충이 이들의 흰곰팡이를 먹은 뒤 왕성한 번식을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발효식품의 양조 또는 저장 면에서 보면 유해균이다. 즉, 산막효모는 발효제품의 맛과 풍미를 손상시켜 상품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산소 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발효미생물의 군집 특성을 변화시키며 산막효모의 자가 소화 분해로 여러 부패균들의 증식을 유발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어 경제적 손실과 함께 심각한 건강유해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산막효모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발효식품의 저장 시 저장 용기의 표면을 필름 등으로 밀착하고 혐기조건으로 유지하도록 하거나, 저온보관, 또는, 보존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요구된다.
물질의 부패를 막는 약제 즉, 동식물성 유기물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부패하는 것을 막는 것이 방부이며, 보존을 목적으로 방부하기 위해 첨가하는 약제가 방부제 또는 보존제이고, 이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군의 품질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식품의 변질, 부패를 방지하고, 그 보존력을 높일 목적으로 첨가되는 방부제를 식품 방부제 또는 식품 보존제라고 하며, 이는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서 일어나는 식품의 변질, 부패 및 화학적 변화를 방지하여 식품의 영양가와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서, 일반적으로 방부제로 불리는 물질을 말한다. 보존제의 작용은 부패 미생물의 발육저지를 위한 정균작용, 살균작용, 식품 중의 효소 또는 부착 미생물의 부패작용을 하는 효소작용의 저해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보존제로는 데히드로초산 및 그 염류, 소르빈산 및 그 염류, 안식향산 및 그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 염류, 프로피온산 및 그 염류가 해당된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존료는 소르빈산칼륨이며 그 다음 순으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 안식향산나트륨 등이 사용됨을 볼 수 있고, 피로피온산류 또는 데히드로초산류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597-608, 2008).
현재 식품산업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 보존제의 대부분은 화학적 합성품으로써, 이는 인체에 독성을 일으키거나, 체내 축적으로 인한 돌연변이 유발, 만성 독성 등을 나타내며, 최근에는 내분비계 교란물로도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기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식품산업 및 학계에서는 안전성이 확보되고 보다 효과가 우수한 식품 보존제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천연물로부터 이들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물로 조성된 제제는 인체에 독성 및 자극성이 적고, 생분해성도 높으며 환경 친화적이라고 알려진 반면, 현재까지 개발된 천연 식품 보존제는 경제성이 낮거나 좁은 항균 스펙트럼 또는 물성으로 인한 사용범위의 제한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기능성이 풍부한 천연 식품 보존제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까마중(Solanum nigrum L., Black nightshade)은 가짓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흑색의 익은 열매에서 비롯되는 이름이다. 강태, 깜두라지, 까마종이, 용규(龍葵)라고도 불리며, 높이 20~90㎝, 길이 6~10㎝, 너비 4~6㎝로 가장자리에 밋밋하거나 파도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이며, 끝은 뾰족하거나 뭉툭하고, 밑은 둥글거나 뾰족하다. 꽃은 5~7월에 백색으로 피며, 화서는 잎보다 위에서 나오고, 1~3㎝의 꽃대 위에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과실은 장과로 구형이며 검게 익으며, 우리나라 각지에 나고 열대 및 온대에 널리 분포한다.
까마중의 줄기, 잎, 열매에는 솔라닌(solanine), 솔라마르긴(solamargine)등 여러가지 알칼로이드와 비타민 A, C 및 사포닌(saponin)등의 유효성분을 갖추고 있으며, 현재까지 보고된 까마중의 효능, 효과는 동의학사전, 본초강목, 도경본초등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해열, 항암작용, 타박상, 기관지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까마중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임종국 등, 2001; 정갑섭 등, 2009]에는 까마중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였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23466호에는 까마중으로부터 항산화제를 추출, 정제하는 방법 및 까마중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가 개시되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5957호에는 까마중 추출물을 이용한 피시움 잎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및 피시움 잎마름병의 방제방법에 대해 개시되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34956호에는 까마중 추출물과 자몽 추출물을 이용한 피로회복 및 노화억제에 좋은 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었으나, 까마중 추출물이 항효모활성이 있음을 증명하고 이를 천연 식품 보존제로서 사용할 수 있음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23466호(까마중으로부터 항산화제를 추출, 정제하는 방법 및 까마중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의 개발, 2007년 02월 28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5957호(피시움 잎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시움잎마름병의 방제방법, 2007년 06월 27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34956호(까마중 추출물과 자몽 추출물을 이용한 피로회복 및 노화억제에 좋은 음료의 제조방법, 2014년 11월 25일, 공개)
임종국 등, 까마중내(Solanum nigrum L.) 항산화방어계의 항산화력 및 물질의 동정,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11(6), 509-516, 2001. 정갑섭 등, 까마중-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 18(11), 1207-1214,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까마중(Solanum nigrum L)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까마중 추출물은, 까마중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및 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까마중 추출물은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식품은 발효식품이며, 상기 발효식품은 된장, 간장, 고추장, 치즈, 버터, 요구르트, 김치, 빵류, 주류, 식초, 젓갈 및 양념소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된장, 간장, 고추장, 김치, 요구르트 및 양념소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공정) 까마중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및 농축하여 까마중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에서 제조된 까마중 추출물을 여과 또는 여과 후 건조하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에서 여과 또는 여과 후 건조된 까마중 추출물을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에어로졸제, 유제, 현탁제 및 주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식품 보존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까마중 추출물은, 까마중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및 농축하여 얻을 수 있고,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추출액,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방법은 또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및 환류 추출 등이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까마중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액을 농축할 경우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까마중 추출물은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까마중 추출물이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까마중 추출물이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까마중 추출물이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부패균인 산막효모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낮아 식품 보존 효과가 미미하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막효모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 상승 폭이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상기 산막효모의 경우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Pichia membranifaciens), 피치아 쿠드리아브제비(Pichia kudriavzevii),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 한세눌라 아노말라(Hansenula anomala), 데바리오미세스 한세니(Debaryomyces hansenii)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피치아(Pichia) 속, 한세눌라(Hansenula) 속, 데바리오미세스(Debaryomyces) 속에 해당하는 모든 산막효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시된 산막효모 외에도 본 발명의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은, 칸디다(Candida) 속 중 식품에서 부패를 일으키고 산막을 유발하는 칸디다 크루세이(Candida krusei), 장류 발효균이지만 당류가 많은 식품에서 부패를 유발하는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룩시이(Zygosaccharomyces rouxii), 액상제형 식품에서 부패를 유발하는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Zygosaccharomyces bailii), 음료에서 부패를 유발하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와 브레타노마이세스 인터메디우스(Brettanomyces intermedius) 등의 효모를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까마중 추출물은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식품 보존 필요성에 맞게 편리하고 적합한 방법으로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에어로졸제, 유제, 현탁제, 주정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1공정) 까마중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및 농축하여 까마중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에서 제조된 까마중 추출물을 여과 또는 여과 후 건조하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에서 여과 또는 여과 후 건조된 까마중 추출물을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에어로졸제, 유제, 현탁제 및 주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식품 보존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2공정에 있어서, 1공정에서 제조된 까마중 추출물은 여과한 여액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여과 후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의 방법으로 건조한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제화된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을 식품에 담그거나, 담근 후 휘젓거나, 보존제를 뿌리거나, 직접 혼합함으로써 이를 식품에 고르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식품은 발효식품이며, 상기 발효식품은 된장, 간장, 고추장 등의 장류,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의 발효유제품, 김치, 빵류, 주류, 식초, 젓갈, 양념소스(육류용 양념소스, 김치용 양념소스 등) 등이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을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산막효모에 처리하는 경우, 우수한 항효모활성을 나타내어 종래에 사용된 화학 보존제 대신 안전성 있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 및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 균주가 처리된 간장에서의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까마중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까마중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까마중((주)초원한방플러스, 국내산) 50g에 50% 에탄올 수용액(1000㎖)을 첨가하여 7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 및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까마중 에탄올 추출물(분말) 6.35g을 얻었다.
실시예 1-2. 까마중 열수 추출물의 제조
까마중((주)초원한방플러스, 국내산) 50g에 물 1000㎖을 넣고 95℃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얻은 여과액을 동결건조하여 까마중 열수 추출물(분말) 7.67g을 얻었다.
<실험예 1. 최소저해농도(MIC,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까마중 추출물을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룩시이(Zygosaccharomyces rouxii), 칸디다 알비칸스(Candia albicans),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Pichia membranifaciens) 균주에 각각 처리한 뒤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함으로서, 각 균주에 대한 까마중 추출물의 항효모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사용된 상기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룩시이, 칸디다 알비칸스 또는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의 각각의 균주는 Yeast Mold 배지(yeast extract 0.3%, malt extract 0.3%, peptone 0.5%, dextrose 1%, pH 6.2)에서 30℃, 48시간 동안 진탕배양(200rpm)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96웰 플레이트에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를 농도별로(초기 농도 5000ppm에서 2배씩 연속희석(serial dilution)) 각각 100㎕씩 넣어준 다음, 상기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룩시이, 칸디다 알비칸스 또는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의 각 균주 배양액을 희석하여 100㎕(2×105 CFU)를 혼합하고 30℃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뒤, 60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때 대조군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대신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빈산칼륨,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을 사용하였다.
조건 균주별 최소저해농도(ppm)
Zygosaccharomyces rouxii Candida albicans Pichia
membranifaciens
실시예 1-1 78 156 20
실시예 1-2 625 2,500 156
대조군 안식향산나트륨 78 156 78
소르빈산칼륨 78 78 78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156 313 78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까마중 추출물은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룩시이, 칸디다 알비칸스,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 균주에 대해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장류 발효 균주인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룩시이나 병원성 효모인 칸디다 알비칸스보다는, 식품부패성 산막효모인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 균주에 대한 저해 활성의 경우, 본 발명의 까마중 추출물은 대조군(화학 보존제)과 유사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종래에 사용된 화학 보존제 대신 안전성 있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발효식품에서의 최소저해농도 측정>
실험예 2-1. 간장에서의 최소저해농도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산막효모인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를 발효식품 중 간장에 처리하여 이에 대한 항효모활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48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실시예 1-2를 농도별(5000, 2500, 1250, 625, 313, 156, 78 및 39ppm)로 각 500㎕씩 넣어준 다음, 상기 실험예 1의 조건으로 진탕배양된 2%의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 균주 배양액이 혼합된 간장 500㎕을 더하였다. 총 1000㎕의 반응액을 30℃에서 4일간 배양하였고, 배양이 끝난 뒤 60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1 또는 실시예 1-2의 최종 농도는 2500, 1250, 625, 313, 156, 78, 39 및 20ppm이었으며, 대조군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대신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최종 농도 1250, 625, 313, 156, 78, 39, 20 및 10ppm)을 사용하였다.
조건 최소저해농도(ppm)
실시예 1-1 78
실시예 1-2 78
대조군(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625
상기 표 2 및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까마중 추출물은 발효식품인 간장에 포함된 산막효모에 대한 저해 활성이 대조군인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보다 우수하여,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2. 발효유 제품에서의 최소저해농도 측정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간장 대신 발효유 제품인 요구르트에 처리하여 이에 대한 항효모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1 또는 대조군(안식향산나트륨)과 2%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 균주액이 혼합된 반응액을 30℃에서 2일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이 끝난 뒤 흡광도 측정이 불가하여 육안으로 산막 형성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각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건 최소저해농도(ppm)
실시예 1-1 78
대조군(안식향산나트륨) <39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까마중 추출물은 발효유 제품인 요구르트에 포함된 산막효모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3. 김치에서의 최소저해농도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산막효모인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를 발효식품 중 김치에 처리하여 이에 대한 항효모활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본 발명의 실시예 1-1과 상기 실험예 1의 조건으로 진탕배양된 피치아 멤브레이니페이션스 균주 배양액(1×106 CFU/g) 및 1×1cm로 절단된 김치 2g을 혼합하여 30℃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 1-1의 최종 농도는 5000, 2500, 1250, 625, 313 및 156ppm이었으며, 대조군으로는 안식향산나트륨을 동일한 농도로 사용하였다. 배양이 끝난 뒤, 흡광도 측정이 불가하여 육안으로 산막 형성 여부를 관찰하고 각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조건 최소저해농도(ppm)
실시예 1-1 1250
대조군(안식향산나트륨) >5000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까마중 추출물은 발효식품인 김치에 나타나는 산막형성을 저해하는 활성이 대조군(안식향산나트륨)보다 우수하여,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4. 양념소스에서의 최소저해농도 측정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간장 대신 50% 농도의 갈비양념소스 또는 장아찌소스에 실시예 1-2를 처리하여 이에 대한 항효모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30℃에서 3일 간의 배양이 끝난 뒤, 흡광도 측정이 불가하여 육안으로 산막 형성 여부를 관찰하고 각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조건 최소저해농도(ppm)
갈비양념소스 실시예 1-2 313
대조군(안식향산나트륨) 78
장아찌소스 실시예 1-2 156
대조군(안식향산나트륨) 78
상기 표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까마중 추출물은 양념소스에 나타날 수 있는 산막형성을 저해하여,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까마중(Solanum nigrum L)에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및 농축하여 얻은 까마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식품 보존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까마중 추출물은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보존용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은 된장, 간장, 고추장, 김치, 빵, 주류, 식초, 치즈, 버터, 요구르트, 젓갈 및 양념소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보존용 조성물.
  6. 삭제
  7. (1공정) 까마중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및 농축하여 까마중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에서 제조된 까마중 추출물을 여과 또는 여과 후 건조하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에서 여과 또는 여과 후 건조된 까마중 추출물을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에어로졸제, 유제, 현탁제 및 주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식품 보존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보존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60034864A 2016-03-23 2016-03-23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 KR10191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64A KR101914611B1 (ko) 2016-03-23 2016-03-23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64A KR101914611B1 (ko) 2016-03-23 2016-03-23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775A KR20170110775A (ko) 2017-10-12
KR101914611B1 true KR101914611B1 (ko) 2018-11-05

Family

ID=6014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864A KR101914611B1 (ko) 2016-03-23 2016-03-23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116A (ko) 2018-12-04 2020-06-15 구름마을사람들 영농조합법인 까마중과 며느리배꼽을 함유한 술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78B1 (ko) 2007-04-13 2008-07-21 에이비씨나노텍 주식회사 금 또는 은 나노입자 및 까마중 추출물의 중합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78B1 (ko) 2007-04-13 2008-07-21 에이비씨나노텍 주식회사 금 또는 은 나노입자 및 까마중 추출물의 중합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116A (ko) 2018-12-04 2020-06-15 구름마을사람들 영농조합법인 까마중과 며느리배꼽을 함유한 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775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pas et al. Plants: A natural solution to enhance raw milk cheese preservation?
JP2013503911A (ja) カビおよび酵母による腐敗を防ぐための組成物並びにその使用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製品
Konfo et al. Improvement of African traditional sorghum beers quality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plants extracts for their stabilization: a review.
EP3370522B1 (en) Anti-microbial agent comprising xanthohumol and the use thereof in food products
KR101914611B1 (ko) 까마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조성물
CN102273505B (zh) 一种杨梅贮藏保鲜方法
JP2005027588A (ja) 食品用保存剤および食品の保存方法
KR100580578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류
US20090111894A1 (en) Method of Preventing Microbial Growth
KR20160007839A (ko) 실온에서 장기보존이 가능한 묵류 및 이의 제조방법
Sagdic et al. Microbial ecology of mayonnaise, margarine, and sauces
KR102117693B1 (ko) 로즈마리, 계피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항균제 및 그 제조방법
JP4606700B2 (ja) 防カビ剤、防カビ用組成物、及び防カビ性飲食物、並びに飲食物の保存性向上方法
KR101824107B1 (ko) 녹차씨 또는 녹차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효모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ahmani Food hazards and quality control in table olive processing with a special reference to functional compounds
KR101873907B1 (ko) 고추 발효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매운 소스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6086B1 (ko) 항진균제
Roller The biotechnological development of new food preservatives
KR102563381B1 (ko) 장미꽃 추출물 및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선편이 과일 제조용 침지액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신선편이 과일
De Souza et al. Antifungal Potential of Hibiscus Tea and Fermented Kombucha
KR940003990B1 (ko) 포도추출액을 사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 보존방법
JPH0676290B2 (ja) 抗菌剤
KR102560979B1 (ko) 카피르라임 및 님트리를 혼합 추출한 ky항균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보존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품보존제.
KR101476220B1 (ko) 토복령 추출액을 함유하는 천연 보존제의 제조 방법
JP4176505B2 (ja) 野菜用鮮度保持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