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396B1 - 자동요리장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요리장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396B1
KR930007396B1 KR1019910004632A KR910004632A KR930007396B1 KR 930007396 B1 KR930007396 B1 KR 930007396B1 KR 1019910004632 A KR1019910004632 A KR 1019910004632A KR 910004632 A KR910004632 A KR 910004632A KR 930007396 B1 KR930007396 B1 KR 93000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output
tim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407A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1991000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396B1/ko
Publication of KR92001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요리장치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가스레인지에 적용시킨 경우의 자동요리장치의 제어회로 블럭도.
제2도는 자동요리 수행도중에 화력이 자동조절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어회로도.
제3도는 자동요리 수행도중에 화력이 자동조절되는 않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어회로도.
제4도의 (a)는 본 발명의 가스레인지가 요리도중에 화력이 자동조절되는 경우로서 최종 화력의 세기가 고정된 경우의 가스 유통도 (b)는 본 발명의 가스레인지가 요리도중에 화력이 자동조절되는 경우로써 최종화력의 세기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경우의 가스 유통도 (c)는 본 발명의 가스레인지가 요리도중에 화력이 자동조절되지 않는 경우의 가스 유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P16 : 비교기 1,2,3 : 밸브
4 : 수동 조절놉 12 : 전원 개폐 스위치
S1∼S7 : 메뉴선택 버튼 스위치 S1',S2',S6' : 연동스위치
Ct1,Ct2 : 타이머 시간 설정용 콘덴서
r1∼r7,r1'∼r3' : 타이머 시간 설정용 저항
13 : 온도센서 14 : 온도 상승 감지 TC
15 : 열전대 16,17 : 타이머 TC
18 : 신호음 발생 TC 20,21 : 전자변(열량제어부)
110 : 센서부 120 : 온도설정부
130 : 온도감지부 140 : 온도상승감지부
150 : 과열온도 설정부 160 : 과열감지부
170 : 불꽃감지부 180 : 메뉴 선택부
190,200 : 타이머부 210 : 제어부
220 : 신호음 발생부 D1∼D11 : 다이오드
Ra∼Rd,R1∼R26,Rk,Rm : 저항 C1∼C4 : 콘덴서
본 발명은 자동요리장치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그릇의 종류, 구조특성(재질, 두께, 밑면의 평면상태등)과 센서와 요리용기 밑면과의 밀착 상태등에 효과적으로 자동 대처되는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특허출원 NO : 89-234)과 이에따른 선출원 제어회로(실용출원 NO : 89-7164)에서 자동요리장치의 자동요리 방법과 제어회로를 제안한 바 있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종래기술은 사용그릇의 종류, 구조특성 및 센서와 요리용기 밑면과의 접촉상태등에 따른 오차 발생으로 요리가 덜된 상태로 완료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 제안기술에서는 국, 찌게등 국물요리때에도 센서로 감지되는 그릇 밑면의 절대온도 값만을 감지하여 그릇내의 요리가 비등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릇의 재질이 유리이거나, 3중바닥, 5중바닥 냄비와 같이 밑이 두껍거나 또는 밑면이 굽어서 센서와의 면접촉상태가 좋지않은 경우에는 그릇내의 내용물이 비등온도에 도달되지 않았음에도 센서는 비등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판단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제안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특허출원 NO : 89-666)에서 사용그릇의 종류, 구조특성, 센서와의 접촉상태등에 여러경우가 나타나도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자동요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제안한바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발명 특허 출원 NO : 89-666)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가스레인지에 적용시킨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센서(13)와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되는 센서부(110)와, 저항(Rc)와 저항(R1+,…+R10)으로 구성되는 온도설정부(120)와, 비교기(P1)로 구성되는 온도감지부(130)와, 비교기(P2∼P10) 및 비교기(P15)와 온도상승 감지 TC(14)로 구성되는 온도상승 감지부(140)와, 저항(Rb,R11,R12) 및 스위치(S6')로 구성되는 과열 온도 설정부(150)와, 비교기(P11,P12)로 구성되는 과열 감지부(160), 감지감도를 조절하는 저항(Rd,R13,R14)과 열전대(가열부 감지센서)(15)와 비교기(P13,P14)로 구성되는 불꽃 감지부(170), 트랜지스터(TR2)와 타이머(16)로 구성되는 타이머부(190), 또한 트랜지스터(TR3)와 타이머(17)로 구성되는 또다른 타이머부(200), 상기 타이머부(190,200)에 시간을 설정하는 저항(r1'∼r3',r1∼r7), 스위치(S1∼S7) 및 이에 연동되는 스위치(S1'∼2')와 콘덴서(Ct1∼Ct2)로 구성되는 메뉴선택(180), 상기 메뉴선택(180)의 스위치(S6)에 과열온도 설정부(150)의 스위치(S6')가 연동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뉴선택부(180)는 타이머부(190,200)의 시간설정을 수행시키고 아울러 과열온도 설정부(150)의 과열온도도 설정시킨다.
또한 트랜지스터(TR4∼TR7)로 구성되어 전자변(20,21)을 제어하는 제어부(210)와, 또한 비교기(P16)와 신호음발생 TC(18) 및 피어조 부저(19)로 구성되는 신호음 발생부(220)로 구성되고, 센서부(110)는 온도감지부(130), 온도상승 감지부(140), 과열감지부(160)로 연결되고, 온도감지부(130)는 타이머부(190)의 START단자와 연결되고, 온도상승 감지부(140)는 타이머부(190)의 reset단자와 연결되며, 타이머부(190) 출력은 또다른 타이머부(200)의 start단자와 연결되고, 타이머부(200)의 출력은 제어부(210)의 입력단(T2)에, 타이머부(190)의 출력단은 제어부(210)의 입력단(T1)에, 과열감지부(160)의 출력단은 제어부(210)의 입력단(T3)과 불꽃감지부(170)의 입력측으로 연결되고, 열전대(가열부 감지센서)(15)를 포함하는 불꽃감지부(170)의 출력은 제어부(210)의 입력단(T4)과 센서부(110)의 입력측과 연결된다.
또한 메뉴선택부(180)은 과열온도 설정부(150)와 타이머부(190,200)에 연결되고, 제어부(210)의 출력측에는 전자변(20,21)과 신호음 발생부(220)를 연결하고, 온도설정부(120)를 온도감지부(130)와 온도상승 감지부(140)에, 과열온도 설정부(150)는 과열감지부(160)에 연결되게 구성한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입력단(T1)에 신호가 유입되면 전자변(21)을 제어하고, 입력단(T2)에 신호가 유입되면 전자변(20)을 제어하며, 또한 입력단(T3,T4)에 신호가 유입되면 전자변(열량제어부)(20,21) 모두를 제어하게 제어부(210)가 구성되고, 타이머부(190)는 Start입력단에 신호가 들어오면 스타트되나 설정시간이 수행되는 도중에 reset입력단에 신호가 유입되면 다시 처음부터 시작되게끔 구성되고, 설정시간이 완료되어서 출력단으로 출력신호를 내보낸후에는 Reset입력단에 신호가 유입되어도 이를 무시하여서 다시 처음부터 출발하지 않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또한 또다른 타이머부(200)는 start입력단으로 신호가 유입되면 즉시 스타트되어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출력단으로 신호를 출력하게 구성된다. 신호음 발생부(220)는 입력단으로 신호가 들어오면 일정시간 동안(또는 계속해서)신호음을 발생시키게 구성되며, 과열감지부(160)는 과열온도 설정부(150)에서 설정된 온도이상으로 센서(13)가 과열되면 출력단으로 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되며, 불꽃감지부(170)는 열전대(가열부 감지센서)(15)의 열기전력이 일정치 이상이면 출력단으로 신호를 발생하게 구성된다.
또한 온도감지부(130)는 온도설정부(120)에서 설정된 온도로 센서(13)의 온도가 상승되면 출력단으로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온도상승 감지부(140)는 상기 온도설정부(120)에서 설정한 온도로 센서(13)의 온도가 상승된 후에도 더이상 일정온도값 이상으로 센서(13)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 감지되면 그때마다 즉 매일정온도값 상승이 감지될 때마다 출력단으로 신호를 일정시간 동안만 출력한후 원상복귀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이 가스레인지에 적용된 경우인 제1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제2도의 회로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제2도에서, 제4도의 가스통로 제어용 밸브(1)(2)를 구동시키는 전자변(열량제어부)(20,21)에 트랜지스터(TR4 및 TR7)를 각각 직렬 연결한후 이들을 병렬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병렬 연결된 트랜지스터(TR4,TR7)의 에미터측을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TR5)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TR6)의 콜렉터에, 트랜지스터(TR6)의 에미터는 (R17)에 직렬로 연결하여 회로의 전원(11)의 양단사이에 연결 구성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는 타이머 TC(17)의 출력단에 (R23)과 다이오드(D5)를 거쳐서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7) 베이스는 타이머 TC(16)의 출력단에 저항(R26)과 다이오드(D11)을 거쳐서 연결하고, 상기 타이머TC(17)의 시간 설정용 저항들(r1∼r7)을 설치하되 메뉴선택 버튼 스위치(S1∼S7)에 의해서 선택되어 연결되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이머 TC(17)의 시간설정용 콘덴서(Ct2)를 타이머TC(17)에 연결 구성하고, 트랜지스터(TR3)를 상기 시간설정용 콘덴서(Ct2)와 병렬로 연결구성시켜서 트랜지스터(TR3)가 도통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은 콘덴서(Ct2)가 충전되지 못하여 타이머 TC(17)가 스타트되지 못하게 구성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측은 타이머 TC(16)의 출력단에 저항(R22)를 거쳐서 연결구성하고, 또한 타이머 TC(16)에 시간설정용 저항(r1'∼r3')와 시간설정용 콘덴서(Ct1)을 연결구성하고, 상기 저항(r3')와 병렬로 스위치(S2')를, 직렬 연결 저항(r2',r3')와 병렬로 스위치(S1')를 연결구성시켜서 메뉴선택 버트 스위치(S2와 S1)에 각각 연동되게 구성시키고, 또한 상기 타이머 TC(16)의 시간설정용 콘덴서(Ct1)과 병렬로 트랜지스터(TR2)를 연결하되 트랜지스터(TR2)가 도통될 경우 콘덴서(Ct1)가 방전되게 구성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측은 비교기(P15)의 출력단에 저항(R21)과 다이오드(D3)을 거쳐서 연결하고, 아울러 상기 저항(R21)과 다이오드(D3)의 접속점을 비교기(P1)의 출력단에 다이오드(D4)를 거쳐서 연결구성하고, 상기 비교기(P15)의 +입력단에는 저항(R15와 R16)에 의해 분압된 저항(R16)의 분압전압을 연결하고, -입력단에는 온도 상승 감지 TC(14)의 출력단(OP)을 연결하고, 상기 온도상승 감지 TC(14)의 입력단(T1∼T9)에는 비교기(P2∼P10)의 출력단을 연결하되 비교기(P2∼P10)로 부터 하이(high) 출력신호가 온도상승 감지 TC(14)의 입력단(T1∼T9)에 인가될 때마다 일정시간 동안만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 후 다시 하이(high) 상태로 되돌아가게 온도상승감지 TC(14)를 구성시키고, 비교기(P1)의 +입력단과 비교기(P2∼(P10)의 -입력단에는 저항(Ra)와 직렬 연결된 온도감지센서(13)의 분압전압을 인가시키고, 비교기(P1)의 -입력단과 비교기(P2∼P10)의 +입력단에는 저항(Rc)에 직렬 연결된 저항(R1∼R10)에 의해 세분된 각 세분분압 전압을 인가시키고, 직렬로 연결된 저항(Rb,R11,R12)에 의해 직렬 연결된 저항(R11+R12)에 분압된 분압전압을 과열감지용 비교기(P11)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또한 이를 저항(Rk)를 거쳐서 비교기(P12)의 +입력단에도 인가하고, 비교기(P11)의 +입력단과 비교기(P12)의 -입력단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13)의 분압전압을 인가하되 과열감지용 비교기(P11) 및 (P12)의 출력반전이 밥짓기 요리에서 밥이 완료되는 싯점의 센서 온도에서 이루어지도록 저항(Rb,R11,R12)의 저항값을 실험적으로 각종 냄비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값으로 결정하고, 또한 스위치(S6')를 저항(R12)와 병렬로 구성하되 스위치(S6')가 메뉴선택 버튼 스위치(S6)에 연동되게 구성하고, 과열시 작동되는 상기 비교기(P11)의 출력단은 저항(R24)와 다이오드(D6)를 거쳐서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측에 연결되고, 또 다른 과열시 작동되는 비교기(P12)의 출력단은 불꽃감지용 비교기(P14)의 -입력단에 다이오드(D1)과 저항(Rm)을 거쳐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1)은 센서와 병렬로 연결되어서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될때 센서 양단이 단락되게 구성하고, 불꽃감지용 열전대(15)의 -단은 접지(GND)측에 연결하고, 상기 열전대(가열부 감지센서)(15)의 +단은 불꽃감지용 비교기(P13)의 -입력단과 비교기(P14)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또한 직렬로 저항(Rd,R13,R14)에 의해 분압된 전압중에서 저항(R14)에 분압된 분압전압은 비교기(P14)의 -입력단에 연결하며, 또한 직렬 연결된 저항(R13+R14)에 인가된 분압전압은 비교기(P13)의 +입력단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불꽃감지용 비교기(P13)의 출력단은 저항(R20)과 다이오드(D2)를 거쳐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비교기(P14)의 출력단은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측에 저항(R25)와 다이오드(D7)을 거쳐서 연결되며, 신호음 발생 TC(18) 구동용 비교기(P16)의 +입력단에는 저항(R18,R19)에 의해 분압된 전압중 저항(R19)에 인가된 분압전압을 저항 Rk를 거쳐서 인가하고, -입력단에는 저항(R17)에 인가된 전압이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비교기(P16)의 출력단은 다이오드(D8)을 거쳐서 신호음 발생 TC(18)의 트리거 단자(MT)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음 발생 TC(18)에는 음향발생소자(Piezo Buzzer등)(19)를 연결하고, 전원 개폐용 스위치(12)를 전원(11)에 직렬로 연결구성하되 접점이 a-c, b-c로 절환접속되게 하여 스위치(12)의 접점이 a-c로 접속되면 회로에 전원(11)이 공급되고 접점이 b-c로 접속되면 회로에 전원 공급은 차단되면서 회로가 단락되게 구성시키고, 상기 전원 개폐용 스위치(12)를 가스레인지의 점화 및 소화 기구부와 연동되게 구성시킨다.
또한 노이즈 방지 및 그에 따른 부품의 보호를 위하여 콘덴서(C1∼C4)와 다이오드(D9,D10)를 연결구성하며, 또한 비교기(P2∼P10,P12,P16)에는 비교기에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주기위한 저항(Rm)을 각 비교기의 출력단과 입력단 사이에 연결하고, 저항(Rk)은 각 비교기의 +입력단에 설치하여 회로를 구성한다.
지금까지는 제4도 (a),(b)의 가스유통로를 갖는 가스레인지에 적용된 제2도의 제어회로 구성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만약 제4도 (c)와 같은 가스유통로를 갖는 가스레인지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에는 제2도에서 전자변(열량제어부)(21), 다이오드(D10), 저항(26), 다이오드(D11), 트랜지스터(TR7)를 제외시킨 경우인 제3도와 같이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외된 부품이외의 부품들의 연결구성은 제2도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회로가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1도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자동요리장치의 버너위에 요리 내용물이 담긴 그릇을 올려놓고 점화버튼(또는 점화놉)을 누른다(또는 점화놉을 돌린다). 그러면 점화버튼에 연동된 전원개폐 스위치(12)의 접점이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되면서 버너에는 불꽃이 점화되어 연소가 시작되고 연전대(가열부 감지센서)(15)를 가열시켜서 열기전력을 발생시키며, 점화버튼(또는 점화놉)을 수초간 눌러서 제4도 (a)(b)의 밸브(1)(2)를 강제로 열어서 연소를 수초간 지속시켜 주면 열전대(가열부 감지센서)(15)의 열기전력은 일정치 이상으로 상승되어서 마침내 불꽃감지부(120)의 출력단이 반전되어서 점화가 성공되었음을 제어부(210)에 알리게된다. 이순간의 센서(13)는 과열온도에 도달되어 있지 않음으로 가열감지부(160)도 과열이 아님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210)에 유입시키고 또한 점화초기(가열초기)이므로 온도감지부(130) 및 온도상승 감지부(140)의 출력은 반전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타이머부(190,200)의 출력도 반전되지 않아서 제어부(210)는 요리가 수행도중임으로 판단하여 전자변(열량제어부)(20,21) 모두를 개방시켜서 연소를 지속시키게 된다.
즉 일단점화만 성공되면 가열초기에는 점화수초후에 점화놉의 누름을 해제시켜도 그때부터는 제어부(210)가 전자변(열량제어부)(20,21)을 개방시키게 되어서 버너에서의 연소는 지속된다. 이렇게 점화가 성공되면 사용자는 제1도의 메뉴선택부(180)에서 원하는 메뉴를 눌러서 지정하게 된다. 즉, 제1도에서 메뉴를 지정하면 해당메뉴에 가장 적합한 과열 온도 및 설정시간이 자동적으로 과열온도 설정부(150) 및 타이머부(190,200)에 각각 설정되어지고, 이에따라 요리가 자동수행되어져서 요리가 완료되면 가열이 중단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요리 수행 과정을 점화에서 완료때까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점화 동작에 의해서 불꽃을 점화시키면 점화된 불꽃이 열전대(15)와 불꽃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되어서 제어부(210)로 신호를 유입시킨다. 이때 요리의 가열초기이므로 과열감지부(160)는 과열이 아님을 알리는 출력신호를 내게되고, 온도감지부(130)도 온도설정부(120)에서 설정된 온도로 센서(13)가 가열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게되고, 이에따라 타이머부(190)는 스타트되지 않으며, 타이머부(200)도 스타트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요리수행중임을 알리는 출력신호를 제어부(210)의 입력(T1,T2)으로 보내게 되어서 제어부는 과열이 아니고, 요리가 수행중이고, 버너에 불꽃도 점화되었으므로 요리를 계속 수행하기 위하여 전자변(20,21)을 모두 개방시켜서 큰 화력으로 요리중인 그릇이 가열되게 한다. 따라서 요리의 그릇은 계속 가열되고 따라서 내용물의 온도가 계속적으로 상승되면 그릇 밑면에 접촉되어 있는 센서(13)의 온도도 계속 상승되며서 가열이 계속된다.
마침내 센서(13)의 온도가 온도설정부(120)에서 설정한 온도에 도달되면 온도감지부(130)는 출력신호를 발생시켜서 타이머부(190)를 스타트시키게 된다. 타이머부(190)가 메뉴선택부(180)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어지는 설정시간을 수행하는 도중에 reset입력단으로 온도상승감지부(140)로 부터 신호가 유입되지 않으면 타이머비교기(190)는 설정시간을 계속 수행하여서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출력신호를 발생시켜서 또다른 타이머부(200)를 스타트시킴과 동시에 제어부(210)의 입력단(T1)으로 신호를 유입시켜 제어부(210)가 전자변(21)를 제어하여 제4도에서 큰 가스통로 제어용인 밸브(1)를 닫게된다(여기서 타이머부(190)의 설정시간은 메뉴선택부(180)의 조작시에 요리의 량을 대ㆍ중ㆍ소로 구분지어서 선택할 경우에 그에따른 최적의 설정시간이 타이머부(190)의 설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부터 버너의 화력은 감소된 상태로 그릇을 가열하면서 타이머부(200)의 설정된 시간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타이머부(200)에 설정되는 시간은 선택된 메뉴가 요리완료 되기 위하여 끓임상태가 지속되어야 하는 "끓임 지속시간"에 해당되는 시간이 설정되며 이것은 각 메뉴별(또는 요리종류별)로 사전에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결정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타이머부(200)가 설정시간을 수행한후 출력단으로 요리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제어부(210)는 전자변(20)을 제어하여 제4도의 작은 가스통로 제어용인 밸브(2)도 닫게되어서 마침내 버너의 불꽃을 완전히 소화되게 되며, 이와동시에 제어부(210)는 신호음 발생부(220)로 신호를 유입시켜서 요리완료를 알리는 신호음을 방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전자변(20,21) 모두를 제어하여 불꽃이 소화상태인때는 항상 출력신호를 보내어서 신호음 발생부(220)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과열상태 및 불꽃이 꺼졌을때에도 신호음 발생부(220)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지금까지의 자동요리 과정에서 만약 사용그릇의 밑면이 매우 두껍거나, 재질이 유리이거나, 또는 그릇밑면과 센서(13)의 접촉상태가 좋지않을 경우에는 센서(13)가 온도설정부(120)에서 설정한 온도에 도달된 후에도 그릇내의 내용물은 비등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계속해서 온도가 상승되며, 따라서 센서(13) 및 그릇밑면의 온도도 더 상승되며 이에 의해 센서(13)의 온도가 온도설정부(120)에서 설정된 온도이상에서 일정온도값 상승될때마다 온도상승 감지부(140)는 일정시간 동안만 출력신호를 보내어서 타이머부(190)를 reset시킨후 재스타트되게하며, 센서(13)의 온도가 상기 설정된 온도이상에서 계속 상승되면 그에 따라서 요리 내용물이 마침내 비등상태로 되어서 더이상 온도가 상승되지 않아서 센서(13)의 온도가 일정온도에서 안정될때까지 수회의 reset 동작을 반복하게 되며, reset되는 회수는 그릇의 재질, 두께, 센서(13)와 그릇 밑면과의 접촉상태 등에 따라 변하게 되며, 타이머부(190)의 설정시간 수행동안에 reset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본 발명에서는 이를 "비등상태 돌입"으로 판단하고, 이때부터 끓임지속시간 수행용인 타이머부(200)를 스타트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안전장치인 과열감지부(160)는 요리가 과열될 경우에 과열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210)로 보내어서 전자변(20,21)을 모두 제어하여 제4도의 밸브(1,2) 모두를 닫게함과 동시에 불꽃감지부(170)로 신호를 보내어서 마치 불꽃이 꺼진것으로 감지되게 불꽃감지부(170)로 신호를 유입시키고, 따라서 제어부(210)의 입력(T3)은 물론, 입력(T4)으로 신호를 넣어서 회로의 고장에 대비하게 하였다. 즉 입력(T3)기능이 고장일경우에도 과열시 입력(T4)으로도 신호를 유입시켜서 전자변(20,21)을 모두 제어하게한 것이다.
또한 요리 수행도중에 불꽃이 꺼졌을 경우 즉시 불꽃감지부(170)는 제어부(210)의 입력단(T4)으로 신호를 유입시켜서 전자변(20,21) 모두를 제어하게 함과 아울러 만약 입력단(T4)의 기능이 고장일 경우를 위하여 불꽃감지부(170)의 출력신호를 센서부(110)로 유입시켜서 센서(13)가 마치 과열상태인 것으로 센서부(110)가 신호를 출력하게 하여서 과열감지부(160)의 작동으로 제어부(210)의 입력단(T3)으로도 신호가 유입되게 하고, 이것마져 고장일 경우를 대비하여서 타이머부(190)와 타이머부(200)가 순차적으로 작동되어서 마침내 제어부(210)의 입력단(T1)으로 신호가 유입되어서 전자변(21)을 제어하고, 잠시후 입력단(T2)로도 신호가 유입되어서 전자변(20)도 제어하여 부품의 고장등에 안전장치들이 작동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가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가스레인지에 적용된 경우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제2도의 제어회로를 중심으로 실시예에 따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가스레인지의 버너위에 요리내용물이 담긴 그릇을 올려놓고 점화버튼(또는 점화놉)을 누른다(또는 점화놉을 돌린다). 그러면 점화버튼에 연동된 전원개폐 스위치(12)의 접점이 a-c로 접속되어 전원(11)이 공급되면서 버너에는 불꽃이 점화되어 연소가 시작되고 열전대(15)를 가열시켜서 열기전력을 발생시키며, 점화버튼(또는 점화놉)을 수초간 눌러서 제4도 (a),(b)의 밸브(1)(2)를 강제로 열어서 연소를 수초간 지속시켜주면 열전대(15)의 열기전력은 일정치 이상으로 상승되어서 마침내 비교기(P13)의 출력단이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1)는 "온"에서 "오프"상태로 바뀌게 되고, 이순간의 센서(13)는 과열온도에 도달되어 있지않음으로 센서의 분압전압은 직렬 연결된 저항(R11+R12)에 인가된 분압전압 보다 높기 때문에 과열감지용 비교기(P11)는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온"에서 "오프"로 되는 순간에 즉시 출력단이 "로우"에서 "하이"로 반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5)를 도통시키고, 동시에 비교기(P12)의 출력단은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기 때문에 불꽃감지용의 또다른 비교기(P14)는 정상적으로 열전대(15)의 열기전력을 감지하여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측으로 "하이" 전압을 출력시켜서 트지스터(TR6)를 도통시킨다.
또한 전원 개폐스위치(12)의 a-c 접점으로의 접속 순간에, 즉 전원(11)이 인가되는 순간에 타이머 IC(16)와 타이머 IC(17)는 "하이" 전압을 트랜지스터(TR7과 TR4)의 베이스측으로 출력하므로 트랜지스터(TR4와 TR7)는 점화놉 조작순간에 이미 도통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버너에 점화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수초간만 제4도 (a),(b)도의 밸브(1)(2)를 강제로 열어주기만 하면 그 이후부터는 제2도의 전자변(20)(21)에 관련된 트랜지스터(TR4, TR7, TR5, TR6)가 모두 도통된 상태에서 전자변(20)은 제4도의 밸브(2)를, 그리고 또다른 전자변(21)은 밸브(1)를 계속적으로 개방시켜서 밸브(1)(2)의 강제개방을 해제시켜도 버너에서의 연소작용을 유지시켜 주게된다.
위와같이 지속되는 버너에서의 연소작용에 의해서, 밑면에 센서(134)가 접촉되어 있는 그릇밑면의 온도는 상승되고 따라서 그릇내의 요리내용물 온도도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그릇밑면에 접촉된 센서의 온도도 상승된다.
여기서 센서(13)의 온도가 가열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되어서 센서에 분압된 분압전압이 직렬 연결된 저항(R1+…+R10)에 분압된 분압전압보다 작게될 때까지 비교기(P1)는 하이 출력을 또한 비교기(P2∼P10)는 로우 출력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온도상승 감지용 IC(14)의 출력단(OP)도 계속 "하이"상태여서 비교기(P15)의 출력단은 "로우" 출력을 유지시킨다.
비교기(P15)가 "로우" 출력상태이지만 앞에서 설명한 비교기(P1)의 출력은 센서(13)가 일정온도에 도달될 때까지는 계속 "하이" 출력을 유지하므로 트랜지스터(TR2)는 상기 센서온도(13)가 일정온도에 도달될때까지는 계속 도통상태를 유지하여서 타이머 IC(16)는 스타트되지 못하고 계속 "하이" 출력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서 트랜지스터(TR7)도 도통상태를 유지시키고 또한 트랜지스터(TR3)도 도통상태를 유지하므로 타이머 IC(17)도 스타트되지 못하여 "하이" 출력을 계속 유지하게 되어서 트랜지스터(TR4)도 계속 도통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아직 과열상태로 돌입되지않은 상태임으로 트랜지스터(TR5)도 도통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또한 버너의 불꽃이 꺼진 상태가 아니므로 트랜지스터(TR6)도 계속 도통상태를 유지하여서 결과적으로 버너의 연소작용은 지속되어서 그릇밑면의 온도는 계속상승되며, 센서(13)의 온도도 계속 상승되어서 센서(13)의 저항값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어서 센서에 분압된 전압도 계속 하강하게 되며, 마침내 직렬 연결된 저항(R1+…+R10)에 분압된 전압보다 낮아지는 순간에 비교기(P1)의 출력은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며, 이때 비교기(P2)는 아직 반전되지 않았으므로 온도상승 감지용 IC(14)의 출력단(OP)은 계속 "하이"상태여서 비교기(P15)의 출력은 "로우"상태가 되고, 따라서 상기 비교기(P1)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는 순간에 트랜지스터(TR2)가 도통상태에서 "오프"로 변환되어 콘덴서(Ct1)이 충전이 시작되면서 타이머 IC(16)는 스타트된다.
이때부터 온도상승 감지용 IC(14)는 센서의 온도가 더욱 상승되어서 직렬 연결된 저항(R2+…+R10)에 인가된 분압전압보다 더 낮아져서 비교기(P2)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로 반전되는지를 입력단(T1)으로 감지하여서 만약 상기 비교기(P2)의 출력반전이 감지되면 온도상승 감지용 IC(14)는 출력단(OP)의 출력을 "하이"에서 "로우"로 일정시간 동안만(약 1초정도 동안) 반전시킨 후 다시 원상태인 "하이" 출력상태로 복귀된다. 이는 입력단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OP)의 출력이 일정시간 동안만 반전된 후 원상복귀되도록 온도상승 감지 IC(14)는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온도상승 감지용 IC(14)의 출력단(OP)이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어 있는 동안 비교기(P15)는 하이 출력을 잠시동안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TR2)는 다시 일정시간 동안(약 1초정도) 도통되어서 시간설정용 콘덴서(Ct1)에 충전되어진 그때까지의 충전전류를 방전시키게 되어, 타이머 IC(16)는 온도상승 감지 IC(14)의 출력이 원상복귀되는 순간에 콘덴서(Ct1)에 충전을 다시 시작하면서 재스타트하게 된다.
즉, 온도상승 감지용 IC(14)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된 뒤 다시 "하이" 상태로 복귀되면 비교기(P15)의 출력도 "하이"에서 다시 "로우" 상태로 복귀되고, 도통되었던 트랜지스터(TR2)는 다시 "오프"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타이머 IC(16)는 시간설정용 저항(r1'∼r3')와 시간설정용 콘덴서(Ct1)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시 스타트하게 된다.
만약 센서의 온도상승이 더이상의 비교기(P3∼P10)의 출력을 반전시키지 못하면 온도상승 감지 IC(14)의 출력은 다시 반전되지 않으며 따라서 트랜지스터(TR2)가 계속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콘덴서(Ct1)에 충전작용이 지속되어서 타이머 IC(16)는 설정된 시간을 계속 수행하여 마침내 타이머 IC(16)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 IC(16)의 출력은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7)를 "오프"시켜서 전자변(21)으로의 통전을 차단시켜 제4도 (a)(b)의 밸브(1)를 닫게하고, 따라서 이 순간부터 버너의 화력은 약하게 변하게 되며, 또한 상기 타이머 IC(16)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될 때 트랜지스터(TR3)도 도통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하고, 타이머 IC(17)는 스타트하게 된다. 상기의 스타트된 타이머 IC(17)는 사용자가 메뉴 선택시에 선택조작한 메뉴선택 버트 스위치(S1∼S7)에 의해서 저항(r1∼r7)중 어느 하나가 시간설정용 저항으로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시간설정용 저항과 시간설정용 콘덴서(Ct2)에 의해 결정되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며 타이머 IC(17)의 출력단은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고, 이어서 트랜지스터(TR4)가 "오프"되면서 전자변(20)으로의 통전을 차단시켜 제4도(a)(b)의 밸브(2)도 닫게하여 버너의 불꽃을 완전히 소화시키며, 이때 저항(R17)에 인가된 분압전압의 변동이 비교기(P16)에 의해 검출되어 비교기(P16)는 "하이"출력으로 반전되고 신호음 발생 IC(18)를 트리거시켜서 신호음 발생 IC(18)가 피에조부자(19)를 통하여 신호음을 발생하게 된다. 즉, 버너의 불꽃이 소화됨과 동시에 신호음이 발생되게 된다.
상기에서 버너의 불꽃이 소화되면 열전대(15)의 열기전력은 급격히 저하되고 잠시후에는 일정치 이하가 되어서 불꽃감지용 비교기(P13)가 "하이" 출력으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TR1)를 도통시키면 과열감지용 비교기(P11)의 출력이 "로우"로 출력되면서 트랜지스터(TR5)를 "오프"시키고, 또한 비교기(P12)의 출력이 "하이"로 되면서 비교기(P14)의 출력도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TR6)를 "오프"시키게 된다. 즉, 요리완료후에는 전자변을 제어하는 모든 트랜지스터가 결국 모두 "오프"되게 된다.
만약 요리수행도중에 국물의 넘침이나 바람등에 의해서 버너의 불꽃이 꺼지게되면 열전대(15)의 열기전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것은 곧 비교기(P13,P11,P12) 및 (P14)의 출력 반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5와 TR6)가 "오프"되게 되고, 타이머 IC(16)(17)의 설정된 전체 시간이 경과되면 트랜지스터(TR4,TR7)도 "오프"된다.
또한 요리의 국물이 다 증발되었거나 사용자가 조작을 잘못하였거나, 제어회로내의 부품이 고장나거나, 회로의 결선이 잘못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서 요리가 과열상태에 돌입하게 되면, 즉 센서(13)의 분압전압이 직렬 연결된 저항(R11+R12)(S6'가 "온"된 경우에는 R11)의 분압전압보다 낮아지면 과열감지용 비교기(P11)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5)를 "오프"시키고, 또한 비교기(P12)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로 반전되면서 비교기(P14)의 출력을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시켜 트랜지스터(TR6)를 "오프"시키고 전자변(20)(21)으로의 통전을 차단시켜서 제4도(a)(b)의 밸브(1)(2)를 모두 닫아서 버너의 불꽃을 소화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제어회로는 사용 그릇의 열전도가 좋지않거나 예를들어 유리그릇이거나, 아니면 3중, 5중등과 같이 다중 바닥 그릇이거나 그릇바닥밑면의 센서가 닿는 부위에 버너 불꽃의 그릇으로의 열전달을 좋게하기 위한 구조의 작은 홈이 파여져 있거나 아니면 그릇밑면이 굽어서 센서와의 접축상태가 완전한 면접촉상재가 아닌 경우에는 그릇내의 요리내용물이(국, 찌게의 경우) 비등 상태에 도달되어 온도가 평형 상태를 유지하면 센서의 온도의 잠시동안은 더 상승되나 곧 센서온도도 평형 상태에 도달되며, 상기 센서의 온도가 평형 상태에 도달될때 까지는 비교기의 출력을 P2→P3→P4→…P10 순으로 순차적으로 "하이" 상태로 반전시키며, 그때마다 온도상승 감지용 IC(14)는 잠시동안만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 상태로 되고, 그때마다 비교기(P15)는 "하이"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TR2)를 도통시켜서 타이머 IC(16)를 재스타트시키게 되기 때문에 그릇내의 요리내용물은 사용그릇의 종류에 관계없이 비등상태로 돌입되며 이렇게 비등상태로 완전히 돌입되면 그 이후로는 더이상 다음순번의 비교기 출력을 일정시간 내에(타이머 IC "16"의 설성시간 내에) 반전시키지 못하게 때문에 타이머 IC(16)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고, 따라서 타이머 IC(16)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3)를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시키면서 타이머 IC(17)를 스타트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요리의 구체적인 양이나 사용그릇의 종류, 구조 및 센서와 그릇과의 접촉상태의 다양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릇내의 요리를 비등상태로 돌입시킨 후 비로소 타이머 IC(17)를 스타트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타이머 IC(17)의 열할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타이머 IC(17)에 설정되는 시간은 본원 선출원 기술(특허출원 NO : 88-234 및 88-666)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요리의 양에 관계없이 해당요리가 비등후부터 요리가 완료되는 때까지의 끓임이 지속되어야 하는 "끓임지속시간"인 것으로 사전에 실험에 의해 각 요리종류(또는 요리특성)별로 측정되어지고 이에 따라 저항(r1∼r7)이 결정되어져서 메뉴선택 버튼 스위치(S1∼S7)중에서 원하는 메뉴선택 버튼 스위치를 눌렀을때 해당 메뉴의 상기 "끓임 지속시간"이 타이머 IC(17)에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지게된다. 여기서 타이머 IC(16)는 일단 출력전압을 설정시간의 경과후에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시키면 이때부터는 트랜지스터(TR2)가 다시 "온"되어도 "로우"로 반전된 출력전압은 계속 그대로 유지되는 IC이다. 또한 메뉴 선택 버튼 스위치(S1,S2)에 연동된 스위치(S1',S2')와 (S6)에 연동된 스위치(S6')의 역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타이머 IC(16)의 시간설정용 저항이 r1'+r2'+r3'일 때 예를들어 타이머 IC(16)의 설정되는 시간이 만약 3분이라도 하면 센서의 온도가 더 상승될 것인지 아니면 평행상태로 유지될 것인지를 3분동안 기다리면서 비등상태로의 돌이여부를 확인하는 결과가 된다.
즉, 3분동안 온도상승 감지용 IC(14)의 출력반전이 없으면 이를 비등상태 돌입으로 보게되며 이는 곧 일정시간동안 일정온도의 상승을 감지판별하는 기울기 검출방식인 것이다. 그런데 소량의 요리를 "데우기"할 경우에 이미 비등상태로 돌입된 요리를 계속 3분동안 더 지켜본다는 것은 지나친 시간낭비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스위치(S1)가 소량의 국, 찌게류의 "데우기"를 위한 메뉴선택 버튼스위치로 사용될 경우에는 스위치(S1)에 스위치(S1')를 연동시켜 타이머 IC(16)의 시간 설정용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결과적으로 스위치(S1)를 선택하면 예를들어 약 1분간 센서의 온도상승 여부를 확인하는 결과가 되고, 중간량 데우기용인 스위치(S2)를 선택하면 스위치(S2')가 연동되어 타이머 IC(16)에 설정되는 시간이 r1'+r2'와 Ct1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값으로 증가하게 되어서 예를들면 약 2분간 센서의 온도를 확인하는 결과가 되고, 많은량은 데우기용 스위치(S3)가 선택되면 스위치(S1'와 S2')는 모두 개방되어 타이머 IC2에 설정되는 시간은 r1'+r2'+r3'와 Ct1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값으로 증가하게 되어서 예를들면 약 3분간 센서 온도를 확인하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데우기"기능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위치(S1',S2')는 없어도 됨은 물론이다.
또다른 연동스위치인 (S6')는 스위치(S6)에 연동시킨 것으로 스위치(S6) 이외의 메뉴선택 버튼 스위치가 눌러져 있을 때는 제2,3도 제어회로의 과열감지 온도는 직렬연결 저항(R11+R12)에 인가된 분압전압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이때의 과열 감지온도가 요리가 타지않을 정도의 온도이므로 이 온도를 이용하여 밥짓기, 계란후라이등의 요리를 실시하였다면, 상기 메뉴 선택버튼 스위치(S6)는 노릿노릿하게 태워질 필요가 있는 요기(생선구이등)용의 스위치로 선정된 것으로서 스위치(S6)가 "온"되면 과열감지온도도 노릿노릿하게 탈때의 온도로 변화되어야 하므로 스위치(S6')가 스위치(S6)에 연동되어서 과열감지 온도를 스위치(S6)가 "온"될 경우 상승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요리 메뉴중에 태워줄 필요가 있는 요리를 제외시킬 경우에는 스위치(S6')는 제외시켜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메뉴선택 버튼 스위치(S1∼S7)로 메뉴선택시에 메뉴 표시용 LED가 점등될 수 있게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저항(r1∼r7)과 메뉴선택 버튼 스위치(S1∼S7)의 각 접속점과 접지사이에 각 메뉴를 표시하는 LED를 연결시킴으로서 가능하다.
지금까지 자동요리 수행도중에 요리가 비등상태에 돌입되면 버너의 화력이 약하게 자동조절되는 제2도의 제어회로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만약 가스레인지가 제4도(c)와 같은 가스유통도를 갖는 경우에는 본 발명은 제3도와 같은 제어화로로 된다.
즉, 제3도 제어회로는 타이머 IC(16)의 출력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제2도의 전자변(21) 및 트랜지스터(TR7)가 필요없게 되고 따라서 타이머 IC(16)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반전되어도 화력의 세기는 변동이 없게될뿐 나머지는 제2도의 제어화로의 동작과 동일하게 작동됨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 5,6은 가스유입구와 가스유출구이다.
또한 제4도(b)의 수동 조절놉(4)의 역할은 요리가 비등되어서 화력이 작게조절되는데 있어서 화력의 조절뒤에 형성되는 작은 화력의 크기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스버너대신에 전열부를 구성시키고 가스개폐용 전자변대신에 전열부 제어용 열량제어부를 구성시키면 본 발명은 전열장치로 구성되는 자동요리장치의 제어회로가 됨은 당연하다.

Claims (6)

  1. 자동요리장치의 가스레인지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가열용기의 열을 감지하는 가열부 감지센서(열전대)(15)의 열기전력과 일정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불꽃감지부(170)와, 상기 가열용기밑면의 온도에 따른 전압을 발생하되 불꽃이 없을 때는 상기 불꽃 감지부(170)의 출력에 의해 과열상태와 같이 동작하는 센서부(110)와, 상기 센서부(110)의 출력전압과 비교되는 일정 기준전압을 설정하도록 한 온도설정부(120) 및 과열온도설정부(150)와, 상기 센서부(110)의 분압 전압과 상기 과열 온도설정부(150)에서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과열상태를 감지하는 과열 감지부(160)와, 상기 센서부(110)에 의한 분압 전압과 상기 온도설정부(120)에 의한 분압전압을 비교하여 가열용기밑면의 온도가 온도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출력신호를 보내는 온도감지부(130)와, 상기 센서부(110)에 의한 분압 전압과 상기 온도설정부(120)에 의한 분압 전압을 비교하여 가열용기 밑면의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온도이상으로 계속 온도가 상승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서 일정온도 상승때마다 출력신호를 보내는 온도상승 감지부(140)와, 상기 온도상승 감지부(140)의 출력에 의해 리셋되고 가열용기 밑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온도감지부(130)의 출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1타이머부(190)와, 상기 타이머부(190)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제2타이머부(200)와, 상기 제1및 제2타이머부(190,200)의 출력시간과 상기 과열온도 설정부(150)의 과열온도를 설정하는 메뉴선택부(180)와, 상기 제1및 제2타이머부(190,200)와 상기 과열 감지부(160) 및 불꽃감지부(170)의 출력을 인가받아 소정의 전자변(20)(21)을 제어하여 버너에 인가되는 가스를 제어하는 제어부(210)와, 상기 제어부(210)의 출력에 따라 버너가 소화됨을 알리는 신호 발생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요리장치의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상승 감지부(14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한 분압과 다수의 온도가 저항(Rc,R1∼R10)에 의해 세분되어 설정되는 온도설정부(120)에 의한 다수의 분압전압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기(P2∼P10)와, 상기 온도상승에 따른 비교기(P2∼P10)의 순차적인 출력변화시 일정시간 동안만 출력을 반전시키는 온도상승 감지용 IC(14)와, 상기 온도상승 감지용 IC(14)의 출력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온도상승 감지용 IC(14)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1타이머부(190)를 리셋시켜 동작을 제어하는 비교기(P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요리장치의 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온도설정부(150)의 스위치(S6')와 상기 제1타이머부(190)의 시간설정용 스위치(S1',S2')는 상기 제2타이머부(200)의 시간 설정용 스위치(S6,S1,S2)에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요리장치의 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제1타이머부(190)의 출력에 의해 저자변(21)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TR7)와, 상기 제2타이머부(200)의 출력에 의해 전자변(20)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TR4)와, 상기 과열감지부(160)와 불꽃감지부(17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전자변(20,21)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TR5)(TR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요리장치의 제어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감지부(160)는 상기 과열온도 설정부(150)에서 설정한 기준전압과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가열용기 밑면의 온도에 따른 센서(13)의 분압전압을 비교하여 과열시 상기 제어부(210)를 통해 전자변(20,21)을 차단하는 비교기(P11)와, 상기 과열온도설정부(150)에서 설정한 기준전압과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가열용기 밑면의 온도에 따른 분압전압을 비교하여 과열시 상기 불꽃 감지부(170)의 비교기(P14)를 제어하여 상기 제어부(210)를 통해 전자변(20,21)을 차단시키는 비교기(P12)로 구성되어 2중으로 전자변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요리장치의 제어회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상승 감지 IC(14)는 입력단에 신호가 유입될 때마다 일정시간동안만 출력의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요리장치의 제어회로.
KR1019910004632A 1991-03-23 1991-03-23 자동요리장치 제어회로 KR93000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4632A KR930007396B1 (ko) 1991-03-23 1991-03-23 자동요리장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4632A KR930007396B1 (ko) 1991-03-23 1991-03-23 자동요리장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407A KR920018407A (ko) 1992-10-22
KR930007396B1 true KR930007396B1 (ko) 1993-08-09

Family

ID=1931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632A KR930007396B1 (ko) 1991-03-23 1991-03-23 자동요리장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49B1 (en) * 2002-07-06 2003-09-19 Jin Ha Park Overheat preventing apparatus and gas oven therewith
KR100398650B1 (en) * 2002-10-11 2003-09-19 Jin Ha Park Electronic safety apparatus of gas oven and gas oven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407A (ko) 199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56885B2 (ko)
KR100656669B1 (ko) 가열조리기
KR930007396B1 (ko) 자동요리장치 제어회로
JP2584932B2 (ja) 調理装置
JP3284073B2 (ja) 炊飯機能付きガスコンロ及びその制御方法
JPS624611B2 (ko)
JP2618105B2 (ja) 燃焼機器の点火制御装置
JP3693196B2 (ja) ガス調理器
KR940008243B1 (ko) 온도센서가 부착된 가열조리기의 제어방법
KR940008244B1 (ko) 온도센서가 부착된 가열조리기의 제어방법
KR910005508Y1 (ko) 간접가열 방식의 자동 조리 장치 제어회로
JPH116621A (ja) 炊飯機能付ガスこんろ
JPH0159505B2 (ko)
JPS63156916A (ja) 燃焼器具
JPH0462315A (ja) こんろの制御装置
JP2703413B2 (ja) 調理器具の火力調節方法
KR100407565B1 (ko) 그릴장치
KR100348442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
JPH0317143Y2 (ko)
KR100672305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탑버너 제어 방법
JP2565917Y2 (ja) 調理用加熱器
JPH0565170B2 (ko)
JPH06317327A (ja) 自動調理器
JPH05141663A (ja) 加熱調理器
JPH0589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