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128Y1 - 파레트 픽업장치 - Google Patents

파레트 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128Y1
KR930008128Y1 KR2019910002068U KR910002068U KR930008128Y1 KR 930008128 Y1 KR930008128 Y1 KR 930008128Y1 KR 2019910002068 U KR2019910002068 U KR 2019910002068U KR 910002068 U KR910002068 U KR 910002068U KR 930008128 Y1 KR930008128 Y1 KR 930008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allet
set block
fing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2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213U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2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128Y1/ko
Publication of KR920017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레트 픽업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픽업 장치의 내부구성을 일부분인 정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픽업 장치에 대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9 : 파레트 101 : 제2실린더
403 : 피니언 403 : 랙크
404 : 핑거 405 : 로타리 실린더
407, 408 : 가이드바 409 : 하우징
410 : 셋트블록 413 : 측면공정대
본 고안은 LNC(수신장치)생산 공정중 세라믹이 올려지는 파레트(PALLET)에 대한 운반 및 위치이동 작업을 기계적으로 하기 위한 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간의 지그(JIG)만을 교체함으로써 소형사각 상의 부품을 위치이동 시키는데 사용하는 파레트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작업라인 주위에 배치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파레트를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주어야 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장소에서 단순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기 때문에 쉽게 지루해져 시간이 경과될수록 작업자의 피로감을 가중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루함에 의한 피로감으로 파레트를 이동시키는 위치의 정확도도 점점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작업효율도 좋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작업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거리 이동과 공간이동을 기계적인 구성으로 이루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작용이 이루어지는 제1, 제2실린더(414)(101)를 구비하여 제1실린더(414)를 파레트(99)가 이송되는 주변의 설치대(97)에 고정하고, 제2실린더(101)는 제1실린더(414)의 피스톤축 선단에 고정하는 측면블록(413)의 하우징(409)에서 수직한 상태로 설치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상태로 인해 제1실린더(414)는 제2실린더(101)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작업을 이루게 되고, 제2실린더(101)는 핑거(404)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작업을 이루게 된다.
상기의 제2실린더(101) 피스톤축(101a)끝에는 핑거(404)가 구비된 셋트블럭(410)을 설치고정 한다.
상기의 셋트블럭(410)의 상면(411)에 로타리 실린더(405)를 수직하게 설치 고정하면 로타리 실린더(405)의 축이 그 저면으로 튀어나오게 되고, 튀어나온 축에 피니언(402)을 축 결합한다.
그리고 셋트블럭(410)의 상면(411)양측에 가이드 레일이 내측면에 돌출된 가이드대(411')를 설치 고정한다.
치차가 원주면에 파여져 있는 피니언(402)과 가이드대(411)사이의 공간으로 핑거(404)의 슬라이드대(404')를 삽입시켜 슬라이드대의 내측면에 볼트(415)로 고정된 랙크(403)가 피니언(402)의 치차에 맞물리게 하면 랙크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고, 슬라이드(404')에 고정된 핑거(404)의 턱도 마주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이 설치되는 셋트블럭(410)은, 제2실린더(101)의 동작방향에 따라서 승하강 한다.
이때 셋트블럭(410)에서는 피스톤축의 동작에 의한 떨림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셋트블럭(410)의 떨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개의 가이드바(407)(408)을 하우징(409)의 양측 통공에 삽입설치된 슬라이드 베어링(409a)으로 관통시켜 가이드바(407)(408)의 하단을 셋트블럭(410)의 상면을 설치고정 하며, 가이드바(407)(408)상단에는 두개의 가이드바(407)(408)상단에는 두개의 가이드바(407)(408)의 선단이 흔들리지 않도록 함을 물론 하우징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정대(412)중앙에는 가이드바의 승하강 동작시엔 제2실린더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한 통공이 중앙에 뚫려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일정한 작업위치에 도달된 파레트를 집어들어 다음 작업의 위치로 이동하여 공급하고, 최초의 동작 시작점으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작업행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작업이 준비된 빈파레트(99)가 이송라인의 A점에 오게되면 그 주위의 센서(100)가 점등되면서 제2실린더(101)의 피스톤축이 하강되어 A점 위치에 이르러 정지됨과 동시에 로타리 실린더(405)가 동작하여 그 축에 결합된 피니언(40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피니언(402)이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402)의 원주 치차에 맞물린 두개의 랙크(419)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두개의 랙크(40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면 랙크에 설치된 핑거(404)사이의 간격이 좁혀저 파레트(99)의 양측면을 조이게 된다.
이후에 제2실린더(101)가 수축동작을 하여 피스톤축을 상축으로 이동시켜서 셋트블럭(410)이 상승동작 하므로 파레트(99)가 핑거(404)와 함께 들려지게 된다.
파레트(99)가 들려지게 되면 제1실린더(404)에서 전진작용이 이루어져 하우징에 고정된 제2실린더(101)를 포함한 셋트블럭(410)이 소정의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2실린더(101)가 하강동작을 하여 파레트(99)가 작업위치에 도달되면 로타리 실린더(405)가 동작하되 파레트를 조임할때와는 다르게 역 동작을 하여 피니언(40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랙크(43)역시 핑거(404)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핑거(404)는 파레트(99)의 조임력을 상실한다.
핑거의 조임력이 상실되면 파레트(99)는 작업위치에 놓이게되고 이후에 동작되는 제2실린더(101)이 상승작용에 의하여 셋트블럭(410)이 상승된 후 제1실린더(414)에서는 수축작용을 하여 파레트(99)이송 위치로 되돌아가고, 제2실린더(101)의 하강작용에 의해 핑거(404)는 A위치로 내려가 전술한 동작상태를 반복하여 파레트(99)를 조여 일정한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신장수축되는 실린더를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며 로타리 실린더에 피니언과 렉을 구성함에 의하여 랙의 핑거가 파레트를 잡고 다음 작업위치까지 이동시켜주는 행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부품공정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제공함과 아울러 공장의 자동화를 형성함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파레트(99)가 공급되는 A위치 상부에 제1실린더(414)를 수평하게 설치하고 제1실린더(101)의 피스톤축에 고정되는 측면고정대(413)의 하우징(409)에 제2실린더(101)와 가이드바(407)(408)를 수직하게 고정 및 삽입하여 이들의 끝을 셋트블록(410)에 고정하고, 상기 셋트블럭(410)에 설치되는 로타리 실린더 (405)의 피니언(402)원주 치차에 핑거(404)가 구비된 각각의 택크(403)를 대향하게 맞물림 시켜서 셋트블럭(410)의 궤적 행정에 의해 파레트(99)를 소정의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픽업 장치.
KR2019910002068U 1991-02-11 1991-02-11 파레트 픽업장치 KR930008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068U KR930008128Y1 (ko) 1991-02-11 1991-02-11 파레트 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068U KR930008128Y1 (ko) 1991-02-11 1991-02-11 파레트 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213U KR920017213U (ko) 1992-09-17
KR930008128Y1 true KR930008128Y1 (ko) 1993-12-08

Family

ID=1931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2068U KR930008128Y1 (ko) 1991-02-11 1991-02-11 파레트 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1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213U (ko) 199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236B1 (ko) 피스톤 자동 부착장치
US7044706B2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vehicle body panel
KR101333167B1 (ko) 리니어 모션 시스템용 베어링 모듈 조립장치
KR20010114161A (ko) 부품의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
CA2772774C (e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and inserting a threaded fastener
CN105643311A (zh) 对工件的多个部位进行按压的工件固定装置
CN113618397A (zh) 一种基于液压缓冲器的自动化装配设备
DE19702866A1 (de) Bestückungsvorrichtung
KR930008128Y1 (ko) 파레트 픽업장치
RU21454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рабочего колеса вентилятора на двигатель пылесоса
CN110014290A (zh) 一种翻转装缸台架
CN218426720U (zh) 飞轮销钉压装设备
GB2190459A (en) Drive mechanism for electrical component placement head
JPH06312350A (ja) 連動式治具クランプ装置
JP2000016778A (ja) 昇降装置
JPS6284871A (ja) プリント基板スクリ−ン印刷機
JPS61197179A (ja) 組立て部品もしくは工作物用の操作装置
CN208548559U (zh) 连接引线端头自动铆接机送线装置
JPH03270828A (ja) 軸受キャップとボルトの取り外し装置
KR100368620B1 (ko) 전자부품 조립용 리벳팅 머신
CN114789221B (zh) 一种钢丝封条锁芯装配铆压一体设备
CN109018831A (zh) 一种升降回流的出料装置及其工作方法
KR0161481B1 (ko) 전자부품 탑재장치의 흡착비트
CN108923221A (zh) 连接引线端头自动铆接机送线装置及方法
CN218592264U (zh) 一种插销安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