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707A -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707A
KR20100027707A KR1020080086721A KR20080086721A KR20100027707A KR 20100027707 A KR20100027707 A KR 20100027707A KR 1020080086721 A KR1020080086721 A KR 1020080086721A KR 20080086721 A KR20080086721 A KR 20080086721A KR 20100027707 A KR20100027707 A KR 20100027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transaction
management
accoun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158B1 (ko
Inventor
김선규
Original Assignee
김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규 filed Critical 김선규
Priority to KR102008008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1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방법은: 거래처 키워드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Ⅰ); 상기 제공받은 거래처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상기의 거래정보에 대한 관리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단계(Ⅲ); 상기의 거래정보 및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Ⅳ); 상기 거래정보와 관리정보를 조합하여 자동분개 처리 및 자동분개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Ⅴ)를 포함한다.
회계처리, 자동분개, 붙여넣기

Description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Pasting inputable accounting processing system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구체적으로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발생하는 거래정보를 자동으로 회계처리하고,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통상적으로 기업은 경영활동에 대한 거래정보를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관행에 따라 복식부기에 의한 차변, 대변, 계정과목, 금액 등으로 구성되는 분개전표를 만든 다음 이를 근거로 기업의 재산 상태나 손익을 계산하고 있다. 상기 복식부기에 의한 회계처리는 거래정보를 차변, 대변으로 구분하고, 계정과목을 정한 다음 금액을 기록하는 등 복잡하고 많은 시간 및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복식부기에 의한 회계처리를 함에 있어서, 기업의 업무가 전산화됨에 따라서 기업 내외적으로 거래정보가 전산매체형식으로 작성되고 회계담당자에게 제공되고 있음에도 상기의 회계처리가 가능하게 해 주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회계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회계담당자는 전산매체형식으로 작성된 거래정보를 하나씩 일일이 직접 입력하는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회계 시스템은 분개처리시에 입력자에게 기존 관련 분개 데이터를 제시하여 적절한 계정과목을 선택하게 하거나, 계정과목에 해당하는 거래형식을 대항목, 소항목 등으로 분류한 데이터를 입력자에게 제시하여 입력자가 점차적인 선택과정을 통하여 계정과목을 선택하도록 하여 분개처리를 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회계시스템은 관련 데이터 입력과정에서 거래정보뿐만 아니라 계정과목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거래정 보만을 입력하여 회계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전산매체형식으로 작성된 거래정보가 하나씩 일일이 직접 입력되어야하기 때문에 입력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고, 특히 거래정보가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되지않는 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업의 회계처리 시 전산매체형식의 거래정보를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입력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 시 계정과목의 입력 없이 분개까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거래처별로 전표 생성을 위한 중요한 정보인 거래처고유번호,거래처명,거래처구분,증빙유형,결제방법,원래 거래처고유번호,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을 저장하고 있는 거래처테이블을 작성, 관리하고, 거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거래처테이블로부터 입력된 거래처에 관한 계정과목 등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분개처리하고, 상기 거래처테이블에 입력된 거래처 정보가 없는 경우는 거래처 구분에 따라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객체인 거래처구분,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 등이 저장된 기초매핑테이블이 제공하는 계정과목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분개처리함으로써 입력자가 계정과목을 선택하거나 입력하지않고, 최소한 입출구분,거래일,거래처,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만 입력하여도 자동으로 분개처리를 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붙여넣기에 의해서 거래정보가 입력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각 기업의 회계담당자는 붙여넣기가 가능한 회계처리대상을 한꺼번에 입력하고 자동분개까지 할 수 있고, 거래상대방에 따라 적절한 계정과목이 제공됨으로 회계처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세무회계사무소를 예를 들면 통상 장부를 의뢰한 거래처로부터 세금계산서등을 포함한 회계데이터를 문서와 함께 파일형태로 받게 되는데 상기의 파일이 복사 가능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회계처리시스템에 붙여넣기를 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일일이 입력해야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의 건수가 2000건인 경우 회계경험자가 정상적인 업무자세로 입력할 때 1.5일 정도 소요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회계처리시스템에 붙여넣기로 입력을 하면 적절하게 처리되었는지 검토하는 시간까지 포함하여 1시간 이내에 회계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의 회계경험자는 회계를 잘 알기 때문에 상기의 1.5일 정도 소요되는 입력시간은 대부분 키보드를 통해 단순 입력하는 시간이다.
또한, 계정과목을 사용하지 않고 차변,대변에 의한 구분이 필요없이 복잡한 복합거래를 포함한 대부분의 회계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회계를 잘 몰라도 회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방법은: 거래처 키워드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Ⅰ);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상기의 거래정보에 대한 관리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단계(Ⅲ); 상기의 거래정보 및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Ⅳ); 상기 거래정보와 관리정보를 조합하여 자동분개 및 저장하는 단계(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계처리시스템은 상기 키워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거래처 키워드를 포함한 대량의 거래정보를 붙여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표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회계처리를 수행하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하는 회계처리시스템으로서: 상기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DB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상기의 거래정보를 기록하는 거래처리부, 상기 거래정보와 일대 다수로 연결되는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관리처리부, 상기 거래정보 및 관리정보와 일대 다수로 연결되고, 분개를 자동 생성하는 분개처리부, 거래처 키워드를 포함한 대량의 거래정보를 붙여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제공하는 디자인처리부 및 상기의 데이터추출부,거래처리부,관리처리부,분개처리부,디자인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 하고 임시저장소를 제공하는 중앙처리부; 상기의 거래정보, 관리정보, 분개정보 및 거래처정보, 항목정보, 기초매핑정보를 저장하는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시스템에서 상기 거래정보는 거래정보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관리정보는 관리정보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분개정보는 회계정보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거래처정보는 거래처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항목정보는 항목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기초매핑정보는 기초매핑테이블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정보테이블,관리정보테이블,회계정보테이블,거래처테이블,항목테이블,기초매핑테이블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정보테이블에는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고유번호,입출구분,거래일,거래처,증빙유형,결제방법,결제수단,계정과목,관리항목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정보테이블에는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관리고유번호,관리항목,수량,단가,금액,계정과목 및 상기 거래정보테이블의 거래고유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계정보테이블에는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처, 관리항목, 계정과목, 금액, 상기 거래정보테이블의 거래고유번호, 상기 관리정보테이블의 관리고유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정보테이블과 일대 다수의 관계인 관리정보테이블 및 회계정보테이블은 상기 거래정보테이블의 거래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정보테이블과 일대 다수의 관계인 회계정보테이블은 상기 관리정보테이블의 관리고유번호를 더 저장하고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처테이블은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처고유번호,거래처명,거래처구분,증빙유형,결제방법,원래거래처고유번호,계정과목,원가과목,매출과목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목테이블은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항목명,항목구분,계정과목,원가과목,매출과목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매핑테이블은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처구분,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출구분은 입금,출금,매입,매출 등으로 이루어지는 목록(이하 " 입출구분목록"이라 함.)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제방법은 현금,통장,카드,어음,외상,대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목록(이하 "결제방법목록"이라 함.)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처구분은 매입처,매출처,통장,매출카드,매입카드,받을어음,지급어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목록(이하 "거래처구분목록"이라 함.)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목구분은 계정과목,재고품명,관리항목 등으로 이루어지는 목록(이하 "항목구분목록"이라 함.)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록 중 계정과목은 통상의 계정과목을 나타내는 구분 자이고, 재고품명은 통상의 재고자산과 관련된 품명임을 나타내는 구분 자이고, 관리항목은 사용자가 계정과목 대신에 사용하기 위해서 임의로 만든 과목을 나타내는 구분 자이다.
상기의 입출구분목록,결제방법목록,거래처구분목록,항목구분목록은 임의로 조정되어 더 많은 개수 또는 더 적은 개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래처 키워드는 상기 거래처테이블의 객체 중 거래처 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최적의 형태의 하나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의 실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B(200)를 구성하는 테이블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에서 보듯이, 중앙처리부(100)는 제어부(110)의 명령에 따라서 DB(200)에 저장된 회계관련 각종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120). 제어부(11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제공되면 거래정보테이블(230)에 저장되는 거래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제공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거래처리부(130). 제어부(11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제공되면 관리정보테이블(240)에 저장되는 관리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제공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관리처리부(140), 제어부(11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제공되면 거래정보테이블(230)과 관리정보테이블(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분개전표를 자동으로 만들고 기록한 다음, 상기의 데이터를 회계정보테이블(250)에 저장하는 분개처리부(150),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한 대량의 거래정보를 붙여넣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제공하는 디자인처리부(160), 상기의 데이터추출부(120), 거래처리부(130), 관리처리부(140), 분개처리부(150), 디자인처리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서 보듯이 DB(200)는 거래처테이블(211),항목테이블(212),기초매핑테이블(213),거래정보테이블(230),관리정보테이블(240),회계정보테이블(25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초매핑테이블(213)은 각종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처구분,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 등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래처구분은 상기 거래처구분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정과목은 상기 거래처구분에 따라 매입처인 경우 외상매입금, 미지급금 등 매입채무를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매출처인 경우 외상매출금, 미수금 등 매출채권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통장인 경우 보통예금, 정기예금, 적금 등 예금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매출카드인 경우 카드미수금, 미수금 등 미수금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매입카드인 경우 카드미지급금, 미지급금 등 미지급금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받을어음인 경우 받을어음 등 받을어음 채권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지급어음인 경우 지급어음 등 지급어음채무를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한다. 기초매핑테이블(213)의 상기 매입과목은 상기 거래처구분에 따라 매입대상이 되는 영업비용,상품,제품,유가증권,접대비,이자비용 등 자산과목 또는 비용과목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한다. 기초매핑테이블(213)의 상기 매출과목은 상기 거래처구분에 따라 상품매출, 제품매출, 이자수익 등 수익과목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래처테이블(211)은 각종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처고유번호, 거래처명,거래처구분,증빙유형,결제방법,원래거래처고유번호,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 등 거래처정보(거래처파일)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래처구분은 상기 거래처구분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제방법은 상기 결제방법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래거래처고유번호는 원래거래처가 있음에도 다른 거래처명(파생거래처)으로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파생거래처의 원래거래처고유번호에 상기의 원래거래처의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정과목은 상기 거래처구분에 따라 매입처인 경우 외상매입금, 미지급금 등 매입채무를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매출처인 경우 외상매출금, 미수금 등 매출채권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통장인 경우 보통예금, 정기예금, 적금 등 예금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매출카드인 경우 카드미수금, 미수금 등 미수금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매입카드인 경우 카드미지급금, 미지급금등 미지급금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받을어음인 경우 받을어음 등 받을어음채권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고, 지급어음인 경우 지급어음 등 지급어음채무를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한다. 거래처테이블(211)의 상기 매입과목은 상기 거래처구분에 따라 매입 대상 이 되는 영업비용,상품,제품,유가증권,접대비,이자비용 등 자산과목 또는 비용과목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한다. 거래처테이블(211)의 상기 매출과목은 상기 거래처구분에 따라 영업매출, 상품매출, 이자수익 등 매출에 대한 회계처리 시 사용되는 수익과목을 나타내는 통상의 계정과목 중 하나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목테이블(212)은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항목고유번호,항목명,항목구분,계정과목,원가과목,매출과목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목구분은 상기 항목구분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정보테이블(230)에는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고유번호,입출구분,거래일,거래처,증빙유형,결제방법,결제수단,계정과목,관리항목 등을 포함한 거래정보(거래파일)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출구분은 상기 입출구분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제방법은 상기 결제방법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래처는 상기 거래처테이블(211)에 저장된 거래처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결제수단은 상기 거래처테이블(211)에 저장된 거래처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항목테이블(212)에 저장된 항목 중 항목구분이 계정과목인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래정보테이블(230)의 계정과목은 상기 항목테이블(212)에 저장된 항목 중 항목구분이 계정과목인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항목은 상기 항목테이블(212)에 저장된 항목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정보테이블(240)에는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관리고유번호,관리항목,수량,단가,금액,계정과목 및 상기 거래정보테이블(230)의 거래고유번호 등을 포함한 관리정보(관리파일)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항목은 항목테이블(212)에 저장된 항목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정과목은 상기 항목테이블(212)에 저장된 항목 중 항목구분이 계정과목인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계정보테이블(250)에는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고유번호,거래처,관리항목,계정과목,금액 및 상기 거래정보테이블(230)의 거래고유번호, 상기 관리정보테이블(240)의 관리고유번호 등을 포함하는 분개정보(분개파일)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래처는 상기 거래처테이블(211)에 저장된 거래처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항목은 항목테이블(212)에 저장된 항목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정과목은 상기 항목테이블(212)에 저장된 항목 중 항목구분이 계정과목인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액은 차변금액, 대변금액 등으로 세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정보테이블(230)과 일대 다수의 관계인 관리정보테이블(240) 및 회계정보테이블(250)은 상기 거래정보테이블(230)의 거래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정보테이블(240)과 일대 다수의 관계인 회계정보테이블(250)은 상기 관리정보테이블(240)의 관리고유번호를 더 저장하고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상기 구성을 갖는 시스템에 의한 회계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제 1 실시 예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은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거래처 키워드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110);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20); 상기의 거래정보에 대한 관리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단계(S130); 상기의 거래정보 및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40); 상기 거래정보와 관리정보를 조합하여 자동분개 처리 및 자동분개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150)로 구성된다.
먼저 입력장치(400)를 통하여 상기 입출구분이 포함된 소정의 입력신호가 제어부(110)로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입출구분정보를 거래처리부(13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입출구분 정보는 상기 입출구분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이어서, 거래처리부(130)는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처고유번호,입출구분,거래일자,거래처, 거래적요, 결제방법, 결제수단, 계정과목, 금액, 관리항목 별로 구분된 항목을 제공하는 거래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거래파일에 거래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제공받은 상기 입출구분정보를 거래파일의 입출구분으로 기록한다. 상기 입출구분이 상기 입출구분목록 중 입금 또는 출금인 경우 상기 거래파일의 결제방법에 상기 결제방법 목록 중 현금을 기록하고, 제어부(110)를 통하여 데이터추출부(120)에 항목테이블(212)에서 계정과목인 현금을 추출(항목파일)하도록 한 다음 거래처리부(130)에 제공하도록 한다. 거래처리부(130)는 상기 제공받은 항목파일에서 제공하는 객체 중 하나인 계정과목을 상기 거래파일의 결제수단 및 계정과목에 기록한다. 거래처리부(130)는 상기의 거래파일을 제어부(110)를 통하여 디자인처리부(160)에 제공한다.
이어서, 디자인처리부(160)는 사용자가 키워드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입출구분, 거래일자, 거래처, 거래적요, 결제방법, 결제수단, 계정과목, 금액, 관리항목 별로 구분된 항목을 제공하는 공간(디자인객체)을 만든 다음 상기에서 제공된 거래파일의 객체를 상기 디자인객체에 연결한다. 디자인처리부(160)는 상기의 디자인객체를 제어부(110)를 통하여 디스프레이장치(500)에 제공하고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제공한다(S110). 여기서 상기 디자인객체 중 계정과목은 상기 디스프레이장치(500)에 나타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출구분이 상기 입출구분목록 중 입금 또 출금인 경우 거래처리부(130)에서 제공하는 결제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방법목록 중 현금으로 제공하고 그에 따른 결제수단 및 계정과목을 제공하지만, 사용자가 원할 경우 다른 결제방법 및 결제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계속 입력되는 거래정보에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장치(400)로부터 상기 결제방법목록 중 하나인 소정의 데이터가 제어부(110)에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제공받은 결제방법을 거래처리부(130)에 제공하고 상기 거래파일의 결제방법으로 기록하도록 한다. 또한 결제수단은 통상 상기 거래처구분목록 중 통장,매출카드,매입카드,받을어음,지급어음 등의 구분 자를 갖는 것이 특징인데, 입력장치(400)로부터 소정의 키워드와 함께 결제수단을 변경하겠다는 신호가 제어부(110)에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소정의 키워드를 데이터추출부(120)에 제공하고, 데이터추출부(120)는 상기 키워드를 거래처테이블(211)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입력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결제수단파일)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키워드는 거래처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추출부(120)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이어서 제어부(110)는 상기 제공받은 결제수단파일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500)로 결제수단파일이 없다는 신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별도로 새로 등록하게 하고 상기의 절차를 다시 수행하거나 종료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제공받은 결제수단파일이 있는 경우 거래처리부(130)에 상기 결제수단파일을 제공하고 결제수단파일에서 제공하는 거래처명을 상기 거래파일의 결제수단으로 기록하도록 하고, 결제수단파일에서 제공하는 계정과목을 상기 거래파일의 계정과목으로 기록한다.
한편, 입력장치(400)로부터 사용자가 키워드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붙여 넣겠다는 소정의 신호가 제어부(110)에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중앙처리부(100)의 임시기억장소에서 소정의 절차를 거쳐 붙여넣기 대상이 되는 거래정보 데이터를 찾은 다음, 찾은 데이터를 디자인처리부(160)에 제공한다.
또한, 디자인처리부(160)는 제공된 붙여넣은 데이터의 구조가 소정의 요구되는 구조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의 요구되는 데이터구조는 통상의 데이터 테이블구조와 같은 형태로 행과 열이 교차하는 형식이어야 하고 상기의 제공된 데이터의 최상단에는 디자인처리부(160)가 생성한 상기의 디자인객체와 매칭될 수 있는 제목이 있어야 한다.
또한, 디자인처리부(160)는 제공된 붙여 넣은 데이터의 데이터구조에 필수정보가 모두 있는지를 확인한다. 필수정보는 거래일, 키워드로 사용되는 거래처, 금액을 최소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방법은 제공된 데이터의 최상단의 제목과 상기 디자인객체의 이름이 동일한지 여부로 확인한다. 필수정보가 누락 된 경우 제어부(110)에 필수정보가 누락되었다는 신호를 제공하고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장치(500)로 누락되었다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제공된 데이터의 최상단의 제목을 디자인객체의 이름과 동일하게 수정한 다음 상기의 절차를 다시 수행하거나 종료하도록 한다. 상기 붙여 넣은 데이터에 문제가 없으면 제공된 데이터의 최상단의 제목과 상기 디자인객체의 이름이 동일한 공간에 상기의 붙여넣은 데이터를 기록하면 상기 디자인객체에 연결된 거래파일의 객체에 자동 기록된다. 디자인처리부(160)는 상기의 키워드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S110).
제어부(110)는 디자인처리부(160)에서 제공받은 상기 소정의 키워드를 데이터추출부(120)에 제공하고, 데이터추출부(120)는 상기 키워드를 거래처테이블(211)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입력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데이터추출부(120)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S120).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에서 제공받은 추출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아직 저장되지 않은 거래처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저장되지 않은 거래처파일에서 상기 키워드에 일치하는 거래처파일을 검색하고 상기 키워드와 일치하는 거래처파일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거래처파일이 없는 경우,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처고유번호, 거래처명, 거래처구분,증빙유형,결제방법,원래거래처고유번호,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 별로 구분된 항목을 제공하는 새로운 거래처파일을 생성하고 거래처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거래처고유번호를 원래거래처고유 번호로 기록한다. 상기 생성된 거래처파일의 거래처명에 상기 키워드를 기록하고(S122), 상기 생성된 거래처파일의 거래처구분에 상기 입출구분이 매입 또는 출금인 경우 상기 거래처구분목록 중 하나인 매입처를 기록하고, 상기 입출구분이 매출 또는 입금인 경우 상기 거래처구분목록 중 하나인 매출처를 기록한다(S123). 또한 데이터추출부(120)에 상기의 거래처구분을 제공한 다음 상기 기초매핑테이블(213)에서 상기 거래처구분과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의 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을 상기 생성된 거래처파일에 기록한다(S124).
이어서,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되거나 새로 생성된 거래처파일을 거래처리부(130)에 제공한다.
이어서, 거래처리부(130)는 상기 입출구분이 상기 입출구분목록 중 매입 또는 매출인 경우 제공받은 상기 추출된 거래처파일에서 증빙유형, 결제방법을 거래파일에 기록한다. 상기 결제방법이 상기 결제방법목록 중 외상인 경우 상기 추출된 거래처파일의 계정과목을 거래파일의 결제수단 및 계정과목으로 기록한다. 또한 상기 입출구분이 입금 또는 출금인 경우 상기 추출된 거래처파일의 계정과목을 거래파일의 관리항목으로 기록하고, 상기 입출구분이 매입인 경우 상기 추출된 거래처파일의 매입과목을 거래파일의 관리항목으로 기록하고, 상기 입출구분이 매출인 경우 상기 추출된 거래처파일의 매출과목을 거래파일의 관리항목으로 기록한다. 상기 의 관리항목은 관리파일 자동생성에 사용된다(S125).
이어서 거래처리부(130)는 상기의 거래파일을 제어부(110)에 제공하고 제어부(110)은 제공받은 상기 거래파일을 관리처리부(140)에 제공하고 관리파일 생성을 명령한다(S120).
이어서, 관리처리부(140)는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관리고유번호,관리항목,계정과목,수량,단가,거래적요, 금액, 거래고유번호별로 구분된 항목을 제공하는 최초의 관리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관리파일에 관리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제공받은 상기 거래파일의 거래고유번호를 관리파일의 거래고유번호에 기록한다. 또한 제공받은 상기 거래파일의 관리항목을 관리파일의 관리항목으로 기록한다. 상기 관리항목의 관리고유번호를 제어부(110)를 통하여 데이터추출부(120)에 제공하고, 데이터추출부(120)는 상기 관리항목의 관리고유번호를 항목테이블(211)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관리항목의 관리고유번호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데이터추출부(120)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항목파일)를 제어부(110)를 통하여 관리처리부(140)에 제공한다. 관리처리부(140)는 상기 항목파일의 항목구분이 상기 항목구분목록 중 계정과목인 경우 상기 거래파일의 관리항목을 상기 관리파일의 계정과목에 기록한다. 또한 상기 항목파일의 항목구분이 상기 항목구분목록 중 관리항목인 경우 제공받은 상기 항목파일의 계정과목을 상기 관리파일의 계정과목에 기록한다. 또한, 상기 항목파일의 항목구분이 상기 항목구분목록 중 재고품명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거래파일의 입출구분이 입출구분목록 중 매입인 경우 상기 항목파일의 매입과목을, 매출인 경우는 상기 항목파일의 매출과목을 상기 관리파일의 계정과목으로 각각 기록한다(S130).
여기서 상기 관리정보 자동 생성(S130)단계에서 최초로 생성되는 관리파일을 사용자가 수정하거나 추가로 관리파일을 더 생성하고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음으로, 입력장치(400)를 통해서 저장하라는 소정의 신호가 제어부(110)에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거래처리부(130)에서 생성된 상기 거래파일은 거래정보테이블(230)에 저장하고, 관리처리부(140)에서 생성된 상기 관리파일은 관리정보테이블(24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10)에서 생성한 거래처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래처파일을 거래처테이블(211)에 저장한다.
이어서,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된 거래파일의 거래고유번호를 분개처리부(150)에 제공하고 자동분개를 명령한다(S140).
분개처리부(150)는 제공받은 거래고유번호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거래정보테이블(230)에서 추출하고(거래파일), 상기 거래고유번호와 관리정보테이블(240)에 저장된 거래고유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데이터를 관리정보테이블(240)에서 추출(관리파일)하고 ,상기 거래고유번호와 회계정보테이블(250)에 저장된 거래고유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데이터를 회계정보테이블(250)에서 추출(분개파일)한 다음, 상기 추출된 거래파일과 관리파일의 정보를 조합하여 차변, 대변에 의한 통상의 분개정보를,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에 소정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분개파일이 있는 경우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을 상기 분개정보로 수정하고, 상기의 소정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분개파일이 없는 경우 분개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개파일은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고유번호,거래처,거래일,관리항목,계정과목,차변금액,대변금액 및 상기 거래정보테이블(230)의 거래고유번호,상기 관리정보테이블(240)의 관리고유번호,분개파일을 찾기 위한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한 분개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 중 필요 없게 된 분개파일은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리파일이 제공하는 금액정보는 공급가액,부가세,외환차손익 등 더 세분화해서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추출된 거래파일의 거래고유번호별, 상기 거래고유번호에 연결된 관리파일별로 분개파일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분개처리부(150)는 상기 거래파일의 입출구분이 입출구분목록 중 입금 또는 매출인 경우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 중 상기 거래고유번호및 소정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분개파일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조건과 일치하는 분개파일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거래분개파일)이 없는 경우, 상기 거래파일을 위한 분개파일(거래분개파일)을 상기와 같이 생성하고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거래고유번호를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거래고유번호 및 관리고유번호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래파일의 계정과목을 거래분개파일의 계정과목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거래고유번호와 일치하는 관리파일의 금액합계를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차변금액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결제수단을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거래처로 기록하고 상기 거래파일의 결제수단이 상기 항목테이블(212)에 저장된 항목 중 하나인 경우에는 거래파일의 거래처를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거래처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계정과목을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관리항목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의 관리파일별로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 중 관리파일의 관리고유번호 및 소정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분개파일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조건과 일치하는 분개파일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관리분개파일)이 없는 경우, 상기 관리파일을 위한 분개파일(관리분개파일)을 상기와 같이 생성하고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상기 거래파일의 거래고유번호를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거래고유번호로 기록하고, 상기 관리파일의 관리고유번호를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관리고유번호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파일의 계정과목을 관리분개파일의 계정과목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거래처를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거래처로 기록하고 , 상기 관리파일의 관리항목을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관리항목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파일의 금액과 상기 거래파일의 금액이 모두 양수 또는 음수인 경우, 즉 상기 두 개의 금액의 부호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관리파일의 금액을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대변 금액으로 기록하고, 상기 두 개의 금액의 부호가 다른 경우에는 상기 관리파일의 금액을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차변 금액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파일의 금액정보가 공급가액,부가세 등으로 세분화해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공급가액,부가세 등 세분화된 금액별로 추가로 분개파일을 더 생성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거래번호와 일치하는 관리파일은 상기의 관리파일별로 분개파일을 생성하고 각각의 관리파일에서 제공하는 금액정보가 세분화가 된 경우 세분화된 금액별로 관리파일을 더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다.
한편, 분개처리부(150)는 상기 거래파일의 입출구분이 입출구분목록 중 출금 또는 매입인 경우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 중 상기 거래고유번호및 소정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분개파일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조건과 일치하는 분개파일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거래분개파일)이 없는 경우, 상기 거래파일을 위한 분개파일(거래분개파일)을 상기와 같이 생성하고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거래고유번호를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거래고유번호 및 관리고유번호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래파일의 계정과목을 거래분개파일의 계정과목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거래고유번호와 일치하는 관리파 일의 금액합계를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대변 금액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결제수단을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거래처로 기록하고 상기 거래파일의 결제수단이 상기 항목테이블(212)에 저장된 항목 중 하나인 경우에는 거래파일의 거래처를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거래처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계정과목을 상기 거래분개파일의 관리항목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의 관리파일별로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 중 관리파일의 관리고유번호 및 소정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분개파일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조건과 일치하는 분개파일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분개파일(관리분개파일)이 없는 경우, 상기 관리파일을 위한 분개파일(관리분개파일)을 상기와 같이 생성하고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상기 거래파일의 거래고유번호를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거래고유번호로 기록하고, 상기 관리파일의 관리고유번호를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관리고유번호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파일의 계정과목을 관리분개파일의 계정과목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파일의 거래처를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거래처로 기록하고 , 상기 관리파일의 관리항목을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관리항목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파일의 금액과 상기 거래파일의 금액이 모두 양수 또는 음수인 경우, 즉 상기 두 개의 금액의 부호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관리파일의 금액을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차변 금액으로 기록하고, 상기 두 개의 금액의 부호가 다른 경우에는 상기 관리파일의 금액을 상기 관리분개파일의 대변 금액 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파일의 금액정보가 공급가액,부가세 등으로 세분화해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공급가액,부가세 등 세분화된 금액별로 추가로 분개파일을 더 생성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거래번호와 일치하는 관리파일은 상기의 관리파일별로 분개파일을 생성하고 각각의 관리파일에서 제공하는 금액정보가 세분화가 된 경우 세분화된 금액별로 관리파일을 더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 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뒤에서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B(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4는 도 3에 도시된 S120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차트.

Claims (7)

  1.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회계처리를 수행하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보조기억장치와; 일정한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를 포함하는 회계처리시스템으로서, 상기 회계처리 시스템은:
    입력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DB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입력된 거래정보를 기록하는 거래처리부, 상기 거래정보와 일대 다수로 연결되는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관리처리부, 상기 거래정보 및 관리정보와 일대 다수로 연결되는 분개를 자동 생성하는 분개처리부, 거래처 키워드를 포함한 대량의 거래정보를 붙여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제공하는 디자인처리부 및 상기의 데이터추출부,거래처리부,관리처리부,분개처리부,디자인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임시저장소를 제공하는 중앙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의 회계관련 데이터는 거래정보, 관리정보, 분개정보 및 거래처정보, 항목정보, 기초매핑정보를 포함하는 회계관련 데이터이고,
    상기 DB는 상기 중앙처리부에 회계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생성, 수정된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는 거래정보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관리정보는 관리정보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분개정보는 회계정보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거래처정보는 거래처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항목정보는 항목테이블에 저장되고, 상기 기초매핑정보는 기초매핑테이블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테이블은 거래고유번호,입출구분,거래일,거래처,증빙유형,결제방법,결제수단,계정과목,관리항목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테이블은 관리고유번호,관리항목,수량,단가,금액,계정과목 및 상기 거래정보테이블의 거래고유번호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계정보테이블은 거래처, 관리항목, 계정과목, 금액 및 상기 거래정보테이블의 거래고유번호, 상기 관리정보테이블의 관리고유번호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처테이블은 거래처고유번호,거래처명,거래처구분,증빙유형,결제방법,원래거래처고유번호,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항목테이블은 항목명,항목구분,계정과목,원가과목,매출과목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매핑테이블은 거래처구분,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분은 입금,출금,매입,매출로 이루어지는 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방법은 현금,통장,카드,어음,외상,대체로 이루어지는 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처구분은 매입처,매출처,통장,매출카드,매입카드,받을어음,지급어음으로 이루어지는 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항목구분은 계정과목,재고품명,관리항목으로 이루어지는 목록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5.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회계처리를 수행하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보조기억장치와; 일정한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와;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회계처리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회계처리 방법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거래처 키워드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의 거래정보에 대한 관리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의 거래정보 및 관 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정보와 관리정보를 조합하여 자동분개 처리 및 자동분개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거래처 키워드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거래처 키워드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붙여 넣기 방법으로 제공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7. 제 5항 및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거래처파일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거래처고유번호, 거래처명, 거래처구분,증빙유형,결제방법,원래거래처고유번호,계정과목,매입과목,매출과목으로 구분된 항목을 제공하는 새로운 거래처파일을 생성하고, 거래처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거래처고유번호를 원래거래처고유번호로 기록하고, 상기 생성된 거래처파일의 거래처명에 키워드를 기록하고(S122), 상기 생성된 거래처파일의 거래처구분에 입출구분이 매입 또는 출금인 경우 매입처를 기록하고, 입출구분이 매출 또는 입금인 경우 매출처를 기록하고(S123), 데이터추출부에 상기의 거래처구분을 제공한 다음 기초매핑테이블에서 상기 거래처구분과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 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의 계정과목, 매입과목, 매출과목을 상기 생성된 거래처파일에 기록하는(S12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KR1020080086721A 2008-09-03 2008-09-03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2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721A KR101026158B1 (ko) 2008-09-03 2008-09-03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721A KR101026158B1 (ko) 2008-09-03 2008-09-03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707A true KR20100027707A (ko) 2010-03-11
KR101026158B1 KR101026158B1 (ko) 2011-04-05

Family

ID=4217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721A KR101026158B1 (ko) 2008-09-03 2008-09-03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3040A (zh) * 2020-09-27 2021-01-05 金蝶软件(中国)有限公司 一种凭证生成方法以及相关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671B1 (ko) 2017-03-31 2018-08-28 김태훈 손익계산서에 작성되는 비용의 계정과목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계정과목 분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42B1 (ko) * 2006-06-09 2008-02-15 (주)더존디지털웨어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75567A (ko) * 2006-12-29 2008-08-19 주식회사 엠브이존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입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3040A (zh) * 2020-09-27 2021-01-05 金蝶软件(中国)有限公司 一种凭证生成方法以及相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158B1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9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ransactions
US7254554B2 (en) Accoun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nsaction data
JP6712738B1 (ja) 証憑判定装置、会計処理装置、証憑判定プログラム、証憑判定システム及び証憑判定方法
KR20050002867A (ko) 세금 환급 시스템
JP2011170490A (ja) SaaS型汎用会計処理システム
JP6528070B2 (ja) 記帳システム
JP6908229B2 (ja) 照合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照合方法
CN102236826A (zh) 财务系统数据记录的生成方法
JP2022016658A (ja) 口座管理システム、口座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20110202435A1 (en) Activity information accounting system
KR101026158B1 (ko)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0030517A (ja) 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方法、会計処理プログラム
JP2009157443A (ja) 仕訳データ作成装置、仕訳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及び仕訳データ作成方法
JP6402397B1 (ja) 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方法、会計処理プログラム
JP3152354B2 (ja) ペーパレス会計システム
JP2001236354A (ja) 自動仕訳処理機能を有する会計システム
JP2019061406A (ja) 仕訳データ作成装置、仕訳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仕訳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JP2019032765A (ja) 補助簿管理装置、補助簿管理方法および補助簿管理プログラム
KR20100032476A (ko)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10186B1 (ko) 상거래자료 자동처리 시스템
JP2020140322A (ja) 債権管理装置、債権管理方法、及び債権管理プログラム
KR0150790B1 (ko) 창구업무처리방법 및 장치
WO2022149222A1 (ja) 仕訳装置、仕訳方法、仕訳表示方法、仕訳表示プログラム
KR20110102543A (ko) 매출액 및 미수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238680B2 (ja) 輸出手形管理装置、輸出手形管理方法、輸出手形管理プログラム、輸出手形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