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038B1 -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038B1
KR940002038B1 KR1019920000664A KR920000664A KR940002038B1 KR 940002038 B1 KR940002038 B1 KR 940002038B1 KR 1019920000664 A KR1019920000664 A KR 1019920000664A KR 920000664 A KR920000664 A KR 920000664A KR 940002038 B1 KR940002038 B1 KR 94000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road
marking
mark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995A (ko
Inventor
마사노리 스기이
사도시 아끼다
도시야 요네모리
Original Assignee
신메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와이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18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3770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5722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2326B2/ja
Application filed by 신메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와이 다까시 filed Critical 신메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70Storing, transporting, placing or retrieving portabl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Handlers utilizing parallel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Repair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
제1도 내지 제20도는 제1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1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
제4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의 동작설명도.
제5도는 표식군의 반송체의 구동계를 도시하는 형태도.
제6도는 표식군의 반송체의 구동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7도는 표식군 반송체의 평면도.
제8도는 표식 받음수단의 상세도.
제9도는 표식 받음수단의 평면도.
제11도는 표식승강수단의 배면도.
제12도는 표식승강수단의 평면도.
제13도는 유지수단승강기구의 상세도.
제14도는 표식유지수단의 주요부를 파단한 상세도.
제15도는 표식유지수단의 평면도.
제16도는 동체받침기구의 평면도.
제17도는 도로표식설치의 사이클 선도.
제18도는 도로표식설치의 동작설명도.
제19도는 도로표식회수의 사이클 선도.
제20도는 도로표식회수의 동작설명도.
제21도 내지 제41도는 제2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21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2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3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
제24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의 동작설명도.
제25도는 표식군의 반송체의 구동계를 도시하는 형태도.
제26도는 표식군의 반송체의 평면도.
제27도는 표식 받침수단의 상세도.
제28도는 표식 받침수단에 의한 표식의 분리 설명도.
제29도는 표식 받침수단의 평면도.
제30도는 표식승강수단의 측면도.
제31도는 자세교정수단의 상세도.
제32도는 표식승강수단 및 자세교정수단의 평면도.
제33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의 후부측의 개략평면도.
제34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의 개략 배면도.
제35도는 유지수단 승강기구의 상세도.
제36도는 표식유지수단의 상세도.
제37도는 표식유지클릭의 평면도.
제38도는 도로표식의 동체부유지체의 평면도.
제39도는 위치변경수단의 상세도.
제40도는 도로표식설치의 동작설명도.
제41도는 도로표식회수의 동작설명도.
제42도는 도로표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8 : 반송수단 10, 110 : 표식군 반송체
24, 124 : 상태변환수단 30, 130 : 표식받침수단
40, 140 : 이동수단 46, 146 : 표식승강수단
58, 156 : 자세교정수단 63, 158 : 표식유지수단
60, 159 : 선회수단 62, 160 : 유지수단승강기구
161 : 위치변경수단 a : 도로표식
A : 도로표식군
본 발명은 예를들면 도로공사의 현장과 차도와의 경계에 설치되는 속이빈 도로표식을 설치 또는 회수를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성의 향상과 생력화 및 작업능율의 향상을 꿰함을 목적으로 해서 상기의 도로표식을 표면에 자동적으로 설치하는 장치(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3-241208호 공보)가 제안되어 있다.
이 표식 설치장치는 주행차체의 옆부분에 도로표식반송용의 콘베이어를 상하에 요동이 자유롭게 경사지게 설치하고, 콘베이어 프레임의 자유단부에 주행차체의 주행에 연동해서 종동 회전하는 차륜을 설치하고 당해 차륜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개재해서 콘베이어의 구동축에 전동시켜서 당해 콘베이어를 주행차체의 차속에 비례시킨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주행차체의 주행에 따라서 상기 콘베이어에 얹어 놓은 도로표식을 소요간격을 두고 노면에 한개씩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콘베이어에 의해서 반송되는 도로표식에는 경사 하강하는 관성력이 작용하고 있음으로 표식 밑바닥부의 한측단이 노면에 닿았을때 앞으로 푹 꼬꾸라지기 쉽고, 표식밑바닥부의 각진 부분으로부터 노면에 처박혔을때에는 도로표식이 세운자세의 상태로 불규칙하게 굴러서 위치가 어긋나기 쉬운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의 장치는 표식을 설치하기 위한 것 뿐이였으며, 도로표식의 회수는 변함없이 사람의 손에 의지하고 있으므로 안전성 향상과 생력화가 충분하지 못하며 또한 작업능율의 향상도 충분하게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못되었다.
또 다시 표식의 설치위치를 주행차체의 좌우 어느쪽으로 위치변경시킬때에는 적재대 양측의 브래킷에 대한 표식설치장치의 부착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며, 중노동이고 위험이 따르는 외에 시간이 걸리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정을 참작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로표식을 소정의 위치에 정연하게 설치할 수가 있는 동시에 설치된 도로표식의 자동회수가 달성되는 장치의 제공을 제1의 목적으로 하고 제2의 목적은 상기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한 뒤에 또다시 도로표시의 설치, 회수위치를 주행차체의 좌우 어느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안정하게 또 간단하며 쉽게 행할수 있도록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제1목적을 달성하게 된 제1발명에 의한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는 복수개의 속이빈 도로표식을 서로를 포개서 쌓은 도로표식의 반송수단과, 도로표식군의 밑바닥부의 양측을 지지해서 반송하는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와 이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를 서로를 접근 이간시켜서 표식을 지지하는 상태와 지지한 것을 해제하는 상태로 변환하는 상태 변환상태와, 상기 표식군반송체의 반송끝에 있어서 표식분리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표식받침수단과, 이 한쌍의 표식받침수단을 상기 표식군 반송체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접근 이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도로표식의 중공 내부에 위치해서 이 도로표식을 지지하고 또한 승강시키는 표식승강수단과, 이 표식승강수단에 의해서 지지된 도로표식을 자세교정시키는 자세교정수단과, 상기 도로표식을 해제하여 자유롭게 끼워 접도록 하는 표식유지수단과, 이 표식유지수단을 차체폭의 중간에 있어서 표식의 분리위치와 차체옆의 한쪽에 있어서 표식의 설치·회수 위치에 걸쳐 회전시키는 선회수단 및 상기 표식의 설치·회수위치에 있어서 표식의 유지수단을 승강시키는 유지수단 승강기구를 주행차체의 적재대에 탑재시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발명에 의한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발명의 특징 구성에 더해서 또 상기 표식유지수단에 의한 표식의 설치·회수위치를 차체옆의 다른쪽에 변경시키는 위치변경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제1 및 제2발명의 장치에 의한 도로표식의 설치는 주행 차체의 전진주행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복수개의 도로표식을 서로가 포개진 도로표식군이 순차적으로 표식분리 위치로 반송되어 당해 표식분리위치에서의 표식군 반송체와 표식받침수단의 이간·접근 이동에 의해 도로표식군중의 최하위의 도로표식이 분리되고 당해 도로표식이 표식승강수단에 꺼내진다.
그리고, 표식승강수단으로 꺼내진 도로표식은 표식유지수단에 의해 끼워 잡혀지고 또한 표식의 설치·회수위치에 반송되어 여기서 표식유지수단이 하강됨과 동시에 상기 표식유지수단에 의한 도로표식의 끼워 잡음이 해제되고 이것으로 상기 도로표식의 노면에 대한 설치가 행해진다.
도로표식의 회수는 주행차체의 후진주행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상기 표식유지수단이 노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로표식을 끼워잡음과 함께 당해 표식유지수단이 들어올려져서 표식분리위치에 반송되고 여기서 표식유지수단에 의한 도로표식의 끼워 잡음이 해제되어 당해 도로표식이 표식승강수단에 맡겨진다.
여기서, 자세교정수단에 의해서 도로표식의 방향이 교정되서 후에 표식승강 수단이 상승되고 또 당해 도로표식의 밑바닥부측에 표식받침수단이 위치하므로써, 한개의 도로표식의 회수가 행해지는 것으로서, 상기의 표식회수가 반복되어 소정수의 도로표식이 회수될때마다 반송수단으로서의 도로표식군의 반송이 행해진다.
제2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또한 표식유지수단에 의한 도로표식의 설치·회수위치를 차체옆의 한쪽 또는 옆다른쪽의 어느쪽으로 간에 변경하므로써 주행차체의 좌우 어느곳이나 임의의 방향에 도로표식을 설치하든가 회수하든가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1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를 도시하며, 제4도는 주요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 있어서 도면중의 (1)은 상기 도로표식(a)의 복수개를 서로 포개 쌓은 도로표시군(A)의 반송수단이며, 주행차체(2)의 적재대(3) 위에 소정의 간격을 띠어서 높이 조절용의 잭식 지주(4)를 세워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도로표식군(A)을 주행차체(2)의 주행방향으로 반송하는 콘베이어(5)를 상기 지주(4)의 상단에 걸쳐 설치하고 또한 당해 콘베이어(5)의 양측에 도로표식군(A)의 넘어짐 방지부재(6)를 배치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로표식(a)은 밑이 넓게 퍼진 중공의 콘부분과 이콘의 밑부분이 바깥쪽으로 퍼진 프렌지 형상의 사각형 베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합성 수지재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7)은 적재대(3)의 뒷쪽에 배치된 제1베이스, (8)은 상기 제1베이스(7)에 수직아래로 연결 설치된 스테이(9)를 개재해서 적재대(3)의 후방 하부로 뻗쳐나와 연결설치된 제2베이스이며, (10)은 도로표식군(A)의 밑바닥 양측을 지지하여 반송하는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로서 상기 반송수단(A)에 줄지어진 상태로 상기 제1베이스(7) 위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5도,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스(7)에 한쌍의 브래킷(11)을 세워서 설치함과 함께 이 한쌍의 브래킷(11)에 걸쳐서 볼 스플라인 홈(b)이 형성된 구동축(12)을 가설하고, 또한 각각 바깥측에 구동측의 스프로켓(13)을 연결 설치한 2개의 암 스플라인 부재(14)를 상기 볼 스플라인홈(b)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1베이스(7)에 예를들면 유압모우터로 도시되는 구동수단(15)을 탑재함과 동시에 이 구동수단(15)과 상기 구동축(12)에 걸쳐서 체인식의 전동기구(16)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스플라인부재(14)의 각각에 볼베어링(17)을 재재해서 프레임부착부재(18)를 바깥으로 끼워 유지시킴과 동시에 이 프레임 부착부재(18)에 유당측(遊端惻)을 상기 적재대(3)의 뒤쪽으로 뻗쳐낸 상태로 각각 프레임(19)을 연결 설치하고 또 당해 프레임(19)의 유단측과 기초부측에 각각 내면쪽의 돌출시키는 상태로 3개의 종동축(20)을 가설함과 동시에 각 종동축(20)의 돌출단부에 종동축의 스프로켓(21)을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구동축 및 종동측의 스프로켓(13, 21)에 도로표식군(A)의 반송용의 무한체인(22)을 감아돌리는 동시에 이 체인(22)에 직선경로부분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23)를 상기 프레임(19)의 안쪽면에 부착해서 상기 도로표식군(A)의 밑바닥 양측을 지지해서 반송하는 표식군 반송체(10)를 개개로 구동축(12)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있다.
제5도에 있어서 도면중의 (24)는 상기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0)를 서로 접근이간시켜서 당해 표식군 반송체(10)를 표식지지상태와 지지해제상태로 변환시키는 상태 변환수단이며, 상기 표식군 반송체(10)를 접근이간시키는 연동기구(25)와 한쪽의 표식군 반송체(10)를 구동축(12)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26)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연동기구(25)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스(7)에 대해서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0)의 중간에 지지축(27)을 세워 설치하는 동시에 이 지지축(27)의 상단에 링크(28)를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링크(28)의 단부와 각 프레임(19)의 밑바닥판에 걸쳐서 턴버튼(29)을 피벗 부착해서 이루고, 상기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0)를 배반적으로 접근 이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기구(26)는 예를들면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실린더로드(26a)를 한편의 프레임(19)에 연결해서 구성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되돌아가서 도면중의 (30)은 상기 반송체(10)의 반송부에 있어서 표식분리위치(B)에 배치된 한쌍의 표식받침수단이며, 표식설치시에는 도로표식군(A)이 하위 2개의 표식의 밑바닥 사이에 돌입해서 상부측의 도로표식(a)을 지지하고 표식회수시에는 순차적으로 회수되어오는 도로표식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8도, 제9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제2베이스(8)에 대해서 표식분리위치(B)의 양측에 지지주(31)를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지지주(31) 상단의 베이스판(32)에 브래킷(33)을 세워서 설치하고, 또 가이드로드(34)를 브래킷(33)에 관통시키는 상태로 당해 브래킷(33)에 가이드통(35)을 설치함과 동시에 판형상의 표식받침부재(36)를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피벗 붙임한 부착부재(37)를 상기 가이드로드(34)에 설치해서 상기 표식받침부재(36)를 표식군반송체(10)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접근, 이간이동이 자유롭게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표식받침부재(36)를 밑쪽으로 요동가압시키는 가압수단(예를들면 코일스프링)(38)을 피벗부착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당해 가압수단(38)의 가압력에 반항해서 상기 표식받침부재(36)를 수평자세로 유지하는 스톱퍼(39)를 상기 부착부재(37)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부착부재(37)에 예를들면 유압실린더로 도시되는 이동수단(40)을 연결설치하고 상기 수평자세로 있는 표식받침부재(36)를 상기 표식분리위치(B)에 반송된 도로표식군(A)의 하위 2개의 도로표식(a)의 저부사이로 돌입시키는 상태와, 그 부분으로부터 퇴출시키는 상태로 변환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다.
제8도, 제9도에 있어서, 도면중의 (41)은 도로표식군(A)의 쓰러짐 방지부재이며, 브래킷(42)을 개재해서 상기 베이스판(32)에 부착되며, 이중의 서로 대응하는 판부(43)에는 상기 표식받침부재(36)의 출퇴용 개방구멍(44)이 형성되며 또 표식분리위치(B)에서의 도로표식군(A)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광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제1도, 제2도로 되돌아가서 도면중의 (46)은 표식분리위치(B)에 있어서 도로표식(a)를 승강시키는 표식승강수단이며,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스(8)에 대해서 그 적재대(3)측에서 또한 표식반송 중심의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브래킷(47)을 설치함과 동시에 당해 브래킷(47)의 상하부에 각 2개의 축(48)을 가설하고, 또한 각축(48)의 양측에 스프로켓(49)을 부착함과 동시에 상하 4개의 스프로켓(49)에 각각 무한체인(50)을 감아돌아져 있다.
그리고 도로표식(a)의 중공 내부에 위치해서, 당해 도로표식(a)을 지지하는 표식지지부재(51)에 2개의 아암(52)을 연결설치함과 동시에 이 아암(52)을 상기 체인(50)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제2베이스(8)에 구동회전수단(예를들면 유압모우터)(53)을 탑재하고, 이 구동회전수단(53)과 하부쪽의 2개의 축(48)에 걸쳐서 체인식의 전동기구(5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0도 내지 제12도에 있어서, 도면중의 (c∼h)는 근접 스위치로서 이것에 대한 조작부재(55)를 상기 체인(50)에 설치해서 상기 표식지지부재(51)를 상하방향의 5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12도에 있어서 도면중의 (56)은 후술하는 표식의 저분 지지부재(57)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개방구멍으로서 상기 표식지지부재(51)에 형성되어 있다.
제1도로 되돌아가서 도면중의 (58)은 표식지지부재(51)에 지지된 도로표식(a)의 세로의 축선 주변에 있어서의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수단, (59)는 상기 제2베이스(8)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자유인 대차로 후술하는 것과 같이 도로표식의 설치·회수위치를 차체의 옆 한쪽(L1)으로부터 옆 다른쪽(R1)으로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 변경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 대차(59)에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수단(예를들면 유압모우터)(60)에 의해서 세로축선 주변에서 구동선회되는 포스트(61)가 설치되며, 또한 제14도∼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61)에는 유지수단 승강기구(62)를 개재해서 표식 유지수단(6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수단 승강기구(62)는 평행 4련의 링크구조로된 것으로서 상하 한쌍의 링크(64)를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상기 포스트(61)에 피벗 부착함과 동시에 당해 상하의 링크(64)에 걸쳐서 세로링크(65)를 피벗부착하고, 또한 이 세로링크(65)와 상기 포스트(61)에 걸쳐서 예를들면 유압실린더로 도시되는 승강수단(66)을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도면중(67)은 하부측링크(64)에 형성한 삼각오목부(j)를 받아넣는 위치 규정용의 스톱퍼로서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의 하강위치를 규정하고 또한 진동방지를 꿰하는 것이다.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은 상기의 유지수단 승강기구(62)에 있어서 상하의 링크(64)의 유단측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의 링크(64)의 유단측에 세로부재(68)를 피보팅 연결함과 동시에 이 세로부재(68)의 상부측에 세로축(69) 주변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2개의 클릭부재(70)를 교차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릭부재(70)의 유단측에 각각 탄성부재(71)를 설치해서 2조의 표식유지클릭(72)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단에 롤러종동자(m)를 구비한 축체(73)를 각 클릭부재(70)의 회동기초부측에 수직으로 연결설치하는 한편, 유압실린더로 도시되는 신축수단(74)을 상기 세로부재(68)에 연결설치한 브래킷(75)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롤러종동자(m)를 걸어넣는 장공(n)이 형성된 부재(76)를 상기 신축수단(74)에 연결설치해서 이 신축수단(74)에 의해서 상기 표식유지클릭(72)을 표식을 끼워 잡은 상태와 끼워잡음을 해제하는 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4도에 있어서 도면중의 (57)이 도로표식(a)의 밑바닥부의 한쪽을 지지하는 표식 밑바닥 지지부재이며 상기 주행차체(2)의 주행방향으로 위치변경 고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15도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77)은 상기 세로부재(68)의 하부측에 연결설치한 2매의 브래킷이며, 이 양 브래킷(77)의 유단측에 걸쳐서 각각 블럭(78)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각 블럿(78)에 대해서 주행차체(2)의 주행방향 전후 양쪽에 표식하부측의 동체 지지기구(79)를 2조(1조만 표시하고 있음)를 설치하고 있다.
이 동체지지기구(79)는 상기 블럭(78)에 대해서 주행차제(2)의 주행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2개의 로드(80)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양로드(80)의 끝부에 걸쳐서 판 형성부재(81, 82)를 부착하고 또한 바깥쪽의 판형상부재(81)에 표식하부의 허리부분을 받치는 만곡된 받침부재(83)을 설치함과 동시에 당해 받침부재(83)를 뻗쳐내어 가압시키는 가압수단(8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의 받침부재(83)는 노면에 설치한 도로표식(a)에 맏닿았을때 상기 가압수단(84)에반항해서 조금 이동한다.
이 받침부재(83)의 이동을 기본으로 해서 도로표식(a)의 존재를 검출하는 표식검지센서(8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4도에 있어서 도면중의 (86)은 상기 받침부재(83)를 가압수단(84)에 반항해서 크게 이동시킨 상태로 당해 받침부재(83)를 연결 설치한 판형상 부재(81)에 대해서 걸거나 벗김이 자유로운 로크부재이며, 상기 도로표식(a)의 설치시에 불필요한 받침부재(83)를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자세교정수단(58)은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수한 도로표식(a)이 자세가 기울어져 있을때에, 당해 도로표시(a)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으로서 도로표식(a)의 밑바닥 가장자리에 맏닿아서 자세를 교정하는 부재(87)를 L자 형상부재(88)에 부착하는 한편, 당해 L자형상부재(88)를 실린더로 도시되는 구동수단(89)의 실린더로드(90)에 연결하고 또 가이드통(91)에 안내되는 가이드로드(92)를 상기 L자형상부재(88)에 연결설치해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표식설치 및 회수장치에 의한 도로표식(a)의 설치·회수동작을 제17도, 제19도에 도시하는 사이클 선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로표식(a)의 설치에 대해서 이 도로표식(a)의 설치는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차체(2)의 전진주행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또 상기 받침부재(83)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로크되며, 또한 상기 표식 밑바닥부 지지부재(57)는 밑바닥 받이위치에 돌출시켜서 고정된다.
상기 반송수단(1) 및 표식군 반송체(10)가 정(正)운전 구동되어서(스텝 S1, S2), 상기 반송수단(1)상의 선두의 도로표식군(A)이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0)측으로 옮겨 실여지면, 센서(제2도 참조)(93)의 작용에 의해 상기 반송수단(1)이 구동정지되고, 또 당해 도로표식군(A)이 표식분리위치(B)에 도달한 시점에서 센서(제9도 참조)(45)의 작용에 의해 표식군 반송체(10)의 구동이 정지된다.
여기서 제8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표식 받침수단(30)이 표식받침부재(36)가 도로표식군(A)의 하위 2개의 표식밑바닥 사이로 돌입하는 상태로 변환된다(스텝 S3). 동시에 상기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0)가 서로가 이간 이동되어서 표식지지해제의 상태로 변환되고(스텝 S4), 최하위의 도로표식(a)이 분리되어서 낙하한다.
이 낙하한 도로표식(a)은 제10,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접 스위치(e)에 의해서 표식회수시의 상단위치(E1)에 제어되어 있는 표식승강수단(46)의 표식지지부재(51)에 의해서 받아지고 또한 근접스위치(d)가 작용할때까지 표식승강수단(46)이 하강 구동되어서 상기 표식지지부재(51)가 중단의 위치(D1)에서 정지된다(스텝 S5).
다음에 상기 포스트(61)가 정운전 구동되어서 설치·회수위치(L1)에 있는 표식유지수단(63)이 표식분리위치(B)로 변환된다(스텝 S6). 동시에 당해 표식유지수단(63)의 표식유지클릭(72)에 의해서 상기 도로표식(a)이 끼워잡고 유지되어(스텝 S7), 또한 근접스위치(C)가 작용할때까지 표식 승강수단(46)이 하강 구동되어서 상기 표식지지부재(51)가 도로표식(a)의 중공 내부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하단 위치(C1)에서 정지된다(스텝 S8).
계속해서 상기 포스트(61)가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서 표식유지수단(63)이 설치·회수위치(L1)에 변환되고 (스텝 S9), 또한 그 회전 도중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 승강기구(62)가 하강구동된다(스텝 S10).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의 표식유지클릭(72)이 표식끼워잡은 것을 해제상태로 변환되고(스텝 S11), 그후 상기 유지수단 승강기구(62)가 상승구동되어서(스텝 S12), 한개의 도로표식(a)의 설치를 완료한다.
그렇게해서 상기 도로표식(a)은 상기 표식밑바닥부지지부재(57)에 의한 한쪽만 지지한 상태로 우선 주행차체(2)의 주행방향의 뒤쪽이 접지하고, 또 대량 동시에 상기 표식의 밑바닥부 지지부재(57)가 표식의 밑바닥에서 뽑혀 나옴으로써 노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로표식(a)은 주행방향의 관성력을 갖고 있음으로 한쪽만 지지한 상태로 주행차체(2)의 주행방향의 뒷쪽이 먼저 접지되어 쓰러지는 일이 없고, 또 상기 관성역이 도로표시(a)에 대해서 표식의 밑바닥부 지지부재(57)의 뽑아내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도로표식(a)은 쓰러지는 일없이 소정위치에 설치된다.
상기의 스텝(S6∼S10) 사이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0)가 접근 이동해서 표식을 받는 자세로 변환된다(스텝 S6′)와 동시에 표식받침수단(30)의 표식받침부재(36)가 일단 퇴출상태로 변환되고(스텝 S7′), 또한 즉시 돌입상태로 변환된다(스텝 S8′)와 동시에 상기 표식승강수단(46)이 상승구동 되어서 표식지지부재(51)가 상단위치(E1)에 변환되고(스텝 S10′), 다음의 표식 설치에 대비한다.
다음은 상기 스텝 S4∼S12가 되풀이 해서 행해져 최종의 도로표식(a)의 설치도중에 있어서 스텝(S6, S7) 사이에 반송수단(1)과 표식군 반송체(10)가 구동되어서 다음의 도로 표식군(A)이 표식분리위치(B)에 반송된다.
다음에 상기 도로표식(a)의 회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도로표식(a)의 회수는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차체(2)의 후진주행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또 상기 지지부재(83)는 작용상태로 변환되어, 상기 표식의 밑바닥부 지지부재(57)는 퇴피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표식받침수단(30)의 한쌍의 표식받침부재(36)는 표식받침의 돌입상태로 변환되고 또한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0)는 표식지지 해제상태로 변환된다.
우선포스트(61)가 역전구동되어서 표식분리위치(B)에 있는 표식유지수단(63)이 설치·회수위치(L1)로 변환되고(스텝 S1), 노면에 위치하는 도로표식(a)에 지지부재(83)가 맞닿아서 센서(85)가 작용하면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의 표식유지클릭(72)이 끼워 잡은 상태로 변환되어서(스텝 S2), 당해 표식유지클럭(72)에 의한 도로표식(a)의 끼워잡음이 유지된다. 계속해서 유지수단 승강기구(62)가 상승구동된다(스텝 S3), 과 함께 상기 포스트(61)가 정운전 구동되어서 표식유지수단(63)이 표식분리위치(B)에 변환되고(스텝 S4), 또한 상기 표식승강수단(46)의 표식지지부재(51)가 하단위치(C1)로부터 회수중간단(D1)에 들어올려진다(스텝 S5)와 동시에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의 표식유지클릭(72)이 끼워 잡음 해제상태로 변환되고(스텝 S6), 회수된 도로표식(a)이 표식지지부재(51)에 맡겨진다.
여기서 상기 자세교정수단(58)이 왕동(往動) 구동되어서 도로표식(a)의 자세 흐트러짐이 교정된다(스텝 S7)와 동시에 스텝(S8)에서 상기 표식승강수단(46)의 표식지지부재(51)가 회수상단위치(표식군 반송체(10)의 반송작용면 보다도 윗쪽의 위치), (H2)에 들여올려지며, 상기 표식지지부재(51)에 맡겨진 도로표식(a)이 표식받침부재(36)를 일단 밀어올리고 통과한다. 이것과 동시에 상기 자세교정수단(58)이 복동(復動) 구동된다(스텝 S8″).
그리고 상기의 표식통과후에 소저의 타이밍으로 표식승강수단(46)의 표식지지부재(51)가 하단위치(C1)로 변환되고(스텝 S9), 또한 이 상태에서는 상기 표식받침수단(30)의 표식받침부재(36)가 수평자세로 변환되어 있음으로 상기 도로표식(a)은 이 표식받침부재(36)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의 스텝 S7과 동시에 포스트(61)가 역전구동되어서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이 설치·회수위치(L1)로 변환되고(스텝 S7'), 또한 상기 유지수단 승강기구(62)가 하강되어서(스텝 S8'),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이 다음의 도로표식(a)의 회수에 대비한다.
그후는 상기 스텝 S7', S8', S8"을 포함, 스텝 S2∼S9이 되풀이 해서 행해지고 회수 대상인 최종의 도로표식(a)의 회수가 행해지면 상기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0)가 표식을 받는 자세가 되도록 접근이동된다(스텝 10). 동시에 상기 표식받침수단(30)의 표식받침부재(36)가 표식지지해제상태가 되도록 이간 이동하고(스텝 S11), 회수된 복수개의 도로표식(a)의 도로표식군(a)이 표식군 반송체(10)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로표식군(A)을 지지한 표식군 반송체(10)와 반송수단(1)이 역회전 구동되어서 회수된 도로표식군(A) 이 반송수단(1)에 꺼내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로표식(a)의 설치에 있어서 상기 표식의 밑바닥부 지지부재(57)에 의해 도로표식(a)을 한쪽만 지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당해 표식 밑바닥부 지지부재(57)를 생략해서 도로표식(a)을 직립자세의 상태로 노면에 낙하시키는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주행차체(2)의 한쪽(제3도에 있어서 좌측)에 대한 도로표식(a)의 설치 및 회수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을 주행차체(2)의 뒷쪽을 향하도록 상기 포스트(61)을 회전구동시킨 상태로 상기 대차(59)를 제2베이스(8)의 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또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의 다른쪽의 표식유지클릭(72)을 이용하므로써 상기 주행차체(2)의 다른쪽에 대한 도로표식(a)의 설치 및 회수가 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표식유지수단(63)을 회전 및 승강이 자유롭게 구비된 대차(59)가 표식유지수단(63)에 의한 도로표식(a)의 설치·회수위치를 기체의 옆 한쪽(L1)과 옆 다른쪽(R1)으로 변경시키는 위치변경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제2발명의 실시예]
이하 제2발명의 실시예를 제21도 내지 제41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21도 내지 제23도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를 도시하고 이것들의 도면에 있어서 도면중의 (101)은 주행차체(102)의 적재대(102a)에 탑재된 베이스이며, 적재대(102a)의 뒷부분에뻗어나온 상태로 좌우한쌍의 세로 프레임(103)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01)의 운전석측이 가로의 축을 개재해서 지주(104)에 피벗부착되어 있다.
(105)는 베이스(101)의 후부쪽을 들어올리는 잭, (106)은 잭(105)에 의해 들러올린 베이스(101)를 주행시에 지지하는 받침수단으로서, 베이스 받이구(107)를 받는 상태와 받는 상태를 해제하는 상태로 변환이 자유롭게 구비하고 있다.
(108)은 도로표식(a)의 복수개를 포개쌓은 도로표식군(A)의 반송수단이며, 제2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로표식군(A)의 양측과 중앙의 3개소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3개의 반송체인(108a)으로 이루어지고 이 반송수단(108)의 양측에는 표식군(A)의 쓰러짐 방지부재(109)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도로표식(a)은 밑이 넓게 퍼진 중공 콘부분과 이 콘부분의 밑부분이 바깥쪽으로 퍼진 프렌지 형상의 사각형 베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110)은 표식군(A)의 밑바닥 양측을 지지해서 반송하는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이며, 제24도∼제2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한쌍의 세로 프레임(103)에 걸쳐진 수평 프레임(131)에 한쌍의 브래킷(111)를 세워서 설치함과 동시에 이 한쌍의 브래킷(111)에 걸쳐서 볼 스플라인 홈(t)이 형성된 구동축(112)을 가설하고 또한 각각의 외측부에 구동측의 스플로켓(113)을 연결 설치한 2개의 암스플라인부재(114)를 상기 볼스플라인홈(t)에 끼워 맞쳐져 있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31)에 예를들면 유압모우터로 도시되는 구동수단(115)을 탑재함과 동시에 이 구동수단(115)과 상기 구동축(112)에 걸쳐서 체인식의 전동기구(116)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스플라인부재(114)의 각각에 볼베어링(117)을 개재해서 프레임 부착부재(118)를 바깥에서 끼워 잡음과 동시에 이 프레임 부착부재(118)에 유단측(遊端惻)을 상기 적재대(103)의 뒷쪽으로 뻗쳐내는 상태로 각각의 프레임(119)을 연결설치하고 또 당해 프레음(119)의 유단측과 기초부측에 각각 내면쪽으로 돌출시키는 상태로 3개의 종동축(慫動軸)(102)을 가설함과 동시에 각 종동축(120)의 돌출단부에 종동측의 스플로켓(121)을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구동측 및 종동측의 스플로켓(113, 121)에 도로표식군(A) 반송용의 무한 체인(122)을 감아돌림과 동시에 이 체인(122)의 직선경로부분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123)를 상기 프레임(119)의 안쪽면에 부착해서 상기 도로표식군(A) 밑바닥부 양측을 지지하여 반송하는 표식군 반송체(110)를 개개로 구동축(113)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124)는 상기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10)를 서로 접근이간시켜서 당해 반송체(110)를 표식을 지지하는 상태와 지지를 해제한 상태로 변환하는 상태변환수단이며 상기 표식군 반송체(110)를 접근이간시키는 연동기구(125)와 한편의 표식군 반송체(110)를 구동축(113)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1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기구(125)는 상기 수평프레임(131)의 브래킷(111), (111) 사이에 지축(127)을 세워서 설치함과 동시에 이 지축(127)의 상단에 링크(128)를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링크(128)의 끝부와 각 프레임(119)의 바닥판에 걸쳐서 턴버클(129)을 피벗부착해서 상기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10)를 배반적으로 접근·이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기구(126)는 예를들면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실린더로드(126a)를 한쪽의 프레임(119)에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제22도, 제24도에 되돌아가서 도면중의 (130)은 상기 반송체(110)의 반송끝에 있어서 표식분리위치(B)에 배치된 한쌍의 표식받침수단이며, 표식설치시에는 도로표식군(A)의 하위 2개의 표식의 바닥부 사이에 돌입해서 상부측의 도로표식(a)을 지지하고, 표식회수시에는 순차적으로 회수되어오는 도로표식(a)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7도∼제2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표식분리위치(B)의 양측의 수평 브래킷(132)에 수평방향의 가이드통(135)을 연결 설치한 한쌍의 브래킷(133)을 세워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통(135)에 유지된 가이드로드(134)의 선단에 걸쳐서 지지부재(137)를 부착, 이 지지부재(137)에 판형상의 표식받침부재(136)를 상하로 요동이 자유롭게 피벗 부착함과 동시에 당해 표식받침부재(136)를 밑쪽으로 요동 가압시키는 가압수단(예를들면 코일 스프링)(138)과 당해 가압수단(138)의 가압력에 반항해서 상기 표식받침부재(136)를 수평자세로 유지하는 스톱퍼(139)를 상기 지지부재(137)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식받침부재(136)의 피벗부착위치는 가이드 로드(134)의 축심에 대해서 약간 윗쪽으로 편의되어 있고 표식받침부재(136)의 선단에 부하가 걸렸을때 당해 표식받침부재(136)를 위쪽으로 요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시, 상기 지지부재(137)에 예를들면 2단 신축 타입의 유압 실린더로 도시되는 이동수단(140)을 연결설치해서 상기 수평자세로 있는 표식받침부재(136)를 상기 표식분리위치(B)에 반송된 도로표식군(A)의 하위 2개의 도로표식(a)의 바닥사이에 돌입시키는 상태(제27도 참조)와, 재차의 신장에 의해서 표식받침부재(136)의 선단을 맞닿게하고 또한 당해 표식받침부재(136)를 윗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하 2개의 도로표식(a)을 분리시켜서 밑쪽의 도로표식(a)을 낙하시키는 상태(제28도 참조)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27도, 제29도에 있어서 도면중의 (141)은 도로표식군(A)의 쓰러짐 방지부재이며 브래킷(142)을 개재해서 상기 수평 프레임(131)에 부착되고 이중의 서로 대응하는 판부(143)에는 상기 표식받침부재(136)의 출퇴용의 개방구멍(144)이 형성되어 있다.
제21도, 제22도, 제24도로 되돌아가서 도면중의 (146)은 표식분리위치(B)에 있어서 도로표식(a)을 승강시키는 표식승강수단이며 제30도 내지 제3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플로켓(149)을 구비한 축(148)을 세로 긴 브래킷(147)의 상하부에 가설함과 동시에 이 상하의 스플로켓(149)에 무한체인(150)을 감아돌리고, 상부쪽의 축(148)에 구동회전수단(예를들면 유압모우터)(153)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방향의 가이드레일(145)를 따라서 승강이 자유로운 아암(152)에 도로표식(a)의 지지부재(151)을 연결설치함과 동시에 또다시 상기 아암(152)에 수평슬라이드부재(154)를 유지시키고 또 상기 무한체인(150)에 연결설치된 핀(i)을 상기 수평슬라이드부재(154)에 연결하고 있다.
즉 상기 스플로켓(149)에 대한 체인(150)의 감아올린 부분에서는 수평 슬라이드부재(15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당해 수평 슬라이드부재(154)가 상기 체인(150)과 일체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표식지지부재(151)가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21도 내지 제24도에 있어서 도면중의 (156)은 표식지지부재(151)에 지지된 도로표식(a)의 종축선 주변에서의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수단이다.
(157)은 도로표식(a)의 설치·회수수단이며, 도로표식(a)을 해제가 자유롭게 끼워 잡은 표식유지수단(158)과 이 표식유지수단(158)을 차체폭 중간에 있어서 표식(a)의 분리위치(B)와 차체의 옆한쪽에 있어서 표식(a)의 설치·회수위치(L2)에 걸쳐서 회전시키는 선회수단(159)과, 상기 표식(a)의 설치·회수(L2)에 있어서 표식유지수단(158)을 승강시키는 유지수단승강기구(160) 및 상기 표식유지수단(158)에 의한 표시(a)의 설치·회수위치(L2)를 주행차체(102)의 옆의 다른쪽(R2)으로 변경시키는 위치변경수단(161)으로 이루어진다.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우의 세로프레임(103)에 걸쳐서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상하 한쌍의 통형상의 프레임(162-165)을 설치하고 또한 제30도 내지 제3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중의 하부측의 하위프레임(165)에 자세교정수단(156)을 설치하고 있다.
즉 상기 하위프레임(165)에 수평베이스(166)와 가이드레일(167)을 연결설치하고, 상기 수평베이스(166)에 실린더(168)에 의해서 구동되는 랙(169)과 이것에 맞물리는 피니온(170)을 설치하고, 또 당해 피니온(170)에 아암(171)을 연결 설치시키는 한편, 상기 레일(167)을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게 슬라이드부재(172)를 부착하고 이 슬라이드부재(172)와 아암(171)의 선단을 턴버클(173)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회수한 도로표식(a)의 밑바닥측가장자리에 맞닿아서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부재(174)를 횡축 주변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상기 슬라이드부재(172)에 피벗형 부착함과 동시에 당해 자세교정부재(174)를 소기의 자세 교정 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175)과 스톱퍼(176)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세교정부재(174)의 대기위치(자세교정부재(174)를 제31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으로의 변환에 따라 당해 자세교정부재(174)가 맞닿는 제2스톱퍼(177)를 하부측의 상위프레임(164)에 설치해서 대기위치에 있어서 자세교정부재(174)의 유단측을 밑쪽으로 요동시키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선회수단(159)에 의한 표식유지수단(158)의 회동에 있어서 당해 표식유지수단(158)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는 도로표식(a)의 하부측이 원심력으로 휘둘러졌을때 당해 도로표식(a)의 하부측이 자세교정부재(174)에 맞닿는 사태를 미연에 회피시킬 것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표식(a)의 설치·회수위치(L2)를 주행차체(102)의 옆다른쪽(R2)으로 변경시키는 수단(161)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23도, 제24도 및 제33도, 제3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부측과 하부측의 상하 한쌍의 각 프레임(162), (163), (164), (165)에 걸쳐서 주행차체(102)의 폭중심위치에 각각 회동이 자유롭게 종축(178), (179)을 피벗부착하고 이 상하의 종축(178, 179)에 후술하는 유지수단 승강기구(160)의 지주(180)를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한 통형상의 아암(181, 182)을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종축(178)에 피니온(183)을 고착함과 동시에 이 피니온(183)에 맞물리는 랙(184)을 상부측의 상위프레임(162)내에 설치하고 또한 당해 랙(184)에 실린더(185)를 연결하고 다시 상부아암(181)의 스톱퍼의 凹부(j)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춤이 가능한 2조의 스톱퍼수단(186)을 설치해서 이루어졌다.
상기 유지수단 승강기구(160)는 평행 4면의 링크구조의 것으로서 제23도, 제24도 및 제3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하 한쌍의 링크(187)을 상하로 요동이 자유롭게 상기 지주(180)에 피벗부착함과 동시에 당해 상하의 링크(187)에 걸쳐서 세로 링크(188)를 피벗부착하고 또한 이 세로의 링크(188)와 상기 지주(180)에 걸쳐서 실린더(189)를 연결되어 있다. 또 도면중의 (190)은 하부측링크(187)에 형성한 3각 凹부(m)를 받아넣는 위치 규정용의 스톱퍼이며 사익 표식유지수단(158)의 하강위치를 규정하고 또한 흔들림방지를 꿰하는 것이다. 표식유지수단(158)은 상기의 유지수단 승강기구(16)에 있어서 상하의 링크(187)의 유단측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23도, 제24도 및 제35도, 제3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상부 링크(187)의 유단측에 종축선 주변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프레임부재(191)를 매어달어서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이 프레임부재(191)의 하부측에 지축(192)을 수직으로 연결설치하고, 또한 이 지축(192)에 베어링(193)을 부착함과 동시에 당해 베어링(193)에 하부링크(187)의 유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또 상기 베어링(193)의 상부재(194)에 180도의 위상을 갖게하여 맞물림구멍(n)을 형성함과 동시에 당해 맞물림구멍(n)에 선택적으로 계탈(係脫)이 자유로운 스톱퍼부재(195)를 상기 프레임부재(191)에 설치해서 상기 지축(192)을 포함해서 프레임부재(191)를 180도 선회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제37도에도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프레임 부재(191)의 상부측에 탄성부재(200)를 구비한 2개의 표식유지클릭(197)을 종축(196) 주변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피벗부착함과 동시에 당해 표식유지클릭(199)의 기초부측에 실린더(198)가 연결설치된 링크(199)를 연결해서, 상기 표식유지클릭(197)을 표식끼워잡은 상태와 끼워잡음 해제상태로 변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3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프레이부재(191)의 하부측에 도로표식(a)의 몸통부유지체(20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유지부재(202)를 부착함과 동시에 이 유지부재(202)에 슬라이브부재(203)를 설치하고 또한 당해 슬라이드부재(203)의 이동을 기초로해서 도로표식(a)의 존재를 검지하는 센서(204)를 설치하고 있다.
또 제3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유지부재(202)의 하부측에는 도로표식(a)을 설치할때에만 당해 도로표식(a)의 밑바닥 한쪽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5)를 전후방향으로 위치변경하여 고정하는 것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표식유지수단(158)에 대한 선회수단(159)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33도, 제34도 및 제3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지주(180)의 상단에 피니온(206)을 고착함과 동시에 이 피니온(206)에 맞물리는 랙(207)을 가이드 레일(208)을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또 이 랙(207)에는 실린더(209)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208)과 실린더(209)는 상기 종축(178) 근방의 축(210) 주변에서 요동이 자유로운 유니트 베이스(211)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베이스(211)의 유단측에는 실린더(212)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피니온(206)에 대한 랙(207)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또 제34도, 제35도에 있어서, 도면중의 (213)은 스톱퍼 수단이며 상부 아암(181에 연결설치된 부재(214)에 180도의 위상을 갖고 형성된 凹부(r)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상부아암(181)에 대한 유지수단승강기구(160)의 지주(180) 주변에서의 회동을 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로표식(a)을 주행차체(102)의 옆한편(좌측)에 설치한 경우의 도로표식(a)의 설치 양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도로표식(a)의 설치는 제4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행차체(102)의 전진주행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으로서, 우선 반송수단(108) 및 표식군 반송체(110)를 정운전 구동시켜서 반송수단(108)상의 선두의 도로표식(A)을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10)측에 옮겨실고 이 시점에서 반송수단(108)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표식군 반송체(110)에 옮겨실은 도로표식군(A)이 표식분리위치(B)에 도달한 시점에서 표식군 반송체(1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28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표식받침수단(130)의 표식받침부재(136)를 도로표식군(A)의 하위 2개의 표식밑바닥사이에 돌입시켜서 상하 2개의 도로표식(a)을 분리시키고 밑쪽의 도로표식(a)을 낙하시킨다.
이 낙하한 도로표식(a)을 제3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단위치(E2)에서 대기하고 있는 표식승강수단(146)의 표식지지부재(151)로 받아 세우고 또 당해 지지부재(151)를 하강구동시켜서 중간단위치(D2)에서 정지시킨다. 다음은 제24도, 제3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주(180)를 정운전 구동시켜서 표식(a)의 설치·회수의 위치(L2)에 있는 표식유지수단(158)을 표식분리위치(B)에 변환시켜서 당해 표식유지수단(158)의 표식유지클릭(197)에 의해서 도로표식(a)을 끼워잡아 유지시킨다. 그리고 표식승강수단(146)을 하강구동시켜서 표식지지부재(151)를 도포표식(a)의 중공내부로 부터 빠져나오게하고 당해 표식지지부재(151)를 하단위치(C2)에서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지주(180)를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서 표식유지수단(158)을 표식(a)의 설치·회수위치(L2)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그 회동도중에 유지수단 승강기구(160)를 하강구동시키고 또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표식유지클릭(197)을 끼워잡음을 해제하는 상태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지수단의 승강기구(180)를 상승구동시켜서 다음의 표식설치에 대비 하도록한 것이며, 이상으로 한개의 도로표식(a)의 설치동작을 완료한다.
그렇게해서 상기 도로표식(a)은 제4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표식밑바닥 지지부재(205)에 의한 한쪽을 지지한 상태로 우선 주행차체(102)의 주행방향의 뒷쪽이 접지하고 또 대략동시에 지지부재(205)가 표식밑바닥으로부터 뽑혀짐으로서 노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포표식(a)은 주행방향의 관성력을 가지고 있음으로 한쪽을 지지한 상태로 주행차체(102)의 주행방향의 뒷쪽이 먼저 접지해도 넘어지는 일없이 또 상기 관성력이 도로표식(a)에 대해서 표식의 밑바닥 지지부재(205)의 뽑아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써, 상기 도로표식(a)은 넘어지는 일없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의 표식설치동작사이에 상기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10)가 접근 이동해서 표식을 받는자세로 변환되고 또 표식받침수단(130)의 표식받침부재(136)은 일단 표식의 밑바닥으로부터 물러나서 즉시 돌입상태로 변환되고 또다시 상기 표식승강수단(146)이 상승구동되어서 표식지지부재(151)가 상단위치(E2)로 변환된다.
다음은 상기의 동작을 되풀이 해서 행함과 동시에 도로표식군(A)의 최후의 도로표식(a)의 설치도중에 있어서 반송수단(108)과 표식군 반송체(110)를 구동시켜서 다음의 도로표식군(A)을 표식분리위치(B)에 반송시키는 것으로서 이 동작의 되풀이에 의해서 도로표식(a)을 안전 그리고 능률적으로 자동설치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도로표식(a)의 회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도로표식(a)의 회수는 제4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주행차체(102)의 후진주행에 의해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지주(180)를 역운전 구동시켜서 표식분리위치(B)에 있는 표식유지수단(158)을 설치·회수위치(L2)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노면상의 도로표식(a)은 슬라이드부재(203)가 맞닿아서 센서(204)가 작동하면 상기 표식유지수단(158)의 표식유지클릭(197)이 기워잡은 상태로 변환되어 도로표식(a)이 끼워 잡어 유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유지수단승강기구(160)를 상승 구동시킴과 동시에 지주(180)를 정운전구동시켜서 상기 표식유지수단(158)을 표식분리위치(B)에 변환시키고 또한 상기 표식승강수단(146)의 표식지지부재(151)를 하단위치(C2)로부터 회수해서 중간단위치(D2)에 들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표식유지수단(158)의 표식유지클릭(197)을 끼워잡음을 해제하는 상태로 변환시켜서 회수된 도로표식(a)을 표식지지부재(151)에 맡겨들게 한다.
여기서 상기 자세교정수단(158)을 왕동 구동시켜서 도로표식(a)의 자세 흐트러짐을 교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식승강수단(146)의 표식받침부재(136)를 회수 상단위치(표식군 반송체(110)의 반송작용면 보다도 윗쪽의 위치), (H2)로 상승시켜서, 제2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표식받침부재(136)를 일단 밀어올려서 도로표식(a)을 통과시키고, 또 상기 자세교정수단(156)을 원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표식 통과한 후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표식승강수단(146)의 표식지지부재(151)를 하단위치(C2)로 변환시키는 것이고, 또 이 상태로는 상기 표식받침수단(130)의 표식받침부재(136)가 수평자세로 변환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로표식(a)은 이 표식받침부재(136)에 지지되는 것이 된다.
한편 상기 자세교정수단(156)의 복귀와 동시에 지주(180)를 역전 구동시켜서 상기 표식유지수단(158)을 표식(a)의 설치·회수위치(L2)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지수단승강기구(160)를 하강시켜서 상기 표식유지수단(158)을 다음의 도로표식(a)의 회수에 대비시키는 것이다. 차후는 상기의 동작을 되풀이 행해서 한조를 회수의 대상으로 하는 최종의 도로표식(a)을 회수한 시점에서 상기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110)를 표식받침자세에 접근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표식받침수단(130)의 표식받침부재(136)를 표식지지 해제를 상태로 변환시켜서 회수된 복수개의 도로표식(a)의 도로표식군(A)을 표식군 반송체(110)로 지지하고 또한 당해 표식군 반송체(110)을 역회전 구동시켜서 회수한 도로표식군(A)을 반송수단(108)으로 빼내는 것이며, 이 동작의 되풀이에 의해서 도로표식(a)을 안전하게 또한 능률적으로 자동회수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로표식(a)의 설치·회수위치(L2)을 주행차체(102)의 옆 다른쪽(우측), (R2)으로 변경할 경우의 한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34도에 도시하는 스톱퍼수단(213)을 상부아암(181)에 연결설치한 부재(214)에 형성한 凹부(r)에 걸어맞추어서 상기 상부아암(181)에 대한 유지수단 승강기구(160)의 회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제3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212)를 신장시켜서 피니온(206)에 대한 랙(207)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또 선회수단(159)의 실린더(209)를 신장시켜서, 다음에 상기 실린더(212)를 수축시켜서 상기 랙(207)을 피니온(206)에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으로 선회수단(159)에 의한 유지수단승강기구(160)의 회동위상이 180도 변경되는 것이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수단(213)에 의한 유지수단승강기구(160)의 고정, 및 상위프레임(162)에 대한 상부아암(181)의 스톱퍼수단(186)에 의한 고정을 각각 해제하고, 또 실린더(185)를 신장시켜서 제23도, 제33도, 제3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식유지수단(158)을 포함해서 유지수단승강기구(160)의 전체를 종축(178), (179) 주변에서 180도 위상변경시키는 것이다.
이 상태로는 제3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식유지수단(158)의 표식유지클릭(197) 이 주행차체(102)의 주행방향의 앞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그렇게 해서 여기서 제35도, 제36도에 도시하는 스톱퍼부재(195)에 의한 표식유지수단(158)의 유지수단승강기구(160)에 대한 고정을 해제해서 당해 표식유지수단(158)을 인위적으로 180도 위상을 변경시키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 주행차체(102)의 우측에 대한 도로표식(a)의 설치·회수가 달성된다.
또 도로표식(a)이 설치에 있어서 상기 표식의 밑바닥 지지부재(205)에 의해 도로표식(a)을 한편을 지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당해 표식의 밑바닥 지지부재(205)를 생략해서, 도로표식(a)을 직립자세의 상태로 노면에 낙하시키는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다. 또 도로표식(a)은 각가지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그 일예를 제42도에 도시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및 제2발명의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에 의하면 도로표식의 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당해 도로표식을 소정의 위치에 정연하게 설치할 수가 있는 위에 자동적으로 설치한 도로표식을 자동적으로 회수가 도모되며 종래에 비교해서 안전성의 향상과 생력화 및 작업능률의 대폭적인 향상이 달성된다. 이것에 더해서 또 제2발명에 의하면 표식유지수단에 의한 도로표식의 설치 회수위치를 차체의 옆 한쪽 또는 옆 다른쪽의 어느곳엔가에 변경하므로써 주행차체의 좌우 어느 임의의 방향으로 도로표식을 설치하던가 회수하던가 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복수개의 중곧도로표식을 서로 포개쌓은 도로표식군의 반송수단과, 도로표식군의 밑바닥 양측을 지지해서 반송하는 한쌍의 표식반송체과, 당해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를 서로 접근·이간시켜서 표식지지상태와 지지해제상태로 변환시키는 상태변환수단과, 상기 표식군 반송체의 반송끝에 있어서 표식분리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표식받침수단과, 이 한쌍의 표식받침수단을 상기 표시군 반송체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접근·야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도로표식의 중공내부에 위치해서 당해 도로표식을 지지하며 또한 승강시키는 표식승강수단과, 당해 표식승강수단에 의해서 지지된 도로표식을 자세교정시키는 자세교정수단과, 상기 도로표식을 해제자유롭게 끼워잡아 유지하는 표식유지수단과, 이 표식의 유지수단을 차체폭의 중간에 있어서 표식의 분리위치와 차체의 옆한쪽에 있어서 표식의 설치·회수위치에 걸쳐서 회전시키는 선회수단 및 상기 표식의 설치·회수위치에 있어서 표식 유지수단을 승강시키는 유지수단승강기구를 주행차체의 적재대에 탑재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
  2. 복수개의 중곧도로표식을 서로 포개쌓은 도로표식군의 반송수단과, 도로표식군의 밑바닥 양측을 지지해서 반송하는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와, 당해 한쌍의 표식군 반송체를 서로 접근·이간시켜서 표식지지상태와 지지해제상태로 변환시키는 상태변환수단과, 상기 표식군 반송체의 반송끝에 있어서 표식분리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표식받침수단과, 이 한쌍의 표식받침수단을 상기 표식군 반송체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접근·이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도로표식의 중공내부에 위치해서 당해 도로표식을 지지하며 또한 승강시키는 표식승강수단과, 당해 표식승강수단에 의해서 지지된 도로표식을 자세교정시키는 자세교정수단과, 상기 도로표식을 해제 자유롭게 끼워잡아 유지하는 표식유지수단과, 이 표식유지수단을 차체폭의 중간에 있어서 표식의 분리위치와 차체의 옆한쪽에 있어서 표식의 설치·회수위치에 걸쳐서 회전시키는 선회수단과, 상기 표식의 설치·회수위치를 차체의 옆 다른쪽으로 변경시키는 위치변경수단을 주행차체에 탑재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
KR1019920000664A 1991-01-17 1992-01-17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 KR940002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8329 1991-01-17
JP3018329A JPH04237709A (ja) 1991-01-17 1991-01-17 道路標識の設置・回収装置
JP91-018329 1991-01-17
JP25572291A JPH0762326B2 (ja) 1991-09-07 1991-09-07 道路標識の設置回収装置
JP91-255722 1991-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995A KR920014995A (ko) 1992-08-26
KR940002038B1 true KR940002038B1 (ko) 1994-03-14

Family

ID=2635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664A KR940002038B1 (ko) 1991-01-17 1992-01-17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44334A (ko)
EP (1) EP0501106B1 (ko)
KR (1) KR940002038B1 (ko)
DE (1) DE6920181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9767B1 (fr) * 1993-09-07 1996-02-02 Larguier Frederic Ensemble de dispositifs portés sur véhicule pour la pose et le ramassage automatiques des balises de signalisation routière.
US5853263A (en) * 1996-08-15 1998-12-29 Accrued, Inc.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road markers
US6019567A (en) * 1998-03-23 2000-02-01 Lift Technologies, Inc. Slidable load lifting system
US6158948A (en) * 1998-08-27 2000-12-12 Calvert; Lincoln A. Cone collecting and loading system
US6056498A (en) * 1998-09-09 2000-05-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 for retrieving conical roadway warning markers
US6183042B1 (en) * 1998-12-21 2001-02-06 Albert W. Unrath Mobile apparatus for securely retrieving and placing markers on a surface and method therefor
US6435369B1 (en) 1999-05-13 2002-08-20 Farid Poursayadi Device for placing cones on a roadway surface
GB2377244A (en) * 2001-06-20 2003-01-08 Brian Patrick Flynn Apparatus for laying and collecting road cones
NL1019537C2 (nl) * 2001-12-11 2003-06-17 Visser S Gravendeel Holding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plaatsen, uiteenzetten en bijeenzetten van voorwerpen.
US6752582B2 (en) 2002-05-07 2004-06-22 Worldwide Safety, Llc Safety cone placing device and method
US20040258511A1 (en) * 2002-05-07 2004-12-23 Garcia Guadalupe C. Safety cone placing device and method
US7101143B2 (en) * 2002-09-20 2006-09-05 Illinois Tool Works Inc. Traffic cone retrieving device for removing traffic cones from roadway surfaces
US6726434B2 (en) * 2002-09-20 2004-04-27 Illinois Tool Works Inc. Traffic cone setting devices for depositing traffic cones onto roadway surfaces
GB2396649B (en) * 2002-12-24 2005-12-28 Brian Patrick Flynn Vehicle delivery and retrieval device for road cones
US20050095105A1 (en) * 2003-10-23 2005-05-05 William Parks Conical warning marker placer
US7350328B1 (en) 2004-01-21 2008-04-01 Traffix Devices, Inc. Deployable traffic sign
NL1025330C2 (nl) * 2004-01-27 2005-08-01 Theodorus Carolus Josep Simons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ppakken van een pion.
US7108446B2 (en) * 2004-03-09 2006-09-19 Clark Brent A Emergency warning device rapid deployment system
US7228813B2 (en) * 2004-07-26 2007-06-12 Angelo Lamar Flamingo Traffic cone system
GB0419298D0 (en) * 2004-08-31 2004-09-29 Jordan Alan A cone collecting apparatus
GB2419914B (en) * 2004-11-06 2008-12-10 Brian Flynn Roadway delivery and retrieval device for road cones
US7306398B2 (en) * 2005-01-06 2007-12-11 Doran Jr John Terrence Highway marker transfer vehicle
US7431532B2 (en) * 2005-06-22 2008-10-07 Scott Lidster Automated traffic cone handling machine
US20070071584A1 (en) * 2005-09-23 2007-03-29 Beckstead Gary K Autom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ffic channelizer removal, placement, storage, and transport
KR100694171B1 (ko) * 2006-01-11 2007-03-12 정현철 Rfid 시리즈를 이용한 도로상의 위치 관리 방법
ES2346126B1 (es) 2009-03-06 2011-06-22 Autopistas Concesionaria Española S.A. Sistema para manipular conos en una via.
US8979465B2 (en) * 2009-05-12 2015-03-17 Jeffrey C. Brown Apparatus for safety barrel placement and removal
CA2727882A1 (en) * 2010-12-14 2012-06-14 Brendan E. Quarry Apparatus and kit for containing sports equipment
GB2496416A (en) * 2011-11-10 2013-05-15 Clebert O'bryan Ricardo Yearwood Traffic management vehicle
US8500360B1 (en) 2012-07-12 2013-08-06 Fred A. Jones Traffic barrier deployment system
US9260828B2 (en) 2012-10-10 2016-02-16 Emergency Signalization RH inc. Safety marker
GB201306546D0 (en) * 2013-04-10 2013-05-22 Betson Simon Traffic cone dispensing and retrieving apparatus
FR3014916B1 (fr) 2013-12-18 2016-01-01 Mati Ind & Technologies Accessoire pour la pose et la recuperation de cones de signalisation.
US10556545B2 (en) * 2015-06-29 2020-02-11 Royal Truck & Equipment, Inc. Over-cab rack for traffic delineators
US10801169B2 (en) * 2015-06-29 2020-10-13 Royal Truck & Equipment, Inc Truck safety modules for assisting workpersons to place and retrieve traffic delineators
US11008717B2 (en) * 2015-06-29 2021-05-18 Royal Truck & Equipment, Inc. Safety truck attachments, and methods of safety truck use
US10319227B2 (en) 2015-06-29 2019-06-11 Royal Truck & Equipment, Inc. Roadway work area safety truck
CN105648938B (zh) * 2016-01-04 2017-12-29 武汉理工大学 智能交通路锥自动投放装置
GB201601523D0 (en) * 2016-01-27 2016-03-09 W J North Ltd Road marker placement apparatus
WO2018132748A1 (en) * 2017-01-12 2018-07-19 Hanssen Alejandro Deploying marker objects
US10626565B2 (en) 2018-09-04 2020-04-21 WJ North Limited Road marker placement apparatus
DE102019110152B4 (de) * 2019-04-17 2021-08-12 UHREBEIN Verwaltungs GmbH Vorrichtung für die Ausgabe und das Sammeln von Warnkegeln
WO2021119732A1 (en) * 2019-12-17 2021-06-24 K & L Ea Pty Ltd A vehicle mounted system for deploying and retrieving traffic barriers
CN111169353B (zh) * 2020-01-09 2021-10-22 上海航天电子通讯设备研究所 一种灯光车自动化布收装置
US20220169455A1 (en) * 2020-11-30 2022-06-02 Bryan L. Hayes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ortable traffic delineators
CN112813875A (zh) * 2021-02-07 2021-05-18 宁夏交通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轻型半自动路锥收放一体机
CN113802487B (zh) * 2021-09-27 2022-06-21 湖北工业大学 一种桥梁维护用路标组装设备
US11746485B1 (en) * 2022-02-17 2023-09-05 Jeffrey C Brown Apparatus for deploying and retrieving traffic barricad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0900A (en) * 1971-01-19 1973-08-07 R Piercey Traffic cone retriever
FI58187C (fi) * 1976-10-26 1980-12-10 Salon Automyynti Oy Foerfarande foer faellning av varningsmaerken pao vaegyta eller motsvarande och anordning foer genomfoerande av foerfarandet
FR2556378B1 (fr) * 1983-12-13 1986-05-23 Michit Emile Procede et machine pour ramasser, stocker et poser mecaniquement des balises de signalisation routiere coniques et creuses
GB2175336B (en) * 1985-05-21 1988-05-05 Phillip John Clark Apparatus for placing road marker cones
IL76798A0 (en) * 1985-10-23 1986-02-28 Israel State Apparatus for mounting on a land vehicle for the distribution of markers
JPS62210147A (ja) * 1986-03-10 1987-09-16 Nissan Motor Co Ltd 重量物運搬車
JPS63241208A (ja) * 1988-03-07 1988-10-06 福井除雪機株式会社 コーン道路標識の自動配置装置
US4936485A (en) * 1989-02-08 1990-06-26 Downing Donald M Manually operated marker dispenser
CH679052A5 (ko) * 1989-10-03 1991-12-13 Alfred Ehrismann Dipl Ing
US5054648A (en) * 1990-01-23 1991-10-08 Luoma Eugene H Highway cone dispenser and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1106B1 (en) 1995-03-29
DE69201810T2 (de) 1995-11-16
US5244334A (en) 1993-09-14
DE69201810D1 (de) 1995-05-04
KR920014995A (ko) 1992-08-26
EP0501106A1 (en) 199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038B1 (ko)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
US7431532B2 (en) Automated traffic cone handling machine
CN101734475A (zh) 摩擦式底盘线输送系统
CN111851352A (zh) 一种交通锥收放设备
CN111441282A (zh) 交通锥收放存储车
JP6588886B2 (ja) 道路コーン設置回収装置
JP2802481B2 (ja) ラバーコーンの設置及び回収装置
CN212388412U (zh) 交通锥收放存储车
CN107814143B (zh) 一种用于伸缩皮带输送机上的操作站台
JPH0565709A (ja) 道路標識の設置回収装置
CN108016992B (zh) 一种座椅自动跨线装置
CN104960882A (zh) 涂装线油缸自动上下件装置
JPH04237709A (ja) 道路標識の設置・回収装置
CN212533821U (zh) 交通锥存储装置及交通锥收放存储车
CN108086757A (zh) 一种单立柱搬运耙齿型停车设备
CN109487725B (zh) 一种道路隔离设备
CA1094967A (en) Trolley storage
JPS62216878A (ja) 車両組立ラインのボデイ搬送装置
CN112173695A (zh) 路障自动收放装置
JP5092486B2 (ja) 移載装置
KR102230046B1 (ko)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CN100537317C (zh) 汽车提取装置
CN205743186U (zh) 一种旋转式自行车库
CN217649348U (zh) 一种摩托车维修服务车
JPH11322052A (ja) 吊り下げ搬送装置におけるワークステーションへの接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