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482B1 - 변동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변동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482B1
KR940002482B1 KR1019890008776A KR890008776A KR940002482B1 KR 940002482 B1 KR940002482 B1 KR 940002482B1 KR 1019890008776 A KR1019890008776 A KR 1019890008776A KR 890008776 A KR890008776 A KR 890008776A KR 940002482 B1 KR940002482 B1 KR 94000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ode
record
standard
tabl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175A (ko
Inventor
도시오 가시오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7540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47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7540688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73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754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4766A/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동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
제2도는 표준레코드에서의 워드배열 예시도.
제3도는 화일처리부(27)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4도는 화일처리부(31)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5도는 세트테이블(24)의 내용표시도.
제6도는 워드변환테이블의 내용표시도.
제7a 및 b도는 화일갱신테이블(28)의 내용표시도.
제8도는 화일갱신테이블(32)의 내용표시도.
제9도는 표준워드 "TORIKU", "IRIKU" 및 "TEKU"용 코드세트와 이들의 의미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10a 내지 e도는 처리작동중에서 레코드의 내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
제12도는 표준레코드의 워드배열 예시도.
제13도는 단일 표준레코드에서 두개의 계정레코드가 발생되는 경우의 예시도.
제14도는 두개의 레코드발생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15도는 종래의 변동처리장치에서 화일처리의 디자인을 설명하는 예시도.
제16도는 레코드발생부의 작동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17도는 종래의 변동처리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전표입력부 22 : 결정부
23 : 표준레코드발생부 24 : 세트테이블메모리
25 : 워드변환테이블메모리 26 : 표준레코드화일
27 : 화일처리부 28 : 화일갱신테이블메모리
본 발명은 변동(transaction)이 일어났을때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각종 형태의 화일(file)을 갱신함에 의해 변동 데이터를 처리하는 변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변동처리장치에서, 화일 처리 프로그램, Ⅰ, Ⅱ, Ⅲ...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변동 11a, 11b, 11c...를 공급받는다.
한세트의 화일(12)은 다수의 화일 A, B...를 포함하고 있으며 변동이 일어날때 화일 A용 갱신 프로그램(A1,A2,...) 및 화일 B용 갱신 프로그램(B1,B2,...)등은 각종 형태의 변동에 알맞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변동의 형태가 다양할때 시스템의 디자인은 매우 번거롭게 된다. 좀더 상세히 말하면, 시스템 기술자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시스템(프로그램)을 디자인할때 주문수령, 판매, 주문 및 구매와 같은 변동형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그 프로그램을 디자인해야 한다. 이는 많은 시간과 숙련된 프로그래밍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시스템이 디자인된 후에도 시스템의 작동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프로그램에 사소한 보정을 해야할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 기술자는 프로그램을 정정해야 한다. 아무리 사소한 보정이라 할지라도 이러한 정정에는 많은 시간과 기술을 요한다.
또한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스템 디자인은 시스템 기술자의 능력부족으로 항상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결함은 컴퓨터 자체에 기인할 수도 있다.
좀더 상세히 말해 종래의 사무실 컴퓨터는 통상 일반적인 목적을 갖는 컴퓨터이기 때문에 모든 처리는 특별처리를 취급하는 프로그램을 적절히 디자인함에 의해 이론적으로 수행된다. 다시말해, 종래의 사무실 컴퓨터는 정교한 변동장치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또한 시스템은 총계정 원장, 보조원장, 보조장부등과 같은 종래의 회계장부를 처리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좀더 상세히 말해 부기의 형태와 내용은 산업분야나 특별한 장부에 따라 다르다. 통상 "보통저축", "채무", "판매", "지불계정"등과 같은 계정은 단일 계정으로 간주되며 "현금"등과 같은 계정에 상응하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현금" 자체와 같은 계정은 단일 변동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채무"와 같은 계정은 단일 변동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면 "채무"등과 같은 계정은 그와 관련된 "고객"이 없으면 단일 변동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서, 예를들어 "채무" 및 "현금"은 동일한 계정이므로 취급 분류되어 총계정 원장에 기재되었다. 따라서 단일 변동유닛에 대한 금액은 총계정 원장에 기재된 내용만으로는 식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형태의 변동에 따르는 화일의 처리를 취급하는 시스템 디자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변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이한 형태의 변동에 따르는 화일 처리용 시스템 디자인의 수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변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계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명시함에 의해 계정에 따른 변동레코드의 관리를 명확히 할 수 있는 변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동 데이터와 입력 변동형 데이터에 따라서 화일을 갱신하기 위한 장치는 ; 화일명과 코드조건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억하기 위한 테이블메모리 수단(28)과, 식별코드와 변동 데이터로 구성되는 변동레코드를 준비하기 위한 수단(23)과 변동레코드에 포함된 식별코드와 테이블메모리에 기억된 코드조건을 비교하고, 변동레코드에 포함된 식별코드와 일치하는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모든 화일명을 선택하고 준비된 변동레코드에의 변동 데이터에 따라서 선택된 화일명에 상응하는 레코드를 갱신하기 위한 처리수단(27)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이한 변동에 따라서 처리되어야할 화일의 형태는 간단히 분류될 수 있으며, 또한 변동에 의한 화일의 처리를 위한 시스템 디자인은 간단하게 된다. 또한 디자인의 수정도 단순히 코드조건을 변경시킴에 의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수도면을 참고로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좀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 내지 제10도를 참고로 제1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전표발행작동, 원장발행작동등을 수행하기 위한 변동처리장치의 시스템배열을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서 전표입력부(21)는 각종 전표 Ⅰ, Ⅱ등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전표입력부(21)는 각종 입력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모드키이, 변동의 형태를 지정하기 위한 지정키이, 숫자키이, 기능키이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표입력부(21)에 의한 변동데이터 지정형태는 결정부(22)에 공급되며, 변동내용을 지정하는 입력워드데이터는 표준레코드발생부(23)에 공급된다. 결정부(22)는 전표입력부(21)에서 공급된 지정데이터에 따라서 변동의 형태를 결정하고, 후술될 세트테이블(메모리)(24)와 워드변환테이블(메모리)(24)에 기억된 변동의 형태를 지정한다. 세트테이블(24) 및 워드변환테이블(25)은 표준레코드발생부(23)에 연결되어 있다.
표준레코드발생부(23)는 변동형태에 상응하는 세트테이블(24)에서 판독되는 고유변동 워드데이터(이하 워드데이터라함)와 워드변환테이블(25)을 사용하여 입력워드데이터를 표준워드의 데이터로 변환함에 의해 얻어지는 표준워드데이터를 기초로 단일 변동 레코드(이하 표준레코드라함)를 만든다. 발생부(23)는 발생된 표준레코드를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재한다. 상기 표준레코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워드배열을 갖는다.
세부적으로, "날짜", "차변계정", "차변고객", "대변계정"등과 같은 설정된 수의 표준워드가 설정된 순서로 배열된다.
상술한 각각의 워드를 표준워드라 부르고 표준워드로 구성되는 기록을 표준레코드라 부른다. 이는 모든 입력레코드가 입력전표의 형태와는 별도로(별도의 입력워드의 수, 형태 및 배열) 단일형태의 동일 레코드로서 기억되고 관리되기 때문이다. 모든 변동에 대해 발생된 표준레코드는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억된다.
화일갱신 지시부(41)에서 갱신지시가 주어지면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입된 각각의 표준레코드는 화일처리부(27)에 독립된다. 화일처리부(27)는 후술될 화일갱신테이블(메모리)(28)에 따라서 갱신될 화일을 지정한다. 또한 처리부(27)는 표준레코드에 따라서 각 화일에 상응하는 갱신레코드를 준비하며, 계정원장화일(29a) 신용판매수요원장화일(29b), 품목관리화일(29n)등 지정화일의 추가 및 총합과 같은 갱신처리작동을 수행한다.
제3도는 화일갱신작동의 플로우챠트이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듯이,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억된 각 표준레코드는 여기서 예를들면 호스트유닛에 온라인으로 연결된 창고축에 있는 원격터미널유닛에 공급된다. 터미널 유닛(30)은 화일처리부(31), 화일갱신테이블(메모리)(32), 서플먼트(supplement)( 배열화일(33a), 선적배열화일(33b), 서플먼드원장화일(34a), 및 선적원장화일(34b)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플먼트"란 용어는 회사나 사무실에서 주문된 상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이는 예를들어 창고에 수령되어 저장되어야 하는 것이다. 화일처리부(31)는 계속해서 화일갱신지시부(41)에서의 화일갱신지시에 따라서 표준레코드화일(26)로부터 표준레코드를 판독하고, 판독 되어진 각각의 표준레코드내의 분류된 워드인 코드를 식별하고, 화일갱신테이블(32)을 참조하여 화일(33a,33b,34a 및 34b)중 어느하나를 갱신한다. 제4도는 그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세트테이블(24), 워드변환테이블(25) 그리고 화일갱신테이블(28,32)은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다. 워드변환테이블(25) 및 화일갱신테이블(28,32)은 사용자(또는 시스템 기술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워드변환테이블(25)은 워드테이블을 사용하여 입력워드와 표준워드 사이의 대응관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변동형태에 따라 갱신되어야 할 화일은 화일갱신테이블(28,32)에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세트테이블(24)은 표준레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특정표준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를 확고히 기억하게 된다. 각각의 변동에 대해 특정된 각종 워드데이터는 변동형태에 따라서 테이블(24)에 미리 기억되어 진다.
상술한 테이블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세트테이블(24)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문의 접수", "판매", "반품", "주문서 발행", "구매"등과 같은 변동형태에 의해 "차변계정", "대변계정", "1ST ID", "2ND ID", "3RD ID"등의 각 표준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들면, "차변계정"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데이터로서 "신용판매", "판매", "구매"등을 지지하는 계정코드 데이터는 변동형태에 따라서 미리 기억된다. 이와유사하게 "대번계정"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데이터로서 "판매", "신용판매", "대차구매"등을 지적하는 계정코드 데이터로 미리 기억된다.
또한 "1ST ID", "2ND ID" 및 "3RD ID"의 워드에 상응하는 이들 데이터는 변동형태에 상응하는 식별코드 데이터이다. "1ST ID"워드는 재무관계의 변동에 대한 식별코드이고, "2ND ID"워드는 상품의 이동에 대한 식별코드이며, "3RD ID"워드는 변동의 완료 또는 장재의 완료에 관한 식별코드이다.
제9도는 각각의 표준워드 "1ST ID", "2ND ID" 및 "3RD ID"에 상응하는 코드데이터의 형태를 도시한다. 좀더 상세히 말해 "1ST ID"의 표준워드로서 "10"에서 "23"까지 지정된 8형태의 코드데이터가 제공된다. 또한 "2ND ID"의 표준워드로서 "0", "1" 및 "2"로 지정된 3형태의 코드데이터가 제공된다. 코드데이터 "0"은 변동에 의한 제품의 이동(제품의 선적 및 수령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며 ; 코드데이터 "1"은 변동에 의한 제품의 수령을 나타내며, 코드데이터 "2"는 변동에 의한 제품의 선적을 나타낸다. "3RD ID"의 표준워드로서 3형태의 코드데이터 "0", "1" 및 "2"가 제공된다. 코드데이터 "0"은 상품선적 및 대금수령 또는 상품수령 및 지불완료를 나타낸다. 코드데이터 "1"은 선적준비나 계획을 나타낸다. 코드데이터 "2"는 장재선적의 준비 또는 상품의 수령을 나타낸다.
세부적으로 각 표준워드 "2ND ID" 및 "3RD ID"는 "제품이동"의 관점에서 변동 내용을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모든 변동은 표준워드 "1ST ID"와 표준워드 "2ND ID" 및 "3RD ID"를 결합함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예를들어 "주문의 접수"에 대한 변동은 상품을 고객에게 전달하고 대금을 수령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주문의 접수"에 대한 변동은 "판매"에 대한 변동 바로 직전에 일어난다. "1ST ID"에서 "주문의 접수"에 대한 변동은 "판매"에 대한 변동의 것과 동일한 코드데이터 "10"에 일치되며, 제품의 선적을 나타내는 "2ND ID"에서는 역시 코드데이터 "2"에 일치된다. 또한 "주문의 접수"에 대한 변동은 제품의 이동 준비후에 일어나기 때문에 이는 "3RD ID"에서 코드데이터 "1"에 일치된다.
워드변환테이블(25)은 변동형태에 따른 워드테이블을 사용함에 의해 입력워드와 표준워드를 대응시키는데 사용된다. 테이블(25)은 입력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입력워드를 표준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로 변환시키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상술한 세트테이블(24)과 워드변환테이블(25)을 사용하여 제2도에 도시된 표준워드로 구성된 표준레코드의 데이터가 준비된다.
호스트유닛측에 있는 화일갱신테이블(28)은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억된 표준레코드에 따라서 각종 화일을 갱신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블(28)에서 코드조건, 화일명 그리고 갱신형태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28)에는 키이워드 RK 및 갱신워드 W1 내지 W5가 설정되어 있다.
"화일명"으로서 "계정원장", "신용판매수요원장", "채무판매 수요원장", "항목원장", "항목관리", "계정총계"등이 설정되어 있다. 테이블(28)에서 갱신형태로서는 "추가", "합계"등이 설정되어 있다.
코드조건은 변동내용을 분류하기 위한 3개의 표준워드 "1ST ID", "2ND ID" 및 "3RD ID"에 상응하는 코드의 조건을 규정하며, 4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4자리 숫자 데이터중에서 상부 2자리 숫자데이터는 "1ST ID"의 코드조건이 할당되며, 하부 2자리 숫자데이터는 "2ND ID" 및 "3RD ID"의 코드조건이 할당된다.
코드조건에 포함된 부호 "X"는 그 숫자에 상응하는 표준워드의 숫자 내용이 어떤 값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코드조건으로 "1XXO"가 설정되었다면, "1ST ID"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코드는 "1X"이다. 다시말해 "1ST ID"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코드는 "10", "11", "12", "13"중의 어느하나가 될 것이다.
또한 "2ND ID"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코드가"X" 즉 아무런 조건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3RD ID"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코드는 "0"이다. 또한 코드조건으로 "XX2X"가 설정되었다면 "1ST ID"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코드는 아무런 조건이 설정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XX"이며, "2ND ID"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코드는 "2"이며, "3RD ID"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코드는 아무런 조건이 설정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X"이다.
키이워드 RK 및 갱신워드 W1 내지 W5는 워드테이블을 사용하여 "화일워드"와 "표준워드"사이의 대응관계를 설정한다. 예를들어 테이블(28-1)의 계정원장 화일에서 화일워드테이블로서 "계정", "날짜" 그리고 "차변"이 설정되어 있으며, 표준워드테이블로서 "차변계정", "날짜", "금액세트테이블이 설정되어 있다. 테이블(28-2)에서는 화일테이블로서 "계정", "날짜" 및 "대변"이 설정되어 있으며, 표준워드테이블로서 "대변계정", "날짜" 및 "금액"이 설정되어 있다.
화일갱신테이블(28)이 설정되었을때 사용자(또는 시스템 기술자)는 화일과 변동형태에 다른 화일을 갱신하는 내용을 결정하여야 한다. 그런다음 코드조건, 화일명, 그리고 갱신의 형태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며, 화일워드는 표준워드에 상응하여 설정된다. 이리하여 소망하는 형태의 갱신처리는 표준레코드에 따라서 소망하는 화일에 대해 수행된다.
예를들어, 표준워드 "1ST ID", "2ND ID" 및 "3RD ID"에 상응하는 코드에 의해 분류된 변동내용을 나타내는 코드가 "1020"(판매)일때 테이블(28-1,28-2)에서 코드는 코드조건 "1XXO"를 만족한다.
따라서 계정원장 화일용 두개의 갱신레코드가 테이블(28-1,28-2)에 따라서 준비되며, 계정원장 화일에 추가된다. 이들 두개의 갱신레코드는 서로 다른 것으로 하나의 레코드는 키이워드로서 "차변계정"의 표준워드를 사용하며 다른 하나는 키이워드로서 "대변계정"의 표준워드를 사용한다.
테이블(28-8)에는 코드조건도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계정합계 화일용 갱신레코드도 준비되어 계정합계 화일에 더해진다. 또한 테이블(28-6)에서 코드 "1020"이 코드조건 "XX2X"를 만족하므로 테이블(28-6)을 사용하여 항목원장화일용 갱신레코드가 준비되어 항목원장화일에 더해진다. 상기 코드는 테이블(28-3,28-7)의 코드조건과 일치하기 때문에 추가 및 합계는 역시 신용판매 수요원장화일과 항목관리 화일에 대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다수의 화일에 대한 각각의 갱신레코드가 단일 표준레코드로부터 준비될 수 있으며, 상응하는 화일이 갱신된다. 또한 화일을 갱신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화일갱신테이블(28)을 사용함에 의해 간단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원격 터미널 유닛(30)에 있는 화일갱신테이블(32)은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억된 표준레코드에 따라서 터미널 유닛(30)에 제공된 화일(33a,33b,34a,34b)을 갱신하는데 이용된다. 화일갱신테이블(32)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드조건", "화일명", "갱신형태" 및 워드배열로 구성되어 있다. 코드조건으로서 "2ND ID" 및 "3RD ID"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코드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배열화일(33a)의 코드조건으로서 "11"이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상품수령의 배열에 관한 변동, 즉 주문서발행의 변동이 일어났을때 변동 레코드가 화일(33a)에 합해지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배열화일(33b)의 코드조건으로서 "21"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선적배열에 관한 변동 즉, 주문서수령의 변동이 일어났을때 변동레코드가 화일(33b)에 합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원장화일(34a)의 코드조건으로서 "10"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상품수령의 완료에 관한 변동 즉, 구매 변동이 일어났을때 변동레코드가 화일(34a)에 합해지기 때문이다. 키이워드 RK 및 갱신워드 W1 및 W2는 워드테이블을 사용함에 의해 "화일워드"와 "표준워드"사이의 대응관계를 설정한다. 각각의 서플먼트 배열화일, 선적배열화일, 보충원장화일 및 선적원장화일에서 "항목""서플먼트번호" 및 "선적번호"가 화일워드테이블로서 설정되어 있다.
세부적으로는 서플먼트배열화일 및 서플먼트원장화일에서 화일워드 "항목"은 표준워드 "항목"에 상응하며, 화일워드 "서플먼트번호"는 표준워드 "수량"에 상응한다. 선적배열화일 및 선적원장화일에서 화일워드 "항목"은 표준워드 "항목"에 상응하며, 화일워드 "선적번호"는 표준워드 "수량"에 상응한다.
이제 상기 실시예의 기본적인 작동을 설명하고자 한다.
변동이 일어나면 변동의 형태가 전표입력부(21)에서 지정된다. 입력부(21)는 지정된 변동형태를 결정부(22)에 공급한다. 전표입력부(21)에서의 입력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일련의 입력워드데이터는 입력레코드로서 표준레코드발생부(23)에 공급된다. 세트테이블(24) 및 워드변환테이블(25)에서의 변동형태는 결정부(22)에서 출력된 결정치에 의해 지정된다.
표준레코드발생부(23)는 테이블 내용에 따라서 입력레코드에 상응하는 표준레코드를 준비한다. 예를들어 변동의 형태로서 "판매"가 지정되면 각 표준워드 "차변계정", "대변계정", "1ST ID", "2ND ID" 및 "3RD ID"에 상응하는 데이터로서 각 데이터 "신용판매", "판매", "10", "2" 및 "0"이 세트테이블(24)에서 판독된다. 워드 변환테이블(25)은 표준워드 "날짜"와 입력워드 "날짜" 사이의 대응관계, 표준워드 "차별고객"과 입력워드 "고객명" 사이의 대응관계, 표준워드 "금액"과 입력워드 "금액" 사이의 대응관계 등과 같이 표준워드와 입력워드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억한다. 따라서, 입력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데이터는 대응관계에 따라서 표준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한 표준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데이터는 세트테이블(24)에서 판독되어 표준레코드발생부(23)에 공급되기 때문에 단일 표준레코드가 이들 변환된 데이터와 판독데이터에 따라서 발생된 다음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재된다. 표준레코드는 하나의 변동에 관한 입력 레코드가 일어날 때마다 발생되어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재된다. 표준레코드가 화일갱신지시부(41)에서의 지시에 따라 화일처리부(27)에 공급되면 처리부(27)는 표준레코드화일(26)에서의 표준레코드를 독취하며, 화일갱신테이블(28)에 따라서 처리작업을 수행한다. 화일처리부(27)는 표준레코드에 있는 각각의 표준워드 "1ST ID", "2ND ID" 및 "3RD ID"에 상응하는 코드데이터로부터 화일갱신테이블(28)의 코드조건을 체크한다. 처리부(27)는 코드조건이 코드데이터와 일치하는 화일을 선택한다. 다시말해 처리부(27)는 코드데이터를 만족하는 모든 코드조건를 추출하며, 추출된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화일을 선택한다. 처리부(27)는 갱신형태를 결정하며, 표준워드 사이의 변환을 수행한다. 따라서 처리부(27)는 각 화일에 상응하는 화일갱신레코드를 준비하며, 각 화일에 상응하는 갱신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구매", "주문의 점수"등과 같은 변동이 지정되었을 때도 유사한 작업이 수행되며 소망하는 화일에 임의의 갱신이 수행된다.
제10a된 예를들어 변도형태로서 "판매"가 지정되었을 때 입력레코드, 표준레코드, 그리고 화일갱신레코드와 같은 각 레코드의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제10a도는 입력레코드로부터 표준레코드를 준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제10b도 내지 10e도는 각종 화일갱신 레코드가 표준레코드로부터 준비되었을 때 레코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변동이 일어났을 때 상세한 적동을, 판매상에서 판매변동이 일어있을 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판매변동의 경우에 고객으로부터 "주문의 접수", 주문접수에 따라 창고에 제품의 "배열", 배열에 따라 창고로부터 제품의 "선적" 그리고 고객에게 제품배달("판매") 등의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각각의 변동에 대한 작동이 서술된다.
고객으로부터 제품구매청구서가 판매상에게 발행되면 "주문전표"가 발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주문의 접수"가 전표입력부(21)에 의해 변동형태로서 지정된다. 세부적으로, 워드데이터가 주문전표의 형식에 따라서 "고객명", "날짜", "제품명"등과 같은 각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키이보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입력데이터는 표준레코드발생부(23)에 공급된다.
한편 변동형태로서 "주문의 접수"가 지정되어 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정데이터는 결정부(22)에 공급된다. 세트테이블(24)과 워드변환테이블(25)에서의 변동형태는 결정부(22)에서 출력된 결정치에 의해 지정된다. 따라서 테이블 내용은 표준레코드발생부(23)에서 판독된다. 표준레코드발생부(23)에서는 표준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데이터로서 입력레코드를 변환함에 의해 얻어지는 표준워드데이터와 세트테이블(24)에서 판독된 표준워드데이터에 따라서 하나의 입력레코드에 대한 표준레코드를 발생한 다음 발생된 레코드를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입한다.
화일처리부(27)는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억된 표준레코드를 판독하며, 화일갱신테이블(28)의 내용에 따라서 판독된 레코드를 처리한다. 먼저 화일처리부(27)는 표준레코드에 있는 표준워드테이블 "1ST ID", "2ND ID" 및 "3RD ID"에 상응하는 코드데이터로 부터 화일갱신테이블(28)에 있는 코드조건을 체크한다. 그런다음, 처리부(27)는 그의 코드조건이 코드데이터와 일치하는 모든 화일을 선택하고, 각각의 선택된 화일에 상응하는 화일갱신레코드를 발생하며, 갱신처리착동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문의 접수"코드가 "1021"이기 때문에 항목 원장화일용 화일갱신레코드는 화일갱신테이블(28-6)에 따라서 발생되며, 추가갱신이 항목원장 화일에 대해 수행된다.
또한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억된 표준레코드는 또한 창고측에 있는 터미널 유닛(30)에 공급된다. 터미널유닛(30)에 있는 화일처리부(31)는 표준레코드에 있는 코드조건을 체크하며, 화일갱신테이블(32)을 참고로 코드조건과 일치하는 화일을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처리부(31)는 선적배열화일(33b)을 선택하고, 표준레코드에 있는 표준워드테이블 "항목" 및 "수량"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를 기초로 선적화일(33b)용 갱신레코드를 발생한다. 다음 처리부(31)는 발생된 갱신레코드를 종합하여 선적화일(33b)로 보낸다.
서플먼트배열화일(33a) 및 선적배열화일(33b)은 창고에서 각종 제품의 배열상황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화일의 내용을 체크함에 의해 일만큼의 수량으로 어떤 제품이 서플먼트 또는 선적배열되어 있는가를 쉽게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적배열은 "주문의 접수" 변동에 따라 창고에 요청된다. 따라서 요청된 제품은 창고에서 요청된 양만큼 수집된다. 수집된 제품은 판매상에게 선적된다. 판매상은 창고에서 배달된 제품을 수행함에 의해 그 배열을 완료하고 제품을 고객에게 배달하여 "판매전표"를 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판매"가 전표입력부(21)에 의해 변동형태로 지정되며, 각종 워드데이터가 판매전표의 형식에 따라서 입력된다. "주문의 접수" 변동이 일어났을 때의 작동자 유사하게 "판매"에 대한 레코드가 세트테이블(24)과 워드변환테이블(25)에 따라서 발생된 다음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입된다. 화일처리부(27)는 표준레코드화일(26)에서 표준레코드를 판독하며 화일갱신테이블(28)의 코드조건을 체크한다. 본 실시예에서 "판매"의 변동형태를 나타내는 코드가 "1020"이기 때문에 계정원장화일, 신용판매수요 원장화일, 항목원장화일, 항목관리화일 그리고 계정합계화일이 선택되며, 각 화일에 대한 화일갱신 레코드가 준비된다.
계정원장화일은 판매상에서 금전출납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화일의 내용을 체크함에 의해 현금, 예금, 수명가능계정, 신용구매의 미수금, 채무등을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 본사와 각 판매상에 제공된 모든 계정원장화일을 종합함에 의해 상품의 총판매량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준레코드화일(26)에 기억된 표준레코드는 역시 창고측에 있는 터미널유닛(30)에 공급된다. 유닛(30)은 표준레코드에 있는 코드를 체크하며, 그 코드에 상응하는 화일을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 "판매"에 대한 변동형태의 코드가 "1020"이기 때문에 선적원장화일(34b)이 선택되며 선적량의 합계가 갱신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판매변동이 일어났을 경우 변동은 주문의 접수에서 판매의 순서로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표준레코드는 변동이 일어날 때마다 발생되며 금전의 관리에 상응하는 판매상에 있는 대응화일은 표준레코드에 따라서 갱신되며, 창고측의 터미널유닛(30)에 의해 취급되며 제품의 선적 및 서플먼트를 관리함에 따르는 각 화일도 역시 갱신되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판매변동에 대한 예를 들었다. 구매변동이나 반품변동에 대해서도 유사한 작동이 수행된다.
이제 제11도 내지 16도를 참고로 제2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변동처리장치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제11도에서 키이입력부(51)에서 입력된 각종 변동데이터가 입력처리부(52)에 입력된다. 입력처리부(52)는 하나의 변동에 대한 입력레코드에 따라서 제12도에 도시된 워드배열로 구성되는 표준레코드를 발생하며, 이를 표준레코드화일(53)에 기입한다. 표준레코드는 9 형태의 표준워드로 구성된다. 이들 표준워드는 "날짜", "금액", "항목", "수량", "단가", 한쌍의 워드 "차변계정" 및 "대변계정"이며, 여기서 변동 내용은 부기절차와 양계정에 관한 고객을 분류하기 위한 한쌍의 고객워드인 "차변고객"과 "대변고객"에 따라서 대차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이들 워드는 키이입력부(51)로부터 순차 입력된다. 그러나 "차변고객" 및 "대변고객"은 세트테이블(메모리)(54)에서 자동입력된다. 세트테이블(54)은 키이입력부(51)에서 지정되는 "판매", "반품", "구매" 등과 같은 변동형태에 따라서 "대변계정" 및 "차변계정"의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워드데이터를 출력한다.
제13도는 세트테이블(54)의 내용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변동형태가 "판매"라면 세트테이블(54)은 "차변계정"의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신용판매"의 워드데이터를 출력하여 "대변계정"의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판매"의 워드데이터를 출력한다.
변동이 일어났을 때 상술한 바와같이 표준레코드화일(53)에 기억된 표준레코드가 레코드발생부(55)에 독립된다. 레코드발생부(55)는 화일갱신테이블(메모리)(56)을 참고하여 표준레코드화일(53)에서 판독된 표준레코드에 따라서 대변과 차변의 계정레코드를 발생한다. 화일갱신테이블(56)은 발생될 계정레코드의 화일워드와 표준레코드의 표준워드 사이의 대응관계를 지적한다. 테이블(56)의 내용은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계정원장화일에서, 키이워드 RK는 변동유닛이며 갱신워드 W1 내지 W3는 "날짜", "차변" 그리고 "대변"이다. 키이워드 RK와 갱신 워드 W1 내지 W3의 화일워드는 표준워드에 대응한다. 차변의 계정레코드에 관해서 "변동유닛"의 화일워드는 "차변계정" 및 "차변고객"의 표준워드를 구성된 결합워드에 상응하여 "날짜" 및 "차변"의 화일워드는 "날짜" 및 "금액"의 표준워드에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대변의 계정레코드에 관해서 "변동유닛"의 화일워드는 "대변계정" 및 "대변고객"의 표준워드로 구성된 결합 워드에 상응하여, "날짜" 및 "차변"의 화일워드는 "날짜" 및 "금액"의 표준워드에 상응하는 것이다.
제15도는 화일대신 테이블(56)을 참고로 레코드발생부(55)에 의한 단일 표준레코드로부터 두 형태의 계정레코드(차변계정레코드 및 대변계정레코드)를 발생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제16도는 레코드발생부(55)의 작동을 도시하는 프로우챠트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나의 변동내용을 지적하는 단일 표준레코드로부터 차변계정레코드와 대변계정의 레코드가 동시에 준비된다. 차변 및 대변계정레코드는 차변 및 고객의 계정에 의해 그리고 대변 및 고객의 계정에 의해 계정데이터를 분류하므로서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준비된 계정레코드쌍은 화일갱신부(57)로 출력된다. 화일갱신부(57)는 계정원장화일(58)을 갱신하기 위한 갱신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그 레코드는 각각의 화일워드 "변동유닛", "날짜", "차변", "대변"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갱신부(57)는 두개의 계정레코드를 기초로 계정원장화일(58)을 갱신한다. 키이워드로써 "변동유닛"을 사용하여 갱신된 계정원장화일(58)에서의 각 레코드는 출력처리부(59)에 공급된다. 출력처리부(59)는 변동유닛에 의한(계정 및 고객에 의한) 총합형식 테이블(60a), 계정에 의한 총합형식 테이블(60b), 그리고 고객에 의한 총합형식 테이블(60c)에 따라서 각 기록의 내용을 재배열한다. 다음 처리부(59)는 프린트 형식을 준비하고 재배열된 데이터를 프린터(61)에 출력한다.
변동유닛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필요할 때 계정원장화일(58)에 기억된 키이워드에 의한 총합레코드는 총합형식 테이블(60a)에 따라 판독되어 프린터(61)로 출력된다. 계정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필요할 때 계정원장화일(58)에 기억된 각 총합레코드의 키이워드는 두개의 워드로 갈라진다. 키이워드는 계정워드와 고객워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쉽게 분할된다. 다음 총합레코드는 분할된 상부 키이워드에서 "계정"워드에 따라서 다시 총합된 다음 보조화일(62)에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계정원장화일(58)에 기억된 모든 총합레코드가 재총합되어 보조화일(62)에 기억될 때 보조화일(62)에 기억된 총합레코드는 종합형식 테이블(60b)에 따라서 판독되어 프린터(61)에 출력된다. 또한 고개에 의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필요할 때 계정원장화일(58)에 기억된 각 총합레코드의 각 키이워드는 두개의워드로 분할되며, 총합레코드는 분할된 상부 키이워드에 포함된 "고객"워드에 따라 재총합된 다음 보조화일(62)에 순차 기억된다. 계정원장화일(58)에 기억된 모든 총합 레코드가 재총합된 다음 보조화일(62)에 기억되었을 때 보조화일(62)에 기억된 총합레코드는 총합형식 테이블(60c)에 따라서 판독된 다음 프린터(61)에 출력된다.
이제 제2실시예에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한다. 변동이 일어났을 때 작동자는 변동형태를 지정하며 키이입력부(51)에 의해 입력레코드를 입력한다. 입력처리부(52)는 세트테이블(54)에 따라서 하나의 변동에 대한 표준레코드를 준비하며, 이를 표준레코드 화일(53)에 기억시킨다. 레코드발생부(53)는 표준레코드화일(53)에 기억된 표준레코드를 판독하며, 화일갱신테이블(56)을 참고로 두개의 계정레코드를 준비한다. 두개의 계정레코드는 키이워드로서 차변계정과 차변고객을 사용하는 계정레코드 그리고 키이워드로서 대변계정과 대변고객을 사용하는 계정레코드이다. 따라서, 두 형태의 계정레코드가 차변 및 대변의 관점에서 하나의 표준레코드의 데이터로부터 준비된다. 이렇게 준비된 계정레코드는 화일갱신부(57)에서 판독되어 계정원장화일(58)을 갱신한다. 이러한 갱신은 키이워드로서 계정레코드에 있는 변동유닛의 화일워드를 사용함에 의해 계정원장화일(58)을 총합하는 것이다. 변동에 대한 화일워드의 키이워드에 의해 총합레코드는 계정원장화일(58)에 기억된다. 따라서 변동유닛에 의한 총합데이터는 계정원장화일(58)에 기억된 각 총합레코드에 따라서 준비될 수 있다. 또한 계정에 의한 총합데이터와 변동유닛에 의한 총합데이터가 총합레코드에 있는 각 키이워드를 분할하고 분할된 키이워드에 따라서 총합레코드를 재총합함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Claims (18)

  1. 변동데이터와 변동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화일을 갱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화일명과 코드조건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억하기 위한 테이블 메모리수단(28)과 ; 식별코드와 변동 데이터로 구성되는 변동 레코드를 준비하기 위한 수단(23)과 ; 변동레코드에 포함된 식별코드와 테이블 메모리에 기억된 코드조건을 비교하고, 변동레코드에 포함된 식별코드와 일치하는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모든 화일명을 선택하고, 준비된 변동레코드에의 변동데이터에 따라서 선택된 화일명의 상응하는 화일의 레코드를 갱신하기 위한 처리수단(2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준비수단은 변동형태 데이터에 다른 식별코드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24)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발생수단은 식별코드와 변동형태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억하는 테이블 메모리를 기초로 식별코드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변동레코드는 설정된 워드테이블에 상응하는 다수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표준레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다수의 표준레코드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수단(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처리수단은 표준레코드를 화일에 상응하는 다수의 갱신 레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테이블 메모리수단은 식별코드의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화일갱신 형태를 기억하며, 처리수단은 독출된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화일갱신 형태를 독출하기 위한 수단과 독출된 화일갱신 형태에 따라서 각 화일을 갱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화일은 제1화일 그룹과 제2화일 그룹으로 되며, 식별코드는 제1코드와 제2코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테이블 메모리 수단은 식별코드의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제1화일 그룹내의 화일명을 기억하는 제1테이블 메모리 수단과 제2코드만의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제2화일 그룹내의 화일명을 기억하는 제2테이블 메모리 수단으로 되며, 처리수단은 준비된 변동기록의 제1코드를 만족하는 모든 코드조건을 제1테이블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선택하고, 준비된 변동기록의 제2코드를 만족하는 모든 코드조건을 제2테이블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장치.
  10. 화일갱신방법에 있어서, (a) 입력레코드와 변동형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 (b) 입력레코드로부터 식별코드와 변동데이터로 구성되는 변동레코드를 준비하는 단계와 ; (c) 식별코드의 모드조건에 상응하는 화일명을 기억하는 테이블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준비된 변동레코드의 식별코드를 만족하는 모든 코드조건을 추출하는 단계와 ; (d) 준비된 변동레코드의 변동데이터에 따라서, 추출된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화일명에 대해 화일의 레코드를 갱신하는 단계 ;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준비단계는 변동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식별코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준비단계는 식별코드와 변동형태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억하는 테이블 메모리를 기초로 식별코드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변동레코드는 설정된 워드테이블에 다수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표준레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다수의 표준레코드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단계와 ; 화일갱신지시에 따라 각각의 기억된 표준레코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 독출된 표준레코드를 기초로 (c) 및 (d)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갱신단계는 표준레코드를 화일에 상응하는 다수의 갱신레코드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테이블 메모리 수단은 인식코드의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화일갱신형태를 기억하고, 갱신단계는 추출된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화일갱신형태를 독출하는 단계와 독출된 화일갱신형태에 따라서 각 화일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화일은 제1화일그룹과 제2화일 그룹으로 되고, 식별코드는 제1코드와 제2코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테이블 메모리 수단은 인식코드의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제1화일 그룹내의 화일명을 기억하는 제1테이블 메모리 수단과 제2코드만의 코드조건에 상응하는 제2화일 그룹내의 화일명을 기억하는 제2테이블 메모리 수단으로 되며, 추출단계는, 제1테이블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준비된 변동레코드의 제1코드를 만족하는 모든 코드조건을 추출하고 제2테이블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준비된 변동레코드의 제2코드를 만족하는 모든 코드조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동화일갱신방법.
KR1019890008776A 1988-07-14 1989-06-24 변동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KR940002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75404A JPH0224762A (ja) 1988-07-14 1988-07-14 取引処理装置
JP17540688A JP3047396B2 (ja) 1988-07-14 1988-07-14 ファイル処理装置
JP63-175404 1988-07-14
JP63-175405 1988-07-14
JP63175405A JPH0224766A (ja) 1988-07-14 1988-07-14 取引処理装置
JP63-175406 1988-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175A KR900002175A (ko) 1990-02-28
KR940002482B1 true KR940002482B1 (ko) 1994-03-24

Family

ID=2732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776A KR940002482B1 (ko) 1988-07-14 1989-06-24 변동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50655B1 (ko)
KR (1) KR940002482B1 (ko)
CA (1) CA1306301C (ko)
DE (1) DE6892720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908A2 (ko) * 2009-06-10 2010-12-16 Kim Cheolsoo 2행정 외연 열기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01B1 (ko) * 2006-04-13 2007-02-16 이순규 모뎀과 아이피 공유기의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767A (en) * 1984-04-23 1987-02-10 Moisey Lerner Bookkeeping and account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908A2 (ko) * 2009-06-10 2010-12-16 Kim Cheolsoo 2행정 외연 열기관
WO2010143908A3 (ko) * 2009-06-10 2011-03-10 Kim Cheolsoo 2행정 외연 열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27206T2 (de) 1997-01-30
KR900002175A (ko) 1990-02-28
DE68927206D1 (de) 1996-10-24
EP0350655B1 (en) 1996-09-18
CA1306301C (en) 1992-08-11
EP0350655A3 (en) 1992-08-05
EP0350655A2 (en) 199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29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transaction file
EP0209907B1 (en) Computer system for plural types of independent mana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general purpose computer management system
US4642767A (en) Bookkeeping and accounting system
US6058375A (en) Accounting processor and method for automated management control system
CN1110068A (zh) 将客户定单流通到各个供应商的计算机集成网络
JP2017182786A (ja) 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方法、および、会計処理プログラム
JP2003091694A (ja) 摘要を処理する方法
JP6895632B1 (ja) 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940002482B1 (ko) 변동화일 갱신장치 및 방법
CN101785024A (zh) 活动信息会计核算系统
JP2017068365A (ja) 情報処理装置
KR101026158B1 (ko)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29960B1 (ko) 소프트웨어의자동적용및구축장치,그리고소프트웨어의구축을위한기록매체
JP201918582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50216361A1 (en) Business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JPH11161396A (ja) ペーパレス会計システム
JP3047396B2 (ja) ファイル処理装置
JP3047397B2 (ja) ファイル処理装置
JP201816600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16233B2 (ja) 商品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132195A (ko) 상거래자료 자동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933183B2 (ja) 売上げ集計装置
JP2022050756A (ja) 取引明細照合システム及び取引明細照合方法
JPH0554047A (ja) 情報処理装置
JPH1153182A (ja) ソフトウエアの自動適用及び構築のための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