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430B1 - 잡음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잡음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430B1
KR101283430B1 KR1020070010477A KR20070010477A KR101283430B1 KR 101283430 B1 KR101283430 B1 KR 101283430B1 KR 1020070010477 A KR1020070010477 A KR 1020070010477A KR 20070010477 A KR20070010477 A KR 20070010477A KR 101283430 B1 KR101283430 B1 KR 10128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signal
luminance leve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560A (ko
Inventor
타카유키 사토우
히데쓰구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0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자동이득제어가 행해진 영상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잡음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휘도판정 회로(14)에서는, 임의영역 Ai마다 영상입력 신호 VIN를 구성하는 각 화소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하나라도 이 임계값을 넘는 것이 있으면 그 영역 Ai에 대하여 검출 신호 DET를 출력한다. 적분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임의영역 Ai마다의 휘도 레벨 차의 합 SUMi는, 선택 회로(17)에 부여되어 출력 신호 OUT와 비교해서, 작은 쪽의 값이 레지스터에(18)에 주어진다. 레지스터(18)는 펄스발생 회로(22)로부터 부여되는 래치 신호 LAT에 의해 선택 회로(17)의 출력을 유지하지만, 검출 신호 DET가 출력되면, 이 펄스발생 회로(22)로부터의 래치 신호 LAT는 정지한다. 따라서, 휘도 레벨이 임계값을 넘은 화소를 가지는 영역에 대한 휘도 레벨차의 합은 무시되어, 잡음량의 출력 신호 OUT로부터 제외된다.
휘도판정 회로, 검출 신호, 휘도 레벨, 출력 신호, 잡음량

Description

잡음량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AMOUNT OF NO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잡음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잡음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잡음량 측정장치의 문제점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잡음량 측정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잡음량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잡음량 측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도 7은 그 외의 실시예의 잡음량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0 : 입력 단자 12 : 메모리
13 : 감산 회로 14 : 휘도판정 회로
15 : 절대값 회로 16 : 적분 회로
17 : 선택 회로 18 : 레지스터
19 : 출력단자 21 : 제어 회로
22 : 펄스발생 회로 23, 24 : 마스크 회로
본 발명은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잡음량의 측정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잡음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잡음량 측정장치에서는, 입력 단자 1로부터 입력된 제1의 영상신호로부터, 예를 들면 10×10화소의 영역 A를 추출하고, 이 영역 A내의 임의의 화소를 중심으로 하여 근접하는 화소의 집합인 예를 들면 5×5화소의 영역 B를 기준화상으로서 추출한다. 한편, 입력 단자 2에도 제1의 영상신호가 주어지고, 이 입력 단자 2에 주어진 제1의 영상신호는, 기억 수단 1에 기억되어 제2의 영상신호로서 판독된다. 따라서, 제2의 영상신호는 제1의 영상신호보다도 적어도 1프레임 앞의 영상신호가 된다.
추출된 기준화상과, 제2의 영상신호 내의 영역 B와 같은 위치에 있는 화소 마다의 차분을 연산수단으로 산출하고, 적분수단 1에서 이 차분의 합을 구하여 상관값으로서 기억 수단 2a에 기억한다.
다음에 영역 B를 상하좌우에 1화소 혹은 복수화소 움직여, 마찬가지로 그 위치에 있어서의 상관값을 구하여 기억 수단 2b∼2x에 순차 기억한다. 기억 수단 2a∼2x에 기억된 상관값 중에서 최소의 것을 비교 수단으로 구하여, 최소 상관값으로서 적분수단 2에 준다.
마찬가지로 영역 A안의 모든 화소에 있어서 최소 상관값을 구하여, 적분수단 2에 의해, 이 영역 A안의 각각의 화소에서 산출한 최소 상관값의 합 Vn을 구하고, 이 값 Vn을 사용하여 히스토그램, 중앙값, 평균값 등의 통계처리를 함으로써, 잡음량을 측정한다. 이에 따라 움직임이 있는 영상이나 씬 체인지 등에 의한 화상의 급격한 변화를, 잡음으로서 오검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29166호
상기 잡음량 측정장치에서는, 영상신호를 어느 영역으로 분할하여, 1프레임앞의 영상신호와의 차분의 최소값을 구함으로써 움직임이 있는 영상이나 씬 체인지 등에 의한 급격하게 변화되는 화상에 있어서, 차분에 의한 움직임을 잡음으로서 오검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지만, 자동이득 제어기능을 가지는 비디오카메라 등의 입력 영상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3은, 종래의 잡음량 측정장치의 문제점의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도 3a의 영상신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휘도의 영상부분 low와 고휘도의 영상부 high가 혼재하여 영상 전체에 잡음이 있을 경우, 이득제어기능이 작용하여 이득이 2배가 되었다고 하면, 도 3b의 증폭된 영상신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휘도의 영상부분 high의 휘도 레벨이 출력가능한 범위가 넘게 된다. 이 때문에, 출력 영상신호는, 도 3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휘도 부분의 영상신호가 잡음성분과 함께 컷트되어 일정값(최대값)이 된다. 따라서, 1프레임 앞의 영상신호와의 차분을 취하여 최소값을 구했을 경우, 도 3d의 판정 신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컷트된 부분에서는 잡음이 없기 때문에 차분이 0이 되어, 저휘도의 영상부분 low의 잡음량을 측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득제어가 행해진 영상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잡음량 측정장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잡음량 측정장치는, 적어도 1프레임 분의 영상입력 신호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와, 새롭게 입력된 영상입력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임의영역의 영상신호와 상기 기억 회로로부터 판독된 같은 영역의 영상신호와의 화소 마다의 휘도 레벨차를 산출하는 감산 회로와, 상기 감산 회로에서 산출된 상기 임의영역 내의 각 화소의 휘도 레벨차의 절대값을 그 영역 마다 가산하여 상기 복수의 임의영역 마다 휘도 레벨차의 합을 출력하는 적분 회로와, 상기 임의영역 마다 영상 신호를 구성하는 각 화소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하나라도 이 임계값을 넘는 것이 있으면 그 영역에 대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판정 회로와, 상기 적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임의영역 마다의 휘도 레벨차의 합 중에서, 상기 휘도판정 회로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가 출력된 영역을 제외하고, 그 휘도 레벨차의 합이 최소의 것을 잡음량으로서 출력하는 최소값 출력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신규 특징은,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첨부 도면과 대조해서 읽으면 보다 완전하게 밝혀질 것이다. 단, 도면은, 단지 해설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잡음량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잡음량 측정장치는, 입력 단자(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입력 신호 VIN 안의 잡음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 영상입력 신호 VIN이 주어지는 메모리(12), 감산 회로(13) 및 휘도판정 회로(14)를 가지고 있다. 메모리(12)는, 적어도 1프레임 분의 영상입력 신호 VIN을 기억하는 기억 용량을 가지고, 기억한 영상입력 신호 VIN을 적어도 1프레임분 지연시켜 출력하는 것이다. 감산 회로(13)는, 입력 단자(11)로부터 새롭게 입력된 영상입력 신호 VIN과 메모리(12)로 적어도 1프레임분 지연된 영상신호의 화소 마다의 휘도 레벨차 DIF를 산출하는 것이다. 휘도판정 회로(14)는, 영상입력 신호 VIN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넘었을 때, 검출 신호 DET를 출력하는 것이다.
감산 회로(13)의 출력측에는, 화소 마다 휘도 레벨차 DIF의 절대값 ABS를 출력하는 절대값 회로(1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절대값 회로(15)의 출력측에는, 적분 회로(16)가 접속되어 있다. 적분 회로(16)는, 화소 마다 절대값 ABS를 누적 가산하여 합 SUM을 출력하는 것으로, 이 적분 회로(16)의 출력측은 선택 회로(17)의 제1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 회로(17)는, 그 출력측에 접속된 레지스터(18)와 조합하여 최소값 출력 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1의 입력측에 주어지는 합 SUM과 제2의 입력측에 주어지는 출력 신호 OUT 중 작은 쪽의 값 MIN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레지스터(18)는 선택 회로(17)에서 선택된 작은 쪽의 값 MIN을 래치 신호 LAT에 따라 유지하는 것이다. 레지스터(18)에 유지된 값은, 잡음량의 출력 신호 OUT로서 출력 단자(19)로부터 출력됨과 동시에, 선택 회로(17)의 제2의 입력측으로 되돌아 가도록 되어 있다.
이 잡음량 측정장치는, 또한 영상입력 신호 VIN에 대응한 동기신호 SYN가 주어지는 입력 단자(20)를 가지고 있으며, 이 입력 단자(20)에 제어회로(21)가 접속되고 있다. 제어 회로(21)는, 입력 단자(20)로부터 입력되는 동기신호 SYN에 의거하여 비교 대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타이밍 신호 TIM을 생성하여 메모리(12)와 적분 회로(16)에 부여함과 동시에, 비교 대상의 일정한 영역 마다 프리래치 신호 PLA를 생성하는 것이다. 프리래치 신호 PLA는 펄스 발생회로(22)에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펄스발생 회로(22)는, 휘도판정 회로(14)로부터 검출 신호 DET가 부여되지 않을 때는 프리래치 신호 PLA를 래치 신호 LAT로서 레지스터(18)에 출력하고, 이 검출 신호 DET가 부여되고 있을 때에는, 래치 신호 LAT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잡음량 측정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이 도 4를 참조하면서, 도 1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력 단자(11)로부터 입력된 영상입력 신호 VIN으로부터, 임의의 n개의 영역 A1∼An을 추출한다. 또한, 각 영역 A1∼An에서 추출하는 화소수도 임의이다.
다음에 제어회로(21)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 TIM에 따라, 영역 A1안의 모든 화소에 대응하여 메모리(12) 내의 같은 위치의 화소의 휘도 레벨이 판독되고, 감산 회로(13)에 의해 화소 마다 그 휘도 레벨차 DIF가 산출된다. 휘도 레벨차 DIF는, 또한 절대값 회로(15)에 의해 절대값 ABS가 되고, 적분 회로(16)에 의해 타이밍 신호 TIM에 따라 누적가산되어 합 SUM1이 구해진다. 영역 A2∼An에 관해서도 동일한 처리가 행해지고 합 SUM2∼SUMn이 구해진다.
한편 휘도판정 회로(14)에서는, 영상입력 신호 VIN으로부터 추출된 영역 A1∼An마다, 그 영역 내에 휘도 레벨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고 있는 화소가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영역 내에 하나라도 임계값을 넘는 화소가 포함되어 있으면, 휘도판정 회로(14)로부터, 그 영역 Ai에 대하여 검출 신호 DET가 출력된다.
또 제어 회로(21)에서는,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영역 A1∼An의 누적 가산의 종료 타이밍에 맞추어, 프리래치 신호 PLA가 생성된다. 프리래치 신호 PLA는 펄스발생 회로(22)에 주어지고, 검출 신호 DET에 의한 마스크 처리가 행해진다. 다시 말해, 어느 영역 Ai에 대하여 검출 신호 DET가 출력되고 있으면, 그 영역Ai에 대한 래치 LAT는 출력되지 않는다.
적분 회로(16)에서 구해진 각 영역 A1∼An에 대응하는 합 SUM1_∼SUMn은, 선택 회로(17)와 레지스터(18)로 구성되는 최소값 출력 회로에 주어진다. 다시 말해, 레지스터(18)에는, 초기값으로서 이 레지스터(18)에 유지할 수 있는 최대의 값(예를 들면 8비트의 레지스터이면, 255)이 셋트된다. 그리고, 레지스터(18)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 OUT와 적분 회로(16)로부터 순차 출력되는 합 SUM1∼SUMn이, 선 택 회로(17)에서 비교되어 작은 쪽의 값 MIN이 레지스터(18)에 주어진다. 또한 레지스터(18)에서는, 펄스발생 회로(22)로부터 주어지는 래치 신호 LAT에 의해, 선택 회로(17)로부터 출력되는 값 MIN이 유지된다. 따라서, 레지스터(18)에 유지되는 값은, 보다 작은 값으로 순차 갱신된다.
이때, 휘도가 임계값을 넘은 고휘도의 영상부분 high의 화소를 가지는 영역 Ai의 합 SUMi는, 프리래치 신호 LAT가 검출 신호 DET로 마스크 되어, 래치 신호 LAT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레지스터(18)에 격납되지 않고 제외된다. 이에 따라 모든 영역 A1∼ An에 대한 처리가 종료한 후, 레지스터(18)로부터 출력되는 잡음량의 출력 신호 0UT는, 임계값을 넘는 고휘도의 영상부분의 데이터를 제외한 합 SUM1∼SUMn중에서 가장 작은 값이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의 잡음량 측정장치는, 영상입력 신호 VIN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넘었을 때 검출 신호 DET를 출력하는 휘도판정 회로(14)와, 이 검출 신호 DET가 출력되었을 때 최소값 출력회로(선택 회로(17)와 레지스터(18))에 있어서의 최소값의 갱신 처리를 정지시키기 위한 펄스발생 회로(22)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이득 제어기능을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영상입력 신호 VIN에 있어서, 저휘도와 고휘도의 영상이 혼재한 영상 전체에 잡음이 있어, 이득제어에 의해 휘도 레벨이 포화되어 고휘도의 영상부분이 출력 범위를 넘고, 고휘도의 영상부분의 일부가 잡음과 함께 컷트된 경우라도, 저휘도의 영상 부분의 잡음량을 검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잡음량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안의 요소와 공통 요소에는 공통 부호가 붙여지고 있다.
이 잡음량 측정장치는, 도 1안의 펄스발생 회로(22)를 삭제하여 제어회로(21)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래치 신호 PLA를 그대로 래치 신호 LAT로서 레지스터(18)에 부여함과 동시에, 적분 회로(16)와 선택 회로(17) 사이에 마스크 회로(23)를 설치하고, 이 마스크 회로(23)를 휘도판정 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DET로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마스크 회로(23)는, 검출 신호 DET가 주어졌을 때, 적분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관계없이, 적분 회로(16)로부터 출력 가능한 최대값(예를 들면 8비트의 적분 회로이면, 255)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검출 신호 DET가 주어지지 않을 때는, 마스크 회로(23)는 적분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그대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다.
이 잡음량 측정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적분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합 SUM1∼SUMn의 최소값을 구하는 동작 이외는, 도 1의 잡음량 측정장치의 동작과 동일하다.
도 6은, 도 5의 잡음량 측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이다.
이 잡음량 측정장치에서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영역 Ai에 대응하여 적분 회로(16)로부터 합 SUMi가 출력되었을 때, 휘도판정 회로(14)로부터 검출 신호 DET가 부여되지 않으면, 마스크 회로(23)로부터 출력 신호 S23으로서, 이 합 SUMi가 그대로 출력된다. 혹 검출 신호 DET가 주어지면, 마스크 회로(23)의 출력 신호 S23의 값은, 이 합 SUMi의 값에 관계없이 255가 된다. 이에 따라 선택 회 로(17)에서 선택되는 MIN은, 레지스터(18)에 유지되고 있는 값이며, 이 레지스터(18)의 유지 내용은 변화되지 않는다. 즉, 도 1과 마찬가지로, 검출 신호 DET가 출력된 영역 Ai의 적분 회로(16)의 출력인 합 SUMi는, 출력 신호 OUT에 반영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2의 잡음량 측정장치는, 영상입력 신호 VIN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에 검출 신호 DET를 출력하는 휘도판정 회로(14)와, 이 검출 신호 DET가 출력되었을 때에, 적분 회로(16)의 출력을 마스크 하는 마스크 회로(23)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그 변형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도 7은, 그 외의 실시예의 잡음량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잡음량 측정장치에서는, 절대값 회로(15)와 적분 회로(16) 사이에 마스크 회로(24)를 삽입하고, 휘도판정 회로(14)로부터 검출 신호 DET가 출력되었을 때, 이 절대값 회로(15)로부터 출력되는 절대값 ABS를 마스크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2)최소값 출력 회로의 구성은, 도 1, 도 5 및 도 7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에서는, 합 SUM1∼SUMn의 최소값을 출력하는 최소값 출력 회로로서, 작은 값 MIN을 선택하는 선택 회로(17)와, 이 선택 회로(17)에서 선택된 값 MIN을 래치 신호 LAT에 따라 유지함으로써 순차 작은 값으로 갱신되는 레지스터(18)를 사용하고 있지만, 적분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각 영역 A1∼An의 합 SUM1∼SUMn(단, 검출 신호 DET의 대상이 된 영역의 합을 제외한다)을 유지하는 레 지스터와, 이들의 레지스터에 유지된 합 SUM1∼SUMn의 최소값을 선택하여 출력 신호 OUT를 출력하는 선택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임의영역 마다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각 화소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하나라도 이 임계값을 넘는 것이 있으면 그 영역에 대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판정 회로와, 복수의 임의영역 마다의 휘도 레벨차의 합 중에서, 휘도판정 회로로부터 검출 신호가 출력된 영역을 제외하고, 그 휘도 레벨차의 합이 최소의 것을 잡음량으로서 출력하는 최소값 출력회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이득제어에 의해 휘도 레벨이 임계값을 넘은 화소를 가지는 영역의 데이터가 제거되고, 휘도 레벨이 임계값을 넘지 않은 영역 안에서 최소의 값을 가지는 영역의 휘도 레벨의 차가 잡음량으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자동이득제어가 행해진 영상입력 신호에 대해서도, 저휘도의 영상부분의 잡음량을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적어도 1프레임 분의 영상입력 신호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와,
    새롭게 입력된 영상입력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임의영역의 영상신호와 상기 기억 회로로부터 판독된 같은 영역의 영상신호와의 화소 마다의 휘도 레벨차를 산출하는 감산 회로와,
    상기 감산 회로에서 산출된 상기 임의영역 내의 각 화소의 휘도 레벨차의 절대값을 그 영역 마다 가산하여 상기 복수의 임의영역 마다 휘도 레벨차의 합을 출력하는 적분 회로와,
    상기 임의영역 마다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각 화소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하나라도 이 임계값을 넘는 것이 있으면, 그 영역에 대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판정 회로와,
    상기 적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임의영역 마다의 휘도 레벨차의 합 중에서, 상기 휘도판정 회로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가 출력된 영역을 제외하고, 그 휘도 레벨차의 합이 최소의 것을 잡음량으로 하여 출력하는 최소값 출력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량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값 출력회로는,
    상기 임의영역 마다 휘도 레벨차의 총 합계가 산출되는 타이밍에서 프리래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프리래치 신호와 같은 타이밍에서 래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는 상기 래치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펄스발생 회로와,
    상기 적분 회로로부터 제 1의 입력측에 주어지는 상기 임의영역 마다의 휘도 레벨차의 합과 제 2의 입력측에 주어지는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선택 출력하는 선택 회로와,
    초기값으로서 최대값이 설정되고, 상기 래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선택 회로로부터 선택 출력되는 작은 쪽의 값을 순차 유지하여 상기 선택 회로의 제2의 입력측에 부여하는 것에 의해 유지하는 값이 갱신되고, 상기 임의영역 안에서 휘도 레벨차의 합이 최소의 것을 상기 잡음량으로서 출력하는 레지스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량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값 출력회로는,
    상기 임의영역 마다 휘도 레벨차의 총 합계가 산출되는 타이밍에서 래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적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 기 임의영역 마다 휘도 레벨차의 합을 출력하고, 이 검출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는 이 적분 회로로부터의 출력을 대신하여 최대값을 출력하는 마스크 회로와,
    상기 적분 회로로부터 제 1의 입력측에 주어지는 상기 임의영역 마다의 휘도 레벨차의 합과 제2의 입력측에 주어지는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선택 출력하는 선택 회로와,
    초기값으로서 최대값이 설정되고, 상기 래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선택 회로로 선택 출력되는 작은 쪽의 값을 순차 유지하여 상기 선택 회로의 제2의 입력측에 부여함으로써 유지하는 값이 갱신되고, 상기 임의영역 안에서 휘도 레벨차의 합이 최소의 것을 상기 잡음량으로서 출력하는 레지스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량 측정장치.
KR1020070010477A 2006-02-07 2007-02-01 잡음량 측정장치 KR101283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9790 2006-02-07
JP2006029790A JP4551873B2 (ja) 2006-02-07 2006-02-07 雑音量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560A KR20070080560A (ko) 2007-08-10
KR101283430B1 true KR101283430B1 (ko) 2013-07-17

Family

ID=3833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477A KR101283430B1 (ko) 2006-02-07 2007-02-01 잡음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0153B2 (ko)
JP (1) JP4551873B2 (ko)
KR (1) KR101283430B1 (ko)
CN (1) CN101018289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241A (ko) * 2003-07-22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3993A (ja) * 1990-03-14 1991-11-25 Hitachi Denshi Ltd レジストレーション検出装置
JPH04271669A (ja) * 1991-02-27 1992-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階調補正装置
US6037937A (en) * 1997-12-04 2000-03-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Navigation tool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JP3820026B2 (ja) * 1998-03-09 2006-09-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走査線補間方法
JP3863294B2 (ja) * 1998-07-02 2006-1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ノイズ低減信号処理回路および映像表示装置
JP4344964B2 (ja) * 1999-06-01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344968B2 (ja) * 1999-10-28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NO20004375L (no) * 1999-12-06 2001-06-07 Ziad Badarneh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fremvisning og assistering av manipuleringsbevegelser ved betjening av en manöverinnretning foret funksjonsutstyr
JP2003219208A (ja) * 2002-01-18 2003-07-31 Oki Electric Ind Co Ltd 映像雑音低減回路
KR100522607B1 (ko) * 2003-07-15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노이즈 상태를 고려한 적응적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방법
JP4392650B2 (ja) * 2003-11-07 2010-01-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及び方法
JP4289170B2 (ja) * 2004-02-10 2009-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ノイズ量測定装置および映像受像機
KR100555852B1 (ko) * 2004-06-15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의 노이즈 측정장치 및 방법
US7671845B2 (en) * 2004-11-30 2010-03-02 Microsoft Corporation Directional input device and display orientation control
CN100367771C (zh) * 2005-04-08 2008-02-06 杭州国芯科技有限公司 一种自适应抑制图像噪声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241A (ko) * 2003-07-22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의 노이즈 감쇄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20153B2 (en) 2011-04-05
US20070182863A1 (en) 2007-08-09
JP2007214660A (ja) 2007-08-23
JP4551873B2 (ja) 2010-09-29
CN101018289B (zh) 2012-05-30
CN101018289A (zh) 2007-08-15
KR20070080560A (ko) 200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902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US9516290B2 (en) White balance method in multi-exposure imaging system
US4651293A (en) Image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dither screen size selection based on image periodicity
US68974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 detection using an infra-red sensor
JP4450776B2 (ja) 欠陥検査方法及び外観検査装置
JP2003204486A (ja) 撮像装置
KR20060075204A (ko) 적응형 문턱치를 이용한 영상의 평탄 영역 검출장치 및 그방법
US7949182B2 (en) Combining differently exposed images of the same object
US6757014B1 (en) Video signal noise reduction apparatus, a method of reducing a noise in a video signal,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of the method
JP6731645B2 (ja) 画像監視装置、画像監視方法および画像監視プログラム
US11350881B2 (en) Method for suppressing image noise in a video image stream, and associated medical image record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03078807A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方法、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2002101347A (ja) 画像合成方法及び該画像合成方法を用いた撮像装置
KR100262793B1 (ko) 화상의손흔들림판정장치
US7239758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reducing noise of image signal, signal processing progra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1283430B1 (ko) 잡음량 측정장치
EP1175089A2 (en) A method for suppressing noise in image signals and a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dopting the same
JP4337356B2 (ja) 画像信号のノイズを低減する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信号処理方法
KR100957063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US201300884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image with increased image recognition rate
JP2005229166A (ja) 映像信号のノイズ量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200428069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8035215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generates evaluation value for evaluating luminance of image data,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program
JP4477469B2 (ja) フラッシュシーン検出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82650B1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line variation noise redu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