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942B1 -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942B1
KR100803942B1 KR1020060051691A KR20060051691A KR100803942B1 KR 100803942 B1 KR100803942 B1 KR 100803942B1 KR 1020060051691 A KR1020060051691 A KR 1020060051691A KR 20060051691 A KR20060051691 A KR 20060051691A KR 100803942 B1 KR100803942 B1 KR 100803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ccounting
control server
transac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721A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더존디지털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1427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039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존디지털웨어 filed Critical (주)더존디지털웨어
Priority to KR102006005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94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은: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키워드를 제공받는 단계(Ⅰ);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Ⅲ) 및 상기 추출된 분개 파일의 데이터를 수정하고, 분개 처리하는 단계(Ⅳ)를 포함한다.
회계, 분개, 키워드

Description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Journalizing system and method of accounting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DB 서버(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110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4에 도시된 S130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4에 도시된 S150 단계 및 S160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에서 사용자를 확인하는 일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입력/출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업경영활동에서 발생하는 각종 거래정보를 자동으로 회계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통상적으로, 개인 또는 법인은 경제생활과 관련하여 여러 기록을 하게 된다. 특히,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의 경우,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는 동안 현금, 채권, 채무 등이 끊임없이 증감·변동하므로, 기업이 영업활동에 따른 재산의 변동사항을 체계적으로 기록 및 정리하는 방법으로써 복식부기(double entry bookkeeing)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복식부기는 현금, 채권, 채무 등의 증감변화를 일정한 원리와 원칙에 따라 조직적으로 기록 및 계산방법인데, 모든 거래를 이중으로 기입하게 되므로, 기록 및 계산상의 오류나 탈루를 자동으로 발견할 수 있는 기능, 즉 자동적 검증기능을 갖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규모를 갖는 대부분의 기업들을 복식부기를 사용한다.
또한, 기업에서 발생하는 거래는 시시각각 끊임없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래가 발생한 경우 해당거래를 직접 각 계정의 차변 또는 대변에 기입하면 오류 또는 누락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거래를 각 계정에 기입하기 전에 미리 어느 계정에 기입할 것인가, 그 계정의 차변 또는 대변의 어느 쪽에 기입할 것인가, 기입할 금액은 얼마인가 등을 결정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절차를 분개(journalizing)라 한다. 즉, 기업에서 생성되는 모든 회계정보는 분개를 하고, 이를 근거로 각 계정과목 및 원장에 전기(posting)하고, 이를 근거로 결산을 한 후 각종 수정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와 같은 재무재표를 생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기업에서 발생한 각종 거래를 어떤 계정과목에 적용할 것인지, 상기 계정과목을 차변에 기록할지 대변에 기록할지 여부 등의 실제 분개절차는 웬만한 수준의 회계전문가들도 종종 혼동을 일으키는 복잡하고 많은 시간 및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또한, 이러한 분개는 당사자의 주관이 개입될 소지가 많으며, 동일한 거래는 동일하게 회계처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담당자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회계처리함으로써 정확하고 일관성있는 회계정보의 생성을 곤란하게 한다.
특히, 통상적으로 회계담당자들은 분개한 이후에라도 분개된 내용으로부터 거래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거래 기록을 위한 분개 시 거래내용을 요약 서술하는 소위 "거래적요"를 작성하게 된다. 이러한 거래적요는 계정과목, 금액 등과 달리 회계담당자가 어느 정도의 재량을 갖고 기록하는 것이므로 분개를 하는 담당자가 변경되는 등의 이유로 동일한 거래임에도 불구하고 거래 적요는 서로 다르게 기록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는 일관성있는 회계처리, 감사 등을 하는데 큰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업의 회계처리 시 각 담당자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거래적요를 작성하므로 담당자 변경 시 분개의 일관성이 결여되고, 또는 담당자가 동일한 종류의 종래 거래에 대하여 기억을 하지 못하는 착오로 발생하는 작업의 일관성이 결여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의 회계처리 시 담당자가 경험부족 등을 이유로 적절한 분개를 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고 그 기업이 종래에 수행한 분개를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초보자라도 용이하게 기업의 분개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의 회계장부, 특히 분개장을 일관성있게 작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잘못된 분계로 인한 재무재표 등 장부를 잘못 작성하고, 그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기업의 회계와 관련된 각종 거래는 통상적으로 일정한 패턴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여러 기업들은 매일 많은 수의 거래를 수행하지만 이러한 거래의 대부분은 종래의 거래와 완전히 구분된 별개의 것이 아니고,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 등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통점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특정한 물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의 경우, 상기 물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통상 특정한 회사로부터 일정한 부품 및 원재료 를 공급받고, 특정한 중간판매상에게 생산된 제품을 납품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업은 매월 특정한 날에 공과금을 일괄적으로 납부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신규채용 및 퇴사가 없다면 급여 및 각종 보험료 등도 매달 일정한 금액이 특정한 날에 지불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 등으로 구성되는 분개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일치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업에서 분개절차를 수행하는 직원이 모든 거래에 대하여 일일이 거래처 등 분개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종래의 분개 내용을 각 항목별로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유사점이 많은 종래의 분개장을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불러올 수 있다면 분개에 필요한 노력 및 잘못된 분개로 인한 기업의 손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은: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를 주고받는 컨트롤 서버와, 상기 컨트롤 서버와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유저 컴퓨터와 통신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회계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회계처리 방법은: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유저 컴퓨터로부터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키워드를 제공받는 단계(Ⅰ);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및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Ⅲ)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를 주고받는 컨트롤 서버와, 상기 컨트롤 서버와 연결된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회계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회계처리 방법은: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하여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키워드를 제공받는 단계(Ⅰ);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및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Ⅲ)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계처리 방법은 상기 추출된 분개 파일의 데이터를 수정하고, 분개 처리하는 단계(Ⅳ)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계처리 방법은 상기 단계 Ⅰ에 앞서, 유저 컴퓨터 또는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계처리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거래에 대한 분개 파일 및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일자, 계정과목, 결제수단, 결제금액, 결제품목, 거래적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계처리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분개 파일과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일자, 계정과목, 결제수단, 결제금액, 결제품목, 및 거래적요에는 동일한 고유번호가 부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계처리 방법에서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및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키워드를 제공받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계처리 방법에서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소정 갯수 이상인 경우, 상기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의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다른 키워드를 추가로 제공받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계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Ⅲ)에 이어서 상기 추출된 데이터 및 파일을 유저 컴퓨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단계 Ⅱ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유저 컴퓨터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방법으로 정렬된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은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 서버; 유저 컴퓨터로부터 웹서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유저 컴퓨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 유저 컴퓨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의 분개된 회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회계정보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분개처리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 데이터 추출부, 데이터 송신부, 및 분개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서버; 복수의 분개 파일과,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및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와 구성된 회계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트롤 서버에 상기 저장된 회계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 서버에서 수정 또는 신설된 회계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 및 상기 컨트롤 서버와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저 컴퓨터와 컨트롤 서버의 연결을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DB 서버의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는 복수의 분개 파일과,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 및 매출 금액, 매입 및 매출 품목 및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계관련 정보이고, 상기 DB 서버는 상기 컨트롤 서버에 상기 저장된 회계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 서버에서 수정 또는 신설된 회계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은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소정의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 서버를 포함하는 회계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데이터 송신부, 상기 추출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분개된 회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회계정보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분개처리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 데이터 추출부, 데이터 송신부, 및 분개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 서버의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는 복수의 분개 파일과,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 및 매출 금액, 매입 및 매출 품목 및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계관련 정보이고, 상기 DB 서버는 상기 컨트롤 서버에 상기 저장된 회계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 서버에서 수정 또는 신설된 회계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및 거래일자는 각각 거래처 DB, 거래적요 DB, 계정과목 DB, 결제내역 DB, 결제금액 DB, 매입/매출 금액 DB, 매입/매출 품목 DB 및 거래일자 DB에 저장되고, 상기 분개 파일은 회계정보 DB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컨트롤 서버로 접속한 사용자의 본인 인증 및 사용자 정보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할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사용자 정보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분개 파일의 하나와 상기 하나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일자, 계정과목, 결제수단, 결제금액, 결제품목, 거래적요에는 동일한 고유번호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참고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최적의 형태의 하나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DB 서버(200)를 구성하는 DB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은 컨트롤 서버(100)와 컨트롤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메인 서버에 제공하는 DB 서버(200) 및 인터넷, 인트라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400)을 이용하여 컨트롤 서버(100)와 유저 컴퓨터(501 내지 505)의 연결을 제공하는 웹서버(300)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서 보듯이, 컨트롤 서버(100)는 웹서버(300)를 통하여 유저 컴퓨터(501 내지 505)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신호 수신부(110),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데이터 및 파일을 웹서버(300)를 통하여 유저 컴퓨터(501 내지 505)로 제공하는 데이터 송신부(140), 제어부(120)의 명령에 따라서 DB 서버(200)에 저장된 회계관련 각종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130),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개처리부(150), 컨트롤 서버(100)로 접속한 사용자의 본인 인증 및 사용자 정보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관리부(160), 및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사용자 관리부(160), 데이터 추출부(130) 등에 사용자 인증, 데이터 추출 등의 절차 진행을 명령하고, 데이터 추출부(13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부(140)로 제공하고, 사용자 관리부(160)에 회원 가입 및/또는 사용자 등록, 상기 가입(등록)된 회원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승인 및 확인 절차를 진행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에서 보듯이 DB 서버(200)는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처, 거래일자, 계정과목, 결제수단, 결제금액, 결제품목, 거래적요를 각각 저장하는 거래처 DB(211), 거래일자 DB(212), 계정과목 DB(213), 결제 DB(214), 결제금액 DB(215), 결제품목 DB(216), 거래적요 DB(217)와 유저 컴퓨터에 의하여 제공되거나 각종 표준 거래에 대한 분개 데이터를 저장한 회계정보 DB(221)와 각 회원별 회원의 성명, 아이디, 비밀번호, 신상명세 등을 저장한 사용자 정보 DB(23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회계정보 DB(221)는 통상적인 분개장이 DB로 형성된 것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분개된 회계정보(분개 파일)를 저장한다. 또한, DB(211 내지 217)은 회계정보 DB(221)를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 즉, 거래처, 거래일자, 계정과 목, 결제금액, 거래적요 등의 정보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거래처 DB(211)는 각 사용자인 회원별로 거래를 수행한 객체인 회사/개인 등의 성명, 법인(사업자; 주민)등록번호 등의 신상 정보를 저장하고, 거래일자 DB(212)는 거래가 일어난 날짜(필요하다면 시간을 포함)를 저장하고, 계정과목 DB(213)는 현금, 매출채권 등의 자산계정, 매입채무 등의 부채계정, 자본계정, 상품매출이익 등의 수익계정, 급여 등의 비용계정과 같이 각 사용자별로 발생하는 거래에서 생성되는 계정을 저장하고, 결제 DB(214)는 각 사용자별 결제 방법, 결제 내역 등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금액 DB(215)는 각 사용자별 결제 금액, 선금비용 등을 저장하고, 품목 DB(216)는 각 사용자가 매입 또는 매출한 품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거래적요 DB(217)는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각의 거래에 대하여 회계 담당자들이 분개과정에서 기재한 요약 서술된 거래내역을 저장한다.
또한, 회계정보 DB에 저장되는 각각의 분개 파일에는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DB(211 내지 217)에 저장되는 각각의 데이터에도 상기 고유번호를 유지시킴으로써 각각의 DB(211 내지 217)에서 데이터를 추출한 경우 그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다른 DB(211 내지 217 및 221)에서 추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거래처가 (주)더존디지털웨어인 DB를 추출하면, 상기 DB에 기록된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주)더존디지털웨어와 거래한 종래의 모든 거래에 대한 거래일자, 결재금액, 품목, 계정과목, 회계정보(분개 파일)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기 구성을 갖는 시스템에 의한 회계처 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은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입력하고 입력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10)와 추출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 그 데이터를 발생시킨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S130)와 추출된 분개 파일을 수정 및 변경하여 소정의 거래에 대한 분개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S150, S160)로 구성된다.
먼저,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입력하고 입력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10)의 상세한 구성이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서 보듯이, 사용자는 유저 컴퓨터(501 내지 505)를 이용하여 웹서버(300)를 통하여 컨트롤 서버(100)에 접속한다(S111).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컨트롤 서버에 접속한 경우 회원 또는 사용자 확인 절차를 진행하는데 그 일례를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컨트롤 서버(100)에 접속하면, 컨트롤 서버(100)의 데이터 송신부(140)는 회원인증을 위한 안내화면을 유저 컴퓨터로 전송한다. 이어서 유저 컴퓨터에서 사용자의 고유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신호 수신부(110)를 통하여 제어부(120)로 제공되면 제어부(120)는 상기 정보를 사용자 관리부(160)로 제공한다. 사용자 관리부(160)는 사용자정보 DB에 저장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 중 유저 컴퓨터에서 제공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일치하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있으면, 그 아이디를 사용하는 자의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그 사용자의 회사(또는 개인)의 신상정보, 회원등급, 이용요금 납부여부 등 서비스 제공에 선행하여 필요한 사용자의 각종 정보를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등록되지 않은 것이거나 유저 컴퓨터로부터 회원가입을 요청하는 신호가 제공되면, 제어부(120)는 데이터 송신부(140)에 유저 컴퓨터로 회원가입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명령한다. 또한, 사용자가 회원인증을 완료하면 제어부(120)는 데이터 송신부(140)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유저 컴퓨터로 제공한다(S112).
한편, 상기 회원인증절차는 사용자가 웹서버를 통하여 접속하고 회원임을 인증받거나 회원가입하는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 방법 외에 공지된 회원인증 및 회원가입 절차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회원 가입 및 인증을 통하여 적법한 사용자임을 확인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회원 가입 등의 절차 없이 소프트웨어의 시리얼 넘버를 확인하는 등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사용자 확인 절차를 통하여 적법한 사용자임을 확인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 안내화면은 사용자가 종래의 거래를 검색하여 회계처리를 할 것인지, 직접 거래내역을 입력하여 분개 파일을 작성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유저 컴퓨터로부터 사용자가 종래의 거래를 검색하여 회계처리를 할 것이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 송신부(140)는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안내화면을 유저 컴퓨터로 제공한다. 상기 안내화면은 각종 회계처리에 적용되는 각종 객체인 거래 처, 거래일자, 계정과목, 결제수단, 결제금액, 결제품목, 거래적요 별로 구분된 항목을 제공한 후 그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신호 수신부(110)를 통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한다(S113).
제어부(120)는 유저 컴퓨터에서 제공받은 상기 소정의 키워드를 데이터 추출부(130)로 제공하고, 데이터 추출부(130)는 상기 키워드를 각각의 항목별로 DB 서버(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DB(211 내지 217)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입력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DB(211 내지 217)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S114)하고,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추출한다(S115). 예를 들면 유저 컴퓨터로부터 거래처 항목에서 (주)더존디지털웨어, 거래일 항목에서 2006년 3월이라는 키워드가 제공되면, 데이터 추출부(130)는 거래처 DB(211)에서 (주)더존디지털웨어인 데이터와 거래일자 DB(212)에서 2006년 3월에 거래가 발생한 데이터를 각각 검색한 후, 각각의 데이터에 부여된 고유번호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서, 데이터 추출부(130)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20)를 통하여 데이터 송신부(140)로 제공하고, 데이터 송신부(140)는 이를 유저 컴퓨터로 전송하여 유저 컴퓨터의 화면에 상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S116). 이 경우 추출된 데이터는 소정의 방식으로 정렬되어 유저 컴퓨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사례의 거래의 경우 날짜의 역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고, 또는 회계정보 DB(221)에서 각 데이터에 대한 거래금액을 검색한 후 동일한 금액의 거래가 다수 발생한 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는 등 그 정렬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정렬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채택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 에 의하여 지정된 방식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또한, 유저 컴퓨터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추출부(130)에서 검색한 결과 키워드와 데이터가 일치하는 모든 데이터로써 1개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그 갯수에 상관없이 하나의 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 갯수가 너무 많을 경우 소정의 방식으로 소팅(sorting)하여 사용빈도가 높거나, 최근에 거래된 것 등 소정 갯수의 데이터만 먼저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사용자가 특별히 선택하는 경우에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거래적요, 계정과목 등의 데이터를 해당 DB로부터 추출하여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계 S112에서 종래 거래를 검색하지 않고, 거래내역을 직접 입력한다는 신호가 유저 컴퓨터로부터 컨트롤 서버(100)로 제공되면, 데이터 송신부(140)는 분개 파일을 만들기 위한 안내화면을 유저 컴퓨터로 제공한다(S117). 상기 안내화면에는 계정과목 등 통상적인 분개절차에서 기록되는 각종 항목과 각 카데고리에 소정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유저 컴퓨터로부터 거래내역을 입력했음을 알리는 신호가 신호 수신부(110)로 입력됨으로써 거래내역 입력절차는 종료된다. 또는, 도 5에서 도시되듯이 제어부(120)는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오기, 누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저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다시 정리하여 유저 컴퓨터로 제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DB 서버(200)에 저장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고(S118), 사용자는 오기 등이 있을 경우 데이터를 수정하여 입력(S119)하는 피드백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S114에서 입력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DB(211 내지 217)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 결과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40)는 이러한 내용을 유저 컴퓨터로 제공하고, 신호 수신부(110)는 다른 키워드를 입력할 것인지 또는 거래내역을 직접 입력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유저 컴퓨터로부터 제공받는다(S120). 만약, 유저 컴퓨터로부터 다른 키워드를 입력한다는 신호가 제공되면, 단계 S113을 반복하고, 거래내역을 직접 입력한다는 신호가 제공되면 거래내역을 직접 입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S121 내지 S123). 상기 거래내역을 직접 입력하는 절차는 앞에서 설명한 S117 내지 S119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 그 데이터를 발생시킨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S130)를 도 6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듯이, DB 서버(200)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부(140)로부터 유저 컴퓨터로 전송되고, 유저 컴퓨터의 화면에 추출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면(S115), 사용자는 추출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회계처리하고자 하는 거래와 일치 또는 유사한 거래가 있는 지를 확인한다(S131). 만약, 유저 컴퓨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발견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신호 수신부(110)에 입력되면, 데이터 추출부(130)는 DB 서버(200)의 회계정보 DB(221)에서 해당 데이터의 근거가 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송신부(130)를 통하여 유저 컴퓨터에 제공한 다(S132).
또는, 유저 컴퓨터로 제공된 데이터의 갯수가 너무 많아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 곤란하거나, 제공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추가입력/재입력 또는 거래내역의 직접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S123). 먼저, 유저 컴퓨터로부터 추가입력/재입력 명령이 수신되면, 앞에서 설명한 S113 단계가 다시 진행된다. 즉, 사용자는 종래의 키워드에 부가하여 추가의 키워드를 입력하거나, 새로운 키워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추가의 키워드 입력절차는 진행된다. 또는, 유저 컴퓨터로부터 거래내역의 직접 입력 명령에 제공되면, 앞에서 설명한 거래내역을 직접 입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S134 내지 S136). 상기 거래내역을 직접 입력하는 절차는 앞에서 설명한 S117 내지 S119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분개 파일을 수정 및 변경하여 소정의 거래에 대한 분개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S150, S160)를 도 7을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듯이 회계정보 DB로부터 추출된 분개 파일이 유저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분개 파일을 수정하여 저장할 것인지, 수정없이 저장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S151). 분개 파일의 각 항목 중 수정이 가능한 항목은 거래처, 거래적요 등 그 종류를 한정할 필요가 없다. 유저 컴퓨터로부터 변경된 데이터가 신호 수신부(110)로 제공(S152)되면, 분개처리부(150)는 최초의 분개 파일과 수정 입력된 데이터의 정보에 따라 새로운 분개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분개 파일을 DB 서버(200)에 저장시킨다(S162). 또한, 생성된 분개 파일에는 고유번호가 부여되고, 생성된 분개 파일은 회계정보 DB(221)에 저장하는 것 외에, DB(211 내지 217)에도 각각의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들은 이후에 일관성있는 분개 작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한편, 제어부(120)는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오기, 누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저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다시 정리하여 유저 컴퓨터로 제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DB 서버(200)에 저장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고(S161), 사용자는 오기 등이 있을 경우 데이터를 수정하여 입력(S163)하는 피드백 절차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가 소정의 키워드를 입력하고, 그 결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화면은 '① 검색조건', '② 거래기본정보', '③ 거래상세정보'의 세 섹션으로 분할된다.
먼저, '검색조건' 섹션은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안내화면으로써 기능하고,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검색조건에 표시된 각각의 객체(거래처 명, 매입(출) 품목 등) 중 적어도 하나에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종래의 거래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거래기본정보' 섹션은 상기 키워드 입력에 의하여 검색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검색조건에 "(주)더존디지 털웨어"를 입력한 경우 '거래기본정보'의 각 항목에는 거래처가 "(주)더존디지털웨어"인 각종 거래내역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거래기본정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는 분개처리된 모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대신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데이터(즉, 도 10에서 거래처 명, 계정과목 등)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거래상세정보' 섹션은 '거래기본정보' 중 각각의 거래에 대한 상세한 정보, 즉, 분개파일 전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거래상세정보' 섹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거래는 '거래기본정보' 중 사용자가 마우스,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특별히 선택한 것으로 결정된다. 즉, 사용자가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거래를 선택하면 컨트롤 서버(100)는 회계 정보 DB(221)에서 해당 거래에 대한 분개 파일을 추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방법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소정의 키워드를 입력하여 소정의 키워드를 갖는 모든 거래를 '거래기본정보'에서 확인하고, '거래기본정보' 중 소정의 거래에 대해서는 '거래상세정보'를 통하여 모든 분개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거래를 정확하게 추출해낼 수 있다. 또한, 뒤에서 설명할 변경할 데이터의 입력 단계(S152) 및 저장(S161) 단계 등도 상기 '거래상세정보' 섹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화면은 거래내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수정하는 일례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고, 검색된 거래내역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여러 종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듯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은 컨트롤 서버(100)와 컨트롤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메인 서버에 제공하는 DB 서버(200)와 상기 컨트롤 서버에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장치(600)와 컨트롤 서버(100)에서 각종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포함한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서버에 입력 및 출력 수단이 직접 연결된 구조의 회계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장치(60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 통상적으로 컴퓨터에서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디스플레이 장치(700)도 CRT 모니터, LCD 모니터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은 컨트롤 서버가 웹서버와 유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외부의 유저 컴퓨터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고, 컨트롤 서버에 직접 연결된 입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용자 또는 본인 인증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뒤에서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각 기업의 회계담당자는 종래의 유사한 유형의 거래내역을 용이하게 검색하고, 검색된 종래의 분개 파일에 약간의 수정을 가하는 것만으로 분개절차를 완료할 수 있으므로, 분개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분개 시 새롭게 기재되는 항목의 수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잘못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잘못된 재무정보를 생성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거래임에도 불구하고 회계담당자가 변경됨으로써 거래적요, 계정과목 등을 잘못 기재함으로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20)

  1.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를 주고받는 컨트롤 서버와, 상기 컨트롤 서버와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유저 컴퓨터와 통신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회계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회계처리 방법은: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유저 컴퓨터로부터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키워드를 제공받는 단계(Ⅰ);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및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Ⅲ)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추출된 분개 파일의 데이터를 수정하고, 분개 처리하는 단계(Ⅳ)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Ⅰ에 앞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유저 컴퓨터로부터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는 복수의 거래에 대한 분개 파일 및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일자, 계정과목, 결제수단, 결제금액, 결제품목, 거래적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개 파일 및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일자, 계정과목, 결제수단, 결제금액, 결제품목, 거래적요에는 동일한 고유번호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키워드를 제공받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소정 갯수 이상인 경우, 상기 유저 컴퓨터로부터 상기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의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다른 키워드를 추가로 제공받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Ⅲ)에 이어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 및 파일을 상기 유저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Ⅱ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유저 컴퓨터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방법으로 정렬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10.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Ⅲ)에 이어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 및 파일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각 더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Ⅱ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유저 컴퓨터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방법으로 정렬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12.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 서버;
    유저 컴퓨터로부터 웹서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유저 컴퓨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 유저 컴퓨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의 분개된 회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회계정보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분개처리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 데이터 추출부, 데이터 송신부, 및 분개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서버; 및
    상기 컨트롤 서버와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저 컴퓨터와 컨트롤 서버의 연결을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DB 서버의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는 복수의 분개 파일과,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 및 매출 금액, 매입 및 매출 품목 및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계관련 정보이고,
    상기 DB 서버는 상기 컨트롤 서버에 상기 저장된 회계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 서버에서 수정 또는 신설된 회계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시스템.
  13.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소정의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 서버를 포함하는 회계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회계처리 시스템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데이터 송신부, 상기 추출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분개된 회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회계정보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분개처리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 데이터 추출부, 데이터 송신부, 및 분개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 서버의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는 복수의 분개 파일과,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 및 매출 금액, 매입 및 매출 품목 및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계관련 정보이고,
    상기 DB 서버는 상기 컨트롤 서버에 상기 저장된 회계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 서버에서 수정 또는 신설된 회계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시스템.
  14. 제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및 거래일자는 각각 거래처 DB, 거래적요 DB, 계정과목 DB, 결제내역 DB, 결제금액 DB, 매입/매출 금액 DB, 매입/매출 품목 DB 및 거래일자 DB에 저장되고, 상기 분개 파일은 회계정보 DB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시스템.
  15. 제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컨트롤 서버로 접속한 사용자의 본인 인증 및 사용자 정보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 서버는 사용자 정보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시스템.
  16. 제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개 파일 중 하나와 상기 하나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일자, 계정과목, 결제수단, 결제금액, 결제품목, 거래적요에는 동일한 고유번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시스템.
  17. 회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를 주고받는 컨트롤 서버와, 상기 컨트롤 서버와 연결된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회계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회계처리 방법은: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하여 거래처, 거래적요, 계정과목, 결제내역, 결제금액, 매입/매출 금액, 매입/매출 품목, 거래일자 중의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키워드를 제공받는 단계(Ⅰ);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및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Ⅲ)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추출된 분개 파일의 데이터를 수정하고, 분개 처리하는 단계(Ⅳ)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19. 제 17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관련 데이터는 복수의 거래에 대한 분개 파일 및 상기 각각의 분개 파일을 구성하는 객체인 거래처, 거래일자, 계정과목, 결제수단, 결제금액, 결제품목, 거래적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20. 제 17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받은 키워드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Ⅱ)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개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Ⅲ)에 이어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 및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 방법.
KR1020060051691A 2006-06-09 2006-06-09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0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691A KR100803942B1 (ko) 2006-06-09 2006-06-09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691A KR100803942B1 (ko) 2006-06-09 2006-06-09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721A KR20070117721A (ko) 2007-12-13
KR100803942B1 true KR100803942B1 (ko) 2008-02-15

Family

ID=3914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691A KR100803942B1 (ko) 2006-06-09 2006-06-09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9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949B1 (ko) * 2022-01-25 2022-09-07 주식회사 티톡 펀드운용 준법감시를 위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440950B1 (ko) * 2022-01-25 2022-09-07 주식회사 티톡 준법감시 시스템
US11687519B2 (en) 2021-08-11 2023-06-27 T-Mobile Usa, Inc. Ensuring availability and integrity of a database across geographical reg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58B1 (ko) * 2008-09-03 2011-04-05 김선규 붙여넣기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70492B1 (ko) * 2010-03-11 2013-06-03 (주)웹시그마 매출액 및 미수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255361A1 (ja) * 2019-06-20 2020-12-24 ファーストアカウンティング株式会社 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方法、会計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720A (ko) * 1999-10-19 2001-05-15 김신래 회계장부 처리방법
JP2001167221A (ja) * 1999-09-27 2001-06-22 Tsugio Goto 自動仕訳記帳システム
KR20010097271A (ko) * 2000-04-21 2001-11-08 이장순 대화형 자동분개기법을 이용한 세무, 회계 전문시스템
KR20020003666A (ko) * 2000-06-23 2002-01-15 김경 간편한 회계처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 연결회계처리시스템 및 그에 따른 회계데이터 처리방법
KR20040002457A (ko) * 2002-06-19 2004-01-07 굿맨소프트(주)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7221A (ja) * 1999-09-27 2001-06-22 Tsugio Goto 自動仕訳記帳システム
KR20010037720A (ko) * 1999-10-19 2001-05-15 김신래 회계장부 처리방법
KR20010097271A (ko) * 2000-04-21 2001-11-08 이장순 대화형 자동분개기법을 이용한 세무, 회계 전문시스템
KR20020003666A (ko) * 2000-06-23 2002-01-15 김경 간편한 회계처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 연결회계처리시스템 및 그에 따른 회계데이터 처리방법
KR20040002457A (ko) * 2002-06-19 2004-01-07 굿맨소프트(주)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7519B2 (en) 2021-08-11 2023-06-27 T-Mobile Usa, Inc. Ensuring availability and integrity of a database across geographical regions
KR102440949B1 (ko) * 2022-01-25 2022-09-07 주식회사 티톡 펀드운용 준법감시를 위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440950B1 (ko) * 2022-01-25 2022-09-07 주식회사 티톡 준법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721A (ko)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44490A1 (en) Bill pay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600747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payment processing
US20040030649A1 (en) System and method of application processing
US2002008296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ng and managing like-kind exchanges
US20160027124A1 (en) Thematic Repositories for Transaction Management
KR19990064318A (ko) 세일즈 프로세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88392A1 (en) Merchant application and underwriting systems and methods
KR100803942B1 (ko)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3504701A (ja) ポートフォリオ投資ガイドライン・コンプライアンス及び金融ファンド管理システム
US10366457B2 (en) Thematic repositories for transaction management
US20060190365A1 (en) Electronically assisted enterprise journal system
US20030217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using existing web sites
US20030182215A1 (en) Network-enabled method and system for asset finance
CN104657896A (zh) 一种cms信贷信息共享管理的数据采集和共享系统
US70244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base configuration migration
KR100505341B1 (ko)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2245232A (ja) 経営診断情報提供装置、経営診断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71206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y audit scope determination
CN102567819A (zh) 金融发票数据处理方法
JP4843213B2 (ja) 建設業会計装置
KR101059582B1 (ko) 회계처리 품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회계처리 품질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EP3583523A1 (en) Thematic repositories for transaction management
US74338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base registration
CN102542366A (zh) 金融发票系统
US20030074289A1 (en) Method of abatement on accounts receiv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513

Effective date: 20090223

EXTG Ip right invalidated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