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110B1 - 유체 여과방법 및 복합 막구조물 - Google Patents

유체 여과방법 및 복합 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110B1
KR930008110B1 KR1019860003996A KR860003996A KR930008110B1 KR 930008110 B1 KR930008110 B1 KR 930008110B1 KR 1019860003996 A KR1019860003996 A KR 1019860003996A KR 860003996 A KR860003996 A KR 860003996A KR 930008110 B1 KR930008110 B1 KR 93000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rous
densified
polym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788A (ko
Inventor
에프·디일 차알스
에이. 웨슬링 리치
디. 얘츠 래리
에프. 버메스터 알란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ublication of KR86000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4Organic material, e.g. cellulose,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01D39/16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sintered or 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03Glass or glassy material
    • B01D39/2017Glass or glassy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B01D39/2024Glass or glassy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otherwise bonded, e.g. b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8In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8Filter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08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58Permea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95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and varying density
    • Y10T428/24603Fiber contain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Autogenously bond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 여과방법 및 복합 막구조물
본 발명은 랜덤 섬유 복합시이트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여과재(filter media)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물질을 여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 강도가 양호하고 다공성이 가변적인 여과재 또는 막지지체를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는 필터 및 여과재료의 제법으로 공지된 대부분의 방법으로는 어렵다. 공지된 필터의 예로는 소결유리, 용융(fritted)금속, 편직되거나 침출된 폴리올레핀 및 종이가 있다.
보강재-함유 중합체 복합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의 제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4,426,470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에서는 수성 습식-집적 기술(aqueous wet-laid technique)로 열성형성 중합체, 보강용 섬유, 및 라텍스와 같은 결합제를 함유하는 복합물을 제조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복합물은 높은 굴곡강도와 내압축성이 합해져서 양호한 물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 복합물은 여러가지 형태로 성형될 수도 있다. 현재 이러한 복합물을 조절하여 다공성 물질로 팽창시켜 광범한 다공성, 특히 여과재 및 막지지체용으로 적합한 다공성을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액체상 물질이거나 기체상 물질인 유체를 여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과는 여과성물질-함유 유체를 팽창된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를 함유하는 다공성 여과재를 통과시켜 수행한다. 복합시이트는 수성 습식-집적 방법으로 제조되며 열융합성 중합체, 보강용 섬유 및 결합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공성 여과재는 선택적으로 팽창되어 다공성 구배(gradient)를 형성시킬 수 있다.
열융합성 중합체, 섬유 및 결합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426,470 호의 방법에서 조작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습식-집적된 건조 조밀화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를 가열하여 팽창된 복합시이트를 형성시키고, 팽창된 시이트를 복합형태로 열성형시킨 다음, 팽창된 시이트를 목적하는 다공성 또는 벌크(bulk)밀도까지 재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여과재 제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랜덤 섬유 복합시이트로부터 제조된 막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막지지체는 지지체에 부착된 식별층(discriminating layer)에 필요한 물리적 강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다공성 여과재 또는 막지지체는 수성 습식-집적기술로 제조되고, 계속해서 다양한 다공성 정도로 팽창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팽창(lofted)"이란 용어는 열처리후 팽창된 랜덤 섬유복합재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막지지체 제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수성 습식-집적방법으로 제조된 섬유-보강 복합시이트 표면중 적어도 한 표면에 식별층을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별층의 적용 또는 형성은 열처리 단계에 의해 소정의 다공성 정도까지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를 팽창시키기 전이나 후에 수행할 수 있다. 식별층은 각종 중합체 필름,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4-메틸펜텐-1,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여과재 또는 막지지체는 여러가지 복합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는 이점과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높은 물리적 강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공성 여과재의 물리적 강도는 팽창시키기 전에 조밀화된 시이트내에 혼입된 랜덤섬유 보강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성 여과재 또는 막지지체는 팽창된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로부터 제조된다.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는 미합중국 특허 제 4,426,470 호에 기재된 수성 습식-직접기술로 편리하게 제조된다.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 4,426,470 호에는 복합물을 건조시킨 후에 칼렌더(calender) 또는 닢로울(niproll)로 압축시켜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증진된 예비조밀화된 시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기타 형태의 조밀화된 복합시이트도 이러한 방법에 응용할 수 있으며 본 분야에서 중합체 복합물, 섬유-보강 중합체 시이트(미합중국 특허 제 4,431,696 호), 플라스틱 복합물, 랜덤섬유 복합물 및 섬유 매트로서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랜덤섬유 복합시이트는 수지상 혼합물 전체에 보강섬유가 균질하게 분산되도록 수성 슬러리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는 또한, 복합물시이트가 한정한 평면에 보강용 섬유를 무질서하게 배향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균질하지만 무질서한 배향은 섬유가 변형에너지를 저장하도록 보강용 섬유가 시이트내에서 상당히 겹치는데도 필요하다. 가열시 이러한 에너지가 방출됨으로써 시이트는 시이트의 평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팽창되거나 부풀려진다.
복합시이트 제조용 수성 슬러리 방법 또는 수성 습식-직접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4,426,470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보강용 섬유, 적어도 1개의 열융합성 중합체 및 결합체를 함유하는 희석된 수성 슬러리가 제조된다. 생성물을 다공성 지지체상에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배수시켜 습윤 매트를 형성시킨다. 습윤 매트는 임의로 압력 로울러를 통과시킨 다음 건조시킨다. 이어서, 건조된 매트에 대해 조밀화처리와 같은 여러가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과재 또는 막지지체를 제조하기 전의 시이트 개개의 밀도는 사용된 개개의 열가소성 수지 및 보강용 섬유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폴리올레핀 매트릭스 및 유리섬유를 함유하는 전형적인 조밀화 랜덤섬유 복합시이트의 밀도는 0.75 내지 1.75g/cc,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3g/cc이다.
일반적으로, 랜덤섬유 복합시이트는 보강용 섬유가 혼입될 수 있는 열융합성 수지를 함유할 것이다. 또한, 복합물은 셀룰로오즈, 라텍스 결합제, 무기안료, 산화방지제, 응결제(flocculant), 및 여과재나 막지지체에 적합한 기타 성분들과 같은 기타의 첨가제 또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여과재 제조를 위한 주성분은 보강용 섬유이다. 일반적으로, 보강섬유는 흑연, 금속, 금속-피복된 유리, 세라믹, 폴리아미드, 방향족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즈, 유리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유기 또는 무기 생성물로서 기술되어 있다. 유리섬유는 이의 강도와 저렴한 가격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서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의 필요조건에 따라서는 기타의 섬유가 더 적합할 수도 있다. 섬유의 개개 조성성분의 종류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결정적인 것 같지는 않으며 본 분양의 기술자라면, 역시 잘 수행되는 어떠한 수의 섬유라도 발견할 수 있다. 섬유는 존재하는 열융합된 중합체보다 높은 열뒤틀림온도 또는 연화온도를 가져야 한다.
보강섬유는 필수적으로 수지상 매트릭스 전체에 균질하게 분산되며, 복합물이 한정하는 평면에서 무질서하게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섬유가 평면내에서 실질적으로 어떠한 특별한 방향으로라도 배열되지 않는 것이다. 사용된 섬유의 평균길이는 3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3mm이다. 추가로, 섬유의 최소 종횡비(즉, 직경에 대한 길이비)는 적어도 약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이다. 일반적으로, 보강섬유는 복합시이트의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중량%를 구성한다.
복합시이트에 사용된 열융합성 중합체는 가열 및/또는 압력하에서 변형되어 균일한 구조물로 결합될 수 있는 중합체 입자이다. 이들 융합성 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융합성 유기중합체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수불융성 중합체이다. 이들 중합체는 분말의 또는 분산액의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융합성 유기중합체로는 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 스티렌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기타의 적합한 융합성 유기중합체는 미합중국 특허 제 4,,426,470 호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렌 옥사이드(예 : 폴리-2, 6-디메틸페닐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아릴렌 에테르에테르케톤과 같은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수지이다.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고체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9 내지 79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열융합성 중합체는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표준방법에 따라 측정할 때 열뒤틀림 온도가 약 100℃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막지지체중의 중합체는 압축과 응력균열 둘다에 대한 내성이 높고 막과 접촉할 수 있는 염소 및 기타의 물질로부터인 화학적 공격에 대한 내성이 양호한 결정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이다.
복합시이트의 제 3 성분은 결합제이다. 결합제는 랜덤섬유 복합시이트로 형성되는 물질의 응집을 촉진시키는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결합제는 전분, 합성중합체 및 천연중합체이다. 이러한 결합제중의 하나는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결합전하를 갖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인 유기중합체의 수성 콜로이드성분산액을 콜로이드의 안정화제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만 중합체를 수용성이 되도록 하기에는 불충분한 양으로 함유하는 라텍스이다. 적합한 결합제의 사용에 관한 추가의 문헌은 미합중국 특허 제 4,426,470 호 및 제 4,550,131 호에서 발견할 수 있다.
필요시, 하전된 결합제의 전하에 반대되는 중합체 응결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된 특정 결합제에 대해 적합한 슬러리를 탈안정화시킬 수 있는 기타의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적합한 응결제의 예로 양이온계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하고 음이온계에 대해서는 개질된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디알릴디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추가로, 복합시이트는 UV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또는 착색제와 같은 각종 기타 성분을 함유할수 있다. 임의로, 폴리올레핀 페이스트 또는 펄프라고도 불리우는 합성 중합체 섬유를 저농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중합체 섬유는 중합체 복합물 제조시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들면, 폴리아르아미드 펄프첨가제는 복합물의 응집특성에 기여한다. 기타의 전형적인 중합체 섬유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및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다. 일반적으로, 중합체 섬유는 총 고체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공성 여과재는 시이트를 가열하여 시이트가 팽창되거나 부풀려지도록 함으로써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로부터 형성시킨다. "팽창"이란 용어는 섬유-보강 복합시이트가 다양한 정도의 다공성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팽창되었음을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물리적으로, 팽창이란 섬유-보강 복합시이트가 열을 받아 열융합성 중합체가 연화되고 보강용 섬유가 이완하게 되는 경우이다. 우선 조밀화 복합시이트의 제조과정중에 보강용 섬유를 응력하에 두어, 섬유는 겹쳐진 부분에서 약간 휘게 된다. 신장된 섬유는 중합체 매트릭스가 연화될때, 섬유는 변형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섬유-보강 시이트의 팽창은 공극부피가 원래의 시이트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90%인 시이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극부피는 사용된 가열량(강도 및 시간), 및 시이트를 팽창시키거나 부풀리는 조건, 즉 물리적 속박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팽창된 시이트의 공극부피는 섬유-보강시이트의 두께에 있어서 팽창율은 대략 적어도 약 20%에 상응하지만 조밀화 복합물에 대한 밀도는 상응하게 감소한다. 팽창에 의해 두께가 약 500%이하로 증가할 수 있다.
팽창은, 중합체 매트릭스를 연화시켜 보강용 섬유를 시이트로 팽창시키기에 충분한 어떠한 열처리방법에 의해서라도 유도될 수 있다. 물론, 팽창에 필요한 온도는 중합체의 열뒤틀림 온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가열수단은, 예를들면, 오븐, 적외선조사, 가열충돌공기 또는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이다. 한가지 관점에서, 보강 복합시이트는 균일하게 팽창되어, 다공성이 전체를 통해 일정한 여과재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다른 관점에서, 보강 복합시이트의 단지 일부에만 열을 선택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그 부분만을 팽창시켜 그 일부에만 다공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다른 관점에서, 다공성 구배를 보강 복합시이트에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복합시이트의 단지 한면에만 열을 가함으로써, 다공성이 최대인 가열면과 다공성이 최소인 비가열면을 사용하여 다공성 구배를 형성시킨다. 가열되지 않은 하나의 주표면이 연속적이거나 가열된 면보다 덜 다공성인 경우, 비대칭 다공성 시이트를 선택적 투과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연속된 표면은 식별층, 즉 혼합물의 특정성분에 대하여 선택적인 투과성을 나타내는 층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미공성 표면은 선택적으로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한외여과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복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다.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를 이용하여 여과재 또는 막지지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제공되는 한가지 이점은, 중요한 임무의 여과대에서 막지지체로 사용하기에 상당히 바람직한 인장특성 및 강도가 우수하다는 것이다. 전형적으로는, 예를들면, 유리섬유-보강 폴리올레핀으로 된 팽창된 시이트로부터 형성된 다공성 여과재는 밀도가 0.2 내지 1.20g/cc이고 두께는 1 내지 15mm일 수 있다. 조밀화된 섬유-보강 복합시이트의 밀도 및 계속해서 형성된 다공성 시이트의 밀도는 사용된 열융합성 중합체 매트릭스 및 섬유의 형태뿐만 아니라, 복합시이트 제조시 사용된 열융합성 중합체 및 섬유 개개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이렇게 형성된 다공성 여과재 및 막지지체는 일반적으로, 예를들면, 액체 또는 기체상 물질 여과시 기타의 거공성(macroporous)여과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어떠한 경우에서라도 적용할 수 있다. 다공성 여과재의 집적도 및 물리적 강도 때문에, 촉매상(catalyst bed)으로서의, 이온교환수지상 지지체로서의 또는 역삼투막용 에비필터(prefilter)와 같은 기타의 여과수단용 지지체로서의 사용과 같은 기타의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또다른 잇점은 막지지체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섬유-보강 복합물의 팽창된 시이트에 막식별층을 적용시켜 박막 복합물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막식별층을 조밀화 섬유-보강 복합시이트에 적용시킨 다음, 이를 예정된 정도까지 팽창시킬 수 있다. 막식별층은 본 분야에 공지된 어떠한 방법으로라도 지지체층에 적용시킬 수 있다. 식별층을 다공성 지지체층상에서 주조시키거나, 피복시키거나 또는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식별층을 별도로 형성시킨 다음 이를 지지체에 적층시키거나 접착시킬 수 있다. 식별층의 모든 표면의 다공성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바람직하게는, 팽창된 시이트 대부분의 조밀한 표면에 식별층을 적용시켜야 한다. 이렇게 형성된 복합물막의 섬유-보강 다공성 지지체층은 높은 굴곡강도와 내압축성이 혼합되어 있다. 복합물막은 한외여과, 역삼투압, 기체분리 및 액체통기를 포함한 압력구동막 공정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다공성 또는 고투과성 피복물을 랜덤섬유 복합물의 적어도 하나의 주표면에 적용시킨다. 식별층은 불연속을 나타내지 않고 실용적인 한은 박층인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외부표면이 평활한 다공성 또는 고 투과성층을 사용하여 랜덤섬유 복합물의 비교적 불균질한 표면을 피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식별층을 적용시킨다. 기체분리막용 피복물로서는 셀룰로오즈 에테르 및/또는 에스테르, 4-메틸-1-펜텐의 중합체, 폴리디알킬실록산 및 실리콘 공중합체 및 치환된 폴리아세틸렌과 같이 기체투과성이 높은 물질이 바람직하다. 역삼투막용 피복물로서는 약간 가교결합된 수-팽윤성 중합체, 비닐 알콜중합체 또는 수-투과성이 높은 기타의 물질이 바람직하다.
막식별층은 선행기술에서 사용된 어떠한 중합체물질로부터라도 제조할 수 있다. 식별층으로서 유용한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 4,214,020 호에 기술되어 있다. 식별층용으로 바람직한 중합체는 4-메틸-1-펜텐의 중합체, 방향족 폴리아미드(미합중국 특허 제 4,277,344 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은), 셀룰로오즈 트리아세테이트 및 기타의 셀룰로오즈 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및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디알킬실록산 및 실리콘 공중합체 또는 치환된 폴리아세틸렌이다. 이들 중합체는 조작상 적합한 치환체를 함유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277,344 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은 계면중합법으로 제조된 폴리(페닐렌디아민)식별층은 특히 바람직하다. 전술한 막 및 식별층은 단지 전형적인 것이며 제조할 수 있는 지지된 막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팽창된 랜덤섬유 복합시이트로부터 4개의 필터를 제조하고 이들의 여과특성을 측정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56.4%, 유리섬유(평균길이 5mm) 37%, 라텍스 결합제 3.6% 및 폴리에틸렌섬유 3%를 함유하는 조밀화 복합시이트를 다양한 정도로 팽창시킨다. 팽창된 랜덤섬유 복합시이트로 된 디스크를 다이 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하고 부흐너(Buchner)플라스틱 깔때기에 장치한다. 접착제로 연부를 밀봉시키고 경화시킨다. 이어서, 규산마그네슘 수용액을 깔때기를 통해 진공 여과시키고 규산마그네슘 보유율%을 기록한다. 규산마그네슘의 입자크기는 약 37μ(400메쉬)이다. 4개의 다공성 필터를 통한 규산마그네슘의 여과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록한다 :
[표 1]
Figure kpo00001
표 1에 나타낸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시이트의 다공성을 다양한 정도까지 팽창시킴으로써 동일한 조밀화 랜덤섬유 복합시이트로부터 여과특성이 다양한 다공성 필터를 수득한다. 밀도가 최고인 시이트(샘플 4, 0.70g/cc 밀도)가 최대보유율을 기록한 반면 ; 좀더 실질적인 정도, 즉, 0.35g/cc밀도까지 팽창된 시이트는 규산마그네슘입자의 보유율이 보다 낮았다. 따라서, 실시예 1은 다공성 여과재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팽창된 랜덤섬유 복합시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 유용성 및 이의 과도한 가용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2]
팽창된 랜덤섬유 복합시이트로부터 3개의 다공성 여과재를 제조하고 이들의 물성을 측정한다. 복합시이트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58.4%, 유리섬유(평균길이 5mm) 35%, 라텍스 결합체 3.6% 및 폴리에틸렌섬유 3%로 구성된다. 두께가 다양한 조밀화 랜덤섬유 복합시이트(약 1.20g/cc밀도)를 팽창시키고 3.17mm가지 재압축시켜, 벌크 밀도로서 측정되는 다공성 정도를 다양하게 형성시키고 기구[Micrometrics Auto-pore 9200장치]를 사용하여 물성 및 공극크기를 계산한다. 샘플 1은 두께가 0.89mm인 조밀화 시이트로부터 제조하여 약 2.5분동안 적외선 오븐세트중 190℃에서 3.17mm까지 완전히 팽창시킨다. 샘플 2는 두께가 1.07mm인 조밀화 시이트로부터 제조하는데, 이것을 샘플 1에서와 같이 완전히 팽창시킨 다음, 주형중에 실온에서 3.17mm까지 재압축시켜 제조한다. 샘플 3은 두께가 1.96mm인 조밀화 시이트로부터 제조하고 팽창시켜 3.17mm까지 재압축시킨다. 각 샘풀에 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표 2]
Figure kpo00002
전술한 데이타는 다양한 정도의 다공성에 상응하는 여러가지 밀도까지 팽창시킨 조밀화된 랜덤섬유 복합물시이트를 나타낸다. 이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다공성(%)은 팽창된 랜덤섬유 복합시이트의 벌크밀도에 반비례한다.
[실시예 3]
다공성 복합물 지지체상의 중합체막은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413㎠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를 2분동안 22kg/㎠의 압력하에서 180℃까지 가열함으로써 조밀화시킨다. 이어서, 시이트를 성형압력하에서 50℃까지 냉각시킨다.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10%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 용액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막물질을 조밀화 시이트의 한면에 도포한다. 시이트의 피복면이 비가열된 열판(platen)을 향하도록 두고 반대면은 가열된 열판을 향하도록 놓는다. 가열된 열판의 온도를 10분동안 150℃까지 상승시키고 시이트의 두께를 약 75% 팽창시킨다.
조밀화 섬유-보강 복합시이트상에 피복된, 동일하게 제조한 중합체막의 한면을 160℃에서 10분동안 가열하여 두께를 약 90%까지 팽창시킨다.
[실시예 4]
메틸렌 클로라이드중의 10%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 용액의 두께를 갖는 조밀화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를 피복시켜, 중합체막에 대한 막지지체를 제조한다. 피복된 시이트를 고온공기오븐(피복면위)중에 넣고 온도를 140℃까지 상승시킨다. 시이트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1mm두께까지 팽창시킨 후에 회수한다. 폴리카보네이트 막식별층을 함유하는 섬유-보강 다공성 막지지체가 형성된다.
조밀화 랜덤섬유 복합시이트를 팽창시켜 다공성 정도가 다양한 다공성 여과재를 형성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전술한 기술에 비추어 보아, 본 발명의 필터를 광범위하게 적용시킬 수 있음이 명백해진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형성된 여과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지지체, 디스크 필터, 통기 확산판, 막지지체, 이온교환수지 지지체, 유동상 지지체, 공기소음장치, 서방성장치, 생의학용 필터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다공성 여과재는 팽창된 랜덤섬유 복합시이트의 제한된 범위내에서 목적하는 어떠한 특수한 다공성으로도 조작된다는 이점을 가지며, 이전의 전통적 중합체 다공성 여과재를 사용해서는 불가능했던 높은 물리적 강도를 제공한다.

Claims (17)

  1. 열융합성 중합체, 보강섬유 및 결합제로 이루어진 조밀화 섬유-보강 복합시이트를 조절된 온도에서 가열하여 시이트를 팽창시킴으로써 제조된, 다공성이 조절된 다공성 필터를 통해 여과가능한 물질-함유 유체를 통과시켜 유체를 여과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열융합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염소처리된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스티렌 단독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아릴렌-에테르 에테르 케톤중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수지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강섬유가, 길이가 3 내지 25mm이고 횡단비는 40이상인 유리섬유인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열융합성 중합체, 결합제 및 섬유로 이루어진 매트를 형성시키고, 연속하여 매트를 건조시킨 다음 조밀화시키는 수성 습윤층화 방법으로 조밀화 시이트를 제조하고 ; 조밀화 시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표면에 열이 가해지도록 가열단계를 수행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열한 후에 팽창된 시이트를 재압축시켜 목적하는 다공성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팽창된 시이트의 제조단계가, 조밀화 시이트를 다공성이 가변적인 예정된 형태로 열성형시키는 추가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공성의 공극부피가 원래의 조밀화 시이트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90%인 팽창된 시이트를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및 온도에서 가열단계를 수행하는 방법.
  8. 열융합성 중합체, 보강섬유 및 결합제로 이루어지며, 공극부피가 조밀화 시이트 부피의 20 내지 90%인 다공성이 조절된 팽창된 섬유-보강 복합시이트 ; 및 이 팽창된 시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표면상에 존재하는, 기체 또는 액체 식별특성을 나타내는 투과성 중합체 막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막구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열융합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염소처리된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스티렌 단독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아릴렌-에테르 에테르 케톤중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수지인 막구조물.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막과 다공성 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또는 투과성 층을 포함하는 막구조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약간 가교결합된 수-팽윤성 중합체, 및 수-투과성이 큰 비닐 알콜중합체중에서 투과성 층을 선택하는 막구조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투과성 층이, 4-메틸-1-펜텐, 셀룰로오즈 에스테르 또는 셀룰로오즈 에테르, 폴리디알킬실록산, 실리콘 공중합체, 및 치환된 폴리아세틸렌중에서 선택된 중합체인 막구조물.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셀룰로우즈 에스테르 또는 셀룰로오즈 에테르, 방향족 폴리아미드, 4-메틸-1-펜텐의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디알킬 실록산, 실리콘 공중합체, 및 치환된 폴리아세틸렌중에서 막을 선택하는 막구조물.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팽창된 시이트가, 시이트의 두께에 걸쳐 확장된 다공성 구배가 가변적인 막구조물.
  15. 열융합성 중합체, 결합제 및 보강섬유로 된 매트를 수성 습윤층화 공정으로 형성시키고 ; 이 매트를 건조시키고 ; 매트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매트를 조밀화시켜 조밀화 시이트를 형성시키고 ; 조밀화 시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표면상에 막을 도포하고 ; 조절된 양의 열을 시이트에 가하여, 다공성이 조절된 팽창된 시이트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시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표면에 막을 도포하기 전이나 후에 시이트를 가열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 8 항의 막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조밀화 시이트상에 다공성 또는 투과성 중합체층을 도포하여 막이 그 위에 형성되는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섬유-보강 복합시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표면에 열을 가함으로써 가변적 다공성 구배가 시이트중에 형성되도록 열처리단계를 수행하는 방법.
KR1019860003996A 1985-05-23 1986-05-22 유체 여과방법 및 복합 막구조물 KR930008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711385A 1985-05-23 1985-05-23
US737,113 1985-05-23
US851178 1986-04-14
US851,178 1986-04-14
US06/851,178 US4765915A (en) 1985-05-23 1986-04-14 Porous filter media and membrane support means
US737113 1991-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788A KR860008788A (ko) 1986-12-18
KR930008110B1 true KR930008110B1 (ko) 1993-08-26

Family

ID=2711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996A KR930008110B1 (ko) 1985-05-23 1986-05-22 유체 여과방법 및 복합 막구조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65915A (ko)
EP (2) EP0434668A1 (ko)
KR (1) KR930008110B1 (ko)
AU (1) AU582238B2 (ko)
BR (1) BR8602350A (ko)
CA (1) CA1276890C (ko)
DK (1) DK230686A (ko)
ES (1) ES8705772A1 (ko)
IN (1) IN167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4385A (en) * 1985-05-23 1990-02-27 The Dow Chemical Company Porous filter media and membrane support means
US4774192A (en) * 1987-01-28 1988-09-27 Technimed Corporation A dry reagent delivery system with membrane having porosity gradient
WO1988010146A1 (en) * 1987-06-25 1988-12-29 Scientific Glass Engineering Pty. Ltd. Filter element for liquid chromatography
GB8818425D0 (en) * 1988-08-03 1988-09-07 Wiggins Teape Group Ltd Plastics material
US4917714A (en) * 1988-12-08 1990-04-17 James River Corporation Filter element comprising glass fibers
US5145615A (en) * 1989-01-19 1992-09-08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expanded fiber composite structure
US5273818A (en) * 1989-01-19 1993-12-28 General Electric Company Expanded fiber composite structur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useful as a filter
US4961974A (en) * 1989-03-03 1990-10-09 Ahlstrom Filtration, Inc. Laminated filters
FR2645673B1 (fr) * 1989-04-10 1994-04-08 Sgn Bougie filtrante sans amiante pour la filtration de gaz chauds radioactifs
DE3915197C2 (de) * 1989-05-10 1993-10-07 Dt Membranfilter Vertrieb Abstandselement zur Lenkung von Strömungsmedien
US5354474A (en) * 1989-12-22 1994-10-11 The Dow Chemical Company Dynamic membrane separation process for improved selectivity
US5639373A (en) 1995-08-11 1997-06-17 Zenon Environmental Inc. Vertical skein of hollow fiber membranes and method of maintaining clean fiber surfaces while filtering a substrate to withdraw a permeate
US5246474A (en) * 1991-05-04 1993-09-21 British United Shoe Machinery Limite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elf-supporting filter unit
US5248428A (en) * 1991-06-28 1993-09-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ticle for separations and purificati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rosity therein
US5238621A (en) * 1991-06-28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porosity in a composite article
US5186843A (en) * 1991-07-22 1993-02-16 Ahlstrom Filtration, Inc. Blood separation media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ma from whole blood
US5167579A (en) * 1991-08-15 1992-12-01 Rotter Martin J Roof vent of synthetic fiber matting
GB9306289D0 (en) * 1993-03-26 1993-05-19 British United Shoe Machinery Filtration medium
US5389121A (en) * 1993-08-09 1995-02-14 Pfeffer; Jack R. Composite of layers of glass fibers of various filament diameters
WO1995017247A1 (en) * 1993-12-22 1995-06-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eet materials for solid phase extractions and solid phase reactions
US5419957A (en) * 1994-05-17 1995-05-30 The Dow Chemical Company Low heat release polymeric composites
WO1996036415A1 (en) * 1995-05-18 1996-11-21 Parker-Hannifin Corporation Compound layer resin bonded filter cartridge
US20040238432A1 (en) * 1995-08-11 2004-12-02 Mailvaganam Mahendran Membrane filtration module with adjustable header spacing
US8852438B2 (en) * 1995-08-11 2014-10-07 Zenon Technology Partnership Membrane filtration module with adjustable header spacing
DE19543955C2 (de) * 1995-11-25 1998-12-24 Sartorius Gmbh Auf Integrität testbare Filtrationseinheit mit hydrophilen, porösen Membranen
US5800586A (en) * 1996-11-08 1998-09-01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Composite filter media
US5820645A (en) * 1997-05-23 1998-10-13 Reemay, Inc. Pleatable nonwoven composite article for gas filter media
US6015499A (en) * 1998-04-17 2000-01-18 Parker-Hannifin Corporation Membrane-like filter element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lurries
US20040175516A1 (en) * 1998-10-28 2004-09-09 Gerhard Schmitz Insulating arrangement for the inner insulation of an aircraft
US6274041B1 (en) 1998-12-18 2001-08-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grated filter combining physical adsorption and electrokinetic adsorption
US6537614B1 (en) 1998-12-18 2003-03-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ationically charged coating on hydrophobic polymer fibers with poly (vinyl alcohol) assist
US6645388B2 (en) 1999-12-22 2003-11-11 Kimberly-Clark Corporation Leukocyte depletion filter media, filter produced therefrom, method of making sam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241899B1 (en) * 2000-02-28 2001-06-05 Maritza L. Ramos Disposable filter bags for pool cleaners
US20020155594A1 (en) * 2001-03-27 2002-10-24 Hsieh Helen V.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uring cells
DE102006048076A1 (de) * 2006-10-09 2008-04-10 Mann + Hummel Gmbh Filtereinrichtung, insbesondere zur Filtration von Verbrennungsluft in Brennkraftmaschinen
GB0422333D0 (en) * 2004-10-08 2004-11-10 Abg Ltd Drained barrier
US8057567B2 (en) 2004-11-05 2011-11-15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medium and breather filter structure
KR101514908B1 (ko) * 2004-11-05 2015-04-23 도날드슨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필터 매체 및 구조
US8021457B2 (en) 2004-11-05 2011-09-20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media and structure
JP5308031B2 (ja) 2005-02-04 2013-10-09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換気フィルタおよび換気用ろ過アセンブリ
WO2006091594A1 (en) 2005-02-22 2006-08-31 Donaldson Company, Inc. Aerosol separator
JP2008535648A (ja) * 2005-03-09 2008-09-04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ナノ複合膜ならびにそれを作製および使用する方法
US7332011B1 (en) * 2005-03-16 2008-02-19 Leslye Sandberg Equipment air filter assembly
WO2007007343A2 (en) * 2005-07-14 2007-01-18 Ben 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Composite membran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20080034685A1 (en) * 2006-04-12 2008-02-14 Ogletree Ronald K Roof Ventilation Device
JP4944540B2 (ja) * 2006-08-17 2012-06-06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AU2007317516B2 (en) * 2006-10-27 2013-04-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and nanocomposite support structures for reverse osmosis thin film membranes
US20100115900A1 (en) * 2007-02-19 2010-05-13 De Rovere Anne N Flexible fibrous material, pollu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1652168A (zh) 2007-02-22 2010-02-17 唐纳森公司 过滤元件及其方法
WO2008103821A2 (en) 2007-02-23 2008-08-28 Donaldson Company, Inc. Formed filter element
US8978899B2 (en) * 2007-08-01 2015-03-17 Donaldson Company, Inc. Fluoropolymer fine fiber
WO2009039467A1 (en) * 2007-09-21 2009-03-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composite membran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8177978B2 (en) * 2008-04-15 2012-05-15 Nanoh20, Inc. Reverse osmosis membranes
US8567612B2 (en) 2008-04-15 2013-10-29 Nanoh2O, Inc. Hybrid TFC RO membranes with nitrogen additives
US8673040B2 (en) 2008-06-13 2014-03-18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construction for use with air in-take for gas turbine and methods
US8357220B2 (en) * 2008-11-07 2013-01-22 Hollingsworth & Vose Company Multi-phase filter medium
US9885154B2 (en) 2009-01-28 2018-02-06 Donaldson Company, Inc. Fibrous media
EP2454065B1 (en) 2009-07-17 2014-09-10 Carbon Fibre Preforms Ltd A fibre matrix and a method of making a fibre matrix
EP2290510B1 (en) * 2009-08-27 2018-07-04 BlackBerry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with capacitive and resistive touch sensors and method of control
US20110210061A1 (en) * 2010-02-26 2011-09-01 Clarcor Inc. Compressed nanofiber composite media
US8679218B2 (en) 2010-04-27 2014-03-25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with a multi-layer structure
JP5968328B2 (ja) 2010-11-10 2016-08-10 ナノエイチツーオ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非金属添加剤を含む改良された混成tfcro膜
WO2012103280A1 (en) 2011-01-28 2012-08-02 Donaldson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fibrous media
US9303339B2 (en) 2011-01-28 2016-04-05 Donaldson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fibrous media
CA2837807C (en) 2012-12-20 2022-11-29 Building Materials Investment Corporation Contoured mesh ridge vents
US20140179220A1 (en) 2012-12-20 2014-06-26 Building Materials Investment Corporation Contoured Mesh Ridge Vents
US9694306B2 (en) 2013-05-24 2017-07-04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polymer compositions and blends
US9861940B2 (en) 2015-08-31 2018-01-09 Lg Baboh2O, Inc. Additives for salt rejection enhancement of a membrane
US9737859B2 (en) 2016-01-11 2017-08-22 Lg Nanoh2O, Inc. Process for improved water flux through a TFC membrane
US10155203B2 (en) 2016-03-03 2018-12-18 Lg Nanoh2O, Inc. Methods of enhancing water flux of a TFC membrane using oxidizing and reducing agents
CN112707585B (zh) * 2020-12-03 2022-08-16 安徽森淼实业有限公司 一种羟丙基甲基纤维素生产废水回收再利用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4681C (ko) * 1966-04-26
US3526557A (en) * 1966-11-18 1970-09-01 American Air Filter Co Method for making filamentous mats
US3607500A (en) * 1969-06-04 1971-09-21 Du Pont A molding fibrous webs
DE2165073A1 (de) * 1971-12-28 1973-07-12 Sartorius Membranfilter Gmbh Mehrschichten-filtermembran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JPS5225864B2 (ko) * 1972-03-10 1977-07-11
US3804259A (en) * 1973-01-23 1974-04-16 Us Interior Filament wound reverse osmosis tubes
US3874986A (en) * 1974-05-20 1975-04-01 Gen Electric Laminated porous/non-porous membranes
JPS5373267A (en) * 1976-12-10 1978-06-29 Toho Beslon Co Molding of blended fiber mat and composite material
US4293378A (en) * 1980-01-10 1981-10-06 Max Klein Enhanced wet strength filter mats to separate particulates from fluids and/or coalesce entrained droplets from gases
IT1193532B (it) * 1980-05-06 1988-07-08 Montedison Spa Manufatti di polimeri termoplastici rinforzati con fibre di vetro
JPS5784713A (en) * 1980-11-12 1982-05-27 Toyobo Co Ltd Production of filter
DE3264459D1 (en) * 1981-01-21 1985-08-08 Ici Plc Process of producing fibre-reinforced shaped articles
US4418031A (en) * 1981-04-06 1983-11-29 Van Dresser Corporation Moldable fibrous ma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R2507123A1 (fr) * 1981-06-04 1982-12-10 Arjomari Prioux Semi-produit composite en feuille constitue d'un composant thermoplastique et d'un renfort en polyaramid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produits finis correspondants obtenus a chaud
US4426470A (en) * 1981-07-27 1984-01-17 The Dow Chemical Company Aqueous method of making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from latex, solid polymer and reinforcing material
GB8400293D0 (en) * 1984-01-06 1984-02-08 Wiggins Teape Group Ltd Moulded fibre reinforced plastics articles
US4643940A (en) * 1984-08-06 1987-02-17 The Dow Chemical Company Low density fiber-reinforced plastic composites
KR860001604A (ko) * 1984-08-13 1986-03-20 아놀드 하베이롤 복합기체 분리막
US4550131A (en) * 1984-10-30 1985-10-29 The Dow Chemical Company Aqueous slurry process for preparing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2617A2 (en) 1986-11-26
DK230686D0 (da) 1986-05-16
AU5747386A (en) 1986-11-27
CA1276890C (en) 1990-11-27
ES8705772A1 (es) 1987-05-16
US4765915A (en) 1988-08-23
EP0434668A1 (en) 1991-06-26
BR8602350A (pt) 1987-01-21
AU582238B2 (en) 1989-03-16
EP0202617A3 (en) 1988-10-05
DK230686A (da) 1986-11-24
IN167443B (ko) 1990-10-27
KR860008788A (ko) 1986-12-18
ES555217A0 (es) 198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110B1 (ko) 유체 여과방법 및 복합 막구조물
US4904385A (en) Porous filter media and membrane support means
JP4731642B2 (ja) 多孔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12800B1 (ko) 보강된 열가소성 시이트 적층판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품
US5134016A (en) Fiber reinforced porous sheets
CN85100805A (zh) 对纤维加固模压塑料物品的改进
FI84451B (fi) Fiberarmerade gjutna plastprodukter.
EP0673753B1 (en) Porous tube of fiber-reinforced plastic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051655A (en) Method of making a shaped structure
US5358780A (en) Breathable water-resistant fabrics
US4921658A (en) Method for preparing reinforced thermoset articles
JPH0573453B2 (ko)
JPH0360529B2 (ko)
JP3133856B2 (ja) ポリイミド繊維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
JPH05500353A (ja) 調節された多孔度のセラミッ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194106A (en) Method of making fiber reinforced porous sheets
JPH04232047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外観改良方法
GB2194485A (en) Fibrous mat for hot moulding to moulded articles
JP3407402B2 (ja) 不浸透性炭素質成形体の製造方法
JP3404137B2 (ja) 多孔性樹脂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77107A (ja) 連続多孔シート及びその製造法
KR102238872B1 (ko) 복합재 예비성형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S5849378B2 (ja) セキソウホウホウ
JPS5930708A (ja) 疎密構造を有する炭素製品の製造方法
JP2002155457A (ja) 通気性を有するフッ素系複合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