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601B1 - 휴대용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601B1
KR930007601B1 KR1019870700447A KR870700447A KR930007601B1 KR 930007601 B1 KR930007601 B1 KR 930007601B1 KR 1019870700447 A KR1019870700447 A KR 1019870700447A KR 870700447 A KR870700447 A KR 870700447A KR 930007601 B1 KR930007601 B1 KR 930007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low
fuel supply
plung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303A (ko
Inventor
쇼우벌 윌리암
자보로우스키 타데우스
Original Assignee
더 쇼우벌 코포레이션
쇼우벌 윌리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1198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0760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6/781,262 external-priority patent/US4733651A/en
Application filed by 더 쇼우벌 코포레이션, 쇼우벌 윌리암 filed Critical 더 쇼우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70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8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in association with a gaseous fuel source, e.g. acetylene generator, or a container for liquefied g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ker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Gloves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휴대용 가열장치
[도면의 명칭]
제1도는 작동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커얼링 인두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90도 만큼 회전한 제1도의 휴대용 커얼링 인두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휴대용 커얼링 인두의 일부분을 변경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레버의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의 노즐 홀더 스토퍼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변경된 연소관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연소관 내부에 삽입된 버너 노즐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버너 노즐의 단부 평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관련분야 참조
본 출원은 1986년 2월 3일 출원된 명칭이 "휴대용 가열장치"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06/825,275호의 연속 출원이고, 차례로 상기 출원은 1985년 9월 27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06/781,262호의 연속 출원이며, 모두다 적어도 한 사람의 공동 발명자를 가지며 공동 양수인을 가진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규의 휴대용 커얼링 인두에 관한 것이다.
커얼링 인두는 가열된 몸통 주위에 머릿단까지 감아서 감은 머릿단을 일정한 시간동안 보유한 다음에 머릿단을 풀어버림으로써 머리카락을 커얼한다. 머리카락이 몸통 주위에 감겨져서 보유되는 시간의 길이, 온도, 몸통의 직경 및 머리카락의 특성이 커얼의 단단함을 크게 결정한다.
어떤 커얼링 인두는 휴대하기 용이하다. 인두는 전기 가열원 또는 휴대용 연료원에 의해 몸통을 가열한다. 전기식 휴대용 커얼링 인두가 비교적 비실용적이어서, 촉매 가스 발전식 커얼링 인두가 넓게 사용되고있다. 촉매 변환기는 교체가능한 재충전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를 가지는 부탄 또는 유사종류의 가스에 의해 발전된다. 그러한 휴대용 커얼링 인두가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거의 모든 장소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커얼링 인두를 위한 촉매 버너는 여러가지 단점을 가진다. 첫째 버너는 가열이 늦고, 제조비가 비싸므로, 명백히 바람직하지 않다. 덧붙여, 온도가 너무 높이 올라가면 플라티늄 촉매는 소결되어서 표면적을 축소시키며, 수명을 단축시킨다.
더 나아가서 촉매 변환기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과열점을 경험할 수 있다.
발명의 목적 및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는 가열부를 필요로 하는 휴대용 장치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얼링 인두에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인두, 휴대용 과열 접시, 감은 머리세터, 휴대용 보온기 뿐만 아니라 그외 다른 휴대용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지만 가열해야 할 요소를 신속히 가열시킬 수 있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동 온도를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충전 가능한 연료원을 이용하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해야 할 요소가 신속히 요구 온도에 도달하고 또한 감소된 연료 소모에서 상기 온도를 유지하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에 안전한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거식 연료 공급 카트리지가 제공되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런저가 고정된 연료 공급 카트리지에서 전진 및 후퇴 이동을 하여 연료 공급 밸브를 작용시키기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너노즐이 연소관내에 삽입되어서 더욱 깨끗하고 도욱 효율적인 연소 작동을 제공하게 되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에서 연료 공급 밸브의 풀림이 방지되는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온도가 소정값을 초과할때 가스의 유동을 차단하는 비상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작업 표면을 신속히 가열시킨 다음에 요구 온도에 도달할때 연료유동을 감소시키는 휴대용 가열장치를 위한 연료 공급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추가로, 작업 표면의 온도를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료량을 제어하는 조절기가 제공되어 있다. 특히, 압전형 점화기가 2배의 버너를 초기에 점화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요구 표면 온도에 도달한 후에는, 하나의 버너가 꺼지고, 나머지 버너가 계속 작동하여 실제로 일정한 표면 온도를 유지한다.
특히, 가열해야 할 부재를 가지는 휴대용 가열장치는 상기 부재를 가열시키는 버너 수단과, 연료 공급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연료의 유동을 제어하는 고정된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을 포함하면서 연료를 버너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수단, 및 연료 공급 수단에서 연료의 유동을 시작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을 작용시키는 작용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용기 수단은 플런저와,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을 개방시키기 위해 연료 공급 밸브 수단과 작동상으로 결합되는 제1위치로 플린저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이 버너 수단으로 향하는 연료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연료 공급 밸브 수단과 작동상으로 결합되지 않는 제2 위치로 플린저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2위치로 플린저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피봇식으로 장착된 레버, 레버를 제1 방향으로 편의시키는 스프링 수단, 스프링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제2역방향으로 레버를 편의시키는 스위치 수단, 플린저에 고정된 교대 수단, 및 스위치 수단이 레버를 제2방향으로 편의시킬때 플린저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교대 수단과 결합된 레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활주식으로 장착된 샤프트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히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 설명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도면
세부적으로 도면에 대해 언급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커얼링 인두(10)는 가열해야 할 몸통(14)을 덮는 덮개로써 사용되며 제거할 수도 있는 핸들(12)을 포함한다. 핸들(12)은 제1도 및 2도에서 작동 상태 즉, 몸통(14)에서 제거된 상태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핸들(12)이 위치해 있을때. 핸들의 스위치 버튼(16)을 제2도에 도시된 우측의 위치로 활주시킨다. 스위치 버튼(16)(후술하기로 함)은 연료 카트리지(18)로부터 부탄과 같은 가스 연료의 유동을 시작하기 위하여 온/오프 스위치로써의 기능을 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점화기 푸쉬 버튼(20)(제1도)을 눌러서 몸통(14)을 가열시키기 위해 부탄을 점화시키는 압전형 점화기를 제어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커얼링 인두(10)는 가스 연로형이고, 가스는 연료 카트리지(18)에 담겨 있으며 소결 플라스틱 심지(22)에 의해 배출 단부로 운반된다. 카트리지(18)는 충전 밸브(24)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고 또는 필요하면 교체할 수도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8)는 종래 방식과 동일하게 숯거르개 재료(26) 및 발포 라이닝(28)을 포함하다.
덧붙여, 카트리지(18)는 충전 밸브(24)의 대향 단부에서 연료 공급 밸브(30)을 포함한다. 특히, 연료 공급 밸브(30)는 커얼링 인두(10)에 부착되는 카트리지(18)의 단부에서 주형구멍(32)내에 조립된다. 주형구멍(32)는 제1 직경을 가지는 평탄한 제1부분(34)과, 나사(38)로 된 직경이 큰 제2직경을 가지는 제2부분(36)을 포함한다.
연료 공급 밸브(30)은 주형구멍(32)의 제1부분(34)의 내측 단부에 압입 끼워맞춤이 되는 알루미늄 심지 홀더(40)를 포함한다. 소결 플라스틱 심지(22)의 한 단부는 심지 홀더(40)에 압입되고, 심지(22)의 대향 단부는 대향 단부에 위치한 카트리지(18)의 바닥 부근까지 연장한다. 원통형 황동부품(44)은 구멍(32)내에 위치한다. 원통형 황동부품(44)은 평탄한 제1부분(3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심지 홀더(40)에 인접한 제1부분(46)과, 직경이 더 작은 제2샤프트 부분(48)을 포함한다. 조정 가능한 유동 제한기를 형성한 압축성 포말관(50)은 중앙구멍을 가지며, 황동부품(44)의 제2샤프트 부분(48)상에 위치하고, 샤프트 부분은 구멍(32)내부에서 포말관(50)의 중심을 유지한다. 포말관(50)의 압축 정도는 이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바꾸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멍(32)내에 조립된 후에, 포말관(50)을 압축하는 연료 공급 밸브(30)의 일부가 구멍(32)내에 조립된다. 특히, 구멍(32)의 평탄한 제1부분(3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튜브형 황동 스페이서(52)는 구멍내에 활주식으로 맞추어진다. 스페이서(52)는 포말관(50)에 접하여서 스페이서에 힘이 가해질때 포말관을 압축시키게 되는 단부면(54)을 포함한다. 원형 홈(56)은 구멍(32)의 내부벽과 스페이서(52)의 외부면 사이에서 어떠한 누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O-링(58)이 삽입되어 있는 스페이서(52)의 외부면에서 형성된다. 스페이서(52)는 원통형 황동부품(44)의 제2 샤프트부분(48)이 활주식으로 끼워지며 직경이 거의 동일한 중앙 보어(60)를 포함한다. 중앙 보어(60)는 대향 단부에서 참고부호(62)로 도시된 것처럼 직경이 확대되어 있다.
원통형 주형 플라스틱 상부 밸브 하우징(64)에는 구멍(32)의 제2부분(36)의 나사(38)와 결합하여 하우징(64)을 고정시키는 수나사가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64)은 한 단부에서 스페이서(52)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중앙의 제1원통형 레세스(66)와, 대향 단부에 위치한 중앙의 제2원통형 리세스(68)를 포함하는데, 상기 리세스(66,68)들은 중앙 어퍼쳐(72)를 가지는 벽(70)에 의해 떨어져 있다. 스템(74)은 어퍼쳐(72)의 내부에 활주식으로 끼워지고, 카트리지(18)와 대향하는 단부에서 확대 헤드(76)를 포함하고, 상기 확대 헤드(76)는 중앙 보어(60)의 확대 직경부(62)와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나 활주식으로 끼워진다. 따라서, 스템(74)은 보통의 날카로운 못과 유사한 형상이나, 예리한 침은 없다. 환형 고무 밀봉(78)이 확대 머리(76)에 접하면서 스템(74)에 끼워진다. 벽(70)의 대향 측면까지 연장하는 스템(74)의 대향 단부는 제2 원통형 리세스(68)내에 활주 가능하게 위치하게 되는 프라스틱 캡(80)내에 삽입 끼워맞춤이 되는데, 프라스틱 캡(80)은 제2 원통형 리세스(68)내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82)에 의해 외부로 편의된다.
작동에 있어서, 내향력이 프라스틱 캡(80)에 가해지지 않을때 코일 스프링(82)은 프라스틱 캡(80)을 외향으로 편의시킴으로써, 환형 고무 밀봉(78)이 제2도의 우측으로 편의되어 확대 헤드(76)와 벽(70)사이에 삽입되어서 카트리지(18)로부터 어떠한 가스 유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압축이 유지된다. 이것은 카트리지(18)가 커얼링 인두(10)와 조립되지 않을때 발생하는데, 이는 후술하게 될 것이다.
내향력이 프라스틱 캡(80)에 가해질때, 프라스틱 캡은 제2도에 도시된 좌측 위치로 이동하며, 코일 스프링(82)을 압축하고, 스템(74)과 확대 헤드(76)과 환형 고무 밀봉(78)을 밀봉 위치에서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가스는 카트리지(18)에서 유출될 수 있다. 가스의 유동량은 포말관(50)의 압축되는 정도에 의존할 것이다. 하우징(64)이 구멍(32)내부에 나사식으로 수령되므로, 스템(74) 및 확대 헤드(76)의 좌향 주행량과 포말관(50)의 압축 정도는 하우징(64)이 구멍(32)내로 삽입되는 거리에 의존하여 변할 것이다. 하우징(64)는 제2도에서 최대 정도까지 나사 삽입되어 있다. 가스 유량은 공장에서 양호하게 설정되어 있고 소비자가 조정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카트리지(18)는 나사(86)를 통하여 커일링 인두(10)의 활주 어댑터(84)에 고정되며, 종래 방식대로 O-링(88)으로 밀봉되어 있다. 활주 어댑터(84)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요소(94)에 의해 커얼링 인두(10)의 하우징(92)의 기초 단부내에 활주식으로 맞추어지는 외부 원퉁형 부분(90)을 포함한다. 외부 원통형 부분(90)은 스위치 버튼(16)에 고정된다. 특히, 스위치 버튼(16)는 하우징(92)에서 신장된 슬롯(98)을 통과하는 스위치 노브핀(96)을 포함한다. 또한, 스위치 버튼(10)은 하우징(92)과 대향하는 리세스(102)를 가지는 전방 연장부(100)와 함께 형성되고, 여기에 스위치 스프링(104)이 놓여서 정상 상태에서 제2도의 좌측으로 스위치 버튼(16)을 편의시킨다.
따라서, 핸들(12)이 커얼링 인두(10)의 기초 단부에 끼워질때 핸들은 제2도에 도시된 우측 위치로 스위치 버튼(16)을 이동시킨다. 그 결과, 카트리지(18)도 또한 제2도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가스 유동이 시작되는데 이는 후술한기로 한다. 핸들(12)을 퇴거하여 몸통(14)을 덮어서 덮개로써의 역할을 할때, 스위치 스프링(104)은 제2도의 좌측으로 버튼(16)을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또한 카트리지(18)을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가스의 유동을 정시시킨다.
특히, 카트리지(18)가 제2도의 우측으로 이동될때, 플런저(106)는 플라스틱 캡(80)을 때려서 가스가 유동하도록 스템(74)과 환형 고무 밀봉(78)을 이동시켜 상술한 밀봉 배치를 벗어나게 한다. 카트리지(18)가 제2도의 좌측으로 이동될때, 플런저(106)는 더 이상 플라스틱 캡(80)에 압축력을 가하지 아니한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80)이 제2도의 우측으로 플라스틱 캡(80), 스템(74), 확대 헤드(76) 및 환형 고무 밀봉(78)을 이동시켜 밀봉 배치에 있게 하여 카트리지(18)로부터 어떠한 가스 유동이 없게 한다.
플런저(106)는 조절기 조립체(110)의 조절기 하우징(108)내에 활주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립체의 하우징은 활주 어댑터(84)의 중앙의 원통형 부분(112)내에 활주식으로 수령된다. O-링(114)은 조절기 하우징(108)의 제1부분(108a) 과 원통형 부분(112)사이에 활주 밀봉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스는 플런저(106)와 조절기 하우징(108)의 제1부분(108a) 사이에 제공된 갭(116)만을 통하여 카트리지(18)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다.
조절기 조립체(110)의 목적은 외기온도, 연료 소모량, 방향성, 연료의 품질 및 연료 레벨에 관계없이 순간 압력에서 기화된 연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공지된 열량이 연로 소모에 일치하여 항상 생성된다.그러므로, 온도 조절은 사용중에 몸통 온도를 유지하는데에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커어링 인두(10)는 종래 부탄 커얼링 인두에 비해 조립 및 조정이 용이하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절기 하우징(108)의 제1부분(108a) 은 원통형 부분(112)에서부터 연장하는 단부에서 방사상 부분(108b)을 포함한다. 방사상 부분(108b)은 조절기 하우징(108)의 제2부분(108c)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제2부분은 제3부분(108d)에 연결된다. 제3부분(108d)은 조절기 하우징(108)의 제4부분(108e)에 연결된다. 당연하게도, 조절기 하우징(108)의 모든 부분은 일체 성형 작업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방사상 부분(108b)과 제2, 제3 및 제4부분(108c,108d,108e)은 제각기 조절기 하우징(108)의 제1부분(108a) 과 플린저(106) 사이에 있는 갭(116)으로부터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 유동실(118)을 규정한다.
조절기 조립체(110)는 유동실(118)내에서 내부 조립체(120)을 포함하고, 내부 조립체는 코일 스프링(124)을 둘러싸는 중앙 보어(122)를 규정한다. 조정 나사(126)는 중앙 보어(122) 내부에 나사식으로 수령되고, 나사부분에는 코일 스프링(124)의 한 단부가 접한다. 아래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겠지만, 중앙 보어(122)를 규정하는 내부 조립체(120) 및 / 또는 조정 나사(126)는 재료 소정 온도를 초과할때 연화되고 용융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런 점에서, 내부 조립체(120)는 상표 "델린(Delrin)"으로서 듀퐁에서 판매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조정 나사(126)는 양호하게 나일론으로 만들어지는데, 둘다 유사한 연화점 및 용융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재료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내부 조립체(120)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조정나사(126)만이 소정 온도에 도달될때 연화 및 / 또는 용융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소정 온도를 초과하고 또는 조정 나상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중앙 보어(122)에서 조정 나사의 나사 고정이 해제되어 조정나사(126)가 중앙보어(122)에 관하여 제2도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지료로 조정 나사를 제작하는데 있다. 조정나사(126)에 가해진 힘을 코일 스프링(124)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장치의 온도가 정상 작동 한계를 초과할때 비상 안전 동작을 만들게 한다. 특히, 버너들의 온도는 내부조립체(120) 및 조정 나사(126)와는 다른 장치의 부품을 통해 뒤로 운반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열운반 로드가 중앙 튜브(129)를 통해 연장하고, 이에 의해 버너에서 직접 조정 나사 (126)로 열을 운반한다.
플런저 스토퍼(128)는 플런저(106)의 한 단부에 고정되고, 대향 단부에서 중앙 보스(130)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124)의 대향 단부는 보스(13)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124)의 대향 단부는 보스(130)를 둘러싸고 이에 의해 중심이 유지되고, 플린저 스토퍼(128)의 각각의 단부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24)이 플런저(106)를 떠밀어서 카트리지(18)가 커얼링 인두(10)에 고정되어 있을때 연료 공급 밸브(30)의 플라스틱 캡(80)과 카트리지(18)가 접하게 되는 방향으로 플린저를 편의시킨다. 그러므로 부탄 가스는 카트리지(18)에서 갭(116)을 통해 유동실(118)로 흘러간다.
장치의 온도가 양호하게 소정온도를 초과하여 정상 작동 한계를 지날때, 조정 나사(126)와 내부 조립체(120)간의 나사는 연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24)은 조정나사(126)에 힘을 가하여 제2도의 우측으로 중앙 보어(122)의 개방부분(127)내로 조정 나사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124)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플린저(106)가 연료 공급 밸브(30)의 플라스틱 캡(80)과 접하게 되는 카트리지(18)의 방향으로 편의시키지 않고, 가스의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가스 유동이 차단되므로, 장치의 대향 단부에서 화염이 꺼지고, 장치의 온도가 안전한 수준까지 내려간다. 내부 조립체(120)와 조정 나사(126)사이의 나사의 연화 때문에 장치가 사용될 수 없을지라도, 비상 안전 동작이 제공되어 있어서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여전히 제2도에 대해 언급하면, 고무격막(132)은 내부 조립체(120)와 플린저 스토퍼(128)에 고정되어 있다. 유동실(118)로 유입하는 연료의 압력이 너무 커지게 될때, 고무격막(132)은 코일 스프링(124)의 힘에 대향하여 제2도의 우측으로 편의 되어서 연료 공급 밸브(30)로부터 플런저(106)를 멀리 이동시키고,이에 의해, 연료 공급 밸브(30)의 코일 스프링(82)이 연료 공급 밸브를 폐쇄시켜서 가스의 유동을 막는다.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가스 압력이 감소되면, 코일 스프링(124)은 고무격막(132)과 플런저(106)를 제2도에 도시된 좌측 위치로 이동시키고, 재차 연료 공급 밸브(30)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이 계속되어서 스위치(16)가 온 위치를 유지하는 한 조절기 조립체(110)의 출구측에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조정 나사(126)를 돌려서 코일 스프링(124)의 압축을 변하게 하여 가스 유동 압력을 조정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조절기 하우징(100)및 내부 조립체(120)는 둘사이에서 2개의 좁은 채널(134,136)을 규정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유동실(118)로부터 가스가 빠져나가고, 각각의 채널은 오리피스-벤튜리-버너 조립체로 이어진다. 특히, 채널(134)은 조절기 하우징(108)이 제4부분(108e)과 내부 조립체(120)사이에 규정된 리세스내에 위치한 밸브 스템(138)까지 이어진다. O-링(140)은 중간 길이에서 밸브 스템(138)을 둘러싸서 밀폐부를 제공한다. 밸브 스템(138)은 채널(134)과 유통하게 되는 가스 유동 오리피스(142)를 규정하는 중앙 보어를 포함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밸브 스템(144)은 밸브 스템(138)과 직경상으로 대향하는 조절기 하우징(108)의 제4부분(108e)과 내부 조립체(120) 사이에 규정된 리세스 내부에 위치한다. O-링(146)은 중간 길이에서 밸브 스템(144)을 둘러싸며 밀폐시킨다. 덧붙여 밸브 스템(144)은 채널(136)과 유통하는 가스 유동 오리피스(148)을 규정하는 중앙 보어를 포함한다. 환형의 탄성 밸브 패드(150)는 채널(136)과 오리피스(148)사이에서 밸브 스템(144)의 단부에 위치한다. 아래 설명에서 알게 되지만, O-링(140)은 레버의 지점으로써 작용하고, 이에 의해 밸스 스템(144)은 지점에 대해 회전 또는 흔들려서 밸브 패드(150)로써 채널(136)과 오리피스(148)사이를 밀봉하거나 또는 누설시킨다. 따라서, 밸브 스템(144)이 몸통(14)가 축방향으로 정렬될때, 가스 밀봉이 되지 않고, 부탄 증기가 채널(136)로부터 밸브 패드(150)의 중앙 어퍼쳐를 통해 오리피스(148)로 흐른다. 다른 한편으로, 밸브 스템(144)이 O-링(146)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나 또는 회전할때, 밸브 패드(150)의 중앙 어퍼쳐는 채널(136) 및 오리피스(146)와 정렬되지 않으므로, 오리피스(146)로 가는 가스의 통과를 차단하는 밀봉이 제공된다.
오리피스(142)에서 나온 부탄 증기는 주 버너(152)로 지나가고, 반면에 오리피스(148)에서 나오는 부탄 증기가 고속 가열 버너(154)로 지나간다.
주 버너(152)의 목적은 사용중에 몸통(14)을 요구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열을 제공하는데 있다. 부탄 증기가 오리피스(142)를 떠난 후, 증기는 벤튜리관(156)을 통과하고, 여기서 환영실(158)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편승되어 연소 혼합물이 만들어진다. 오리피스(12)는 부탄 증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치수로 되어 있으므로, 효율적인 연소를 위한 정확한 공기량이 벤튜리관(156)에서 편승될 것이다. 오리피스의 치수는 주어진 압력에서 각각의 버너로 들어가는 연료량을 결정한다. 연료량은 가열율과 획득한 평형 온도를 결정한다. 공기-부탄 증기 혼합물은 스테인레스강관(160)아래로 내려가 대향 단부까지 이동하여 여기서 점화 및 연소가 발생한다. 여기에서 점화 푸시버튼(20)을 누르면 전기 스파크에 의해 연료가 점화되어서, 온-오프 스위치 버튼(16)이 온 상태에서 있는 동안 연소하게 된다.
고속 가열 버너(154)의 목적은 몸통(14)을 외기온도에서 작업 온도까지 가열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있다. 고속 가열 버너가 주 버너(152)와 다른점은 몸통(14)이 소정 온도에 도달할때까지 연료를 흐르게 하는 온도식 제어 밸브 조립체(162)에 있는데, 소정 온도점에서 몸통(14)과 밸브 스템(144)에 고정된 바이메탈 요소(164)가 굽어지고, 조절기 하우징(108)의 제4부분(108e) 과 밸브 스템(144)에 고정된 스프링(166)이 0-링(146)을 중심으로 밸브 스템(144)을 선회시키며, 이에 의해 밸브 패드(150)가 밸브 스템(144)의 오리피스(148)를 통과하는 연료유동을 차단하는 밀봉을 제공한다. 몸통(14)이 소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을때, 바이메탈 요소(164)는 축에 수직으로 스프링(166)의 힘에 대항하여 밸브 스템(144)에 힘을 가하여 밸브 스템(144)의 오리피스(14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며, 이에 의해 부탄 증기가 오리피스(148)로 들어가서 벤튜리관(168)을 통과하여 이동하고, 벤튜리관에서 부탄 증기는 환형실(158)에서 나오는 공기와 혼합된다. 오리피스(142)와 동일하게, 오리피스(148)는 부탄 증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치수로 되어 있으므로 효율적인 연소를 위해 정확한 공기량이 벤튜리관(158)에서 편승될 것이다. 공기- 연료 혼합물은 벤튜리관(168)에서 나와 스테인레스강관(170) 아래로 내려가 대향 단부까지 이동하여 여기서 점화 및 연소가 발생하게 된다. 고속 가열 버너(154)에 의해 만들어진 열은 대략 커얼링 인두(10)의 방출열의 두배가 된다. 당연하게도, 온도식 제어 밸브 조립체(162)에 의해 오리피스(148)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연소되지 않으므로 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버너 시스템은 평행한 두 경로로 구성되고, 각각 동일한 용량을 가지지만, 하나의 조절기 조립체(110) 및 바이메탈 요소(164)에 의해 제어되고, 다른 하나는 조절기 조립체(110)에 의해서만 제어된다. 각각의 경로는 공기-가스 혼합물이 점화되고 연속되는 개방 단부를 가지는 스테인레스강관(160 또는 170)에서 끝난다.
점화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소가 발생하는 스테인레스강관(160 ,170)의 단부까지 전극(172,174)에서부터 이어지는 전기 스파크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적극(172,174)은 부분적으로 세라믹 튜브(176,178)로 제각기 포장되는데, 전극의 단부는 도시된 바와같이 스테인레스강관(160 ,170)의 단부에 노출되어 있다.
전극(172,174)의 대향 단부는 길게 연장하여 점화 푸시 버튼(20)를 누르면 스프링 장전식 해머(182)가 때려서 스파크를 일으키게 되는 압전 광석(180)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점화 푸시 버튼(20)은 카트리지(18)와 조절기 조립체(110) 사이에 장착되는데, 커얼링 인두(10)의 길이방향에서는 점화 푸시 버튼(20)이 온 / 오프 스위치 버튼(16)의 옆에 있게 된다.
따라서, 커얼링 인두(1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서는, 몸통(14)에서 핸들(12)을 제거하여 카트리지(18)에 씌우는데, 여기서 핸들이 스위치 버튼(16)을 제2도의 우측으로 편의시키면 부탄 가스의 유동이 온 상태로된다. 다음에 점화 푸시 버튼(20)을 한두번 눌러서 스테인레스강관(160 ,170)의 단부에 있는 가스-공기 혼합물을 점화시킨다. 처음에는, 두 버너(152,154)가 작동하여 몸통(14)을 신속하게 소정 온도까지 가열시킨다. 일단 이 온도에 도달되면, 바이메탈 요소(164)가 굽어지고, 스프링(166)이 O-링(146)을 중심으로 밸브 스템(144)을 선회시켜서 가스 유동을 막고 고속 가열 버너(154)를 차단한다. 다음에 소정 온도는 초기에 특정한 요구 온도가 설정되어 있는 조절기 조립체(110)에 의해 유지된다. 가스 유동이 매우 크게 증가하고 또한 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때는, 실(118)내의 압력이 감소될때까지(요구 온도에 일치하는) 가스 유동이 차단된다.
냉각 팁(184)는 몸통(14)의 개방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냉각 팁은 열 전도도가 낮은 단열 플라스틱으로 주조되어 있다. 이 부품은 손잡이 표면을 제공하고, 튜브형태이기 때문에 배기 가스가 스크린으로 된 개방 단부를 통해 빠져나간다.
또한, 커얼링 인두(10)의 연소 지역은 팽창된 알루미늄 또는 와이어로 짜여진 스크린(18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스크린(186)의 목적은 배기 가스의 온도를 배출시키는데 있으며, 모든 가스가 스크린을 통과하여야 한다, 추가로, 종래 방식에 속하는 몸통(14)의 배기구(도시되지 않음)는 동일한 팽창 알루미늄의 스크린(도시되지 않음)을 가지며, 과열 배기 가스를 차단하는(점화중에) 이중 화염을 만든다. 따라서, 커얼링 인두(10)는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위험이 없이 보통의 가정 솔벤트의 폭발성 대기에서 시동 및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커얼링 인두에서 사용되도록 설명되어 있지만, 명백하게도 연료 공급원, 조절기 조립체와 고속 가열 및 주 버너는 고속 가열 및 고정식 몸통 온도가 요구되는 여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아래 제품은 상기 요소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제품이다.
1. 커얼링 인두
2. 이동거리 고정기
3. 수동 부품
4. 평면 인두
5. 증기식 평면 인두
6. 클로우드 듀링클러(clothes dewrinkler)
7. 접촉 렌즈 살균기
8. 이동 거리 과열판
9. 과열 쟁반
10. 가스 매취
11. 한등기
12. 병 보온기
13. 과열 액체 용기
14. 과열 칼날
15. 납땜 인두
16. 고온 용융층
17. 이동 거리 스토브
18. 주머니손 보온기
19. 페인트 스트리퍼
20. 열 맛사지(massager)
조절기 조립체는 독립적인 가치를 가지며 2개의 버너 시스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두개의 버너 시스템도 조절기 조립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이서, 핸들(12)을 커얼링 인두(10)의 기초 단부에 씌울때, 핸들은 스위치 버튼(16)을 제2도의 우측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카트리지(18)도 제2도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유동이 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카트리지(18)의 이동은 사용자가 시스템이 잘못되어 있거나 부서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제3도에 대해 언급하면, 제1도 및 2도의 장치의 일부를 변경하였는데, 여기서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고부호로 도시되어 있으며, 간략성을 위해 그러한 부품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도의 변경에는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에 대한 상기 단점을 극복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제3도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18)는 하우징에 관하여 항상 고정되어 있고, 대신에 플런저(106)가 고정 카트리지(18)에 관하여 이동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00)는 하우징내에서 피버트 핀(202)에 의해 길이를 따라 대략 중간에 피버트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피버트 핀(202)의 축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런저(106)의 축에 대해 횡으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200)는 제3도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피버트 핀(202)은 각각의 레그(200a,200b)를 피버트 식으로 장착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버(200)의 상단부(204)는 레그(200a,200b)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롤러(205)를 포함하고, 롤러(205) 및 레버(200)는 제1도 및 2도에 스위치 버튼(16)으로 대체되는 스위치 버튼(206)에 의해 피버트 핀(202)을 중심으로 피버트식으로 편의된다. 스위치 버튼(206)은 하우징(29)에서 신장된 슬롯(210)을 통과하여 이 슬롯에 활주식으로 수령되는 스위치 노브 핀(208)을 포함한다. 스위치 노브 핀(208)은 로러(205)에 접하는 하단부에서 축소 직경부(212)를 포함하며, 따라서 스위치 버튼(206)에 제3도에 도시한 쇄선으로 이동될때, 축소 직경부(212)는 피버트 핀(20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레버(200)을 회전시킬 것이다.
대향한 레버(200)의 한 단부(214)는 정상에서 샤프트(220)에 대하여 고정된 링(218)에 접하고 레그(200a,200b)를 함께 고정시키는 횡단 연결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연결부(216)는 사프트(220)를 수령하는 절단부(216a)를 포함한다. 사프트(220)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한 단부에서 지지부(226)의 어퍼쳐(222)에서 지탱되어 있고, 지지부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사프트(220)는 조절기 하우징(108)의 중간 플랜지(228)의 어퍼쳐(224)를 통해 지탱되고, 다른 단부에서 조절기 하우징(108)의 방사상 부분(108b) 을 통과하는 어퍼쳐(230)를 통해 지탱된다. 코일 스프링(232)은 사프트(220)를 둘러싸고, 조절기 하우징(108)의 방사상 부분(108b)과, 제3도의 좌측으로 샤프트(220)를 정상에서 편의시키는 링(218)사이에 위치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234)은 어퍼쳐(230)를 통과하면서 사프트(220)의 극단부 주위에 고정되고, 가스킷(236)은 샤프트(220) 주위에서 링(234)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232)이 사프트(220)를 제3도의 좌측 위치로 편의시킬때, 가스킷(236)은 어퍼쳐(230)를 통해 외부면으로 가스의 누출을 막는 밀봉을 제공한다. 게다가, 링(238) 또는 이와 유사한 교대 부재는 플런저 스토퍼((128)의 바로 정면에서 플런저(106)에 고정되어 있다.
작동에 있어서, 스위치 버튼(206)이 핸들(12) 또는 사용자의 작용에 의해 제3도의 우측에 있는 실선 위치까지 이동될때, 샤프트(220)는 더이상 레버(200)에 의해 편의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232)은 제3도의 좌측 위치로 샤프트(220)를 편의시킨다. 그 결과, 샤프트(220)에 고정된 링(218)은 플랜지(216)에 접하고, 레버(200)를 피버트 핀(20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피버트 시키므로, 롤러(205)는 스위치 버튼(206)과 접하게 된다. 그러한 위치에서, 코일 스프링(124)(제3도에 도시되지 않음)은 플린저 스토퍼(128)와 플런저(106)를 플라스틱 캡(80)에 대항하여 제3도의 좌측으로 편의시켜서 제1도 및 2도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스의 유동을 시작하게 한다.
스위치 버튼(206)이 제3도의 좌측에 있는 쇄선 위치까지 이동될때, 축소 직경부(212)는 롤러(205)에 접하고, 피버트 핀(20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레버(200)를 피버트시킨다. 그 결과, 레버(200)의 하단부(214)에 위치한 플랜지(216)에 접하여 코일 스프링(232)의 힘에 대항하여 제3도의 우측으로 샤프트(220)를 편의시킨다. 따라서, 링(234)은 링(238)에 접하여 링과 플런저(106)을 제3도의 우측에 있는 쇄선 위치까지 편의시킨다. 이에 따라, 플런저(106)는 더이상 플라스틱 캡(80)을 밀지 않기 때문에, 가스 유동이 정지하게 된다. 오프 위치에서 스위치 버튼(206)을 쇄선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것은 스위치 버튼(206)이 위치할 수 있는 슬롯(210)으로부터 연장하는 횡단 노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따라서 코일 스프링(232)은 오프 위치로 스위치 버튼을 이동시키는데 사용한 힘을 해제하여도 스위치 버튼을 온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18)보다는 플런저(106)가 가스를 유동시키기 시작하고, 이에 의해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점을 극복하게 된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플런저(106)를 이동하는 조립체는 격막의 좌측 고압측에 위치하게 됨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여 플런저(106)를 이동하는 어떠한 적절한 배치 구조가 격막의 우측 저압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에의 다른 변경은 제3도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18)는 나사(86)를 통해 활주 어댑터(84)에 고정되고 O-링(88)으로 밀봉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나사 부재간의 연속 조정이 부재 사이에서 약간의 헐거움을 초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O-링(88) 주위에서 약간의 누출의 원인이 되므로 불리할 것이다. 게다가, 부품 사이의 연결 지점에 O-링(88) 이 위치하는 것은 불리할 것이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18)가 더이상 활주하지 않으므로, 활주 어댑터(84)는 조절기 하우징(108)의 환형 연장부(240)로써 대체되고, 상기 연장부(240)는 제1도 및 도2의 나사(86)를 대체하는 원활한 내부 표면(242)를 포함한다. 연장부(240)는 카트리지(18)로부터 연장하는 하우징(24)의 환형 플랜지(244)를 둘러 싸는데 그 사이에 작은 갭이 있다. 환형 플랜지(244)의 외부면은 평탄하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18)의 나사 선이 제거된다. 연장부(240)는 카트리지(18)와 조절기 하우징(108) 사이의 관계를 위치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환형 플랜지(244)가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64)의 단부에 접한다. 이러한 고정 관계가 확립되면, 또한 플린저(106)와 플라스틱캡(80)사이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고, 이에 의해 플린저(106)의 이동거리는 항상 동일 하며, 따라서 유량, 증발기에서의 압력 및 조절기 조립체를 통과하는 일반 가스압이 고정되고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카트리지(18)로부터의 유량 및 유동 형식 뿐만 아니라 버너 시스템의 작동에 대한 예보 및 신뢰성이 있게 된다.
또한, O-링(88)은 환형 연장부(244)의 외부면과 연장부(240)의 내부면(242)사이의 갭에 위치하여 밀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서로에 관한 상기 표면들의 고정 관계 때문에 제1도 및 2도의 나사 배치와 같이 밀봉가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없다. 게다가, 두벽 또는 표면간에 밀봉이 있고, 두 부재간의 접합점에 밀봉이 있지 않으므로, 밀봉의 신뢰성이 증가된다.
더욱 변경된 예를 제3도 및 5도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에서, 상부 밸브 하우징(64)에는 구멍(32)의 제2부분(36)의 나사(38)와 정합되어 하우징(64)을 고정시키게 되는 수나사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스템(74) 및 확대 헤드(76)의 좌향 이동량과 포말관(50)의 압축 정도는 하우징(64)이 구멍(32)내에 나사 삽입되는 거리에 의존하여 변할 것이다.
증발기로써의 기능을 하는 포말관(50)는 버너 조립체의 적절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액체 부탄이 증기로 변환되는 것을 일정하게 제어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가스 유량은 공장에서 설정되는 소비자가 조정할 수 없게 한다. 이것은 하우징(64)이 구멍(32)내에 나사 삽입되는 정도를 정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카트리지(18)가 대체 가능하므로 카트리지를 조립체에 삽입하고 퇴거시킬때 하우징(64)이 헐거워질 수 있다. 그 결과, 증발기 또는 포말관(50)에서의 압력은 변하기 때문에 버너 조립체를 흐르는 연료의 제어는 예보할 수 없고 신뢰할 수 없게 된다.
제3도 및 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경예에 따라, 육각 헤드(64a) 를 가지는 하우징(64)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우연적으로 회전할 수 없다. 특히, 얇으며 대체로 원형의 플라스틱 노즐 홀더 스토퍼(248)는 하우징(64)의 육각 헤드(64a)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로서 제공되어 있다. 노즐 홀더 스토퍼(248)는 육각 헤드(64a) 를 끼우는 내부 육각 어퍼쳐(250)와, 다수의 리세스 부분(254)을 규정하는 다수의 이 (252)를 가진 나선형 외부 표면(252)을 가린다. 노즐 홀더 스토퍼(248)가 안치되는 카트리지(18)의 단부벽에는 리세스 부분(254)과 정렬된 적어도 하나, 양호하게는 4개의 어퍼쳐(256)가 제공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어퍼쳐(256)를 통해 삽입된 정지 핀(258)은 노즐 홀더 스토퍼(258)와 하우징(64)의 회전을 억제할 것이다. 그 결과, 포말관(50)에서의 압력은 항상 고정되어 있고, 카트리지(18)가 장치에서 반복적으로 퇴거되고 다시 삽입될지라도 변하지 않는다.
제6도 내지 8도에 대해 언급하면,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를 더욱 변경한 실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에서, 버너 튜브(160,170)는 제1도의 버너 또는 우측 단부로부터 대향한 가스 공급 단부로 열을 전도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벤튜리 가스/ 공기 혼합물을 변경시키므로, 가스/ 공기 혼합물을 예보할 수 없게 되고 버너 작동이 불균일하게 된다.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6도 내지 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변경된 버너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다. 특히, 제5도의 버너 튜브(260)에서는, 좌측 단부가 벤튜리관(156)에 연결되고 연소 동작이 버너 튜브(260)의 우측 단부에서 발생한다. 변경에 따라 버너 노즐(262)은 버너 튜브(260)의 우측 단부에 끼워진다. 양호 하게도 버너 노즐(262)은 버너 튜브(260)의 리세스 지역(264)내로 1.5mm 만큼 연장한다. 제6도 및 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너 노즐(262)은 동일하게 이격된 다수의 기어이(266)가 버너 튜브(260)의 외부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원통형 단면을 가진다. 또한 축방향으로 정렬된 중앙 어퍼쳐(268)가 제공되어 있다. 이런 변경에 따라 버너 튜브(260)의 작동은 화염이 개선되어 더욱 깨끗하고 더욱 효율적이다. 게다가, 가스 공급 단부로 귀환하는 열의 전도가 감소됨으로써 가스/ 공기 혼합물이 버너 튜브(260)로 유입할때 혼합물의 어떤 불균일성 및 에보 불가능성이 감소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특히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받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기술에 숙련된 자에 의해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될 수 있다.

Claims (22)

  1. 가열되는 부재를 가지며 그 부재를 가열시키기 위한 버너 수단과 상기 버너 수단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휴대용 연료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연료 카트리지는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은 제1위치일때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며 다른 제2 위치일때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위치에서의 방지 수단을 바이어스 하기 위한 제1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 부터 연료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사용자 작동에 반응하여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기 수단과, 연료공급 밸브 수단이 버너 수단으로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므로 상기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을 개방하는 바이어스 수단의 힘에 대항하는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까지의 방지 수단을 밀어내는 플런저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작동기 수단과, 상기 부재를 위해 거의 일정한 가열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에 의하여 특징되는 휴대용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가열 장치는 휴대용 커얼링 인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수단은 플린저와, 연료공급 밸브 수단을 제어하여 연료공급 밸브 수단으로부터 연료를 유동시키기 위해 플린저에 힘을 가하여 바이어스시켜 연료 공급 수단과 결합하게 하는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연료 카트리지에서 나오는 연료의 압력이 연료 공급 수단으로부터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는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을 제어하는 예비 결정된 압력보다 클때 상기 바이어스 수단으로부터 힘에 대항하여 플린저에 힘을 가하기 위한 격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수단은 바이어스 수단에 의해 플린저에 가해진 힘을 조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플린저에 대항하여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한 단부와 접하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플린저에 가해진 힘을 변화시키도록 조정 가능한 조정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은 연료 공급 수단의 한 단부에 밸브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하우징 수단은 연료 용기로부터 연료가 빠져나가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한 밸브 패드 수단과, 상기 플린저의 운동에 반응하여 제1 및 제2위치 사이로 밸브 패드 수단을 이동시키는 스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수단은 개구부를 통과하며, 상기 갭은 개구부를 통해 연장하는 스템 수단에 고정되며, 상기 플린저는 캡에 힘을 가하여 스템 수단을 제어함으로서 개구부를 통해 연료가 유동하도록 제2위치로 밸브 패드 수단을 이동시키며, 상기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은 플린저가 캡에 힘을 가하지 않을때 개구부를 통해 연료의 유동을 방지시키기 위한 스템 수단을 제어하여 밸브 패드 수단을 제1위치로 이동 시키기 위하여 캡에 힘을 가하는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은 또한 스템 수단을 통해 플린저에 가해진 힘에 반응하여 연료 카트리지에 의하여 공급된 연료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한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기 수단은 플린저에 가해진 힘에 의존하는 정도까지 스템 수단에 의하여 압축되는 압축성 포말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수단은 플린저와, 연료공급 밸브 수단을 개방시키기 위한 연료공급 밸브 수단과 작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1위치로 플린저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이 버너 수단으로 연료의 유동을 차단시켜 작동결합이 해제되도록 제2위치로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로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상기 수단은 피벗식으로 장착된 레버와, 제1방향으로 레버를 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 수단과, 상기 스프링 수단의 힘에 대항하는 제2역방향으로 레버를 바이어스시키는 스위치 수단과, 플런저에 고정된 교대수단과, 스위치 수단이 제2방향으로 레버를 바이어스시킬때 제2위치로 플런저를 이동시키 위하여 교대 수단과 결합하는 레버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활주식으로 장착된 샤프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하우징과 샤프트 수단상에 고정된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샤프트 수단을 둘러싸며 조절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샤프트 수단을 정상적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제한 부재와 상기 조절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수단은 조절기 하우징의 개구부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되며, 또한 상기 샤프트 수단상에 고정된 가스킷 수단은 샤프트 수단이 조절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될때 상기 조절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은 카트리지러부터 연장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환형 플랜저를 가지는 밸브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기 하우징은 그것 사이에서 갭을 가진 환형 플랜저를 둘러싸이면서 헤드와 접하게되는 환형 연장부를 포함하며 또한 갭내에 위치하여 갭을 밀봉하는 밀봉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은 연료 공급 수단의 한 단부에서 밸브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하우징 수단은 연료 공급 수단으로부터 연료가 빠져나가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료의 유동을 방지시키기 위한 제1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밸브 패드수단과, 상기 플린저의 운동에 반응하여 제1 및 제2위치 사이로 밸브 패드 수단을 이동시키는 스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카트리지는 연료 공급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하우징 수단은 카트리지에서 연장하는 헤드와 회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헤드를 둘러싸는 노즐 홀더 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노즐 홀더 스토퍼는 최소한 하나의 절단부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는 최소한 하나의 절단부와 정렬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상기 카트리지에 관하여 노즐 홀더 스토퍼와 밸브 하우징 수단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최소한 하나의 절단부와 카트리지에서 최소한 하나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최소한 하나의 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홀더 스토퍼는 외부 원주상 표면을 가지며, 최소한 하나의 절단부는 외부 원주상 표면에서 최소한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수단은 연료 공급 수단으로부터 연료가 공급되는 제1단부와 연소 작동에 일어나는 제2대향 단부를 가지는 최소한 하나의 중공 튜브를 포함하며, 각각의 버너 튜브는 제1단부에서 제2단부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중공 보어를 가지며, 상기 보어는 제2단부에서 큰 직경과 적어도 하나의 버너 노즐을 가지며, 각각의 버너 노즐은 제2단부에 위치한 각각의 버너 튜브의 중앙 보어내에 위치하여 통과하는 중앙 보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버너 노즐은 외부 표면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기어와 같은 티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연료 카트리지는 개구부를 통과하는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의 유동을 제어하는 연료 공급 밸브 수단과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가 빠져나오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은 제1 위치일때 연료의 유동을 방지시키기 위한 수단과 다른 제2 위치일때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방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개구부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동을 제각기 허용 또는 방지하는 밸브 밀봉 수단을 제어시키기 위한 외부힘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스템 및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방지 시키기 위한 밸브 밀봉 수단과, 상기 외부힘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위치에서 방지시키기 위한 수단의 스템 수단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제1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 수단은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이 버너 수단으로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므로 상기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을 개방하도록 바이어스 수단의 힘에 대항하는 외부 힘을 가하기 위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 방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밀어내는 풀린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은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기 수단과 제1위치일때 기화된 연료의 유동을 방지시키기 위한 수단과, 다른 제2 위치일때 기화된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위치에서 제어 수단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제1 바이어스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 수단은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이 버너 수단으로 기화된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므로 연료 공급 밸브 수단을 개방하는 바이어스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 방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밀어내는 플린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 장치
KR1019870700447A 1985-09-27 1986-09-24 휴대용 가열장치 KR930007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81,262 US4733651A (en) 1985-09-27 1985-09-27 Portable curling iron
US781,262 1985-09-27
US06/825,275 US4699123A (en) 1985-09-27 1986-02-03 Portable heating appliance
US825,275 1986-02-03
PCT/US1986/002009 WO1987001916A2 (en) 1985-09-27 1986-09-24 Portable heat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303A KR870700303A (ko) 1987-12-28
KR930007601B1 true KR930007601B1 (ko) 1993-08-13

Family

ID=2711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447A KR930007601B1 (ko) 1985-09-27 1986-09-24 휴대용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99123A (ko)
EP (2) EP0569047B1 (ko)
KR (1) KR930007601B1 (ko)
AT (2) ATE108984T1 (ko)
CA (1) CA1270416A (ko)
DE (2) DE3650711D1 (ko)
DK (1) DK273287D0 (ko)
FI (1) FI872291A0 (ko)
NO (1) NO872203D0 (ko)
WO (1) WO19870019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849A (en) * 1985-09-27 1990-05-15 The Schawbel Corporation Portable heating appliance having fuel cartridge with on/off switch
FR2612087B1 (fr) * 1987-03-12 1994-05-27 Ryobi Ltd Pistolet a adhesif du type a combustion catalytique
US4917078A (en) * 1989-02-10 1990-04-17 The Schawbel Corp. Hair radiating jaw members for hair crimper
US5569400A (en) * 1994-02-28 1996-10-29 Lee; In S. Soldering gun with U-shaped insertable terminal structure and tip having differing impedance layers
JP3890386B2 (ja) * 1995-04-08 2007-03-07 ブラウ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個人用ガス加熱式器具
US5944508A (en) * 1997-04-01 1999-08-31 The Schawbel Corporation Portable heated appliance with catalytic heater with improved ignition system
US5700430A (en) * 1995-07-25 1997-12-23 The Schawbel Corporation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substance
US5620318A (en) * 1996-08-01 1997-04-15 Tsai; Chin-Lin Fuel gas press control device of a gas torch
US5857262A (en) 1996-11-19 1999-01-12 The Schawbel Corporation Cordless hydrocarbon fuel heated hairdryer
US6527546B1 (en) * 1997-01-22 2003-03-04 Bic Corporation Utility lighter
US6332771B1 (en) 1997-01-22 2001-12-25 Bic Corporation Utility lighter
ATE349654T1 (de) 1997-01-22 2007-01-15 Bic Corp Allzweckfeuerzeug
US6065958A (en) * 1997-01-22 2000-05-23 Bic Corporation Utility lighter
US5934895A (en) * 1997-01-22 1999-08-10 Bic Corporation Utility lighter
US6637379B2 (en) * 2000-04-24 2003-10-28 A. Western Pump & Dredge, Inc. Accelerated water evaporation system
US20040216322A1 (en) * 2001-12-06 2004-11-04 Nicholas Collier Hairdryer
US20040168684A1 (en) * 2002-12-27 2004-09-02 Stephen Shapiro Portable food warming device
US6703590B1 (en) 2003-02-05 2004-03-09 Insta-Mix, Inc. Bottle warmer for disposable baby bottle
US6863527B2 (en) * 2003-03-31 2005-03-08 Arlo H. T. Lin Personal heater
TW200640629A (en) * 2005-05-18 2006-12-01 Pro Iroda Ind Inc Power appliance with detection device
US9574764B2 (en) 2012-05-25 2017-02-21 S. C. Johnson & Son, Inc. Portable steam generating device
US9127833B2 (en) 2012-08-31 2015-09-08 Thermacell Repellents, Inc. Post mounted dispensing device
US9572397B2 (en) 2013-12-04 2017-02-21 Schawbel Technologies Llc Heated insole with removable assembly
EP3076820B2 (en) 2013-12-04 2021-11-10 Schawbel Technologies LLC Heated insole with removable and rechargeable battery
CA2979074C (en) 2015-04-03 2019-12-03 Schawbel Technologies Llc Portable heating systems
USD758013S1 (en) 2015-05-08 2016-05-31 Schawbel Technologies Llc Hair straightener
USD796113S1 (en) 2015-05-08 2017-08-29 Schawbel Technologies Llc Fuel cartridge
USD765910S1 (en) 2015-05-08 2016-09-06 Schawbel Technologies Llc Portable curling iron
USD776798S1 (en) 2015-05-08 2017-01-17 Schawbel Technologies Llc Adaptor for a fuel cartridge
USD794813S1 (en) 2015-07-15 2017-08-15 Schawbel Technologies Llc Heat pack
NZ745670A (en) 2016-02-23 2023-01-27 Thermacell Repellents Inc Portable device for dispensing a heat-volatilizable substance
US10137464B2 (en) * 2016-10-27 2018-11-27 Thermacell Repellents, Inc. Multi-fuel-canister insect repellent system
US20180368624A1 (en) * 2017-06-27 2018-12-27 John Bailey Heated Scoop Assembly
SG11201913954SA (en) 2017-07-06 2020-01-30 Thermacell Repellents Inc Portable thermal insect repell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4552A (en) * 1955-03-22 Fluid flow control valves
DE133710C (ko) * 1900-09-25
US2867243A (en) * 1955-08-09 1959-01-06 Mueller Co Device for changing stop valves
US3181789A (en) * 1960-01-13 1965-05-04 Harold G Hill Control system for modulating gas burner operation on forced air heating systems
FR1314994A (fr) * 1962-02-16 1963-01-11 Dispositif antifuites pour installations de gaz
FR1341994A (fr) * 1962-02-17 1963-11-02 Siemens Ag Convertisseur à interrupteurs statiques
FR1459311A (fr) * 1965-10-08 1966-11-18 Appareil portatif formant sèche-cheveux
US3574506A (en) * 1968-07-29 1971-04-13 Bernzomatic Corp Blow torch burner
BR6804546D0 (pt) * 1968-12-04 1973-01-23 G Arbulo Um ferro de passar roupa a gas liquido de petroleo com queimador de raios infra-vermelho
DE2201560A1 (de) * 1972-01-13 1973-07-19 Habema Ag Verschlussglied fuer ventile fuer gasfoermige oder fluessige medien.
FR2206838A5 (ko) * 1972-11-15 1974-06-07 Saunier Duval
US3887325A (en) * 1973-05-29 1975-06-03 Sioux Steam Cleaner Corp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ers
US3999266A (en) * 1973-12-26 1976-12-28 Parker Leland L Structure incorporating a diaphragm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390678A1 (fr) * 1977-05-11 1978-12-08 Dynamold International Briquet a gaz
US4243017A (en) * 1979-06-11 1981-01-06 The Gillette Company Catalytically heated curling device with improved ignition system
DE2948857C2 (de) * 1979-12-05 1982-08-19 Braun Ag, 6000 Frankfurt Haarwellgerät
EP0040373B1 (de) * 1980-05-19 1985-02-13 Samson Aktiengesellschaft Feuerungsregler
US4352372A (en) * 1980-11-17 1982-10-05 Eaton Corporation Precision flow control device
JPS57208376A (en) * 1981-06-16 1982-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afety device of combustion equipment
US4382448A (en) * 1981-07-10 1983-05-10 Braun Aktiengesellschaft Electrical ignition system for a catalytically heated curling device
WO1983000279A1 (en) * 1981-07-15 1983-02-03 Fukunaga Masao Hair beauty device
DE3202720A1 (de) * 1981-10-14 1983-04-28 Braun Ag, 6000 Frankfurt Temperaturgesteuertes brenngas-durchflussventil
JPS5883128A (ja) * 1981-11-12 1983-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EP0100060B1 (en) * 1982-07-22 1987-11-25 PRINCE INDUSTRIAL DEVELOPMENT Co., Ltd. Catalyst combustion curling device
EP0129653B1 (de) * 1983-06-22 1988-12-28 Udo Poschinger Gas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7001916A3 (en) 1987-06-18
EP0569047A3 (en) 1993-12-08
DE3650001D1 (de) 1994-09-01
DK273287A (da) 1987-05-27
AU585671B2 (en) 1989-06-22
FI872291A (fi) 1987-05-25
AU6540386A (en) 1987-04-24
DK273287D0 (da) 1987-05-27
ATE108984T1 (de) 1994-08-15
FI872291A0 (fi) 1987-05-25
EP0245306A1 (en) 1987-11-19
KR870700303A (ko) 1987-12-28
CA1270416A (en) 1990-06-19
NO872203L (no) 1987-05-26
EP0569047B1 (en) 1999-01-20
ATE175847T1 (de) 1999-02-15
US4699123A (en) 1987-10-13
DE3650711D1 (de) 1999-03-04
EP0245306B1 (en) 1994-07-27
NO872203D0 (no) 1987-05-26
EP0569047A2 (en) 1993-11-10
DE3650001T2 (de) 1994-11-17
WO1987001916A2 (en) 198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601B1 (ko) 휴대용 가열장치
US5870525A (en) Capillary feed boiler
CA1144446A (en) Rotary ignition system for a catalytically heated curling device
US4924849A (en) Portable heating appliance having fuel cartridge with on/off switch
US4815441A (en) Portable heating appliance
US4631024A (en) Catalytic combustion device
US4733651A (en) Portable curling iron
US4716885A (en) Dual input to single burner solder iron
US4759343A (en) Portable curling iron
US4776321A (en) Hair roller heating device
KR910004021B1 (ko) 액화가스를 사용한 가열장치
EP0122927B1 (en) Gas operated smoothing iron
AU585671C (en) Portable heating appliance
US4852546A (en) Hair roller heating device
EP1350048B1 (en) A thermally responsive valve
EP3420277B1 (en) Fuel canister and adapter for insect repellent device
GB2128641A (en) Gas operated smoothing iron
JPH0459526B2 (ko)
JPS59197206A (ja) カ−リング装置
KR960006054Y1 (ko) 가스연소기기의 이중밸브장치
JPH052886B2 (ko)
JPH0451732B2 (ko)
JPS6017616A (ja) 触媒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