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26B1 - 광도파로 - Google Patents

광도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26B1
KR940000026B1 KR1019900005766A KR900005766A KR940000026B1 KR 940000026 B1 KR940000026 B1 KR 940000026B1 KR 1019900005766 A KR1019900005766 A KR 1019900005766A KR 900005766 A KR900005766 A KR 900005766A KR 940000026 B1 KR940000026 B1 KR 94000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light
clad
optical waveguid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359A (ko
Inventor
레쯔오 후쿠시마
켕이찌로 스에쯔구
무네카즈 니시하라
준지 이께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02B6/0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 G02B6/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with fibre bundle in form of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9Optical or photographic arrangements structurally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the vessel
    • H01J29/892Optical or photographic arrangements structurally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the vessel using fibre op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도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광도파로의 사시도.
제2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도파로를 응용한 이미지센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광도파로의 사시도.
제4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도파로를 응용한 이미지센서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광파이버 시이트의 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종래의 고분자 광파이버시이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코어 9 : 클래드의 잘린 부분
11 : 광도파로 12 : 코어끝면
19 : 원고(原稿) 20 : 코어
21 : 클래드 22 : 투명클래드
23 : 광도파로 23 : 코어끝면
31 : 원고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이미지센서에 사용하는 광도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팩시밀리의 영상입력등에 사용되는 광학계로서, 굴절률 분포형 렌즈어레이(SLA)를 사용한 것, 광파이버 어레이를 사용한 것 등이 있으나, 굴절률 분포형 렌즈어레이는 제조공정이 복잡하므로 고가이고, 광파이버 어레이를 사용한 것은 조명방법 등에 문제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종래의 화상입력용의 광학계중에서 광파이버 어레이를 사용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제1종래예의 화상 입력용의 파이버시이트이며, (1)은 코어, (2)는 클래드, (3) : 은 흡수층이다. 이 파이버시이트는 흡수층(3)이 있기 때문에 방해광 또는 누파광에 의한 화상의 분해능, 콘트라스트의 저하등은 없으나, 파이버를 바르게 배열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아진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제6도는, 제1종래예의 결점인 높은 비용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파이버시이트(일본국 특개소 54-88143호 공보 참조)이며, 제6도에 있어서 (4)는 코어, (5)는 클래드, (6)은 산란체이다. 이 제조방법은 중합성단량체(重合性單量體)를 함침시킨 고분자 필름시이트에, 포토마스크를 포개서 노광 또는 전자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점조사선원열(點照射線源列)로부터 광 또는 전자선을 주사함으로서,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중합시킨후, 미반응단량쳬를 제거함으로서 얻어진다. 이때, 중합조건의 제어, 열처리등에 의해, 클래드(5)내에 다수의 산란체(6)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파이버시이트는 방해광 또는 누파광에 의한 화상의 분해능,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없고, 또한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에서는, 제6도중, A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X방향으로는 누출하지 않고 전체 반사하면서 B면으로 향하나, Z방향으로는 누출해 버리기 때문에, 전송효율의 저하를 생각할 수 있다. 또, 효율향상을 위해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버시이트의 측변에 클래드층(5a), (5b)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 클래드층(5a), (5b)는, 방해광(외부로부터의 광 및 조명 광원의 광)을 차폐하기 위한 차광층이 필요하나, 그 경우, 조명광이 원고면에 도달하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점에 비추어, 방해광, 누파광에 의한 화상의 분해능, 콘트라스트의 저하등이 없고, 또한, 원고면의 조명이 가능하며, 또 낮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광도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도파로는 굴절률이 큰 투명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막대형상의 코어가 1렬로 정열되고, 코어의 바깥둘레에는 굴절률이 작고, 광을 흡수 혹을 산란시킬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클래드가 형성되고, 광입사쪽 끝부분에 있어서 코어의 측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고 하는 구성을 생각한 것이다.
또, 광입사쪽의 끝부분에 있어서 코어의 측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대신에 클래드의 일부를 투명하게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입사쪽의 코어면 바로아래의 원고를 양호하게 조명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효율이 높고, 화상의 분해능, 콘트라스트의 저하등이 없는 광도파로를 얻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광도파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1도에 있어서, (8)은 코어, (9)은 클래드, (9a)는 흡수체, (10)은 원고쪽의 B면의 코어(8) 바로아래의 원고를 조사(照射)하기 위하여 형성된 잘린 부분이다.
제2도에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광도파로를 광학계로서 조립해 넣은 이미지 센서유니트의 단면도이며, 제2도에 있어서, (11)은 광도파로, (12)는 광입사쪽의 코어끝면, (13)은 광전변환센서, (14)는 센서회로기판, (15)는 LED어레이, (16)은 기대(基台), (17)은 기판고정 비스, (18)은 차광커버, (19)는 원고이다.
이미지센서로서 화상의 판독을 행할 경우, LED 어레이(15)로부터의 조명광(도시하지 않음)이, 클래드(9)의 잘린 부분(10)으로부터 코어(8)에 입사하여, 코어끝면(12) 바로아래의 원고(19)를 조사하고, 그 반사광이, 재차 코어끝면(12)로부터 입사하여, 코어(8)내를 전체 반사를 반복하면서 광전변환센서(13)에 인도됨으로서, 원고(19)의 정보가 광전변환센서(13)에 전달된다. 이때, 클래드(9)에는, 광의 산란체(9a)(제1도에 도시)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방해광 또는 누파광에 의한 화상의 분해능 저하, 콘트라스트의 저하도 발행하지 않고, 양호한 화상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굴절률이 큰 투명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타원형상의 코어(8)이 1렬로 정렬되고, 코어(8)의 바깥둘레에는 굴절률이 작고, 광을 흡수 혹은 산란시킬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클래드(9)가 형성되고, 광입사쪽 끝부분에 있어서, 클래드(9)의 잘린 부분(10)에서 코어의 측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음으로서, 양호하게 원고(19)의 조사가 가능하게 되고, 방해광 또는 누파광에 의한 화상의 분해능 저하,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없는 양호한 화상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광도파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3도에 있어서, (20)은 코어, (21)은 클래드, (21a)는 흡수체, (22)는 원고쪽의 C면의 코어(20) 바로아래의 원고를 조사하기 위하여 형성된 투명수지로 이루어진 투명클래드이다.
제4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광도파로를 광학계로서 조립해 넣은 이미지 센서유니트의 단면도이며, 제4도에 있어서, (23)은 광도파로, (24)는 광입사쪽의 코어끝면, (25)는 광전변환센서, (26)은 센서회로기판, (27)는 LED어레이, (28)은 기대(基台), (29)는 기판고정 비스, (30)은 차광커버, (31)은 원고이다.
이미지센서로서 화상의 판독을 행할 경우, LED어레이(27)로 부터의 조명광(도시하지 않음)이, 투명클래드(22)로부터 코어(8)으로 입사하여, 코어끝면의 바로아래의 원고(31)를 조사하고, 그 반사광이 재차 코어끝면(24)로부터 입사하여, 코어(20)내를 전체 반사를 반복하면서 광전변환센서(25)에 인도됨으로서 원고(31)의 정보가 광전변환센서에 전달된다. 이때 클래드(21)에는 광의 산란체(21a)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방해광 또는 누파광에 의한 화상의 분해능 저하, 콘트라스트의 저하 등이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화면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굴절률이 큰 투명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막대형상의 코어(20)이 1렬로 정렬되고, 코어(20)의 바깥둘레에는 굴절률이 작고, 광을 흡수 혹은 산란시킬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클래드(21)이 형성되고, 원고(31)쪽의 클래드의 일부가 투명클래드(2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호하게 원고(31)의 조사가 가능해지고, 방해광 또는 누파광에 의한 화상의 분해능 저하,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없는 양호한 화상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방식에서는, 원고면쪽 및 센서면쪽의 끝면 이외에는 코어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신뢰성도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중에서, 광도파로의 코어면과 원고의 접촉이 있는 경우, 코어면의 마모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원고와 접촉하는 코어면위에 하아드 코우트제의 코우팅이나, 마이크로 시이트 글라스의 첨부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어 및 클래드의 재료 및 흡수체의 재료는, 예를들면 코어에는, 폴리카아보네이트, 에폭시계, 아크릴계의 수지 혹은 글라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클래드에는, 폴리카아보네이트, 에폭시계, 아크릴계의 수지로서, 혹은 글라스로서 코어보다 굴절률이 낮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클래드의 흡수체의 형성은 각종의 흡수체의 혼입하나, 중합반응의 제어에 의한 재료의 백탁화(白濁化)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굴절률이 큰 투명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타원형상의 코어가 1렬로 정렬되고, 코어의 바깥둘레에는 굴절률이 작고, 광을 흡수 혹은 산란시킬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클래드가 형성되고, 광입사쪽 끝부분에 있어서 코어의 측면의 일부가 노출 또는 투명함으로서, 양호하게 원고면의 조사가 가능해지고, 방해광 또는 누파광에 의한 화상의 분해능 저하,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없는 양호한 화상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 투명클래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원고면쪽 및 센서면쪽의 끝면 이외에는 코어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신뢰성도 향상된다.

Claims (1)

  1. 굴절률이 큰 투명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막대형상의 코어가 1렬로 정렬되고, 코어의 바깥둘레에는 굴절률이 작고, 광을 흡수 혹은 산란시킬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클래드가 형성되고, 광입사쪽 끝부분에 있어서 코어의 측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KR1019900005766A 1989-04-24 1990-04-24 광도파로 KR940000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3890 1989-04-24
JP1103890A JPH02282206A (ja) 1989-04-24 1989-04-24 光導波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359A KR900017359A (ko) 1990-11-16
KR940000026B1 true KR940000026B1 (ko) 1994-01-05

Family

ID=1436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766A KR940000026B1 (ko) 1989-04-24 1990-04-24 광도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52776A (ko)
JP (1) JPH02282206A (ko)
KR (1) KR940000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1803A (en) * 1990-11-26 1994-01-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662105B2 (ja) * 1991-04-08 1997-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密着型センサおよびイメージスキャナならびにファクシミリ
US5319731A (en) * 1992-10-02 1994-06-07 Eastman Kodak Company Fiber-optic array of limited acceptance angle
KR0137190B1 (ko) * 1992-12-03 1998-04-28 모리시타 요이찌 완전밀착형이미지센서 및 완전밀착형이미지센서유닛
US5604830A (en) * 1994-12-22 1997-02-18 Hoechst Celanese Corp. Multiple fiber connector for injection molded multiple fiberoptic coupler unit and cladding for same
WO1996041331A1 (en) * 1995-06-07 1996-12-19 Gregory Barrington, Ltd. Free-vision three-dimensional image with enhanced viewing
DE19544501A1 (de) * 1995-11-29 1997-06-05 Boehringer Mannheim Gmbh Vorrichtung für Lichtreflexionsmessungen
US8704803B2 (en) * 2004-08-27 2014-04-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display device
JP5789527B2 (ja) * 2012-01-18 2015-10-07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発振制御方法
JP6712718B2 (ja) * 2016-03-17 2020-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導波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3660A (en) * 1971-08-19 1972-11-21 Corning Glass Works Photochromic fiber optic image storage device
US3797910A (en) * 1971-09-14 1974-03-19 Corning Glass Works Fiber optic device having some fibers clad with absorbing glasses
JPS5933009U (ja) * 1982-08-24 1984-02-29 旭硝子株式会社 光学フアイバ−アレイプレ−ト
JPH025104A (ja) * 1988-06-23 1990-01-10 Fanuc Ltd 演算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82206A (ja) 1990-11-19
KR900017359A (ko) 1990-11-16
US5052776A (en) 199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9043B2 (ja) 面状照明装置
CA2301610C (en) Image sensor board and image sensor using the same
KR940000026B1 (ko) 광도파로
KR20010085460A (ko) 면 광원장치
JPH11134918A (ja) 線状照明装置
KR20150084904A (ko) 화상 판독 장치
KR19980079882A (ko) 선상 빔 출사장치
JPWO2006049206A1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み取り装置
CA2467400C (en) Focusing fiber optic
KR940007678B1 (ko) 화상판독장치
JP3987838B2 (ja) 線状照明装置
US5198655A (en) Image reading device having a light waveguide means widened toward an end nearest to an image surface
US4739168A (en) X-ray det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S63314963A (ja) 原稿照明装置
JPH10190944A (ja) 画像入力装置
US5113470A (en) Optical wave guide sheet comprising plurality of doubly-clad core members with light scatterers in outer cladding
US4671612A (en) Optical fiber array plate
US5319731A (en) Fiber-optic array of limited acceptance angle
JP3100112B2 (ja) 導波路型縮小イメージセンサ
JP2001330734A (ja) 導光体、ライン照明装置及び画像入力装置
JP2001257835A (ja) イメージセンサ
JP2009032535A (ja) 線状光源装置
JPH07203129A (ja)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2000048616A (ja) 導光体、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KR920005194B1 (ko) 화상판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