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241A -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241A
KR20050011241A KR1020030050249A KR20030050249A KR20050011241A KR 20050011241 A KR20050011241 A KR 20050011241A KR 1020030050249 A KR1020030050249 A KR 1020030050249A KR 20030050249 A KR20030050249 A KR 20030050249A KR 20050011241 A KR20050011241 A KR 20050011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noise
weight
contou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1241A/ko
Publication of KR2005001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2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검출된 윤곽부분의 손상이나 흐려짐을 작게 하면서 노이즈를 감쇄시킬 수 있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가 개시된다.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배열을 생성하는 신호지연부, 신호지연부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를 측정하는 노이즈측정부, 생성된 영상신호배열에 대하여 주변화소들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의 윤곽도를 산출하는 윤곽도산출부, 윤곽도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윤곽도 및 노이즈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생성부, 및 지연된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영상신호를 가중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가중치에 따라 조절하며, 조절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노이즈 감쇄장치는,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지연된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영상신호를 조절하여 영상신호의 노이즈를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Noise diminish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신호에 인가된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신호의 윤곽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윤곽부분의 손상이나 흐려짐을 작게 하면서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용 카메라나 VTR등과 같은 영상신호 처리시스템에서는 물체의 형태를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윤곽신호를 추출하여 영상신호의 윤곽을 보정하므로써 해상도를 높이고 있다. 이 경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는 로우패스 필터(Lowpass filter)를 사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저감시킨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우 로우패스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한 신호도 저감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윤곽에 곤한 정보와 노이즈에 관한 정보를 구별하여 영상신호를 필터링하는 노이즈 감쇄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출원인 SGS-Thomson Microelectronics S.R.L Agrate Brianza. Italy에 의해 특허출원되었다(특허번호 US5,757,977).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노이즈 감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는 필터(1), 잡음검출회로(4), 잡음감쇄회로(5), 윤곽검출회로(6), 및 윤곽강화회로(7)를 구비한다.
필터(1)는 이미지의 윤곽을 결정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처리회로수단(2 및 3)을 구비한다. 각각의 처리회로수단(2, 3)은 제1비교소자(S1, S3) 및 제2비교소자(S2, S4), 및 추론회로(C1, C2)를 구비한다.
제1처리회로수단(2)에 포함된 추론회로(C1)의 제1 및 제2 입력단자는, 제1처리회로수단(2)에 포함된 각각의 제1 및 제2의 비교소자(S1, S2)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2처리회로수단(3)에 포함된 추론회로(C2)의 제1 및 제2의 입력단자는, 제2처리회로수단(3)에 포함된 각각의 제1 및 제2의 비교소자(S3, S4)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추론회로(C1, C2)의 각각은, 퍼지이론에 따라 비교소자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존재하는 활성화레벨 "Vi"을 결정한다. 각각의 활성화레벨 "Vi"는 인터벌[0, 1] 중의 복수의 값을 취한다. 필터(1) 중에 포함된 처리회로수단의 수는, 처리되어야 할 이미지의 사이즈에 의존한다.
잡음검출회로(4)는, 추론회로(C1, C2)에 의해 결정된 활성화레벨 "Vi"에 기초하여 퍼지이론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연산의 결과는 인터벌[0, 1]에 포함된 복수의 값을 취하는 신호 K에 의해 표현된다. 이 신호 즉, K는 디지털 입력신호가 잡음을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른 신뢰성의 정도를 표시한다.
잡음감쇄회로(5)는 제1입력단이 잡음검출회로(4)의 출력단자에 결합되며, 제2입력단이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잡음감쇄회로(5)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각각의 시점에서 신호K의 값에 기초하여 디지털 영상신호의 잡음을 감쇄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K=1 인 경우에 디지털 영상신호가 잡음감쇄되도록 설계되지만, K=0인 경우에는 그대로 변함없이 두 개의 값 사이의 모든 중간상태가 일어나도록 설계된다.
윤곽검출회로(6)는 제1입력단 및 제2입력단이 각각 처리회로수단(1, 2)의 각각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윤곽검출회로(6)는 퍼지이론 프로세스가 기억되는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추론회로(C1, C2)에서 결정된 활성화레벨 "Vi"에 기초하여 연산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이 연산의 결과는 적절한 인터벌 중의 각각의 값을 취하는 신호 Ei로 표현된다.
윤곽강화회로(7)는 제1, 제2, 및 제3입력단자가 윤곽검출회로(6)의 제1 및 제2 출력단자, 및 잡음감쇄회로(5)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윤곽강화회로(7)는 윤곽검출회로(6)에 의한 연산결과 Ei에 기초하여 잡음감쇄된 영상신호에 영상신호의 윤곽강화를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종류는 다양하며, 그 중임펄스(impulse) 노이즈 및 가우시안(Gaussian)분포의 부가적 노이즈가 가장 대표적이다. 여기서, 임펄스 노이즈는 영상신호으 레벨이 임의의 값으로 대치되는 노이즈를 말하며, 부가적 노이즈는 영상신호의 레벨에 임의의 + 또는 -값이 부가되는 노이즈를 말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는 노이즈 감쇄장치는 임펄스 노이즈를 감쇄하는데 사용되는 기술로서,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다양한 노이즈를 감쇄시키는데는 부적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다양한 노이즈를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영상신호의 윤곽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윤곽부분의 손상이나 흐려짐을 작게 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노이즈 감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신호지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윤곽도 산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2의 가중치 생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2의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도 2의 신호지연부에 의한 영상신호 배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영상신호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의 각각의 필터링된 영상신호의 조절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2의 윤곽도 산출부에 의한 윤곽도 산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도 10의 윤곽도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
도 12는 도 2의 가중치 생성부에 의한 가중치 생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가중치함수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4는 도 2의 혼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 : 신호지연부 203 : 필터
205 : 노이즈 측정부 207 : 윤곽도 산출부
209 : 가중치 생성부 211 : 혼합부
301, 303 : 지연기 305, 307 : 라인지연기
401 : 화소차 계산부 403 : 절대값 변환부
405 : 비교 선택부 407 : 합산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배열을 생성하는 신호지연부, 상기 신호지연부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를 측정하는 노이즈측정부,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하여 주변화소들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윤곽도를 산출하는 윤곽도산출부, 상기 윤곽도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윤곽도 및 상기 노이즈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생성부, 및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가중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중치에 따라 조절하며 조절된 각각의 상기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지연부는,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1차지연시키는 제1지연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2차지연시키는 제2지연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제1지연기와 상기 제2지연기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1차지연시키는 제1라인지연기; 및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제1지연기와 상기 제2지연기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2차지연시키는 제2라인지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윤곽도산출부는, 상기 신호지연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화소차계산부; 상기 화소차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절대값변환부; 상기 절대값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상기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값들을 선택하는 비교선택부; 및 상기 비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나머지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윤곽도를 출력하는 합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중치생성부는, 기 설정된 가중치함수를 저장하는 가중치함수저장부, 및 상기 노이즈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노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가중치함수를 변화시키는 가중치함수변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중치생성부는 상기 가중치함수변화부에 의해 변화된 상기 가중치함수에 상기 윤곽도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윤곽도를 대입하여 상기 가중치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부는 다음과 같은 식에 따라 혼합된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 = P ×k + F ×(1-k)
여기서, O는 상기 혼합부에 의해 혼합된 상기 영상신호, P는 상기 신호지연부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 k는 상기 가중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중치, 및 F는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상기 영상신호를 말한다. 이 경우, 상기 가중치생성부는 상기 윤곽도에 비례하여 커지며, 상기 노이즈에 반비례하여 작아지는 상기 가중치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는 (a)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배열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c)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 (d)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하여 주변화소들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윤곽도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 및 상기 (d)단계에 의해 산출된 윤곽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e)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중치에 따라 조절하며, 조절된 각각의 상기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g)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1차지연시키는 단계; (h)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2차지연시키는 단계; (i)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g)단계와 상기 (h)단계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1차지연시키는 단계; 및 (j)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g)단계와 상기 (h)단계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2차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단계는, (k) 상기 (a)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l) 상기 (k)단계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m) 상기 (l)단계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상기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값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n) 상기 (m)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나머지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윤곽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e)단계는, (o) 기 설정된 가중치함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p) 상기 (c)단계에 의해 측정된 상기 노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가중치함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e)단계는 상기 (p)단계에 의해 변화된 상기 가중치함수에 상기 (d)단계에 의해 산출된 상기 윤곽도를 대입하여 상기 가중치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f)단계는 다음과 같은 식에 따라 혼합된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O = P ×k + F ×(1-k)
여기서, O는 상기 혼합부에 의해 혼합된 상기 영상신호, P는 상기 신호지연부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 k는 상기 가중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중치, 및 F는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상기 영상신호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윤곽도에 비례하여 커지며, 상기 노이즈에 반비례하여 작아지는 상기 가중치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노이즈 감쇄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배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윤곽을 검출하는 영상신호의 윤곽검출장치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화소차계산부; 상기 화소차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절대값변환부; 상기 절대값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상기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값들을 선택하는 비교선택부; 및 상기 비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나머지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윤곽도를 출력하는 합산부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윤곽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영상신호의 윤곽검출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배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윤곽을 검출하는 영상신호의 윤곽검출방법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소차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절대값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상기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값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나머지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윤곽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윤곽검출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는, 신호지연부(201), 필터(203), 노이즈 측정부(205), 윤곽도 산출부(207), 가중치 생성부(209), 및 혼합부(211)를 구비한다.
신호지연부(201)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 배열을 생성한다. 필터(203)는 신호지연부(201)에 의해 지연된 영상신호를 필터링한다. 노이즈 측정부(205)는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를 측정한다. 윤곽도 산출부(207)는 생성된 영상신호 배열에 대하여 주변화소들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의 윤곽도를 산출한다. 가중치 생성부(209)는 노이즈 측정부(205)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 및 윤곽도 산출부(207)에 의해 산출된 윤곽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한다. 혼합부(211)는 신호지연부(201)에 의해 지연된 영상신호 및 필터(203)에 의해 필터링된 영상신호를 가중치 생성부(209)에 의해 생성된 가중칭 따라 조절하며, 조절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한다.
도 3은 도 2의 신호지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신호지연부(201)는 제1지연기(301), 제2지연기(303), 제1라인지연기(305), 및 제2라인지연기(307)를 구비한다.
제1지연기(301)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1차 지연시킨다. 제2지연기(303)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2차 지연시킨다. 즉, 제2지연기(303)는 제1지연기(301)에 의해 지연된 영상신호를 1차 지연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2차 지연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1차 지연이라 함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즉, 화소레벨신호를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한 주기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2차 지연이라 함은 영상신호를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두 주기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을 한다. 또한, 화소레벨신호는 0 내지 255의 범위 내의 각각의 화소값을 말한다.
제1라인지연기(305)는 입력된 영상신호, 및 제1지연기(301)와 제2지연기(303)에 의해 지연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1차 지연시킨다. 또한, 제2라인지연기(307)는 입력된 영상신호, 및 제1지연기(301)와 제2지연기(303)에 의해 지연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2차 지연시킨다. 즉, 제2라인지연기(307)는 제1라인지연기(305)에 의해 지연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1차 지연시키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제1라인지연기(305) 및 제2라인지연기(307)에 의해 지연되는 주기는 제1지연기(301) 및 제2지연기(303)에 의해 지연되는 주기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라인지연기(305)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 사이의 시간간격은 세 주기에 해당하는 차이가 나며, 제2라인지연기(307)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 사이의 시간간격은 여섯 주기에 해당하는 차이게 나는 영상신호의 배열이 생성된다.
도 4는 도 2의 윤곽도 산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윤곽도 산출부(207)는 화소차 계산부(401), 절대값 변환부(403), 비교선택부(405), 및 합산부(407)를 구비한다.
화소차 계산부(401)는 신호지연부(201)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 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 방향, 및 우대각선 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한다.
절대값 변환부(403)는 화소차 계산부(401)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한다. 비교선택부(405)는 절대값 변환부(403)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 방향, 및 우대각선 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을 선택한다. 합산부(407)는 비교선택부(405)에 의해 선택된 나머지 값들을 합산하여 윤곽도를 출력한다.
도 5는 도 2의 가중치 생성부(209)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중치 생성부(209)는 기 설정된 가중치함수를 저장하는 가중치함수 저장부(209a), 및 노이즈 측정부(205)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에 대응하여 가중치함수를 변화시키는 가중치함수 변환부(209b)를 구비한다.
도 6은 도 2의 노이즈 감쇄장치에 의한 노이즈 감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지연부(201)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 배열을 생성한다(S601). 이 경우의 신호지연부(201)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하여, 도 7에 신호지연부에 의한 영상신호 배열방법을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지연기(301)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1차 지연시킨다(S701). 여기서, 1차 지연이라 함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즉, 화소레벨신호를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한 주기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제2지연기(303)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2차 지연시킨다(S703). 즉, 제2지연기(303)는 제1지연기(301)에 의해 지연된 영상신호를 1차 지연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2차 지연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2차 지연이라 함은 영상신호를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두 주기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을 한다.
제1라인지연기(305)는 입력된 영상신호, 및 제1지연기(301)와 제2지연기(303)에 의해 지연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1차 지연시킨다(S705). 여기서, 제1라인지연기(305)에 의해 지연되는 시간간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시간간격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라인지연기(305)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 사이의 시간간격은 세 주기에 해당하는 차이가 나게 된다.
제2라인지연기(307)는 입력된 영상신호, 및 제1지연기(301)와 제2지연기(303)에 의해 지연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2차 지연시킨다(S707). 즉, 제2라인지연기(307)는 제1라인지연기(305)에 의해 지연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1차 지연시키도록 설계된다. 이로써, 제2라인지연기(307)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 사이의 시간간격은 여섯 주기에 해당하는 차이게 나게 된다.
신호지연기(201)의 제1지연기(301), 제2지연기(303), 제1라인지연기(305),및 제2라인지연기(307)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신호배열을 형성하게 되며, 형성된 영상신호의 배열을 도 8에 도시하였다.
필터(203)는 신호지연부(201)에 의해 지연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필터링한다(S603). 이때, 필터(203)에 의해 필터링된 각각의 영상신호는 가중치 생성부(209)에 의해 생성된 가중치와 승산되어 그 값이 조절된다. 가중치가 승산되어 조절되는 각각의 필터링된 영상신호의 형태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노이즈 측정부(205)는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를 측정한다(S605). 이 경우, 노이즈 측정부(205)에 의해 측정되는 노이즈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임펄스 노이즈 뿐만아니라 가우시안 분포의 부가적 노이즈, 및 다른 외부적 요인에 의한 다양한 노이즈도 포함한다.
윤곽도 산출부(207)는 생성된 영상신호배열에 대하여 주변화소들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의 윤곽도를 산출한다(S607). 윤곽도 산출부(207)에 의한 윤곽도 산출방법을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소차 계산부(401)는 신호지연부(201)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주변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한다(S801). 여기서, 영상신호배열에 대한 주변화소들 간의 차이값은, 신호지연부(201)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 방향, 및 우대각선 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말하며, 도 11a 내지 도 11d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화소차 계산부(401)는 P1 및 P3, P4 및 P6, P7 및 P9, P1 및 P7, P2 및 P8, P3 및 P9, P4 및 P8, P1 및 P9, P2 및 P6, P2 및 P4, P3 및 P7, P3 및 P7 간의차이값을 계산한다.
절대값 변환부(403)는 화소차 계산부(401)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한다(S803). 비교선택부(405)는 절대값 변환부(403)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 방향, 및 우대각선 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을 선택한다(S805). 즉, 비교선택부(405)는 P1 및 P3, P4 및 P6, P7 및 P9 간의 차이값의 절대값들 중 절대값이 최대인 것을 제외한 나머지 두개의 절대값, P1 및 P7, P2 및 P8, P3 및 P9 간의 차이값의 절대값들 중 절대값이 최대인 것을 제외한 나머지 두개의 절대값, P4 및 P8, P1 및 P9, P2 및 P6 간의 차이값의 절대값들 중 절대값이 최대인 것을 제외한 나머지 두개의 절대값, 및 P2 및 P4, P3 및 P7, P3 및 P7 간의 차이값의 절대값들 중 절대값이 최대인 것을 제외한 나머지 두개의 절대값을 선택한다. 합산부(407)는 비교선택부(405)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절대값을 합산하여 윤곽도를 출력한다(S807).
가중치 생성부(209)는 노이즈 측정부(205)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 및 윤곽도 산출부(207)에 의해 산출된 윤곽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한다(S609). 가중치 생성부(209)에 의해 생성되는 가중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12에 가중치 생성부(209)에 의한 가중치 생성방법을 도시하였다.
가중치함수 저장부(209a)는 기 설정된 가중치함수를 저장한다(S901). 이 경우, 가중치함수 저장부(209a)에 저장되는 가중치함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움직임벡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규칙성 등을 고려하여 일차함수, 이차함수, 또는 다른 고차함수로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가중치함수의 몇가지 예는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 13a의 실선으로 표시된 일차함수를 예로서 설명한다.
가중치함수 변화부(209b)는 노이즈 측정부(205)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에 대응하여 가중치함수를 변화시킨다(S903). 노이즈 측정부(205)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에 따라 변화되는 가중치함수의 예를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하였다. 즉, 도 13b는 측정된 노이즈에 따라 가중치함수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c는 측정된 노이즈에 따라 가중치함수의 위상이 변화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가중치함수의 변화는 기울기 또는 위상에 의한 방법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인가되는 노이즈에 대응되는 영상신호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가중치 생성부(209)는 가중치함수 변화부(209b)에 의해 변화된 가중치함수에 윤곽도 산출부(207)에 의해 산출된 윤곽도를 대입하여 가중치 k를 생성한다(S905). 도 13b 및 도 13c의 점선은, 변화된 가중치함수에 윤곽도 산출부(207)에 의해 산출된 윤곽도를 대입한 결과에 의해 생성된 가중치가 k = 1.0임을 나타낸다.
혼합부(211)는 지연된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영상신로를 가중치 생성부(209)에 의해 생성된 가중치에 따라 조절하며, 조절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한다(S611). 혼합부(211)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 14에 도시하였으며, 이 경우, 혼합부(211)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혼합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O = P ×k + F ×(1-k)
여기서, O는 상기 혼합부에 의해 혼합된 상기 영상신호, P는 상기 신호지연부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 k는 상기 가중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중치, 및 F는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상기 영상신호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방법에 따라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크기에 따라 지연된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영상신호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는, 영상신호의 윤곽부분의 손상이나 흐려짐을 작게 하면서도 적응적으로 노이즈를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지연된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영상신호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이즈 감쇄장치는,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지연된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영상신호를 조절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노이즈에도 대응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영상신호의 윤곽부분의 손상 또는 흐려짐없이 적응적으로 노이즈를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4)

  1.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배열을 생성하는 신호지연부;
    상기 신호지연부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를 측정하는 노이즈측정부;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하여 주변화소들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윤곽도를 산출하는 윤곽도산출부;
    상기 윤곽도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윤곽도 및 상기 노이즈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생성부; 및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가중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중치에 따라 조절하며, 조절된 각각의 상기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지연부는,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1차지연시키는 제1지연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2차지연시키는 제2지연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제1지연기와 상기 제2지연기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1차지연시키는 제1라인지연기; 및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제1지연기와 상기 제2지연기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2차지연시키는 제2라인지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도산출부는,
    상기 신호지연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화소차계산부;
    상기 화소차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절대값변환부;
    상기 절대값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상기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값들을 선택하는 비교선택부; 및
    상기 비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나머지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윤곽도를 출력하는 합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생성부는,
    기 설정된 가중치함수를 저장하는 가중치함수저장부; 및
    상기 노이즈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노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가중치함수를 변화시키는 가중치함수변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중치함수변화부에 의해 변화된 상기 가중치함수에 상기 윤곽도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윤곽도를 대입하여 상기 가중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다음과 같은 식에 따라 혼합된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O = P ×k + F ×(1-k)
    여기서, O는 상기 혼합부에 의해 혼합된 상기 영상신호, P는 상기 신호지연부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 k는 상기 가중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중치, 및 F는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상기 영상신호를 말한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생성부는 상기 윤곽도에 비례하여 커지며, 상기 노이즈에 반비례하여 작아지는 상기 가중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7. (a)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배열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c)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
    (d)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하여 주변화소들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윤곽도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 및 상기 (d)단계에 의해 산출된 윤곽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 및 필터링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e)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중치에 따라 조절하며, 조절된 각각의 상기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g)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1차지연시키는 단계;
    (h)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2차지연시키는 단계;
    (i)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g)단계와 상기 (h)단계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1차지연시키는 단계; 및
    (j)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g)단계와 상기 (h)단계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를 2차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k) 상기 (a)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l) 상기 (k)단계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m) 상기 (l)단계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상기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값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n) 상기 (m)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나머지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윤곽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o) 기 설정된 가중치함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p) 상기 (c)단계에 의해 측정된 상기 노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가중치함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단계에 의해 변화된 상기 가중치함수에 상기 (d)단계에 의해 산출된 상기 윤곽도를 대입하여 상기 가중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다음과 같은 식에 따라 혼합된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방법:
    O = P ×k + F ×(1-k)
    여기서, O는 상기 혼합부에 의해 혼합된 상기 영상신호, P는 상기 신호지연부에 의해 지연된 상기 영상신호, k는 상기 가중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가중치, 및 F는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상기 영상신호를 말한다.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윤곽도에 비례하여 커지며, 상기 노이즈에 반비례하여 작아지는 상기 가중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방법.
  13.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배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윤곽을 검출하는 영상신호의 윤곽검출장치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화소차계산부;
    상기 화소차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절대값변환부;
    상기 절대값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상기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값들을 선택하는 비교선택부; 및
    상기 비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나머지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윤곽도를 출력하는 합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윤곽검출장치.
  14.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연시켜 영상신호배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윤곽을 검출하는 영상신호의 윤곽검출방법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배열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양단에 위치된 화소들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소차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차이값을 절대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절대값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각각의 상기 절대값에 대해 수평방향, 수직방향,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값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나머지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윤곽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윤곽검출방법.
KR1020030050249A 2003-07-22 2003-07-22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11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49A KR20050011241A (ko) 2003-07-22 2003-07-22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49A KR20050011241A (ko) 2003-07-22 2003-07-22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41A true KR20050011241A (ko) 2005-01-29

Family

ID=3722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249A KR20050011241A (ko) 2003-07-22 2003-07-22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12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536B1 (ko) * 2005-03-09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 잡음제거장치 및 영상신호 잡음제거방법
KR101283430B1 (ko) * 2006-02-07 2013-07-17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잡음량 측정장치
KR101341099B1 (ko) * 2007-09-14 2013-12-13 삼성전기주식회사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KR101481551B1 (ko) * 2008-06-0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US9826177B2 (en) 2013-10-29 2017-11-2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Video signal noise elimination circuit and video signal noise elimination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536B1 (ko) * 2005-03-09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 잡음제거장치 및 영상신호 잡음제거방법
KR101283430B1 (ko) * 2006-02-07 2013-07-17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잡음량 측정장치
KR101341099B1 (ko) * 2007-09-14 2013-12-13 삼성전기주식회사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US9014503B2 (en) 2007-09-14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ise-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481551B1 (ko) * 2008-06-0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US9826177B2 (en) 2013-10-29 2017-11-2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Video signal noise elimination circuit and video signal noise elimin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661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5111511A (en) Image motion vector detecting apparatus
KR930002613B1 (ko)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US4652907A (en) Apparatus for adaptively controlling a video signal recursive filter
JP2970440B2 (ja) 画像合成方法と画像合成装置
JPH0832048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EP1067774B1 (en) Pixel interpolation method and circuit
CN100477805C (zh) 图像处理装置及使用它的图像显示装置、图像处理方法
US20110279684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7325253A (ja) ビデオ信号に関する再帰的フィルタ・システム
KR20050011241A (ko)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US6636229B2 (en) Gradation correction circuit, and γ correction apparatus
JPS6149581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US5233410A (en) Interpolating digital signal clipping circuit and composite video clipping circuit utilizing same
US72744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vector-aided pixel interpolation
US73180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ltering a video signal
JPS61107886A (ja) 動きベクトルの平滑回路
JP3265590B2 (ja)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画像揺れ補正装置
JP3501954B2 (ja) 画質評価装置
JPS6346881A (ja) デジタル輪郭補正回路
JPH1017395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1021386A (ja) 画像処理装置
JP2003143437A (ja) ブラックバランス調整方法、および撮像装置
CN115483909A (zh) 自适应滤波器及其控制方法
JP3816642B2 (ja) 画像データの輪郭補正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