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42B1 - 차량 헤드램프용 디머 · 패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헤드램프용 디머 · 패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42B1
KR940000042B1 KR1019860005972A KR860005972A KR940000042B1 KR 940000042 B1 KR940000042 B1 KR 940000042B1 KR 1019860005972 A KR1019860005972 A KR 1019860005972A KR 860005972 A KR860005972 A KR 860005972A KR 940000042 B1 KR940000042 B1 KR 94000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dimmer
optical
stat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067A (ko
Inventor
다다시 이와모또
도시끼 이께다
가즈오 유끼또모
마사이찌 하또리
가네야스 아라까와
고이찌 기히라
아끼라 하나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리까 덴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리까 덴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리까 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 헤드램프용 디머ㆍ패싱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디머ㆍ패싱 장치를 도시하는 전기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릴레이 1a : 릴레이 스위치
2 : 디머 릴레이 2a : 전달 릴레이 스위치
3 : 헤드램프 3a : 저빔 필라멘트
3b : 고빔 필라멘트 4 : 광 스위치
5 : 순간 제어 스위치 7 : 랫치 회로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용 디머ㆍ패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램프의 빛의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머 제어를 제공하고, 통과시 헤드램프가 깜박이도록 설계된 패싱 제어를 제공하는 디머ㆍ패싱장치(dimmer pass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형의 차량용 디머ㆍ패싱 장치는 제어 스위치가 그것이 동작될때마다 헤드램프의 고빔 상태를 저빔 상태로 교대로 스위칭하는데 사용되는 디머ㆍ패싱 제어를 위한 순간 스위치를 이미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 스위치는 기계적 랫치기구를 사용하였는데, 이 기구는 보다 느린 제어 스트로크(stroke)와 낮은 제어 감도를 나타내었다. 랫치기구는 구성상 비교적 복잡하며 장기간 사용시에는 신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랫치기구가 설치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큰 면적을 필요로 하며, 전체 장치의 설계에 있어서 자유로움이 제한되고 제어 스위치가 수행하는데 대단위의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점이다.
상기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가된 제어감도, 개선된 신뢰도를 제공하고, 장치의 구성을 설계함에 있어서 보다 자유롭게 해주는 비교적 작은 설치 공간을 이용하는 디머ㆍ패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기술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별히 지적된 수단 및 조합에 의해서 실현 및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기서 구체화되고 명백히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머ㆍ패싱 장치가 온 및 오프 상태로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한 광 스위치와, 온 및 오프 상태로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한 순간 제어 스위치와, 헤드램프의 저빔부와 고빔부중 하나를 활성화시키도록 구동될때 동작되는 광 릴레이와, 광 스위치의 온 상태에 응답하여 광 릴레이를 작동시키기 위해 광 릴레이를 광 스위치에 접속시키는 제1회로 수단과, 순간 제어 스위치의 온 상태에 응답하여 광 릴레이를 작동시키기 위해 광 릴레이를 순간 제어 스위치에 접속시키는 제2회로 수단과, 순간 제어 스위치의 온 상태에 응답하여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되도록 동작하는 내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랫치 회로 수단과, 광 릴레이가 저빔부를 활성화시키도록 제1위치로 동작하고 광 릴레이가 고빔부를 활성화시키도록 제2위치로 동작하는 디머 릴레이, 및 내부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때 디머 릴레이를 제2위치로 동작시키며, 디머 릴레이가 제1위치로 동작되고 내부 스위칭 소자가 오프 상태일때는 광 릴레이가 저빔부를 활성화하도록 동작시키는 제3회로 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명세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에는, 통상적으로 개방된 릴레이 스위치(1a)를 갖는 광 릴레이(1)와, 전달 릴레이 스위치(2a)를 갖는 디머 릴레이(2), 및 저빔 필라멘트(3a)와 고빔 필라멘트(3 b)를 갖는 헤드램프(3)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빔 필라멘트(3 a)는 릴레이 스위치(1a)와, 릴레이 스위치(2a)의 통상적인 단락 측인 접점(c-b)을 통해 배터리의 정 전원 공급 단자(+)로부터의 전압에 의해 활성화되는 반면에, 고빔 필라멘트(3b)는 릴레이 스위치(1a)와, 릴레이 스위치(2a)의 통상적인 개방측인 접점(c-a)을 통해 활성화된다.
상기 전기 회로는, 또한 광 릴레이(1)의 여자 코일(1b)이 광 스위치(4)의 온 및 오프 상태에 따라 연동식으로 활성 및 비활성되도록 배열된 광 스위치(4)와, 접지 단자에 접속된 한 단자와 다이오드(6) 및 여자 코일(1b)을 통해 정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된 다른 단을 가진 단일형 접점을 갖는 순간 제어 스위치(5)와, 스위칭 소자로서 작용하는 npn 트랜지스터(8), npn 트랜지스터(9), pnp 트랜지스터(10), 다이오드 (11, 12 및 13), 캐패시터(14a,14b 및 15), 및 레지스터(16,17,18,19,20,21 ,22 및 23)을 갖는 랫치 회로(7)를 포함한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A는 디머 릴레이(2)의 여자 코일(2b) 및 광 릴레이(1)의 릴레이 스위치(1a)를 통하여 정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된다. 단자 B는 릴레이 스위치(1a)를 통하여 정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된다. 단자 C는 접지 단자에 접속된다. 단자 D는 제어 스위치(5)와 다이오드(6)사이의 노드에 접속된다. 랫치 회로 (7)에 있어서, 캐패시터(14a, 14b) 각각의 용량 및 레지스터(16 내지 20)의 저항은 캐패시터(14b)를 충전 및 방전시키는 시정수가 예컨대 캐패시터(14a)를 충전 및 방전시키는 시정수보다 약 10배 정도 크도록 세트된다.
제1도에서 도시된 회로의 동작에 관해서 지금부터 기술하고자 한다. 광 스위치 (4)가 턴온될때, 광 릴레이(1)의 여자 코일(1b)이 활성화되어 릴레이 스위치 (1a)를 턴온시킨다. 광 스위치(4)가 먼저 턴온될때, 디머 릴레이(2)의 여자 코일(2b)은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며, 릴레이 스위치(2a)의 접점(c-b)은 폐쇄되는데 이것은 랫치 회로(7)안의 트랜지스터(8)가 오프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헤드램프(3)의 저빔 필라멘트 (3a)가 활성화되고 헤드램프(3)는 낮은 광빔을 발생한다.
만일 헤드램프(3)가 저빔 상태인동안 제어 스위치(5)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 (10)는 레지스터(18 및 19)를 통하여 캐패시터(14a)내로 유입하는 충전 전류에 의해 턴온된다. 그후 트랜지스터(8 및 9)는 연속적으로 턴온되고, 트랜지스터(9)가 턴온될때, 트랜지스터(10 및 8)는 제어 스위치(5)가 턴오프되어진 후에도 온상태를 유지한다. 결국, 디머 릴레이(2)의 여자 코일(2b)은 광 릴레이(1)의 릴레이 스위치(1a) 및 트랜지스터(8)를 통해 활성화되고 디머 릴레이(2)의 릴레이 스위치(2a)의 접점(c-a)은 폐쇄된다. 그후 헤드램프(3)의 고빔 필라멘트(3b)는 활성화되고 헤드램프(3)는 높은 광빔을 발생한다.
그러나, 제어 스위치(5)가 턴오프된 후에는, 캐패시터(14a 및 14b)는 극성이 반대로 충전된다(각각, 다이오드(11)측에서 정전위를 갖음). 따라서, 만일 제어 스위치 (5)가, 헤드램프(3)가 고빔 상태인 동안 턴온되면, 캐패시터(14b)는 레지스터 (21)측에서 부전위를 갖게 되어 트랜지스터(9)를 턴오프시키고, 따라서 트랜지스터 (10 및 8)를 연속적으로 턴오프시킨다. 디머 릴레이(2)의 여자 코일(2b)이 비활성됨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2a)의 접점(c-b)은 폐쇄되고 헤드램프(3)는 다시 낮은 광빔을 발생시킨다. 캐패시터(14b)를 충전 및 방전시키는 시정수가 캐패시터(14a)의 시정수보다 큰 값으로 세트되기 때문에, 캐패시터(14a)는 트랜지스터(9)가 오프되는 동안에 레지스터(18 및 19)를 통해 충전되며 트랜지스터(10)는 제어 스위치(5)가 계속 온으로 유지될지라도 턴온되지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트랜지스터(8,9 및 10)는 제어 스위치(5)의 온 동작에 따라 오프 상태로 복원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헤드램프(3)는 광 스위치(4)가 온으로 유지되는 동안, 제어 스위치(5)가 턴온될때 마다 교대로 높고 낮은 광빔을 발생하게 된다. 광 스위치(4)가 턴오프 될때, 광 릴레이(1)의 여자 코일(1b)은 비활성화되고 구동되지 않으므로 릴레이 스위치(1a)는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헤드램프(3)는 그것으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턴오프되며 랫치 회로(7)로의 전원 공급도 중단된다.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8,9 및 10)는 오프 상태로 복귀된다.
대신, 광 스위치(4)가 오프로 유지되는 동안 제어 스위치(5)가 동작되어 온으로 유지될 경우, 광 릴레이(1)의 여자 코일(1b)은 제어 스위치(5) 및 다이오드(6)를 통하여 활성화 되며, 릴레이 스위치(1a)는 턴온된다. 동시에, 랫치 회로(7)안의 트랜지스터 (8,9 및 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턴온되고, 디머 릴레이(2)의 여자 코일(2b)이 활성됨으로써 릴레이 스위치(2a)의 접점(c-a)을 패쇄시킨다. 헤드램프(3)의 고빔 필라멘트 (3b)가 활성화되고 헤드램프(3)는 높은 광빔을 발생한다. 이러한 동작은 패싱 제어를 발생하는데, 즉, 헤드램프(3)는 제어 스위치(5)의 턴온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깜박이게 된다.
상시 실시예에 있어서, 랫치 회로(7) 및 디머 릴레이(2)가 랫치 기구로 장비된 종래의 제어 스위치 대신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속의 제어 스트로크로 접점 스위칭 작용을 하는 제어 스위치(5)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제어 감도를 개선시킨다. 랫치기구와 같은 기계적 성분이 사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장치에 대한 신뢰도가 개선된다. 디머 릴레이(2) 자체의 면적이 비교적 작고 랫치 회로(7)와 분리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는 작은 설치 면적을 필요로 하며 구성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보다 자유롭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광 스위치(4)가 턴온될때 헤드램프(3)가 낮은 광빔을 발생시키며 반대편 레인에 있는 자동차 기사는 예고없이 발생하는 불라인드(blindness)로 부터 보호될 것이다. 헤드램프(3)가 패싱 동작중에 높은 광빔을 발생시키므로, 개선된 패싱 기능이 항상 얻어지게 된다.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차량 헤드램프용 디머ㆍ패싱 장치는 개선된 제어 감도 및 신뢰도와 이러한 디머ㆍ패싱 장치이 구성을 설계함에 있어서 보다 자유로움을 갖는 실용적이고 유용한 결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은 본 기술에 능숙한 사람에게는 본 발명의 디머ㆍ패싱 장치에 대한 여러 수정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수정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가능하다.

Claims (4)

  1. 차량의 헤드램프용 디머ㆍ패싱 장치로서, 온 및 오프 상태로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한 광 스위치와, 온 및 오프 상태로 선택적으로 동작가능한 순간 제어 스위치와, 상기 헤드램프의 저빔부 및 고빔부중 하나를 활성시키도록 구동될때 동작하는 광 릴레이와, 상기 광 스위치의 온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광 릴레이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광 릴레이를 상기 광 스위치에 접속하는 제1회로 수단과, 상기 순간 제어 스위치의 온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광 릴레이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광 릴레이를 상기 순간 제어 스위치에 접속하는 제2회로 수단과, 상기 순간 제어 스위치의 온 상태에 응답하여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되도록 동작하는 내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랫치 회로 수단과, 상기 광 릴레이가 상기 저빔부를 활성화시키도록 제1위치로 동작하고 상기 광 릴레이가 상기 고빔부를 활성화시키도록 제2위치로 동작하는 디머 릴레이 및, 상기 내부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때는 상기 디머 릴레이를 상기 제2위치로 동작시키고, 상기 디머 릴레이가 상기 제1위치로 동작되고 상기 내부 스위칭 소자가 오프 상태일때는 상기 저빔부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광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제3회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램프용 디머ㆍ패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랫치 회로는 상기 광 릴레이가 비활성화될때 상기 내부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복원시키도록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램프용 디머ㆍ패싱 장치.
  3. 차량용 디머ㆍ패싱 장치로서, 고광빔용 제1필라멘트와 저광빔용 제2필라멘트를 가진 헤드램프와, 상기 제1필라멘트 및 상기 제2필라멘트중 하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구동될때 동작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순간 제어 스위치 수단이 턴온될때만 상기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순간 제어 스위치 수단과, 상기 순간 제어 스위치 수단이 턴온될때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내부 스위칭 소자를 가진 랫치 회로, 및 상기 내부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고 상기 릴레이가 온인동안은, 상기 고광빔용 상기 제1필라멘트를 작동시키고, 상기 내부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될때는 상기 저광빔용 상기 제2필라멘트를 작동시키는 디머 릴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머ㆍ패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랫치 회로의 상기 내부 스위칭 소자는 상기 릴레이가 비활성될때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머ㆍ패싱 장치.
KR1019860005972A 1985-07-24 1986-07-23 차량 헤드램프용 디머 · 패싱장치 KR940000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13500 1985-07-24
JP113500 1985-07-24
JP1985113500U JPH0216909Y2 (ko) 1985-07-24 1985-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067A KR870001067A (ko) 1987-03-11
KR940000042B1 true KR940000042B1 (ko) 1994-01-05

Family

ID=1461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972A KR940000042B1 (ko) 1985-07-24 1986-07-23 차량 헤드램프용 디머 · 패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83403A (ko)
JP (1) JPH0216909Y2 (ko)
KR (1) KR940000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697A (en) * 1986-07-25 1988-03-29 Robinson Melvis I Motor vehicle tail light assembly with dimmer controller
USRE35686E (en) * 1986-07-25 1997-12-09 Robinson; Melvis I. Motor vehicle tail light assembly with dimmer controller
US4727290A (en) * 1987-05-29 1988-02-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vehicle headlamp dimming control
US5120981A (en) * 1989-11-28 1992-06-09 Robert Cope Windshield wiper system activated lighting
US5124549A (en) * 1990-10-15 1992-06-23 Lectron Products, Inc. Automatic headlamp dimmer with optical baffle
DE4341058C1 (de) * 1993-12-02 1995-04-27 Daimler Benz Ag Lichtsteuer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H0736666U (ja) * 1993-12-21 1995-07-11 辰裕 山下 釣り糸水切り具
US6281631B1 (en) * 1998-12-14 2001-08-28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Vehicle light system circuit which automatically compensates for a light source failure
DE10246011A1 (de) * 2002-10-02 2004-04-15 Chin-Fa Yen HID-Lichtemissionseinzelpunktleuchtrohr- Schaltvorrichtung das Verfahren derselben
JP5337685B2 (ja) * 2009-12-21 2013-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レー励磁コイルの発熱抑制回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1981A (en) * 1948-09-03 1951-10-16 Roy G Wensel Headlight control
JPS4218251Y1 (ko) * 1966-04-04 1967-10-23
US3671802A (en) * 1971-02-05 1972-06-20 Gen Motors Corp Vehicle headlight control circuit using an auxiliary contact on the dimmer switch
JPS5242619A (en) * 1975-10-01 1977-04-02 Kajima Corp Precast concrete dressed molded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2142U (ko) 1987-02-10
JPH0216909Y2 (ko) 1990-05-10
US4683403A (en) 1987-07-28
KR870001067A (ko) 198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662A (en) Vehicle power window control circuit
KR940000042B1 (ko) 차량 헤드램프용 디머 · 패싱장치
US6700432B2 (en) Two-terminal switch circuit and voltage threshold responsive circuit component
WO2001054262A9 (en) Railway switch machine motor control apparatus
KR910005607B1 (ko) 접점 폐쇄용 펄스 발생기를 갖고 있는 릴레이 회로
US4425535A (en) Erroneous start preventing device for battery-powered vehicle
KR900004826B1 (ko) 와이퍼 모타용 구동제어장치
EP0006287B1 (en) Master-slave flip-flop circuits
GB2075297A (en) Circuit for an electronic switch for high load currents, particularly for the light circuit of motor vehicles
KR830002432Y1 (ko) 축전차(畜電車)의 콘트롤라
KR200183344Y1 (ko) 와이퍼 구동회로
JPS5842971B2 (ja) 近接スイッチ
KR870001209Y1 (ko) 릴레이 등이 작동 안정전류 유지 제어회로
JPS5845147Y2 (ja) ダンセンケンシユツソウチ
KR950010344Y1 (ko) 자동차도어 자동 개폐회로
JPS6042487Y2 (ja) パワ−アンテナ
JPS6330867Y2 (ko)
KR200164557Y1 (ko) 자동차도어자동개폐회로
JPH08223954A (ja) 駆動装置の定位置停止装置
JPS62264530A (ja) 単巻線ラツチング型電磁リレ−の駆動回路
JPH10119645A (ja) ドアミラー駆動回路
SU1293048A1 (ru) Прерыватель указател поворот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592955A (ja) 自動車の電装負荷の異状警報装置
JPS5820477B2 (ja) センコウホウデンカンハツコウソウチ
JP2001322490A (ja) 車両用ラン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