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841B1 - 전화기 - Google Patents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841B1
KR940003841B1 KR1019880004328A KR880004328A KR940003841B1 KR 940003841 B1 KR940003841 B1 KR 940003841B1 KR 1019880004328 A KR1019880004328 A KR 1019880004328A KR 880004328 A KR880004328 A KR 880004328A KR 940003841 B1 KR940003841 B1 KR 940003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base
telephone
telephone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343A (ko
Inventor
톰케 에른스트
카펠러 마크스
Original Assignee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마틴 비에리 · 다니엘 파라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H1456/87A external-priority patent/CH669697A5/fr
Priority claimed from FR8705795A external-priority patent/FR2614487B1/fr
Application filed by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마틴 비에리 · 다니엘 파라테 filed Critical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Publication of KR88001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1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 H04M1/715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extensions p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제1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전화기의 베이스와 핸드셋트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
제2도는 베이스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1실시형태 전화기의 전기회로를 단순화하여 보인 블럭다이아그램.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베이스의 상부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제2실시형태 전화기의 전기회로를 단순화하여 보인 블럭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베이스 8 : 핸드셋트
12, 28 : 케이싱 48 : 키보드
56 : 조절버튼 60 : 보조버튼
74 : 호출수단 80 : 음성회로
84, 138, 140 : 스위치 94, 98 : 수화기
96, 100 : 송화기 146, 148 : 푸쉬버튼
150, 152 : 다이오드 170, 182 : 호출회로
172, 184 : 부저
188, 196, 204, 212, 222, 230, 250, 262, 270, 286, 294 : 스위치
236 : 음성회로 282 : 다이얼회로
304 : 음성회로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화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푸쉬-버튼 키보드 또는 디스크가 구비된 베이스와, 이 베이스상에 놓일 수 있는 두개의 수화기를 갖는 전화기가 알려진 바 있다.
두사람이 하나의 전화라인을 통하여 외부사용자 한사람과 동시에 통화할 수 있거나 두개의 별도 라인을 통하여 각기 다른 외부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는 형태의 이들 전화기는 부피가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결점이 없는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이러한 전화기가 청구범위의 특징을 가질 때에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두 실시형태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인 전화기는 코드(4)와 플러그(6)를 통하여 네트워크의 전화선에 연결되는 베이스(2)와, 이 베이스상에 얹힐 수 있으며 이에 코드(10)로 연결되는 핸드셋트(8)로 구성된다.
핸드셋트(8)는 공지된 것이다. 이 핸드셋트는 기다랗고 만곡된 케이싱(12)으로 구성되며, 이 케이싱은 손으로 쉽게 쥘 수 있는 중간부(14)와, 평면부(20)(22)를 갖는 두개의 동일한 단부(16)(18)로 구성되고 이들 단부의 평면부(20)(22)에는 소공(24)과 슬로트(26)가 헝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수화기와 송화기(도시하지 않았음)가 각각 장설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베이스(2)내에도 수화기와 송화기(제1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는 핸드셋트(18)의 형태와 거의 유사한 케이싱(28)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케이싱(28) 역시 기다랗고 만곡된 형태이며, 핸드셋트의 케이싱(12)과 유사하게 손으로 쥘 수 있게된 중간부(30)와 크기가 거의 동일한 두 단부(32)(34)로 구성된다.
또한 기부(2)의 저면에는 이들 단부측에서 소공(40)과 슬로트(42)가 형성된 평면부(36)(38)가 헝성되어 있고 이들 내부에 수화기와 송화기가 내장되어 있다.
핸드셋트와 베이스 사이에는 물론 차이가 있다.
첫째로, 베이스(2)의 케이싱(30)은 핸드셋트의 케이싱보다 약간크다.
둘째로, 베이스(2)의 평면부(36)(38)가 동일평면상에 놓여 있으므로 베이스(2)를 전화기 테이블과 같은 평면상에 놓았을 때에 베이스가 안정되게 놓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핸드셋트의 경우에는 그 평면부가 동일평면상에 놓일 필요는 없다.
물론, 베이스의 평면부(36)(38)은 안정성을 갖도록 평탄하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평면부의 중앙이 약간 요입되고 이들의 변부만이 동일평면상에 놓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중앙부분만 돌출되게 하여 동일평면상에 놓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이 조합되어 안정성을 갖고자 하는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로, 두 케이싱 사이의 차이점은 베이스(2)의 케이싱(28)에서 상부면에는 중간부(30)에 요입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입부의 저면에 공지된 키보드(48)의 12개 키(46)가 돌출되어 있으며, 단부(32)(34)에는 중앙에 핸드셋트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요입부(50)(52)가 형성되어 핸드셋트가 베이스상에 정획히 얹힐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단부의 요입부 중에서 하나의 요입부, 즉 요입부(50)에는 슬로트(54)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통상적인 전화기의 후크와 같은 동일기능을 갖는 조절버튼(56)이 돌출되어 있다. 핸드셋트가 베이스상에 놓여있는 한 이 조절버튼(56)(이후 주조절버튼이라 함)은 핸드셋트의 무게로 눌리어 있게 되며 전화기는 호출수단을 제외하고는 작동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핸드셋트(8)를 들어올렸을 때에 버튼(56)이 자동적으로 상승하고 전화기가 전화라인에 연결된다.
끝으로, 베이스의 케이싱과 핸드셋트의 케이싱 사이의 네번째 차이점은 베이스 케이싱(28)의 평면부(38)에 음성이 송출되는 상기 언급된 슬로트(42)와는 별도의 다른 슬로트(58)가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상부의 버튼(56)과 유사하게 베이스(2)에 내장된 송화기와 수화기를 온-오프시키는 보조버튼(60)이 슬로트(58)를 통하여 왕복이동토록 착설되어 있다.
이상은 전화기의 외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제 핸드셋트와 베이스의 케이싱(12)(28)이 사각점선부분으로 도시된 제3도에서 전화기의 전기회로가 설명될 것이다.
제3도에서, 와이어(62)(64)가 전화라인에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전화기의 두 단자(66)(68)에 연결된다.
이들 단자(66)(68)로부터 한쌍의 도선(70)(72)이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 압전부저(76)와 그 제어회로(78)로 구성된 호출수단(74)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도선(70)(72)은 인쇄회로기판의 전도성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72)은 공지의 음성회로(80)에 직접 연결되고, 도선(70)은 주조절버튼(56)(제1도)에 의하여 작동되는 가동접점(86)을 갖는 온-오프 스위치(84)의 일측단자(82)에 단자(66)를 연결하며, 온-오프 스위치의 타측단자인 고정접점(88)은 다른 도선(90)을 통하여 음성회로(80)에 연결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음성회로는 전화라인으로부터의 대화신호를 처리하여 수화기에 전달하고 송화기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를 라인에 전달한다.
또한 도선(72)(90) 사이에는 공지의 다이얼회로(92)가 연결된다. 도면에서 사각형으로 보아 키보드(48)에 연결된 이 회로(92)는 키보드에서 가입자번호가 다이얼링될 때에 호출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회로가 연결되는 방식으로부터 이 회로가 발생하는 신호는 펄스형태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회로는 음성회로(80)에 연결되어 상이한 음향 주파수의 신호를 조합하므로서 호출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된 회로나 또는 이러한 신호나 펄스 모두를 발생할 수 있는 회로로 대치되어 전화기가 어떠한 네트워크에도 연결될 수 있다.
제3도에서 보인 회로의 설명을 끝내기 위하여, 핸드셋트(12)에 내장된 수화기(94)와 송화기(96)의 연결과, 베이스(28)에 내장된 수화기(98)와 송화기(100)의 연결에 대하여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기(94)(98)은 각각 와이어(102)(106)를 통하여 회로의 공통단자(110)에 연결되고, 와이어(104)(108), 단자(112)(114) 및 도선(116)(118)을 통하여 음성회로(80)에 연결된다.
또한 송화기(96)(100)는 각각 와이어(120)(124)에 의하여 공통단자(128)에 연결되고, 와이어(122)(126), 단자(130)(132) 및 도선(134)(136)을 통하여 음성회로(80)에 연결된다.
환언컨데, 수화기(94)(98)는 음성회로(80)에 연결된 한쌍의 단자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되며, 송화기(96)(100)의 경우에도 이들은 음성회로에 연결된 한쌍의 단자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한쌍의 온-오프 스위치(138)(140)가 각각 단자(110)와 도선(118) 사이와, 단자(128)와 도선(136)사이에 연결된다.
이들 두 스위치는 수화기(98)와 송화기(100)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스위치의 접점(140)(142)은 보조조절버튼(60)에 의하여 함께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완전한 설명을 위하여 여러 전원회로와, 라인으로부터 입력전압의 과전압 및 극성반전을 막기 위한 여러 보조회로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하나 이들 회로는 공지되어 있고 이들을 설명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더이상 상세히 하지 않기로 한다.
이제 제1도-제3도에서 보인 전화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베이스가 전화기 받침대상에 놓여있고 핸드셋트를 들어올리지 않는 한 조절버튼(56)(60)은 베이스 케이싱의 슬로트(54)(58)에서 눌려진 상태에 있게 되고, 스위치(84)(138)(140)의 접점(86)(142)(144)는 제3도에서 실선으로 보인 위치에 놓인다. 즉 스위치(86)는 개방되고 다른 두 스위치(138)(140)는 폐쇄되어 수화기(98)와 송화기(100)를 단락시킬 것이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는 호출수단(74)만이 인입호출을 신호토록 라인에 연결된다.
예를들어 전화기 받침대를 청소하거나 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체 전화기를 들어올리는 경우, 보조조절버튼(60)이 돌출되고 스위치(138)(140)가 개방되나 메인스위치(84)가 개방상태로 남아있게 하는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하여, 물론 핸드셋트(8)를 먼저 들어올림으로서 스위치(84)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에따라 계속 단락상태에 놓여있는 베이스(2)의 수화기(98)와 송화기(100)를 제외하고는 전화기 회로의 모든 부분이 라인에 연결된다.
그리고 가입자 번호가 키보드(48)에서 다이얼링될 수 있으며 다이얼링 되었을 때에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다른사람이 대화에 참여하고자 한다면 자신이 손으로 베이스(2)를 쥐고 들어올려 핸드셋트처럼 사용하면 된다. 베이스(2)를 들어올렸을 때에 스위치(138)(140)가 개방되고 핸드셋트(8)의 수화기(94)와 송화기(96)처럼 베이스(2)의 수화기(98)와 송화기(100)가 음성회로(80), 도선(72)(90)(70), 스위치(84)의 접점(86)과, 코드(4)의 와이어(62)(64)를 통하여 라인에 연결된다.
물론, 주위의 소음이 심한 경우 보다 잘 들을 수 있도록 한사람이 핸드셋트와 베이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호출이 있는 경우,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할 필요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사용방법이나 작동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2실시형태를 설명하기에 앞서 3가지의 중요한 내용이 먼저 설명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첫째로, 스위치(84)(138)(140)는 가동접점 대신에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음성회로(80), 다이얼회로(92) 및 호출수단의 제어회로(78)는 하나의 집적회로에 설장될 수 있다.
둘째로, 수화기(94)(98)와 송화기(96)(100)는 직렬이 아닌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셋째로, 핸드셋트(8)의 수화기(94)와 송화기(96)에 대하여 하나의 음성회로가 제공되고 베이스(2)의 수화기(98)와 송화기(100)에 대하여 다른 음성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음성회로를 라인에 연결하거나 이 라인으로부터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하여 타측 음성회로에 연장된 두 도선 중의 하나에 온-오프 스위치를 연결하면 된다.
이제 설명될 전화기가 상기 언급된 전화기에 대하여 크게 다른점은 이후 설명될 전화기가 다만 하나가 아닌 두개의 별도 전화라인의 일측단부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는 점이다.
외부적으로는 이들 두 전화기 사이의 차이는 거의 없다. 첫째로, 핸드셋트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4도에서 보인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동일부호로 표시한 이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로 보이는 부분, 즉 케이싱(28)으로부터 보조버튼(60)까지의 모든 부분이 동일하다.
새로운 부분이 있다면 영문자(A)(B)가 표시된 두개의 푸쉬버튼(146)(148)이 키보드(4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버튼(146)(148)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들 버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두개의 발광다이오드(LED)(150)(152)가 있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푸쉬버튼(146)(148)은 호출된 가입자 라인을 선택하거나 핸드셋트를 인입 호출라인에 연결토록 사용되는 것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두 버튼 중 하나가 눌러지면 다른 하나는 튀어나오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버튼의 기능은 두개의 안정된 위치를 갖는 로타리 놉(rotary knob)이나 전등을 점멸시키거나 가전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는 여러가지 온-오프 스위치에서 찾아볼 수 있는 형태의 슬라이딩 놉(sliding knob)의 기능과 같다.
다이오드(150)(152)는 인입호출라인을 쉽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수정형태로서 단 하나의 안정위치를 갖는 푸쉬버튼이 사용되거나 중간에 중립위치를 포함하는 3개의 안정위치를 갖는 푸쉬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이오드(150)(152)가 출중계호출을 위하여 선택된 라인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제5도는 제2실시형태의 회로를 보인 것으로, 좌측에 라인(A)에서 연장된 두 와이어(154)(156)의 단부가 연장되고, 라인(B)에서 연장된 다른 두 와이어(158)(160)의 단부가 연장되며, 이들 4개의 와이어는 전화기가 이들 전화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공통의 코드(4)(제4도 참조)에 집속되어 있다.
와이어(154)(156)는 회로단자(162)(164)와 도선(166)(168)을 통하여 한쌍의 쌍안정 전환스위치(188)(196)의 공통단자(186)(194)에 연결되어 있다. 도선(166)(168)사이에는 부저(172)와 발광다이오드(150)를 제어하는 호출회로(17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158)(160)는 단자(174)(176)와 도선(178)(180)을 통하여 다른 한쌍의 쌍안정 전환스위치(204)(212)의 공통단자(202)(21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선(178)(180)사이에는 제2부저(184)와 다이오드(152)를 포함하는 제2호출수단의 회로(182)에 연결된다.
다이오드가 이미 호출에 사용되고 있는 라인을 표시하고 있다면 부저(172)(184)가 상이한 주파수의 부저음을 발생할 필요는 없으나 그 가능성은 물론 예상될 수 있는 것이다.
전환스위치(188)(196)(204)(212)는 모두 제5도에서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연결되도록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제5도에서는 이들이 푸쉬버튼(146)(148)으로 제어되는 것은 도시하지 않았다.
만약 푸쉬버튼(146)(148)이 이미 예상한 바에 따라 3개의 안정위치를 갖는 것이라면 이들은 이들 푸쉬버튼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환스위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의 개방위치는 푸쉬버튼의 중간위치에 일치할 것이다.
제5도에서 보인 회로는 상측부에는 스위치(188)의 비공통단자(190) 중 하나가 전화기의 메인푸쉬버튼(56)에 의하여 작동되는 온-오프 스위치(222)의 한 단자에 도선(218)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222)의 타측단자(224)는 접점이 베이스(28)의 하측에 배치된 보조조절버튼으로 작동되는 다른 온-오프 스위치(230)의 일측단자(228)에 도선(226)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230)의 타측단자(232)는 도선(234)으로 제1음성회로(236)에 연결되고, 이 회로에는 4개의 와이어와 4개의 도선(모두 부호를 붙이지 아니하였음)에 의해 핸드셋트(8)의 수화기(94)와 송화기(96)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188)의 타측 비공통단자(192)는 도선(238)을 통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제5쌍안정 전환스위치(262)의 일측 비공통단자(264)에 연결되고 타측 비공통단자(266)는 도선(240)을 통하여 도선(226)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204)의 비공통단자(206)(280)은 도선(242)(244)에 의하여 각각 도선(218)(238)에 간단히 연결되어 있다.
더우기 스위치(196)의 비공통단자(198)는 도선(246)을 통하여 제3의 온-오프 스위치(250)의 일측단자(248)에 연결되고 그 가동접점은 보조조절버튼에 의하여 작동되며 타측단자(251)는 음성회로(236)에 도선(252)으로 연결된다.
스위치(196)의 타측 비공통단자(200)는 도선(254)에 의하여 제6쌍안정 전환스위치(270)의 일측 비공통단자(274)에 연결되고 그 타측 비공통단자(272)는 도선(256)으로 도선(246)에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치(188)(204)(212) 중에서 스위치(212)의 비공통단자(214)(216)는 각각 도선(258)(260)으로 도선(254)(256)에 연결된다.
스위치(262)(270)에서, 이들의 각 공통단자(268)(276)는 도선(278)(280)을 통하여 제7 및 제8의 쌍안정전환스위치(286)(294)의 두 공통단자(284)(292)에 연결된다. 도선(278)(280) 사이에는 전화기의 다이얼회로이고 물론 키보드(48)에 연결된 회로(282)가 연결되어 있다. 다이얼회로(282)는 공지된 것으로 선행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또한 전환스위치(262)(270)(286)(294)는 동일버튼에 의하여 점선위치에 놓이도록 작동되며 동시에 온-오프 스위치(230)(250)도 동일버튼으로 작동된다.
이제 스위치(286)(294)의 비공통단자가 연결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스위치(286)는 그 일측 비공통단자(288)가 도선(300)을 통하여 도선(234)에 연결되고 타측 비공통단자(290)가 도선(302)을 통하여 제2음성회로(304)에 연결되며 이 음성회로에는 베이스(2)에 내장된 수화기(98)와 송화기(100)가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294)는 그 일측 비공통단자(296)가 도선(306)으로 도선(252)에 연결되고 타측 비공통단자(298)는 도선(308)으로 음성회로(304)에 연결된다.
이상으로 설명된 전화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전화라인(A)에 연결된 버튼(146)이 눌러져 있다고 가정하자. 스위치(188)(196)(204)(212)의 접점은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선의 위치에 놓여있어 이들의 공통단자(186)(194)(202)(210)가 이들의 비공통단자(190)(198)(206)(214)에 연결되어 있게 된다.
베이스(2)가 받침대상에 놓여있고 또한 핸드셋트(8)가 그대로 놓여있는 한 메인조절버튼과 보조조절버튼 모두가 눌러져 있게 되고 온-오프 스위치(222)(230)(250)의 접점과 전환스위치(262)(270)(286)(294)의 접점이 제5도에서 실선으로 보인 위치에 놓여있게 된다. 즉 온-오프 스위치는 개방하고 전환스위치의 공통단자(268)(276)(284)(292)는 각각 이들의 비공통단자(266)(272)(288)(296)에 연결되어 있다.
만약에 전화기 전체를 들어올려 온-오프 스위치(230)(250)가 폐쇄되고 전환스위치(262)(270)(286)(294)의 접점위치가 전환된다 하여도 메인 온-오프 스위치(222)가 그대로 개방되어 있어 호출수단의 하나가 호출 신호음을 발생치 아니하고 인입호출을 나타내는 다이오드의 하나가 발광되지 않는 한 전화기는 작동치 아니한다.
이제 가입자가 전화라인(A)에서 호출된다고 가정하자. 먼저, 가입자는 핸드셋트(8)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로써 메인 온-오프 스위치(222)는 다른 두 온-오프 스위치의 상태나 8개의 전환 스위치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음성회로(236)는 도선(234)의 일부, 도선(300), 전환스위치(286)의 가동접점, 도선(278), 전환스위치(262)의 접점, 도선(240), 도선(226)의 일부, 온-오프 스위치(222)의 접점, 도선(218), 전환스위치(188)의 접점과 도선(166), 그리고 도선(252)이 일부, 도선(306), 전환스위치(294)의 접점, 도선(280), 전환스위치(270)의 접점, 도선(256), 도선(246)의 일부, 전환스위치(196)의 접점 및 도선(168)을 포함하는 제1내부 라인에 의하여 단자(162)(164), 즉 라인(A)에 연결된다.
또한 다이얼회로(282)가 이러한 내부라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선(287)(280) 사이에 연결되므로 이 회로역시 라인(A)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어느 특정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하여서는 다이얼톤을 들으면서 그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링하면 된다. 만약에 가입자가 응답하면 호출자는 그와 통화할 수 있으며 통화종료시 핸드셋트(8)를 놓으면 온-오프 스위치(222)가 다시 개방되어 내부라인이 차단된다.
만약 호출자가 상기 가입자의 통화중에 있을 때에 제3자가 다른 가입자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3자는 베이스를 들어올린다. 이때에 보조조절버튼이 해제되므로 온-오프 스위치(230)(238)가 폐쇄되고 모든 전환스위치(262)(270)(286)(294)의 접점은 제5도에서 점선으로 보인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사용될 제1음성회로가 도선(234), 온-오프 스위치(230)의 접점, 온-오프 스위치(222)의 접점, 도선(218), 전환스위치(188)의 접점과 도선(166), 그리고 도선(252), 온-오프 스위치(250)의 접점, 도선(246), 전환스위치(196)의 접점과 도선(168)을 포함하는 제2내부라인을 통하여 단자(162)(164)에 연결됨을 의미한다.
제2음성회로(304)는 도선(302), 전환스위치(286)의 접점, 도선(278), 전환스위치(262)의 접점, 도선(238)의 일부, 도선(242), 전환스위치(204)의 접점과 도선(178), 그리고 도선(308), 전환스위치(294)의 접점, 도선(280), 전환스위치(270)의 접점, 도선(254)의 일부, 도선(258), 전환스위치(212)의 접점과 도선(180)을 포함하는 제3내부라인을 통하여 단자(174)(176), 즉 라인(B)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선(278)(280)이 제3내부라인의 일부를 형성하므로 다이얼회로(282)도 역시 라인(B)에 연결되고 제2호출자는 그가 대화를 원하는 가입자의 번호를 다이얼링할 수 있다.
만약 제2호출자가 통화 중에 제1호출자가 통화를 끝내는 경우 그는 메인조절버튼(56)을 누르고 핸드셋트를 내려놓을 수 있다 제1음성회로(236)와 라인(A)사이의 연결은 온-오프 스위치(222)에 의하여 간단히 차단되고 원상태로 복귀되므로서 이 라인은 다른 호출자가 대화를 끝내고 핸드셋트(8)를 내려놓을 때까지 그대로 사용된다.
만약 가능하다면 핸드셋트가 베이스에 놓일 수 있으며 다른 호출자가 자신의 손에 전화기 전체를 들고 통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라인(A)는 다시 호출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에, 제3자가 어떤 가입자와 라인(A)을 통하여 통화하는 중에 라인(B)의 호출수단이 호출신호음을 발생하고 다이오드(152)가 발광하기 시작한다고 가정한다. 이때에는 베이스를 들고 응답하거나 그밖에 제3자가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회로의 관점에서 볼때에 이러한 상황은 첫번째 사람이 통화 중에 두 번째 사람이 다른 가입자를 호출할 때와 동일하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링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라인(B)를 통하여 인입호출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있어서는 버튼(148)을 누르고 핸드셋트(8)를 들어올리거나 역순으로 진행하여 호출에 응답하면 된다.
이러한 버튼의 위치변화로 전환스위치(188)(196)(204)(212)의 위치변화가 이루어지며 도선(234)의 일부, 도선(300), 전환스위치(286)의 접점, 도선(278), 전환스위치(262)의 접점, 도선(240), 도선(226)의 일부, 메인 온-오프 스위치(222)의 접점, 도선(218)의 일부, 도선(244), 전환스위치(204)의 접점과 도선(178), 그리고 도선(252)의 일부, 도선(306), 전환스위치(294)의 접점, 도선(280), 전환스위치(270)의 접점, 도선(256), 도선(246)의 일부, 도선(260), 전환스위치(212)의 접점과 도선(180)으로 구성되는 제4내부라인에 의하여 제1음성회로(236)가 단자(174)(176)에 연결된다.
물론, 다른 상황이 일어날 수 있으나 선행 실시형태에 의하여 무엇이 일어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거론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문에 예시되고 설명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이 명백하다.
예를들어 보조조절버튼(60)은 베이스(2)가 제2핸드셋트처럼 사용될 수 있도록 누를 수 있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키보드(48)도 역시 회전형 다이얼링 디스크로 대체될 수 있다. 라인의 두개인 전화기의 경우에 있어서 두사람이 일측라인의 타측단부가 있는 한사람과 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핸드셋트(8)가 코드가 아닌 무선으로 음성회로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전화기에는 제1송신기, 케이싱내에 내장되는 제1수신기와 밧데리, 케이싱내에 내장되는 형태로 제1수신기에 연결된 제1안테나 또는 신축형의 외부안테나, 제2수신기, 음성회로에 연결된 제2송신기와 베이스에 결합되는 제2안테나, 그리고 전화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 핸드셋트의 밧데리를 충전시키는 AC/DC변환기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등이 부가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의 크기가 작아서 제2송신기와 제2수신기를 내장할 수 없다면 이들은 보조케이싱에 AC/DC변환기와 함께 조합되어 내장될 수 있으며, 이 보조케이싱으로부터 제2안테나가 연장되고, 변환기를 주전원에 연결하기 위하여 플러그가 달린 두개 와이어의 리이드선과, 전류를 변환기로부터 베이스에 인가하고 제2송신기를 음성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3개 또는 4개 와이어의 코드선이 연결된다.
또한 베이스와 핸드셋트가 제1도에서 보인 것과 같다면 요입부(52)에 한쌍의 단자가 배치되고 이에 변환기로부터의 두 전원선이 연결되며 한쌍의 접점이 핸드셋트(8)의 평면부(22)에 형성되어 밧데리에 연결되므로서 이 밧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핸드셋트와 베이스는 외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예시된 실시형태와는 다르게 베이스상에 핸드세트가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0)

  1. 전화라인에 연결되고 제1수화기(94)와 제1송화기(96)가 내장된 케이싱(12)을 갖는 핸드셋트(8)와, 이 핸드셋트가 얹히는 케이싱(28)으로 구성된 베이스(2)로 구성되며, 베이스(2)가 호출수단(74),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선택수단(48,92), 전화라인에 도달한 대화신호를 제1수화기에 전달하고 제1송화기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화라인에 전달하도록 제1수화기와 제1송화기에 연결된 음성회로(80), 핸드셋트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1조절수단(56)과, 핸드셋트를 들어올렸을 때에 선택수단과 음성회로를 전화라인에 연결토록 조절수단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칭수단(84,138,140)으로 구성되는 전화기에 있어서, 베이스에 제2수화기(98), 제2송화기(100)와, 핸드셋트를 들어올렸을 때에 제2수화기와 제2송화기가 전화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수단에 작용하는 제2조절수단(60)이 구성되어 있고, 베이스의 케이싱에 제2수화기와 제2송화기가 내장될 수 있게 되어 있어 이 베이스가 제2핸드셋트로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제2조절수단이 베이스(2)가 전화기 받침대상에 놓여있을 때에는 제2수화기(98)와 제2송화기(100)가 전화라인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되게 하고 베이스를 들어올렸을 때에는 이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베이스(2)의 하측에 배치된 푸쉬버튼(6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3. 청구범위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2수화기(98)와 제2송화기(100)가 음성회로(80)를 통하여 전화라인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4. 청구범위 3항에 있어서, 제2수화기(98)와 제2송화기(100)가 각각 제1수화기 (94)와 제1송화기(96)에 직렬로 연결되고 스위칭수단(84,138,140)이 제2수화기와 제2송화기를 단락시켜 전화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제2조절수단(60)에 의하여 동시에 작동될 수 있게 배열된 한쌍의 스위치(138)(1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5. 한쌍의 전화라인에 연결되고 제1수화기(94)와 제1송화기 (96)가 내장된 케이싱(12)을 갖는 핸드셋트(8)와, 이 핸드셋트가 얹히는 케이싱(28)으로 구성된 베이스(2)로 구성되며, 베이스(2)가 적어도 하나의 호출수단(170,172),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선택수단(48,282), 일측 전화라인에 도달한 대화신호를 제1수화기에 전달하고 제1송화기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전화라인에 전달하도록 제1수화기와 제1송화기에 연결된 제1음성회로(236), 핸드셋트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1조절수단(56), 일측 또는 타측 전화라인을 수동으로 선택토록 작동가능한 제2조절수단(146)(148)과, 핸드셋트를 들어올렸을 때에 선택수단과 제1음성회로를 선택된 전화라인에 연결토록 제1 및 제2조절수단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칭수단(188,196,204,212,222,230,250,262,29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베이스에 제2수화기(98), 제2송화기(100), 이들 제2수화기와 제2송화기에 연결된 제2음성회로(304)와, 스위칭수단을 작동시켜 음성회로를 선택되지 않는 전화라인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3조절수단(60)이 구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의 케이싱에 제2수화기와 제2송화기가 내장될 수 있게 되어 있어 이 베이스가 제2핸드셋트로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6.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스위칭수단(188,196,204,212,222,230,250,262,270,286,294)이 선택수단(48,282)과 제2음성회로(304)를 동시에 선택되지 않은 전화라인에 연결하고 제1음성회로(236)가 제3조절수단(60)의 작동전에 이미 선택된 전화라인에 연결되어 있다면 제1음성회로는 그대로 선택된 전화라인에 연결된 상태에 있도록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7. 청구범위 5 또는 6항에 있어서, 제3조절수단이 베이스(2)가 전화기 받침대상에 놓여있을 때에 제2수화기(98)와 제3송화기(100)를 선택되지 않은 전화라인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하고 베이스를 들어올렸을 때에는 이 전화라인에 이들을 연결하도록 베이스(2)의 하측에 배치된 푸쉬버튼(6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전화기.
  8.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제2조절수단이 베이스(2)의 하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전화라인에 결합된 한쌍의 푸쉬버튼(146,148)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9.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베이스(2)에 인입호출이 있는 라인을 나타내도록 푸쉬버튼(146,148)에 결합된 한쌍의 발광다이오드(150,152)가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10.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베이스(2)에 각 전화라인에 결합되는 한쌍의 호출수단(170,172와 182,184)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KR1019880004328A 1987-04-14 1988-04-14 전화기 KR940003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456187 1987-04-14
CH01456/87-3 1987-04-14
CH1456/87A CH669697A5 (en) 1987-04-14 1987-04-14 Telephone for simultaneous conversion between two persons and caller
FR8705795A FR2614487B1 (fr) 1987-04-23 1987-04-23 Appareil telephonique
FR8705795 1987-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343A KR880013343A (ko) 1988-11-30
KR940003841B1 true KR940003841B1 (ko) 1994-05-03

Family

ID=2568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328A KR940003841B1 (ko) 1987-04-14 1988-04-14 전화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817138A (ko)
EP (1) EP0287511B1 (ko)
JP (1) JPS63279645A (ko)
KR (1) KR940003841B1 (ko)
CN (1) CN1011020B (ko)
AT (1) ATE73284T1 (ko)
AU (1) AU594294B2 (ko)
BR (1) BR8801622A (ko)
CA (1) CA1281445C (ko)
DE (2) DE3868671D1 (ko)
ES (1) ES2031278T3 (ko)
HK (1) HK106596A (ko)
SG (1) SG3670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8653B1 (fr) * 1989-06-19 1991-09-13 Ebauchesfabrik Eta Ag Dispositif telephonique destine a etre relie a plusieurs lignes telephoniques
FR2648976B1 (fr) * 1989-06-22 1991-09-20 Ebauchesfabrik Eta Ag Appareil telephonique
FR2674400B1 (fr) * 1991-03-21 1993-07-23 Swatch Ag Appareil telephonique.
GB2298757A (en) * 1995-03-07 1996-09-11 John Folley Multiple handset telephone
US5784456A (en) * 1995-06-29 1998-07-21 Cyracom International, Inc. Single-line multi-handset telephone
DE19626933C5 (de) * 1996-07-04 2009-08-06 Deutsche Telekom Ag Handapparat für Telefone
CN1161745C (zh) * 1998-12-31 2004-08-11 约翰·A·布莱克曼 声音发生器及产生声音的方法
KR100359519B1 (ko) 2000-03-16 2002-10-31 주식회사 동남 실리콘 키패드 일체형 통신기기용 전면 커버
US7177434B2 (en) * 2002-01-18 2007-02-13 Sing-A-Tune Balloons, Llc Stepped sound producing module
FR2841718B1 (fr) * 2002-07-01 2005-12-02 France Telecom Terminal mobile concu pour etre utilisable simultanement par plusieurs utilisateurs et application du terminal mobile a un systeme de traduction simultanee
JP2004312171A (ja) * 2003-04-03 2004-11-04 Temuko Japan:Kk 電話機用送受話器
US20050164597A1 (en) * 2004-01-23 2005-07-28 Tripoli Melchiore (Mike) Iii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components within an inflatable object
US6994219B2 (en) * 2004-01-26 2006-02-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gnetic/ferrofluid separation of particle fraction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9180A (en) * 1949-06-10 1952-03-11 Automatic Elect Lab Multiline telephone substation instrument and circuits
US2780677A (en) * 1955-03-18 1957-02-05 Automatic Elect Lab Multi-line telephone substation
BE560891A (ko) * 1956-10-05
US3022387A (en) * 1958-10-01 1962-02-20 Laura W Triest Telephone attachment
NL246794A (ko) * 1959-12-24
US3792205A (en) * 1971-06-01 1974-02-12 Communic Mfg Hand held telephone test instrument
US4107477A (en) * 1977-03-09 1978-08-15 Marvin Glass & Associates Multi-subscriber telephone apparatus
US4178488A (en) * 1977-08-02 1979-12-11 Toa Electric Co., Ltd. Telephone set
GB2087686B (en) * 1980-10-17 1984-05-31 Lambda Tele Equipment Ltd One piece telephone
US4636585A (en) * 1983-07-08 1987-01-13 Geobra Brandstatter Gmbh & Co. Kg Telephone installations
US4536621A (en) * 1984-05-08 1985-08-20 Ipc Communications, Ltd. Dual talk path key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36707G (en) 1995-09-18
CN1011020B (zh) 1990-12-26
US4817138A (en) 1989-03-28
CA1281445C (en) 1991-03-12
ATE73284T1 (de) 1992-03-15
BR8801622A (pt) 1988-11-08
AU594294B2 (en) 1990-03-01
AU1458588A (en) 1988-10-20
EP0287511A1 (fr) 1988-10-19
JPH0418502B2 (ko) 1992-03-27
EP0287511B1 (fr) 1992-03-04
DE8816921U1 (ko) 1991-04-04
KR880013343A (ko) 1988-11-30
JPS63279645A (ja) 1988-11-16
DE3868671D1 (de) 1992-04-09
HK106596A (en) 1996-06-28
CN88102267A (zh) 1988-11-02
ES2031278T3 (es) 199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841B1 (ko) 전화기
WO1992000640A1 (en) A hands-free module
JPH06216978A (ja) 送受信機
US5014302A (en) Telephone
US6252957B1 (en) Low power line selection circuit for a telephone
US5835587A (en) Telephone having a hold function
JPH0865367A (ja) 携帯通信機
US5784458A (en) Telephone having a hold function
US7564963B2 (en) Multi-handset telephone system
JPH0418032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EP0235883A1 (en) Telephone intercom device
US6445789B1 (en) Telephone having hand-set to be used also as voice input/output device for personal computer
WO1992017988A1 (en) Telephone set
CA2019166A1 (en) Telephone apparatus adapted to be connected to several telephone lines
JPH0720976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S643248Y2 (ko)
JPS6342755Y2 (ko)
JPS6230454A (ja) 電話機
JPS59205894A (ja) ボタン電話機
JPH08317076A (ja) 網制御装置
JPH0235854A (ja) 電話機
JPH01296841A (ja) 電話機
JPH04117054A (ja) 音響カプラ装置
KR19990012724U (ko) 음량표시기능을 갖춘 전화기
KR20030089135A (ko) 재발신 설정시간의 변환이 가능한 핸즈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