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521B1 - 황색 형광체 - Google Patents

황색 형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521B1
KR930010521B1 KR1019900015586A KR900015586A KR930010521B1 KR 930010521 B1 KR930010521 B1 KR 930010521B1 KR 1019900015586 A KR1019900015586 A KR 1019900015586A KR 900015586 A KR900015586 A KR 900015586A KR 930010521 B1 KR930010521 B1 KR 93001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llow phosphor
flux
content
ppm
phosp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471A (ko
Inventor
정일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521B1/ko
Publication of KR92000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zinc or cadmiu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황색 형광체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알칼리토류 황화물 형광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장의 주피크가 560-570mm인 음극선관용 알칼리토류 황화물의 황색 형광체에 관한 것이다.
알칼리토류 황화물 형광체는 부활제를 변화시키면 적외선에서 자외선까지의 전 영역의 빛을 발광시킬 수 있다. 예컨대 CaS 모체로 하고 부활제로서 Cu, Ce, Mn 및 Eu등을 각각 사용하면, 청색, 녹색, 등색 및 적색등의 색을 가진 빛이 각각 발생한다. 그러나 알칼리토류 황화물계에 의한 황색 형광체는 아직 충분히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알칼리토류 황화물의 황색 형광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Mn부활제를 사용한 등색 형광체와 Ce 부활제를 사용하는 녹색 형광체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것들을 혼합하는 혼합공정은 매우 까다롭고, 더욱이 이 혼합공정에 의해 얻은 형광체 혼합물은 발광성이나 휘도에 있어서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이 야기되지 않고 발광특성이 우수한 황색 형광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알칼리토류 황화물에 Mn과 Ce를 사용하여 공부활시키면 상기와 같은 혼합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발광특성이 우수한 황색형광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극선관용 알칼리토류 황화물의 황색형광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황색형광체가 제공된다.
(Ca 1-x-y Srx Mgy)S : Mn, Ce
상기 식에서 x는 정수로서 그 범위는 0≤x≤1이고, y도 정수로서 그 범위는 0≤y≤1이다. 또한 부활제인 Mn의 함량범위는 100ppm 내지 20000ppm이고, Ce의 함량범위는 100ppm 내지 20000ppm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황색 형광체의 성분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알칼리토류 황화물의 형광체에서 모체인 알칼리토류 황화물은 MgS,CaS,SrS등이 주로 사용되며, 이들 황화물중 적어도 일종을 사용하면 된다. 부활제로 사용되는 Mn은 그 함량이 100ppm 미만이면 발광특성이 불량하고, 반면에 20000ppm을 초과하면 농도켄칭(소광)이 일어나므로, Mn의 함량범위는 100ppm 내지 200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e는 Mn과 함께 부활제로 첨가되는데, Ce의 함량이 100ppm 미만이면 발광휘도가 낮은 반면, 20000ppm을 초과하면 농도켄칭이 일어나므로, Ce의 함량은 100ppm 내지 200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Ba는 휘도 상승제로서 추가로 첨가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20000ppm을 상회하면 오히려 휘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Ba의 바람직한 함량범위는 200000ppm이하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황색형광체에는 휘도상승제 및 분산제로서의 P와 휘도상승제로서의 C1이 각각 30000ppm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만약 P와 C1이 각각 30000ppm을 초과하여 첨가되면 오히려 휘도가 저하된다.
끝으로 본 발명의 황색형광체에는 50000ppm 이하의 융제가 첨가되는데, 이는 융제의 함량이 50000ppm을 초과하면 휘도가 낮아지고 형광체가 응집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더욱 설명한다.
[실시예 1]
상기 물질과 용제인 NH4Cl 50000ppm 을 잘 혼합한 다음, 이렇게 하여 얻은 혼합물을 알루미나 트레이에 수용하고, H2S분위기에서 950℃로 2시간 동안 소성한 후 냉각시켰다.
혼합물이 냉각되면 통상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순수 및 염산으로 잔류 융제와 반응 부산물을 제거하고 건조로에서 건조시켜 소망의 황색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물질에 NH4Cl 융제로서 30000ppm의 함량으로 잘 혼합한 다음, 이렇게 하여 얻은 혼합물을 H2S 분위기의 알루미나트레이에서 1200℃로 4시간동안 2회 소성한 후 냉각시켜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소망의 황색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물질에 융제로서 (NH4)2HPO4을 1000ppm의 함량으로 잘 혼합한 다음, 이렇게 하여 얻은 혼합물을 H2S 분위기의 알루미나트레이에서 1000℃로 2시간동안 3회 소성한 후 냉각시켜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소망의 황색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4]
상기 물질에 융제로서 MgCl2를 2000ppm의 함량으로 잘 혼합한 다음, 이렇게 하여 얻은 혼합물을 H2S 분위기의 알루미나트레이에서 1100℃로 6시간동안 소성한 후 냉각시켜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소망의 황색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5]
상기 물질에 융제로서 NH4Cl을 10000ppm의 함량으로 잘 혼합한 다음, 이렇게 해서 얻은 혼합물을 H2S 분위기의 알루미나트레이에서 100℃로 10시간동안 소성한 후 냉각시켜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소망의 황색형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6]
상기 물질에 융제로서 NH4Cl 을 1000ppm의 함량으로 잘 혼합한 다음, 이렇게 해서 얻은 혼합물을 H2S 분위기의 알루미나트레이에서 1000℃로 10시간동안 소성한 후 냉각시켜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소망의 황색형광체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얻은 본 발명의 황색형광체와 전술한 혼합공정을 거쳐서 제조한 종래의 황색형광체를 휘도와, 색좌표 및 입도로써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1과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휘도 및 색좌표 측정은 PTE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휘도의 평가기준은 종래의 황색형광체로 하였다.
[표 1]
[표 2]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황색 형광체보다 발광휘도가 15~25%정도 더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일반적으로 (Ca 1-x-y Srx Mgy) : Mn, Ce(전기 일반식에서 x의 범위는 0≤x≤1이고, y의 범위는 0≤y≤1임)로 표시되며, 전기 Mn과 Ce의 함량범위는 100ppm 내지 2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색형광체.
  2. 제1항에 있어서, 휘도상승제로서 Ba를 2000ppm이하로 첨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색형광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휘도상승제 및 분산제롯, P 및 Cl을 각각 30000ppm이하로 첨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색형광체.
KR1019900015586A 1990-09-26 1990-09-26 황색 형광체 KR93001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586A KR930010521B1 (ko) 1990-09-26 1990-09-26 황색 형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586A KR930010521B1 (ko) 1990-09-26 1990-09-26 황색 형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71A KR920006471A (ko) 1992-04-27
KR930010521B1 true KR930010521B1 (ko) 1993-10-25

Family

ID=1930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586A KR930010521B1 (ko) 1990-09-26 1990-09-26 황색 형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9766A3 (en) * 1995-12-13 1997-08-20 Hewlett Packard Co Light emitting structure emitting on the edge
WO2018114744A1 (en) * 2016-12-20 2018-06-28 Merck Patent Gmbh A white light emitting solid state light sour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9766A3 (en) * 1995-12-13 1997-08-20 Hewlett Packard Co Light emitting structure emitting on the edge
WO2018114744A1 (en) * 2016-12-20 2018-06-28 Merck Patent Gmbh A white light emitting solid state light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71A (ko) 199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51113A (zh) 一种Mn4+激活的白光LED用双钙钛矿红色荧光粉及制备方法
JP2000109826A (ja) アルカリ土類アルミン酸塩蛍光体及び蛍光ランプ
JPH0428757B2 (ko)
KR930010521B1 (ko) 황색 형광체
KR100450792B1 (ko) 저전압 구동용 이트륨 실리케이트계 형광체
JP3098266B2 (ja) 発光組成物及び蛍光ランプ
KR100336973B1 (ko) 저전압용 티탄산스트론튬계 적색 형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85274B1 (ko) 가돌리늄알루미네이트계 녹색 형광체와 이의 제조방법
JPH0885787A (ja) アルミン酸塩蛍光体
US3407139A (en) Fluorescent manganese activated magnesium digallate phosphor composition
KR950011225B1 (ko) 형광램프용 녹색 발광형광체
KR100432664B1 (ko) 청색형광체
KR100283565B1 (ko) 청색발광형광체
JP2726521B2 (ja) 蛍光体及び蛍光ランプ
KR100436706B1 (ko) 청색 발광 형광체
KR930003976B1 (ko) 등색발광 형광체
JP3436161B2 (ja) 蛍光ランプ
JPH0446988A (ja) 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陰極線管
KR950004193B1 (ko) 적색발광형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900002837B1 (ko) 휘도가 향상된 적색 형광체와 그의 제조방법
KR910010102B1 (ko) 형광체와 이를 사용한 음극선관
JPS638476A (ja) 高輝度螢光体
JPH04270782A (ja) 蛍光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蛍光ランプ
JPH06240252A (ja) 蛍光ランプ用緑色発光蛍光体
JPH09291280A (ja) 蛍光体および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