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629B1 -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섬유웨브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보강제품 - Google Patents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섬유웨브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보강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629B1
KR930011629B1 KR1019860000568A KR860000568A KR930011629B1 KR 930011629 B1 KR930011629 B1 KR 930011629B1 KR 1019860000568 A KR1019860000568 A KR 1019860000568A KR 860000568 A KR860000568 A KR 860000568A KR 930011629 B1 KR930011629 B1 KR 93001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pheres
web
fibrous web
fibrous
exp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847A (ko
Inventor
폴 기일 아담
Original Assignee
랜토 비. 브이.
안드리스 쿠이즈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8454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116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랜토 비. 브이., 안드리스 쿠이즈만 filed Critical 랜토 비. 브이.
Publication of KR86000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 D04H1/6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the form of fo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2High modulus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26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ceramic, glass, porcelain or quartz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92Density or compression of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0Self-sustaining carbon mass or layer with impregnant or oth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ornm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섬유웨브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보강제품
본 발명은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섬유웨브 및 이것의 제조방법, 그리고 섬유웨브을 함유하는 보강제품에 관한 것이다.
영국특허 명세서 제1,427,647호 및 미국특허 명세서 제3,676,288호에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라텍스와 같은 결합제를 사용하여 팽창되지 않은 미소구형체를 섬유웨브에 도포하거나 섬유웨브 내에 혼입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결합제는 건조되면 가교결합을 하므로 구형체는 섬유웨브에 부착되고 팽창된다.
그러한 웨브들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에폭시수지와 같은 모든 종류의 경화된 합성 플라스틱재료들의 보강재료로 대단히 적합하다. 실제로, 섬유웨브와 조합된 상태로 팽창된 미구형체를 사용하는 장점은 수지에 대단히 가벼운 구형체를 혼입시키기가 상당히 간단하다는 것이다. 미소구형체를 사용하면 수지와 유리섬유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고, 웨브로 보강된 제품의 기계적 성질을 유지시킨다. 또한 강성과 내충격성이 개선되며, 보온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담체물질에 예를 들어 5-15mm의 짧은 간격으로 약 1.5mm의 구멍을 뚫어 섬유웨브 내의 공기를 액체수지에 의해 배기시키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함침이 공정중의 변화에 민감하다는 것도 밝혀졌다. 예를 들어, 지체시간이 길면 웨브의 특정부분이 들뜨게 되어 그 결과로 수지는 관통부로 스며들고 공기 버블(bubble) 또는 공기통로가 그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료시에 부분적으로 약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미소구형체가 분산된 특수한 섬유웨브를 강화제가 첨가된 액체수지에 함침시켜서, 상기 섬유웨브로 보강된 보강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미소구형체가 주로 웨브 내부에만 분산되어 있고 미소구형체가 함유되어 있는 웨브의 영역이 미소구형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웨브영역과 서로 분리되어 있는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섬유웨브를 경화제가 첨가된 액체수지에 함침시켜서 섬유웨브로 보강된 물품을 제조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미소구형체로 팽창시킨 결합된 섬유웨브를 액체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물에 함침시키고 성형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된 성형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미소구형체가 섬유웨브 내에 주로 점유되어 있고 미소구형체를 함유하는 웨브영역이 미소구형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웨브영역과 서로 분리되어 있는 웨브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미소구형체는 형태가 "섬 모양"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규칙적인 모양으로 배열되고 이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영역은 미소구형체가 함유되지 않고 섬유로만 이루어진 영역과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면에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용어 "미소구형체를 함유하는"이란 10부피% 이상의 미소구형체량을 말하며, 용어 "미소구형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은"이란 5부피% 이하의 미소구형체량을 말한다.
놀랍게도 이와 같은 웨이브를 사용하면 보강제품에 명백히 보다 나은 굴곡강도 및 다른 기계적 성질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웨브를 함침시키면 완전히 미소형체로 채워져 있는 공지된 웨브들을 사용할 때보다 공정이 더 원만하고 양호해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점은 예를 들어 관통이 전혀 필요치 않거나, 또는 보다 적거나 더 작은 관통으로 충분하다는 사실에서 실현된다.
함침을 실행하는 중요한 장점은 수지로 웨브를 포화시키는 공정이 가시화된다는 것이다. 특히 수지(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폴리에스테르수지)와 동등한 굴절율을 가지는 섬유를 사용할 때, 이는 중요한 장점이 된다.
미소구형체로 프린트시키는 웨브영역을 일반적으로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95%이다.
미소구형체가 팽창된 후, 웨브 내의 미소구형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10-60부피%이다. 이 양은 사용된 미소구형체의 양과 그것의 팽창도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당한 섬유웨브를 통상적이며, 임의로 보강된, 직조되지 않은 섬유웨브이다. 그들의 제조는 예를 들어 참고문헌[Dr. H. Joerde, Textilien auf Vliesbasis(D.V.R. Fachbuch, P. Kepper Verlag)]에 개시되어 있다. 웨브로서 적당한 섬유는 금속섬유, 세라믹섬유, 광물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합성플라스틱 재료의 섬유이다.
또한, 직조되지 않은 섬유웨브를 보강직물과 함께 어느 하나를 다른 것의 상부 또는 내부에 조합시킨 조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가 적당한 결합제는 저급알킬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폴리우레탄, 에폭시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그리고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와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다. 결합제들에는 예를 들어 결합제를 카르복실화하여, 산성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카르복실화제는 말레인산 무수물이다. 또한 결합제 조성물에는 물, 계면활성제, 발포안정제, 충전제 및/또는 농축제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 있어서, 미소구형체 외에 추가로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카본블랙, 수화 알루미나, 발포 실리카 등과 같은 활성성분, 색소 등은 사용될 수 있다.
사용할 미소구형체는 실온에서 고체인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체에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blowing agent)를 혼입시킨다. 여러 가지 성분들, 결합제, 합성수지 및 발포제를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사용하여, 함침된 섬유웨브를 건조시키는 동안 한편으로 결합제를 경화 및 가교결합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온에서 구형체를 팽창시킨다.
충전시킬 수 있는 구형체는 예컨대 폴리스티렌,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포제는 예컨대 아조디카본아미드, 이소부탄, 프레온 등과 같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일 수 있다.
구형체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4-20㎛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고, 팽창된 후의 직경은 1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섬유웨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모든 종류의 합성수지 제품용의 심재(core material)로 매우 적당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섬유웨브는, 미소구형체를 함유하는 페이스트와 같은 물리적 조건의 상태에 있는 가교결합될 수 있는 담체물질을 섬유웨브 내로 이동시키는 프린트 방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일면에 있어서, 심재는 웨브를 조작할 때 미소구형체가 웨브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떨어지려는 현상이 있었다. 이 현상은 한편으로 현재까지 개선할 수 없었던 함침방법의 결과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되는 미소구형체의 종류가 한가지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공정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강도에 필요한 결합제 라텍스의 함량이 제한된 결과이기도 하다. 단지 매우 낮은 비율의 미소구형체만이 분리되어진다면, 미소구형체의 섬도(fineness)는 작업장에서 분진의 축적(dusting)을 초래하므로 자주 아주 곤란한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는 특수한 유형의 미구형체를 사용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는 선택의 자유를 제약한다.
작업하는 동안, 섬유웨브를 함침단계에 통과시킨 다음 두개의 플라아드 롤(Foulard rolls) 사이에서 압착시킬 때, 섬유웨브가 닙(nip)과 분리됨에 따라 웨브표면에 있는 결합제 조성물 피복이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고 위치에 따라 피복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실제로, 이러한 국부적 차이는 웨브가 닙을 떠날 때는 현저하지 않으나, 나중에 가열에 의해 미소구형체가 팽창될 때 뚜렷하게 만곡효과(meandering effect)를 나타내게 된다. 팽창된 후, 이러한 미구형체의 부분적으로 과다한 침전물은 섬유로 덮인 명백히 불규칙한 웨브표면을 제공하고 "상부"에서는 이러한 합쳐짐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브에 팽창된 미소구형체를 혼입시켜서 상기의 단점들을 극복해내는 개선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아직 팽창되지 않은 미소구형체를 섬유웨브 내에 페이스트의 수단으로 압착하여 달성한다.
뜻밖에도 상기의 방식으로 만들어진 섬유웨브는 공지된 섬유웨브의 한계점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요한 점은 미소구형체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치수안정성이 있는 발표된 결합체 페이스트가 아직 팽창되지 않은 채로 조절된 방식으로 침전되어 표면의 상부에 어떤 덩어리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미소구형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분진의 집적현상을 피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보다 나은 재생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발포성 페이스트에 의해 섬유웨브 내에 구형체를 압착시키는 것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렇지만, 특히 치수안정성이 있는 발포성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스크린 프린트 기술이 바림직하다.
적당한 모양을 갖는 스텐슬을 사용함으로써, 미소구형체가 팽창된 후 액체수지의 혼입시에 충족할 탈기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섬유-함유 통로를 재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지제품의 휨강도에 더욱더 기여할 수 있도록 프리어(freer) 수지 공급장소의 패턴닝(patterning)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놀랍게도 미규모로 팽창된 구형체를 갖는 웨브 내에서 이들 구형체의 공간 분포의 균일성이 더욱 개선됨으로써, 형성되는 수지제품의 강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또는 에폭시수지에 대한 웨브함침은 재생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것으로 밝혀졌다. 종래 기술의 굴곡 계수의 재생성은 약 5%인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25%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웨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중요한 특성은 바람직하게는 미소구형체가 발포성 페이스트의 수단으로 웨브상에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발포성 페이스트는 주로 구형체와 섬유웨브용 결합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발포성 페이스트는 프린트 도중이나 후에 발포체에 작용하는 보통의 전단력이 발포제의 실제적 파괴를 일으키지 않을 만큼 안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적어도 85-90%의 발포성 셀(foam cell)이 보존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다른 발포성 프린트 방법은 불안정하거나 덜 안정한 발포체를 사용하더라도 수행될 수 있다. 이때에도 본 발명의 몇몇 장점은 보존되나, 안정한 발포체를 사용할 때의 장점에는 미치지 못한다. 치수 안정성 있는 발포체 조성물은 새로운 특수한 점이 전혀없다. 높은 발포 안정성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당한 계면활성제 외에 발포안정화제를 첨가하게 되면, 높은 점도를 얻을 수 있으며, 탈수를 방지하는 물질과 저분자량의 유화제가 사용되면, 높은 건조함량이 보장된다. 건조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20중량%이다. 건조물질의 함량이 높을수록 결합제는 건조시에 더욱 빨리 응결되며, 그 결과로서 발포구조가 보존된다.
그것의 조성물 외에도, 치수 안정성 있는 발포체의 중요점은 그것의 물리적 섬도이다. 프린트 하는 동안 안정성을 보장받기 위한 중요점은 발포 버블(bubble)의 평균 직경의 웨브의 평균 섬유간 공간의 1/2 이하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회전스크린 기계에서 프린트 공정을 위한 발포체의 적합성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고속실험용 혼합기를 사용하여 밀도(g/l)로 표시되는 특정 섬도를 발포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밀도가 높을수록, 발포 버블은 더욱 섬세하다. 통상적인 값은 50 내지 300g/l이다. 그 발포체에서, 1ℓ의 양을 눈금실리더에 분리하여 20℃에서 24시간 동안 환경챔버(chamber)에서 방치시킨다. 이어서 가라앉은 액체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를 완료한다. 치수 안정성 있는 발포성 페이스트용으로 적당한 발포체는 24시간 후에 더 가라앉는 액체를 보이지 않는다.
적당한 계면활성제는, 비누, 알킬-아릴 술폰에이트, 지방족 알콜 술페이트, 에톡시화된 지방산 화합물 등과 같은 음이온 또는 비-이온 형태이다.
본 발명을 위해 적당한 발포안정화제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이다 : 지방산 아미드 축합물, 스테아르산의 암모늄염 및 칼륨염, 아세트산, 포름산 및 프로피온산의 시클로헥산올 알킬 아미노염, 3차 아미노옥시드 등이다. 결합제, 임의적인 충전제, 미소구형체 및 섬유웨브에 관해서는 웨브의 용도 및 보강제품과 관련하여 앞에서 그 원리를 설명한 바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스크린 프린트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계는 예를 들어 공지된 유럽 특허출원 47559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인 기계 및 그 조절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발포체를 섬유웨브상에 도입시키는데 있다. 표면 또는 표면상에 존재하게 되는 발포체의 양은 매우 적으며,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구체적으로 구형체의 분진집적이 억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발포체는 패턴을 형성하여 섬유웨브상에 도입될 수 있다. 또한, 표면 전체에 발포체를 적용할 수도 있다.
패턴의 선택은 최종 제품이 충족시켜야 하는 특성 요구조건 및 상황에 완전히 의존한다. 또 특정한 장식적인 패턴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모양이 최종 제품의 기계적 성질에 특별히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같은 장소에 같은 무늬를 2번 적용하여 웨브를 양쪽면으로부터 프린트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두꺼운 웨브의 경우에 장점이 있다. 한쪽면에는 발포체가 도입되고 다른면에는 도입되지 않는, 예를 들어 거울상 모양(mirror-image pattern)과 같은 다른 모양을 또한 적용할 수 있다.
함침된 섬유웨브로 제조된 보강된 합성수지시트의 강도에 또한 기여하는 적당한 모양은 벌집구조이다.
[실시예 1]
극성이나 방향족 용매에서 팽윤 또는 용해되는 130-150℃의 연화온도를 갖는 15중량%의 7.0dtex/50mm 용융섬유와 85중량%의 5.0dtex/50mm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되는 130g/㎡의 2.5mm 두께인 백색 니이들접합(needled) 웨브를 160-180℃의 로내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그 웨브를 회전스크린 기계에서 80% 개방면적을 갖는 기초스텐슬(basic stencil)의 육각형 모양으로 프린트한다. 이 과정에서는, 다음 [표 1]에 제시되어 있는 220g/㎡의 치수 안정성 있는 발포체 조성물을, 미소구형체 함량이 40%이고 발포체 밀도가 100kg/㎥인 경질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라텍스에 기초하여 35% 건조함량으로 적용한다. 프린트되어 고정된 바느질 처리된 웨브에 있어서 그 다음으로 미소구형체를 증기에 의해 팽창시키고 건조시킨 다음 130℃에서 경화시킨다.
얻어지는 제품은 보강된 합성수지부품에 심재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표 1]
Figure kpo00001
[실시예 2]
공지된 섬유웨브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다른 섬유웨브를 섬유-보강된 폴리에스테르에 사용하여 얻어지는 휨강도의 개선은 적층성 비교에서 설명된다. 출발제품은 두 방식으로, 즉 16%의 건조함량을 갖는 점성의 팽찰될 수 있는 결합제를 플라다이징(foulardizing)에 의한 포화결합에 의해 적용시키는 방법과 안정한 발포체를 프린트함으로써 45%의 건조함량을 가진 팽창성 결합제를 패턴 내에 적용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팽창성 결합제를 제공하게 되는 기초웨브이다. 기초직물(fleece)은 20중량%의 4.7dtex/35mm 및 80중량%의 1.7dtex/60mm 섬유로 구성되는 100% 폴리에스테르 랜도웨버(randowebber) 플리이스로서 이 섬유들은 80 내지 20중량비율의 열가소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결합제로 결합되어 있다. 중량이 100g/㎡이고 두께가 1.6mm로 얻어지는 기초 플리이스 부분은, 다음 [표 2]에 지시된 바와 같은 폴리아크릴산을 기재로 한 팽창될 수 있는 결합제를 사용하여 플라다이징에 의해 종래의 방법으로 후결합되며, 280%의 스퀴즈 효과를 갖고, 그 결과로서 건조된 후 40g/㎠의 미소구형체가 고정된다. 다른 부분은 본 발명에 따라서 리브의 길이가 4mm이고 팽창면적이 총면적의 90%인 벌집구조체를 구비한 스텐슬을 가지는 회전식-스크린 발포 프린트장치를 사용하여 처리한다. 웨브에서 45%의 건조함량과 100kg/㎥의 발포체 밀도를 갖는 안정한 발포체의 침투 깊이는 1.4mm이며; 실제 프린트 면적은 80%이다. 그 결과로, 건조된 후 40g/㎡의 미구형체가 고정되었다. 양쪽의 팽창된 웨브는 40g/㎡의 압력하에서 측정하여 4.2mm의 두께를 가지고, 2.21/㎡의 발포체 부피를 갖는다. 양쪽의 웨브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적층제로 형성된다 :
1×300g/㎡ 글라스 매트
1×450g/㎡ 글라스 매트
1×4g/mm 팽창된 웨브
1×450g/㎡ 글라스 매트
1×300g/㎡ 글라스 매트
상기의 매트는 성공적으로 겹쳐졌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함침되었다. 전체수지 소모량은 6030g/㎡이다. 적층체의 총 두께는 7.6mm이며; ㎡당 중량은 7670g이고 0.55의 S값을 가진다(S=팽창된 웨브의 두께/적층체의 두께).
DIN 53457에 따른 3점 휨 시험에 의해 Emod를 10과 30의 종횡비 λ(λ=지지점 사이의 길이/전체 두께)로서 측정하였다.
Emod가 8400N/m㎡인 35중량% 유리-강화 고형 폴리에스테르 판넬("완전한 적층체")과 비교하여, 공지기술에 따라 제조된 0.55의 S값을 갖는 샌드위치(sandwich) 적층체는 λ=30에서 6600N/m㎡의 E8를 갖고 λ=10에서 5650N/m㎡의 E8을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완전한-라미네이트와 같은 굽힘강도를 원한다면, 샌드위치 라미네이트는 완전-라미네이트의 두께보다 각각 8%와 14% 커야 한다.
상기의 신규의 심재를 사용할 때, 밝혀진 계수치는 λ=30에서 8400N/m㎡이고 λ=10에서는 7900N/m㎡이다. 이 값은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는 완전-라미네이트의 Emod와는 거의 차이가 없으나 수지가 2l/㎡ 절약된다.
[표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실시예 3]
웨브에 대한 열팽창성 재료의 적용
50중량%가 폴리에스테르 1.7dtex/40mm이고 50중량%가 폴리아크릴 1.7dtex/40mm인 25g/㎡의 섬유로 구성되는 섬유웨브 및 15g/㎡의 폴리아크릴레이트 결합제에 열-팽창성 재료로 이루어진 횡축으로 배향된 띠를 제공한다. 띠의 팽창은 대개 웨브의 두께방향으로 일어난다. 팽창성 재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결합제와 PVDC 미구형체를 3 : 1의 미구형체/결합제의 비율(건조중량을 기준으로 계산)로 함유하며 적당한 발포안정제, 스테아르산 암모늄이 첨가되어진 저비등액체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그 조성물의 제형은 다음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그 혼합물을 150g/l의 발포체 부피가 형성되도록 포말을 형성시키고 회전스크린 기계를 사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웨브에 프린트한다.
건조는 구형체의 팽창온도 이하에서 수행한다. 횡방향 띠는 10mm 내지 300mm의 중간 공간과 함께 2-10mm의 폭을 가진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잠재적인 팽창성 재료는 후속의 제조공정 동안에 섬유보강체의 혼입 및/또는 부분적 팽윤을 필요로 하는 모든 종류의 공업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용도의 고무공업에서 성형, 건축(증기에 의해 적용될 수 있는 장식적인 치장) 등이다.
그밖에 잠재적 팽창성재료의 사용은 운송비용을 줄이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표 3]
Figure kpo00005

Claims (15)

  1.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영역과 미소구형체가 전혀 함유되지 않은 영역이 분리되어 있는 모양으로 웨브에 미소구형체가 배열되어 있는 섬유웨브.
  2. 제1항에 있어서, 미소구형체가 규칙적인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웨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웨브영역과 미소구형체가 함유되지 않은 웨브영역의 형상이 유사하고 서로 분리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웨브.
  4. 제1항에 있어서, 웨브의 75% 이상이 미소구형체로 프린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웨브.
  5. 제1항에 있어서, 팽창된 후 미소구형체가 웨브부피의 10-6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웨브.
  6. 팽창된 미소구형체가 제공된 접합된 섬유웨브를 액체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물에 함침시키고 형성화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형상화된 보강제품에 있어서,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웨브영역과 미소구형체가 함유되지 않은 웨브영역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미소구형체가 규칙적인 모양으로 웨브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미소구형체가 함유되어 있는 웨브영역과 미소구형체가 함유되지 않은 웨브영역이 형태가 유사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9. 제6항에 있어서, 미소구형체가 웨브 75% 이상에 프린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0. 제6항에 있어서, 미소구형체가 팽창된 후에 웨브부피의 10-6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1.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섬유웨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직 팽창되지 않은 미구형체를 발포성 페이스트에 의해서 섬유웨브내에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웨브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발포성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 장치에 의해 섬유웨브 내에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아직 팽창되지 않은 미소구형체를 안정한 발포성 페이스트에 의해 섬유웨브내로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미소구형체를 섬유웨브내에 적용시킨 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미소구형체를 함유하는 섬유웨브.
KR1019860000568A 1985-01-29 1986-01-29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섬유웨브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보강제품 KR930011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500242A NL8500242A (nl) 1985-01-29 1985-01-29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vezelvlies waarin microbolletjes zijn opgenomen.
NL8500242 1985-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847A KR860005847A (ko) 1986-08-13
KR930011629B1 true KR930011629B1 (ko) 1993-12-16

Family

ID=1984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568A KR930011629B1 (ko) 1985-01-29 1986-01-29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섬유웨브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보강제품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4818583A (ko)
EP (1) EP0190788B2 (ko)
JP (1) JPH0784700B2 (ko)
KR (1) KR930011629B1 (ko)
CN (1) CN1008281B (ko)
AT (1) ATE51904T1 (ko)
AU (1) AU578341B2 (ko)
BR (1) BR8600255A (ko)
CA (1) CA1278161C (ko)
DE (1) DE3670317D1 (ko)
DK (1) DK35986A (ko)
ES (1) ES8800380A1 (ko)
FI (1) FI86312C (ko)
IN (1) IN164891B (ko)
MX (1) MX164823B (ko)
MY (1) MY100813A (ko)
NL (1) NL8500242A (ko)
NO (1) NO161388C (ko)
NZ (1) NZ214898A (ko)
ZA (1) ZA865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9124A (ja) * 1987-06-24 1988-12-27 Toyo Cloth Kk 強化プラスチック用コア材
US5292578A (en) * 1988-06-16 1994-03-08 Koelzer Klaus K Material for reinforcing duroplastics woven fabric for reinforcing duroplastics having a specific distribution of hollow thermoplastic microspheres within the thread system
US6003424A (en) * 1990-03-08 1999-12-21 Alliedsignal Inc. Armor systems
US5196240A (en) * 1991-03-18 1993-03-23 Stockwell Gregg M Seamless bodysuit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5234757A (en) * 1991-04-30 1993-08-10 The Dexter Corporation Expandable films and molded products therefrom
US5251414A (en) * 1992-03-16 1993-10-12 Duke Darryl A Energy absorbing composite and reinforcing core
BE1006082A3 (fr) * 1992-07-29 1994-05-10 Luxmetall Sa Procede d'absorption de liquide ou vapeur sur supports metalliques ou non metalliques.
US5401706A (en) * 1993-01-06 1995-03-28 Semco Incorporated Desiccant-coated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300138A (en) * 1993-01-21 1994-04-05 Semco Incorporated Langmuir moderate type 1 desiccant mixture for air treatment
GB9311946D0 (en) * 1993-06-10 1993-07-28 Univ Manchest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terials
GB2291835B (en) * 1994-07-27 1999-01-20 Reilly Brenden O Presentation of information on mesh formations
US5518803A (en) * 1994-10-14 1996-05-21 Thomas; Rick E. Method for decorating mesh materials
US5522340A (en) * 1995-01-10 1996-06-04 Skogman; Darrel Vessels having a double-walled laminated frame
DE69634723T2 (de) 1995-01-23 2006-02-23 Stockhausen Gmbh Träger mit hochabsorbierendem materia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DK0895843T3 (da) * 1997-08-08 2003-05-26 Lantor Bv Fibrøs bane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formet genstand ved imprægnering af denne bane med en flydende harpiks og en hærdner af denne
US5840224A (en) * 1997-09-12 1998-11-24 Namba Corporation Apparatus for making formed laminate
US5911904A (en) * 1997-12-16 1999-06-15 International Paper Company Foamable insulating barrier coating
EP1010793B1 (en) * 1998-12-16 2008-02-06 Lantor B.V. A core material for closed mould systems
EP1159325B1 (en) 1998-12-29 2003-04-0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urethane foams prepared from mechanically frothed polyurethane dispersions
US6152892A (en) * 1999-08-18 2000-11-28 Parker Athletic Products, Llc Lightweight custom-fitted body protective device
US6576574B2 (en) * 1999-11-10 2003-06-10 Milliken & Company Airbag coatings comprising microspheres providing improved thermal resistance
US6444594B1 (en) * 1999-11-10 2002-09-03 Milliken & Company Airbag coatings providing improved thermal resistance
US20030060110A1 (en) * 1999-12-24 2003-03-27 Desai Dilipkumar R. Expanded extruded polymeric textile
JP2003518450A (ja) * 1999-12-24 2003-06-10 モーバーン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発泡押出し重合体布帛
US6866906B2 (en) 2000-01-26 2005-03-15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ut resistant paper and paper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497787B1 (en) 2000-04-18 2002-12-24 Owens-Corning Veil Netherlands B.V. Process of manufacturing a wet-laid veil
US20040043212A1 (en) 2000-08-05 2004-03-04 Peter Grynaeus Thermal control nonwoven material
DE10114708A1 (de) * 2001-03-26 2002-10-24 Klaus-Kurt Koelzer Verstärkungsmaterial mit volumisierten Fasern
US7008979B2 (en) 2002-04-30 2006-03-07 Hydromer, Inc. Coating composition for multiple hydrophilic applications
RU2330911C2 (ru) 2002-09-13 2008-08-10 Интернэшнл Пейпер Компани Бумага с улучшенной жесткостью и пухлостью и способ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1403024A1 (en) * 2002-09-27 2004-03-31 Lantor B.V. Improved core material
US20050025949A1 (en) * 2002-12-19 2005-02-03 Grove Dale A. Deformable veil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20040197468A1 (en) * 2002-12-19 2004-10-07 Paul Geel Methods of forming flexible decorative veils
US7435694B2 (en) * 2003-03-28 2008-10-14 Johns Manville Nonwoven fibrous mats with good hiding properties and laminate
EP2295633A1 (en) 2005-03-11 2011-03-16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expandable microspheres and an ionic compound, as well a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DE102005030484B4 (de) * 2005-06-28 2007-11-15 Carl Freudenberg Kg Elastischer Vliesstoff,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CN101438005B (zh) * 2006-05-05 2014-04-16 国际纸业公司 具有膨胀聚合物微球的纸板材料
US7886986B2 (en) * 2006-11-08 2011-02-15 Semco Inc.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nd recovery device control
US20080191378A1 (en) * 2007-02-14 2008-08-14 Brian Paul Microsphere reinforcement of composite materials
CN104032622A (zh) 2008-08-28 2014-09-10 国际纸业公司 可膨胀的微球及其制造和使用方法
FR2939077B1 (fr) * 2008-12-03 2013-01-11 Ateca Materiau d'ame.
EP2233280A1 (en) 2009-03-23 2010-09-29 Lantor B.V. Conductive core material
EP2251187A1 (en) * 2009-05-15 2010-11-17 Lantor B.V. Flexible protective sheet and its use
EP2558266B1 (en) * 2010-04-13 2020-10-21 Henkel IP & Holding GmbH Processes for preparing composites having superior surface finish and high fiber consolidation
DE102010047533A1 (de) * 2010-09-13 2012-03-15 Eswegee Vliesstoff Gmbh Vliesstoff für akustische Anwendungen mit erhöhten Schallabsorptionseigenschaften
EP2444547B1 (en) * 2010-10-19 2015-08-12 N.R. Spuntech Industries Ltd. In-line printing process on wet non-woven fabric and products thereof
NL2015614B1 (en) * 2015-10-14 2017-05-08 Lantor Bv Improved core material.
USD798117S1 (en) 2015-10-22 2017-09-26 Milena M. Lyons Insulated beverage holder
NL2016945B1 (en) 2016-06-10 2018-01-24 Lantor Bv Flexible core for machine processing or production of composite parts or materials
CO2016005772A1 (es) * 2016-12-26 2018-07-19 Moreno Munetones Enrique Alejandro Textil no tejido tricotado con micro-esferas expandidas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CN107502974B (zh) * 2017-08-23 2020-04-24 余燕平 一种短纤维包微孔碱溶性聚酯长丝的包芯纱制备中空纺织品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0427A (en) * 1957-04-29 1962-08-21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Fibrous glass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469374A1 (de) * 1965-10-16 1969-02-06 Freudenberg Carl F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nbuegelbaren Einlagen
US3676288A (en) * 1970-05-04 1972-07-11 Kendall & Co Low-density bonded nonwoven fabrics and process therefor
US3934502A (en) * 1973-01-24 1976-01-27 Morrison Machine Co. Adjustable rotary screen printer with air-biased squeegees
NL172349C (nl) * 1973-07-20 1983-08-16 Firet Bv Gevormde voorwerpen, welke een gebonden vezelbaan omvatten.
ES448040A1 (es) * 1975-05-24 1977-07-01 Hoechst Ag Dispositivo para la aplicacion uniforme de banos liquidos detratamiento en forma de espuma sobre estructuras textiles planas.
FR2395141A1 (fr) * 1977-06-21 1979-01-19 Centre Tech Ind Papier Feuille antiderapante et procede pour l'obtenir
CH622921B (de) * 1978-07-27 Ciba Geigy Ag Verfahren zum veredeln, insbesondere zum faerben, bedrucken oder optisch aufhellen.
US4365968A (en) * 1978-09-19 1982-12-28 United Merchants & Manufacturers, Inc. Method of treating textile materials
US4299591A (en) * 1978-09-19 1981-11-10 United Merchants And Manufacturers, Inc. Textile printing process
US4327142A (en) * 1978-12-06 1982-04-27 Vittorio Norzi Method of manufacturing goods of laminates and goods so manufactured
US4275655A (en) * 1979-01-23 1981-06-30 The Arnold Enginee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printing registered images on opposite sides of a web
SE436332B (sv) * 1980-05-21 1984-12-03 Kema Nord Ab Skumkompositmaterial for framstellning av laminat samt dess anvendning som ytskikt pa treunderlag
NL8005058A (nl) * 1980-09-08 1982-04-01 Stork Brabant Bv Rakelinrichting alsmede werkwijze voor het toepassen van deze inrichting.
DE3034804C2 (de) * 1980-09-16 1983-12-08 Mathias 4815 Schloss Holte Mitter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Mediums auf eine Siebschablone, insbesondere zum Drucken oder Färben
DE3049036C2 (de) * 1980-12-24 1984-09-13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Verfahren zum gleichzeitigen, kontinuierlichen Verfestigen und Beschichten eines Vliesstoffes
DE3108963C2 (de) * 1981-03-10 1983-10-20 Mathias 4815 Schloss Holte Mitter Auftrags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Chemikalien in verschäumter Form
DE3137763A1 (de) * 1981-09-23 1983-04-14 Mathias 4815 Schloss Holte Mitter "siebzylinder zur aufbringung von fluessigkeiten enthaltenden auftragsmassen auf flaechige waren, z.b. warenbahnen od.dgl."
US4481241A (en) * 1981-10-30 1984-11-06 Asahi Fiber Glass Company Limited Core material for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S58115160A (ja) * 1981-12-26 1983-07-08 日邦産業株式会社 成形用芯材
JPS599254A (ja) * 1982-07-07 1984-01-18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微小中空体を含有した不織布の製造方法
DE3238084A1 (de) * 1982-10-14 1984-04-26 Mathias 4815 Schloss Holte Mitter Vorrichtung zum gleichmaessigen zufuehren, verteilen und auftragen einer verschaeumten auftragsflotte auf eine vorzugsweise textile warenbahn od.dgl.
US4568603A (en) * 1984-05-11 1986-02-04 Oldham Susan L Fiber-reinforced syntactic foam composites prepared from polyglycidyl aromatic amine and polycarboxylic acid anhydride
JPS60235849A (ja) * 1984-05-08 1985-11-22 Japan Styrene Paper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
US4671994A (en) * 1986-02-10 1987-06-09 Materials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fiber reinforced hollow microspheres
DE20115489U1 (de) * 2001-09-20 2001-12-06 Seaquist Loeffler Kunststoffwerk Gmbh Abgabeverschluß für fließfähiges Gut enthaltende 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847A (ko) 1986-08-13
EP0190788A1 (en) 1986-08-13
DK35986A (da) 1986-07-30
CA1278161C (en) 1990-12-27
IN164891B (ko) 1989-07-01
CN1008281B (zh) 1990-06-06
MX164823B (es) 1992-09-28
MY100813A (en) 1991-02-28
ES551169A0 (es) 1987-11-16
FI86312C (fi) 1992-08-10
FI860265A (fi) 1986-07-30
NO161388B (no) 1989-05-02
JPH0784700B2 (ja) 1995-09-13
ES8800380A1 (es) 1987-11-16
EP0190788B1 (en) 1990-04-11
NO161388C (no) 1989-08-09
US4747346A (en) 1988-05-31
AU5261586A (en) 1986-08-07
ZA86514B (en) 1986-09-24
NO860271L (no) 1986-07-30
NZ214898A (en) 1989-03-29
DK35986D0 (da) 1986-01-24
EP0190788B2 (en) 1993-12-08
FI860265A0 (fi) 1986-01-21
NL8500242A (nl) 1986-08-18
DE3670317D1 (de) 1990-05-17
CN86100673A (zh) 1986-10-01
JPS61207656A (ja) 1986-09-16
BR8600255A (pt) 1986-09-30
ATE51904T1 (de) 1990-04-15
FI86312B (fi) 1992-04-30
US4818583A (en) 1989-04-04
AU578341B2 (en) 198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629B1 (ko) 미소구형체가 함유된 섬유웨브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보강제품
CA2292375C (en) A core material for closed mould systems
US20030000663A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wet-laid veil
US5391424A (en) Lightweight filler and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4441944A (en) Building board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FI57068C (fi) Anvaendande av expanderade mikrosfaerer innehaollande fiberbana som armeringsmedel
PL208352B1 (pl) Materiał rdzeniowy, laminat zawierający co najmniej materiał rdzeniowy, sposób wytwarzania wyrobu kształtowego i wyrób kształtowy
NO860650L (no) Trykkbar blanding.
CA1145910A (en) Flexible sheet-type covering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913816B2 (en) Composite mat product for roofing construction
EP1496148B1 (en) Wallpaper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KR900007761B1 (ko) 기재 인쇄방법
EP0184596B1 (en) A method of printing a substrate
EP0895843B1 (en) A fibrous web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aped article by impregnating said web with a liquid resin and a hardener thereof
CA1135127A (en) Process for sealing fiber web of open structure
PT83071B (pt) Metodo para fazer um tecido fibroso artigos reforcados
JPS6022607B2 (ja) Frpの成形方法
JPS61143174A (ja) 基材に印刷する方法
MXPA97008061A (es) Estructura de espuma
JPH04278335A (ja) 軽量複合成形物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