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567A -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입력방법 - Google Patents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567A
KR20080075567A KR1020060137540A KR20060137540A KR20080075567A KR 20080075567 A KR20080075567 A KR 20080075567A KR 1020060137540 A KR1020060137540 A KR 1020060137540A KR 20060137540 A KR20060137540 A KR 20060137540A KR 20080075567 A KR20080075567 A KR 20080075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ing data
accounting
search
database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브이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브이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브이존
Priority to KR1020060137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5567A/ko
Publication of KR2008007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은, 적어도 회사 데이터베이스, 코드 데이터베이스, 거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저장수단과 함께 제어수단, 입출력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회계자료의 가공과 활용에 필요한 회계자료 입력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검색어와 함께 각 회계자료 항목 및 코드를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회계자료를 입력하고자 하는 대상인 회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각 거래에 대하여 회계자료 항목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회계자료 항목을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검색결과에 의하여 표시되는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 중에서 올바른 회계자료 항목이 선택되면, 회계자료 항목과 코드를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복식부기를 위한 회계자료의 항목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검색어, 복식부기, 회계자료, 입력

Description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Input method of accounting data for double-entry bookkeeping by keyword searching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될 때 이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 플로챠트.
도 3은, 상기 전체 플로챠트의 회계자료 입력 및 거래 데이터베이스 등록 과정에 대한 상세 플로챠트.
도 4는, 회계자료 항목에 대한 정상 용어와 변형 용어의 예시에 대한 대조표.
도 5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시도로서, (a)는 코드 데이터베이스의 예시도이고, (b)는 거래 데이터베이스의 예시도.
도 6은, 회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자료의 예시도로서, (a)는 사업자등록증의 등록 내용의 예시도, (b)는 회사정보 등록 내용의 예시도.
도 7은, 현금의 수입 또는 지출에 대한 입력화면의 예시도.
도 8은, 현금의 지출에 대한 검색어 입력과 거래내용 저장에 대한 예시도로서, (a)는 검색어 찾기 화면 예시도, (b)는 회식비 검색 결과 화면 예시도, (c)는 현금거래 입력 결과 예시도.
도 9는, 현금의 수입에 대한 검색어 입력과 거래내용 저장에 대한 예시도로서, 검색어 찾기와 외상매출금 검색 후 현금거래 입력 결과 예시도.
도 10은, 현금/예금 이외의 거래에 대한 검색어 입력과 거래내용 저장에 대한 예시도로서, (a)는 거래 사례의 전체 통합입력화면 예시도, (b)는 거래 입력 결과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서버
110 : 저장수단
112 : 회사 데이터베이스
114 : 코드 데이터베이스
116 : 거래 데이터베이스
120 : 제어수단
130 : 입출력수단
140 : 통신수단
200 : 단말
본 발명은,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일반인들에게 생소하고 어려운 정상적인 복식 회계 용어의 회계자료 항목을 직접 선택하거나 입력하는 대신에, 일반인들이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경제용어를 검색어로서 입력하여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 중에서 회계자료 항목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회계자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계 또는 부기의 기재방식으로 단식과 복식이 존재한다. 단식 기재방식에 비하여 복식 기재는, 복잡하고 종합적인 사고를 요하지만, 일단 기재가 완료되면 그 양변, 즉 차변과 대변의 자동검증 기능에 의하여 정확한 거래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복식 기재방식은,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한 구현이 복잡하고, 특히 그 이용자에 대하여 회계나 부기의 일정수준 이상의 전문적 지식을 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회계나 부기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는 너무나 어려운 용어로 되어 있다는 점도 하나의 문제이다. 예컨대 '분개'라는 용어는, 차변과 대변, 또는 쉬운 말로 좌변과 우변으로 이루어지는 장부에 있어서 그 항목을 차변과 우변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행위를 말하는데, 이러한 용어를 일반인들이 정확히 이해하면서 회계자료를 입력하기를 기대한다는 것은 무리이다. 따라서, 전문용어를 보다 용이한 일반용어로 바꾸어서 입력 및 출력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문용어(즉 정상 용어)를 일반용어(즉 변형 용어)로 인터페이스 시켜주는 기술이 전무하였다.
한편, 복식 부기나 회계장부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차변과 대변의 개념을 알고, 그 차변과 대변에 각각 해당되는 회계자료 항목(계정과목)의 명칭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그러나, 어떠한 거래가 어느 변의 어느 항목에 해당될 것인지를 일반인들이 알기는 극히 어렵다. 따라서 일반인인 이용자의 원활한 자료 입력을 가이드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가이드, 특히 어떤 거래가 차변 항목에 해당되는지, 아니면 대변 항목에 해당되는지를 정확히 구분해주고, 또한 그 변에 있어서도, 그 거래가 어떤 회계자료 항목의 명칭에 적합한 것인지를 가이드해 주는 기술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식부기를 위한 회계자료의 항목 결정을 위하여, 예시화면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서 입력을 행하는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복식부기를 위한 회계자료의 항목 결정을 위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 검색어에 해당되는 표준화된 회계자료 항목(계정과목)을 입력후보로 제시하고, 이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입력을 행하는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복식부기를 위한 회계자료 항목을 보다 비전문가인 일반인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순화시키고, 이 순화된 용어와 정식 용어를 서로 대응시켜서 입출력할 수 있는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은, 적어도 회사 데이터베이스, 코드 데이터베이스, 거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저장수단과 함께 제어수단, 입출력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회계자료의 가공과 활용에 필요한 회계자료 입력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검색어와 함께 각 회계자료 항목 및 코드를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회계자료를 입력하고자 하는 대상인 회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각 거래에 대하여 회계자료 항목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회계자료 항목을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검색결과에 의하여 표시되는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 중에서 올바른 회계자료 항목이 선택되면, 회계자료 항목과 코드를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스탠드얼론 시스템에서 작동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는, 적어도 회사 데이터베이스, 코드 데이터베이스, 거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저장수단과 함께 제어수단, 입출력수단, 통신수단을 구비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 연결되는 단말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회계자료의 가공과 활용에 필요한 회계자료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다수의 검색어와 함께 각 회계자료 항목 및 코드를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회계자료를 입력하고자 하는 대상인 회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의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각 거래 에 대하여 회계자료 항목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한 회계자료 항목을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검색결과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 중에서 올바른 회계자료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에서 회계자료 항목과 코드를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작동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등록된 거래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이용하여 회계자료에 대한 가공 및 활용을 행하는 제4 단계를 더욱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되는 검색어 및 회계자료 항목은, 회계상의 통상적인 용어인 정상 용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변형 용어와 함께 저장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입력되는 검색어와 그에 따른 검색결과인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는, 상기 변형 용어에 의하여 표시되며,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변형 용어 및 상기 변형 용어에 대응되는 정상 용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등록되도록 구성되면 좋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검색어의 입력 전에, 각 거래에 대하여 그 거래의 내용이 지출에 관한 것인지 수입에 관한 것인지를 입력받아, 만일 지출에 관한 거래인 경우에는 차변에 관련된 회계자료 항목의 예시항목을 표시하고, 수입에 관한 거래인 경우에는 대변에 관련된 회계자료 항목의 예시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되면 좋다.
이하, 첨부도면을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동일 구성과 동일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 대하여는, 도면이 달라지더라도 동일 부호를 유지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될 때 이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는 서버/클라이언트(단말) 시스템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스탠드얼론 시스템의 경우에도 통신수단에 의한 연결 대신에 하나의 시스템 내에 주요 구성요소가 내부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면 그 구성이 도출됨은 주지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시스템은, 저장수단(110), 제어수단(120), 입출력수단(130)을 가진다.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수단(140)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통신수단(140)에 의하여 단말(200)과 연결된다. 상기 단말(200)에는 미도시된 통신수단, 제어수단, 입출력수단 등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수단(110)에는, 적어도 회사 데이터베이스(112), 코드 데이터베이스(114), 거래 데이터베이스(116)가 구비된다.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112)는, 회계자료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자 하는 회사의 정보가 기록,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에는 그 회사의 사업자등록증 내용 및 자본금, 은행계좌 등의 정보가 기록된다. 도 6은,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112)에 등록되는 자료의 예시도로서, (a)는 사업자등록증의 등록 내용의 예시도, (b)는 회사정보 등록 내용의 예시도이다.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114)는, 회계자료 항목의 코드와 항목명(구분명, 계 정명), 차변(좌변)/대변(우변)의 구분, 내용에 대한 설명, 그리고 상기 항목명에 대응되는 다수의 검색어들이 기록,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그리고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116)는, 각 거래에 대한 거래일자, 복식부기의 차변, 대변의 구분, 거래 항목명(구분명, 계정명), 거래처 정보, 거래내용 메모, 금액 등의 사항이 기록,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5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시도로서, (a)는 코드 데이터베이스(114)의 예시도이고, (b)는 거래 데이터베이스(116)의 예시도이다.
따라서, 미리 회원가입 등의 과정을 거쳐서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112)에 회사정보가 입력되고, 또한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114)가 구축되어 준비된 상태에서, 어떤 거래가 이루어지면, 그 거래의 각 항목마다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116)에 회계자료 항목과 거래내역이 기록되도록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되는 항목명과 검색어, 설명 등의 자료에 대하여는, 상기 검색어로는, 회계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인 정상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정상 용어에 대응되는 변형 용어를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용어의 대응관계에 대하여 도 4에 예시한다.
도 4는, 회계자료 항목에 대한 정상 용어와 변형 용어의 예시에 대한 대조표이다. 여기서, 예컨대 복식부기의 중요 개념 중의 하나인 차변/대변이라는 용어는, 좌변/우변이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대차대조표는 자산채무비교표, 유 동자산은 단기자산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용어는, 단순히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이다. 즉, 정식 회계용어에 익숙지 않은 일반 이용자를 위하여, 회계자료 항목의 입력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의 용어 순화를 위한 대응관계로서의 주된 기능을 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회계자료를 가공하여, 세무관서에 대한 온라인 보고 등의 활용되는 등, 외부에 대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다시 원래의 정식 회계용어로 변환하여 출력할 필요가 있다. 이용자가 자기 조직의 범위 내에서 내부적인 통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형 용어로 표현된 채로 이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 플로챠트이다.
본 발명의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회계자료의 가공과 활용에 필요한 회계자료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검색어, 회계자료 항목, 코드로 구성되는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1 단계(S100)와, 회사 정보를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S200)와, 검색어 찾기에 의하여 입력된 회계자료를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S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단계(S100)는, 다수의 검색어와 함께 각 회계자료 항목 및 코드를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5(a)는 이러한 코드 데이터베이 스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2 단계(S200)는, 회계자료를 입력하고자 하는 대상인 회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6은 이러한 회사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3 단계(S300)는, 검색어 찾기에 의하여 입력된 회계자료를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먼저, 각 거래에 대하여 회계자료 항목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입력한다. 상기 검색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계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인 정상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정상 용어에 대응되는 변형 용어를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색어에 대한 회계자료 항목을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는,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계자료 항목인 항목명(구분명, 계정명)과 함께, 이와 대응되는 검색어가 등록되어 있다. 예컨대, 복지후생비라는 항목에 대하여 이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자는 회식비라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수단은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어 필드에서 회식비라는 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자료를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검색결과가 화면에 표시된다. 예컨대 회식비라는 검색어로 검색한 경우, 판매관리 항목의 복리후생비와 원가경비 항목의 복리후생비가 검색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2가지 항목이 입력후보로서 모두 화면에 표시된다.
이렇게 화면에 입력후보들이 표시되면, 이들 중에서 올바른 회계자료 항목이 이용자에 의하여 선택된다. 이로써 다수의 후보 중에서 가장 올바르다고 인정되는 회계자료 항목이 입력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선택된 회계자료 항목과 코드는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이로써, 전문가가 아닌 일반 이용자라도 정확하게 회계자료 항목을 선택하여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입력하고자 하는 거래 내용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탠드얼론 시스템에서 작동되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버에 데이터베이스들을 구비하고, 단말과 상기 서버를 통신수단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입출력 기능은 상기 단말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부적 처리 기능은 상기 서버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의 변경을 행하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 서버에 다수의 검색어와 함께 각 회계자료 항목 및 코드를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회계자료를 입력하고자 하는 대상인 회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의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각 거래에 대하여 회계자료 항목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한 회계자료 항목을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 기 검색결과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 중에서 올바른 회계자료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에서 회계자료 항목과 코드를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작동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등록된 거래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이용하여 회계자료에 대한 가공 및 활용을 행하는 제4 단계를 더욱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단계를 구비하면, 업무보고서, 현금거래장, 예금통장, 구분별 장부(계정별 원장), 거래처별 매출장부, 일계표, 월계표, 합계잔액검토표, 손익계산서, 자산채무비교표 등의 각종 다양한 출력물을 얻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온라인 회계/세무신고 시스템의 구축까지도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되는 검색어 및 회계자료 항목은, 회계상의 통상적인 용어인 정상 용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변형 용어와 함께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형 용어가 저장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입력되는 검색어와 그에 따른 검색결과인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는, 상기 변형 용어에 의하여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계자료 항목의 입력 뿐만 아니라, 화면에 출력되는 항목에 대하여도 상기 변형 용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비전문가인 이용자의 이용상 편의가 도모된다.
한편,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변형 용어 및 상기 변형 용어에 대응되는 정상 용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등록되도록 구성되면 좋다. 즉, 변형 용어로만 거래 내역이 저장된 경우에는, 관공서에 대한 회계자료의 제출 등 대외적 활동에서 사용될 경우에,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변형 용어를 정상 용어로 변환시켜서 출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대외용 자료에 대하여는, 변형 용어가 정상 용어로 자동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정상 용어와 변형 용어, 그리고 검색어가 함께 저장되어 있다는 점을 이용하면, 상기 자동변환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만일 정상 용어로만 거래 내역이 저장된 경우에는, 대외적 자료제출 활동을 위한 변환의 필요가 없지만, 오직 전문가만이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는 자료가 생기게 된다. 물론, 양자를 모두 저장한다면, 내부적으로는 변형 용어를, 대외적으로는 정상 용어를 사용하여 출력하면 된다.
도 3은, 상기 전체 플로챠트의 회계자료 입력 및 거래 데이터베이스 등록 과정(제3 단계)(S300)에 대한 상세 플로챠트이다. 이 도면은, 좌변 예시표시와 우변 예시표시를 하나의 플로챠트로 통합하여 표현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검색어 찾기 방식의 입력방법에 관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검색어의 입력(S350) 전에, 각 거래에 대하여 그 거래의 내용이 지출에 관한 것인지 수입에 관한 것인지를 입력받아(S320), 만일 지출에 관한 거래인 경우에는 차변에 관련된 회계자료 항목의 예시항목을 표시하고(S330), 수입에 관한 거래인 경우에는 대변에 관련된 회계자료 항목의 예시항목을 표시하는(S340)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되면 좋다.
일반적으로 거래의 내용은, 크게 지출과 수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현금이나 예금거래의 경우에는 이러한 구분이 효과가 있다.
만일 지출관련 거래라면, 그 지출은 차변 항목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차변에 관련된 회계자료 항목으로 범위를 좁혀서 그 예시항목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자는 상기 예시항목을 보고, 보다 올바른 회계자료의 입력을 도모할 수 있다. 만일 수입관련 거래라면, 그 지출은 대변 항목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대변에 관련된 회계자료 항목으로 범위를 좁혀서 그 예시항목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자는 상기 예시항목을 보고, 보다 올바른 회계자료의 입력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차변/대변이라는 용어는, 변형 용어에 의하면 좌변/우변에 해당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만일 거래의 내용이 현금/예금 거래가 아닌 경우, 예컨대 외상매출금과 외상매입금의 대체처리인 경우라면, 상기와 같은 차변/대변의 구분은 이용자가 직접 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거래는 차변항목과 대변항목의 금액이 동일하고, 서로 대응되어야 하기 때문에, 차변/대변 양쪽 항목을 모두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와 같이, 차변/대변에 대하여 각각의 예시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색어로 찾기를 클릭하면, 하나의 동일한 입력화면을 제시하고, 그 검색어 찾기에 의한 입력후보의 선택에 의하여 하나의 회계자료 항목이 정해지면, 그 항목에 대하여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차변/대변의 구분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7은, 현금의 수입 또는 지출에 대한 입력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생략하지만, 예금통장에 대한 입력의 경우에도 현금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현금거래에 대한 입력화면은, 현금의 지출/입금 여부에 대한 구분란과, 구분코드(항목코드)를 직접 입력하거나 검색어로 찾거나 구분(구분코드)으로 찾는 기능을 구현하는 부분, 그리고 금액 입력란을 가지고 있다. 부수적으로는 거래처 관리를 할 것인지의 여부 선택란이나 거래내용에 대한 메모란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현금의 지출에 대한 검색어 입력과 거래내용 저장에 대한 예시도로서, (a)는 검색어 찾기 화면 예시도, (b)는 회식비 검색 결과 화면 예시도, (c)는 현금거래 입력 결과 예시도이다.
만일, 현금의 지출 거래가 이루어지고 그것이 회식비였다면, 도 7과 같이 입력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용자는 구분란에 지출을 선택 입력한 후, [검색어 찾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a)와 같이, 예시항목 화면이 표시되고, 검색어 입력란에 회식비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시항목 화면의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되는 항목(구분)코드에 대한 검색을 실행하도록 하고, 체크를 입력하지 않 으면, 모든 항목(구분)코드에 대한 검색을 실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검색어에 의한 검색은, 문장 속에 있는 단어까지도 찾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검색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검색 명령에 의하여 코드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어 필드에 대하여 회식비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검색한다.
검색이 종료되면, 도 8(b)와 같이, 검색결과가 표시된다. 회식비는 일반적으로 복리후생비에 해당되는데, 이때 집계명은 판매관리 항목과 원가경비 항목으로 나뉠 수도 있다. 따라서 검색결과는 이 2가지 경우 모두가 나열된다. 이들은 입력될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이다.
그 후, 도 8(c)와 같이, 구분 422를 선택하였다고 하면, 그 내용이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는 항목명과 함께 그 항목명이 차변(좌변)/대변(우변) 중 어느 쪽에 해당되는지의 구분정보도 함께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분 422를 선택하는 순간, 상기 차변(좌변)/대변(우변) 정보도 함께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기록된다.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도 7의 다른 입력사항들, 예컨대 날짜, 금액 등도 함께 기록됨은 물론이다.
만일 상기 도 7의 입력화면에 있어서, 구분란에 지출/수입의 구분을 입력하지 않은 채 검색어 찾기를 클릭하더라도, 그 검색어의 검색과 입력후보의 표시를 행하고, 그 중 한 항목의 선택에 의한 입력 순간에,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항목의 차변/대변 구분 정보에 따라서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차변/대변 구분을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자동분개).
또한, 도 3과 같이, 미리 지출/수입의 구분이 입력된 경우에는, 그에 따라서 지출인 경우에는 좌변 예시항목 화면을, 수입인 경우에는 우변 예시항목 화면을 제시함으로써, 입력 오류를 줄이도록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 현금 지출에 관한 예시에 기재된 회계자료 항목 입력방식은, 현금의 수입, 예금의 지출, 예금의 수입, 현금이나 예금 이외의 자료의 거래정보 입력에 있어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기재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복식부기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차변/대변의 양변의 금액이 일치하지 않으면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못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같다.
도 9는, 현금의 수입에 대한 검색어 입력과 거래내용 저장에 대한 예시도로서, 검색어 찾기와 외상매출금 검색 후 현금거래 입력 결과 예시도이다.
현금의 지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7의 입력화면에서 [검색어 찾기]를 클릭하면, 도 8(a)와 같은 검색창이 표시된다. 여기서, 수입에 해당하는 부분을 선택하거나, 선택없이 확인을 클릭하면 그에 해당되는 계정과목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만일 검색어로서 외상매출금을 입력하면, 역시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입력 후보를 검색결과로서 표시한다. 이 중에서 예컨대 구분 111을 택일하면, 도 9와 같이,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다.
도 10은, 현금/예금 이외의 거래에 대한 검색어 입력과 거래내용 저장에 대한 예시도로서, (a)는 거래 사례의 전체 통합입력화면 예시도, (b)는 거래 입력 결 과 예시도이다.
현금이나 예금통장의 거래가 아니라, 양쪽 거래의 금액이 동일한 금액에서 서로 상쇄되게 되는 거래에 있어서는, 차변(즉 좌변)과 대변(즉 우변)의 거래가 동시에 일어난다. 이 경우에는, 지출/수입의 구분에 의하여 어느 한쪽의 항목만을 표시하지 않고, 차변/대변 양쪽 항목을 모두 표시하여야 한다.
예컨대 외상매출금과 외상매입금의 상호 대체처리를 예로 들면, 그 전체 통합입력화면은 도 10(a)와 같다. 여기서 [검색어 찾기]를 클릭하면 검색창이 표시된다.
이때, 먼저 좌변 코드의 검색을 위하여 도 8(a)와 같이 검색창이 표시되고, 여기에 검색어로서 외상매입금 또는 외상대지불을 입력하면,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를 검색하여 도 8(b)와 같은 형식으로 표시한다. 이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우변 코드의 검색을 위하여 다시 도 8(a)와 같이 검색창이 표시되고, 여기에 검색어로서 외상매출금 또는 외상대입금을 입력하면,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를 검색하여 도 8(b)와 같은 형식으로 표시한다. 이중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좌변과 우변의 거래내용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정보, 예컨대 금액과 함께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변경 또는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복식부기를 위한 회계자료의 항목(계정과목)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시되는 예시화면을 참조하여 입력을 행하므로, 비전문가인 이용자가 스스로 화면에서 확인하면서 회계자료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 검색어에 해당되는 표준화된 회계자료 항목을 입력후보로 제시받고, 이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입력을 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회계자료의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복식부기를 위한 회계자료 항목을 보다 비전문가인 일반인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순화시키고, 이 순화된 용어와 정식 용어를 서로 대응시켜서 입출력할 수 있다.

Claims (5)

  1. 적어도 회사 데이터베이스, 코드 데이터베이스, 거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저장수단과 함께 제어수단, 입출력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회계자료의 가공과 활용에 필요한 회계자료 입력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검색어와 함께 각 회계자료 항목 및 코드를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회계자료를 입력하고자 하는 대상인 회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각 거래에 대하여 회계자료 항목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회계자료 항목을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검색결과에 의하여 표시되는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 중에서 올바른 회계자료 항목이 선택되면, 회계자료 항목과 코드를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
  2. 적어도 회사 데이터베이스, 코드 데이터베이스, 거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저장수단과 함께 제어수단, 입출력수단, 통신수단을 구비하는 서버와, 상기 서 버에 연결되는 단말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회계자료의 가공과 활용에 필요한 회계자료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다수의 검색어와 함께 각 회계자료 항목 및 코드를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회계자료를 입력하고자 하는 대상인 회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의 상기 회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각 거래에 대하여 회계자료 항목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검색어에 대한 회계자료 항목을 상기 코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검색결과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 중에서 올바른 회계자료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에서 회계자료 항목과 코드를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거래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이용하여 회계자료에 대한 가공 및 활용을 행하는 제4 단계를 더욱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되는 검색어 및 회계자료 항목은, 회계상의 통상적인 용어인 정상 용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변형 용어와 함께 저장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입력되는 검색어와 그에 따른 검색결과인 회계자료 항목의 후보는, 상기 변형 용어에 의하여 표시되며, 상기 거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변형 용어 및 상기 변형 용어에 대응되는 정상 용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등록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검색어의 입력 전에, 각 거래에 대하여 그 거래의 내용이 지출에 관한 것인지 수입에 관한 것인지를 입력받아, 만일 지출에 관한 거래인 경우에는 차변에 관련된 회계자료 항목의 예시항목을 표시하고, 수입에 관한 거래인 경우에는 대변에 관련된 회계자료 항목의 예시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 입력방법.
KR1020060137540A 2006-12-29 2006-12-29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입력방법 KR20080075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40A KR20080075567A (ko) 2006-12-29 2006-12-29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40A KR20080075567A (ko) 2006-12-29 2006-12-29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567A true KR20080075567A (ko) 2008-08-19

Family

ID=3987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540A KR20080075567A (ko) 2006-12-29 2006-12-29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55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58B1 (ko) * 2008-09-03 2011-04-05 김선규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162920A (zh) * 2019-05-31 2019-08-23 肖贤凤 基于bim装配式建筑信息提取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58B1 (ko) * 2008-09-03 2011-04-05 김선규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162920A (zh) * 2019-05-31 2019-08-23 肖贤凤 基于bim装配式建筑信息提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288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and classifying a financial transaction
JP6307693B2 (ja) 会計処理システム
US20020178038A1 (en) Institutional student tracking system
JP2015014854A (ja) 会計処理システム
CN107798515A (zh) 一种数据库自动生成会计凭证的方法
JP2012146158A (ja) 会計処理システム
US20120253997A1 (en) Method for multi-dimensional accounting of business transactions and system therefor
US117757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of acquired transaction text fields
US20140081814A1 (en) Accounting journalization file data standardization system
JP2007304643A (ja) 会計仕訳システム、会計仕訳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576728B2 (ja) 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指導レポート
Maynard et al. Natural language technology for information integration in business intelligence
JP5261643B2 (ja) 会計仕訳ファイルデータ標準化システムとそのプログラム
KR20080075567A (ko) 검색어 찾기 방식에 의한 복식부기 장부의 회계자료입력방법
US20090083179A1 (en) Web-accessible payment processing system
JP3415117B2 (ja) 経理処理システム及び経理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4373642B2 (ja) 取引先要項システム、取引先動向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24267B2 (ja) 取引先要項システム
US20230298111A9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Transaction Reconciliation
JP2003323581A (ja) 記帳システム、記帳画面、記帳方法、記帳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Abdulrahaman Accounting cycle and the development of Accounting Practices in Nigeria
KR20100032476A (ko)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1040016A (ja) 財務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50045851A (ko) 패턴 기반, 거래 기준 회계 계정 자동 매칭 및 분개 시스템
JP6836286B2 (ja) 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