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81B1 - 리모콘 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81B1
KR940001881B1 KR1019890015017A KR890015017A KR940001881B1 KR 940001881 B1 KR940001881 B1 KR 940001881B1 KR 1019890015017 A KR1019890015017 A KR 1019890015017A KR 890015017 A KR890015017 A KR 890015017A KR 940001881 B1 KR940001881 B1 KR 94000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de
control signal
recording
vt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177A (ko
Inventor
야스유끼 야마다
다다시 네끼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시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시즈오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5/00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 G04G15/006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for operating at a number of different tim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remotely controll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8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with computer assist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9/00Remote-control of tuned circuits; Combined remote-control of tuning and other functions, e.g. brightness, ampl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모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이루는 리모콘 장치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표시하는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이루는 리모콘 장치를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 설명용의 플로우챠트.
제4도는 리모콘 신호의 한 예를 도시하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컴퓨터 2 : 조작키
3 : 표시부 4 : 표시 구동 회로
5 : 송출부 6 : 키신호 발생부
7 : 코드 발생부 I : 리모콘
Ⅱ : 재생용 VTR Ⅲ : 기록측 VTR
본 발명은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른 포맷(시스템 코드)인 2종류의 리모콘 신호를 송출하여, 여러 가지 동작, 예를 들자면 2대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더빙(dubbing)할시에,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들자면 동일 제조자의 2대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를 사용하여, 한편의 VTR에서 재생한 마스터 테이프의 정보 신호(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다른편 VTR의 슬레이브 테이프에 기록하는 말하자면 더빙을 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한편의 VTR을 재생 모드로 하고, 다른편의 VTR을 기록 모드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일 제조자의 VTR은, 통상 동일한 시스템 코드를 갖는 리모콘 신호(리모콘 코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4도는 리모콘 신호의 한예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며, 리모콘 신호는 시스템 코드와 데이타 코드로 구성되는 리모콘 코드로 형성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더빙시에, 2대의 VTR이 리모콘 송신기(이하, 단지 리모콘이라 함)을 사용해서 각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하려면 양편의 VTR이 동일 제조자의 것이므로, 동일한 시스템 코드를 갖는 리모콘 코드(동일 포맷의 신호)에 따라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리모콘 조작을 하면 2대의 VTR 모두가 같은 모드로 되어버려, 더빙시에 하나의 리모콘으로 2대의 VTR조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더빙시에 사용하는 2대의 VTR이 동일 제조자의 것이 아니라도, 동일한 시스템 코드를 갖는 리모콘 코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라면, 동일한 문제가 생긴다.
거기에서, 다수의 제조자는 다음의 기술을 사용한다. 즉, 다른 시스템 코드(포맷)를 각기 갖는 2종류 이상의 리모콘 코드중 하나를 송출(송신)할 수 있는 전환 스위치가 리모콘에 설치하고 각각의 다른 시스템 코드는 대응하는 하나의 선택된 VTR을 원격 제어한다. 리모콘에 의해 송출된 선택 리모콘 코드를 수신하기 위해, VTR은 2종류 이상의 리모콘 코드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2종류 이상의 리모콘 코드중 하나는 리모콘에 의해 VTR용으로 선택되고, 2개의 리모콘 링크는 하나의 리모콘과 2개의 VTR간에 설정된다. 그 VTR은 이미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2개의 VTR을 사용하는 더빙시에, 재생측 VTR은 "A"라는 종류의 시스템 코드(포맷)을 갖는 리모콘 코드(A코드)로 만으로 동작되도록 전환되고, 기록측 VTR은 "A"와 다른 종류 "B"의 시스템 코드(포맷)을 갖는 리모콘 코드(B코드)로만으로 동작되도록 전환된다.
한편, 리모콘은 "A"라는 종류의 시스템 코드(포맷)를 갖는 리모콘 코드(A코드)를 송출하므로 재생측 VTR만을 재생 모드로 되도록 동작시키고, 또한, 리모콘의 전환 스위치를 전환하여, 리모콘에서 "B"라는 종류의 시스템 코드(포맷)을 갖는 리모콘 코드(B코드)를 송출하므로서 기록측 VTR만이 기록 모드로 되도록 동작시키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일체형 VTR등의 보급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 2대의 VTR을 사용하여 더빙을 행하는 경우가 많아져 가고 있으며, 편집기 등의 요망도 강하다. 그러나, 그 한편에서, 종래부터 갖고 있는 VTR을 사용하여, 이미 기록된 비디오 테이프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면서 간단하게 더빙을 할 수 없을가 하는 요구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모콘에서, 더빙시에 기록측 VTR용의 리모콘과 재생측 VTR용의 리모콘을 합한 2개의 리모콘을 조작할 필요가 있으며, 조작이 복잡해져, 오조작을 초래하기 쉬우며, 또한 더빙을 위한 시간도 많이 요하게 된다.
또한, 리모콘에 전환 스위치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2종류의 리모콘 코드(시스템 코드)를 전환 사용하여 1개의 리모콘으로 2대의 VTR을 조작하도록 한 경우, 2종류의 리모콘 코드(A/B코드)의 전환이나 조작이 번잡해져, 오조작을 초래하기 쉬운 것은 동일하다.
거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여, 조작이 간단해져, 오조작을 하기 어려워지고, 특히 더빙시의 조작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리모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소한 재생 기능을 갖는 재생 장치에 의하여 수신가능한 소정 포맷의 제1리모콘 신호, 및 최소한 기록 기능을 갖는 기록 장치에 의해 수신가능하고 상기 제1리모콘 신호의 포맷과 상이한 다른 포맷의 제2리모콘 신호와 같은 2종류의 리모콘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재생 장치 및 상기 기록 장치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는 리모콘 장치로서, 하나의 조작키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제1리모콘 신호 및 상기 제2리모콘 신호를 조합해서 순차적으로 조합된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하나의 조작키에 의해 순차적으로 송출되는 조합된 신호를 각 리모콘 신호간의 시간 간격을 변화시켜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다시, 최소한 재생 기능을 갖는 재생 장치에 의하여 수신가능한 소정 포맷의 제1리모콘 신호, 및 최소한 기록 기능을 갖는 기록 장치에 의해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1리모콘 신호의 포맷과 상이한 다른 포맷의 제2리모콘 신호와 같은 2종류의 리모콘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재생 장치 및 상기 기록 장치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는 리모콘 장치로서, 조작키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신호를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되게 하는 편집 모드 및 상기 편집 모드시 이외의 통상 모드를 전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편집 모드시에는 상기 재생 장치의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상기 제1리모콘 신호를 최소한 송출하고, 상기 통상 모드시에는 상기 기록 장치의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상기 제2리모콘 신호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형성하는 리모콘 장치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다음에 도면과 함께 설명을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이루는 리모콘 장치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기계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같은 도면에 있어서, 리모콘 I은 마이크로 컴퓨터(1), 조작키(2), 표시부(3), 표시 구동 회로(4) 및 송출부(5)로 구성된다.
조작키(2)는 VTR의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키(정지키, 재생키, 녹화키, 일시 정지키, 되감기키, 빨리보내기키, 속도 증감키, 인출키, 전원키 등)나 편집 모드등의 모드 설정을 위한 모드키나 스탠바이 키 등으로 구성된다.
조작키(2)의 각 키와 조작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키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1)중의 키 신호 판별부(6)에 공급되고, 이 키 신호 판별부(6)는 공급되는 각 키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의 정보를 데이타(예를들자면, 어드레스 데이타)로서 마이크로 컴퓨터(1)중의 코드 발생부(예를들자면, ROM 테이블 등)(7)로 보내, 여기에서 대응하는 코드를 발생시켜, 송출부(5)에 공급한다.
송출부(5)는 코드 발생부(7)에서 공급되는 코드를 근원으로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리모콘 신호(리모콘 코드)를, 예를들자면 적외광으로서 송출한다. 또다시 이 적외광의 리모콘 신호는 VTR의 앞면의 리모콘 수신창으로 향해서 발사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의 동작 내용은 표시 구동회로(4)에서 구동되는 액정 표시 소자(LCD)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3)에 표시된다.
제2도는 상기 리모콘에 의해 조작되는 2대의 VTR을 사용하여 더빙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같은 도면에 있어서, 재생측 VTR Ⅱ과 기록측 Ⅲ 사이는 영상 신호 전송용의 케이블 및 음성 신호 전송용의 케이블로 접속되고, 재생측 VTR Ⅱ에서 재생되어,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기록측 VTR Ⅲ에 공급되어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록 VTR Ⅲ에 모니터 텔레비전 Ⅳ를 접속하여, 재생측 VTR Ⅱ의 재생 신호 및 기록측 VTR Ⅲ에 기록한 신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리모콘 1은, 각 조작키에 의한 조작으로, 2대의 VTR Ⅱ, Ⅲ의 각종 동작의 조작을 한다.
더빙이 2개의 VTR Ⅱ 및 Ⅲ를 사용해서 행해진다고 가정한다. 첫째, 재생측 VTR Ⅱ은, 전원이 터언온되어, 리모콘 I의 "정상"모드를 선택한다. "A"종류의 시스템 코드를 갖는 리모콘 신호 A(A코드)는 리모콘 I으로부터 송출되고, VTR Ⅱ는 "A"종류로 포매트되도록 초기화된다. 둘째, 기록측 VTR Ⅲ은 터언온되고, 리모콘 I의 "정상"모드에서 "B"종류의 시스템 코드를 갖는 리모콘 신호 B(B코드)는 신호를 송출시키기 위해 리모콘 I을 전환시켜 리모콘 I으로부터 송출된다. 그러므로, 기록측 VTR Ⅲ는 종류 B로 포매트되도록 초기화된다.
이에 따라, 그 이후에, 재생측 VTR Ⅱ은 A코드의 리모콘 신호만을 수신 가능하고, 기록측 VTR Ⅲ은 B코드의 리모콘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각 VTR은 리모콘 I으로부터의 각각의 종류의 시스템 코드를 갖는 리모콘 신호(A코드 혹은 B코드) 밖에는 수신하지 아니하므로, 이와같이 하면, 더빙시에 1대의 리모콘 I에서의 2대의 VTR Ⅱ, Ⅲ의 별도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신이 가능해지는 리모콘 신호의 코드(포맷)을 설정(포매팅)할 수 있는 VTR을 사용하지 않고, 재생측 VTR Ⅱ로서 미리 A코드의 리모콘 신호만이 수신이 가능한 VTR을 사용, 또한, 기록측 VTR Ⅲ로서 미리 B코드의 리모콘 신호만이 수신가능한 VTR을 사용하면, 상기한 각 VTR의 초기 설정(포매팅)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한편의 VTR만에 수신이 가능해지는 리모콘 신호의 코드(포맷)을 설정(포매팅)할 수 있는 VTR을 사용해서, 다른 코드(포맷)의 리모콘 신호가 수신가능해지도록 초기 설정을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같이 2대의 VTR Ⅱ, Ⅲ이 리모콘 I에서의 각각의 종류의 시스템 코드를 갖는 리모콘 신호(A코드 혹은 B코드) 밖에 수신하지 않는 상태, 즉 재생측 VTR Ⅱ이 A코드의 리모콘 신호만을 수신하여, 기록측 VTR Ⅲ이 B코드의 리모콘 신호만을 수신하는 상태로 초기 설정한 후, 더빙을 행하는 경우, 리모콘 I의 편집 모드키를 누르는 것으로, 편집 모드를 설정한다. 이 편집 모드에서 리모콘 I은 하나의 조작키에 의한 조작으로, 리모콘 I내의 마이크로 컴퓨터(1)의 프로그램에 의해 재생측VTR Ⅱ이 수신가능한 A코드의 리모콘 신호 및 기록 VTR Ⅲ이 수신가능한 B코드의 리모콘 신호를 조합해서 순차적으로 조합된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한 하나의 조작키의 종류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송출하는 각 리모콘 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변화시켜서 송출한다. 그래서, 리모콘 I의 하나의 조작키에 의한 조작으로, 재생측 VTR Ⅱ 및 기록 VTR Ⅲ의 각종 동작의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하는 바와는 역으로, 재생측 VTR이 B코드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하고 기록측 VTR Ⅲ이 A코드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가능하도록 하여, 그것에 각각 대응하도록 리모콘 I에서 A/B코드의 리모콘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리모콘 I의 각 키 조작에 의한 송출 코드(리모콘 신호)의 조합 및 그 송출 순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1은 키조작은 그 조작에 의한 송출 코드 순서를 정리하여 표시한 것이다. 표 1중, [P]는 재생측을, [R]기록측을 각각 표시한다(이하, 표 1을 참조).
[표 1]
[편집모드]
Figure kpo00001
① 스탠바이 키를 누른 경우, 재생측 VTR Ⅱ(이하, P이라 약함)을 정지시키기 위한 A코드의 리모콘 신호(이하, 동일한 리모콘 신호를 단지 정지 코드로 표현한다)를 송출하여, 0.5초후에, 기록측 VTR Ⅲ(이하, R이라 약함)에 녹화 일시정지 코드를 송출하여, 또다시 0.5초후에, P에 재생 코드를 송출하여, 또다시, 0.5초후에, P에 재생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한다. 결국, R을 녹화 일시정지 상태로 하여, P를 재생 일시 정지 상태로 한다.
② 일시정지 키를 누른 경우, R에 녹화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여, 0.5초후에, P에 재생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한다.
③ 재생 키를 누른 경우, R에 녹화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여, 0.5초후에, P에 재생 코드를 송출한다.
④ 되감기(써치)키를 누른 경우, R에 녹화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여, 0.5초후에, P에 되감기 코드를 송출한다. 또다시, 되감기(써치)키를 연속하여 누른 경우, P에 0.5초 간격으로 되감는 코드를 계속 송출한다.
⑤ 빨리 보내기(써치)키를 누른 경우, R에 녹화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여, 0.5초후에, P에 빨리 보내기 코드를 송출한다. 또다시, 빨리 보내기(써치)키를 연속해서 누른 경우, P에 0.5초 간격으로 빨리 보내기 코드를 계속 송출한다.
⑥ 속도 증가키를 누른 경우, R에 녹화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여, 0.5초후, P에 스로우모우션시의 속도 증가 코드를 송출한다.
⑦ 속도 감소키를 누른 경우, R에 녹화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여, 0.5초후, P에 스로우모우션시의 속도 감소 코드를 송출한다.
⑧ 인출 키를 누른 경우, R에 녹화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여, 0.5초후, P에 인출 코드를 송출한다. 그래서 테이프 카셋트를 인출한다(이젝트(eject)한다).
⑨ 정지 키를 누른 경우, R에 녹화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여, 0.5초후, P에 정지 코드를 송출한다. 또한 이 경우, 편집 모드는 해제되지 않는다.
⑩ 전원 키를 누른 경우, R에 전원 온/오프 코드를 송출하여, 0.5초후, P에 전원 온/오프 코드를 송출한다.
⑪ 편집 개시키를 누른 경우, P로의 바로 앞의 송출 코드에 의해, 송출 코드 순서가 다르다. 이 경우의 동작을 제3도에 프로우챠트로 표시한다.
a) 직전의 송출 모드가 재생 코드의 경우[제3도의 스텝(10)의 예→스텝(11)의 아니오→스텝(12)], R에 재생 코드를 송출하여[스텝(13)], 녹화 일시 정지를 해제하여, R을 녹화 상태로 한다.
b) 바로 앞의 송출 코드가 일시 정지 코드, 스로우모우션 코드의 경우[제3도의 스텝(10)의 예→스텝(11)의 예], P에 재생 코드를 송출하여[스텝(14)], 0.5초간 대기한 후[스텝(15)], R에 재생 코드를 송출하여[스텝(13)], 녹화 일시 정지 상태를 해제하여, R을 녹화 상태로 한다.
또, 상기의 a), b)의 경우, 써치 코드(되감기 코드, 빨리 보내기 코드)에 계속해서 재생 코드 또는 일시 정지 코드가 송출되며 게다가 이 재생 코드 또는 일시정지 코드의 송출로 부터의 경과시간(Ta)이 5초 미만인 때는[제3도의 스텝(10)의 아니오→스텝(16)], a) 직전의 송출 코드가 재생 코드인 경우에는[스텝(16)의 아니오], P에 재생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고[스텝(17)], 또는 b) 직전의 송출 코드가 일시 정지 코드인 경우엔[스텝(16)의 예], 스텝(17)을 거치지 않고(5-Ta)초간 대기하여서[스텝(10)의 예→스텝(11)의 예], 상기한 바와같이 P에 재생 코드를 송출하여[스텝(14)], 또다시, 0.5초간 대기한 후[스텝(15)], R에 재생 코드를 송출하여[스텝(13)], 녹화 일시 정지 상태를 해제하여, R을 녹화 상태로 한다.
c) 바로앞의 송출 코드가 써치 코드(되감기 코드, 빨리 보내기 코드)인 경우[제3도의 스텝(10)의 아니오→스텝(16)의 아니오], P에 재생 일시 정지 코드를 송출하여[스텝(17)], 5초간 대기하여서[스텝(10)의 예→스텝(11)의 예], 상기한 바와같이 P에 재생 코드를 송출하여[스텝(14)], 또다시, 0.5초간 대기한 후[스텝(15)], R에 재생 코드를 송출하여[스텝(13)], 녹화 일시 정지상태를 해제하여, R을 녹화 상태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하는 바와같이 ⑪ 편집 개시키를 눌러서 편집을 개시할 때에, 바로앞의 송출 코드가 써치코드인 경우, 5초간 대기하여서 기록측 VTR Ⅲ에 리모콘 신호를 송출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하기 때문이다.
즉, 재생측 VTR Ⅱ이 써치 속도로 주행하고 있을 때 재생 영상 신호의 수평 동기 간격을 일정하게 하도록 회전 드럼의 회전수를 변화시키고 있으므로, 재생 영상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가 통상의 영상신호와는 다르며, 재생측 VTR Ⅱ로부터의 영상 신호중의 수직 동기 신호로 서보가 억제되는 기록측 VTR Ⅲ의 회전 드럼 서보는 변화하고 있는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에 로크(lock)하고 있으며, 써치 모드로부터 재생 또는 일시정지, 스로우모우션 모드로 이행한 후, 기록측 VTR Ⅲ의 서보가 로크(lock)할 때까지 약 5초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써치 모드후, 약 5초간은 편집 개시 조작을 행해도 일시 정지등으로 회전 드럼이 로크(lock)할 때까지 대기할 우려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리모콘 I의 하나의 조작키에 의한 조작으로, A코드 및 B코드의 리모콘 신호를 조합해서 순차적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하나의 조작키의 종류에 의해 순차적으로 송출하는 각 리모콘 신호간의 시간간격을 변화시켜서 송출하고 있다.
또한 표 1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편집 모드에 있어서는 ② 내지 ⑨의 각 키를 조작하는 경우, 기록측 VTR Ⅲ은 녹화 일시 정지의 상태대로 되는 조작이 행해져, 재생측 VTR Ⅱ은 각 키의 종류에 대응한 조작이 행해지므로, 재생측 VTR Ⅱ에 있어서 더빙하고 싶은 화면(테이프 위의 신호 기록 장치)을 모니터 텔레비젼을 보면서 찾아내는 조작을 자유로히(기록측 VTR Ⅲ과 독립해서)행할 수가 있다.
또한 편집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재차, 편집 모드키를 눌러, 편집 모드를 해제하여 통상 모드로 한 경우, 기록측 VTR Ⅲ이 수신이 가능한 코드(이 경우는 B코드)의 리모콘 신호만이 리모콘 I의 조작키(단, ①스탠바이키 및 ①1 편집 개시키 이외의 조작키)에 의한 조작으로 송출된다. 따라서,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기록측 VTR Ⅲ만의 조작이 가능해지며, 모드의 전환만으로, 재생측 VTR Ⅱ 혹은 기록측 VTR Ⅲ의 조작 전환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이루는 리모콘 장치에 의하면, 2종류의 리모콘 신호를 일부러 전환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조작키에 의한 조작으로, 각 리모콘 신호가 수신 가능한 재생 장치 혹은 기록 장치에 자동적으로 2종류의 리모콘 신호를 조합해서 순차적으로 송출하므로 조작이 간단해져, 오조작이 어렵게 된다.
또다시, 송출되는 각 리모콘 신호간의 시간 간격이 조작키의 종류에 의해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재생 장치와 기록 장치를 사용한 더빙시, 예를들자면 써치 동작 직후에 회전 드럼, 캡스턴 등의 동작이 안정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그들이 안정되어서 다음의 동작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더빙 조작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편집 모드시 재생 장치의 각종 동작의 조작을 할 수가 있어, 통상 모드시 기록 장치의 각종 동작의 조작을 행할 수가 있게 되어, 더욱이 편집 모드와 통상 모드의 전환 조작만으로, 상기한 재생 장치 혹은 기록 장치의 각종 동작의 조작 전환이 가능해지므로, 예를들자면 더빙시 기록 장치에서 기록 신호의 상태의 확인을 위한 조작에 용이하게 이동할 수가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최소한 재생 기능을 갖는 재생 장치에 의하여 수신가능한 소정 포맷의 제1리모콘 신호 및 최소한 기록 기능을 갖는 기록 장치에 의해 수신가능하고 상기 제1리모콘 신호의 포맷과 상이한 다른 포맷의 제2리모콘 신호와 같은 2종류의 리모콘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재생 장치 및 상기 기록 장치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는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조작키에 의해 조작으로, 상기 제1리모콘 신호 및 상기 제2리모콘 신호를 조합해서 순차적으로 조합된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하나의 조작키에 의해 순차적으로 송출되는 조합된 신호를 각 리모콘 신호간의 시간 간격을 변화시켜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2. 최소한 재생 기능을 갖는 재생 장치에 의하여 수신가능한 소정 포맷의 제1리모콘 신호, 및 최소한 기록 기능을 갖는 기록 장치에 의해 수신가능하고, 상기 제1리모콘 신호의 포맷과 상이한 다른 포맷의 제2리모콘 신호와 같은 2종류의 리모콘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재생 장치 및 상기 기록 장치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는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조작키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신호를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되게 하는 편집 모드 및 상기 편집 모드시 이외의 통상 모드를 전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편집 모드시에는 상기 재생 장치의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상기 제1리모콘 신호를 최소한 송출하고, 상기 통상 모드시에는 상기 기록 장치의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상기 제2리모콘 신호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KR1019890015017A 1988-10-26 1989-10-19 리모콘 장치 KR940001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0047 1988-10-26
JP63270047A JPH0727666B2 (ja) 1988-10-26 1988-10-26 リモコ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77A KR900007177A (ko) 1990-05-09
KR940001881B1 true KR940001881B1 (ko) 1994-03-10

Family

ID=1748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017A KR940001881B1 (ko) 1988-10-26 1989-10-19 리모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55937A (ko)
JP (1) JPH0727666B2 (ko)
KR (1) KR940001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618A (en) * 1990-06-29 1993-01-05 Go-Video, Inc. Dual deck vcr and duplicating circuit therefor
JPH0731842B2 (ja) * 1990-07-20 1995-04-10 橋本コーポレイション株式会社 反復再生機能付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US5796538A (en) * 1990-11-12 1998-08-18 Daewoo Electronics Co., Ltd. Multi-deck video cassette recorder system
US5239540A (en) * 1990-11-27 1993-08-24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communicating digital data signals with corresponding program data signals which describe the digital data signals
US5446551A (en) * 1991-04-13 1995-08-29 Sony Corporation Tape duplicating apparatus
JP3104192B2 (ja) * 1991-05-20 2000-10-30 ソニー株式会社 遠隔制御装置
US5426534A (en) * 1991-10-31 1995-06-20 Sony Corporation Multiple-deck magnetic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er
JPH06342580A (ja) * 1993-05-31 1994-12-13 Sony Corp 編集装置
KR960012691B1 (ko) * 1993-12-31 1996-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2화면 영상기록 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0186109B1 (ko) * 1995-03-23 1999-04-15 구자홍 브이씨알의 이중화면 처리장치
US5953481A (en) * 1996-01-08 1999-09-14 Canon Kabushiki Kaish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editing function
KR100263166B1 (ko) * 1997-09-30 2000-08-01 윤종용 촬영신호 전송방법 및 전송장치
WO2000042766A1 (en) * 1999-01-13 2000-07-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system
US7177633B2 (en) * 2003-02-04 2007-02-13 Canon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metho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3618A (en) * 1981-09-24 1985-09-24 Olympus Optical Company Limited Tape recorder
JPS60174381U (ja) * 1984-04-27 1985-11-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JPS61187142A (ja) * 1985-02-15 1986-08-20 Sanyo Electric Co Ltd ダブルカセツトvtrの遠隔制御装置
JPS62195997A (ja) * 1986-02-24 1987-08-29 Sharp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18940A (ja) 1990-05-07
US5055937A (en) 1991-10-08
KR900007177A (ko) 1990-05-09
JPH0727666B2 (ja) 1995-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881B1 (ko) 리모콘 장치
KR100428395B1 (ko) 싱크로더빙시스템 및 방법
US4649442A (en) Automatic program selector of a video tape recorder
KR100314927B1 (ko) 편집장치
JP2514056Y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5790498A (en) Apparatus for self-recording a compact disk reproduced signal on a video tap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compact disk player complex system
EP0423356B1 (en) Video tape recording system with dubbing function and remote control transmitter therefor
JP346047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110357A (ja) 記録再生装置
JP3703151B2 (ja) 編集システム、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の制御方法
EP0466385B1 (en) Copy timing control circuit for double-deck video cassette recorder
KR960005924B1 (ko) 영상기록재생기를 이용한 텔리비젼의 동작제어 방법
JPH0479054A (ja) 反復再生機能付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US5253127A (en) Video tape recorder having a special demagnetizing function
JP3529406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信号供給装置
JPS60223048A (ja) 磁気記録装置
JPH0287349A (ja) 再生装置
JPH07161095A (ja) オート巻戻し及び再生機能を有する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
KR0146455B1 (ko) 기존녹화물에 대한 데이터 검색 및 검색결과 기록기능을 갖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JPH0619187U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の編集装置
JPH0413259A (ja) マスター及びスレーブテープを有するvtrの駆動装置
JPH066060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90051240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기능키 록킹 방법
KR19980018110U (ko) 연속재생 되감기 화면표시 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JPH0656674B2 (ja) Vtrのプログラムスキ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