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189B1 - 내부 설치 풍속계를 구비한 드로틀 몸체 - Google Patents

내부 설치 풍속계를 구비한 드로틀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189B1
KR940002189B1 KR1019860008347A KR860008347A KR940002189B1 KR 940002189 B1 KR940002189 B1 KR 940002189B1 KR 1019860008347 A KR1019860008347 A KR 1019860008347A KR 860008347 A KR860008347 A KR 860008347A KR 940002189 B1 KR940002189 B1 KR 940002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uit
venturi
channe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003A (ko
Inventor
에이취. 스미스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에어 센서즈 인코포레이티드
데일 라스무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 센서즈 인코포레이티드, 데일 라스무쎈 filed Critical 에어 센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8Arrangement of ai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01F1/6842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flui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01F1/688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using a particular type of heating, cooling or sensing element
    • G01F1/69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using a particular type of heating, cooling or sensing element of resistiv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5/00Measuring a proportion of the volume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부 설치 풍속계를 구비한 드로틀 몸체
제1도는 열선 전자 풍속계를 사용한 본 발명 드로틀 몸체의 측단면도.
제2도는 공기 덮개를 제거한 상태로서 고온 필름 전자 풍속계를 사용한 드로틀 몸체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제3도는 공기 청정기를 제거한 상태로서 제1도의 드로틀 몸체의 부분 단면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로틀 몸체 12 :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
14 : 중공 원통형 몸체 16 : 내부측벽
18 : 공기도관 20 : 개방 흡입 단부
22 : 개방 배출 단부 24 : 드로틀 판
25 : 연료 분사기 26 : 흡입 매니폴드
28 : 공기필터 하우징 29 : 흡입 공기류 도관
30 : 공기필터 32 : 벤츄리 부재
33 : 제1부재부 34 : 제2부재부
36 : 외부면부 38 : 환형 제한 벤츄리 공기통로
40 : 폐쇄 공기 채널 42 : 입구 개구
44 : 출구 개구 46 : 풍속계 감지기
46a : 온도 의존 저항선 4b : 필름
48 : 지주 50 : 강체판
52 : 와이어 54 : 회로기판
56 : 보호 케이싱 57 : 지지체
58 : 아암 60 : 내부 통로
61 : 구멍 62 : 구멍
66 : 단부벽부
본 발명은 풍력 측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로틀 몸체내의 표본 공기류 통로에 열선 또는 고온 필름전자 풍속계를 설치한 구조의 드로틀 몸체에 관한 것이다.
가끔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질량을 알 필요가 있고 또 그렇게 하는 것이 유용하다. 풍속계 또는 공기 질량 감지기에 대한 많은 응용이 있지만 특히 관심이 있는 적용분야는 내연기관이다. 전자식 연료분사 및 점화 시스템을 갖춘 자동차 엔진에서, 엔진으로의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시스템의 성능을 제어하고 최적화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유용한 여러가지 중요한 감지 조건중의 하나가 된다.
종래의 공기 질량 감지기의 한 형태는 온도에 비례하는 전기 저항을 갖는 백금선과 같은 온도 의존 저항선을 사용한다. 저항선은 통로의 공기 질량 흐름에 놓이고 전기 회로는 와이어에 전류를 공급한다. 회로는 저항선을 통해 전류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그 저항과 그리고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또 상기 전류를 측정하고 있다. 측정된 전류(또는 그에 비례하는 전압)는 통로를 흐르는 단위 시간당의 공기 질량을 나타내고 회로에 의하여 공기 질량 흐름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유사한 형태의 공기 질량 감지기는 온도 의존 저항 금속 필름을 사용한다.
몇가지 이점은 증명되었지만, 정확하고 받을 수 있는 판독을 위해 내연기관의 공기 유도 시스템에 열선 또는 필름의 공기 질량 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 과거에서는 열선 감지기는 엔진 드로틀 몸체에 통하면서 엔진 공기 유도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관내에 설치되었다. 그와 같은 한 장치가 미합중국 특허 제4,523,46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잘 작동하지만 실제 드로틀 몸체를 통과할때 공기 질량 흐름을 직접 측정하는 위치에 공기 질량 감지기를 위치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게다가, 드로틀 몸체벽의 한 부분에 인접한 공기 질량 흐름이 아니라 드로틀 몸체의 중앙 부분에 있는 공기 질량 흐름을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연기관의 작동중 드로틀 몸체에 존재하는 약조건때문에 드로틀 몸체 목부를 가로지르도록 열선 또는 필름 감지기를 위치만시키는 것이 실용적이지 못하다.
과거, 가열된 감지기가 설치된 드로틀 몸체 바이패스 채널 또는 통로가 미합중국 특허 제4,264,96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장치에서, 드로틀 몸체의 한쪽에 위치한 바이패스 통로는 상부 개방 단부쪽의 드로틀 몸체의 드로틀 몸체 공기도관의 내부 공기 도관과 통하는 입구 포트와, 벤츄리 목부 둘레의 드로틀 몸체 공기 도관과 통하는 출구 포트를 갖는다. 열 발생기는 바이패스 통로에 위치하고 또 출력전압 신호를 발생하는 공기 흐름 계기에 연결된다.
벤츄리상의 엔진 공기 흐름은 바이패스 통로 출구 포트에서 정압 강하를 일으키고 바이패스 통로내의 최종 압력 차는 입구 포트와 감지기상을 지나는 엔진 공기 질량 흐름의 고정적인 분류를 일으킨다. 감지기는 엔진 공기 질량 흐름의 상기 분류를 측정하고 총 엔진 공기 질량 흐름은 감소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여러가지 단점을 갖는다. 입구 또는 드로틀 몸체의 한쪽에 위치한 단일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드로틀 몸체 공기 도관내 그리고 드로틀 몸체에 설치된 공기 필터와 한 부분에 인접한 국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한다. 필터 막힘의 국부적인 변동이 입구 포트 주위의 국부에서 공기 흐름에 영향을 준다면 측정된 공기 질량 흐름도 영향을 받고 측정판 흐름은 총 엔진 공기 질량 흐름에 더 이상 똑같이 비례하지 않는다. 이렇게 됨으로써 부정확하고 잘못된 엔진 공기 질량 흐름 판독이 된다.
출구 포트가 드로틀 몸체의 한쪽에 위치한 단일 오리피스라는 사실 때문에 유사한 문제가 존재한다. 바이패스 통로의 공기 질량 흐름은 드로틀 몸체 공기 도관내 그리고 출구 포트 아래에 위치한 나비형 드로틀 판밸브의 한 가장자리 부분 근처의 국부로만 배출된다. 나비형 밸브가 개폐될때 그것을 지난 공기 흐름은 그 주변의 모든 점에서 균일하지 못하고 출구 포트용으로 선택된 특수 위치는 바이패스 통로를 통한 공기 질량 흐름에 영향을 주고 따라서 측정된 공기 질량 흐름의 정확도에도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나비형 밸브의 하측은 그 상측보다 더 많은 흐름을 허용한다. 바이패스 통로의 출구 포트를 위한 위치로 나비형 밸브와 관계가 없기 때문에 모든 밸브 개폐 위치용이 총 엔진 공기 질량 흐름을 대표값으로 하고 측정된 흐름은 거의 항상 부정확하다. 게다가, 이것은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스폿에서 엔진 공기 필터가 더러워질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한 부정확성이다.
바이패스 통로 사용시의 다른 단점으로서 저속의 넓은 개방 드로틀 운전시에 대단히 현저한 엔진 역류 맥동에 대한 그 감도가 있다. 드로틀 몸체 공기 도관을 통해 역방향의 짧은 펄스 동안의 공기 질량 흐름에서는 엔진쪽 정상 흐름 방향의 공기 질량 흐름때보다 바이패스 입구 및 출구 포트를 가로질러서의 압력 차가 더 크게 형성된다. 이것은 드로틀 몸체 공기 도관내의 실제 흐름이 반대가 되더라도 공기를 입구 포트로 들어가게 해서 출구 포트로부터 나오도록 한다. 항상 엔진 공기 질량 흐름을 대표하지 않는 바이패스 통로의 이러한 공기 질량 흐름은 통로에 위치한 가열된 감지기를 지날때 공기 질량 흐름 판독을 하게 한다. 측정된 공기 질량 흐름은 정상방향의 엔진 공기 질량 흐름과 구별될 수 없고, 따라서 잔향상태가 존재할때 실제 엔진 공기 질량 흐름의 컴퓨팅시 콘 오차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단점을 피하고, 공기 청정기내의 더러워진 스폿, 나비형 밸브에 대한 감지기위 위치나 또는 엔진 역류 맥동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서 드로틀 몸체를 통한 공기 질량 흐름의 정확한 판독을 제공하도록 공기 질량 감지기를 구비한 드로틀 몸체에 대한 요구가 시급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고 더욱이 관련된 다른 이점도 제공된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에 관한 것이다. 트로틀 몸체는 개방 흡입 단부로부터 개방 배출 단부로 이어지는 종방향 공기 도관을 규정하는 내부 측벽을 가지는 중공 몸체와, 도관내에서 몸체 배출 단부쪽에 있는 드로틀 판과, 중공 벤츄리 부재를 포함한다. 벤츄리 부재는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도관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부재부와, 드로틀 판으로부터 상류에 있고 도관내 중앙에 위치한 제2부재부를 가진다. 제2부재부는 환형 제한 벤츄리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몸체 내부 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외부면부를 가진다. 제1 및 제2부재부는 폐쇄 공기 채널을 규정한다.
벤츄리 부재는 몸체 흡입 단부 외부의 공기 공간과 벤츄리 부재 채널 사이에서 공기를 통하게 하는 제2흐름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흐름 수단은 제1부재부 주위 및 도관 외측의 공기공간으로부터 공기를 균일하게 흡입하도록 제1부재부에 있는 다수의 원주상 이격 입구 개구를 포함한다.
또, 벤츄리 부재는 채널과 환형 벤츄리 공기 통로 사이에서 공기를 원주상 분포 방식으로 통하게 하는 제2흐름 수단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2흐름 수단은 벤츄리 공기 통로로 공기를 균일하게 통과시키도록 제2부재부에 있는 다수의 원주상 이격 출구 개구를 포함한다. 출구 개구는 벤츄리를 형성하는 제2부재부의 외부 면부를 통해 나가고 똑같은 평면상에 있으며 통상 원주상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배열된다.
채널과 제1 및 제2흐름 수단은 도관 외부 위치로부터 벤츄리 공기 통로 근처 위치까지의 샘플 공기 흐름 통로를 도관을 통한 공기 흐름의 대표값으로 규정한다.
가열 가능한 풍속계 감지기는 공기 질량 흐름 측정을 위해 샘플 공기 흐름 통로의 채널내에 위치한다. 도관내에는 벤츄리 부재를 지지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지지 수단은 도관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블레이드형 아암을 포함한다. 아암은 벤츄리 부재와 몸체 사이에 단단히 부착되고 또 연장한다.
제1부재부는 공기 채널을 덮는 외향 단부벽을 가지고 그것을 입구 개구가 통한다. 단부벽은 도관을 통한 흐름이 역으로 될때 공기 흐름으로부터 벤츄리 통로에서 형성된 저압과 거의 같은 압력으로 저압 지역을 형성하도록 된 외부면을 가진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단부벽은 외측으로 커어브져 있고 통상 포물선 외부면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고한 다음의 상세한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내연기관(도시되지 않음)용 드로틀 몸체(10)와,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12)가 도시되어 있다.
드로틀 몸체(10)는, 개방 흡입 단부(20)로부터 개방 배출단부(22)로 이어지는 종방향 공기 도관(18)을 규정하는 내부 측벽(16)을 구비하는 중공 원통형 몸체(14)를 가진다. 나비형 드로틀 판(24)은 몸체 배출 단부(22)쪽으로 도관(18)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다. 드로틀 판(24)상에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하여 연료 분사기(25)가 위치한다. 몸체(14)는 내연기관의 흡입 매니폴드(26)에 부착 가능하다. 공기 필터 하우징(28)은 흡입 단부(20)에서 몸체(14)에 부착되고 흡입 공기류 도관(29)을 규정한다. 몸체 공기 도관(18)에의 흡입공기류를 여과하기 위하여 공기 필터(30)가 배치된다.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12)는 몸체 흡입 단부(20)에서의 몸체 공기 도관(13)으로부터 공기 필터(30)내에서의 동심적인 흡입 공기를 도관(29)에서의 위치로 돌출하는 제1부재부(33)를 갖는 계란형 중공 벤츄리 부재(32)를 포함한다. 또 벤츄리 부재(32)는 드로틀 판(24)으로부터 상류에 몸체 공기 도관(18)내에서 동축으로 위치하는 제2부재부(34)를 포함한다. 제2부재부(34)는 환형 제한 벤츄리 공기 통로(38)를 형성하도록 몸체 내부 측벽(16)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고 안쪽으로 이격된 원주 연장 외부면부(36)를 가진다.
제1 및 제2부재부(33, 34)는 공기 도관(13) 외부의 흡입 공기류 도관(29)로부터 공기 도관내의 벤츄리 공기 통로(38)로 연장하는 폐쇄 공기 채널(40)을 규정한다.
제1부재부(33)는 공기류 도관(29)과 채널(40) 사이의 공기를 통하게 하는 다수의 입구 개구(42)를 가진다. 제1부재부(33)는 작동하기 위해 드로틀 몸체(10)용 몸체 공기도관(18)으로부터 돌출할 필요는 없음에 유의한다. 제2부재부(34)는 채널(40)과 환형 벤츄리 공기 통로(38) 사이의 공기를 통하게 하는 다수의 출구 개구(44)를 가진다.
작동시, 엔진 공기 흡입 과정 때문에 공기가 몸체(14)의 공기 도관(18)을 통해 흐를때 낮은 압력 벤츄리 공기 통로(38)에서의 입구 개구(42)와 출구 개구(44) 사이에 압력 차가 생기고 총 드로틀 몸체 공기 질량 흐름의 고정 비례분이 벤츄리 부재(32)의 공기 채널(40)을 통해 흐른다.
몸체 공기 도관(18) 외부의 위치로부터 통로의 목부에서의 벤츄리 공기 통로(38) 근방의 위치까지의 공기의 샘플 흐름 통로가 생기고 그것을 통해 흐르는 공기는 공기 도관(18)을 통한 공기 질량 흐름을 대표한다. 공기 채널(40)내 그리고 샘플 흐름 통로내에 가열될 수 있는 풍속계 감지기(46)가 배치된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 풍속계 감지기(46)는 한쌍의 이격된 지주(48)에 의해 지지되는 일정 길이의 온도 의존 저항선(46a)이다. 지주(48)는 강체판(50)에 의해 이격되어 유지된다. 지주(48)는 도전성 재료로 되어있고, 각각은 보호 케이싱(56)내에 몸체(14) 외부에 설치된 회로기판(54)에 연결된 한쌍의 와이어(52)중 그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 기판(54)의 전자 회로는 풍속계 감지기(46)의 저항선(46a)을 거의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고 열선에 의해 샘플된 채널(40)내의 공기 질량 흐름에 기초한 공기 질량 흐름 표시 신호를 발생한다.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풍속계 감지기(46)용으로 가열될 수 있는 필름(46b)이 사용된다. 필름(46b)은 채널(40)을 규정하는 제2부재부(34)의 대향 내부 측벽부에 부착된 한쌍의 대향 지지체(57) 사이의 채널에 현수되어 있다.
벤츄리 부재(32)는 도관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블레이드형 아암(58)에 의해 공기 도관(18)에서 정확히 유지된다. 아암(58)은 벤츄리 부재(32)와 몸체(14) 사이에에 단단히 부착되면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아암(58)과 벤츄리 부재(32)는 일체로 형성된다. 얇고 긴 아암(58)은 벤츄리 부재와 몸체(14) 사이의 3점 핀 부착법 보다 진동이 적게 벤츄리 부재(32)를 위해 더 안정한 지지를 제공한다.
아암(58)의 공기 역학적 형상은 몸체(14)를 통한 공기류상의 충격을 최소화 한다. 게다가, 아암(58)은, 몸체(14) 외부에 설치된 회로기판(54)상의 전자 회로를 구비하여 벤츄리 부재 채널(40)내에 풍속계 감지기(46)를 연결시키는 적절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아암(58)과 제2부재부(34)에 내부 통로(60)가 구비된다. 통로(60)는 몸체(14) 벽을 통한 구멍(61)과 채널(40)로 개방된 제2부재부(34)내의 한쌍의 구멍(62) 사이에서 연장한다. 몸체(14)에 있는 구멍(61)은 아암(58)에 의해 덮여진다. 통로(60)는 풍속계 감지기(46)와 회로 기판(54)을 연결하는 와이어(52)용 도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 제1부재부(33)부근의 채널(40)내에 위치하는 포지스터(posistor)(64)와 회로 기판 사이에서 연장하는 와이어(63)를 포함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단지 하나의 구멍(62)만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도의 실시예에 대해 유사한 장치가 사용된다.
제1부재부 둘레에 있고 도관(18) 외측에 있는 공기 공간으로부터 균일하게 고기를 채널(40)로 흡입하기 위하여 제1부재부(33)의 입구 개구(42)가 제1부재부에 관해 원주상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분포되어 있다. 입구 개구(42)는 채널(40)을 가로지로는 제1부재부(33)의 단부벽부(66)에 형성된 작은 구멍이다. 단부벽부(66)는 입구 개구를 통하는 것을 제외하고 몸체 흡입 단부(20)에서의 공기 도관(18) 외부에 있는 공기공간으로부터 채널(40)로의 공기류를 방지한다. 입구 개구(42)는 각각 각도적으로 외측 그리고 직접 상방으로 연장한다.
제2부재부(34)의 출구 개구(44)는 채널(40)로부터 벤츄리 공기 통로(38)로 균일하게 공기를 보내기 위해 제2부재부에 관해 원주상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분포된다. 출구 개구(44)는 벤츄리를 규정하는 제2부재부(34)의 외부면부(36)를 통해 가교 보통 같은 평면상에 정렬된다.
제1부재부(32)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부벽부(66)는 외측으로 커어브져 있고 보통 포물선 외부면 형상을 한다. 이러한 면 형상은 공기 도관(18)을 통한 공기류가 엔진 역류 맥동에 기인하여 거꾸로될때 입구 개구(42)에서 흡입 공기류 도관(29)내에 저압 지역을 형성한다. 단부벽 형상은 반대의 공기류로부터 벤츄리 공기 통로(38)내에 형성된 저압과 거의 같은 저압을 형성한다.
작동시, 단부벽부(66)의 외부면 형상은 공기 도관(18)을 통한 공기류가 엔진 역류 맥동에 의해 거꾸로 될때 외부면에서 부분적인 진공의 형성을 유도하는 블러프 바디를 형성한다. 단부벽부(66)에서의 최종 저압은 벤츄리 공기 통로(38)에서의 저압과 거의 같고, 따라서 입구 개구(42)와 출구 개구(44) 사이에는 압력차가 거의 없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공기 도관(18)을 통한 공기류가 반대로될때 공기 질량 흐름은 채널(40)을 거의 통과하지 않거나 전혀 통과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채널을 통한 잘못된 억방향 샘플 공기류의 측정이 방지된다. 포물선 단부벽부(66)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단부벽부는 블러프 바디를 형성하고 상술된 소요의 결과를 내는 적절한 다른 형상도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종래기술의 바이패스 통로에 있는 단일의 입구 및 출구 개구와는 달리, 본 발명의 벤츄리 부재(32)는 흡입 공기류 도관(29) 둘레에 360°로 분포된 입구 개구(42)를 통해 흡입 공기류 도관(29)내에서 공기 도관(18) 외측의 비교적 고압 저속지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고, 공기 도관(18) 둘레에 360°로 분포된 출구 개구(44)를 통해 벤츄리 공기 통로(38)에서 공기를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기술에서 바이패스 통로로 들어가는 공기가 몸체를 통한 공기류의 진정한 샘플이 되지 않게 하는 막힌 스폿을 개발하는 공기 필터(30)에 의해 역향받지 않고 또 나비형 도로틀판에 대한 출구 개구의 위치나 판의 개방 위치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진정한 샘플링이 이루어진다.
블러프 바디를 형성하는 단부벽부(66)의 사용으로 엔진 역류 맥동에 기인한 잘못된 판독을 하게 되는 종래 기술의 바이패스 통로의 문제가 해소된다. 역 공기류 펄스는 벤츄리 효과에 기인하여 출구 개구(44)에서 정압을 감소시키지만, 역 공기류에 대한 벤츄리 부재(32)의 최하류 끝에 있는 입구개구(42) 역시 벤츄리 부재의 블러프 후방에서 (단부벽부(66)에서) 공기류 경계층 분리에 기인한 저압 영역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입구 개구(42) 및 출구 개구(44)를 가로질러서 압력차가 없게 되고 역 공기류의 결과 채널(40)을 통한 공기류도 존재하지 않게된다. 공기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풍속계 감지기(40)와 회로기판(54)의 관련 회로는 도관(18)내의 역 공기류의 결과로서 잘못된 출력을 내지 않게 한다.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12)는 기존 설계로 된 드로틀 몸체를 개량하여 제조될 수 있고, 분리된 유리트로서 시판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장치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가 설명을 위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의 청구범위를 제외하고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35)

  1. 개방 흡입 단부로부터 개방 배출 단부로 이어지는 종방향 공기 도관을 규정하는 유연한 내부 측벽을 가지는 중공 몸체와, 상기 도관내에서 상기 몸체 배출 단부쪽에 있는 드로틀 판과, 상기 몸체 흡입 단부로 향해 위치하는 제1부재부와 상기 드로틀 판으로부터 상류에 있고 상기 도관내 중앙에 위치한 제2부재부를 가지는 중공 벤츄리 부재와, 상기 도관 내에서 상기 벤츄리 부재를 지지하는 수단과, 샘플 공기류 통로내의 채널에 위치하는 풍속계 감지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2부재부는 제한 원주 벤츄리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 내부 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는 상기 몸체 내부 주위에 연장된 중앙 외부 면부와 상기 중앙 면부로부터 상기 몸체 흡입 단부로 테이퍼진 제1단부 외부면부와 상기 중앙 면부로부터 상기 몸체 배출 단부를 테이퍼진 제2단부 외부 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1및 제2부재부는 채널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상기 제1부재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의 원주상으로 분포되어 상기 채널로부터 상기 공기 통로의 공기배출을 위해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와 통하며 상기 중앙 외부면부를 통해 나오는 상기 제2부재부내의 다수의 원주상으로 이격된 출구 개구를 가지는 폐쇄 공기 채널을 규정하며, 상기 채널과 상기 입구 및 출구 개구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위치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 근처 위치까지 샘플 공기 흐름 통로를 상기 도관을 통한 공기 질량 흐름의 대표값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부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로 향해 위치되는 터미널 단부에서 종료되고 터미널 단부로 향해 테이퍼진 오목하고 연속으로 만곡된 외부 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는 주위 경계층 분리 영역과 그 하부에 상기 덕트를 통한 공기 흐름이 역으로 될때 저압 구역은 발생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 형상은 상기 덕트를 통한 공기 흐름에 엔진 역류 맥동에 기인하여 역으로 될때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에서 상기 저압 구역내에 부분 진공의 형성을 유발하는 블러프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에서의 저압은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에서의 저압과 같고, 상기 입구 개구는 역전된 공기 흐름으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내에 발생된 압력과 거의 같은 압력을 상기 입구 개구에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저압 구역내의 주변 경계층 분리 영역의 하부에 위치되며, 그러므로써 엔진 역류 동안에 상기 입구 및 출구 개구 사이에는 압력차가 거의 없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되고, 상기 채널을 통한 상기 샘플 공기류의 잘못된 측정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 동심원적인 상기 몸체상에 장착가능한 환형 공기 청전기와 함께 사용되며, 상기 제1부재부는 상기 몸체와 동심적이고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 상기 덕트의 외부에 위치된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와 함께 종료되고 축의 외향으로 향하며,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는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 주위의 공기 공간으로부터 상기 덕트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상기 채널내로 유입하기 위해 위치된 다수의 원주상에 이격된 입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개구는 각각 엔진 역류 맥동으로 인해 역전될때 상기 덕트를 통하는 공기 흐름의 방향으로부터 멀리 향해 개방되고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내의 원형 보어를 포함하며, 그러므로써 상기 입구 개구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 상기 몸체와 동심원으로 장착된 공기 청정기의 일부로부터 동일 거리에 위치되고 공기 청정기의 일부의 국부적 막힘이 상기 샘플 공기 흐름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부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상기 도관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상기 도관 외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 근처의 위치까지의 상기 샘플 공기 흐름 통로를 규정하기 위해 상기 도관 외부에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는 상기 제1부재부 주위 그리고 상기 도관의 외측에 있는 공기 공간으로부터 상기 채널로 공기를 균일하게 흡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재부에 관해 분포된 다수의 원주상 이격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를 통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상기 도관 외부의 공기 공간으로부터 상기 채널로의 공기류를 방지하는 상기 채널을 가로지르는 단부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은 외측으로 커어브지고 보통 포물선 외부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구 개구는 상기 채널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의 목부로 균일하게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제2부재부의 원둘레 전체에 연하여 균등하게 분포되고 상호 밀접하게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구는 상기 제2부재 중앙 면부에 횡방향으로 향하고 대체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구는 보통 같은 평면상에 정렬되고 균일하게 원주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 부재 지지 수단은 상기 도관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벤츄리부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서 단단히 부착되고 또 연장하는 긴 블레이드형 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내에 있는 내부 통로는 상기 아암에 의해 덮힌 상기 몸체 내부 측벽내의 구멍과 상기 채널로 개방된 상기 제2부재부내의 구멍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감지기에 연결될 수 있는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긴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13. 개방 흡입 단부로부터 개방 배출 단부로 이어지는 종방향 공기 도관을 규정하는 유연한 내부 측벽을 가지는 중공몸체와, 상기 몸체 흡입 단부로 향해 위치한 제1부재부와 상기 몸체 배출 단부로 향해 상기 도관대 중앙에 위치한 제2부재부를 가지는 중공 벤츄리 부재와, 상기 도관에서 상기 벤츄리 부재를 지지하는 수단과, 샘플 공기류 통로내의 채널에 위치하는 풍속계 감지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2부재부는 제한 원주 벤츄리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 내부 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고 주위에 연장된 확대 중앙 외부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2부재부는 또한 상기 중앙 면부로부터 상기 몸체 흡입 단부로 향해 테이퍼진 제1단부 외부 면부와 상기 중앙 면부로부터 상기 몸체 배출 단부로 향해 테이퍼진 제2단부 외부 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부재는 폐쇄 공기 채널을 규정하며, 상기 벤츄리 부재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공기 공간과 상기 제1부재부를 통한 상기 채널 사이에서 공기를 통하게 하는 제1흐름 수단과 상기 채널과 상기 환형 벤츄리 공기 통로 사이에서 원주상 분포 방식으로 공기를 통하게 하는 제2흐름 수단을 가지며, 상기 채널과 상기 제1 및 제2흐름 수단은 상기 몸체 흡입 단부의 한 위치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 근처 위치까지의 샘플 공기 흐름 통로를 상기 도관을 통한 공기 질량 흐름의 대표값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공기 채널을 폐쇄하는 축방향 외측으로 면한 단부벽을 가지고, 상기 제1흐름을 수단 입구 개구는 상기 단부벽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은 외측으로 커어브지고 보통 포물선 외부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흡입 단부와 상기 단부벽을 지나 외향으로 동심적으로 연장된 상기 제1부재부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상기 도관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흐름 수단은 상기 제1부재부 주위의 공기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균일하게 흡입하도록 상기 제1부재부에 있는 다수의 원주상 이격 원형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부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상기 도관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1흐름 수단은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상기 도관 외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 근처의 위치까지 상기 샘플 공기 흐름 통로를 규정하도록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상기 몸체 외부의 공기 공간과 상기 채널 사이에서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흐름 수단의 공기 통로는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 목부로 공기를 균일하게 통과시키도록 상기 제2부재부의 다수의 원주상 이격 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구는 상기 제2부재 중앙 면부에 횡방향으로 향하고 대체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구는 보통 같은 평면상에 정렬되고 균일하게 원주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 부재 지지 수단은 상기 도관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벤츄리 부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서 단단히 부착되고 또 연장하는 긴 블레이드형 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내의 내부 통로는 상기 아암에 의해 덮힌 상기 몸체 내부 측벽내의 구멍과 상기 채널로의 상기 제2부재부 개구에 있는 구멍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감지기에 연결될 수 있는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24. 개방 흡입 단부로부터 개방 배출 단부로 이루어지는 종방향 공기 도관을 규정하는 원통형 내부 측벽을 가지는 중공 몸체와, 상기 흡입 단부에서 상기 몸체에 연결된 흡입 공기류 도관과,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 상기 몸체와 동심원인 상기 도관내에 위치하고 내부 개방 공간을 갖는 환형 공기 필터와, 상기 도관내에서 상기 몸체 배출 단부쪽에 있는 드로틀 판과,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상기 도관 외부의 상기 공기류 도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청정기 내부 개방 공간내의 상기 공기 필터와 동심인 제1부재부와 상기 드로틀판으로부터 상류에 있고 상기 도관내에서 동축으로 위치한 제2부재부를 가지는 긴 중공 벤츄리 부재와, 상기 도관내에서 상기 벤츄리 부재를 지지하는 수단과, 샘플 공기류 통로내의 채널에 위치하는 풍속계 감지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2부재부는 환형 제한 벤츄리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 내부 측벽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면서 상기 몸체 내부 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원주상 연장 중앙 외부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2부재부는 상기 중앙면부로부터 상기 몸체 흡입 단부로 향해 테이퍼되고 상기 제1부재부에서 종료되는 제1단부 외부 면부와 상기 중앙면부로부터 상기 몸체 배출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고 상기 드로틀 판으로부터 이격된 터미널 단부에서 종료되는 제2단부 외부 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부재부는 상기 도관 외부의 상기 공기류 도관으로부터 상기 도관내의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까지 연장하는 폐쇄 공기 채널을 규정하며, 상기 제1부재부는 상기 채널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고 상기 공기류 도관과 통하는 다수의 원주상 분포 입구 개구를 갖고 상기 제2부재부는 상기 채널로부터 공기의 배출을 위해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고 상기 환형 벤츄리 공기 통로와 통하는 상기 중앙 외부 면부를 통해 연장되는 다수의 원주상 분포 출구 개구를 가지며, 상기 채널과 상기 입구 및 출구 개구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에 있는 상기 도관 외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 근처 위치까지의 샘플 공기 흐름 통로를 상기 도관을 통한 공기 질량 흐름의 대표값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부 면은 상기 도관을 통한 흐름이 역으로될때 역 공기류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에서 형성된 저압과 거의 같은 압력으로 저압 지역을 형성하도록 된 형상이므로 상기 제1부재면은 제1부재면에서 부분적인 진공을 형성케하는 블러프 바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판용 드로틀 몸체 조립체.
  26. 개방 흡입 단부로부터 개방 배출 단부까지 이어지는 종방향 공기 도관을 규정하는 내부 측벽을 갖는 도관과 같이 사용하기 위해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에 있어서, 중공 벤츄리 부재와, 도관내에서 상기 벤츄리 부재를 지지하는 수단과, 샘플 공기류 통로내의 채널에 위치한 풍속계 감지기로 구성되며, 상기 벤츄리 부재는 덕트 흡입 단부로 향해 위치한 제1부재부를 갖는 덕트내에 동심적으로 위치하고 덕트 배출 단부로부터 상류에서 덕트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는 제2부재부를 가지며, 상기 제2부재부는 제한 원주 벤츄리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덕트 내부 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고 그 주위에 연장된 확대 중앙 외부 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부재부는 상기 채널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상기 제1부재부의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와 상기 채널로부터 상기 공기 통로로의 공기 배출을 위해 상기 환형 벤츄리 공기 통로와 원주상 분포 방식으로 통하여 상기 제2부재 중앙 면부를 통해 나오는 상기 제2부재부의 다수의 원주상 이격된 출구 개구를 가지는 폐쇄 공기 채널을 규정하며, 상기 채널과 상기 입구 및 출구 개구는 덕트 흡입 단부에서의 위치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 근처 위치까지의 샘플 공기 흐름 통로를 도관을 통한 공기 질량 흐름의 대표값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내에 위치된 상기 벤츄리 부재에 의해 상기 제1부재부는 상기 덕트 흡입 단부를 향해 위치되는 축방향으로 외향으로 향항 오목 연속 만곡 외부 면부와 함께 종료되고,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는 덕트를 통한 공기 흐름이 역전될때 주변 경계층 분리 영역과 그 하부에 저압 구역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의 형상은 덕트를 통한 공기 흐름이 역전될때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에서 상기 저압 구역에 부분적 진공을 형성하는 블러프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에서의 저압은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에서의 저압과 같으며, 상기 입구 개구는 역전된 공기 흐름으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내에 발생된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상기 입구 개구에 발생시키도록 상기 저압 구역에서 주변 경계층 분리 영역으로부터 충분히 아래에 위치되며, 따라서, 역전된 공기 흐름 동안에 상기 출구 및 입구 개구 사이에 압력차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 상기 채널을 통한 상기 샘플 공기 흐름의 잘못된 측정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부는 덕트 흡입 단부 너머로 축방향으로 외향 돌출되며,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도관 외측의 상기 외부 면부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는 상기 제1부재부 주위의 공기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균일하게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재부에 관해 분포된 다수의 원주상 이격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부는 몸체 흡입 단부에서의 도관으로부터 돌출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부재 입구 개구는 원형이며 도관의 외부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구 개구는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로 공기를 균일하게 통과시키도록 상기 제2부재부에 관해 원주상으로 이격되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
  3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재부에 의해 규정되는 공기 채널은 방해받지 않고, 상기 채널은 샘플 공기 흐름 통로가 직선이며 상기 채널내에서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흐름 수단 사이에서 직접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3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부는 상기 몸체 흡입 단부로 향해 위치된 터미널 단부에서 종료되고 터미널 단부로 향해 테이퍼진 오목 연속 만곡 외부 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는 덕트를 통한 공기 흐름이 역전될때 주변 경계층 분리 영역과 그 하부에 저압 구역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의 형상은 덕트를 통한 공기 흐름이 역전될때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에서 상기 저압 구역에 부분적 진공을 형성하는 블러프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부재 외부 면부에서의 저압은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에서의 저압과 같고, 상기 제1흐름 수단은 역전된 공기 흐름으로부터 상기 벤츄리 공기 통로내에 발생된 압력과 같은 압력을 상기 입구 개구에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부재부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저압 구역에서 상기 주변 경계층 분리 영역으로부터 충분히 아래에 위치된 적이도 하나의 입구 개구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역전된 공기 흐름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흐름 수단 사이에 압력차가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존재하지 않고 상기 채널을 통한 샘플 공기 흐름의 잘못된 측정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질량 감지기.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러싸인 공기 채널은 방해받지 않으며 상기 입구 및 출구 개구 사이에서 직접 연장되고, 따라서 샘플 공기 흐름의 상기 통로는 직선이며 상기 채널내에서 방해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드로틀 몸체.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둘러싸인 공기 채널은 방해받지 않으며 상기 입구 및 출구 개구 사이에서 직접 연장되고, 따라서 샘플 공기 흐름의 상기 통로는 직선이며 상기 채널내에서 방해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계 감지기 설치 조립체.
KR1019860008347A 1986-07-28 1986-10-06 내부 설치 풍속계를 구비한 드로틀 몸체 KR940002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7821 1986-07-28
US06/887,821 US4739651A (en) 1986-07-28 1986-07-28 Throttle body with internally mounted anemome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003A KR880002003A (ko) 1988-04-28
KR940002189B1 true KR940002189B1 (ko) 1994-03-18

Family

ID=2539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347A KR940002189B1 (ko) 1986-07-28 1986-10-06 내부 설치 풍속계를 구비한 드로틀 몸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739651A (ko)
EP (1) EP0255054A3 (ko)
JP (1) JPS6336037A (ko)
KR (1) KR940002189B1 (ko)
AU (1) AU603075B2 (ko)
BR (1) BR8703878A (ko)
CA (1) CA1277193C (ko)
DK (1) DK385687A (ko)
MX (1) MX170745B (ko)
NO (1) NO873148L (ko)
NZ (1) NZ221164A (ko)
ZA (1) ZA8753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0857A (en) * 1986-07-28 1989-10-03 Airsensors, Inc. Throttle body with internally mounted anemometer
KR950009044B1 (ko) * 1987-06-17 1995-08-1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발열저항식 공기유량측정장치
US5209113A (en) * 1990-04-26 1993-05-11 Nippondenso Co., Ltd. Air flow meter
JP2913887B2 (ja) * 1990-05-30 1999-06-28 株式会社デンソー 熱線式流量計
EP0547595B1 (en) * 1991-12-19 2001-07-25 Denso Corporation Flow meter
US5355726A (en) * 1994-01-03 1994-10-18 Ford Motor Company Housing for reducing back air flow to mass air flow sensors
WO1997049998A1 (en) 1996-06-26 1997-12-31 Simon Fraser University Accelerometer without proof mass
US6589433B2 (en) 1996-06-26 2003-07-08 Simon Fraser University Accelerometer without proof mass
US6182509B1 (en) 1996-06-26 2001-02-06 Simon Fraser University Accelerometer without proof mass
US6142123A (en) * 1998-12-14 2000-11-07 Cannondale Corporation Motorcycle
US6990856B2 (en) * 2003-06-13 2006-01-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ass of engine intake air with reversion compensation
US6868830B1 (en) * 2004-05-14 2005-03-22 James Meyer Aspen Engineering Services, Llc Venturi induc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0684214B1 (ko) * 2005-06-23 2007-02-20 허찬회 내연기관의 흡기 및 배기장치
US20110068188A1 (en) * 2009-09-01 2011-03-24 Laimboeck Franz J Fuel injector for permitting efficient combustion
US20110067671A1 (en) * 2009-09-01 2011-03-24 Laimboeck Franz J Non-soot emitting fuel combustion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7462B2 (ja) * 1978-06-02 1985-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の吸入空気量計測装置
JPS5723818A (en) * 1980-07-19 1982-02-08 Japan Electronic Control Syst Co Ltd Suction mechanism with hot-wire flow meter
JPS5728214A (en) * 1980-07-28 1982-02-15 Nippon Soken Inc Gas flow rate measuring device
JPS5774616A (en) * 1980-10-29 1982-05-10 Hitachi Ltd Intake air flowmeter
JPS58160817A (ja) * 1982-03-18 1983-09-24 Japan Electronic Control Syst Co Ltd 熱線式吸気流量計
DE3230829A1 (de) * 1982-08-19 1984-02-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messung des durchflusses eines pulsierenden mediums mit rueckstroemung
US4523461A (en) * 1983-05-02 1985-06-18 Air Sensors, Inc. Hot wire anemometer
US4463601A (en) * 1983-05-23 1984-08-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mass airflow
JPS604813A (ja) * 1983-06-23 1985-01-11 Nippon Soken Inc 気体流量測定装置
JPS6036777A (ja) * 1983-08-09 1985-02-25 Hitachi Ltd 燃料噴射装置
US4571996A (en) * 1984-08-10 1986-02-25 Allied Corporation Air flow sensor
JPS6165053A (ja) * 1984-09-07 1986-04-03 Hitachi Ltd 空気流量計
JPS61173946A (ja) * 1985-01-29 1986-08-05 Nec Home Electronics Ltd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221164A (en) 1990-02-26
EP0255054A2 (en) 1988-02-03
DK385687A (da) 1988-01-29
AU603075B2 (en) 1990-11-08
MX170745B (es) 1993-09-13
ZA875389B (en) 1988-11-30
DK385687D0 (da) 1987-07-23
NO873148L (no) 1988-01-29
NO873148D0 (no) 1987-07-27
BR8703878A (pt) 1988-03-29
US4739651A (en) 1988-04-26
EP0255054A3 (en) 1989-05-24
CA1277193C (en) 1990-12-04
JPS6336037A (ja) 1988-02-16
KR880002003A (ko) 1988-04-28
AU6601186A (en) 198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189B1 (ko) 내부 설치 풍속계를 구비한 드로틀 몸체
EP0175077B1 (en) Air flow sensor
US4418568A (en) Hot film fluid flowmeter with auxiliary flow sensing
US4449401A (en) Hot film/swirl fluid flowmeter
KR100327080B1 (ko) 유동매체의매스측정용장치
US4981035A (en) Dust defelector for silicon mass airflow sensor
JP3478592B2 (ja) 空気流量センサー構造
US4982602A (en) Air metering device
US6223594B1 (en) Thermal type air flow amount measuring apparatus having flow rectifier
US5672822A (en) Thermal flow meter with less turbulence in fluid flow
US4776213A (en) Mass airflow meter
US5209113A (en) Air flow meter
JP3240782B2 (ja) 熱線式空気流量測定装置
US6422070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mass of a flowing medium
KR900001464B1 (ko) 열선식 공기유량계
US4428231A (en) Viscous link drive for fluid flowmeter
US4870857A (en) Throttle body with internally mounted anemometer
JPS62162737A (ja) 内燃機関のためのエアフロ−メ−タを備えた装置
AU596120B2 (en) Arrangement for an air-mass me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5322624A (ja) 流量計
JP3189636B2 (ja) 発熱抵抗式流量測定装置
JP2515535B2 (ja) 空気流量計
JPH06288805A (ja) 空気流量計
JP3070641B2 (ja) 流量計
JPH07139414A (ja) 流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