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028B1 -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028B1
KR930010028B1 KR1019900004409A KR900004409A KR930010028B1 KR 930010028 B1 KR930010028 B1 KR 930010028B1 KR 1019900004409 A KR1019900004409 A KR 1019900004409A KR 900004409 A KR900004409 A KR 900004409A KR 930010028 B1 KR930010028 B1 KR 930010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ctor
image
determiner
coefficient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518A (ko
Inventor
켄야 우오모리
아쯔시 모리무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23Analysis of motion using block-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Analysi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제 1a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도, 제 1b 도는 검출된 화상의 상관치의 특성도.
제 2 도는 동실시예의 움직임벡터계수와 유효영역수밀도의 관계도.
제 3 도는 동실시예의 움직임벡터계수와 유효영역수밀도의 관계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3 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도.
제 6 도는 동실시예의 적분감쇠계수와 유효영역수밀도의 관계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4 실시예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도.
제 8 도는 화상의 움직임벡터의 설명도.
제 9 도는 종래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도.
제 10 도는 대표점정합법에 있어서의 대표점과 그 주위의 화소의 상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래치 A 2 : 대표점보존메모리
3 : 래치 B 4 : 상관기
5 : 어드레스제어기 6 : 어드레스절환회로
7 : 누적가산기 8 : 상관성탐색회로
9 : 상관성 유효무효판정회로 10 : 판정회로
11 : 움직임벡터검출부 12 : 움직이멕터판정부
13 : 저역여파기 14 : 클립장치 A
15 : 승산기 16 : 적분기
17 : 클립장치 B 18 : 조작부
본 발명은 화상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의 움직임검출장치의 예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1-269475호 공보에 표시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제 9 도는, 이것의 개략도를 표시한 것으로서, (1)은 래치 A, (2)는 대표점메모리, (3)은 래치 B, (4)는 상관기, (5)는 어드레스제어기, (6)은 어드레스 절환회로, (7)은 누적가산기, (8)은 상관성탐색회로, (9)는 상관성유효무효판정회로, (10)은 판정회로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상관연산장치를 사용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화상의 움직임벡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8a 도는, 소정 시각에 있어서의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b)는 1필드 또는 1프레임후의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촬상장치 등의 움직임에 의해서 화상이 평행이동할때, c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평행이동한 양을 벡터로 표시한 것을 움직임벡터라고 부른다.
제 10 도는 이와 같은 화상의 움직임벡터를 검출하는 방법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대표점정합법에 있어서의 대표점과 그 주위의 화소의 모양을 표시한 것이다. 움직임벡터검출은, 소정 필드에 있어서의 대표점의 위치의 화상데이타가 다음 필드에서 주위의 화소중 어디로 이동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종래의 상관연산장치를 사용한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제 9 도 및 제 10 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화면상의 각 대표점에 있어서의 화상데이터는 타이밍펄스 LPI에 의해 래치 A(1)에 입력되어, 이 타이밍에 따라 대표점보존메모리(2)의 각각의 대표점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기록된다. 그리고, 다음 필드 또는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 각 대표점 위치의 주위의 움직임벡터검출영역에 있어서의 화상데이터와 대표점 메모리(2)에 보존된 앞필드의 대표점의 상관을 취하여, 누적가산기(7)에 입력한다. 누적가산기(7)는 대표점을 기준으로 했을때의 좌표의 위치가 같은 장소에 있어서 상관을 취한 데이터를, 각각 누적가산한다. 그리고 모든 대표점 주위의 누적가산이 종료할 때, 상관탐색회로(8)에 의해 누적가산기(7)에 유지된 누적 가산치중에서 가장 상관이 높은 값을 가진 장소를 판정한다. 즉, 대표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했을때의, 이 가장 상관이 높은 값을 가진 위치(어드레스)가 움직임벡터로 된다. 또, 대표점 주위의 상관치의 분포(평균치, 최소치, 최대치, 기울기 등)를 근거로 해서, 상관성유효무효판정회로(9)는 그 상관연산에 의해 얻게된 움직임터가 유효이냐 무효이냐를 판정한다. 이상의 동작은, 화면을 복수개로 분할했을때의 각 영역에 대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화면의 각 영역으로부터 얻게된 움직임벡터와 그 유효성판정 정보에 의해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판정회로(10)에 의해 판정한다.
여기까지의 동작은 매 필드(프레임)마다 행하기 때문에, 상관연산을 행하면서 다음 필드(프레임)의 상관연산을 위한 대표점에 있어서의 화상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하여 래치 A(1)가 있다. 또, 래치 B(3)는, 소정 대표점의 화상데이터와, 그 주변의 화상데이터와의 상관을 취할때에 대표점의 화상데이터를 유지한다.
또, 제 9 도중 파선부분, 즉 상관연산에 의해 움직임벡터를 검출하는 부분을 움직임벡터검출부(11), 움직임벡터검출부에 의해 얻게된 화면의 각 영역의 움직임벡터와 그 상관정보로부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부분을 움직임벡터 판정부(12)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입력화상신호의 상태에 의해 벡터검출 가능한 영역의 개수는 변화한다. 그리고 최악의 경우, 즉 거의 검출불능상태이고, 가끔 1영역이상 검출가능한 상태가 존재할 때에는, 움직임벡터가 검출되었다 안되었다하는 상태가 지속되고, 출력되는 움직임벡터는 이산적으로 발생하여, 검출된 움직임벡터가 시간적으로 불연속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입력화상의 상태가 나쁘고, 화상의 움직임벡터 검출불능상태에 가까운 상태가 지속될때에도, 검출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가 시간적으로 불연속으로 되지 않는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화상신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움직임벡터를 연산하는 움직임벡터검출부와, 상기 움직임벡터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상기 복수의 영역에 있어서의 움직임벡터의 유효성을 판정하여 상기 입력 화상신호가 화면으로서 표시된 때의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벡터 판정부와, 상기 움직임벡터 판정부에서 유효하다고 판정된 상기 영역의 수에 비례한 신호의 시간적 밀도인 계수를 출력하는 벡터신뢰성 밀도판정부와, 이 벡터신뢰성 밀도판정부의 출력에 의해 상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벡터가 유효로 판정된 영역수에 비례한 신호의 시간적 밀도에 비례한 계수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벡터의 크기를 제어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a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도로서, (11)은 움직임벡터검출부, (12)는 움직임벡터 판정부이고, 종래예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 (13)은 저역여파기(LPF), (14)는 클립장치 A, (15)는 승산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제 1a 도에 있어서, 먼저,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해서 움직임벡터검출부에 있어서 입력화상신호의 필드 또는 프레임간의 움직임벡터를 화면의 영역별로 검출하고, 움직임벡터판정부(12)에 의해 각 영역에 있어서의 검출된 움직임벡터의 유효성을 판정하여,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여기서 움직임벡터의 유효성의 판정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움직임벡터검출정보로서 얻게 되는 것은 제 9 도의 누적가산기(7)의 출력이다. 이것의 통상의 출력예를 표시한 것이 제 1b 도이다. 여기서 상관치가 최소로 되는 점이 움직임벡터를 나타내고 있다. 입력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높은 경우는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관치가 예민한 변화를 나타내고, 정밀도가 좋은 움직임벡터가 검출된다. 이것에 대해서 입력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낮은 경우는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관치의 예민한 변화가 없어지고, 움직임벡터의 검출정밀도가 저하하여 버린다. 또, 화상이 변화하는 경우 등은 최소점(도면중 ①)의 값이 상승해버리고, 움직임벡터검출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또, 화상에 따라서는 최소정 주위의 데이터의 기울기가 낮아짐으로써 최소점의 위치가 불명확하게 되어, 움직임벡터검출정밀도가 저하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검지하여, 상관치의 평균치, 최소치, 최소점 주위의 기울기를 사용한다. 즉, 이하에 표시하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그 검출영역으로부터 검출된 움직임벡터는 무효로 하고, 움직임벡터결정의 후보로 부터 제외한다.
상관치의 평균치〉A
상관치의 평균치〉B X 상관치의 최소치
최소점주위의 기울기〉C
(단, A, B, C는 임의의 정수)
이상과 같이 해서 모든 움직임벡터검출영역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움직임벡터 판정부(12)는 유효로 판정된 영역의 개수 또는 이것에 비례한 신호를 움직임벡터 판정정보로서 동시에 출력한다.
다음에, 움직임벡터판정정보(유효로 판정된 움직임벡터검출영역수)를 저역여파기(13)에 통과시킴으로써, 시간적분효과를 사용하여 원활하게 변화시키고, 시간적으로 평균해서 현재 몇개의 움직임벡터검출영역이 유효하게 되어 있나를 검지한다. 이 저역여파기(13)의 출력은 현재시간평균해서 몇개의 움직임벡터검출영역이 유효하게 되어 있나를 표시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유효영역수의 시간적밀도 또는 벡터신뢰성 밀도라고 부르기로 한다.
다음에, 저역여파기(13)의 출력을 클립장치 A(14)에 통과시키고, 유효영역수의 밀도를 표시하는 신호의 상부쪽을 클립한다. 이 클립레벨은, 통상의 동작시의 승산기의 계수가 된다. 즉, 승산기(15)의 계수의 1배에 상당하는 것을 클립레벨로 해두면 통상의 동작시에는 움직임벡터는 그대로의 크기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효로 판정된 영역의 개수의 시간적 밀도에 따라서, 상기 검출된 움직임벡터에 승산해야 할 계수가 결정된다(제 2 도). 여기서 제 2 도에 있어서, N은 화면의 총영역수이다. K점(클립이 걸리는 점)의 설정은 저역여파기(13)의 이득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영역수의 시간적 밀도가 1개의 상태를 K점으로 하면, 1개이상의 밀도에서 검출영역이 유효로 되는 경우, 즉 항상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가 검출 가능한 경우, 승산기에 입력되는 움직임벡터계수가 1로 되어, 통상의 움직임벡터 검출과 같은 동작이 된다. 이것에 대해서, 1개이하의 밀도에서 검출영역이 유효로 되는 경우, 즉 입력화상신호의 상태가 나쁘고(예를들면 휘도레벨이 낮거나, 화상의 고주파성분이 적은 경우 등), 유효로 판정되는 영역이 화면전체에서 0개나 1개의 상태가 지속되고, 움직임벡터가 검출가능하거나 불가능하거나 할때에는, 유효영역수의 시간적 밀도가 낮을수록 움직임벡터의 계수가 작게되므로, 검출된 움직임벡터가 시간적으로 불연속으로 되는 것을 억압할 수 있다.
또, 클립장치A(14)에 음의 값을 0에 클립하는 동작을 추가하고, 움직임벡터 판정정보에 오프셋을 가산하면,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효영역수의 시간적 밀도가 어느 정도이하에서는 출력움직임벡터를 0으로 하는 것과 같은 특성으로 할 수 있다. 제 3 도의 예(실선)에서는, 유효영역수의 시간적 밀도가 0.75이상에서는 통상의 움직임벡터검출과 마찬가지 동작(승산기(15)의 계수는 1)으로 되므로, 유효로 판정되는 영역수가 가끔 0개이어도 움직임벡터출력은 통상의 동작을 한다. 또, 동도면의 일점쇄선의 특성에 의하면, 유효영역수의 시간적 밀도가 1.25이상, 즉 움직임벡터검출이 유효라고 판정되는 움직임벡터검출로 되며, 그 이하의 유효영역수로 되면 승산기(15)의 출력인 움직임벡터는 원활하게 작아진다. 이와 같이, 제 2 도 및 제 3 도의 그래프의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벡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결정된 움직임벡터를 승산기(15)로 검출움직임벡터에 승산함으로써, 최종출력의 화상의 움직임벡터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효로 판정된 영역수에 비례한 신호의 시간적 밀도에 비례한 계수를 검출움직임벡터에 승산함으로써, 입력화상의 상태가 나쁘고,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불능상태에 가까운 상태가 지속될 때에도, 검출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가 시간적으로 불연속으로 되지 않는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의 구성도로서, (11)은 움직임벡터검출부, (12)은 움직임벡터판정부, (13)은 저역여파기(LPF), (14)는 클립장치A, (15)는 승산기이고, 이상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움직임벡터판정부(12)의 출력(검출움직임벡터)을 적분하는 적부기(16)가 추가되고 그 뒤에 승산기(15)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제 4 도에 있어서, 먼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해서 움직임벡터검출부에 있어서 입력화상신호의 필드 또는 프레임간의 움직임벡터를 화면의 영역별로 검출하고, 움직임벡터판정부(12)에 의해 각 영역에 있어서의 검출움직임벡터의 유효성을 판정하여,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이때 움직임벡터판정부(12)는 유효로 판정된 영역의 개수 또는 이것에 비례한 신호를 움직임벡터판정정보로서 동시에 출력한다.
여기서 움직임벡터판정부의 출력에 있어서의 움직임벡터는 앞필드를 기준으로 한 때의 차분움직임벡터이고, 초기치로부터의 움직임벡터는 이것을 적분함으로써 얻게된다(적분움직임벡터). 여기서 적분은 완전적분을 행하여도 되나, 오프셋 발생시의 신호의 포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누설이 있는 불완전적분을 행한다. 이 적분움직임벡터에 승산기(15)로 움직임벡터계수를 승산함으로써, 유효영역수의 시간적 밀도가 낮을 때에도 적분움직임벡터가 시간적으로 불연속으로 되는 것을 억압한다.
움직임벡터계수를 얻는 방법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저역여파기(13)에 의해 움직임벡터판정정보(유효영역에 비례한 신호)를 시간적으로 원활하게 변화시키고, 클립장치A(14)에 의해 신호의 상부쪽을 클립한다. 이 클립레벨을 승산기(15)의 계수로서 1배상당으로 해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효로 판정된 영역의 개수의 시간적 밀도에 따라서 검출움직임벡터에 승산해야 할 계수가 결정된다(제 2 도). 또, 클립장치 A(14)에 음의 값을 0에 클립하는 동작을 추가하고, 움직임벡터판정정보에 오프셋을 가산하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3 도와 같이 유효영역수의 밀도가 어느 정도까지 크게 될때까지 움직임벡터 계수를 0으로 하는 특성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효로 판정된 영역수에 비례한 신호의 시간적 밀도에 비례한 계수를 적분움직임벡터에 승산함으로써, 승산을 행하고 나서 적분처리를 행하는 것에 비하여 연산오차의 증대를 억압할 수 있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11)은 움직임벡터검출부, (12)는 움직임벡터판정부, (13)은 저역여파기(LPF), (16)은 적분기이고, 이상은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 2 실시예와 다른 점은, 클립장치 A(14)가 클립장치 B(17)로 교체되고, 움직임벡터계수 대신에 적분감쇄계수를 사용하여 움직임벡터의 적분에 있어서의 적분누설량을 제어하고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먼저,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해서 움직임 벡터검출부에 있어서 입력화상신호의 필드 또는 프레임간의 움직임벡터를 화면의 영역별로 검출하고, 움직임벡터판정부(12)에 의해 각 영역에 있어서의 검출움직임벡터의 유효성을 판정하여,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차분움직임벡터)를 결정한다. 이때, 움직임벡터판정부(12)는 유효로 판정된 영역의 개수 또는 이것에 비례한 신호를 움직임벡터판정정보로서 동시에 출력한다.
다음에, 움직임벡터판정부(12)의 출력을 적분기(16)에 의해 적분한다. 이때, 적분계산은 아래식으로 부여된다.
s-vect(n)=s-vect(n-1)X m+vect(n)
단, s-vect(n) : 현필드(프레임)의 적분움직임벡터, s-vect(n-1) : 앞필드(프레임)의 적분움직임벡터, vect(n) : 현필드(프레임)의 (차분)움직임벡터, m : 적분감쇠계수(
Figure kpo00002
1)이다.
여기서 m의 값이 1이면 완전적분이고, 작아짐에 따라서 적분오차가 증대한다.
이 적분감쇠계수 m을 움직임벡터판정정보에 의해 제어한다. 저역여파기(13)에 의해 움직임벡터판정정보(유효영역수에 비례한 신호)를 시간적으로 원활하게 변화시키고, 이것을 근거로해서 클립장치B (17)에 의해 적분감쇠량 m을 얻는다. 클립장치 B(17)의 클립레벨을 적분감쇠계수 m의 1상당보다 조금작게 설정하여 둔다(예 : 0.99).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효로 판정된 영역의 개수의 시간적 밀도에 따라서 검출 움직임벡터에 시행해야 할 적분의 누설량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제 6 도). 즉, 유효로 판정된 영역의 개수의 시간적 밀도가 낮을 때에는 적분누설을 증대시켜서 적분움직임벡터를 작게 하고, 적분움직임벡터가 시간적으로 불연속으로 되는 것을 억압한다. 여기서 제 6 도에 있어서, N는 화면의 총영역수이다. K점(클립이 걸리는 점)의 설정은 저역여파기(13)의 이득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 클립장치 B(17)에 음의 값을 0에 클립하는 동작을 추가하고, 움직임벡터판정정보에 오프셋을 가산하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3 도와 같이 유효영역수의 밀도가 어느 정도까지 크게 될때까지는 적분동작을 행하지 않는 특성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적분감쇠계수 m에 의해 적분의 누설량을 제어함으로써, 1필드(프레임)분의 차분움직임벡터의 성분은 남지만, 입력화상의 상태가 나쁘고,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불능상태에 가까운 상태가 지속될 때에도, 검출되는 화상의 적분움직임벡터가 시간적으로 불연속으로 되는 것을 억압할 수 있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11)은 움직임벡터검출부, (12)는 움직임벡터검출장치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입력화상의 움직임벡터를 움직임벡터검출부(11)와 움직임벡터판정부(12)에 의해 검출하고, 적분기(16)에 의해 적분움직임벡터를 구한다. 여기까지는 제 2 실시예(제 4 도)와 마찬가지이다.
그후, 승산기(15)를 사용하여 적분움직임벡터의 크기를 움직임벡터계수에 의해 결정하나, 움직임벡터계수는 조작부(18)에 의해 부여된다. 조작부(18)는 사람이 직접 가변저항기나 스위치를 조작하여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그것에 대응하는 움직임벡터계수를 발생하는 것이고, 그 실현방법은 용이하며, 예를들면 가변저항기의 조정위치에 대응하는 전압치 또는 전류치를 사용해도 되고, 스위치정보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설정된 움직임벡터계수를 승산기(15)에 의해 적분기(16)의 출력인 적분움직임벡터에 승산하여, 최종출력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검출된 움직임벡터를 사용하여 다른 처리를 행하는 경우, 조작하는 사람의 판단에 의해 검출움직임벡터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제 1 ∼ 제 4 실시예(제 1, 4, 5, 7 도)에 있어서, 신호처리가 디지틀화 되어 있고, 움직임벡터판정부의 출력(움직임벡터, 움직임벡터판정정보)을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하면 벡터신뢰성밀도판정부, 적분기, 승산기의 동작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연산으로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4 실시예(제 7 도)에 있어서, 승산기(15)를 적분기(16)의 출력쪽에 배치하였으나, 적분기(16)의 입력쪽에 배치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예(제 1 도)와 같이 적분기가 없고, 움직임벡터의 적분을 행하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승산기(15)에 움직임벡터계수를 조작부(18)로부터 부여해도 된다. 또, 조작부(18)로 부터 적분감쇠계수를 출력하여, 적분기(16)에 입력해도 된다.
또, 제 1 ∼ 제 3 실시예를 동시에 사용하여, 벡터신뢰성밀도판정부의 출력으로서 적분감쇠계수와, 움직임벡터계수를 동시에 준비하고, 각각 적분기(16), 승산기(15)를 제어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화상의 상태가 나쁘고,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불능상태에 가까운 상태가 지속될때에도, 검출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가 시간적으로 불연속으로 되지 않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Claims (6)

  1. 입력화상신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움직임벡터를 연산하는 움직임벡터검출부와, 상기 움직임벡터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상기 복수의 영역에 있어서의 움직임벡터의 유효성을 판정하여 상기 입력화상신호가 화면으로서 표시된 때의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벡터판정부와, 상기 움직임벡터판정부에서 유효하다고 판정된 상기 영역의 수에 비례한 신호의 시간적 밀도인 계수를 출력하는 벡터신뢰성밀도판정부와, 상기 벡터신뢰성밀도판정부의 출력에 의해 상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신뢰성밀도판정부는 유효로 판정된 영역수에 비례한 신호의 시간적 밀도의 함수인 계수를 출력하고, 이 벡터신뢰성밀도판정부의 출력에 의해 화상의 움직임벡터의 적분에 있어서의 적분감쇠계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신뢰성밀도판정부는, 유효로 판정된 영역수에 비례한 신호의 시간적 밀도의 함수인 계수를 출력하고, 이 벡터신뢰성밀도판정부의 출력에 의해 화상의 움직임벡터의 적분치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4. 입력화상신호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움직임벡터를 연산하는 움직임벡터검출부와, 상기 움직임벡터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상기 복수의 영역에 있어서의 움직임벡터의 유효성을 판정하여 상기 입력화상신호가 화면으로서 표시된 때의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벡터판정부와, 상기 움직임벡터판정부로부터 결정된 전체의 움직임벡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에 상기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계수를 부여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의 적분누설량을 제어하는 계수를 적분기에 출력하고, 그 조작부의 출력에 의해 화상의 움직임벡터의 적분에 있어서의 적분누설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 검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화면전체의 움직임벡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계수를 제어부에 출력하고, 그 조작부의 출력에 의해 화상의 움직임벡터의 적분치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움직임벡터 검출장치.
KR1019900004409A 1989-03-31 1990-03-31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KR930010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3461A JPH0810936B2 (ja) 1989-03-31 1989-03-31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JP1-83461 198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518A KR900015518A (ko) 1990-10-27
KR930010028B1 true KR930010028B1 (ko) 1993-10-14

Family

ID=1380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409A KR930010028B1 (ko) 1989-03-31 1990-03-31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19901A (ko)
EP (1) EP0390561B1 (ko)
JP (1) JPH0810936B2 (ko)
KR (1) KR930010028B1 (ko)
DE (1) DE690333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424B2 (ja) * 1990-03-31 1998-11-25 ソニー株式会社 画振れ補正装置
JP2507138B2 (ja) * 1990-05-21 1996-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画像揺れ補正装置
US5107348A (en) * 1990-07-11 1992-04-2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emporal decorrelation of block artifacts
US5617482A (en) * 1990-08-15 1997-04-01 Televerket Method of motion compensation and elastic deformation in picture sequences
JP2860702B2 (ja) * 1990-10-16 1999-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WO1992021210A1 (en) * 1991-05-23 1992-11-26 Nippon Hoso Kyokai Method for detecting moving vector and apparatus therefor, and system for processing image signal using the apparatus
JP3123130B2 (ja) * 1991-06-28 2001-01-09 ソニー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EP0533195A2 (en) * 1991-09-20 1993-03-24 Sony Corporation Picture signal encoding and/or decoding apparatus
US5604821A (en) * 1992-02-28 1997-02-18 The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tructure and method for dynamic scene analysis
US5731849A (en) * 1992-03-13 1998-03-24 Canon Kabushiki Kaisha Movement vector detecting apparatus
US5627586A (en) * 1992-04-09 1997-05-06 Olympus Optical Co., Ltd. Moving body detection device of camera
US5544239A (en) * 1992-12-14 1996-08-0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otion analysis of fades
JP3308617B2 (ja) * 1992-12-28 2002-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US5684534A (en) * 1993-05-26 1997-11-04 Intel Corporation Task-splitting dual-processor system for motion estimation processing
JP2940762B2 (ja) * 1993-06-28 1999-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手振れ補正装置を有するビデオカメラ
DE69423166T2 (de) * 1993-09-08 2000-07-0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wegungsauswertung mit Blockübereinstimmung
US5768404A (en) * 1994-04-13 1998-06-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tion and disparity estimation method, image synthesis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ame methods
US5550595A (en) * 1994-12-16 1996-08-27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estimation with enhanced camera interface
US6020926A (en) * 1994-12-30 2000-02-01 Intel Corporation Motion estimation block matching speedup
US5691775A (en) * 1995-03-30 1997-11-25 Intel Corporation Reduction of motion estimation artifacts
US5818969A (en) * 1995-05-12 1998-10-06 Intel Corporation Intelligent start for motion estimation search
US5703966A (en) * 1995-06-27 1997-12-30 Intel Corporation Block selection using motion estimation error
US5751861A (en) * 1995-06-30 1998-05-12 Intel Corporation Reducing residual artifacts in video coding schemes with integer motion compensation
US5886744A (en) * 1995-09-08 1999-03-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jitter from motion estimation video data
US5706054A (en) * 1995-12-01 1998-01-0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ideo data to limit the effects of automatic focusing control on motion estimation video coders
US6414994B1 (en) * 1996-12-18 2002-07-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mooth residuals in block motion compensated transform-based video coders
US7206346B2 (en) * 1997-06-25 2007-04-1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otion vector predictive encoding method, motion vector decoding method, predictive en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a storing motion vector predictive encoding and decoding programs
JP4671696B2 (ja) * 2004-01-14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GB2446616B (en) * 2006-12-06 2011-12-07 Sony Uk Ltd Motion adaptive image processing
US7995097B2 (en) * 2007-05-25 2011-08-09 Zoran Corporation Techniques of motion estimation when acquiring an image of a scene that may be illuminated with a time varying luminan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0291A (ja) * 1984-12-12 1986-06-27 Nec Corp 動画像信号の動静分離装置
JPS61269475A (ja) * 1985-05-23 1986-11-28 Toshiba Corp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EP0250533B1 (en) * 1985-12-24 1993-01-27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Method of coding a video signal for transmission in a restricted bandwidth
JPH0722394B2 (ja) * 1986-03-31 1995-03-08 日本放送協会 動き補正方法
JP2540809B2 (ja) * 1986-07-30 1996-10-09 ソニー株式会社 高能率符号化装置
JP2508439B2 (ja) * 1987-05-29 1996-06-19 ソニー株式会社 高能率符号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33322T2 (de) 2000-02-03
EP0390561A3 (en) 1993-06-02
JPH0810936B2 (ja) 1996-01-31
DE69033322D1 (de) 1999-11-18
EP0390561B1 (en) 1999-10-13
JPH02261280A (ja) 1990-10-24
KR900015518A (ko) 1990-10-27
US5019901A (en) 1991-05-28
EP0390561A2 (en) 1990-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028B1 (ko)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KR930002614B1 (ko) 비데오카메라용의 화상의 요동보정장치
EP1457925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940762B2 (ja) 手振れ補正装置を有するビデオカメラ
CN108240891B (zh) 气体泄漏检测方法
EP0458239B1 (en) Motion vector detecting apparatus and image stabilizer including the same
KR930010027B1 (ko)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US661809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our detecting circuit provided therein
KR100262793B1 (ko) 화상의손흔들림판정장치
JP387391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4088234A (ja) ノイズ低減装置
US7283680B2 (en) Method for image processing by unsharp masking
JP2506469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画像ゆれ補正装置
EP0425288B1 (en) Movement detection apparatus
JPH0795469A (ja) カムコーダの映像補正装置
KR950009663B1 (ko) 캠코더의 손 떨림 보정 장치
JP3265590B2 (ja)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画像揺れ補正装置
KR20050011241A (ko)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US20220351337A1 (en) Image data processing system for vehicle
JPH025689A (ja)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KR100510477B1 (ko) 고체촬상소자 카메라의 색신호 억압장치 및 방법
KR100220845B1 (ko) 캠코더의 자동-니(auto-knee) 처리 장치 및 방법
JP3271275B2 (ja) 画像の振動補正装置及び画像の振動補正方法
JP3401832B2 (ja) 輪郭補償装置
JP3252416B2 (ja) 画像の手振れ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