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134Y1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단자핀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케이스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단자핀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케이스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134Y1
KR930007134Y1 KR2019910005507U KR910005507U KR930007134Y1 KR 930007134 Y1 KR930007134 Y1 KR 930007134Y1 KR 2019910005507 U KR2019910005507 U KR 2019910005507U KR 910005507 U KR910005507 U KR 910005507U KR 930007134 Y1 KR930007134 Y1 KR 930007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bt
terminal pin
foil
case
fb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443U (ko
Inventor
구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5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134Y1/ko
Publication of KR920020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단자핀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케이스 고정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 부분 상세도.
제3a도는 본 고안의 평편형단자핀을 도시한 설명도, 제3b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핀 20 : FBT 케이스
22 : ㄱ자형 고정돌기 40 : 포일(Foil)
52 : 요홈
본 고안은 TV의 브라운관(CRT)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이하, FBT라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FBT에 권선되는 코일(Coil) 또는 포일(Foil)로부터 인출되는 단자핀을 FBT케이스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고부가가치 및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FBT의 단자핀과 FBT케이스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BT는 복수개의 층으로 분할 구성하여 고압코일을 권선하는 섹션방식(Section Type)과, 고압코일을 저압코일과 평행하게 분할하여 권선하는 멀티방식(Multi Type) 및,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포일(foil)을 사용하여 권선하는 포일방식(foil type)으로 각각 구분되고, 고출력과 각종 전압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포일방식이 채택되어 사용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코일을 사용하거나 또는 포일을 사용하여 권선된 저압보빈으로부터 다수개의 단자핀을 인출하는데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즉 그 구조는 케이스(50)의 일측면(51)에 다수개의 요홈(52)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52)과 일치하는 직경을 갖춘 원형봉형상의 단자핀(53)이 상기 요홈(52)에 각각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단자핀(53)의 일측이 권선된 코일 또는 포일(54)의 층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코일 또는 포일(54)로부터 유도전류를 인출하도록 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구조로서는 상기 FBT 케이스(50)에 형성된 요홈(52)으로 삽입되는 단자핀(53)이 빈번히 상기 요홈(5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빠져나옴으로서 결선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완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단자핀을 FBT 케이스에 견고히 고정하여 조립생산성과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FBT의 단자핀과 FBT 케이스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평편형의 몸체부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일정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단자핀과, 서로 마주한 상태로 상기 단자핀이 끼워지도록 FBT 케이스의 일측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된 ㄱ자형 고정돌기와 상기 ㄱ자형 고정돌기의 일측으로 상기 단자핀의 구멍과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된 돌기와, 상기 FBT 케이스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FBT의 측면구조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부 상세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핀(10)은, 평편형의 몸체부(11)를 갖추고 이 몸체부(11)는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구멍(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FBT 케이스(20)의 일측면(21)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단자핀(10)의 폭과 두께에 해당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ㄱ자형 고정돌기(22)가 서로 마주하여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ㄱ자형 고정돌기(22)의 일측에는 단자핀(10)의 구멍(11a)과 대응하는 크기의 돌기(23)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돌기(23)는 상단부에 돌기(23)의 직경보다 큰 머리부(23a)를 갖추어 상기 단자핀(10)의 구멍(11a)이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FBT 케이스(20)의 일측면(21)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구멍(24)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부호(40)는 포일(Foil)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자핀(10)을 FBT 케이스(20)에 형성된 한쌍의 ㄱ자형 고정돌기(22)내부로 삽입하고, 구멍(11a)을 돌기(23)에 탄력적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포일(40)측으로 돌출한 단자핀(10)의 일측을 제1도의 "가"위치로 즉, 상부로 각각 절곡하고, 포일(40)을 일부 권선한 다음, 하나의 단지핀(10) 일측을 하부로 절곡시켜 포일(40)층에 밀착시키고 재차 권선작업을 실행한다. 다음 단자핀(10)도 상기와 같이 포일(40)층으로 밀착시켜 권선작업을 실행하고, 각각 다수개의 단자핀(10)을 연속적으로 포일(40)층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단자핀(10)은 FBT 케이스(20)에 형성된 ㄱ자형 고정돌기(22)와 돌기(23)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포일(40)층과 연결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포일(40)이 권선된 FBT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의해 형성된 구멍(24)으로 원형봉 형상의 단자핀(미도시)를 각각 삽입시키면 포일(40)이 아니라 코일로 권선되는 FBT에도 단자핀이 FBT 케이스(20)에 견고히 고정되어 포일(40)층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포일(40)이 권선된 FBT에는 평편형 단자핀(10)을 사용하여 포일(40)층과 연결시키고 코일이 권선되는 FBT에는 원형봉 형상의 단자핀을 구멍(24)으로 삽입하여 연결시키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단자핀(10)이 FBT 케이스(20)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포일(40)층과 연결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번거롭지 않게 되고,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며, 고부가가치 및 고품질의 FBT가 제작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가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FBT 케이스(20)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되고, 이와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 단자핀이 상기 요홈내에 탄력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FBT의 단자핀과 FBT 케이스 고정구조에 있어서, 평편형의 몸체부(11)로 이루어진 단자핀(10)의 몸체부(11)중앙에 일정크기의 구멍(11a)이 형성되고, 이와 결합고정되는 FBT케이스(20)의 일측 외주면에는 ㄱ자형 고정돌기(22)와 단자핀(11)의 구멍(11a)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기(23)가 마련되며, 상기 FBT 케이스(20)의 일측면(21)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멍(2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BT의 단자핀과 FBT 케이스의 고정구조.
KR2019910005507U 1991-04-22 1991-04-22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단자핀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케이스 고정구조 KR930007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507U KR930007134Y1 (ko) 1991-04-22 1991-04-22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단자핀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케이스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507U KR930007134Y1 (ko) 1991-04-22 1991-04-22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단자핀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케이스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443U KR920020443U (ko) 1992-11-17
KR930007134Y1 true KR930007134Y1 (ko) 1993-10-13

Family

ID=1931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507U KR930007134Y1 (ko) 1991-04-22 1991-04-22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단자핀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케이스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1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443U (ko) 199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134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단자핀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케이스 고정구조
JP2001035732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用トランス
JP3238862B2 (ja) コイルボビン
KR20050006620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JP2011091136A (ja) コイル
KR100444232B1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JPH10144537A (ja) 小型トランス
JPH09246060A (ja) コアおよびボビン
KR890001346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일보빈
JPH0124902Y2 (ko)
US5402091A (en) Frame body for use in winding a coil for deflection yoke
JPH0343687Y2 (ko)
JPH0864435A (ja) 小型トランス
KR20023441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터미널 단자부
KR940006589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난권선 방지 장치
KR200222909Y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코어체결구조
JPH1079312A (ja) 巻線部品
KR9000095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저압코일보빈
KR800000770Y1 (ko) 고압 권선용 보빈
JPS6144404Y2 (ko)
JPS605747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JPH07283033A (ja) トランス
KR0132677Y1 (ko) 고압발생기 고압보빈의 절연 안전막 구조
JP2005033134A (ja) トランス用ケース
KR89000134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