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046B1 -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046B1
KR102230046B1 KR1020200098869A KR20200098869A KR102230046B1 KR 102230046 B1 KR102230046 B1 KR 102230046B1 KR 1020200098869 A KR1020200098869 A KR 1020200098869A KR 20200098869 A KR20200098869 A KR 20200098869A KR 102230046 B1 KR102230046 B1 KR 102230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ne
rubber
lead
recovery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20009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92Design or construction of the moving platform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는: 차량 후방의 러버콘 탑재 공간의 개구부에 구비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좌우 슬라이딩 및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서 회수되는 러버콘이 들어 올려져 상하로 적층 되도록 하는 인입 적층 어셈블리;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서 상기 러버콘 탑재 공간의 바닥에 구비되도록 상기 러버콘 탑재 공간의 바닥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에 의해 적층된 러버콘 세트를 지지하며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 러버콘 지지 이송부; 및,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의 후방 하부에 회동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에 나란히 겹쳐지게 접히는 접이 위치와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에 대해 전개되어 펼쳐지는 전개 위치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전개 위치에서는 지면에 가설된 러버콘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의 하부로 회수되도록 하는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는 러버콘이 회수되는 경로 중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개 위치에서 러버콘이 회수되는 중간에 러버콘의 일측이 걸리게 되어 상하가 뒤집히도록 하는 반전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도로의 공사 구역 등을 표시해 주기 위한 러버콘들을 대량으로 운송하여 도로에 하차 및 가설되도록 한 뒤 다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할 때에 작업자가 직접 일일이 내리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vehicle mounted type apparatus for loading rubber cone}
본 발명은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공사 구역 등을 표시해 주기 위한 러버콘들을 대량으로 운송하여 도로에 하차 및 가설되도록 한 뒤 다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할 때에 작업자가 직접 일일이 내리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러버콘은 도로공사 등으로 인하여 도로가 협소해지거나 도로가 휘어지는 경우 차선의 변경상황을 운전자가 손쉽게 식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러버콘은 통신용 맨홀공사, 도로공사나 건설현장 통제시, 또는 주차장 입구나 기타 안전이 필요한 경계 표시가 요구될 때에 작업자 및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교통안전 시설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로에서는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차선 유도봉을 대신하여 러버콘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러버콘은 각종공사 및 교통 통제 안내시 안전확보를 위하여 지면에 세워지는데, 운전자나 보행자는 이와 같이 설치된 러버콘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전방에서 공사중이거나 또는 통제중임을 인지하여 주의성을 인식하게 된다.
상기 차선 유도봉을 대신해 사용되는 러버콘은 교통 중앙선이나 차선에 대한 유도 혹은 유출지점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선 및 통행을 유도한다.
도로공사장 교통안전지침(1996.04)에 따르면, 상기 러버콘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0.45 ~ 1.0 m, 하단부 직경 0.3 ~ 0.4 m의 규격으로 하며, 고무기둥은 높이 0.45 ~ 1.0 m, 하단부 직경 0.10 ~ 0.20 m의 규격으로 정해져 있다.
또한, 고속화 도로의 경우 0.6 m 이상인 것을 사용하며, 일반도로의 경우 0.45 m 이상인 것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러버콘의 본체는 충돌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데, 보통 고무가 이용된다.
상기 러버콘은 바탕색을 붉은색 또는 주황색으로 하고 그 위에 고휘도 재귀반사지로 된 두 개의 하얀색 띠를 두르도록 하여 시야에 금방 들어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러버콘은 쉽게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면서 그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데, 기본적으로는 지면에 안착 되는 사각형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방에 원뿔형으로 돌출 또는 결합되는 지주부로 구성되며, 통상 적색의 상기 지주부에는 차량의 불빛에 반사되는 반사지나 자체 발광 될 수 있는 발광띠가 2개 정도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러버콘은 작업자가 작업 구역의 바깥쪽 적당한 위치에 놓아둠으로써 러버콘을 설치하게 되고, 작업이 모두 끝난 다음에는 러버콘을 수거하게 된다.
이렇게 작업자가 직접 도로 등에서 러버콘을 설치한 뒤에 다시 회수하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매우 높고, 작업자가 직접 도보로 걸어다니면서 러버콘의 설치 및 회수로 인한 시간적인 낭비와 작업자의 사고 노출에 따른 불안감을 갖게 되며, 번거로운 러버콘의 설치 및 회수를 기피하여 보다 큰 대형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트럭의 적재물 승하차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57373호(1999년06월28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트럭의 적재물 승하차장치로도 러버콘의 회수 및 상차 작업이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이뤄지도록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실제 적용이 곤란하고, 작업자는 러버콘의 회수 및 상차 시에 작업 차량의 후미에 매달려 한손으로는 차량의 적재함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몸을 기울여 러버콘의 회수 또는 상차 작업을 위험하게 진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57373호(1999년06월28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공사 구역 등을 표시해 주기 위한 러버콘들을 대량으로 운송하여 도로에 하차 및 가설되도록 한 뒤 다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할 때에 작업자가 직접 일일이 내리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는: 차량 후방의 러버콘 탑재 공간의 개구부에 구비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좌우 슬라이딩 및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서 회수되는 러버콘이 들어 올려져 상하로 적층 되도록 하는 인입 적층 어셈블리;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서 상기 러버콘 탑재 공간의 바닥에 구비되도록 상기 러버콘 탑재 공간의 바닥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에 의해 적층된 러버콘 세트를 지지하며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 러버콘 지지 이송부; 및,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의 후방 하부에 회동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에 나란히 겹쳐지게 접히는 접이 위치와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에 대해 전개되어 펼쳐지는 전개 위치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전개 위치에서는 지면에 가설된 러버콘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의 하부로 회수되도록 하는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는 러버콘이 회수되는 경로 중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개 위치에서 러버콘이 회수되는 중간에 러버콘의 일측이 걸리게 되어 상하가 뒤집히도록 하는 반전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러버콘 지지 이송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에서 적층된 러버콘 세트가 상기 러버콘 지지 이송부의 상부로 정확히 이송되도록 하는 인입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는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오므라져 나란하게 되는 회수위치와 좌우로 펼쳐지는 접이 준비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수위치에서는 지면에 가설된 러버콘이 정확히 안내되어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공사 구역 등을 표시해 주기 위한 러버콘들을 대량으로 운송하여 도로에 하차 및 가설되도록 한 뒤 다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할 때에 작업자가 직접 일일이 내리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가 도로 공사용 차량의 후방에 탑재된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의 본체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의 러버콘 지지 이송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의 인입 이송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의 인입 적층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의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에 의해 러버콘이 회수 및 상차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과,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와,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와,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공사용 차량(1) 후방의 러버콘 탑재 공간(5)의 개구부 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도로 공사용 차량(1) 후방의 러버콘 탑재 공간(5)의 개구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체 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가 수평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 좌우 구동부(110)가 구비되고,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좌우 슬라이딩 레일(12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좌우 슬라이딩 레일(120)의 내측에는 좌우 구동부(110)에 연결된 스크류 바아를 포함한 좌우 전동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본체 프레임(100)에 대해 좌우 슬라이딩 및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서 회수되는 러버콘(10)이 들어 올려져 상하로 적층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가 본체 프레임(100)에 대해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두 줄로 나란히 적재될 러버콘 세트들 중 어느 한 줄의 러버콘 세트들만 먼저 차례대로 연속 상차 되도록 할 수 있고,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최하단까지 하강시 상차 되는 러버콘(10)의 회수 및 상차 경로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슬라이딩 레일(120)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맞물리게 구비되어 본체 프레임(100)에 대해 좌우로 수평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장착부(210)와, 본체 장착부(210)의 후방에 본체 장착부(210)와 나란하게 구비되되 본체 장착부(210)에 대해 상하로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본체 장착부(210)의 좌우 양측에는 승강 프레임(220)에 연결되어 승강 프레임(220)의 상하 승강 이동을 구동하는 승강 실린더(211)가 구비되고, 본체 장착부(210)의 상측 좌우에는 하부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상호 근접 또는 이격 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러버콘(10)이 하측으로부터 상승 되어 회수되면 이를 수평상태로 잡고 있도록 하단부가 상호 근접되게 회동되는 러버콘 파지부(213)가 구비되며, 본체 장착부(210) 및 러버콘 파지부(213)의 사이에는 러버콘 파지부(213)의 회동을 구동하는 파지 구동부(217)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승강 실린더(211)의 구동에 의해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승강 프레임(220)이 상하로 승강 되도록 함으로써, 승강 프레임(220)이 하강 되도록 하면 러버콘(10)이 상차 되는 경로가 자동으로 용이하게 확보되도록 할 수 있고, 러버콘 파지부(213)의 회동 동작에 의해 하측에서 상승 되는 러버콘(10)이 차례대로 잡히며 하나의 러버콘 세트를 이루도록 적층 되게 할 수 있고 적층이 완료되면 러버콘 세트가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로 넘어갈 수 있도록 러버콘 파지부(213)의 하단부가 상호 이격 되며 러버콘 세트를 놓아주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220)에는 상하로 승강 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를 통해 회수된 러버콘(10)을 넘겨받아 상승시 러버콘(10)도 함께 상승 되도록 하여 러버콘 파지부(213)에 잡혀 있던 먼저 상승 된 러버콘(10)들의 하부로 끼워져 하나의 러버콘 세트를 이루도록 하는 인입 승강부(221)가 구비되고, 승강 프레임(220)의 좌우 양측의 상부에는 인입 승강부(221)의 승강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 인입 승강 구동부(223)가 구비되며, 인입 승강 구동부(223)의 하부 및 인입 승강부(221)의 사이에는 스크류 바아를 포함한 인입 승강 전동부(225)가 구비되고, 승강 프레임(220)의 내측에서 인입 승강부(221)의 좌우 양측 사이에는 인입 승강부(221)의 회전을 구동하는 인입 회전 실린더(227)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220)의 최하부까지 인입 승강부(221)가 하강 된 위치에서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로부터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어 온 러버콘(10)이 인입 승강부(221)에 회수되면 인입 회전 실린더(227)의 구동에 의해 인입 승강부(221)가 회전되어 러버콘(10)이 상측의 러버콘 세트의 하부로 용이하게 끼워지는 정 위치가 되도록 다시 반전시키고, 인입 승강 구동부(223)의 구동에 의해 인입 승강부(221)가 상승 되도록 하면 러버콘(10)이 인입 승강부(221)에 정 위치로 안착 된 상태에서 함께 상승 되어 상측의 러버콘 파지부(213)에 의해 고정된 러버콘 세트의 하부로 끼워지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인입 승강부(221)는 러버콘 파지부(213)가 러버콘 세트를 순간적으로 놓았다가 새로 끼워진 최하부의 러버콘(10)까지 다시 잡을 때까지는 인입 승강 구동부(223)의 구동에 의해 상승 된 위치에서 그대로 머물러 있도록 후술할 제어부(8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서 러버콘 탑재 공간(5)의 바닥에 구비되도록 러버콘 탑재 공간(5)의 바닥을 향해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 하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 의해 적층 된 러버콘 세트를 지지하며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이송 롤러(310)들이 회전가능하게 일렬로 배치되며,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의 전방 단부에는 이송 롤러(310)들이 회전되게 구동하여 상부에 적재된 러버콘 세트가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한 지지 이송 구동부(32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러버콘 탑재 공간(5)에는 러버콘 세트가 좌우 두 줄로 나란히 적재되게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는 러버콘 탑재 공간(5)의 바닥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후방 하부에 회동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 나란히 겹쳐지게 접히는 접이 위치(도 10의 (c) 및 (d) 참고)와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 대해 전개되어 펼쳐지는 전개 위치(도 9의 (a) 및 (b) 참고)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전개 위치에서는 지면에 가설된 러버콘(10)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하부로 회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로의 공사 구역 등을 표시해 주기 위한 러버콘(10)들을 대량으로 운송하여 도로에 하차 및 가설되도록 한 뒤 다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할 때에 작업자가 직접 일일이 내리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는 러버콘(10)이 회수되는 경로 중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개 위치에서 러버콘(10)이 회수되는 중간에 러버콘(10)의 일측이 걸리게 되어 상하가 뒤집히도록 하는 반전 바아(4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의 본체 사이에서 러버콘(10)이 이송되다가 반전 바아(410)에 부딪혀 쉽게 뒤집혀 지도록 함으로써, 뒤집힌 러버콘(10)이 인입 승강부(221)에서 용이하게 멈춤 및 고정된 상태가 되어 인입 승강부(221)의 회전에 의해 러버콘(10)이 상부의 러버콘 세트의 하부로 끼워지도록 다시 정 위치로 회전되며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는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오므라져 나란하게 되는 회수위치(도 9의 (a) 참고)와 좌우로 펼쳐지는 접이 준비위치(도 10의 (b) 참고)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수위치에서는 지면에 가설된 러버콘(10)이 정확히 안내되어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 가이드부(4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개 위치에서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가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로부터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한 뒤에는 회수 가이드부(420)가 상호 오므라져 나란하게 되는 회수위치로 회전되도록 하여 회수 가이드부(420)에 의해 러버콘(10)이 지면에 가설된 위치로부터 정확히 회수가 안내되도록 하고, 회수가 완료된 뒤에는 회수 가이드부(420)가 좌우로 펼쳐지는 접이 준비위치로 회전되어 러버콘 세트의 단순한 적재 및 수송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의 본체와 회수 가이드부(420)의 내측에는 회수 가이드 구동부(7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430)들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800)의 제어에 의해 회수 가이드 구동부(700)가 가이드 롤러(430)들이 회전되도록 구동하면 러버콘(10)이 지면으로부터 회수 가이드부(420)를 거쳐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로 넘어와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로 전달되도록 할 때에 마찰 손상이 최소화되며 원활하게 회수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과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서 적층된 러버콘 세트가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의 상부로 정확히 이송되도록 하는 인입 이송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서 회수 및 적층 된 러버콘 세트가 인입 이송부(500)에 안착 되어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용이하게 상차 되도록 할 수 있다.
인입 이송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구비되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내측으로 수평 진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서 적층 된 러버콘 세트가 상부로 안착 되는 러버콘 세트 안착대(510)와, 전방에 구비되며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러버콘 세트 안착대(510)가 전방으로 인입 절첩 또는 인출 연장되게 수평 슬라이딩 이동을 구동하는 인입 이송 실린더(520)와, 러버콘 세트가 러버콘 세트 안착대(510)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실린더(5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서 회수 및 적층 된 러버콘 세트가 러버콘 세트 안착대(510)에 안착 되면 인입 이송 실린더(520)의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인입되어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의 상부로 정밀하고 안정되게 상차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와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의 사이에는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의 상하 절첩 회동을 구동하는 회수 전개 회전 구동부(600)가 구비되고,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의 본체와 회수 가이드부(420)의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회수 가이드부(420)의 좌우 수평방향의 회동을 구동하는 회수 가이드 구동부(70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800)가 회수 전개 회전 구동부(600)의 작동을 제어하여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가 접이 위치와 전개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부(800)가 회수 가이드 구동부(700)의 작동을 제어하여 회수 가이드부(420)가 접이 준비위치와 회수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가 전개 위치로 펼쳐진 상태에서 회수 가이드부(420)가 회수위치로 회전되어 러버콘(10)이 회수 가이드부(420)에 의해 지면에서 회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b)는 러버콘(10)이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의 본체 내측의 가이드 롤러(430)을 타고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의 (c)는 러버콘(10)이 반전 바아(410)에 부딪혀 드러누운 상태로 인입 승강부(221)로 전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d)는 인입 회전 실린더(227)에 의해 인입 승강부(221)가 회전되어 러버콘(10)이 정 위치로 놓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인입 승강부(221)가 상승 되어 러버콘(10)이 먼저 적층 된 러버콘 세트의 하부로 끼워져 적층 되도록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회수 가이드부(420)가 접이 준비위치로 회동 되고 인입 승강부(221)가 다시 빈 상태로 하강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의 (c)는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가 접이 위치로 접혀지고 러버콘 세트가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로 상차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d)는 승강 프레임(220)이 상승 된 다음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가 좌측으로 수평이동되어 차량(1)의 이동이 준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콘 파지부(213)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는 러버콘 세트 및 러버콘(1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러버콘 센서(215)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콘 센서(215)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해 좌우 구동부(110), 승강 실린더(211), 파지 구동부(217), 인입 승강 구동부(223), 인입 회전 실린더(227), 회수 전개 회전 구동부(600) 및 회수 가이드 구동부(700)를 비롯한 각 구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로의 공사 구역 등을 표시해 주기 위한 러버콘(10)들을 대량으로 운송하여 도로에 하차 및 가설되도록 한 뒤 다시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할 때에 작업자가 직접 일일이 내리지 않고서도 러버콘(10)이 자동으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회수 및 상차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러버콘 센서(215)는 러버콘 파지부(213)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러버콘 센서(215)는 러버콘 파지부(213)에 의해 잡힌 러버콘 세트의 유무 또는 러버콘(10)의 진입을 감지할 수만 있다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의 다른 어느 곳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프레임 110 : 좌우 구동부
120 : 좌우 슬라이딩 레일 200 : 인입 적층 어셈블리
210 : 본체 장착부 211 : 승강 실린더
213 : 러버콘 파지부 215 : 러버콘 센서
217 : 파지 구동부 220 : 승강 프레임
221 : 인입 승강부 223 : 인입 승강 구동부
225 : 인입 승강 전동부 227 : 인입 회전 실린더
300 : 러버콘 지지 이송부 310 : 이송 롤러
320 : 지지 이송 구동부 400 :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
410 : 반전 바아 420 : 회수 가이드부
430 : 가이드 롤러 500 : 인입 이송부
510 : 러버콘 세트 안착대 520 : 인입 이송 실린더
530 : 스토퍼 실린더 600 : 회수 전개 회전 구동부
700 : 회수 가이드 구동부 800 : 제어부

Claims (3)

  1. 차량(1) 후방의 러버콘 탑재 공간(5)의 개구부에 구비된 본체 프레임(100);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대해 좌우 슬라이딩 및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서 회수되는 러버콘(10)이 들어 올려져 상하로 적층 되도록 하는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서 상기 러버콘 탑재 공간(5)의 바닥에 구비되도록 상기 러버콘 탑재 공간(5)의 바닥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 의해 적층된 러버콘 세트를 지지하며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 및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후방 하부에 회동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 나란히 겹쳐지게 접히는 접이 위치와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 대해 전개되어 펼쳐지는 전개 위치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전개 위치에서는 지면에 가설된 러버콘(10)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하부로 회수되도록 하는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
    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는 러버콘(10)이 회수되는 경로 중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개 위치에서 러버콘(10)이 회수되는 중간에 러버콘(10)의 일측이 걸리게 되어 상하가 뒤집히도록 하는 반전 바아(41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과 상기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서 적층된 러버콘 세트가 상기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의 상부로 정확히 이송되도록 하는 인입 이송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는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오므라져 나란하게 되는 회수위치와 좌우로 펼쳐지는 접이 준비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수위치에서는 지면에 가설된 러버콘(10)이 정확히 안내되어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 가이드부(4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가 수평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동하는 좌우 구동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좌우 슬라이딩 레일(120)이 구비되며,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는, 상기 좌우 슬라이딩 레일(120)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맞물리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대해 좌우로 수평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장착부(210)와, 상기 본체 장착부(210)의 후방에 본체 장착부(210)와 나란하게 구비되되 본체 장착부(210)에 대해 상하로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 프레임(2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장착부(21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22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220)의 상하 승강 이동을 구동하는 승강 실린더(21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 장착부(210)의 상측 좌우에는 하부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상호 근접 또는 이격 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러버콘(10)이 하측으로부터 상승 되어 회수되면 이를 수평상태로 잡고 있도록 하단부가 상호 근접되게 회동되는 러버콘 파지부(213)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장착부(210) 및 상기 러버콘 파지부(213)의 사이에는 러버콘 파지부(213)의 회동을 구동하는 파지 구동부(217)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220)에는 상하로 승강 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러버콘 회수 전개 어셈블리(400)를 통해 회수된 러버콘(10)을 넘겨받아 상승시 러버콘(10)도 함께 상승 되도록 하여 상기 러버콘 파지부(213)에 잡혀 있던 먼저 상승 된 러버콘(10)들의 하부로 끼워져 하나의 러버콘 세트를 이루도록 하는 인입 승강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220)의 좌우 양측의 상부에는 상기 인입 승강부(221)의 승강을 구동하는 인입 승강 구동부(223)가 구비되며, 상기 인입 승강 구동부(223)의 하부 및 상기 인입 승강부(221)의 사이에는 스크류 바아를 포함한 인입 승강 전동부(225)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220)의 내측에서 상기 인입 승강부(221)의 좌우 양측 사이에는 인입 승강부(221)의 회전을 구동하는 인입 회전 실린더(227)가 구비되며,
    상기 인입 이송부(500)는,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의 내측으로 수평 진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입 적층 어셈블리(200)에서 적층 된 러버콘 세트가 상부로 안착 되는 러버콘 세트 안착대(510)와,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러버콘 지지 이송부(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러버콘 세트 안착대(510)가 전방으로 인입 절첩 또는 인출 연장되게 수평 슬라이딩 이동을 구동하는 인입 이송 실린더(520)와, 러버콘 세트가 상기 러버콘 세트 안착대(510)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실린더(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98869A 2020-08-06 2020-08-06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KR102230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869A KR102230046B1 (ko) 2020-08-06 2020-08-06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869A KR102230046B1 (ko) 2020-08-06 2020-08-06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046B1 true KR102230046B1 (ko) 2021-03-22

Family

ID=7522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869A KR102230046B1 (ko) 2020-08-06 2020-08-06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0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5852A (ja) * 1998-03-04 1999-09-14 Norinobu Ushida 車線標識体の自動配置・回収作業車
KR200157373Y1 (ko) 1997-07-10 1999-09-15 김재훈 트럭의 적재물 승하차장치
JP2004232215A (ja) * 2003-01-28 2004-08-19 Showa Denki Setsubi Kk ラバーコーン払出し及び収納装置
KR20140125901A (ko) * 2013-04-18 2014-10-30 삼성씨엔에스(주) 칼라콘의 설치 및 회수장치
KR101632053B1 (ko) * 2015-05-22 2016-06-24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교통콘 자동 설치 및 회수 차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373Y1 (ko) 1997-07-10 1999-09-15 김재훈 트럭의 적재물 승하차장치
JPH11245852A (ja) * 1998-03-04 1999-09-14 Norinobu Ushida 車線標識体の自動配置・回収作業車
JP2004232215A (ja) * 2003-01-28 2004-08-19 Showa Denki Setsubi Kk ラバーコーン払出し及び収納装置
KR20140125901A (ko) * 2013-04-18 2014-10-30 삼성씨엔에스(주) 칼라콘의 설치 및 회수장치
KR101632053B1 (ko) * 2015-05-22 2016-06-24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교통콘 자동 설치 및 회수 차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038B1 (ko) 도로표식의 설치 및 회수장치
DE10255843B4 (de) Teleskopfördereinrichtung
US6056498A (en) Apparatus for retrieving conical roadway warning markers
CA2981706C (en) Inspection system
US20080149420A1 (en) Vehicle mountable elevating platform
US10556545B2 (en) Over-cab rack for traffic delineators
CN106219449B (zh) 用于小型汽车运输和清障的便携式全自动搬运车
CN106320214A (zh) 交通锥自动收放存储车
HUE034167T2 (en) Pallet wrapping machine
KR102230041B1 (ko) 차량 탑재형 러버콘 가설장치
KR102230046B1 (ko) 차량 탑재형 러버콘 회수장치
WO2015155166A1 (en) A service vehicle for an aircraft
JP3351941B2 (ja) 荷物積み卸し装置
WO2017033169A2 (en) Lifting system
KR102396150B1 (ko) 라바콘 수직 적재타입 설치 및 회수장치
DE102004053081A1 (de) Vorrichtungen zur automatisierten Entladung von Gepäckwagen auf Flughäfen
CN113235487B (zh) 一种交通锥收放系统
EP1918157A1 (de) Vorrichtung zum Heben und Transferieren von Gütern sowie Handhubwagen
EP2181230B1 (en) Device for handling cars in multistorey car parks with improved raising system
DE202010012374U1 (de) Stückgutfördereinrichtung
KR100679464B1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KR20140110339A (ko) 지게차의 안전바 장치
NL1021501C2 (nl) Inrichting voor opslag van vervoermiddelen.
KR102423704B1 (ko) 라바콘 설치 및 회수를 위한 회동장치를 갖는 이송차량
KR102471494B1 (ko) 라바콘 설치 및 회수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하는 라바콘설치 이송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