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764B1 -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 Google Patents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764B1
KR930008764B1 KR1019870701154A KR870701154A KR930008764B1 KR 930008764 B1 KR930008764 B1 KR 930008764B1 KR 1019870701154 A KR1019870701154 A KR 1019870701154A KR 870701154 A KR870701154 A KR 870701154A KR 930008764 B1 KR930008764 B1 KR 93000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film
printing
ink
butadien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187A (ko
Inventor
노보루 후지타
토루 오리사가
아끼라 하네다
유기치 미요가와
쥰 아리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닉 코포레이션
사가베 산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801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05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9081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11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916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135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1041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649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70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72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0895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13568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닉 코포레이션, 사가베 산지로 filed Critical 다이닉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8070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Surface property or characteristic of web, sheet or b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1Polyene monomer-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특히 산화중합형의 오일 잉크를 사용하는 평판 옵셋 또는 활판인쇄(letterpress printing)에 적합한 플라스틱 투명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 플라스틱 필름의 인쇄 또는 패턴닝은 인쇄잉크의 선택폭이 넓은 플라스틱 필름과 양호한 양립성을 지닌 인쇄잉크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그라비아 인쇄(gravure printing), 플랙소 그라비아(flexo gravure)인쇄,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행하였다. 그러나, 이들 인쇄방법은 제판비가 비싸고, 작업성이 불충분하며, 인쇄화의 계조성(tone reproduction)이 나쁘고, 화상의 불선명과 같은 한가지 이상의 결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한 인쇄방법에 반해, 평판 옵셋 인쇄는 제판비가 낮고, 실시하기가 용이하며, 화상의 계조성도 양호하여 선명하기 때문에 평판 옵셋 인쇄에 의한 플라스틱 필름에의 인쇄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과 같은 불침투성 물질에 대한 인쇄 또는 패턴닝은 인쇄매체에 인쇄잉크가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경우 솔벤트 잉크 또는 수성 잉크가 사용된다. 간혹, 자외선 경화성 잉크 또는 전자선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오일 잉크는 일반적으로 평판 옵셋 또는 활판 인쇄에 이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재료의 비침투성을 개질시키기 위해, 재료의 표면에 잉크가 침투하여 정착이 용이한 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정착층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오일 잉크"란 잉크의 비히클 성분중에 하나 이상의 오일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평판 옵셋 인쇄 또는 활판인쇄에 유용한 오일 잉크는 착색제, 수지, 건조유 및 고융점 석유계 용매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왁스 화합물 및 건조제와 같은 첨가제를 첨가한 것으로,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중합하는 잉크이다.
솔벤트 잉크 또는 수성잉크를 사용한 경우, 증발하는 용매에 의해 인쇄작업장내의 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잉크의 건조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자외선 경화형 잉크 또는 전자선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는, 잉크의 건조시간은 짧아지지만, 자외선 발생장치 또는 전자선 발생장치와 같은 고가의 장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자외선 경화형 잉크는 반응개시제 및 잔류모노머의 영향으로 잉크가 건조한 후에도 독특한 불쾌취를 함유하기 때문에, 안정성 및 건강면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서, 오일 잉크를 사용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실질적으로 해소된다. 평판 옵셋 인쇄나 凸판 인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산화 중합형의 오일 잉크는 인쇄후, 피인쇄체의 표면에 만들어진 미크로 보이드(micro-void)구조를 가지는 층중에 침투하는 것에 의해 잉크 셋트 상태, 즉 겉보기 건조상태(구체적으로는 손가락으로 가볍게 문질러도 잉크가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건조상태)가 되고, 그후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 중합하는 것에 의해 완전한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종래의 오일 잉크가 침투하는 미크로 보이드 구조의 잉크 정착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충전제를 혼입하거나 미세한 기포를 혼재시키든가 하였으므로 이들 충전제나 기포에 의해 빛이 산란 또는 흡수되어서 잉크 정착층이 불투명하게 될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투명성을 유지시킨채 식품 포장자루와 같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에 인쇄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솔벤트 잉크 또는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방법이 이용된다.
한편, 평판 옵셋 인쇄 또는 활판 인쇄에서는 시트형의 필름에 인쇄할 경우가 많다. 인쇄방법은 산화 중합을 통한 잉크의 건조 및 경화가 불완전하게 되어, 필름이 적층되고, 따라서 잉크의 뒤묻음(set off)및 배어남(bleeding)에 기인하여 얼룩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극단적인 경우, 블록킹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 즉 자외선 경화형 잉크 또는 전자선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에 평판 옵셋 인쇄를 행하고, 이들을 인쇄한 후 즉시 자외선 도는 전자선을 조사시켜 잉크를 경화시키는 방법을 채용하였다. 그런, 이 방법은 자외선 발생장치나 전자선 발생장치와 같은 고가의 장치를 필요로 하고, 특히 다색의 동시 인쇄의 경우에는, 각색의 인쇄마다 자외선 발생장치등을 설치해야 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많은 자외선 발생장치의 사용은 경제적으로 실용성이 있는 평판 옵셋 인쇄의 특징을 반감시킨다. 도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는 반응개시제나 잔류 모노머의 영향으로, 잉크 건조후에도 독특한 불쾌취가 잔류하기 때문에 안전성 및 건강면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시트형의 플라스틱 필름에 평판 옵셋 인쇄를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잉크의 흡수성 및 건조 경화성에 대한 고려이외에, 일반적인 특성으로서 적층된 필름이 1매씩 원활하게 인쇄기에 이송되고, 정합 정밀도가 양호하게 들어가고 나오게 되어, 완전히 인쇄정합되어 쌓이는 것(pile-up)이 필요하다. 즉, 필름의 주행성이 양호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적층된 필름이 서로 마찰대전되어 태킹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표면 마찰계수를 낮추고, 또 필름보존시의 열이력에 의한 블로킹, 습도이력에 의한 블로킹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필름의 이면의 윤활성이 좋은 합지(underpaper)를 중합하고 주행시에 필름과 그 합지가 미끄러져 어긋나지 않도록 접착제나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 등에 의하여 일부분을 임시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임시고정 작업이나 이 임시고정을 분리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아니라, 여분의 합지가 필요하게 된다.
일본국 특개소 54-96590호 공보에는 물 또는 지방족 저급 알콜에 용해하며, 측쇄에 제4급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표면에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평판 옵셋 인쇄에 적합한 필름이라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의 추가 시험에 의하면, 상기 물질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잉크의 건조 정착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알았다. 이들 제 4급 염을 가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내습, 내열성이 부족하다. 상기 물질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시트를 적층하여 보존하는 실험을 한 결과, 상온의 실내에서도 흡습하여 블록킹 현상을 일으키고, 주행불량이 생기기 쉬운 것을 알았다. 그리고 내 손상성 및 내마모성 등의 인쇄용 필름에 대하여 요구되는 일반적 특성에 있어서도 만족할 정도가 못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 중합형의 오일 잉크를 사용한 평판 옵셋 인쇄나 활판인쇄에 의하여 투명성을 잃는 일이 없이 인쇄할 수 있는 투명 플라스틱시트를 제공하고, 또한 삽지인쇄에 있어서 원활하게 주행되고, 블록킹, 태킹, 상처, 마모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1발명은 산화 중합형의 오일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에 사용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고무계수지 및/또는 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잉크 정착층을 설치함으로써 투명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잉크셋트가 빠르고, 인쇄강도 및 내손상성이 우수한 인쇄를 실현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고무계 수지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치환 유도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지가 사용된다. 그리고 스티렌 수지에는 스티렌화 알키드수지,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치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가 사용된다.
이들 고무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는 오일 잉크중의 용제성분이나 유성분, 즉 고비점 석유계 용제나 건성유를 흡수하여 팽창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특히 고비점 석유계 용제에 대해서 이 성질을 현저히 발휘한다. 본 발명자 등은 이 오일 잉크에 대한 고무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의 성질에 착안하고, 이들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잉크 정착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투명하고 그리고 잉크 밀착성, 흡수성 및 건조 경화성이 우수한 신규한 잉크 정착층을 창안한 것이다. 고무계 수지 및/또는 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잉크 정착층에 인쇄된 오일 잉크는 그 잉크중의 용제 성분이나 유성분이 잉크 정착층에 흡수되어 잉크 정착층을 팽윤시키는 것과 함께 잉크 자체는 액체 성분의 감소에 의해 중점, 겔화하여 미크로 보이드 구조에로의 잉크 침투에 의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가지게 하고, 잉크 셋트의 상태가 속히 얻어짐으로, 인쇄 직후에 그대로 인쇄물을 쌓아 놓아도 잉크 얼룩이나 이면에의 전이를 만드는 일이 없다. 또 산화 중합후의 잉크의 밀착성도 양호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잉크 정착층은 투명한 수지층으로 형성되어, 그리고 종래의 것과 같은 미크로 보이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투명성이 손상되는 일없이 플라스틱 투명 필름에 대한 인쇄에 특히 적절히 사용된다.
그리고 실리카분말등의 입상물의 혼입이나,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하여 투명 필름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시키고, 이 요철에 공간이 존재하도록 하여 오일 잉크의 산화 중합을 촉진시키고, 또한 시트 주행성, 내열성, 내습성을 개선하여 블록킹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도전성 수지나, 대전방지제를 혼입하거나 금속산화물을 필름 표면에 증착시키는 등의 대전방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이 인쇄용 투명 필름의 정전기에 의한 태킹의 발생이 방지된다.
제2의 발명은 산화 중합형의 오일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에 사용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고무계수지 및/또는 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액과 실리카졸과의 혼합액을 도포한 잉크 정착층을 설치함으로써 제1발명의 인쇄용 투명 필름의 잉크 정착층 표면의 내손상성과 내열블록킹 특성 및 내습열 블록킹 특성을 개선한 것이다.
이 실리카졸의 첨가에 의하여 제2발명의 플라스틱 필름은 제1발명의 그것보다 표면전기 저항이 1/10~1/100로 저하하였다. 제2발명에 있어서도 제1발명과 같은 고무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가 사용되나, 제1발명과 같은 필름 표면의 미세한 요철의 형성이나, 도전 처리에 의하여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 인쇄용 투명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발명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한쪽면에 고무계 수지 및/또는 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잉크 정착층을 설치한 것이다.
잉크 정착층을 구성하는 고무계 수지의 중합체로서는 예를들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치환 유도체이다. 치환 유도체로서는 예를들어 카복실화한 것, 또는 상기 공중합체를 알칼리 반응성으로 한 것 등이 있다. 이들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있다.
잉크 정착층을 구성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중합체로서는 예를들어 스티렌화 알키드수지,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치환체이다. 치환 유도체로서는 예를들어 카복실화한 것, 또는 상기 공중합체를 알칼리 반응성으로 한 것 등이 있다. 이들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잉크 정착층의 두께는 ㎛이상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기는 3 내지 10㎛정도이다.
잉크 정착층의 주성분은 상기와 같이 고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이나, 내열성, 내손상성 등의 필요에 따라 다른 수지성분(예를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 알콜 섬유소 유도체)등을 혼합한 것도 좋다.
필름이 적층되었을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름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시킨다. 미세한 요철을 예를들어 필름면상의 입상물에 의해 형성한다. 잉크 정착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잉크 정착층의 두께 보다도 큰 입경의 입상물을 혼입하면 필름의 잉크 정착층 쪽의 면상에 요철이 형성된다. 수지 성분에 입상물을 혼입하고, 필름의 잉크 정착층 쪽과는 반대의 면상에 도포하여 요철을 형성시켜도 된다. 또 이들 두가지 방법에 의하여 필름의 양면에 요철을 형성시켜도 된다.
입상물로서는 예를들면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운모, 점토, 탈크, 알루미나,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칼슘, 이황화몰리브덴, 전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플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사불화 에틸렌, 에틸렌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프탈로시아닌블루나 벤가라 등의 안료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입상물의 형상이 잎상(葉狀) 으로 되어 있으면 중합되는 필름과 면접촉이 되기때문에 부적합하고, 구상이나 이에 근사한 형이 바람직하다. 입상물의 평균입경은 잉크 정착층 두께의 2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입상물은 1종류나 또는 여러종류를 혼합한 것 어느것이라도 좋다. 입상물의 도포량은 물질에 따라 상이하나, 예를들어 실리카에서는 5mg/m2정도 이상이면 좋고, 또한 필름 양면에 대한 입상물의 도포량의 합계가 많아지면 완성된 필름은 반투명 내지 불투명으로 된다.
또한, 미세한 요철은 필름면 자체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들어 필름을 엠보스 가공하여 요철을 형성시키거나 필름면에 샌드블라스트 가공하여 요철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전기절연성 때문에 마찰대전되기가 쉬우며, 표면전기 저항이 낮을수록 마찰대전이 일어나지 않고, 인쇄용 필름에 적합하다. 실제상으로는 그 사용환경(통상 실온 20℃, 상대습도 60%)에서 1012Ω/□ 이하인 경우 대전이 적고, 태킹도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또한 이를 108Ω/□ 정도 이하로 낮춘 경우에도 실제효과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표면전기 저항은 JIS에 정해진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여야 할 표면에 2개의 전극(길이 1cm)를 1cm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밀착시키고, 이 2개의 전극 사이의 전기 저항을 측정한 값이다.
필름의 표면전기 저항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필름의 잉크 정착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예를들어 대전방지제를 혼입한 수지나 도전성 도료를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도전성 수지, 예를들어 설폰산금속염이나 카복실산금속염을 도입한 음이온형 도전성 수지, 제4급 암모늄염을 도입한 양이온형 수지, 실록산형수지를 필름에 도포하고 필름표면에 도전층을 설치하여도 된다. 그리고 필름의 잉크 정착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입상물을 혼입한 수지성분을 도포하여 요철을 형성할 경우에는 그 수지성분에 대전방지제 등을 혼입하면 된다. 그리고 필름의 잉크 정착층 쪽의 면의 전기저항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잉크 정착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조성물에 대전방지제 등을 혼입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필름 표면의 대전방지는, 필름의 양면에 실시하여도 좋으나 한면판을 실시하여도 좋다. 필름이 적층되어 있을때 대전방지를 시행하지 않는 일면이 다른 필름의 대전 방지면에 접촉됨으로써 그 면의 대전이 상실된다. 필름의 표면전기저항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필름자체에 대전방지제 등을 혼입시켜 된다.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이 높고, 헤이즈도가 높으면 간유리에 가까운 감을 주는 반투명으로 되고, 반대로 전광선 투과율이 낮으며 헤이즈도가 낮으면 스모크유리와 같이 투명하게 보이나 전체적으로 어둡게 된다. 투명감을 얻기 위해서는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 헤이즈도가 15%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도를 이와 같은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에 형성되는 미세한 요철을 조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필름면상의 입상물에 의해 미세한 요철을 형성할 경우, 입상물의 크기, 양, 형 , 광학적 성질(입상물 자체의 광투과율, 입상물이 혼입되어 있는 수지 성분에 대한 상대 굴절률)에 의하여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도의 값이 변화된다. 입상물의 크기가 작으면 헤이즈도는 작게 유지된다. 단 입상물이 잉크 정착층(또는 바인더의 수지성분)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면 요철이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그 정도의 평규입자경은 필요하다. 입상물의 형은 구형에 가까울수록 헤이즈도가 작게 유지된다. 입상물 자체의 광투과율이 높으면 전광선 투과율은 높게 유지되나, 상대굴절률이 큰 경우에도 헤이즈도가 높아지게 된다.
필름면 자체를 가공하여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요철의 크기, 형, 양에 의하여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도의 값이 변한다. 예를들어 엠보스 가공하여 요철을 형성한 필름에서는 단위 면적내의 엠보스양이 많아지면 전광선 투과율이 저하된다. 요철의 크기가 작고, 반구인 경우에는 헤이즈도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도(雲度)는 ASTM D1003-61에 규정된 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한다. 제2의 본 발명의 인쇄용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고무계 수지 및/또는 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 기능로 하는 용액과 입자경 3~10m㎛의 실리카졸과의 혼합액을 도포한 잉크 정착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기재로서 플라스틱 필름 및 잉크 정착층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제1발명의 것과 같은 재료가 사용된다. 제1발명에 있어서의 내열블록킹성이나 내습열 블록킹성, 내손상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2발명에 있어서는 실리카졸이 첨가된다.
실리카졸은 콜로이달실리카라고도 칭하며, 실리카의 입자직경이 3~100m㎛이다. 실리카 입자끼리는 탈수축합하여 실록산 결합을 형성하고 미세다공성의 구조를 이루면서도 도포막의 경도가 상승하고, 잉크 정착층 표면의 내손상성이 향상된다. 실리카졸을 혼합함으로써 잉크 정착층의 내열블록킹성, 내습열블록킹성도 개량된다. 그리고 표면의 전기 저항치를 저하시킴으로써 마찰대전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실리카졸에는 물에 분산되는 형으로 나트륨이온 등의 양이온에 의하여 안정화된 수성 실리카졸과 실리카 표면을 소수화(疎水化)처리함으로써 유기용매에 분산 가능한 형으로된 오르가노졸이 존재한다. 이들 중에서 도료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가 있다.
잉크 정착층에 사용되는 고무계 수지 및/또는 스티렌계 수지에 히드록실기를 도입하고, 실리카졸과 Si-O-R(R는 유기수지)의 형으로, 예를들어 탈수축합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유기수지와 화학적으로 결합한 부합체의 형태로 실리카졸을 혼입하여도 좋다. 그리고 실리카졸 복합체에 실리카졸을 다시 혼입한 형태로 하여도 좋다.
고무계 수지 및/또는 스티렌계 수지 성분과 실리카졸의 실리카성분과의 중량비는 100:15~2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성분 100에 대하여 실리카성분이 15 이하인 경우 실리카졸을 혼합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200 이상이면 잉크 정착층이 백화(白化)하거나 크랙이 발생되어 양호하게 막이 형성되지 않고, 취약한 도포막이 된다. 그리고 습하여 물에 대한 적성이 나빠지거나 잉크셋트 시간이 길어져서 인쇄의 장점을 감소시키게 된다.
제2의 발명에 있어서는, 잉크 정착층을 구성하는 도포막 성분에 실리카졸을 혼입함으로써 이 도포막 성분이 건조하여 막을 형성할 경우 실리카졸의 히드록실기가 탈수축합하여 실록산결합 Si-O-Si를 이루어 강력한 3차원 망상 구조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잉크 정착층 표면의 도포막 경도가 상승하고 내손상성이 향상된다. 또, 잉크 정착층에 실리카졸이 혼입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용 필름이 대량으로 고온다습한 환경하에 장시간 방치되어 있어도 필름이 서로 붙어 블로킹 현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내열성 및 내습열성도 현저히 개량된다. 또 실리카졸을 혼입하는 것에 의해 잉크 정착층 표면의 전기저항치를 1/10내지 1/100으로 낮출 수 있고 마찰 대전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에 기인하는 장해를 방지할 수 있다. 혼입하는 실리카졸은 입경 3 내지 100m㎛정도로 작으며, 미세간극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시광부의 파장 400 내지 700m㎛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광산란에 의한 도포막의 투명성이 저하되지 않는 이점이 있으며, 인쇄용 투명 필름의 잉크 정착층에 사용할 경우 특히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용이한 접착가공을 실시한 100㎛ 두께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Melinex 505"영국ICI사 제품)의 한면에, 역회전 도포기(reverse roll coater)를 이용하여 메타아크릴산 메틸-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latex)(고형분 30중량%)를 도포하여 120℃의 건조로에서 1분간 건조시킨다. 생성된 필름은 메타아크릴산 메틸-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의 잉크 정착층 7㎛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2]
125㎛ 두께의 투명한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한면에, 고형분 20%의 합성 고무계 수지("SF-105"일본국 잉크화학공업(주)제)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고형분 10%로 희석한 용액을 직경 0.5mm의 와이어(wire)를 감은 바-코더(bar-coater)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10℃에서 1분간 송풍 건조시킨다. 생성된 필름에는 합성고무계 수지의 잉크 정착층 4㎛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3]
70㎛ 두께의 셀로판 필름의 한편에, 역회전 도포기를 이용하여, 카복시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고형분 25%)를 도포하고, 송풍 건조시킨다. 수득된 필름에는 카복시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잉크 정착층 10㎛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4]
용이한 접착가공처리를 실시한 두께 75㎛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Lumilar Q-80"(주)도레이 공업 제품)의 한쪽면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수지("Movinyl 860" Hoechst Gosei, k.k. 제품)를 물에 고형분 30%로 희석시킨 용액을 와이어-바 코더(wire-bar coater)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송풍건조시킨다. 수득한 필름에는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의 잉크 정착층 10㎛가 형성되었다. 잉크 정착층이 형성된 면과 그 반대측의 면에 역회전 도포기에 의해 다음의 조성액을 도포한다.
니트로 셀룰로스 수지 15 중량부
나트륨 도데실포스페이트 0.4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45중량부
톨루엔 45중량부
이 필름을 송풍 건조시켜 두께 3㎛의 대전방지처리층을 수득한다. 이 처리층은 20℃, 습도 60%에서 표면전기광 저항치가 7×1010Ω/ □이다.
[비교예 1]
두께 100㎛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면에, 염화비닐-아세테이트 비닐 공중합체를 메틸 에틸케톤 및 톨루엔의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고형분 15%의 용액을 역회전 도포기로 도포하고, 송풍 건조시킨다. 필름에는 염화비닐-아세테이트 비닐 공중합체의 8㎛의 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5]
용이한 접착가공을 실시한 두께 100㎛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Melinex 505영국 ICI사제)의 한쪽면에 역회전 도포기를 사용하여 0.1중량%의 실리카분말(평균입경 10㎛)를 혼입시켜 메타아크릴산 메틸-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고형분 30중량%)를 도포하고 120℃의 건조로에서 1분간 건조한다. 수득한 필름에는 메타아크릴산 메틸-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의 잉크 정착층 7㎛가 형성되었다. 이 필름의 잉크 흡착층에는 실리카 입자가 돌출하여, 전면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잉크 정착층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와이어 코터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성의 용액을 도포한다.
셀룰로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10중량부
"사일로이드 244"(후지-다비슨 화학(주)제품. 1.04중량부
합성 실리카, 입경 3.5㎛)
메틸 셀로솔브(cellosolve) 40중량부
톨루엔 40중량부
도포면은 120℃에서 1분간 송풍 건조시켜, 합성실리카 입자의 요철을 정착시킨다.
[실시예 6]
두께 100㎛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Lumilar Q-80"도레이 공업(주)제품)의 한쪽면에 미세-직물롤(finely-textured roll)로 엠보스(emboss)가공을 실시한다. 그 반대의 한면에, 역회전 도포기를 사용하여 메타아크릴산 메틸-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고형분 30중량%)를 도포하고 120℃의 건조로에서 1분간 건조하여 잉크 정착층을 형성시켰다. 반대면에는 엠보스 가공으로 요철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7]
첩착가공 처리를 실시한 두께 75㎛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름("Lumilar Q-80"도레이 공업(주)제품)의 한쪽면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수지("Movinyl 860", Hoechst Gosei K.K.제품)를 물에 고형분 30중량%로 희석시킨 액을 와이-바 코터를 사용하요 도포하고, 송풍 건조한다. 수득한 필름에는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의 잉크 정착층 10㎛를 형성시켰다.
니트로 셀룰로스 수지 15중량부
나트륨 도데실 포스페이트 0.4중량부
구상가교 폴리스티렌(평균입경 6㎛, "Fine Pearl 3000Sp".
SUMITOMO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1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45중량부
톨루엔 45중량부
이 필름을 송풍 건조하여 두께 3㎛의 대전방지 처리층을 수득하였다. 이 대전 방지처리층은 20℃, 습도 60%에서 표면 전기저항치가 7×1010Ω/ □이다. 또 대전 방지 처리층으로부터 구상가교 폴리스티렌이 돌출되어 요철을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 8]
두께 70㎛의 셀로판 필름의 한쪽면에 역회전 도포기를 사용하여 2중량%의 실리카분말(평균 입경 10㎛)을 혼입시켜 카복시-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고형분 25%)를 도포하고, 송풍건조한단. 수득한 필름에는 실리카 입자가 돌출된 카복시-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잉크 정착층 6㎛이 형성되었다.
그 반대측의 면에 역회전 도포기로 다음의 조성액을 도포한다.
양이온형 아크릴 수지의 4급 암모늄 염("Cebien A830", 고형분 30
중량% DAICEL CHEMICAL CO. LTD. 제품) 30중량부
구상미립자(평균입경 6㎛) 0.2중량부
메탄올 70중량부
도포면을 120℃에서 1분간 송풍건조시켜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입자의 요철이 형성된 대전방지 처리층을 수득하였다. 이 대전방지 처리층은 20℃, 습도 60%에서 표면전기 저항치가 5×108Ω/ □이다.
[비교예 3]
두께 100㎛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에 0.2중량부의 실리카분말(평균입경 10㎛)을 혼입시켜 염화비닐-아세테이트 비닐 공중합체의 메틸 에틸 케톤 및 톨루엔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고형분 15%의 용액을 역회전 도포기로 도포하고, 송풍건조한다. 필름에는 염화비닐-아세테이트 비닐 공중합체 8㎛의 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9]
용이한 접착 가공을 실시한 두께 100㎛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Melinex 505, 영국 ICI사 제품)의 한면에, 역회전 도포기를 사용하여 8중량%의 가교 폴리스티렌(입경 15㎛ "Fine Pearl PB 3000". SUMITOMO CEMICAL CO., LTD. 제품)을 혼입하여 메타아크릴산메틸-부티디엔 공중합 라텍스(고형분 30중량%)를 도포하고, 120℃의 건조로에서 1분간 건조한다. 수득한 필름에는 메타아크릴산메틸-부티디엔 공중합 라텍스의 잉크 정착층이 형성되었다. 이 필름의 잉크 정착층내에는 가교폴리스티렌 비드(beads)가 0.7g/m2분산되어, 잉크 정착층으로부터 돌출하여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90.3%, 헤이즈도는 12.0%이었다.
[실시예 10]
두께 125㎛의 투명한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의 한쪽면에, 고형분 20중량%의 합성 고무계 수지("SF-105" DAINIPPON INK & CHEMICALS, INC. 제품)를 에틸아세테이트에 고형분 10%로 희석시킨 용액을 직경 0.5mm의 와이어를 감은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10℃에서 1분간 송풍건조시킨다. 수득한 필름에는 합성 고무계 수지의 잉크 정착층이 형성되었다.
잉크 정착층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면에 요철을 설치하기 위해 와이어 바코터를 사용하여 다음 조성액을 도포한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로프리오네이트 10중량부
"사일로이드 244"(Fuji-Davison Chemical, LTD제품 합성실리카 0.5중량부
입경 3.5㎛)
메틸셀로솔브 45중량부
톨루엔 45중량부
도포면을 120℃에서 1분간 송풍건조시켜, 합성 실리카 입자의 요철을 정착시킨다.
이 필름은 한쪽면에 잉크 정착층, 그 반대면에는 실리카 입자가 0.01g/m2분산하여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90.6%, 헤이즈도는 4.1%이었다.
[실시예 11]
용이한 접착가공 처리를 행한 두께 75㎛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Lumilar Q-80", TORAY INDUSTIES, INC제품)의 한쪽면에,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수지("Movinyl 860", Hoechst Gosei K.K.제품)를 물에 고형분 30중량%로 희석한 용액을 와이어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송풍건조한다. 수득한 필름에는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의 잉크 정착층이 형성되었다. 잉크 정착층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면에 역회전 도포기로 다음 조성물을 도포한다.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10중량부
폴리에틸렌 비드(평균입경 5㎛) 1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45중량부
톨루엔 45중량부
나트륨 도데실포스페이트 0.4중량부
이 필름은 한쪽면에 잉크 정착층, 그 반대면에 대전방지 처리층이 있으며 이것은 폴리에티렌 비드가 0.01g/m2분산되어 요철을 형성하고 있다. 그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89.3%, 헤이즈도는 6.3%이었다. 대전방지 처리층 20℃, 습도 60%에서 표면전기 저항치가 7×1010Ω/ □이었다.
[실시예 12]
두께 70㎛의 셀로판 필름의 한쪽면에, 역회전 도포기를 사용하여 0.5중량%의 탈크 분말(평균입경 10㎛)을 혼입시켜 카복시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고형분 25%)를 도포하고, 송풍건조한다. 수득된 필름에는 탈크분말이 돌출되어 요철이 형성된 카복시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잉크 정착층이 형성되었다.
그 반대측면에 역회전 도포기에 의해 다음 조성액을 도포한다.
양이온형 아크릴 수지의 4급 암모늄 염("Cebien A 830", 고형분 30
중량% DAICEL CHEMICAL CO, LTD제품) 30중량부
"사일로이드 244" 0.5중량부
메탄올 70중량부
도포면을 12℃에서 1분간 송풍건조하여, 폴메타아크릴산 메틸입자에 의해 요철을 형성한 대전방지 처리층을 수득하였다. 이 대전방지 처리층은 20℃, 습도 60%에서 표면전기 저항치가 5×108Ω/ □이었다.
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83.2%, 헤이즈도는 10.3%이었다.
[비교예 4]
비교예 3에서 형성한 같은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의 잉크 정착층을 전광선 투과율 86.1%, 헤이즈도 6.3%의 셀로판 필름에 성형하였다.
[비교예 5]
용이한 접착 가공 처리를 한 두께 75㎛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라-Q-80, 주식회사 도레이 제품)의 편면에 리버스를 코터를 사용하여, 이하의 배합으로 되는 도료를 센드밀을 사용하여 분산시켜 도포하고, 송풍건조하였다.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10중량부
침강성 탄산칼슘(입경평균 3㎛) 20중량부
사이로이드 244 3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5중량부
톨루엔 52중량부
얻어진 필름에는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와 무기질 충전제의 1:2.3의 중량비로 되는 두께 10㎛의 잉크 정착층이 성형되었다.
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42.0%, 헤이즈도는 88.7%이고, 백색이고 불투명한 것이었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 의한 수득된 인쇄용 필름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트필름으로 한다. 그 시트 필름을 평판 옵셋 인쇄기에 넣고 "토요 킹 마크 V"(TOYO INK MFG. CO. LTD제품)이라고 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실제적으로 다색인쇄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 표중의 비교예 2는 앞에서 상세히 기재하지는 않았으나, 잉크 정착층을 설치하지 않은 셀로판 필름의 예이다. 또한 표중의 "인쇄강도"는 인쇄면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시키고 세개 떼어낸 경우에, 인쇄가 박리하는 정도로 양부를 판정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잉크 정착층에는 오일 잉크가 양호하게 정착하고, 인쇄 강도도 우수하다. 또한 필름의 주행서, 내열성, 내습성, 내손상성도 실용상 충분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또, 실시예 9~1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잉크 정착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인쇄체의 투명성이 손상되지 않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에 대해 종래의 잉크 정착층에 있어서 수지 성분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를 주체로하는 잉크 정착층에서는, 잉크 정착층 및 인쇄강도가 불충분 하다는 것이 비교예 1 및 3의 결과로부터 판명되었다.
또 비교예 4에서의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의 잉크 정착층은 투명성을 잃지 않고 잉크 정착성, 인쇄강도가 불충분하나, 이것에 충전제를 혼입하여 잉크 정착층을 형성하면 잉크 정착성, 인쇄강도는 향상하는 필름이 된다. 그러나 불퉁명하게 된다는 것이 비교예 5와의 대비에서 나타났다.
[실시예 13]
용이한 접착가공을 행한 두께 100㎛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Meline 505, 영국 ICI 제품)의 한쪽면에, 메타아크릴산메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와 수성 실리카졸(평균입경 12m㎛)과의 고형분 중량비가 1:1로 이루어진 혼합물 수성도료(고형분 30중량%)를, 역회전 도포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20℃의 건조로에서 1분간 건조한다. 수득한 필름에는, 메타아크릴산메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의 잉크 정착층 7㎛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14]
두께 100㎛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한쪽면에, 역회전 도포기를 사용하여, 다음의 조성액을 도포한다.
양이온형 아크릴수지의 4급 암모늄 염("Cebien A830", 고형분 30
중량%, DAICEL CHEMICAL CO, LTD제품) 30중량부
합성 실리카("Syloyd 244", 평균입경 3.5㎛, Fuji-Davison
Chemical, LTD.제품) 0.5중량부
메탄올 40중량부
톨루엔 30중량부
도포면을 12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대전방지 처리층을 형성시켰다. 반대측의 면에,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실리카 복합체(실리카졸 50% 중량부)의 에멀션 도료(고형분 25%)를 와이어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10℃에서 2분간, 송풍건조하고, 두께 10㎛의 잉크 정착층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의 잉크 정착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도료를 이하의 배합으로 변화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이면에 대전방지 처리층을 갖고, 표면에는 두께 10㎛의 잉크 정착층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수득하였다.
스티렌-아크릴산 에스테르-실리카졸 복합체 에멀션(고형분 45%
고형분증 50% 중량부 실리카졸) 50중량부
수성 실리카졸 용액(고형분 40%, 평균입경 10m㎛ 20중량부
물 30중량부
본 실시예의 잉크 흡착층 중에는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70중량부의 실리카졸이 함유되어 있다.
[비교예 6]
실시예 13의 메타아크릴산 메틸-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와 수성 실리카졸의 혼합비를 9:1로 변화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메타아크릴산 메틸-부타디엔 공중합체와 실리카의 9:1중량비로 되는 정착층 7㎛를 형성시켰다.
[비교예 7]
실시예 13의 메타아크릴산 메틸-부타디엔 공중합 라텍스와 수성 실리카졸의 혼합비를 2:8로 변화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도포 건조하였다. 수득한 필름상의 도포막은 약하여 쉽게 균열을 발생하여 사용에 견디지 못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4의 잉크 정착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도료로서, 스티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멀션(고형분 30%)를 사용하고, 그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이면에 대전방지 처리층을 갖고, 표면에는 스티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두께 10㎛의 잉크 정착층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수득하였다.
[표 2]
Figure kpo00002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수득한 인쇄용 필름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트 필름으로 하였다. 그 시트 필름을 평판 옵셋 인쇄기에 넣고 "토요 킹 마크 V"(TOYO INK MFG. CO. LTD제품)라고 하는 프로세스 잉크를 사용하여 실제적으로 다색인쇄를 행하였다. 그 결과 및 필름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표중의 "도포막"은 잉크 정착층을 의미한다. 인쇄강도는 인쇄면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강하게 떼어내는 경우에, 인쇄가 박리하는 정도로 양부를 판정한다. 도포막 연필경도는 JISK 5400,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도는 JISK 7105에 규정한 측정법(ASTM D 1003-61에 대응)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도포막 표면전기항치는 20℃, 65% 상대습도 환경하에 24시간 방치후, 전압 100V의 1분치에서 측정하였다, 도포막의 내열성 및 내습열성은 필름의 표면과 이면을 겹치게 하고, 내열성은 60℃, 90%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각기 1kg/cm2의 하중을 가하여 72시간 방치후의 표면과 이면의 박리 정도로 평가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쇄강도 투명 필름은 표면에 잉크 정착층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면에 대한 인쇄잉크의 밀착성(습윤성), 흡수성 및 건조경화성이 양호하다. 예를들면 평판 옵셋 인쇄잉크는 비히클중의 용매성분이 흡수 내지는 증발함과 동시에 건성유가 산화 중합하는 것이므로, 산화중합이 완료되어 건조경화하는데, 이는 공기가 필요하고 시간이 걸린다. 필름 표면의 잉크 정착층에 잉크가 강하게 부착되어, 용매성분이 잉크 정착층에 흡수되어 잉크의 점도가 충분히 증가하기 때문에, 건성유의 산화 중합에 의해 건조경화가 불완전한 채 필름이 적층되어도 더럽혀 지지 않는다.
또한 필름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기 때문에, 간극에 공기를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인쇄잉크가 그 공기에 접촉하여 산화 중합반응이 일어나고, 건조경화가 촉진된다. 또한, 필름에 적층될 경우에는 필름이 서로 밀착되는 일이 없고 활성이 양호하게 된다. 따라서, 인쇄기에 정합정밀도가 양호하게 들어가고, 인쇄되어 완전하게 정돈되고 그 위에 적층되게 된다. 즉, 주행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 표면 전기저항이 1012Ω/ □이하가 되기 때문에, 대전이 작고 태킹에 의한 주행성 불량도 방지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 플라스틱 시트는 산화 중합형의 잉크를 사용한 평판옵셋 인쇄와 활판인쇄에 적합하고, 이들 인쇄에서도 투명시트의 투명성이 상실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카드류, 전표, 오버헤드 프로젝터용 필름, 식품의 포장봉지 등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의 인쇄분야에 유익하다.

Claims (7)

  1. 산화 중합형의 오일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으로서, 이 플라스틱 투명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상에 잉크 정착층이 마련되어 있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정착층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스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치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한 고무계 수지 ; 또는 스티렌화 알키드수지,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치환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한 스티렌계 수지 ;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이 미세한 요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 대전방지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4. 산화 중합형의 오일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으로서, 이 플라스틱 투명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상에 잉크 정착층이 마련되어 있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정착층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텔-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치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한 고무계 수지 ; 또는 스티렌화 알키드수지,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치환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한 스티렌계 수지 ;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수지성분과 실리카졸과의 혼합액이 도포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이 미세한 요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 대전방지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7. 산화 중합형의 오일 잉크를 정착시키는 층을 형성하는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이조성물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치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한 고무계 수지 ; 또는 스티렌화 알키드수지,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들의 치환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한 스티렌계 수지 ;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수지성분과 평균입경 3 내지 100밀리㎛의 미립자 실리카졸을 고형분 중량비로 100:15~100:200의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정착층용 도료 조성물.
KR1019870701154A 1986-04-09 1987-03-27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KR930008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158 1986-04-09
JP86-80158 1986-04-09
JP61080158A JP2540514B2 (ja) 1986-04-09 1986-04-09 印刷用フイルム
JP61090819A JP2691179B2 (ja) 1986-04-18 1986-04-18 印刷用フイルム
JP86-90819 1986-04-18
JP90819 1986-04-18
JP61091668A JP2713565B2 (ja) 1986-04-21 1986-04-21 印刷用透明フイルム
JP86-91668 1986-04-21
JP91668 1986-04-21
JP61110417A JPS62264948A (ja) 1986-05-13 1986-05-13 記録用フイルム
JP110417 1986-05-13
JP170645 1986-07-19
JP61170645A JPS6327251A (ja) 1986-07-19 1986-07-19 印刷用フイルム
JP62008950A JP2713568B2 (ja) 1987-01-20 1987-01-20 透明記録用フイルム
JP8950 1987-01-20
PCT/JP1987/000191 WO1987006194A1 (en) 1986-04-09 1987-03-27 Transparent plastic film for use in prin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187A KR880701187A (ko) 1988-07-26
KR930008764B1 true KR930008764B1 (ko) 1993-09-15

Family

ID=2754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1154A KR930008764B1 (ko) 1986-04-09 1987-03-27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85932A (ko)
EP (1) EP0262228B1 (ko)
KR (1) KR930008764B1 (ko)
AU (1) AU595874B2 (ko)
CA (1) CA1333549C (ko)
DE (1) DE3750356T2 (ko)
NZ (1) NZ219922A (ko)
WO (1) WO1987006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9903A (en) * 1989-06-23 1992-08-18 Xerox Corporation Transparencies
DE4033906A1 (de) * 1990-10-25 1992-04-30 Agfa Gevaert Ag Akzeptorelement fuer thermosublimationsdruckverfahren
US5215814A (en) * 1991-04-05 1993-06-01 Arkwright Incorporated, Inc. Printing film
JPH08207434A (ja) * 1995-02-07 1996-08-13 Nisshinbo Ind Inc 被記録材
DE29512551U1 (de) * 1995-08-03 1995-12-14 Trw Repa Gmbh Abdeckung für ein Gassack-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JP3790571B2 (ja) * 1995-11-06 2006-06-28 株式会社きもと 光拡散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GB2335870A (en) * 1997-10-27 1999-10-06 Ici Plc Recording sheet
CA2449938A1 (en) 2001-07-25 2003-02-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Synthetic paper skin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US6805908B2 (en) * 2002-04-15 2004-10-19 Multi-Color Corporation Coating process for etched-look label
CN101353498B (zh) * 2008-08-28 2012-06-13 郜爱民 一种油墨
US9137912B1 (en) * 2013-02-05 2015-09-15 Htc Corporation Ca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1651B1 (ko) * 1970-08-12 1973-12-07
JPS4919167B1 (ko) * 1970-12-25 1974-05-15
FR2155880A1 (en) * 1971-10-13 1973-05-25 Kodak Pathe Subbing compsn for polyethylene support - contg eg polyamide epichlorhydrin to improve adhesion of photographic emulsion
JPS5347153B2 (ko) * 1973-07-23 1978-12-19
JPS5443926B2 (ko) * 1973-12-26 1979-12-22
JPS52136002A (en) * 1976-05-07 1977-11-14 Dainippon Ink & Chemicals Printing substrata
JPS5470316A (en) * 1977-11-16 1979-06-06 Sekisui Chemical Co Ltd Method of making intermediate layer for laminated glass
US4446174A (en) * 1979-04-27 1984-05-01 Fuiji Photo Film Company, Ltd. Method of ink-jet recording
GB2061763B (en) * 1979-10-22 1984-06-06 Fuji Photo Film Co Ltd Plastics film with copolymer barrier layer for use as photographic support
US4481252A (en) * 1981-12-10 1984-11-06 Ciba-Geigy Ag Sheet material
JPS5955742A (ja) * 1982-09-25 1984-03-30 松本 文雄 透明フイルム原紙
FR2555512B1 (fr) * 1983-11-25 1987-07-03 Toulemonde Nicolas Procede d'impression offset sur supports plastiques
US4664952A (en) * 1984-10-23 1987-05-12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thod utilizing the same
JPH0669754B2 (ja) * 1985-03-04 1994-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透光性被記録材
JPS6294379A (ja) * 1985-10-21 1987-04-30 Mitsubishi Yuka Fine Chem Co Ltd 水性インク記録用シ−ト
US4732786A (en) * 1985-12-17 1988-03-22 James River Corporation Ink jet printable coatings
JP3061661B2 (ja) * 1991-07-31 2000-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596302A (ja) * 1991-10-07 1993-04-20 Nippon Steel Corp 対称フランジを有する形材の圧延方法および誘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33549C (en) 1994-12-20
EP0262228A1 (en) 1988-04-06
WO1987006194A1 (en) 1987-10-22
EP0262228A4 (en) 1990-10-24
KR880701187A (ko) 1988-07-26
AU595874B2 (en) 1990-04-12
DE3750356T2 (de) 1994-12-15
DE3750356D1 (de) 1994-09-15
NZ219922A (en) 1992-07-28
US5085932A (en) 1992-02-04
EP0262228B1 (en) 1994-08-10
AU7208287A (en) 198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9357A (en) Production of colored images on paper bases
KR930008764B1 (ko) 인쇄용 플라스틱 투명 필름
GB1591361A (en) Pressure-sensitive carbonless sheet set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m
USRE34933E (en) Printing film
CA2013015C (en) Toner adhesion enhancing coating and coated paper
US5139903A (en) Transparencies
US4958173A (en) Toner receptive coating
US7265077B1 (en) Latent image developing systems and devices
JP2713565B2 (ja) 印刷用透明フイルム
JP2713568B2 (ja) 透明記録用フイルム
CA1338242C (en) Ink-setting layer
JPS6246854B2 (ko)
JP2691179B2 (ja) 印刷用フイルム
JP2542506B2 (ja) 熱転写用ohpシ―ト
US5260140A (en) Transparencies
JPH0624703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H0584739B2 (ko)
JP3120431B2 (ja) オフセット印刷用透明フイルム
CA1309251C (en) Self-contained pressure-sensitive carbonless recording sheet having anti-scuff protective overcoating
JP2925557B2 (ja) 記録用フィルム
JPH044181A (ja) 印刷インキ用記録材
JPH0413148B2 (ko)
JPH03295681A (ja) 透明印刷用紙
JPS63154396A (ja) 電子写真平版印刷版材料
JPH0915620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