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664Y1 - 코넥터 - Google Patents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64Y1
KR940002664Y1 KR2019900019088U KR900019088U KR940002664Y1 KR 940002664 Y1 KR940002664 Y1 KR 940002664Y1 KR 2019900019088 U KR2019900019088 U KR 2019900019088U KR 900019088 U KR900019088 U KR 900019088U KR 940002664 Y1 KR940002664 Y1 KR 940002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contact
plug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092U (ko
Inventor
마사히코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3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0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presenting a contact carrying strip, e.g. edge-like stri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넥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코넥터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수직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코넥터의 부분을 도시한 배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코넥터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 6a 도는 제 1 도의 코넥터에 사용되는 스트레이트타입의 제 2 프레임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 6b 도는 제 1 도의 코넥터에 사용되는 스트레이트타입의 제 2 프레임의 도시한 측면도.
제 7a 도는 다이캐스트제품인 제 1 프레임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 7b 도는 다이캐스트제품인 제 1 프레임의 정면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코넥터를 삽입하거나 빼는 플러그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시도.
제 9 도는 플러그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 10 도는 플러그의 수직단면도.
제 11 도는 본고안에 의해서 플러그를 접속한 상태에서 코넥터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 12 도는 종래예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넥터 몸체 2 : 접편
3 : 시일드프레임 3A : 제 1 프레임
3B : 제 2 프레임 7 : 상대방 코넥터의 시일드프레임
11 : 본체 12 : 접편유지부
21 : 단자부 42 : 암
43 : 접점 P : 플러그(상대방 코넥터)
S : 소켓(코넥터)
본 고안은 전기잡음을 차단하는 시일드프레임을 가지는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잡음을 차단하도록 배치된 코넥터로서, 코넥터 몸체에 의해 유지되는 접편의 주위를 에워싼 통형상의 시일드프레임을 상기 코넥터 몸체에 삽입하고 고정시키고, 상대방 코넥터(플러그)가 상기 통형상의 시일드프레임에 삽입되었을 때, 상대방 코넥터의 시일드프레임이 상기 통형상의 시일드프레임에 형성된 돌기에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형식의 코넥터가 있다.
이것에 의하면, 돌기부 상대방 코넥터의 시일드프레임에 국부적으로 견고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시일드프레임이 서로 면접촉하는 배열을 가진 것에 비해서 시일드프레임이 서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시일드효과가 향상된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시일드프레임으로 사용되는 금속판의 탄성은 일반적으로 그다지 뛰어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종래의 코넥터는,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금속판을 통형상으로 구부려서 시일드프레임(S)을 형성하고, 이 금속판의 단부끼리의 맞댄부분(S1)을 통형상의 시일드프레임(S)의 폭넓이로 형성된 밑벽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그 맞댄부분(S1)의 근처에서 돌기(T)를 형성하도록 제조되었다.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코넥터를 형성할때에, 시일드프레임(S)의 밑벽의 단부와 상기 맞댄부분(S1)사이의 길이(l)가 비교적 길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금속판의 탄성이 그다지 크지 않아도, 받침점의 역할을 하는 밑벽의 단부에 의해서 돌기(T)가 수직방향으로 턴력적으로 변위되기 쉽다. 이에 관련하여, 플러그를 삽입하거나 뺄때에 코넥터(C) 또는 이 코넥터(C)에 삽입하거나 빼는 플러그가 비틀리지만, 이에 의해 돌기(T)와 플러그의 시일드프레임 사이의 접촉압력이 조기에 손상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종래예에서는 플러그를 삽입하거나 뺄때에 플러그의 시일드프레임이 상기 돌기(T)위에 놓이거나 돌기(T)로부터 이탈해서 시일드프레임(S)의 밑벽이 수직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코넥터(C)를 배선기판에 실장할때에 시일드프레임(S)의 밑벽과 배선기판사이에 밑벽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 간격을 형성한 양만큼 배선기판상에 장착된 바와 같은 코넥터의 높이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돌기(T)가 플러그의 시일드프레임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플러그를 코넥터에 원활하게 삽입하고 뺄수 있기 위해서는, 통형상의 시일드프레임(S)을 플러그의 시일드프레임에 삽입결합하는 정밀도를 높여두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코넥터이 제작코스트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끼워맞춤정밀도를 높이면, 플러그를 삽입하고 뺄때에 비틀림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게 되어 시일드프레임(S)의 밑벽이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코넥터에 플러그를 삽입하거나 코넥터로부터 플러그를 빼내는 기능을 거의 희생함이 없이 코넥터의 시일드프레임과 플러그의 시일드프레임 사이의 접촉상태를 장기간 동안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배선기관으로부터의 실장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코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넥터는, 접편의 단자부를 수용하는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 접편유지부를 가지는 코넥터 몸체와, 단자부의 일부가 상기 본체에 수용되고 또한 콘텍트를 형성한 선단부가 상기 접편유지부에 유지되는 접편과, 상기 접편유지부의 주위전체를 에워싼 통형상부를 구비한 시일드프레임과, 상기 접편유지부의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시일드프레임의 측벽에 위치고정되고 또한 상기 시일드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일단부를 가지는 암과, 상기 시일드프레임의 통형상부와 상기 코넥터 몸체의 접편유지부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거나 빼는 플러그의 시일드프레임의 측벽의 외부면에 접촉하거나 분리하도록 상기 암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접점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일드프레임은 통형상부를 가진 제 1 프레임과 암을 가진 제 2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의 통형상부는,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본체에 삽입하여 결합된 상기 제 2 프레임의 바깥쪽에 삽입하여 결합된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구성을 가지는 고안의 코넥터에 의하면, 일단부가 고정된 암의 자유단부에 플러그의 시일드프레임의 측벽외면에 분리 접촉되는 접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일드프레임이 그다지 큰 탄성을 가지지 않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어도 암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접점이 탄성변형되기 때문에, 플러그를 삽입하고 뺄때에 비틀려서 암이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 상기 암은 코넥터 몸체의 접편유지부의 측면에 대향하는 시일드프레임의 측벽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당해 코넥터와 배선기판과의 사이에 암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실장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한층 더 바람직한 구성을 가지는 코넥터에 의하면, 시일드프레임이 서로 독립해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 1 프레임으로서, 프레스 가공이나 판금가공에 의해서 만들어진 프레임과 아연다이캐스트 프레임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제 2 프레임으로서 여러 가지 형식의 프레임(예를 들면 접지단자의 연장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되어 있는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넥터의 분해사시도로서, (1)는 코넥터 몸체이고, (2)는 접편이고, (3)은 시일드프레임이다. 제 2 도는 상기 코넥터의 측면도이고, 제 3 도는 수직단면도이고, 제 4 도는 부분배면도이고, 제 5 도는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코넥터 몸체(1)는, 본체(11)와, 본체(11)의 높이방향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돌출된 접편유지부(12)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플라스틱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본체(11)는 그 양쪽하부와 상면중앙부에 각각 결합돌기(13),(14)를 가지는 동시에, 그 전면하부에 좁은 홈(15)을 가지고, 이 좁은 홈(15)의 내부벽의 좌우양측부에 각각 비스듬히 노치(notch)되어 좁은 홈(15)보다도 깊게 되어 있는 오목한 곳(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11)는 배면과 하면에서 개구하는 복수의 홈부(16)를 가지고, 이 홈부(16)는 상기 접편유지부(12)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 형상의 개구(17)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접편유지부(12)는 그 선단부의 양쪽에 경사단부면(18a)를 포함한 사다리꼴형상의 돌출부(18)를 가지고 있다. 접편(2)은 단자부(21)와 수평편부(22)를 가지는 L자형상의 금속편으로 이루어진다. 수평편부(22)에는 그 선단부에 절단하여 세운 형상의 소결합편(23)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중간부에 절단하여 세운 형상의 돌기편(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편부(11)가 본체(11)의 홈부(16)쪽으로부터 삽입되어 본체(11)를 통과하고, 제 3 도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선단부의 소결합편(23)이 상기 접편유지부(12)의 작은 구멍(19)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 상기 돌기편(24)은 본체(11)의 전단부 면에 결합해서 접편(2)이 본체(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접편(2)의 단자부(21)는 그 일부가 상기 본체(11)의 홈부(16)에 수용되고, 단자부(21)의 하단부가 본체(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며, 그 돌출부분이 배선기판(도시생략)의 구멍에 삽입되어서 디핑방식에 의해서 납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편(2)은 상기 접편유지부(12)의 상면쪽과 하면쪽에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본체(11)에 접편(12)을 조립할 때에 복수의 접편(2)이 타이바아(tiebar)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타이바아는 접편(2)을 조립한 후에 접편(2)으로부터 절단하여 바란다.
시일드프레임(3)은 제 1 프레임(3A)과 제 2 프레임(3B)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 1 프레임(3A)은, 비교적 큰 강성을 가지는 1매의 금속판에 구부림가공등의 소정의 작업을 행함으로써,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프레임(3A)은, 밑벽(31)의 후단부가 제 1 프레임(3A)의 세로방향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후단부가 절단된 밑벽(31)을 가진다. 밑벽(31)의 후단은 돌기편(32),(32)을 가진다. 또, 상기 밑벽(31)의 중앙부에 구부림가공한 금속판의 양단부의 맞댄부분(31a)이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프레임(3A)에는 제 1 프레임(3A)의 상부벽(33)의 중앙부에 결합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벽(33)은 상부벽(33)의 양측부에 비스듬히 안쪽방향으로 절단하여 세운 클릭편(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벽(33)은 상부벽(33)의 좌우의 코너부에 결합구멍(36),(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프레임(3A)의 측벽(37)에 개구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프레임(3B)은, 제 1 프레임(3A)와 마찬가지로 1매의 금속판에 구부림가공등의 소정의 작업을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제 2 프레임(3B)은 후판부(41)의 좌우양단부에 앞쪽방향으로 돌출한 암(42),(42)을 가진다.
상기 암(42),(42)의 자유단부에 안쪽으로 접점(43),(4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암(42),(42)에는 외향결합클릭(44a),(44a)과, 내향결합클릭(44b),(44b) 및 하향으로 돌출한 단자(45),(4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판부(41)를 굴곡하여 앞쪽으로 돌출한 상판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상판부(46)는 위쪽으로 돌기한 돌출부(47),(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소정수의 접편(2)이 조립된 코넥터 몸체(1)에 대해서 제 2 프레임(3B)이 코넥터 몸체(1)의 후부로부터 삽입결합되고, 제 2 프레임(3B)의 내향결합클릭(44b)이 코넥터 몸체(1)의 결합돌기(13)에 앞쪽으로부터 결합된다. 또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3B)의 암(42), (42)이 코넥터 몸체(1)의 접편유지부(12)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이에 대하여, 이 코넥터 몸체(1)와 이 코넥터 몸체(1)에 조립된 상기 제 2 프레임(3B)의 암(42), (42)에 제 1 프레임(3A)의 앞쪽으로부터 삽입결합된다. 그리고,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프레임(3A)의 클릭편(35), (35)이 본체(11)의 전단부면의 상부에 접촉된다. 또한 제 5 도에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3A)의 결합구멍(34)이 본체(11)의 결합돌기(14)에 접촉되어 제 1 프레임(3A)이 코넥터 몸체(1)에 대해서 고정되는 동시에,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A)의 결합구멍(36), (36)이 제 2 프레임(3B)의 외향결합클릭(44a), (44a)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 1 프레임(3A)과 상기 제 2 프레임(3B)이 고정된다. 또,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 프레임(3B)의 돌출부(47), (47)가 제 1 프레임(3A)의 상부벽(33)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양프레임(3A), (3B)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암(42)의 접점(43)은 개구부(38)에 대면하게 된다. 또,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A)의 밑벽(31)의 후단부가 본체(11)의 좁은 홈(15)에 삽입결합하고, 또한 돌기편(32), (32)이 본체(11)의 오목한 곳(14a), (14a)에 삽입결합되고, 또 맞댄부분(31a) 의 후단부가 본체(11)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편(19)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조립된 코넥터는, 제 1 프레임(3A)에 의해서 본체(11)와 접편 유지부(12)가 둘러싸여지고, 본체(11)의 뒷면에 제 2 프레임(3B)의 후판(41)에 의해서 덮혀진다. 따라서, 제 1 프레임(3A)과 제 2 프레임(3B)에 의한 시일드 효과는 코넥터 몸체(1)와 접편(2)에 대해서 거의 전체에 미치고, 따라서 양호한 시일드 효과가 발휘된다.
이상 설명한 코넥터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기판에 대해서 제 1 프레임(3A)의 밑벽(31)이 대향하는 상태로 실장되고, 또한 디핑방법에 의해 납땜된다.
이에 관련하여, 접편(2)의 단자부(21)와 제 2 프레임(3B)의 단자(45)는 모두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상기 종류의 코넥터(직각형상의 코넥터)에 있어서, 납땜시에 플럭스가 코넥터 본체(1)의 내부등에 칩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본체(11)의 스탠드(stand)부(11a)를 스페이서로서 형성함으로써 배선기판과 본체(11)가 분리된다. 또, 직각형상의 코넥터에 있어서, 면실장방식(surfacemouning method)을 채용하는 경우는, 접편(2)의 단자부(21)(제 3 도에 가상선)를 구부려서 본체(11)의 바닥면과 거의 동일한 레벨에서 본체(11)의 뒤쪽방향으로 연장한다.
한편, 배선기판에 대해서 제 2 프레임(3B)의 후판부(41)가 대향하는 상태로 배선기판에 실장되는 직선형상의 코넥터에 있어서는, 제 1 도에 도시한 접편(2')이나 제 6a 도와 제 6b 도에 도시한 제 2 프레임(3B')이 사용된다. 제 1 도의 접편(2')에 있어서는, 단자부(21')가 수평편부(22')의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제 6a 도와 제 6b 도의 제 2 프레임(3B')에 있어서는,단자(41')가 암(42')의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직선형상의 코넥터에 있어도 제 2프레임(3B')의 단자(41')의 폭이 넓은 부분을 길게 함으로써 상기 플럭스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편(2')이나 제 2 프레임(3')의 기타 부분은 제 1 도 내지 제 5 도를 참조하면서 이전에 설명한 접편(2)이나 제 2 프레임(3B)과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를 붙인 동일부호를 붙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 1 프레임(3A) 대신에 제 7a와 제 7b 도에 도시한 제 1 프레임(3A')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제 1 프레임(3A')은 아연다이캐스트 제품으로서 그 성형방법의 특질상, 제 1 도에서 설명한 금속판으로 제조된 제 1 프레임(3A)에 비해서 이음매가 없어져서 외관이 개선된다. 또한, 제 7a 도와 제 7b 도에 도시한 제 1 프레임(3A')에서는,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서 설명한 제 1 프레임(3A)과 대응하는 부분에는(')를 붙인 동일부호를 붙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코넥터 몸체(1)은 직각형상의 코넥터나 직선형상의 코넥터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시일드프레임(3)을 제 1 프레임(3A)과 제 2 프레임(3B)으로 분리함으로써, 제 1 프레임(3A)에 탄성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은 다이캐스트 제품을 사용해도 제 2 프레임(3B)의 암(42)에 의해서 필요한 탄성(후술함)이 시일드프레임(3)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관이 개선된 코넥터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예는 시일드프레임(3)을 제 1 프레임(3A)과 제 2 프레임(3B)으로 분리하고 있으나, 시일드프레임(3)을 소위 단일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시일드프레임의 측면에 비교적 길게 절단하여 세운 형상의 암을 형성하고, 이 암의 자유단부에 접점을 형성하면 된다.
제 8 도는 상기 코넥터의 상대방 코넥터 플럭그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5)는 본체, (6)은 접편, (7)는 시일드프레임, (8)은 로킹레버(locking lever)이다.
또, 제 9 도는 상기 플러그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 10 도는 플러그의 수직단면도이다.
본체(5)는 전단부에 플랜지(51)가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 격자형상의 리브(rib)(52)에 의해 간막이된 복수의 접편삽입구멍(53)이 형성되는 동시에, 좌우 양면의 각각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5)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구멍(55), (55)이 형성되어 있다.
접편(6)은 선단부에 콘택트(61)를 형성한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후단부에 두갈래 형상의 협지편(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5)에 접폅(6)을 조립할 때에는, 복수의 접편(6)이 타이바아(tie bar)로 연결되어 있다. 이 타이바아는, 상기 협지편(62)을 후술하는 전선에 코오킹할때에 절단한다. 이 접편(6)은 상기 본체(5)의 접편삽입홈(53)의 각각에 삽입되어, 접편(6)이 이탈하지 않도록 본체(5)와 조립된다.
시일드프레임(7)은 상부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으로 이루어진다.
하부프레임(7B)은 ㄷ자형상의 부분을 가지고, 또한 그 좌우의 다리부분(71), (71)의 후단부쪽의 단부가장자리에 안쪽으로 구부려 형성된 결합편(72), (72)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다리부분(71), (71)의 전단부에 외향결합클릭(73), (73)이 절단되어 세워져 있다. 또 하부프레임(7B)의 바닥판부에 결합클릭(74), (74)과 돌기(75), (7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7A)은 하부프레임(7B)과 거의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하부프레임(7B)과 다른점은 하부프레임(7B)은 하부프레임(7B)에 형성된 결합구멍(76)에 대응하는 결합클릭(78)을 가진 점이다. 따라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로킹레버(8)는 긴쪽방향의 중앙부에 상하 한쌍의 고리부분(81), (81)을 가지는 동시에, 일단부에 록구멍(lock hole)을 가지는 ㄷ자형의 결합편(83)을 형성하고, 또 타단부에 ㄷ자형상에 구부려 이루어진 스프링판부(84)를 형성하고 있다. 또 로킹레버(8)의 타단부에 손잡이(86)를 장착하기 위한 손잡이 장착판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은 서로 포개져서 하부프레임(7B)의 결합구멍(76)에 하부프레임(7B)의 결합클릭(78)이 결합하여 양자가 결합되는 동시에, 그들 사이의 공간에 로킹레버(8)가 수용되고, 로킹레버(8)의 상하 한쌍의 고리부분(81), (81)이 상부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돌기(75), (75)에 삽입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사이에 서로 포개진 결합편(72), (72)이 본체(5)의 결합홈부(54), (54)에 삽입되고, 결합클릭(74), (74)이 본체(5)의 결합구멍(55)에 결합해서 본체(5)가 프레임(7A), (7B)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케이블(100)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캡(9)을 상부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에 삽입 결합하고, 상부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에 삽입결합하고, 상부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의 외향결합클릭(73)이 캡(9)의 단차부(91)에 결합해서 프레임(7A), (7B)이 캡(9)으로 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신호케이블(100)의 전선은 각 접편(6)에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조립된 플러그에 있어서는, 로킹레버(8)가 시이드프레임(7)으로 에워싸인 측단부의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로킹레버(8)를 설치하여도 플러그가 큰 사이즈로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이 플러그에 있어서는,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레버(8)의 스프링판부(84)가 상부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에 형성되어 있는 판부(77)에 대향한다.
또, 상부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에 의해서 접편(6)을 수용한 본체(5)의 주위전체가 에워 싸여진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7)에 의한 시일드 효과는 접편(6)을 수용한 본체(5) 및 신호케이블(100)의 노출부분의 전체에 대해서 연장된다. 즉, 시일드프레임(7)은 양호한 시일드효과가 발휘된다. 또, 상부프레임(7A)과 하부프레임(7B)이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본체(5)의 결합홈부(54)에 삽입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의 전체 강도가 높아진다.
제 11 도는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서 설명한 코넥터(이하, 소켓(S)이라고 한다)와 제 8 도 내지 제 10 도에서 설명한 플러그(P)를 접속한 표시하고 있다.
동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S)에 플러그(P)를 삽입하면, 양자의 프레임(3), (7)이 접촉해서 플러그(P)와 소켓(S)의 접속부분이 상기 프레임(3), (7)에 의해 완전히 에워싸여져서 높인 시일드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소켓(S)에 있어서의 제 2 프레임(3B)의 암(42)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접점(43)이 플러그(P)의 시일드프레임(7)의 측벽외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 2 프레임(3B)이 그다지 큰 탄성을 갖지 않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어도 암(42)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접점(43)이 암(42)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변이되기 쉽고, 플러그(P)를 삽입할때에는 플러그(P)의 시일드프레임(7)에 의해 암(42)이 확대되어서 무리없이 변위하여 양호한 삽입성이 발휘된다. 플러그(P)를 빼낸 때에는 암(42)의 탄성에 의해 접점(43)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해서 다음번의 플러그(P)의 삽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플러그(P)를 반복하여 삽입하고 빼내에도, 접점(43)이 적절한 접촉압력으로 플러그(P)의 시일드프레임(7)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한편, 접점(43)은 시일드프레임(7)에 국부적으로 강하게 압접하기 때문에, 시일드프레임(3), (7)을 서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 된다. 따라서, 플러그(P)의 원활한 삽입과 빼냄이 희생되지 않고 플러그(P)와 소켓(S)의 접속부분에 뛰어난 시일드효과가 발휘된다. 또, 플러그(P)를 삽입하거나 빼낼때에 비틀리거나 해서 암(42)이 변형된다고 하는 경우가 암(42)의 탄성에 의해서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 상기 암(42)은 소켓(S)에 있어서의 코넥터 몸체(1)의 접편유지부(12)의 측면에 대향하는 시일드프레임(3)의 측벽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S)과 이 소켓이 실장된 배선기판과의 사이에 암(42)의 변위를 흡수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종래예에 비하면 그 만큼 실장높이가 낮아진다.
한편, 소켓(S)에 플러그(P)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소켓(S)을 구성하는 코넥터 본체(1)의 접편유지부(11)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75)의 경사단면부(18a)에 의해 로킹레버(8)의 결합편(83)의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밀린다. 말하자면, 돌기(75)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결합편(83)이 바깥쪽으로 벗어나게 된다. 이때에, 스프링판부(84)가, 제 11 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시일드프레임(7)의 판부(77)에 접촉되어 그 자체의 탄성에 대항해서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83)의 선단부가 상기 돌출부(18)를 타고 넘으면, 스프링판부(84)의 힘에 의해서 상기 결합편(83)이 안쪽으로 변위되고, 록구멍(82)이 상기 돌출부(18)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돌출부(18)와 록구멍(82)이 결합되고, 플러그(P)가 소켓(S)에 고정되어 플러그(P)가 소켓(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러그(P)를 소켓(S)으로부터 뺄때에는, 손잡이(86)를 제 11 도의 화살표(X)방향으로 밀음으로써 동도면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스프링판부(84)를 상기 판부(77)에 밀어 붙여서 변형시키는 동시에, 돌기(75)를 중심으로 해서 결합편(83)을바깥쪽으로 벗어나게 함으로써 록구멍(82)으로부터 상기 돌출편(18)을 이탈하여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이경우, 플러그(P)를 빼낼때에 플러그(P)를 손으로 잡은 위치에 손잡이(8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빼낼때의 힘으로 손잡이(86)에 자연적으로 화살표(X)방향의 힘이 가해지도록 된다. 이것은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또, 플러그(P)를 소켓(S)으로부터 빼낼때에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플러그(P)가 무리하게 강한 힘으로 끌어 당겨지면, 로킹레버(8)가 금속제인데 대하여 상기 돌출부(18)가 금속보다도 전단되기 쉬운 플라스틱 성형체이기 때문에, 반드시 돌출부(18)가 전단되어서 플러그(P)가 빼내진다. 그러나, 돌출부(18)가 전단되어도 플러그(P)가 소켓(S)의 본래의 신호의 송수신기능이나 시일드기능에는 전혀 영향이 없으므로, 플러그(P)가 전단된 그대로 계속 사용하여도 불편함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예를 들면 금속제의 로크용 레버(8)와 금속제의 돌출부의 조합으로 록기구가 구성되어 있으면, 플러그(P)를 무리하게 빼냄으로서 그 돌출부가 전단되는 일없이 변형되거나 로크용 레버(8)가 변형될 뿐만 아니라 로크용 레버(8)와 돌기의 주변부분이 동시에 파손되거나 손상된다. 따라서, 록레버(8)나 돌기가 변형한 상태에서 플러그(P)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없다.
본 고안의 한측면에 의한 코넥터는, 암의 탄성에 의해서 플러그의 원활한 삽입과 빼냄이 장기간동안 양호하게 유지되고, 또한 플러그의 시일드 프레임에 대한 전기적 접촉성도 장기간동안 양호하게 유지되고,상대방 코넥터를 삽입하거나 뺄때에 비틀려서 암이 조기에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 상기 암은 당해 코넥터가 실장되는 배선기판에 대해서 원근방향으로 변위되지 않기 때문에, 코넥터와 배선기판과의 사이에 암의 변위를 흡수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만큼 실장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한 코넥터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개별적으로 교환할 수 있을 뿐만 아리나 제조방법이 서로 상이하거나(예를들면,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거나 아연으로 다이캐스트하거나 수지도금을 행함), 타입이 서로 상이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1 종류의 몸체에 대해서 공용 할 수 있도록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접편(2)의 단자부(21)를 수용하는 본체(11)와, 이 본체(11)로부터 돌출된 접편유지부(12)를 가지는 코넥터 몸체(1)와, 단자부(21)의 일부가 상기 본체(11)에 수용되고 또한 콘택트를 형성한 선단부가 상기 접편유지부(12)에 유지되는 접편(21)과, 상기 접편유지부(12)의 주위전체를 에워싼 통형상부를 가지는 시일드 프레임(3)과, 상기 접편유지부의 측면에 대향하는 사익 시일드프레임(3)의 측벽에 위치고정되고 또한 상기 시일드프레임(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일단부를 가지는 암(42)과, 상기 피일드프레임(3)의 통형상부와 상기 코넥터몸체(1)의 접편유지부(12)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거나 빼는 상대방 코넥터(플러그)의 시일드 프레임(7)의 측벽의 외부면에 접촉하거나 분리하도록 상기 암(42)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접점(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프레임(3)은, 통형상부를 가진 제1프레임(3A)과 암을 가진 제2프레임(3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3A)의 통형상부는, 상기 제1프레임(3A)과 상기 제2프레임(3B)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본체(11)에 삽입하여 결합된 상기 제2프레임(3A)의 바깥쪽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KR2019900019088U 1989-12-04 1990-12-04 코넥터 KR9400026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1019 1989-12-04
JP1989141019U JPH0722064Y2 (ja) 1989-12-04 1989-12-0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092U KR910013092U (ko) 1991-07-30
KR940002664Y1 true KR940002664Y1 (ko) 1994-04-22

Family

ID=1528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088U KR940002664Y1 (ko) 1989-12-04 1990-12-04 코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73130A (ko)
JP (1) JPH0722064Y2 (ko)
KR (1) KR9400026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945B1 (ko) * 2007-11-29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8456Y2 (ja) * 1990-11-13 1998-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ストリップライン用コネクタの接栓座及びプラグ
US5158481A (en) * 1991-09-27 1992-10-27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orsioned shield interconnect
US5273459A (en) * 1992-10-01 1993-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feature for improved contact wiping
EP0606739B1 (en) * 1993-01-15 1998-07-29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295843A (en) 1993-01-19 1994-03-2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ower and signal contacts
US5281169A (en) * 1993-01-21 1994-01-25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5518421A (en) * 1993-01-26 1996-05-21 The Whitaker Corporation Two piece shell for a connector
US5326281A (en) * 1993-02-02 1994-07-05 Yin Lin Yen Structure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in the electric plug used in telecommunication
TW218938B (en) * 1993-04-12 1994-01-11 Whitaker Corp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9421093U1 (de) * 1994-05-11 1995-04-13 Itt Cannon Gmbh Geschirmter Kabelstecker und Kombination aus einem solchen Kabelstecker und einer Steckkarte
US5667407A (en) * 1994-05-11 1997-09-16 Itt Corporation Shielded cable plug
USD380196S (en) * 1994-12-08 1997-06-24 Sony Corporation Connector
US6159021A (en) * 1995-02-09 2000-12-1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EP0818065B1 (en) * 1995-03-27 1999-12-1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shield assembly
US5788537A (en) * 1995-03-27 1998-08-04 The Whiteker Corporation Shield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DE69602669T2 (de) * 1995-03-27 1999-11-11 Whitaker Corp Elektrischer Verbinder
US5643013A (en) * 1995-05-24 1997-07-0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5700164A (en) * 1995-06-16 1997-12-2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US6139364A (en) * 1995-09-08 2000-10-31 Motorola, Inc. Apparatus for coupling RF signals
US5685739A (en) * 1996-02-14 1997-11-11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DE19621614C1 (de) * 1996-05-30 1997-12-18 Itt Cannon Gmbh Steckverbinder
US5738544A (en) * 1996-06-27 1998-04-14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755595A (en) * 1996-06-27 1998-05-26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007379A (en) * 1997-02-10 1999-12-2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80009C (zh) * 1997-03-11 2002-02-27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85422C (zh) * 1997-03-12 2002-05-22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JPH10302863A (ja) * 1997-04-25 1998-11-13 Molex Inc 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
US5984725A (en) * 1997-04-30 1999-11-16 Berg Technology, Inc. Filtered universal serial bus
JPH1167365A (ja) * 1997-08-08 1999-03-09 Molex Inc 電気コネクタ
TW368202U (en) * 1998-03-21 1999-08-21 Hon Hai Prec Ind Co Ltd High frequency transmission electric connector
TW395570U (en) * 1998-12-31 2000-06-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394846B1 (en) 1999-08-06 2002-05-28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separate receptacles using common filter
US6530785B1 (en) * 2001-12-18 2003-03-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acking means for small form-factor module
CN1319224C (zh) * 2002-09-02 2007-05-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Del/> 电连接器的制造方法
JP3841352B2 (ja) * 2003-06-11 2006-11-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NL1023662C2 (nl) * 2003-06-13 2004-12-14 Framatome Connectors Int Afschermingsbehuizing.
JP3935122B2 (ja) * 2003-08-06 2007-06-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735587Y (zh) * 2004-08-17 2005-10-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
JP2007059300A (ja) * 2005-08-26 2007-03-08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TWM298820U (en) * 2006-03-17 2006-10-01 P Two Ind Inc Electric connector
US8205767B2 (en) * 2006-10-31 2012-06-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finitely adjus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by spin actuation
US7625243B2 (en) * 2007-06-13 2009-12-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xtension to version 2.0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TWM330607U (en) * 2007-11-16 2008-04-11 Wonten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nnector
US8212426B2 (en) * 2008-04-21 2012-07-03 Shimano Inc. Bicycle electrical wiring unit
FR2934422B1 (fr) * 2008-07-28 2015-10-02 Nicomatic Sa Connecteur blinde
US8033868B2 (en) * 2008-08-27 2011-10-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ongue
US7661988B1 (en) * 2008-11-17 2010-02-1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JP5077963B2 (ja) 2008-11-28 2012-11-21 株式会社キャットアイ 固定具
KR101036400B1 (ko) 2009-12-30 2011-05-23 김지홍 Led 조명등 연결장치
KR101649648B1 (ko) * 2010-05-27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582893B2 (ja) * 2010-07-06 2014-09-03 ホシデン株式会社 面実装用マルチ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12105549A1 (ja) * 2011-01-31 2012-08-09 株式会社ユニコ モバイル機器ホルダ、及びモバイル機器の取り付け及び操作方法
WO2013089704A1 (en) * 2011-12-14 2013-06-20 Intel Corporation Rate scalable connector for high bandwidth consumer applications
US9525227B2 (en) 2012-07-21 2016-12-2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97853B2 (en) 2013-07-19 2018-06-1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05944B2 (en) 2013-07-19 2018-02-27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0584B2 (en) 2013-07-19 2016-11-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0579B2 (en) 2013-07-19 2016-11-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0594B2 (en) 2013-07-19 2016-11-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93261B2 (en) 2013-07-19 2020-06-2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6662B2 (en) 2013-07-19 2016-11-1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281629B2 (en) 2013-07-19 2016-03-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826255B2 (en) 2013-07-19 2020-11-0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350126B2 (en) 2013-07-19 2016-05-24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eceptacle with a shielding plate and a mating plug with metallic side arms
US9496664B2 (en) 2013-07-19 2016-11-1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72910B2 (en) 2013-07-19 2016-10-1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0595B2 (en) 2013-07-19 2016-11-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720734B2 (en) 2013-07-19 2020-07-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72911B2 (en) 2013-07-19 2016-10-1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centric inner and outer mating ports
US9466930B2 (en) 2013-07-19 2016-10-1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84681B2 (en) 2013-07-19 2016-11-0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96653B2 (en) 2013-07-19 2016-11-1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755368B2 (en) * 2013-07-19 2017-09-0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843148B2 (en) 2013-07-19 2017-12-1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525223B2 (en) 2013-07-19 2016-12-2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520677B2 (en) 2013-07-19 2016-12-1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12111B2 (en) 2013-07-19 2018-03-06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170870B2 (en) 2013-07-19 2019-01-0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502821B2 (en) 2013-07-19 2016-11-2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356400B2 (en) 2013-07-19 2016-05-3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640885B2 (en) * 2013-11-17 2017-05-02 Apple Inc. Connector receptacle having a tongue
CN204361413U (zh) * 2014-03-06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WO2015164538A1 (en) 2014-04-23 2015-10-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p and shielded terminals
TWI544694B (zh) * 2014-05-15 2016-08-01 Advanced Connectek Inc Plug electrical connector and socket electrical connector
TWM497873U (zh) * 2014-12-02 2015-03-21 Simula Technology Inc 以一體式舌板固定金屬間隔板之訊號連接器
KR200477035Y1 (ko) * 2014-12-16 2015-05-04 박남태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CN204464643U (zh) * 2015-02-09 2015-07-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5449438B (zh) * 2015-04-02 2018-02-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5990762B (zh) * 2015-02-13 2018-08-3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KR101773502B1 (ko) 2015-12-10 2017-09-01 주식회사 신화콘텍 리셉터클 커넥터
CN105680246B (zh) * 2016-01-08 2018-12-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7203700B2 (ja) * 2019-07-24 2023-01-13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コネクタシールド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3837A (en) * 1984-05-21 1987-03-31 Stewart Stamping Corp. Jack and connector
JPS6175079U (ko) * 1984-10-22 1986-05-21
JPS61180473U (ko) * 1985-04-30 1986-11-11
JPH0229659Y2 (ko) * 1985-05-31 1990-08-09
JPS62154588A (ja) * 1985-12-27 1987-07-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用シ−ルドケ−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155572A (ja) * 1986-12-12 1988-06-28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シ−ルドコネクタ
JPH0339901Y2 (ko) * 1987-04-30 1991-08-22
US4822303A (en) * 1987-05-18 1989-04-18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H0628193B2 (ja) * 1988-03-07 1994-04-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mi対策用電気コネクタ
NL8800609A (nl) * 1988-03-11 1989-10-02 Du Pont Nederland Connector.
JPH0716312Y2 (ja) * 1989-02-28 1995-04-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4943244A (en) * 1989-12-26 1990-07-24 Molex Incorporated Grounding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945B1 (ko) * 2007-11-29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73130A (en) 1991-12-17
KR910013092U (ko) 1991-07-30
JPH0379175U (ko) 1991-08-12
JPH0722064Y2 (ja)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664Y1 (ko) 코넥터
US7150634B2 (en) Connector in which reliable ground connection is assured
JP3121388U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
US5035652A (en) Multipin connector socket
US5017156A (en) Electrical connector
JP3351999B2 (ja) 電気コネクタ
EP1950845A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6129594A (en) Electrical connector
JP3539673B2 (ja) コネクタのガタ防止構造
US6926557B1 (en) Shielded connector of reduced-size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US621022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nhanced sideward impact resisting structure
CN112652902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KR930006689Y1 (ko) 코넥터
EP0997983A2 (en) Shield connector
JP3745318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14784552A (zh) 电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2022059399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相手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010062541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EP1089396A2 (en) Reduced-size connector
JP3046738B2 (ja) 電気接続箱
US6210214B1 (en) Stacked modular jack connector assembly
JP4581281B2 (ja) コネクタ
JP2824452B2 (ja) コネクター
JPH11329598A (ja) シールド型コネクタ組立体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