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920B1 - 수신 감도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감도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920B1
KR930010920B1 KR1019900016790A KR900016790A KR930010920B1 KR 930010920 B1 KR930010920 B1 KR 930010920B1 KR 1019900016790 A KR1019900016790 A KR 1019900016790A KR 900016790 A KR900016790 A KR 900016790A KR 930010920 B1 KR930010920 B1 KR 93001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turn
signal
reception sensitivity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128A (ko
Inventor
강무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920B1/ko
Publication of KR92000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신 감도 조절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감도 조절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감도 조절을 팩시밀리에 적용시의 실시예의 흐름도.
본 발명은 모뎀을 이용한 통신장비의 수신감도 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선로가 설정된 후 선로의 상태 및 송신측에서 보내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수신측 모뎀의 수신감도를 조절하면서 최적의 상태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하는 수신감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뎀을 이용하는 통신장비, 예를 들어 팩시밀리등은 선로의 노이즈 레벨이 클 경우 모뎀이 오동작을 일으키게 되므로 수신감도의 적절한 설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수신되는 신호를 정확히 수신하기 위한 종래의 수신감도 설정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신 개시전에 모뎀의 턴온 레벨 및 턴 오프 레벨을 설정한 후 통신중에 이를 변경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따라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에서 선로에 노이즈 성분이 크게 증가하여 송수신되는 신호가 상기 노이즈에 영향을 받으면 모뎀이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수신감도 조절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피면 하기와 같다. 통신이 개시되기 전에 모뎀을 제어하는 제어기(Controller)에서 모뎀의 동작 개시(Turn On)신호 레벨 및 동작 중지(Turn-off)레벨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모뎀은 자체적으로 일정하게 설정된 수신감도 조절값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동작 개시 및 동작 중지 레벨이 설정된 상태에서 수신이 시작되면, 상기 모뎀은 통신 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체크한다. 상대측 단말에서 데이타를 송신하기 시작하여 수신측 모뎀에 미리 설정된 동작 개시 레벨이상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신측 모뎀은 복조(수신)동작을 시작한다. 송신측 단말에서 송신을 종료하여 수신측 모뎀에 입력되는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된 동작 중지 레벨 이하로 되면 상기 수신측의 모뎀을 수신 복조 동작을 중단한다.
따라서 종래의 수신감도 설정 방법에 의해 설정된 수신감도로 동작되는 통신장비는 선로의 잡음 레벨이 미리 설정된 동작 개시 레벨보다 클때 송신측에서 데이타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경우에도 수신 모뎀은 수신동작을 하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설정된 상태로 동작되는 통신장비는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품질이 양호하여 충분히 수신 복조 가능할지라도 상기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동작 개시 레벨 이하일 경우 수신측 모뎀은 작동을 개시하지 않으므로 데이타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선로가 설정된후 선로의 상태 및 송신측에서 보재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수신측 모뎀의 수신감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통신선로가 설정된후 선로의 신호레벨을 검출하여 동작 개시 레벨 및 동작 중지 레벨을 설정하고, 선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타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동작 개시 레벨 및 동작 중지 레벨 자동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블럭도로서, 선로(L)를 통하여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선로(L)의 수신 레벨을 검출 출력하고, 수신 감도 조절 제어 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수신감도를 조절하는 모뎀(1)과, 상기 모뎀(1)과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모뎀(1)을 통한 신호를 입력하여 신호의 레벨에 대응한 수신감도 조절신호를 상기 모뎀(1)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데이타의 유효여부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수신감도 조절 신호를 상기 모뎀(1)으로 출력하는 호스트 컴퓨터(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와 같은 구성중 호스트 컴퓨터(3)는 모뎀(1)을 제어하는 제어기 이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3)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감도 조절 흐름도로서, 이는 선로(L)의 신호 레벨과 수신되는 데이타의 유효성을 검출하여 수신감도를 조절하는 일련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감도 조절을 팩시밀리의 적용시의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이는 G3 팩스(Group3 Facsimile)의 통신시 제어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중 DIS(Digital identfication signal), CFR(Confirmation to receive), MCF(Message confirmation)는 피호측에서 송신하여 발호측에서 수신하는 신호이며, DCS(Digital command signal), TCF(Training check), MSG(Message), EOP(End of procedure), DCN(Disconnect)은 발호측에서 송신하여 피호측에서 수신하는 팩시밀리 프로토콜 신호이고, A-Z의 표시는 교신 시작에서 교신 종료 사이의 특정 시점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의 예를 상기한 제1도 내지 제3도는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발호측과 피호측이 소정의데이타 예를 들면, 화상등의 원고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호간의 통신선로가 설정되면, 제1도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3)는 제2도(2a)단계에서 모뎀(1)을 제어하여 선로(L)로 입력되는 신호 레벨(SL)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모뎁(1)은 선로(L)로 입력되는 신호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3)로 출력한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3)는 상기 모뎀(1)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선로(L)의 노이즈 레벨로 검출한다.
상기 제2도(2a)과정에서 선로(L)의 신호레벨(SL)을 검출한 호스트 컴퓨터(3)는 (2b)단계에서 검출된 선로의 신호레벨(SL)보다 5dBm 높은 값을 수신 모뎀의 턴오프 레벨(TOF)로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턴오프 레벨(TOF)보다 3dBm 높은 값을 턴온 레벨(TOL)로 설정한다. 상기 제2도(2b)과정에서 선로의 신호레벨(SL)에 대응한 수신감도 조절용 턴오프 레벨(TOF)과 턴온 레벨(TOL)을 설정한 상기의 호스트 컴퓨터(3)는 제2도의 (2C)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턴온 및 턴오프 레벨(TOL)(TOF)의 값을 수신 감도 조절 제어신호로서 모뎀(1)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의 모뎀(1)은 상기 입력된 수신감도 조절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선로(L)로 수신되는 신호의 이득을 상기 조절된 수신감도로 하여 호스트 컴퓨터(3)로 출력한다.
한편, 제2도 (2C)단계를 수행한 상기의 호스트 컴퓨터(3)는 제2도 (2d)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모뎀(1)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타가 유효한 데이타로 수신되는 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 결과 현재 수신되는 데이타가 유효한 데이타로 수신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3)는 현재의 수신신호 레벨은 상대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수신되는 유효신호의 레벨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호스트 컴퓨터(3)는 제2도(2e)단계에서 턴온 레벨(TOL)을 현재의 수신신호 레벨 보다 5dBm 낮게 설정하고 턴오프 레벨(TOF)을 상기 설정된 턴온 레벨(TOL)의 레벨 보다 3dBm 낮게 설정한다. 그록 상기 호스트 컴퓨터(3)는 (2e)단계에서 새로이 설정된 턴오프 레벨(TOF)과 턴온 레벨(TOL)을 수신감도 조절 제어신호로서 모뎀(1)으로 전송하여 모뎀(1)의 수신감도를 (2f)단계에서 재설정한다.
상기 제2도의 (2f)단계 수행한 호스트 컴퓨터(3)는 (2g)단계에서 통신 종료 여부를 검색하여 통신을 종료 해야 하는 경우로 판단되면 통신을 종료하고, 통신 종료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전술한 (2d)단계로 리턴하여 유효 데이타 수신 중인지의 여부를 반복하여 검색함으로써 수신감도의 조절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통신 종료시까지 주신 감도의 조정은 유효 데이타가 수신 될때의 신호 레벨을 기준으로 그에 변화가 있을때 마다 다시 설정하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만약 전술한 제2도의 (2d)단계에서 유효 데이타 수신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3)는 현재의 수신 신호의 레벨이 제2도 (2b)과정에서 설정된 턴오프 레벨(TOF)-5dBm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제2도의 (2h)단계에서 검색한다. 상기 (2h)단계의 검색결과 현재의 수신되는 수신 신호 레벨이 “턴오프 레벨(TOF)-5dBm”이상일 경우 상기 호스트 컴퓨터(3)는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이 정상인 상태에서 유효데이타의 수신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전술한 제2도의 (2g)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종료 여부를 체크한다. 그러나 상기의 검색 결과 현재의 수신 신호 레벨이 “턴오프 레벨(TOF)-5dBm”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2i)단계로 진행하여 턴 오프 레벨(TOF) 및 턴온 레벨(TOL)을 재설정한다. 즉, 현재의 수신 신호 레벨이 “턴오프 레벨(TOF)-5dBm”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호스트 컴퓨터(3)는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레벨이 미약하다고 판단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이득을 높이기 위하여 제2도 (2i)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2도 (2i)단계에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3)는 전술한 제2도(2b)단계에서 설정된 턴오프 레벨(TOF)을 현재의 수신 신호 레벨 보다 5dBm 높게 설정하고, 턴온 레벨(TOL)은 현재의 수신 신호 레벨 보다 3 dBm 높게 설정하여 이렇게 조절된 수신감도 조절 제어신호를 제2도 (2f)단계에서 모뎀(1)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모뎀(1)은 상기 호스트 컴퓨터(3)로부터 입력되는 수신감도 조절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현재의 수신 신호 레벨이 “턴오프 레벨(TOF)-5Bm”의 레벨 보다 작을 경우에는 통신상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수신감도를 재설정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3도에서 발호측의 통신 노이즈 체크가 제3도의 A-B시점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DIS수신 중에 이루어졌다고 가정하게 되면 통신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DIS 수신이 끝나는 시점을 노이즈 레벨로 바꾸어 줄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2i)단계에서와 같이 턴온 및 턴오프 레벨을 재설정하므로써 (2f)단계에서 모뎀(1)의 수신감도를 다시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로 및 수신 신호의 상태에 따라 수신 감도를 바꾸어 가면서 통신하는 방법을 실제로 팩시밀리 통신에 적용하면 하기한 바와 같이 피오측과 발호측에서 공히 전술한 제2도와 같은 동작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신 감도가 양호한 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팩시밀리에서 적용되는 예를 제3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발호측은 교신 시작후 A시점에서 선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한다. 이 값을 선로의 노이즈 레벨로 검출하고, 이보다 5dBm 높은 값을 턴오프 레벨(TOF), 상기 턴오프 레벨(TOF)보다 3dBm 높은 값을 턴온 레벨(TOL)로 하여 모뎀의 수신감도를 설정한다. 제3도의 A과 B시점 사이의 과정을 수행하는 도중 서로의 신호 레벨이 턴 온/오프 레벨(TOL/TOF)을 설정할때의 신호 레벨 보다 작아지면, 이 작아진 값을 노이즈 레벨로 보고 상기 모뎁(1)의 턴온 및 턴오프 레벨(TOL/TOF)을 다시 설정한다.
제3도의 B시점에서 C,H시점에서 I, 그리고 N시점에서 O시점의 사이에는 발호측에 유효한 데이타(DIS, CFR, MCF)가 수신되는 시간이다. 발호측은 이때의 수신 신로 레벨을 검출하고 이때의 레벨값보다 5dBm 낮은 값을 턴온 레벨(TOL), 상기 턴온 레벨(TOL)보다 3dBm 낮은 값을 턴오프 레벨(TOF)의 값으로 하여 상기 모뎀(1)의 수신 감도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피호측은 A시점에서 B, C시점에서 D시점의 사이에서 수신도는 신호의 레벨값을 선로의 노이즈 레벨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이즈 레벨에 의하여 상기 모뎀(1)이 작동되지 않도록 수신 신호의 레벨 보다 5dBm 높은 값을 턴오프 레벨(TOF), 상기 턴오프 레벨(TOF) 보다 약 3dBm 높은 값을 턴온 레벨(TOL)값으로 하여 상기 모뎀(1)의 수신 감도를 설정한다. 이 기간중 선로의 신호 레벨이 수신감도를 설정할때 기준이 되었던 레벨 보다 작아지면, 작아진 신로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모뎀(1)의 수신 감도를 다시 설정한다. D시점에서 피호측은 유효한 프로토콜(protocol)신호 DCS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피호측에서는 이때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이 값을 유효신호의 수신 레벨 값으로 본다. 그리고 이때의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이보다 5dBm 낮은 값을 턴온 레벨(TOL), 상기 턴온 레벨(TOL)보다 3dBm 낮은 값을 턴오프 레벨(TOF)의 값으로 하여 상기 모뎀(1)의 수신 감도를 설정한다. 이후 피호측은 D시점에서 E,F시점에서 G,J시점에서 K,L시점에서 M, 그리고 P시점에서 Q시점의 사이에 프로토콜 신호(유효한 데이타로서 DCS, TCF, PIX, MSG, EOP, DCN)를 받는다. 피호측은 이들 유효 데이타가 수신될때의 신호 레벨이 변하여 상기 모뎀(1)의 수신감도를 설정할때 기준이 되었던 유효 데이타의 신호 레벨과 차이가 있을때마다 변화된 신호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모뎀(1)의 수신 감도를 다시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감도를 조절시에 턴오프 레벨(TOF)을 ±5dBm으로, 턴온레벨(TOL)을 ±3dBm으로 조절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값으로 조절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일예로서 수신감도를 조절시 턴온/턴오프 레벨(TOL/TOF)을 공히 소정의 제1레벨(5dBm)정도 가감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선로가 설정된 후 선로의 노이즈 레벨 및 수신 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수신 모뎀의 수신 감도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신호의 S/N비가 통신 가능한 경우이면 선로의 노이즈 레벨에 관계없이 정상적인 수신동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로를 통하여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선로의 수신 레벨을 검출 출력하고 수신 감도 조절 제어 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수신감도를 조절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감도 조절신호를 상기 모뎀에 입력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수신감도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턴온레벨과 턴오프 레벨 각각을 상기 검출된 선로의 신호 레벨보다 소정의 제1레벨 만큼 높이 설정하여 상기 모뎀의 수신감조절하는 초기 수신감도 설정과정과, 상기 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가 유효 데이타인가를 검색하는 데이타 검색 과정과, 상기 테이타 검색과정에서 수신되는 데이타가 유효 데이타라고 판단시 상기 설정된 턴온 레벨과 턴오프 레벨을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보다 소정의 제1레벨 만큼 낮게 설정하여 상기 모뎀의 수신감도를 재조절하는 제1수신감도 조절과정과, 상기 데이타 검색 과정에서 수신되는 데이타가 유효 데이타가 아니라고 판단시 현재의 수신 신호의 레벨이 상기 설정된 턴 오프 레벨에서 소정의 제1레벨이 감산된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 과정과, 상기의 비교과정에서 현재의 수신 신호의 레벨이 상기 설정된 턴 오프 레벨에서 소정의 제1레벨이 감산된 레벨 보다 작다고 판단시에 턴오프 레벨과 턴온 레벨을 현재의 수신 신호 레벨 보다 제1소정 레벨 만큼 증가된 값으로 상기 모뎀의 수신감도를 조절하는 제2수신감도 조절과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감도 조절방법.
KR1019900016790A 1990-10-20 1990-10-20 수신 감도 조절방법 KR93001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790A KR930010920B1 (ko) 1990-10-20 1990-10-20 수신 감도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790A KR930010920B1 (ko) 1990-10-20 1990-10-20 수신 감도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28A KR920009128A (ko) 1992-05-28
KR930010920B1 true KR930010920B1 (ko) 1993-11-17

Family

ID=1930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790A KR930010920B1 (ko) 1990-10-20 1990-10-20 수신 감도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9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28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0400A (en) Method of controlling a data terminal equipment for equalizing a transmission line characteristic and data terminal equipment using the same
US5812281A (en) Facsimile with multiple-protocol capability and method therefor
KR930010920B1 (ko) 수신 감도 조절방법
JP2654007B2 (ja) 通信装置
JP275996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930002687B1 (ko) 팩시밀리에서의 송, 수신방식
KR100217740B1 (ko) 팩시밀리에서 자동 데이타 전송속도 조절 방법
JP256844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852212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200267266A1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H045746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1191524A (ja) 回線歪の補正方式
JPS60120635A (ja) 通信装置
JP2918557B2 (ja) 画像通信方式
JPH0752912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594392B2 (ja) 高速信号受信装置
JPH05110799A (ja) フアクシミリの通信装置
JP3437402B2 (ja) 通信装置
JP2557552Y2 (ja) ファクシミリのケーブルイコライザ自動切換装置
JPH0514664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7131545A (ja) ファクシミリ用モデムの制御方法
JPH058618B2 (ko)
JPH06233104A (ja) ファクシミリ等における送信方法
JPH0490239A (ja) 通信装置
JPH05136964A (ja) フアクシミリ装置のプロトコル制御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